KR102210359B1 -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359B1
KR102210359B1 KR1020180164436A KR20180164436A KR102210359B1 KR 102210359 B1 KR102210359 B1 KR 102210359B1 KR 1020180164436 A KR1020180164436 A KR 1020180164436A KR 20180164436 A KR20180164436 A KR 20180164436A KR 102210359 B1 KR102210359 B1 KR 10221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unit
voltage
power supply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5590A (en
Inventor
김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359B1/en
Publication of KR2020007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5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3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전력공급장치 및 가습청정장치는, 무선전력공급장치의 회로를 공용화하여 기본회로와 확장회로로 구성하여 요구되는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복수의 레벨로 전압을 출력하여 요구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기기에 비접촉식의 무선전력전송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분리가능하게 비접촉식으로 장착되는 에셈블리 간의 무선전력전송을 통한 전원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물을 이용하여 감전의 위험이 있는 가습청정장치에서 감전사고를 방지함에 따라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and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required voltage by sharing the circuit of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nto a basic circuit and an extension circuit, and output voltages at multiple levels. Thus, by generating an output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voltage, non-contac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In addition, as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etween assemblies that are detachably mounted in a non-contact manner,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afety by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accident in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that has a risk of electric shock using water. .

Figure R1020180164436
Figure R1020180164436

Description

무선전력공급장치 및 무선전력공급장치가 구비된 가습청정장치{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본 발명은 무선전력공급장치 및 무선전력공급장치가 구비된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및 무선전력공급장치가 구비된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and a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and in particular, to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a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and a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기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Conventional humidifiers are divided into a vibration type that vaporizes water from a vibration plate and discharges it into the air, and a natural evaporation type that evaporates naturally from a humidifying filter.

종래 가습기는 커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적 접촉을 위한 단자가 구비됨에 따라, 물에 의한 감전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전기사고의 위험성에 대비하여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사용되는 추세이다. As a conventional humidifier is provided with a terminal for electrical contact to supply power to the co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lectric accident such as an electric shock due to water occurs.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re is a trend of using a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in preparation for the risk of an electric accident.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505456호는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원공급장치로써,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NFC 안테나와 WPT안테나 구조를 이용하여, 듀얼 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주파수 간섭 혹은 신호 간섭에 의한 성능 저하를 시키지 않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As an example of a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505456 is a power supply device that charges a battery of a smart device. In order to supply power in a contactless manner, an NFC antenna and a WPT antenna structure are used to operate in a dual mode. It relates to a structure that does not degrade performance due to interference or signal interference.

그러나 이러한 전원공급장치를 가습기에 적용하는 경우, 가습기는 설계된 일정한 부하만을 사용하며, 가변 부하에서는 설계된 용량 대비 저부하 영역에서 효율이 매우 낮아 전력 소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such a power supply is applied to a humidifier, the humidifier uses only a designed constant load, and in a variable load, the efficiency is very low in a low load area compared to the designed capacity, and power consumption increases.

특히 가습기는 무선전력전송모듈이 수신부와 통신 없이 오픈루프(Open loop)로 제어되므로 동작 조건에 따라 효율이 매우 낮아질 수 있어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In particular, in the humidifier, sinc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is controlled in an open loop without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unit, the efficiency may be very low depending on the operating conditions, and a method to improve this is required.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21353에는 무선전력전송에 따른 기본 토폴로지가 개시되어 있다.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풀브릿지와 정류기가 결합된 회로 구성과, 하프브리지와 정류기가 결합된 회로구성을 설명하고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1353 discloses a basic topology according to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 circuit configuration in which a full bridge and a rectifier are combin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a circuit configuration in which a half bridge and a rectifier are combined are described.

그러나, 이러한 전력공급회로는, 지정된 하나의 출력만을 가질 수 있고, 코일을 변경하지 않는 한, 입출력에 대한 전압비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uch a power supply circuit may have only one designated outpu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oltage ratio to input/output cannot be changed unless the coil is changed.

무선 전원공급회로를 구성한다 하더라도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없고, 각각의 기기에 적합한 전압비로 코일과 회로를 설계하여야 하므로, 무선전원공급회로의 공용화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Even if the wireless power supply circuit is configured, it cannot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and since the coil and circuit must be designed with a voltage ratio suitable for each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share the wireless power supply circuit.

본 발명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전압비에 따라 회로를 구성하여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무선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output by configuring a circuit according to a voltage ratio required to supply power in a non-contact manner.

본 발명은 무선전력공급장치가 구비된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전력공급회로를 공용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are a wireless power supply circuit for supplying power in a non-contact manner.

본 발명은 무선전력공급장치의 공용화를 통해 저비용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무선전력회로를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wireless power circuit in various devices at low cost through common use of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전력송신부; 비접촉방식으로 상기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소정크기의 출력전압을 연결된 부하로 공급하는 무선전력수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상기 무선전력신호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정류하는 메인전력부; 및 상기 메인전력부의 전압을 증폭하는 확장전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상기 확장전력부를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레벨로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In a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comprising a wireless power device compris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signal in a non-contact method and supplying an output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to a connected load, wherei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comprises: A main power unit rectifying the operating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ignal; And an extended power unit that amplifies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unit, wherei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outputs a voltage at one or more levels by adding or removing the extended power unit.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포함된 상기 확장전력부의 수에 따라 출력전압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put voltage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extended power units included i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출력가능한 최대전압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최대전압의 범위 내에서 복수의 레벨로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 maximum voltage that can be output or outputs a voltage at a plurality of levels within a range of the maximum voltage.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전압증폭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voltage amplification circuit.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와, 상기 메인전력부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로 구성된 기본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sic circuit compose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including the main power unit.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와, 상기 메인전력부 및 상기 확장전력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로 구성된 기본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sic circuit consisting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ain power unit and the extended powe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공급장치가 구비된 가습청정장치는, 수조가 수용되는 베이스바디; 상기 수조와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베이스바디로부터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비접촉방식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및 상기 베이스바디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클린모듈; 상기 에어클린모듈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에 수용되는 물을 통해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워시모듈;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에어클린모듈 및 상기 에어워시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의 거치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상기 베이스바디에 형성되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전력송신부; 및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의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전력수신부를 포함하여,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레벨의 전압을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body in which a water tank is accommodated; A top cover assembly detachably mounted from the water tank;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And an air clean module provided in the base body to purify the inhaled air. An air wash module positioned above the air clean module to discharge humidified air through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air clean module and the air wash module according to a set mode, and controls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to operate according to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and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med on the base body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output one or more voltages to the top cover assembly.

본 발명의 무선전력공급장치 및 무선전력공급장치가 구비된 가습청정장치는,A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and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입출력전압에 따라 코일을 변경하지 않고도 입출력전압비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put/output voltage ratio can be changed without changing the coil according to the input/output voltage.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회로를 공용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hare a circu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기기의 특성에 따라 입출력전압비를 변경하여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기기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monly used for various devices by changing the input/output voltage ratio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and installing it.

본 발명은, 분리가능하게 비접촉식으로 장착되는 에셈블리 간의 무선전력전송을 통한 전원공급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hroug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etween assemblies that are detachably mounted in a non-contact manner.

본 발명은, 비접촉식의 전원공급을 통해 물을 사용하는 기기의 감전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전기사고의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tability by removing the risk of electric shock from a device using water through a non-contact power supply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lectric accidents.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에서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전력공급 및 통신을 위한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공급장치의 무선전력전송장치의 회로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공급장치의 메인회로가 도시된 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무선전력공급장치의 확장회로가 도시된 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공급장치를 통한 전력공급에 따른 전류의 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무선전력공급장치를 통한 전력공급에 따른 전압의 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ication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wash module shown in FIG. 2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4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for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the main circuit of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pansion circuit of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of FIG. 8.
11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current according to power supply through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voltage according to power supply through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 및 각 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nd ea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processors,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devic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cover assembly separated from the air wash modul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에어워시모듈(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ir clean module 100 and an air wash module 200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The air clean module 100 filters after inhaling external air, and provides filtered air to the air wash module 200. The air wash module 200 receives the filtered air and performs humidification to provide moisture, and discharges the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이 저장되는 수조(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가능하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에어클린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water tank 300 in which water is stored. The water tank 300 is detachable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을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에어워시모듈(200)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에어클린모듈(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The user may separate the air wash module 200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clean the separated air wash module 200. The user may clean the insid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from which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is opened to the user.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필터어셈블리(10)를 포함하고, 베이스바디(110)에서 필터어셈블리(10)를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The air clean module 100 may include a filter assembly 10 and may be cleaned after separating the filter assembly 10 from the base body 110.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수조(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The user may supply water to the air wash module 200. The air wash module 20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assage 109 through which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tank 300 from the outside.

상기 급수유로(109)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assage 107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tank at any time. For exampl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in operation,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assage. For exampl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air clean module 100,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assage. For exampl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assage.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내부의 연결유로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에어워시모듈(200)의 유로와 에어클린모듈(100)의 유로가 연결유로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re connected through an internal connection channel. Since the air wash module 200 is detachable, the connection flow path is distributed and disposed in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the flow path of the air wash module 200 and the flow path of the air clean module 1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The air clean module 100 includes a base body 110, a filter assembly 10 disposed on the base body 110 and filtering air, and a filter assembly 10 disposed on the base body 110, and flowing air. It includes a blowing unit (not shown).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수조(300)와, 상기 수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유닛(400)과,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미도시)와, 상기 수조(30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stores water for humidification, a water tank 300 detachably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disposed in the water tank 300, an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300 A watering unit 400 that sprays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a humidification medium (not shown) that is wetted by water sprayed from the watering unit 400 and provides moisture to the flowing air , A visual body 210 that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300 and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e inside, and a discharge passage 107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water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It includes a top cover assembly 230 in which the supply water supply passage 109 is formed.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미도시), 가습유로(미도시),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not shown), a humidification passage (not shown), a discharge passage 107 and a water supply passage 109.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클린연결유로(미도시) 및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는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연결된다. The clean connection channel (not shown) of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channel of the air wash module 200 are connected only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가습유로 및 토출유로(107)를 거쳐 실내로 토출된다. The filtered air suppli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of the air wash module 200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humidification passage and the discharge passage 107.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상기 어퍼바디(120)가 적층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조립된다. The base body 110 has an outer shape, a lower body 130 having a suction port (not shown) formed on a lower side thereof, and an upper body 120 that forms an outer shap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30. Include. The upper body 120 is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30, and the upper body 120 and the lower body 130 are assembled.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Air flows into the base body 110.

상기 로어바디(130)에는 공기를 흡입하고, 여과하며, 송풍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고, 그에 따른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In the lower body 130, a flow path for sucking, filtering, and blowing air is formed, and structures according to the flow path are formed.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여과된 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조물들 및 에어워시모듈(200)을 거치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Structures for guiding the filtered air to the air wash module 200 and structures for mounting the air wash module 200 are disposed on the upper body 120.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The filter assembly 10 is detachably assembled from the base body 110. The filter assembly 10 provides a filtering flow path and filters outside air.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The filter assembly 10 has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The filter assembly 10 is disposed to cros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against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assembly 10 filters air flowing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여과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10 is disposed horizontally and forms a filtration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assembly 10 may sl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filter assembly 10 includes a filter (not shown) for filtering air.

상기 베이스바디(110)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미도시)이 포함된다. The base body 110 includes a blowing unit (not shown) that flows ai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하측에 배치된다. The blowing unit is disposed above the filter assembly 10 and disposed below the upper body 120.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The upper body 12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base body 110, and the water tank 300 is inserted inside.

상기 어퍼바디(120)는 연결유로 및 수조삽입공간을 분리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수조(300)의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어퍼이너바디를 통해 구획되어 연결유로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upper body 120 separates and arranges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water tank insertion spa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0 from flowing into the connection passage. In particular, since the connecting passage is partitioned through the upper inner body and is disposed outside the space where water is sto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connecting passage.

어퍼바디(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The outer visual body 214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120.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에어워시모듈(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a configuration of the visual body 210, but is fixed to the upper body 120 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visual body 214 may be fixed to the air wash module 20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a removable configuration.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visual body 214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rough the inside. The outer visual body 214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또는 에어워시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A display module 160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to a user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In this embodiment, a display module 160 is installed on the base body 110 to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to the user.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내측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평면에서 볼때, 도넛형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으로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A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visual body 214. The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visual body 214.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display module 160 has a donut shape. The water tank 300 is inserted into the display module 16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베이스커넥터(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60 is supported on the outer visual body 214.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base connector 26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is formed in a ring shap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reflect light or is coated with a material that can reflect light.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모듈(160)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Therefore, when water condensation on the visual body 210, water condensed on the visual body 210 may be projected or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When the water condensed on the visual body 210 flows down, the same effect appears in the display module 160 as well.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투영된 물방울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감성적 효과뿐만 아니라 가습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능적 효과도 있다. This effect gives a visual stimulus to the user, and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humidification is being performed. The image of water droplets projected on the display module 160 has not only an emotional effect of providing a refreshing feeling to the user, but also a functional effect of knowing the humidification state.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상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display module 160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user. So, the inside is high and the outside is formed low.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provides humidification for filtered air.

상기 에어워시모듈(2000은 수조(300)의 물을 분사하고, 이를 순환시킨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을 작은 크기의 액적으로 변환시키고, 비산된 액적을 통해 여과공기를 다시 한번 씻어낸다. 비산된 물방을 통해 여과공기를 워싱(washing)할 때, 가습 및 여과가 다시 한번 이루어진다. The air wash module 2000 injects water from the water tank 300 and circulates it. The air wash module 200 converts water into small droplets, and rinses the filtered air again through the scattered droplets. When washing the filtered air through the scattered water chamber, humidification and filtration are performed once again.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미도시), 가습유로(미도시),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를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not shown), a humidification passage (not shown), a discharge passage 107 and a water supply passage 109.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수조(300), 워터링유닛(400), 가습매체(미도시), 비주얼바디(210),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핸들(180)을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water tank 300, a watering unit 400, a humidifying medium (not shown), a visual body 210, a top cover assembly 230, and a handle 180.

상기 핸들(180)은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회전되며,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납된다. 상기 핸들(180)을 통해 에어워시모듈(200)만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The handle 180 is coupled to the visual body 210, rotates in the visual body 210, and is accommodated in the visual body 210. Only the air wash module 200 can be easily lifted through the handle 180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가습연결유로는 수조(3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는 비주얼바디(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고,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is disposed outside the water tank 300 and may guide air into the water tank 300.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is dispos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and may guide air into the visual body 210.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is disposed outside at least one of the water tank 300 or the visual body 210 and may gu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300 or the visual body 210.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ssage 10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The discharge passage 107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의 내측 중앙에 급수유로(109)가 각각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discharge passage 107 is form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and a water supply passage 109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In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ower is connected to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receives power through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Since the air wash module 200 is a detachable structure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wer supply structure.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어퍼바디(120)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베이스커넥터(260)가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커넥터에는 내부 무선전력송신부(410)가 설치된다. Since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re detachably assembled through the upper body 120, the upper body 120 has a base that provides power to the air wash module 200 The connector 260 is disposed. An intern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is installed in the base connector.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전원을 필요로하는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상기 베이스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of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n operation unit and a display that require power. A top connector 27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se connector 260 is disposed on the air wash module 200.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on the top cover assembly 23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또는 수조(300)의 내측면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op cover assembly 230 can be separated,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300 can be easily cleaned.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내측에 급수유로(109)가 형성되고, 비주얼바디(210)와의 사이에 토출유로(107)를 형성시킨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베이스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has a water supply passage 109 formed therein, and a discharge passage 107 is formed between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detach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cludes a top connector 2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nector 260.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탑커넥터(270)가 베이스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베이스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the top connector 270 is mounted above the base connector 260. The top cover assembly 230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base connector 260 through the top connector 270.

탑커넥터(270)에는 내부에 무선전력수신부(420)가 설치된다. The top connector 270 is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therein.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 거치 시, 베이스커넥터에 대응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무선전력수신부로 무선전력신호가 전송되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된다. As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base connector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a wireless power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o supply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상기 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회전된다. The water tank 30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body 120. The watering unit 400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300 and rotates within the water tank 300.

상기 수조(3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워시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는 수조바디연장부(380)를 포함한다. The water tank 300 is formed by extending upward from the water tank body 320, an air wash inlet 31 form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body 320, and the water tank body 320, and the It includes a water tank body extension 380 coupled to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tank body 3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body 3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매체(미도시)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과정을 시각화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에어워시모듈(200) 내부에 레인뷰를 구현하는 기능이 있다.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supplying water to a humidifying medium (not shown).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visualizing the humidification process.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implementing a rain view inside the air wash module 200.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워터링하우징(미도시)을 회전시켜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The watering unit 400 rotates a watering housing (not shown) to suck water inside the tank, pumps the sucked water upward, and sprays the pumped water radially outward.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가습매체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여과공기를 가습하는데 이용된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레인뷰를 구현한 후,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가습매체를 적시도록 구현할 수 있다. Water sprayed toward the visual body 210 may implement a rain view. Water sprayed toward the humidification medium is used to humidify the filtered air. After implementing the rain view by spraying water toward the visual body 210, the water flowing from the visual body 210 may be implemented to wet the humidification medium.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0)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The visual body 210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300 and is located above the water tank 300. At least a part of the visual body 21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rough.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어퍼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A display module 16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coupled to either the visual body 210 or the upper body 120.

상기 수조(300)는 공기가 소통되는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의 출구이고, 가습유로(106)의 입구이다. The water tank 300 has an air wash inlet 31 through which air is communicated. The air wash inlet 31 is located between the connection passage 103 and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The air wash inlet 31 is an outlet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and an inlet of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filtered air suppli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flows into the air wash module 200 through the air wash inlet 31.

상기 가습매체에서 자연증발된 물에 의해 여과공기가 가습된다. 상기 자연증발은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증발되는 것을 말한다. 공기와의 접촉이 증가할수록,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수록, 공기 중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자연증발이 촉진된다. 상기 자연증발을 자연기화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Filtered air is humidified by water naturally evaporated from the humidification medium. The spontaneous evaporation refers to evaporation of water without applying additional heat. As the contact with air increases, the flow rate of air increases, and the pressure in the air decreases, spontaneous evaporation is promoted. The natural evaporation is also referred to as natural vaporization.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는 물에 적셔지지만, 수조(300)에 잠기지는 않는다.The humidification medium 50 promotes the natural evaporation of water.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ication medium is wetted in water, but not immersed in the water tank 3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300)는 비주얼바디(21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사출을 통해 상기 수조(300)의 일부 구성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주얼바디(210)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parts.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30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visual body 210. For example, a part of the water tank 3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double injection. In this case, the visual body 210 is not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가 수조(300)와 일체화되는 경우, 수조(300)의 개구된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described as being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but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visual body 210 is integrated with the water tank 300, the opening of the water tank 300 I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유로(107)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급수를 위한 급수유로(109)도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not only provides a discharge passage 107 but also provides a water supply passage 109 for water supp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55)의 상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배치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 상부에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비주얼바디(210)의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의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과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각각 제작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in which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is disposed is disposed, and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The top cover assembly 230 may be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are each manufactured.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에는 하중을 가하지 않는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and supported by the visual body 210, and does not apply a load to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토출유로(107)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토출구(231)와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급수구(233)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토출구(231) 및 그릴급수구(233)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릴급수구(233)는 탑커버그릴(232)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그릴토출구(231)는 상기 그릴급수구(233)의 외측에 배치된다. The top cover bug reel 232 includes a grill discharge port 231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discharge passage 107 and a grill water supply port 233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The grill discharge port 231 and the grill water supply port 233 are formed to b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rill water supply port 233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top cover bug reel 232, and the grill discharge port 231 is disposed outside the grill water supply port 233.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거치된다. The top cover bug reel 232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bug reel 232 is mounted inside the visual body 210.

상기 조작모듈(240)은 탑커버그릴(232)에 결합된다. The operation module 240 is coupled to the top cover bug reel 232.

상기 조작모듈(240)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은 사용자에게 수위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탑커넥터(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탑커넥터(27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다. The manipulation module 240 may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signal. The operation module delivers water level information to the user. A water supply passage 109 is disposed in the operation module 240. The operation module 2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p connector 27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top connector 270.

상기 조작모듈(240, operation module)은 토출그릴과 결합되고 내측에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조작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조작공간에 입력부(245)와 수위표시부(247)가 구비되고, 입력부(245) 및 수위표시부(247)를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246)(470)가 포함된다. The operation module 24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grill and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245 and a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in an oper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operation housing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formed therein, Input/output control units 246 and 470 that control the input unit 245 and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are included.

상기 조작하우징(250)은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을 포함한다. The operating housing 250 includes an upper operating housing 242 and a lower operating housing 244.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 사이에 상기 조작공간(243)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공간(243)을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실링된다. 상기 조작공간(243)에 상기 입력부(245), 수위표시부(247) 및 입출력제어부(246)가 배치된다. The operation space 243 is formed between the upper operation housing 242 and the lower operation housing 244, and the operation space 243 is sealed so that water does not penetrate. The input unit 245,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and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246 are disposed in the operation space 243.

본 실시예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급수유로(109) 상 또는 수조(300)에 상기 정수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는 센물을 연수로 정수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가 배치될 경우, 조작하우징에 배치되고, 중력에 의해 연수화된 후, 수조(300)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filt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or in the water tank 300. The water filter may purify hard water with soft water. When the water filter is disposed, it is preferably disposed in an operation housing, softened by gravity, and then moved to the water tank 300.

상기 입력부(245)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일 수 있다. 입력부(245)는 정압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입력부(245)는 버튼일 수 있다. The input unit 245 may be a touch panel capable of sensing a user's touch manipulation. The input unit 245 may receive a user's touch manipulation in a positive pressure type or a capacitive typ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ut unit 245 may be a button.

입력부(245)는 상부조작하우징의 저면에 배치된다. 상기 입력부(245)는 발광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발광부재에서 빛이 발생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45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operating housing. In the input unit 245, a light emitting member (not shown) may be disposed, and light may be selectively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상기 탑커넥터(270)는 조작모듈(240)과 조립되어 탑커버어셈블리(230)를 구성한다.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고, 베이스바디(110)로부터 전원 또는 전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top connector 270 is assembled with the operation module 240 to constitute a top cover assembly 230. Since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can be separated, the top cover assembly 230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and a power or electrical signal from the base body 110 Can send and receive.

상기 탑커넥터(270)가 베이스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될 때, 베이스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탑커넥터(270)가 베이스커넥터(260)에서 분리될 때, 베이스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When the top connector 27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connector 26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nector 260, and when the top connector 270 is separated from the base connector 260, the base connector 260 ) And electrically disconnected.

상기 탑커넥터(270)는 별도의 구조물이 없이,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될 때,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가 위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top connector 270 may be mounted above the base connector 260 without a separate structure. For example,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는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탑커넥터(270)가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상측에 상기 탑커넥터(270)가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 하측에 상기 베이스커넥터(260)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op connector 270 is located inside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above the visual body 210, and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below the visual body 210. The base connector 260 is disposed.

즉,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는 비주얼바디(210)를 경계로 분리된다. 그래서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는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해야 한다.That is,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are separated by the visual body 210 as a boundary. Therefore,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must transmit power and signals through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는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직접 접촉을 통해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transmit signal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Unlike this embodiment, a commun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direct contact.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전기신호를 비접촉 방식으로 통신한다.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 간의 무선통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communicate electric signals in a non-contact manner.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근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근거리통신에 적합한 IR, Zigbee, NFC, 블루투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are disposed in a short distance, IR, Zigbee, NFC, Bluetooth, etc. suitab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IR 신호를 통해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가 통신한다. 상기 IR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커넥터거치부 IR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거치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 전체가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거치부만을 위해 별도의 재질이 배치될 필요는 없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communicate through an IR signal. In order to transmit the IR signal, it must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assing the IR signal through the connector holder.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cradle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ince the entire visual body 2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a separate material need not be disposed only for the connector mounting portion.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전기신호를 이용한 통신뿐 아니라 비주얼바디로부터 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베이스커넥터(260)는 무선전력송신부(277)(410)를 포함하고, 탑커넥터(270)는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포함하여, 비접촉방식으로 비주얼바디로부터 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supply power from the visual body to the cover assembly as well as communication using electrical signals. The base connector 260 includes wireless power transmitters 277 and 410, and the top connector 270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iver 420 to supply power from the visual body to the cove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면, 무선전력송신부(277)와 무선전력수신부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며, 비주얼바디의 전원부(185)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전력수신부의 탑커버어셈블리로 공급된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77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ource 185 of the visual body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of the power receiver.

무선전력송신부(410)와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전력송신부와 무선전력수신부는 일정거리 이하로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re installed to be close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면, 베이스바디로부터 전원부(185)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탑커버어셈블리의 조작모듈로 전원이 공급되어,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또는 키입력을 통한 신호입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부를 통한 신호입력에 대응하여 발광모듈이 동작하여 소정의 빛이 발광될 수 있다. 발광모듈이 발광하여 빛을 조사함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조작 또는 키입력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모듈의 조명이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 등에 의한 키입력에 대응하는 조명이 점등될 수 있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se body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85,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module of the top cover assembly, and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s touch input or key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is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operate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o emit light. As the light emitting module emits light and irradiates ligh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state of touch operation or key input. In addition, the lighting of the manipulation module may be operated, so that a lighting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s touch or the like may be turned on.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되면, 무선전력송신부와 무선전력수신부간의 전원공급은 차단된다. 탑커버어셈블리가 일정거리 미만으로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이 유지될 수 있으나, 상호 전력공급이 불가능한 거리로 분리되는 경우 전원공급은 즉시 중단된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the power supply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cut off. Power supply may be maintained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by less than a certain distance, but power supply is immediately stopped when separated by a distance where mutual power supply is impossible.

비접촉방식의 무선전력전송(WPT)은 유도기전력을 이용하는 전원공급을 설명하나, 이는 일예일뿐,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전력송신부와 무선전력수신부는 각각 베이스커넥터와 탑커넥터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The non-contac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PT) describes power supply us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implemented in other way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re provided inside the base connector and the top connector, respectively, and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하측에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형성된 조작급수구(241)를 통해 물을 급수할 수 있다. Meanwhile, a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is disposed under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e user may supply water through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form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는 경우, 탑커넥터가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일측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가습매체하우징는 홈의 형태가 탑커넥터의 형상과 유사하도록 구성된다. When the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a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so that the top connector is easily mounted.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is constructed so that the shape of the groove is similar to that of the top connector.

사용자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상측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조작급수구(241)로 낙하된 물은 급수캡(1430)의 표면을 따라 흘러 급수레저버(1441)에 일시 저장된 후, 급수구(1445)를 통해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40) 하부로 유동된다. The user may supply water from the top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e water dropped into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ap 1430 and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water supply leisure 1441, and then flow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4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445. .

상기 급수구(1445)를 통과한 물은 비주얼바디(210)의 내부로 낙하된 후, 워터링하우징 상부로 낙하된다.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445 falls into the inside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n falls onto the watering housing.

제어부는 수위센서(135)에서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고, 수위표시부에 수조(300)의 수위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부 급수 시, 수조(300) 내부의 수위를 볼 수 없지만, 조작급수구(241) 주변에 배치된 수위표시부를 통해 상승된 수위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35 and display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300 on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The user cannot see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300 during the upper water supply, but can immediately check the elevated water level through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disposed around the operation water supply port 241.

도 4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에서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4 is a diagram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a top cover assembly in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의 베이스커넥터(260)에는 무선전력송신부가 구비되어, 비접속 방식으로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탑커버어셈블리의 탑커넥터에는 무선전력수신부가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is provided in the base connector 260 of the base body to supply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non-connecting manner. The top connector of the top cover assembly is equipped with a wireless power receiver.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의 무선전력송신부와, 탑커버어셈블리의 무선전력수신부 간의 자기유도방식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에 전원이 공급된다. As shown in (a) of FIG. 4,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 magnetic induction method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base body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of the top cover assembly.

베이스바디의 무선전력송신부와, 탑커버어셈블리의 무선전력수신부가 일정거리 근접하여 배치되면, 스위칭제어를 통해 무선전력송신부의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전류흐름에 따른 자기장이 형성된다.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base body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of the top cover assembly are disposed close to a predetermined distance,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rough switching control, thereby forming a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

무선전력수신부의 코일이 무선전력송신부의 자기장의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무선전력수신부의 코일에 전류가 유도된다. 그에 따라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오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러한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나 일 예 일뿐, 자기공진(MR) 방식, 그리고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located in the range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current is induced in the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ly,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Thi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is described by using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s an example, but only an example, a magnetic resonance (MR) method, a far-field microwave method, and the like may be used.

무선전력전송을 통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조작모듈(240), 제 2 디스플레이로 전원이 공급된다. 조작모듈(240)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터치 또는 키입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부에 구비되어 조명이 점등/발광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입력부의 조작에 대응하여 조명의 밝기가 변경되거나 소정의 효과음이 출력될 수 있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ower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module 240 and the second display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as shown in (b) of FIG. 4. The manipulation module 240 enables touch or key input as power is supplied. In addition, it is provided in the input unit so that the lighting can be turned on/emitting. In some cases,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may be changed or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may be output in response to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도 5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청정장치는 입력부(245)를 포함하는 조작모듈(240), 디스플레이모듈이 포함된 디스플레이모듈(160), 복수의 센서, 전기집진부(500), 송풍모터(22), 수차모터(42), 전원부(185) 통신부(181), 그리고 동작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n operation module 240 including an input unit 245, a display module 160 including a display module, a plurality of sensors, an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500, and a blower motor 22. ), aberration motor 42, a power supply unit 185, a communication unit 181, and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가습청정장치는 가스센서(131), 먼지센서(133), 온도센서(124), 습도센서(134), 수위센서(135), 필터센서(127)를 포함한다. 그외 다양한 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나 그외의 센서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gas sensor 131, a dust sensor 133, a temperature sensor 124, a humidity sensor 134, a water level sensor 135, and a filter sensor 127. Other various sensors may be installed, but description of other sensors will be omitted.

먼지센서(13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감지한다. 먼지센서(133)는 공기중 먼지 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90)로 입력한다. 먼지센서(133)는 먼지입자 크기별로 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PM 1.0, PM 2.5, 및 PM 10.0인 먼지의 농도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sensor 133 detects dust from the sucked air. The dust sensor 133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and inputs it to the control unit 190. The dust sensor 133 may detect the concentration of dus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ust particles, and in this embodiment, the concentration of the dust, which is PM 1.0, PM 2.5, and PM 10.0, may be classified and sensed.

가스센서(131)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냄새의 농도를 감지한다. 가스센서(131)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냄새물질의 농도를 감지하고, 음식물 냄새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가스 농도를 감지한다. The gas sensor 131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odor from the inhaled air. The gas sensor 131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nd senses the concentration of various types of gases as well as the smell of food.

온도센서(124)는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습도센서(134)는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이때, 흡인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는 실내공기의 온도와 습도이므로 감지된 온도와 습도를 바탕으로 제어부(190)는 동작을 변경하거나 가습모듈을 제어하여 가습 정도를 조절한다. The temperature sensor 124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inhaled air, and the humidity sensor 134 senses the humidity of the inhaled air. At this time, sinc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ir sucked a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door air, the controller 190 changes the operation or controls the humidification module to adjust the degree of humidification based on the sensed temperature and humidity.

수위센서(135)는 수조(300) 내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센서는 수조의 물의 높이를 통해 수조내에 물이 만수상태인지 또는 물이 없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The water level sensor 135 detects the level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300. The water level sensor detects whether the water in the tank is full or there is no water through the height of the water in the tank.

필터센서(127)는 필터어셈블리(10)가 바디로부터 오픈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고, 또한, 필터어셈블리(10) 내에 설치되는 필터(14)의 탈거 여부를 감지한다. 필터센서(127)는 필터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어느 하나의 필터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필터없음을 감지한다. The filter sensor 127 can detect when the filter assembly 10 is opened from the body, and also detects whether the filter 14 installed in the filter assembly 10 is removed. The filter sensor 127 detects whether a filter is normally inserted, and detects no filter when any one filter is not inserted.

입력부(245)는 조작모듈(240)에 포함되며, 복수의 키 또는 터치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245)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에 대한 명령 및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The input unit 245 is included in the manipulation module 240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or touch means to receive a command from a user. The input unit 245 is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to set a command and an operation mode for the operation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이때, 조작모듈(240)은 탑커버어셈블리(230)에 구비됨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230)가 오픈되어 베이스바디(110)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바디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동작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as the operation module 240 is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opened and removed from the base body 110, it does not operate as power supply from the body is cut off. .

탑커버어셈블리(230)와 바디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바디에 거치되는 경우 접촉단자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조작모듈(240)로 전원이 공급되고, 입력부(245)의 키입력에 따른 신호가 제어부(190)로 입력된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body are connected through a contact terminal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the body, power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module 240 and a signal according to a key input from the input unit 245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90.

제어부(190)는 접촉단자 또는 구비되는 커버감지부의 센서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230)의 탈거 여부를 감지하여, 커버오픈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90 may detect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removed through a contact terminal or a sensor of a cover sensing unit provided to determine the cover open state.

디스플레이모듈(160)은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문자, 숫자, 아이콘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The display module 160 displays the operating state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The display module 160 outputs an operating state in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icons, and images.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조작모듈(240)의 키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 및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냄새 또는 먼지의 농도를 표시하고, 측정되는 온도와 습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가습기능에 따른 습도 설정과, 네트워크 연결상태, 수조의 상태 등을 표시한다. The display module 160 may display information on an operation mode set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operation module 240 and the concentration of smell or dust detected through a sensor, and display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humidification. It displays humidity setting according to function, network connection status, and water tank status.

또한,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하나인 라이팅부(165)는 점등되어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또한 냄새 또는 먼지의 농도에 대응하여 상이한 색상으로 점등됨에 따라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165, which is one of the display modules 160, is turned on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and outputs information on the indoor environment as it is lit in different colors in response to the concentration of odor or dust. do.

송풍모터(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풍팬을 회전동작시켜,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에어클린모듈(100)을 통과하여 에어워시모듈(200)로 송풍한다. 송풍모터의 회전속도는 입력부의 바람세기 설정에 따라 변경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lower motor 22 rotates the blower fan to suck indoor air, and blows the sucked air through the air clean module 100 to the air wash module 200.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mot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ind speed setting of the input part.

수차모터(42)는 수조(300)에 수용됨 물을 흡입하여 분사되도록 한다. 수차모터(42)는 수조에 구비되는 수차(44)를 회전시켜 수조의 물을 흡입하여 분사되도록 한다. 수차모터(42)에 의해 물이 분사되면, 에어워시모듈(200)을 통과하는 공기가 가습되어 실내로 토출된다. The aberration motor 42 sucks and sprays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300. The water wheel motor 42 rotates the water wheel 44 provided in the water tank to suck and spray water from the water tank. When water is sprayed by the aberration motor 42,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wash module 200 is humidified and discharged into the room.

또한, 가습청정장치의 수조에는 수조(300)의 바닥부분에 설치되어 수조 및 수조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부(13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자외선부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램프로 구성되고, 소정 시간 온(ON) 상태를 유지한 후 일정시간 오프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때, 자외선부가 동작하는 시간은, 수조 내의 물을 살균하기 충분한 시간이다. In addition, the water tank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unit 136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300 to sterilize the water tank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The ultraviolet ray unit is composed of a lamp that generates ultraviolet rays, and is repeatedly turned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maintaining the ON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is time, the time during which the ultraviolet ray unit operates is a time sufficient to steriliz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통신부(181)는 사용자의 휴대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자의 휴대기기에 가습청정장치의 상태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81)는 사용자의 휴대기기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인가한다. 통신부(181)는 사용자의 핸드폰 또는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기기와 WLAN(Wireless LAN, Wi-Fi), 3G 또는 4G LTE 등과 같은 무선통신,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81)가 휴대기기와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모듈(160)에는 통신연결상태가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81 is connect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portable device and transmits the state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to the user's portable devic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81 receives the user's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s portable device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 unit 190. The communication unit 181 includes a mobile device such as a user's mobile phone or tablet,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LAN (Wireless LAN, Wi-Fi), 3G or 4G LT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an be connected wirelessly.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81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is displayed as an icon on the display module 160.

또한, 통신부(181)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뿐 아니라, 베이스바디와 탑커버어셈블리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 2 통신부 및 제 3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제 2 또는 제 3 통신부에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81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base body and the top cover assembly, as well a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are included in the second or third communication unit.

전기집진부(500)는 가습청정장치에 거치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대전시켜 집진한다.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500 is mounted in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to charge and collect du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전기집진부(500)는 복수의 필터(14)가 설치되는 필터어셈블리(10)에 설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부(500)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대전부와,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공기가 대전부를 통과한 후 집진부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 중의 먼지는 집진부에 포집된다. 대전부는 방전전극들과, 방전전극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향전극들을 포함하고, 먼지는 서로 마주보는 방전전극과 대향전극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다.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500 may be installed in the filter assembly 10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s 14 are installed.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500 includes a charging unit for forming an electric field and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dust particles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While air passes through the charging unit and then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dust in the air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The charging unit includes discharge electrodes and counter electrodes disposed parallel to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dust is charged by corona discharg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the counter electrodes facing each other.

전원부(185)는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고, 동작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경하여 각 부로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85)는 바디로부터 분리되는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85)는 비접촉 방식으로 탑커버어셈블리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베이스바디에 구비되는 무선전력송신부와,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무선전력수신부를 포함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85 rectifies and smoothes the supplied power, changes the voltage required for operation, and supplies the supplied power to each unit.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85 supplies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separated from the body. The power supply unit 185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provided in the base body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in order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제어부(190)는 입력부(245) 또는 통신부(181)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거나 종료하고,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제어부(19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starts or end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45 or the communication unit 181 and sets an operation mode. The control unit 190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processors, or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device.

제어부(190)는 동작모드에 따라 전기집진부(500), 송풍모터(22), 수차모터, 이온발생부(137) 및/또는 자외선부(136)를 제어하고, 라이팅부(165), 디스플레이모듈(160) 및/또는 통신부(181)를 통하여 사용자에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거나 알릴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500, the blowing motor 22, the aberration motor, the ion generating unit 137 and/or the ultraviolet unit 136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the writing unit 165, the display module Through 160 and/or the communication unit 181, it is possible to display or inform the user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제어부(190)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모드를 변경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센서의 데이터로부터 가습청정장치의 고장 또는 이상동작을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모듈(160) 또는 통신부(181)를 통해 에러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90 may change an operation mode or change a setting in response to data sens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nd also determine a failure or abnormal operation of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from the data of the sensor, and the display module 160 or the communication unit An error can be output through (181).

또한,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는지 여부를 입력되는 감지신호로 판단하여 무선전력송신부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as an input detection signal, and controls power to be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입력부(245)의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그에 따라 동작모드를 설정하여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a signal from the input unit 245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sets an operation mode accordingly to control the operation.

또한,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와 비주얼바디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에러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0 may determine whether a foreign material exists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visual body and output an error.

또한,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또는 무선전력수신부의 전류가 소정 전류 미만이면 이물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the curren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current, the control unit 190 may determine that a foreign substance is located and output an error.

도 6 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전력공급 및 통신을 위한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for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85)는 베이스바디(110)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무선전력송신부(410)와,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포함하여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230)로 전원을 공급한다. As shown in FIG. 6, the power supply unit 185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base body 110, and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Supply power to 230.

탑커버어셈블리(230)에는 입력부(245)를 포함하는 조작모듈(240)과, 수위표시영역에 배치되는 제 2 디스플레이부(257)를 포함한다.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수위표시영역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을 명시한다. 조작모듈(240)과 제 2 디스플레이부(257)는 무선전력수신부(420)에 의해 수신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cludes an operation module 240 including an input unit 245 and a second display unit 257 disposed in the water level display area. It is specified that the second display unit uses the same symbols as the water level display area. The operation module 24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57 operate by receiving power receiv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제어부(190)는 커버감지부(440)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무선전력송신부(41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over detection unit 44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accordingly.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분리되는 경우, 전원공급이 불가능하므로, 무선전력송신부를 차단하여 불필요하게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분리되는 경우, 무선전력송신부(410)를 대기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separated, the control unit 190 cannot supply power, so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is blocked so that power is not unnecessarily applied. If necessary,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separated, the control unit 190 may se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to the standby mode.

제어부(190)는 입력부(245)를 통해 대기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전원부(185)를 제어하여 대기모드로 동작하고, 대기모드상태에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탑커버어셈블리(230)로 대기모드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즉 대기모드상태에서 탑커버어셈블리(2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입력부(245)가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동작설정 또는 대기모드 해제에 따른 입력을 받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대기모드 시, 전압이 탑커버어셈블리(230)로 인가되도록 전원부(185)를 제어한다.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rough the input unit 245, the control unit 190 operates in the standby mode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185, and enters the standby mode with the top cover assembly 230 to receive a signal in the standby mode. Make sure that the corresponding voltage is applied. That is,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cut off in the standby mode, the input unit 245 does not operate, and thus an input according to operation setting or standby mode cancellation cannot be received. Accordingly, in the standby mode,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185 so that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230)에 구비되는 입력부(245)와 제 2 디스플레이부(257)에 전압이 인가되고,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246)(470)가 동작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receives power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Accordingly, voltage is applied to the input unit 245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57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input/output control units 246 and 470 for controlling input/output are operated.

입출력제어부(246)(470)는 입력부(245)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257)의 출력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제 3 통신부(480)를 통해 베이스바디로 전송한다. 제 2 디스플레이부(257)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모듈(160) 중, 탑커버어셈블리(230)에 구비되는 것으로,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위표시부는 제 2 디스플레이부(257)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put/output control units 246 and 470 control the output of the second display unit 257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45 and transmit data to the base body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80. The second display unit 257 is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mong the display modules 160 described above, and a separate display may be added. For example,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257.

제 2 통신부(43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입력하고, 제어부(190)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30 inputs received data to the control unit 190, and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an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data.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81) 외에도, 베이스바디와 탑커버어셈블리(23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베이스바디에 제 2 통신부(430), 탑커버어셈블리에 제 3 통신부(480)가 구비된다. 제 2 통신부(430)와 제 3 통신부(480)는,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WIFI 등의 다른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181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base body and the top cover assembly 23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430 on the base body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480 on the top cover assembly are provided. d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30 an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80 are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wireless devices such as WIFI. Communication method can be applied.

제어부(190)는 동작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410)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230)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대기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되어,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230)로 인가되는 전압이 대기모드에 따른 저전압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대기모드에 따른 전압은 입력부(245)의 키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외의 동작에 대하여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being se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a voltage a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For example, as the standby mode is set,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voltage a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to a low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is used to receive a key input from the input unit 245, and power supply is cut off for other operations.

입력부(245)를 통해 대기모드 해제가 선택되면, 입출력제어부(246)(470)는 대기모드 해제에 따른 데이터를 제 3 통신부(480)를 통해 전송하고, 제어부(190)는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여 에어클린모듈과 에어워시모듈이 각각 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standby mode cancellatio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45, the input/output control units 246 and 470 transmit data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cancellation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80, and the control unit 190 cancels the standby mode. By supplying power to operate in the normal mode, the air clean module and the air wash module are controll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ettings.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410)로부터 일반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일반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모든 동작이 정상 동작하게 된다. The controller 190 allows a general voltage to be a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As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applied with a general voltage, all operations are performed normally.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무선전력송신부(410)와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포함한다. 무선전력송신부와 무선전력수신부는 비접촉식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410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supply power in a non-contact manner.

무선전력송신부(410)는 가습청정장치의 베이스바디(11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may be provided in the base body 110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무선전력수신부(420)는 가습청정장치의 탑커버어셈블리(23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may be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되면,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비접촉 방식을 이용하여 베이스바디(110)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230)로 전원을 공급한다.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로부터 분리되면, 전원공급은 차단된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supplies power from the base body 110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using a non-contact method.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210, the power supply is cut off.

그에 따라 제어부(190)는 커버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는지, 또는 분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무선전력공급장치 중, 무선전력송신부(410)를 통한 전원공급을 온오프 제어한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the cover detection signal, determines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or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210, and transmit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among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s. On-off control of power supply through.

무선전력송신부(410)는 스위칭부(415), 전력송신부(416), 그리고 전력전송제어부(411)를 포함한다. 무선전력송신부(410)는 레귤레이터(미도시), 전류감지부(미도시), 전압감지부(미도시) 또는 입력되는 전원, 즉 일정크기 이상 또는 이하의 전류를 필터링하고 돌입전류를 차단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includes a switching unit 415, a power transmission unit 416, and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is configured to filter a regulator (not shown), a current detection unit (not shown), a voltage detection unit (not shown), or an input power source, that is,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nd to block an inrush current. It may further include.

레귤레이터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무선전력송신부(410)에서 무선전력수신부(420)로 전송할 전압을 생성한다. 레귤레이터는 설정에 따라 전압을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The regulator generates a voltage to be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ler. The regulator can transmit by changing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setting.

전압감지부는 레귤레이터와 스위칭부(415) 사이에 구비되어, 레귤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전압감지부는 복수의 저항과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저항의 크기에 따른 분압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압감지부는, 레귤레이터로부터 출력되어 전력송신부(416)에 정상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voltage sens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regulator and the switching unit 415 to detect a voltage output from the regulator. The voltage sens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and capacitors, and may sense a divided voltag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sistor. In addition, the voltage sensing unit may detect whether a voltage is normally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by being output from the regulator.

전류감지부는 레귤레이터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감지한다. 전류감지부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전력전송제어부(411)로 감지신호를 입력한다. 전류감지부는 전압감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전류감지부는 구비되는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으로부터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urrent sensing unit senses the current output from the regulator. The current sensing unit detects the overcurrent and inputs a sensing signal to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The current sens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voltage sensing unit. The current sensing unit may sense a current from a voltage applied to a resistor provided.

스위칭부(415)는 전력전송제어부(411)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스위치가 온오프 동작함에 따라 전력송신부(416)로 무선전력신호를 인가한다. 스위칭부는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교류로 변환하여 코일에 인가하여 전력이 송신되도록 한다.The switching unit 415 applie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as a plurality of switches are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The switching unit converts the output voltage of the regulator into AC and applies it to the coil to transmit power.

전력송신부(416)는 코일을 포함한다. 전력송신부는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고, 전자기 유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includes a coil.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n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occurs.

전력송신부의 코일은 스위칭부 및 전력전송제어부가 구비되는 측의 배면, 전력수신부에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installed to face the power receiving unit at the rear of the side where the switch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are provided.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스위칭부로 스위칭제어신호를 인가한다. 그에 따라 스위칭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스위치가 동작하여 전력송신부가 일정크기의 신호가 인가된다.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정상모드와 대기모드에서 각각 상이한 형태의 스위칭제어신호(PWM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전송제어부(411)는 구간스위칭을 통해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전송제어부(411)는 듀티를 변경하여 전송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appl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Accordingly, a plurality of switches provided in the switching unit operate to apply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ize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may apply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control signals (PWM control signals) to the switching unit in the normal mode and the standby mod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may control the switching unit through section switching. Also,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may control transmission power by changing the duty.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신호의 구간을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동작구간에서 스위칭부가 동작하도록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전송제어부는 정상모드 설정 시, 제 1 주파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고, 대기모드 설정 시, 상기 제 1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간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정상모드와 대기모드에서 상이한 주파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고효율구간스위칭이란, LC공진에 의한 무효순환전류가 커서 대기모드에서의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구간별로 스위칭 구간과 정지구간을 구분하여 PWM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전력전송제어부는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간을 구분하여 동작구간에서 PWM제어가 수행되도록 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may divide a signal section into an operation section and a stop section, and generate a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switching unit operates in the operation sec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appl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a first frequency to the switching unit when setting the normal mode, and performs section switching at a frequency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when setting the standby mode. Can generate a switching control signal. High-efficiency section switching is to perform PWM control by dividing the switching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for each section to solve this problem because the reactive circulating current due to the LC resonance is large and the power consumed in the standby mode increases.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divides the sec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are different so that the PWM control is performed in the operation section.

그에 따라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일정크기의 전압으로, 스위칭부(415)에 의해 소정 공진주파수 무선전력신호가 송출되고, 무선전력수신부측에 유도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230)로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Accordingly, a predetermined resonant frequency wireless power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switching unit 415 with a predetermined voltage output from the regulator, and an induced current is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Power is supplied in a non-contact manner.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무선전력수신부(420), 입출력제어부(470), 입력부(245) 및 제 2 디스플레이부(257)를 포함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an input/output control unit 470, an input unit 245, and a second display unit 257.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전력수신부(421), 정류부, 소정 크기의 평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may include a power receiving unit 421, a rectifying unit, and a smoothing capacitor having a predetermined size.

또한,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수신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미도시)를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수신부는 설정전압 이상의 과전압 인가 시 회로를 보호하는 과전압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전압보호부는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수신부는 필요에 따라 제어신호에 따라 DC-DC컨버팅을 수행하여 지정된 크기의 전압을 갖는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스위칭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sensing unit (not shown) for sensing a received voltag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include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that protects the circuit when an overvoltage higher than the set voltage is applied.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may include a zener diod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regulator that performs DC-DC convers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s needed to output an operation power having a voltage of a specified size.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전력수신부(421)의 코일에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베이스바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receives power from the base body by an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coil of the power receiver 421.

수신된 전원은 정류부(422)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되어 전원을 필요로하는 부하 즉, 입력부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로 공급된다. The received power is rectified and smoothed through the rectifying unit 422 to be supplied to a load requiring power, that is, an input unit or a second display.

도 7 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공급장치의 무선전력전송장치의 회로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설치되는 기기에 따라, 또는 요구되는 전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may configure a circuit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n installed device or a required voltage.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무선전력송신부(410)와 무선전력수신부(420)로 구성되며, 출력전압에 따라 무선전력수신부(420)의 구성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s composed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420, and can output voltages of various sizes by mak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different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무선전력송신부(410)는 하프 브릿지 인버터(Half Bridge Inverter)로 구성된다. 또한,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전압 증폭회로로 구성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is composed of a half bridge inverter.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is composed of a voltage amplifier circuit.

무선전력송신부(4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활부(413), 스위칭부(415), 전력송신부(416)를 포함한다. 그 외 전압감지부, 전류감지부 등의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includes a smoothing unit 413, a switching unit 415,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416, as described above. Other configurations of the voltage sensing unit, the current sensing unit, etc. will be omitted.

무선전력송신부(410)는 하프 브릿지 회로(Half Bridge)로 구성된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나, 풀 브릿지 회로 또한 사용가능하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configured with a half bridge circuit, but a full bridge circuit may also be used.

평활부(413)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평활부(413)는 스위칭부(415)에 연결되어 직류전압을 인가한다. The smoothing part 413 includes a capacitor. The smoothing unit 413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415 to apply a DC voltage.

스위칭부(415)는 전력전송제어부(411)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전력송신부(416)로 소정 크기의 전력신호를 인가한다. The switching unit 415 operates on and off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from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to apply a power signal of a predetermined size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스위칭부(415)는 제 1 스위칭소자(S1)와 제 2 스위칭소자(S2)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스위칭소자는 각각 바이패스용 다이오드가 연결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415 includes a first switching element S1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S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devices may have a bypass diode connected.

제 1 및 제 2 스위칭소자(S1, S2)는 MOSFET이 사용되며, 그 외의 스위칭 소자 또한 사용가능하다. 전력전송제어부(411)는 50% 듀티로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위칭소자(S1, S2)는 50%의 고정 Duty로 상보적으로 동작한다.MOSFETs are used for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elements S1 and S2, and other switching elements may also be used.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may control the switching unit with a 50% duty.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devices S1 and S2 are complementarily operated at a fixed duty of 50%.

이때, 스위칭부(415)와 전력송신부(416)는 일정크기의 제 1 공진커패시터(Cr1)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제 1 공진커패시터와 전력송신부(416)는 LC 공진 회로를 형성한다. 제 1 공진커패시터는 수 나노패럿(nF)의 소용량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공진커패시터(Cr1)는 80 내지 100 nF의 범위내의 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공진커패시터는 100nF가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witching unit 415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are connected by a first resonant capacitor Cr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ccordingly,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and the power transmitter 416 form an LC resonant circuit. As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a small capacity capacitor of several nanofarads (nF) may be used. For example,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Cr1 may be used with a capacity in the range of 80 to 100 nF. Preferably, 100nF may be used as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전력전송제어부(411)는 LC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로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무선전력수신부의 출력전압을 Feedback 받아 스위칭제어신호를 조정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may control the switching unit at a frequency higher than the LC resonance frequency, and may adjust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by receiving feedback from the output voltag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요구되는 출력전압에 따라 메인전력부(426)와 확장전력부(427)를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may be configured by adding or removing the main power unit 426 and the extended power unit 427 according to the required output voltage.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전력수신부(421)와 메인전력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전력수신부(421), 메인전력부(426), 확장전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may include a power receiving unit 421 and a main power unit 426.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may include a power receiving unit 421, a main power unit 426, and an extended power unit.

무선전력수신부(420)는 메인전력부(426)에 연결되는 확장전력부를 복수로 포함할 수 있고, 추가 연결되는 확장전력부의 수에 따라 출력전압이 변경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ended power unit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unit 426, and the output volta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additionally connected extended power units.

무선전력수신부(420)는 확장전력부의 구성에 따라 출력가능한 전압의 크기가 증가한다.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증가하는 출력전압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ded power uni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increases the amount of voltage that can be outputte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may output various voltages within a range of an increasing output voltage.

메인전력부(426)는 전력수신부(421)를 통해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일정크기의 전압을 출력한다. 메인전력부(426)는 정류부(422) 및 평활부이다. The main power unit 426 outputs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by rectifying and smoothing the voltage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hrough the power receiving unit 421. The main power unit 426 is a rectifying unit 422 and a smoothing unit.

확장전력부(427)는 메인전력부의 출력전압을, 증폭한다. The extended power unit 427 amplifies the output voltage of the main power unit.

확장전력부(427)는 메인전력부(426)에 연결되는 것으로 단독으로는 구성되지 않는다. 확장전력부(427)는 모듈화되어 메인전력부에 복수 개가 연결될 수 있다. The extended power unit 427 i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unit 426 and is not configured alone. The extended power unit 427 may be modularized so that a plurality of extended power units 427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ower unit.

메인전력부(426)는 전력수신부(421)와 연결되는 제 2 공진커패시터(Cr2)와 두개의 다이오드, 그리고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The main power unit 426 includes a second resonant capacitor Cr2 connecte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421, two diodes, and a capacitor.

확장전력부(427)는 두개의 커패시터와, 두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두개의 커패시터와 두개의 다이오드의 구성은 메인전력부의 구성과 동일하나, 메인전력부는 공진커패시터를 포함하고 확장전력부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The extended power unit 427 is composed of two capacitors and two diodes. The configuration of the two capacitors and the two diodes is the same as that of the main power unit, but the main power unit includes a resonant capacitor and the extended power unit includes a capacitor.

메인전력부(426)는 제 2 공진커패시터(Cr2)와 제 11 다이오드(D11) 및 제 12 다이오드(D12), 제 1 커패시터(Co1)를 포함한다. The main power unit 426 includes a second resonant capacitor Cr2, an eleventh diode D11, a twelfth diode D12, and a first capacitor Co1.

제 2 공진커패시터(Cr2)는 전력수신부(421)와 함께 LC공진회로를 형성한다.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Cr2 forms an LC resonant circuit together with the power receiving unit 421.

제 2 공진커패시터는 수 나노패럿(nF)의 소용량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 2 공진커패시터는 제 1 공진커패시터와 동일한 크기의 공진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공진커패시터(Cr2)는 80 내지 100 nF의 범위내의 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공진커패시터는 100nF이 사용될 수 있다. As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a small capacity capacitor of several nanofarads (nF) may be used. As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a resonant capacitor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may be used. For example,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Cr2 may be used with a capacity in the range of 80 to 100 nF. Preferably, 100nF may be used as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제 11 다이오드(D11)와 제 12 다이오드(D12)는 병렬연결되며, 애노드와 캐소드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결된다. 제 11 다이오드와 제 1 커패시터는 접하는 일단이 그라운드된다. The eleventh diode D11 and the twelfth diode D12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anode and the cathode are connected in opposite directions. One end of the eleventh diode and the first capacitor is grounded.

제 1 커패시터(Co1)는 제 11 및 제 12 다이오드(D11, D12) 사이에 연결된다. 제 1 커패시터(Co1)는 공진주파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대용량의 커패시터가 사용된다. 제 1 커패시터(Co1)는 제 1 또는 제 2 공진커패시터의 10배 내지 100배 이상의 크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커패시터는 100uF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기는 변경가능하다. The first capacitor Co1 is connected between the eleventh and twelfth diodes D11 and D12. The first capacitor Co1 is a capacitor having a large capacity that does not affect the resonance frequenc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apacitor Co1 has a size of 10 to 100 times or more of the first or second resonant capacitor. It is preferable to use 100uF as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ize is variable.

확장전력부(427)는 두개의 커패시터와, 두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두개의 커패시터와 두개의 다이오드의 구성은 메인전력부의 구성과 동일하나, 메인전력부는 공진커패시터를 포함하고 확장전력부는 대용량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The extended power unit 427 is composed of two capacitors and two diodes. The configuration of the two capacitors and the two diodes is the same as that of the main power unit, but the main power unit includes a resonant capacitor and the extended power unit includes a large-capacity capacitor.

확장전력부(427)는 메인전력부에 연결되는 제 12 커패시터(Co12), 제 12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제 13 다이오드(D13), 제 13 다이오드와 병렬연결되는 제 14 다이오드(D14), 제 13 다이오드와 제 14 다이오드(D14)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커패시터(Co2)를 포함한다. The extended power unit 427 includes a 12th capacitor Co12 connected to the main power unit, a 13th diode D13 connected to the 12th capacitor, a 14th diode D14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13th diode, and a 13th diode. And a second capacitor Co2 connected between the and the 14th diode D14.

제 13 다이오드와 제 14 다이오드(D14)는 각각의 애노드와 캐소드가 반대방향으로 연결된다. In the thirteenth diode and the fourteenth diode D14, respective anodes and cathodes are connected in opposite directions.

제 12 커패시터와 제 2 커패시터는 공진주파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대용량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2 커패시터와 제 2 커패시터는 100uF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기는 변경가능하다. As the twelfth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 large-capacity capacitor that does not affect the resonant frequency may be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100uF for the twelfth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size can be changed.

무선전력수신부(420)는 메인전력부(426)를 통해 제 1 전압(Vo1)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전압(Vo1)은 제 1 커패시터(Co1)에 인가되는 전압이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may output the first voltage Vo1 through the main power unit 426. The first voltage Vo1 is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apacitor Co1.

또한, 무선전력수신부(420)는 메인전력부(426)와 확장전력부(427)를 통해, 제 2 전압(Vo2)을 출력할 수 있다. 무선전력수신부는 제 1 전압(Vo1) 또한 출력할 수 있다. Furthe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may output the second voltage Vo2 through the main power unit 426 and the extended power unit 427.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also output the first voltage Vo1.

제 1 전압(Vo1)은 제 1 커패시터(Co1)에 인가되는 전압이고, 제 2 전압은 제 1 커패시터와 제 2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전압이다. 제 2 전압은 제 1 전압의 두배이다. The first voltage Vo1 is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apacitor Co1, and the second voltage is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The second voltage is twice the first voltage.

후술하는 도 10에서 제 2 확장전력부(428) 또한, 확장전력부(427)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2 확장부는 제 3 전압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 3 전압은 제 1 전압의 3배크기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In FIG. 1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extended power unit 428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xtended power unit 427. The second extension unit may output a third voltage, and the third voltage may output a voltage of three times the first voltage.

도 8 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공급장치의 메인회로가 도시된 도이다. 8 is a diagram showing the main circuit of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무선전력수신부(420)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무선전력공급장치는 기기의 특성에 따라 확장전력부가 추가되거나 제거된 형태로 무선전력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may output voltages of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may constitute a wireless power receiver in a form in which the extended power unit is added or remov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송신부(410)와,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420.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전력수신부(421)와 메인전력부(426)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includes a power receiving unit 421 and a main power unit 426.

전력수신부와 메인전력부(426)로 구성되는 무선전력수신부(420)는 무선전력공급장치의 메인회로이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composed of the power receiving unit and the main power unit 426 is a main circuit of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무선전력수신부(420)는 메인전력부(426)를 통해 제 1 전압(Vo1)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전압(Vo1)은 제 1 커패시터(Co1)에 인가되는 전압이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may output the first voltage Vo1 through the main power unit 426. The first voltage Vo1 is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apacitor Co1.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무선전력공급장치의 확장회로가 도시된 도이다. 9 and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pansion circuit of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of FIG.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공급장치는 기기의 특성에 따라 확장전력부가 추가되거나 제거된 형태로 무선전력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may configure a wireless power receiver in a form in which the extended power unit is added or remov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무선전력송신부와 무선전력수신부로 구성되되, 도 9의 메인회로에 확장전력부를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전력수신부(421)와 메인전력부(426)에 확장전력부(427)를 포함하여 무선전력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s composed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n extended power unit to the main circuit of FIG. 9. That is,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may constitute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by including the extended power unit 427 in the power receiving unit 421 and the main power unit 42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무선전력송신부(410)와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9,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and a wireless power reception unit 420.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전력수신부(421), 메인전력부(426) 및 확장전력부(427)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includes a power receiving unit 421, a main power unit 426 and an extended power unit 427.

무선전력수신부(420)는 메인전력부(426)에 하나의 확장전력부(427)가 연결되는 경우, 제 1 전압보다 큰 제 2 전압(Vo2)을 출력할 수 있다. When one extended power unit 427 i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unit 426,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may output a second voltage Vo2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제 2 전압은 제 1 전압의 2배이다. The second voltage is twice the first voltage.

무선전력수신부는 제 1 전압 또한 출력가능하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an also output the first voltage.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무선전력수신부에 확장전력부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with an extended power unit i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무선전력수신부(420)는 메인전력부(426)에 두개의 확장전력부(42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무선전력수신부(420)는 메인전력부, 확장전력부(427) 그리고 제 2 확장전력부(428)를 포함한다. 제 2 확장전력부(428)는 확장전력부(427)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may include two extended power units 427 in the main power unit 426. That i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0 includes a main power unit, an extended power unit 427 and a second extended power unit 428. The second extended power unit 428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xtended power unit 427.

무선전력수신부(420)는 두개의 확장전력부가 포함되는 경우 제 2 전압(Vo2)보다 큰 제 3 전압(Vo3)을 출력할 수 있다. 제 3 전압은 제 1 전압의 3배이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may output a third voltage Vo3 that is greater than the second voltage Vo2 when two extended power units are included. The third voltage is three times the first voltage.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제 3 전압을 단일 출력하거나 또는 제 1 전압, 제 2 전압 및 제 3 전압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may output a single third voltage or may output a first voltage, a second voltage, and a third voltage, respectively.

도 11 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공급장치를 통한 전력공급에 따른 전류의 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11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current according to power supply through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전력공급장치의 무선전력송신부(410)는 하프브릿지회로로 구성됨에 따라, 반파정류되어 스위칭부(414)의 제 1 스위칭소자(S1)의 전류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될 수 있다. A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of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s composed of a half bridge circuit, the current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1 of the switching unit 414 is half-wave rectified, as shown in FIG. 11A. , Can be detected.

또한, 제 2 스위칭소자는 제 1 스위칭소자와 상보적으로 동작하므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감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operates complementarily wit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s shown in FIG. 11B, a current can be sensed.

제 1 및 제 2 스위칭소자가 상보적으로 동작하는 하프 브릿지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전력송신부(416)의 코일에는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인가된다. By forming a half-bridge circui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elements operate complementarily,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as shown in FIG. 11C.

무선전력송신부의 동작에 의해 무선전력수신부의 전력수신부에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인가된다. 전력수신부에 인가되는 전류는 전력송신부의 전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As shown in (d) of FIG. 11, a current is applie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The current applie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is formed equal to the current of the power transmitting unit.

전력수신부에 인가된 전류는 제 2 공진커패시터(Cr2)로 흐른다. 제 2 공진커패시터에는 도 1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른다. 인가된 전류는 제 2 공진커패시터를 통해 메인전력부로 인가된다. The current applied to the power receiver flows to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Cr2. As shown in (e) of FIG. 11, a current flows through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The applied current is applied to the main power unit through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도 12 는 본 발명의 무선전력공급장치를 통한 전력공급에 따른 전압의 변화1가 도시된 도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voltage 1 according to power supply through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전력수신부로 전류가 인가되면, 메인전력부(426)로부터 제 1 전압(Vo1)이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the first voltage Vo1 is output from the main power unit 426, as shown in FIG. 12A.

제 1 전압(Vo1)은, 메인전력부의 제 1 커패시터(Co1)에 인가되는 전압이다. The first voltage Vo1 is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apacitor Co1 of the main power unit.

한편, 확장전력부(427)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압(Vo2)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 1 전압(Vo1)은 12V가 출력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xtended power unit 427 outputs a second voltage Vo2, as shown in FIG. 12B. For example, 12V may be output as the first voltage Vo1.

제 2 전압(Vo2)은 제 1 커패시터(Co1)와 제 2 커패시터(Co2)에 인가되는 전압이다. 제 2 전압은 제 1 전압의 두배인 24V가 출력될 수 있다. The second voltage Vo2 is a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capacitor Co1 and the second capacitor Co2. The second voltage may be output as 24V, which is twice the first voltage.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일정크기의 복수 레벨의 전압을 비접촉식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습청정장치는 무선전력공급장치를 통해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may non-contactly supply voltages of a plurality of levels of a predetermined size. Accordingly,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supplies operating power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이와 같이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동일한 무선전력송신부를 통해 일정크기의 전압을 비접촉식으로 전송하면, 무선전력수신부의 확장전력부 구성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출력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동일한 입력으로 멀티 레벨의 출력전압 생성이 가능하다. In this way,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an generate output voltages of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ded power uni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when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is non-contactly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he wireless power supply can generate multi-level output voltages with the same input.

무선전력공급장치는 무선전력송신부, 전력수신부와 메인전력부로 구성되는 무선전력수신부를 메인회로로써 공용화하고, 공용화된 메인회로에 확장전력부를 추가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설계변경 없이도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공급장치는 확장전력부의 추가를 통해 용이하게 출력전압을 증폭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share a wireless power receiver consisting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power receiver, and a main power unit as a main circuit, and to additionally install an extended power unit on the shared main circuit, so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without design change have.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an easily amplify the output voltage through the addition of the extended power unit.

또한, 가습청정장치는 무선전력공급장치를 통해, 분리 가능한 탑커버어셈블리에 비접촉식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가습청정장치는 무선전력공급장치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에 동작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물에 의한 누전 또는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may supply operating power in a non-contact manner to the detachable top cover assembly through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n addition,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or electric shock accident due to wate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에어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어퍼바디 130 : 로어바디
160 : 디스플레이모듈
200 : 에어워시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240: 조작모듈 245: 입력부
260: 베이스커넥터 270: 탑커넥터
300 : 수조
410: 무선전력송신부 411: 전력전송제어부
415: 스위칭부 420: 무선전력수신부
426: 메인전력부 427. 428: 확장전력부
100: air clean module 110: base body
120: upper body 130: lower body
160: display module
200: air wash module
210: visual body 230: top cover assembly
240: operation module 245: input
260: base connector 270: top connector
300: water tank
41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1: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5: switching unit 420: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426: main power unit 427.428: extended power unit

Claims (21)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전력송신부;
비접촉방식으로 상기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소정크기의 출력전압을 연결된 부하로 공급하는 무선전력수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상기 무선전력신호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정류하는 메인전력부; 및
상기 메인전력부의 전압을 증폭하는 복수의 확장전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메인전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전압과, 상기 확장전력부의 수에 따라 상기 제 1 전압에 대하여 N배의 전압을 출력하며, 출력가능한 최대전압의 범위 내에서 복수의 레벨의 전압을 함께 출력하고,
상기 확장전력부는, 상기 메인전력부와 연결되는 제 2 커패시터;
상기 제 2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제 3 다이오드 및 제 4 다이오드; 및
상기 제 3 다이오드 및 상기 제 4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 3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증폭된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로 전송할 전압을 생성하며, 설정에 따라 상기 전송할 전압을 변경하는 레귤레이터;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교류로 변환하는 스위칭부;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의 정상 여부를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및
상기 스위칭부로 스위칭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전력전송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전송제어부는,
무선전력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의 동작모드가 정상모드이면 제1 주파수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고, 상기 동작모드가 대기모드이면 상기 제1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In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wireless power device comprising;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signal in a non-contact method, and supplying an output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to a connected loa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main power unit rectifying operation power a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signa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extended power units amplifying the voltage of the main power unit,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e first voltage output from the main power unit and a voltage of N times the first volt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extended power units are output, and voltages of a plurality of levels are simultaneously output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voltage that can be output. ,
The extended power unit may include a second capacitor connected to the main power unit;
A third diode and a fourth diode connected to the second capacitor; And
Including a third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third diode and the fourth diode, and outputs an amplified voltag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regulator that generates a voltage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hanges the transmission voltage according to a setting;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and conver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regulator into AC;
A voltage sensing unit detecting whether the output voltage of the regulator is normal; And
Including;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apply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device including the wireless power supply is a normal mode,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a first frequency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and when the operation mode is a standby mode,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a frequency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is switched to the switching unit.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that is applied nega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포함된 상기 확장전력부의 수에 따라 출력전압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voltage in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extended power unit included i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출력가능한 최대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er outputs a maximum voltage that can be outpu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와, 상기 메인전력부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로 구성된 기본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omprises a basic circuit consisting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including the main power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제 1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er outputs a first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와, 상기 메인전력부 및 상기 확장전력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로 구성된, 확장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omprises an expansion circuit, compri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ain power and the extended pow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상기 메인전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전압과, 상기 확장전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1 전압보다 큰 제 2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outputs a first voltage output from the main power unit and a second voltage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output from the extended power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은 상기 제 1 전압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voltage is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wice the first voltag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전압 증폭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composed of a voltage amplifier circu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는 코일로 구성되어 전자기 유도현상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상기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는 전력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further comprises a power receiving unit configured as a coil to receive the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through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력부는 상기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는 전력수신부와 LC공진회로를 형성하는 공진커패시터;
상기 공진커패시터와 연결되어, 상기 전력수신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제 1 다이오드 및 제 2 다이오드; 및
정류된 전원을 일정크기의 전압으로 출력하는 제 1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power unit comprises a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signal and a resonance capacitor forming an LC resonance circuit;
A first diode and a second diode connected to the resonant capacitor and rectifying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receiving unit; And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first capacitor that outputs the rectified power at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커패시터는 나노패럿(nF) 단위의 소용량 커패시터이고,
상기 제 1 커패시터는 상기 공진커패시터의 10 배 내지 100배 크기의 대용량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sonant capacitor is a small-capacity capacitor in the unit of nanofarad (nF),
The first capacitor is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rge-capacity capacitor 10 to 100 times the size of the resonant capacito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패시터는 상기 제 1 다이오드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다이오드와 상기 제 1 커패시터가 접하는 일단은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capacitor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iode and the second diode, and one end of the first diode and the first capacitor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grounded.
삭제delete 수조가 수용되는 베이스바디;
상기 수조와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베이스바디로부터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비접촉방식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전력공급장치; 및
상기 베이스바디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클린모듈;
상기 에어클린모듈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에 수용되는 물을 통해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에어워시모듈;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에어클린모듈 및 상기 에어워시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의 거치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상기 베이스바디에 형성되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전력송신부; 및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의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전력수신부를 포함하여, 복수의 레벨의 전압을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대기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를 통해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대기모드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대기모드에 따른 전압은 상기 입력부의 키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 base body in which a water tank is accommodated;
A top cover assembly detachably mounted from the water tank;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And
An air clean module provided in the base body to purify the inhaled air;
An air wash module positioned above the air clean module to discharge humidified air through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air clean module and the air wash module according to a set mode, and controls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to operat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med on the base body to transmit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Including a wireless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levels of voltage to the top cover assembly,
The control unit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rough the input unit, a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is a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is used to receive a key input of the input uni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상기 무선전력수신부가 전압증폭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s a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with a voltage amplifying circui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서 요구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기본회로 또는 확장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is a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asic circuit or an extension circui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required by the top cover assembly.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서 요구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전력신호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정류하는 메인전력부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orresponds to the voltage required by the top cover assembly,
And a main power unit rectifying the operating power a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signal, and constitut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공급장치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에서 요구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전력부에 확장전력부를 추가하여 전압이 증폭된 상기 무선전력수신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0,
The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corresponds to the voltage required by the top cover assembly,
A humidification and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in which the voltage is amplified by adding an extended power unit to the main power unit.
KR1020180164436A 2018-12-18 2018-12-18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2103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436A KR102210359B1 (en) 2018-12-18 2018-12-18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436A KR102210359B1 (en) 2018-12-18 2018-12-18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590A KR20200075590A (en) 2020-06-26
KR102210359B1 true KR102210359B1 (en) 2021-01-29

Family

ID=7113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436A KR102210359B1 (en) 2018-12-18 2018-12-18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3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374B1 (en) * 2020-11-12 2022-06-02 (주)싱스웰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ir Quality by Using Indoor and Outdoor Sensor Module
KR20220080479A (en) * 2020-12-07 202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wireless power receiv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9008A (en) 2007-12-06 2009-06-25 Sharp Corp Humidifi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9914A (en)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KR101663191B1 (en) * 2015-01-30 2016-10-07 한솔테크닉스(주) Humidification apparatus of radio charge base
KR101973644B1 (en) * 2015-10-30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9008A (en) 2007-12-06 2009-06-25 Sharp Corp 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590A (en)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2772B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KR101892474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888953B1 (en) Air Conditioner
EP3712519B1 (en)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ying system
US20030230196A1 (en) Oxygen supply device
KR102210359B1 (en)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WO2013132876A1 (en) Ventilation fan and ventilation system
US10139119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30270B1 (en) Vacuum cleaner
EP3712523B1 (en) Air purifying system
US20130168234A1 (en) System capable of oxyhydrogen ion air cleaning and humidifying
KR102024090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500527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550365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072638B1 (en) Dust Collector
KR102043069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US11739960B2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KR102016255B1 (en)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KR102493846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500522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CN106196274B (en) Air purifier
KR102043070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462680B1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2629988B1 (en) Wireless humidifier set
KR101653487B1 (en) Robot cleaner having 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