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329B1 -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 Google Patents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329B1
KR102500329B1 KR1020220085393A KR20220085393A KR102500329B1 KR 102500329 B1 KR102500329 B1 KR 102500329B1 KR 1020220085393 A KR1020220085393 A KR 1020220085393A KR 20220085393 A KR20220085393 A KR 20220085393A KR 102500329 B1 KR102500329 B1 KR 102500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de
pottery
bone
buddha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규
Original Assignee
최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규 filed Critical 최동규
Priority to KR102022008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assembled from preform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4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gaskets or sealing elements, e.g. for tunnelings or man h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04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using waste materials or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03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은 고령토와 옥돌가루를 1:8~1: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자기 흙이 제조되는 제 1단계(S100), 상기 제 1단계(S100)의 도자기 흙과 물을 혼합한 후, 다수 개의 성형틀에 의해 다수 개의 도자기 흙 조각이 성형되고, 상기 다수 개의 도자기 흙 조각이 하나로 조립되어 망자 정보 표시부(10), 기단(20) 및 삽입부(30)가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가 성형되는 제 2단계(S200),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조립된 도자기가 건조된 후, 700~1000℃에서 8~12시간 동안 초벌구이되는 제 3단계(S300) 상기 제 3단계(S300)에서 초벌된 도자기에 유약을 바르는 제 4단계(S400), 상기 제 4단계(S400)에서 유약을 바른 도자기가 1200~1400℃에서 13~17시간 동안 재벌구이되는 제 5단계(S500) 및 상기 제 5단계(S500)에서 재벌구이된 도자기의 내부에 옥골(40)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30)가 밀봉되는 제 6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Method of manufacturing Buddha-shaped pottery containing jade bones and Buddha-shaped pottery containing jade bones produced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분과 옥돌가루가 포함된 옥골이 도자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골분의 처리가 용이하고, 도자기가 파손되어도 골분이 포함된 옥골은 보호될 수 있으며, 종교인에게 추모 효과를 크게 향상시키는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했을 때, 시신을 화장 또는 매장하는 장례 방법을 선택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토지 확보 및 비용 문제로 인해 매장보다 화장을 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시신을 화장한 후, 골분을 산이나 강, 바다 등의 자연에 뿌리기도 하지만, 이런 경우 추모의 대상이 없어지므로, 많은 사람들이 납골함에 봉안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하지만, 납골함에 봉안하여 골분을 보관하는 것은 많은 제약이 있다. 납골함을 별도의 추모 시설에 안치하는 경우,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안치 가능 기간이 정해져 있기에 15년 또는 30년 단위로 시설을 옮겨야 한다. 그리고, 골분에 수분이 공급되면 부패하기 때문에 악취 및 벌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간적 제약이 없고, 골분의 부패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골분을 포함하는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가 마련되었다. 상기 골분을 포함하는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에 관하여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KR 10-1973340 B1 "골분이 포함된 부처님형상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에는 도자기용 분말 재료에 20-40중량%의 골분을 혼합하여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를 제조하고, 나머지 골분을 내부 공간에 삽입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골분이 도자기 전체에 포함되기 때문에 도자기의 파손 또는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골분의 일부가 유실되는 것과 동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973340 B1 KR 10-2007-0058331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분과 옥돌가루가 포함된 옥골이 도자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골분의 처리가 용이하고, 골분이 포함된 옥골과 도자기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도자기가 파손 또는 손상되어도 골분이 포함된 옥골은 보호될 수 있으며, 종교인에게 추모 효과를 크게 향상시키는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은 고령토와 옥돌가루를 1:8~1: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자기 흙이 제조되는 제 1단계(S100), 상기 제 1단계(S100)의 도자기 흙과 물을 혼합한 후, 다수 개의 성형틀에 의해 다수 개의 도자기 흙 조각이 성형되고, 상기 다수 개의 도자기 흙 조각이 하나로 조립되어 부처님 형상의 몸체(1), 망자 정보 표시부(10), 기단(20) 및 삽입부(30)가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기물이 형성되는 제 2단계(S200),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조립된 기물이 건조된 후, 700~1000℃에서 8~12시간 동안 초벌구이되는 제 3단계(S300), 상기 제 3단계(S300)에서 초벌된 기물에 유약을 바르는 제 4단계(S400), 상기 제 4단계(S400)에서 유약을 바른 기물이 1200~1400℃에서 13~17시간 동안 재벌구이되어 도자기가 제조되는 제 5단계(S500) 및 상기 제 5단계(S500)에서 제조된 도자기의 내부에 옥골(40)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30)가 밀봉되는 제 6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6단계(S600)는 골분과 유약이 10:0.8~10:1.2의 중량비로 혼합 및 반죽된 후, 구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옥골(40)이 제조되고, 상기 옥골(40)에 옴자가 낙관되는 제 6-1단계(S610), 상기 제 6-1단계(S610)에서 옴자가 낙관된 상기 옥골(40)이 1200~1400℃에서 13~17시간 동안 구워지는 제 6-2단계(S620), 상기 제 6-2단계(S620)에서 구워진 상기 옥골(40)이 상기 제 5단계(S500)에서 제조된 도자기의 상기 삽입부(30)를 통해 삽입되는 제 6-3단계(S630) 및 도자기의 상기 삽입부(30)가 밀봉되는 제 6-4단계(S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약은 장석 30~40wt%, 규석 15~30wt%, 석회석 15~25wt%, 고령토 5~15wt%, 옥돌 10~20wt%를 포함하고, 상기 옥돌 및 상기 옥돌가루는 SiO2를 25~50wt%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 개의 성형틀은 부처님 머리 및 몸통, 부처님 손, 용의 몸통, 용의 뿔 및 용의 꼬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조립된 부처님 형상의 기물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기단(20)의 바닥면에 형성된 원형의 상기 삽입부(30)와 이어지고, 상기 삽입부(30)는 코르크, 플라스틱, 고무 또는 실리콘을 소재로 하여 제조된 마개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망자 정보 표시부(10)는 망자의 사진, 성명, 생몰일자, 이력 및 추모문구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골분과 옥돌가루가 포함된 옥골이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조되어진다. 옥골은 골분을 100% 포함하고, 은은한 옥색을 띄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낸다. 그리고 골분에 수분이 공급되지 않고, 옥돌이 방출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정화 및 살균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부패하지 않고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골분이 포함된 옥골과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도자기가 파손 또는 손상되어도 골분이 포함된 옥골은 보호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자기에 파손 또는 손상이 발생하였을 때, 옥골을 다른 도자기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옥골을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에 삽입하여, 합장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절에 가지 않더라도 언제든 추모하고 기도할 수 있기에 종교인에게 추모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를 성형할 때, 13개의 부위로 구분된 틀을 이용하여 성형한 뒤, 하나로 합치는 과정을 거친다. 이는 하나의 틀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 보다 부처님 형상을 더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틀에 도자기 재료가 꼼꼼히 들어가기 때문에 기포의 발생량이 적어 불량률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의 하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의 S600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에 대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의 하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령토와 옥돌가루를 1:8~1: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자기 흙이 제조된다.(S100)
그 다음, S100단계의 도자기 흙과 물을 혼합한 후, 다수 개의 성형틀에 의해 다수 개의 도자기 흙 조각이 성형되고, 상기 다수 개의 도자기 흙 조각이 하나로 부처님 형상의 몸체(1), 망자 정보 표시부(10), 기단(20) 및 삽입부(30)가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기물이 형성된다.(S200)
이때, 상기 다수 개의 성형틀은 부처님 머리 및 몸통, 부처님 손, 용의 몸통, 용의 뿔 및 용의 꼬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성형틀은 총 13개(머리를 포함하는 몸통 4부위, 부처님 손 2부위, 용의 몸통 3부위, 용의 뿔 2부위 및 용의 꼬리 2부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틀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보다 부처님의 형상, 연꽃의 형상, 용의 형상 및 기단의 무늬를 더욱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틀에 도자기 재료가 꼼꼼히 들어가기 때문에 기포의 발생량이 적어 불량률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S200단계에서 조립된 상기 부처님 형상의 기물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기단(20)의 바닥면에 형성된 원형의 상기 삽입부(30)와 이어지고, 상기 삽입부(30)는 코르크, 플라스틱, 고무 또는 실리콘을 소재로 하여 제조된 마개(미도시)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미도시)는 고령토와 옥돌가루가 1:8~1:12의 중량비로 혼합된 도자기 흙과 물을 혼합하여 성형틀에 의해 성형되고, 건조 및 700~1000℃에서 8~12시간 동안 초벌구이된 후, 유약을 바르고, 1200~1400℃에서 13~17시간 동안 재벌구이되어 만들어지되, 상기 삽입부(30)의 지름보다 0.05~5mm 작은 지름을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기 마개(미도시)의 원형 둘레에 고무 또는 실리콘을 소재로하는 고무링이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30)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망자 정보 표시부(10)는 망자의 사진, 성명, 생몰일자, 이력 및 추모 문구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망자 정보 표시부(10)는 전사방법으로 표시된다. 도자기가 초벌구이 된 후 전사하여 재벌구이 되거나, 초벌구이 및 재벌구이 된 후 전사하여 한번 더 구워내거나 히터 등의 발열수단을 이용하여 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자 정보 표시부(10)에 표시되는 망자의 성명, 생몰일자, 이력 및 추모 문구는 각각 금박 또는 축광 안료로 전사될 수 있고, 상기 옥골(40)의 옴자 또한 금박 또는 축광 안료로 전사될 수 있다.
상기 축광 안료는 빛의 조사에 의해 저장된 에너지를 어두운 곳에서 빛으로 변화시켜 발광하는 고형 물질로서, 어두운 곳에서 도자기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에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 이후, S200단계에서 조립된 기물이 건조된 후, 700~1000℃에서 8~12시간 동안 초벌구이된다.(S300)
그 이후, S300단계에서 초벌된 기물에 유약을 바른다(S400)
이때, 상기 유약은 장석 30~40wt%, 규석 15~30wt%, 석회석 15~25wt%, 고령토 5~15wt%, 옥돌 10~20wt%를 포함하고, 상기 옥돌 및 상기 옥돌가루는 규산(SiO2)을 25~50wt%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험 예 1: 유약에 포함된 옥돌의 함량에 따른 도자기 품질 측정
상기 S400단계의 유약에 포함된 옥돌의 함량에 따라 제조된 도자기의 품질을 각각 일반적인 산업에서 이용되는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초벌구이된 기물의 시편에 옥돌의 함량이 다른 유약을 발라 재벌구이 하고, 이에 대하여 각각 경도, 광택도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표면조도 표기 기준은 ○는 4㎛ 미만이고, ×는 4㎛ 이상을 의미한다.
옥돌함량(wt%) 5 7 10 13 15 20 23 25
경도(Gpa) 5.8 5.9 6.2 6.7 7.2 7.4 7.8 8.1
광택도(GU) 82.5 84.8 85.7 86.8. 87.1 86.3 84.5 82.7
표면조도(㎛) × ×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유약에 옥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강도 및 광택도는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약의 경도가 5.5Gpa이하인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유약은 높은 경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약에 포함되는 옥돌의 함량이 20wt% 이상인 경우, 유약의 전체 중량 대비 장석 및 석회석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고, 상기 장석 및 석회석이 유약의 융착성 및 투명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투명도가 감소하고, 유약의 표면이 갈라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약에 포함되는 옥돌의 함량이 20wt% 이하인 경우, 표면조도가 4㎛ 미만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반면, 상기 유약에 포함되는 옥돌의 함량이 23wt% 이상인 경우, 표면의 매끄러움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품질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유약에 포함된 옥돌의 함량은 10~20wt%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험 예 2: 규산(SiO 2 )을 25.7wt% 포함하는 옥돌에서 방출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측정
S100단계에 포함되는 상기 옥돌가루 및 S400단계의 유약에 포함되는 상기 옥돌에서 방출되는 음이온량을 한국원적외선 응용평가 연구원의 시험방법인 KFIA-FI-1042를 기준으로 전하입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19℃, 습도 40%, 대기중 음이온수 104/cc 조건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S100단계에 포함되는 상기 옥돌가루 및 S400단계의 유약에 포함되는 상기 옥돌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방법인 KCL-FIR-1005:2011을 기준으로 FT-IR Spectrometer(적외선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22.0±0.1)℃, (25.7±0.2)%R.H.의 시험환경에서 40℃의 측정온도, 5~20㎛의 측정파장으로 흑체(Black Body)대비 측정 시험하였다.
시험 항목
(단위)
음이온
(ION/cc)
원적외선 방사율
(-)
원적외선 방사에너지
(W/m2)
시험 결과 164 0.929 3.75 ×1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옥돌 및 옥돌가루에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표 2의 음이온 시험 결과는 측정 대상물인 규산(SiO2)을 25.7wt% 포함하는 옥돌에서 방출된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체적당 ION수로 표시한 결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에서 음이온이 지속적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방출된 음이온이 도자기가 위치하는 장소의 양이온과 결합하여 에너지가 중화되며 이온 밸런스가 조절되고, 주변 공기가 정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에서 원적외선이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원적외선은 체질 변화, 면역력 증강, 혈액순환의 촉진 및 체내의 중금속 또는 화학물질을 배출시키는 효능이 있다.
실험 예 3: 규산(SiO 2 )을 25.7wt% 포함하는 옥돌의 암모니아 탈취율 측정
S100단계에 포함되는 상기 옥돌가루 및 S400단계의 유약에 포함되는 상기 옥돌의 암모니아 가스 탈취율을 한국원적외선 응용평가 연구원의 시험방법인 KFIA-FI-1004의 방법을 기준으로 가스검지관을 이용하여 측정 시험하였다.
시험 항목 경과시간(분) Blank 농도(ppm) 시료 농도(ppm) 탈취율(%)


탈취시험
초기 500 500 -
30 480 70 58
60 460 50 89
90 450 40 91
120 440 30 93
표 3은 측정 대상물인 규산(SiO2)을 25.7wt% 포함하는 옥돌을 시료로 하여 암모니아 가스 탈취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Blank 농도는 시료를 넣지 않았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고, 시료 농도는 시료를 넣었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옥돌 및 옥돌가루에 탈취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또한 탈취효과를 가지며,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가 구비되는 장소의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이후, S400단계에서 유약을 바른 기물이 1200~1400℃에서 13~17시간 동안 재벌구이되어 도자기가 제조된다.(S500)
그 이후, S500단계에서 제조된 도자기의 내부에 옥골(40)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30)가 밀봉된다.(S600)
도 6은 본 발명의 S600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00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골분과 유약이 10:0.8~10:1.2의 중량비로 혼합 및 반죽된 후, 구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옥골(40)이 제조되고, 상기 옥골(40)에 옴자가 낙관된다.(S610)
그 이후, S610단계에서 옴자가 낙관된 상기 옥골(40)이 1200~1400℃에서 13~17시간 동안 구워진다.(S620)
이때, 상기 옥골(40)은 망자 또는 사망한 반려동물의 골분 전부를 포함하고, 백색의 골분과 옥돌이 포함된 유약으로만 혼합되어 백색에 가까운 옥색을 가진다.
또한, 낙관된 옴자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에 상기 옥골(40)을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에 삽입하지 않고도 종교인에게 망자를 추모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이후, S620단계에서 구워진 상기 옥골(40)이 상기 제 5단계(S500)에서 제조된 도자기의 상기 삽입부(30)를 통해 삽입된다.(S630)
이때, 상기 삽입부(30)의 직경은 상기 옥골(40)의 직경보다 크고, 도자기의 내부 공간의 가로 직경은 상기 옥골(40)의 직경과 동일하여 상기 옥골(40)이 도자기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수 개의 옥골을 하나의 도자기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30)의 직경은 상기 옥골(40)의 직경보다 크고, 도자기의 내부 공간은 상기 옥골(40)의 부피의 2.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후, 도자기의 상기 삽입부(30)가 밀봉된다.(S640)
또한, 본 발명에서 부처님으로 통칭하였으나, 관세음보살,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지장보살 등으로 불교에서 모시는 부처와 보살을 포함하여 도자기의 몸체가 형성된다. 따라서, 망자의 골분이 포함된 옥골을 부처님 또는 보살님의 형상을 가진 도자기의 내부에 모심으로서, 유족에게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추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1: 부처님 형상의 몸체
10: 망자 정보 표시부
20: 기단
30: 삽입부
40: 옥골

Claims (6)

  1.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령토와 옥돌가루를 1:8~1: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자기 흙이 제조되는 제 1단계(S100);
    상기 제 1단계(S100)의 도자기 흙과 물을 혼합한 후, 다수 개의 성형틀에 의해 다수 개의 도자기 흙 조각이 성형되고, 상기 다수 개의 도자기 흙 조각이 하나로 조립되어 부처님 형상의 몸체(1), 망자 정보 표시부(10), 기단(20) 및 삽입부(30)가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기물이 형성되는 제 2단계(S200);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조립된 기물이 건조된 후, 700~1000℃에서 8~12시간 동안 초벌구이되는 제 3단계(S300);
    상기 제 3단계(S300)에서 초벌된 기물에 유약을 바르는 제 4단계(S400);
    상기 제 4단계(S400)에서 유약을 바른 기물이 1200~1400℃에서 13~17시간 동안 재벌구이되어 도자기가 제조되는 제 5단계(S500); 및
    상기 제 5단계(S500)에서 제조된 도자기의 내부에 옥골(40)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30)가 밀봉되는 제 6단계(S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6단계(S600)는
    골분과 유약이 10:0.8~10:1.2의 중량비로 혼합 및 반죽된 후, 구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옥골(40)이 제조되고, 상기 옥골(40)에 옴자가 낙관되는 제 6-1단계(S610);
    상기 제 6-1단계(S610)에서 옴자가 낙관된 상기 옥골(40)이 1200~1400℃에서 13~17시간 동안 구워지는 제 6-2단계(S620);
    상기 제 6-2단계(S620)에서 구워진 상기 옥골(40)이 상기 제 5단계(S500)에서 제조된 도자기의 상기 삽입부(30)를 통해 삽입되는 제 6-3단계(S630); 및
    도자기의 상기 삽입부(30)가 밀봉되는 제 6-4단계(S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약은
    장석 30~40wt%, 규석 15~30wt%, 석회석 15~25wt%, 고령토 5~15wt%, 옥돌 10~20wt%를 포함하고,
    상기 옥돌 및 상기 옥돌가루는
    SiO2를 25~50wt%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성형틀은
    부처님 머리 및 몸통, 부처님 손, 용의 몸통, 용의 뿔 및 용의 꼬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조립된 상기 부처님 형상의 기물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기단(20)의 바닥면에 형성된 원형의 상기 삽입부(30)와 이어지고,
    상기 삽입부(30)는
    코르크, 플라스틱, 고무 또는 실리콘을 소재로 하여 제조된 마개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자 정보 표시부(10)는
    망자의 사진, 성명, 생몰일자, 이력 및 추모 문구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6. 제 1항,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KR1020220085393A 2022-07-12 2022-07-12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KR10250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393A KR102500329B1 (ko) 2022-07-12 2022-07-12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393A KR102500329B1 (ko) 2022-07-12 2022-07-12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329B1 true KR102500329B1 (ko) 2023-02-15

Family

ID=8522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393A KR102500329B1 (ko) 2022-07-12 2022-07-12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3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331A (ko) 2005-12-02 2007-06-08 이연휴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20110091622A (ko) * 2011-07-01 2011-08-12 윤종식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20120004478U (ko) * 2010-12-14 2012-06-22 김윤은 불교의식용 영혼배
KR101733984B1 (ko) * 2016-06-27 2017-05-10 임성규 골분이 포함되는 도자기 및 제조방법
KR20170085783A (ko) * 2016-01-15 2017-07-25 정연욱 부석을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소성방법
KR101973340B1 (ko) 2018-11-23 2019-04-26 박성신 골분이 포함된 부처님형상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331A (ko) 2005-12-02 2007-06-08 이연휴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20120004478U (ko) * 2010-12-14 2012-06-22 김윤은 불교의식용 영혼배
KR20110091622A (ko) * 2011-07-01 2011-08-12 윤종식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20170085783A (ko) * 2016-01-15 2017-07-25 정연욱 부석을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소성방법
KR101733984B1 (ko) * 2016-06-27 2017-05-10 임성규 골분이 포함되는 도자기 및 제조방법
KR101973340B1 (ko) 2018-11-23 2019-04-26 박성신 골분이 포함된 부처님형상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la et al. Color stability of lithium disilicate ceramics after aging and immersion in common beverages
Tabatabaian Color aspect of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s: a review of the literature
KR20130129327A (ko) 지르코니아 치아 세라믹을 착색하는 방법, 시스템, 및 조성물
KR102500329B1 (ko)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옥골이 포함된 부처님 형상의 도자기
Tabatabaian et al. Effect of Ceramic Thickness and Cement Type on the Color Match of High-Translucency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s.
Valizadeh et al. The effect of ceramic thickness on opalescence
WO2019122478A1 (es) Composición que comprende cenizas de cremación
KR101897810B1 (ko) 순지트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순지트 도자기의 제조방법
Juntavee et al. Influences of light-emitting diode illumination bleaching technique on nanohardness of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eramic restorative materials
Adawi et al. Assessment of color stainability of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ceramic materials after hot and cold coffee immersion at different time intervals
Kukiattrakoon et al. Elemental release and surface changes of fluorapatite–leucite porcelain upon immersion in acidic agents
WO200706416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uman bone pottery
KR100602522B1 (ko) 원적외선 황토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00816A (ko)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통증완화용 의약 보조 밴드
KR102613974B1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는 블랙 알루미나 세라믹 매트리스
JP2527422B2 (ja) 歯科用修復物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472252B1 (ko) 유골분의 부패와 악취 방지용 기능성 유골함의 제조방법
Sulaiman Monolithic zirconium dioxide as a full contour restorative material
KR101973340B1 (ko) 골분이 포함된 부처님형상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626338B1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는 블랙 알루미나 세라믹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
Mohamed et al. Effect of surface finishing protocols on color and translucency of zirconia reinforced lithium silicate glass-ceramic after thermo-mechanical aging and different staining solutions
KR20230064692A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는 블랙 알루미나 세라믹의 제조 방법
KR102546727B1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는 블랙 알루미나 세라믹 매트리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37248A (ko) 인공치관 및 그 제조 방법
Sanal et al. Could microwave glazing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surface finishing methods of ceramic materials in terms of color s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