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242B1 -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242B1
KR102500242B1 KR1020220135243A KR20220135243A KR102500242B1 KR 102500242 B1 KR102500242 B1 KR 102500242B1 KR 1020220135243 A KR1020220135243 A KR 1020220135243A KR 20220135243 A KR20220135243 A KR 20220135243A KR 102500242 B1 KR102500242 B1 KR 102500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vertical
fram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태
Original Assignee
(주)시안토탈앤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안토탈앤대우 filed Critical (주)시안토탈앤대우
Priority to KR102022013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 횡 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복수개의 구획된 물품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 및 각 열마다 배치된 수직프레임들을 각각 연결하는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STOCK STORAGE CRADLE SYSTEM}
본 발명은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을 종,횡 방향으로 바둑판 패턴으로 조립하여 수직, 수평 방향으로 구획되는 다수개의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물품을 구획하여 수납할 수 있고,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의 중량을 디스플레이하여 과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에 가해지는 각종 외부충격을 완충하여 붕괴아 휨, 변형을 방지하는 등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은 공장에서 생산한 후 창고 내에 마련된 선반에 입고한다. 그리고, 물품은 거래처의 요청에 따라 출고된다.
또한, 선반에 물품을 입,출고할 시 수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물품에 바코드 또는 FRID태그를 부착하고 바코드 스캐너로 정보를 읽어 입출고 또는 재고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부족한 물품은 자동으로 생산함으로 재고량의 부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선반은 크기가 정형화 되어 있기 때문에 그 크기나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없어, 물품의 크기가 크거나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창고에 선반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80255호
본 발명은,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을 종,횡 방향으로 바둑판 패턴으로 조립하여 수직, 수평 방향으로 구획되는 다수개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프레임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수납공간의 크기 및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수납공간에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물품을 구획하여 수납할 수 있는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의 중량을 디스플레이하여 과적을 방지할 수 있는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에 가해지는 각종 외부충격을 완충하여 붕괴아 휨, 변형을 방지하는 등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프레임의 하부측을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프레임의 하부측으로 물품의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프레임이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자력부착 방식으로 용이하게 출고하거나 또는, 수납공간에 물품을 용이하게 입고할 수 있고, 자력으로 부착된 물품을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은, 종, 횡 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복수개의 구획된 물품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 및 각 열마다 배치된 수직프레임들을 각각 연결하는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프레임은 각 열마다 배치된 수직프레임들의 수직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수직방향으로 구획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각 열마다 위치된 받침프레임들과 교차되는 형태로 서로 다른 열에 배치된 수직프레임들을 각각 연결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사이 마다 배치되며, 상기 받침프레임들의 상면에 공동으로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물품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판; 상기 안착판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안착판에 안착되는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중량계; 상기 수직프레임과, 받침프레임 및 보강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유닛;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의 하측에 장착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며, 하측 둘레면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을 통과시키도록 중공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체결구; 상기 체결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지면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기초플레이트; 상기 기초플레이트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둘레면 및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앙카유닛이 형성된 앙카부; 지중에 매립되며, 내부에 상기 앙카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며 양생에 의해 상기 앙카부를 고정하는 몰탈재질의 충진물; 상기 기초플레이트의 수용홈에 매립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둘레면을 감싸고, 내주연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유동방지돌기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초플레이트와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유동방지부; 상기 유동방지부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탄성지지부; 상기 탄성지지부의 상면에 탄성지지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을 통과시키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 상기 체결구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통과홀에 매립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둘레면을 감싸고, 내주연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부가 유동방지돌기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부가 유동방지부;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면서 상기 플랜지를 가압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거나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 물품을 인입하도록 마련되는 인출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부는, 상기 물품의 일측 끝부분 외면에 장착되며,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인출부; 상기 수납공간에 보관된 물품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 보관하기 위한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판과, 상기 적재판을 상기 받침프레임 또는 안착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키도록 그 높이가 조절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며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대차부; 상기 적재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인출부와 반대 극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인출판; 상기 인출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인출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적재판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보관된 물품이 상기 인출부와 인출판의 부착에 의해 상기 적재판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인출판에 밀려 상기 수납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유닛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송실린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판에 부착된 상기 인출부를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인출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탑재판; 상기 탑재판의 상면에 탑재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인출판과 상기 인출부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상기 인출판에 부착된 인출부를 이격시키는 이격칼날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을 종,횡 방향으로 바둑판 패턴으로 조립하여 수직, 수평 방향으로 구획되는 다수개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프레임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수납공간의 크기 및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수납공간에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물품을 구획하여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의 중량을 디스플레이하여 과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에 가해지는 각종 외부충격을 완충하여 붕괴아 휨, 변형을 방지하는 등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프레임의 하부측을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프레임의 하부측으로 물품의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프레임이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자력부착 방식으로 용이하게 출고하거나 또는, 수납공간에 물품을 용이하게 입고할 수 있고, 자력으로 부착된 물품을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중량계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적용된 안착판에 중량계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적용된 완충부와, 완충유닛과, 체결구와, 기초플레이트와, 앙카부와, 박스부와, 충진물과, 유동방지부와, 탄성지지부와, 안착플레이트와, 부가 유동방지부 및 가압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적용된 인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적용된 인출입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적용된 인출입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중량계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적용된 안착판에 중량계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적용된 완충부와, 완충유닛과, 체결구와, 기초플레이트와, 앙카부와, 박스부와, 충진물과, 유동방지부와, 탄성지지부와, 안착플레이트와, 부가 유동방지부 및 가압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적용된 인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적용된 인출입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 적용된 인출입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은,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을 다수 조립하여 다수개의 수납공간(S)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물품(1)을 구획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수납공간(S)에 보관된 물품(1)을 용이하게 출고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은, 수납부(10)와, 안착판(20)과, 중량계(30)와, 완충유닛(40)과, 체결구(50)와, 기초플레이트(60)와, 앙카부(70)와, 박스부(80)와, 충진물(90)과, 유동방지부(100)와, 탄성지지부(110)와, 안착플레이트(120)와, 부가 유동방지부(130)와, 가압부(140)와, 인출입부(150) 및 분리부(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0)는 뼈대를 이루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11)과, 받침프레임(12) 및 보강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11)은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1)은 다수개로 적용되어 종, 횡 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그 하단이 지면에 안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받침프레임(12)은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프레임(12)은 다수개로 적용되어 각 열마다 배치된 수직프레임(11)들을 각각 연결한다.
도면에는 수직프레임(11)이 종방향 3열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에서 수직프레임(11)은 3열 이하 또는 3열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받침프레임(12)은 횡 방향으로 일정간격 배치된 수직프레임(11)들과 교차되는 형태로 클램프(C)를 통해 결합된다.
이때, 클램프(C)는 수직프레임(11)과 받침프레임(12)이 교차되는 지점을 결합한다.
받침프레임(12)은 수직프레임(11)의 각 열마다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프레임(12)은 수직프레임(11)의 수직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받침프레임(12)은 각 열마다 배치된 수직프레임(11)들의 수직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수납공간(S)을 수직방향으로 구획한다.
도면에는 받침프레임(12)이 수직프레임(11)의 각 열마다 3개씩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수납부(10)에는 수납공간(S)이 3개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부(10)는 정면과 평면에서 각각 바라보았을 때, 바둑판 패턴을 이룬다.
그리고, 수납부(10)에 형성된 각 층의 수납공간(S)은 수직프레임(11)에 의해 다수개로 구획된다.
즉, 수납공간(S)은 수직프레임(1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다수 구획되고, 받침프레임(12)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다수 구획된다.
따라서, 각각의 수납공간(S)에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1)을 구획하여 보관하면 된다.
특히, 수직프레임(11)과 받침프레임(12)을 클램프(C)로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수직프레임(11)과 받침프레임(12)의 적용개수를 증가하여 수납공간(S)의 개수를 증가하면 보다 많은 양의 물품(1)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수직프레임(11)과 받침프레임(12)의 적용 개수를 감소하면 수납부(10)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부지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수납부(10)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물품(1)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강프레임(13)은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13)은 각 열마다 위치된 받침프레임(12)들과 교차되는 형태로 서로 다른 열에 배치된 수직프레임(11)들을 각각 연결한다.
이때, 보강프레임(13)은 각 열마다 배치된 받침프레임(12)의 저면을 지지하는 형태로써, 전술한 클램프(C)를 통해 수직프레임(11)에 설치된다.
클램프(C)는 수직프레임(11)에 각각 장착되는 몸체(C1)와, 몸체(C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받침프레임(12)의 일정영역을 감싸는 제1 감쌈부(C2) 및 몸체(C1)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보강프레임(13)의 일정영역을 감싸는 제2 감쌈부(C3)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13)은 수직프레임(11) 및 받침프레임(12)이 물품(1)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받침프레임(12)과 함께 물품(1)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은, 수납부(10)에 수납된 물품(1)의 수량을 수시로 파악하고 이를 저장하여 물품(1)의 반입, 반출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수단은 수납부(10)에 수납된 물품(1)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물품태그 및 선반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태그는 물품에 각각 부착되고 고유의 식별자가 부여된 태그정보를 포함한다.
선반단말장치는 선반에 각각 설치되며, 해당 선반에 보관된 물품(1)의 물품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집하여 중앙관리서버에게 무선송신한다.
선반단말장치는 중앙관리서버를 매개로 관리자단말장치와 연결된다.
관리자단말장치는 중앙관리서버에 무선 접속하여 관리자로부터 정보요청할 물품을 선택받아 중앙관리서버에 전달한 후에, 이에 대한 응답으로 중앙관리서버로부터 해당 물품(1)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맵상에 표시하는데, 이러한 관리자 단말장치는 와이브로 기능이 구비된 통산의 PDA(PersonalDigital Assistants) 등 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중앙관리서버는 선반단말장치로부터 물품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단말 장치로부터 물품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당해물품에 대한 위치정보, 수량정보, 반입 또는 반출 정보를 제공한다.
관리수단은 다른 예로 RF 통신모듈(미도시) 및 이를 감지하는 전자태그(미도시)를 포함하여 수납부(10)에 보관 된 물품(1)의 반입 또는 반출을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안착판(20)은 대략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판(20)은 수직프레임(11)들의 사이 마다 각각 배치되며, 각 열마다 배치된 받침프레임(12)들의 상면에 공동으로 인착된다.
안착판(20)이 적용되는 경우, 받침프레임(12) 대신 안착판(20)의 상면에 물품(1)이 안착된다.
따라서, 물품(1)의 길이가 각 열에 배치된 받침프레임(12) 간의 간격보다 짧아도 안착판(20)을 통해 물품(1)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중량계(30)는 안착판(20)에 내부에 매립된다.
안착판(2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21) 및 본체부(21)의 빈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물품(1)을 지지하는 사각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량계(30)는 로드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판(20)의 내부 빈 공간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각패널(22)에 안착되는 물품(1)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중량계(30)에 의해 측정된 물품(1)의 중량은 액정(31)에 디스플레이된다.
액정(31)은 안착판(20)의 전면 또는 1열에 배치되는 받침프레임(12)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각 수납공간(S)에서 사각패널(22)의 상측으로 적층되는 물품(1)들의 총 중량을 확인해가면서 물품(1)을 수납하면 된다.
이러한 중량계(30)를 통해 각각의 수납공간(S)에 적층되는 물품(1)의 중량을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과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받침프레임(12)의 하 방향으로 휘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유닛(40)은 중공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유닛(40)은 수직프레임(11)과, 받침프레임(12) 및 보강프레임(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연에 장착될 수 있다.
완충유닛(40)이 적용되는 경우 전술한 클램프(C)의 몸체(C1)는 수직프레임(11)을 감싸는 완충유닛(40)에 장착되고, 제1 감쌈부(C2)는 받침프레임(12)에 장착되는 완충유닛(40)에 장착되며, 제2 감쌈부(C3)는 보강프레임(13)에 장착되는 완충유닛(40)에 장착된다.
완충유닛(40)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수직프레임(11)과, 받침프레임(12) 및 보강프레임(13)에 가해지는 각종 외부충격을 완충하여 수납부(10)의 붕괴와, 수직프레임(11)과, 받침프레임(12) 및 보강프레임(13)의 휨, 변형을 방지한다.
이때, 완충유닛(40)들 중 수직프레임(11)에 장착되는 완충유닛(40)은 수직프레임(11)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수직프레임(11)의 하측에는 장착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1)의 하측 즉, 완충유닛(40)이 장착되지 않는 영역에는 체결구(50)가 장착된다.
체결구(5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수직프레임(11)의 하측에 각각 장착된다.
체결구(50)의 외주연에는 후술되는 가압부(140)가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구(50)의 하측 둘레면에는 후술되는 기초플레이트(60)의 상면을 가압하는 플랜지(51)가 일체로 형성된다.
플랜지(51)는 체결구(5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플랜지(51)는 수직프레임(11)의 하측을 통과시키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기초플레이트(60)는 체결구(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지면에 안착된다.
기초플레이트(60)는 다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초플레이트(60)에는 수직프레임(11)의 하측을 통과시키는 통과수단이 형성된다.
통과수단은 통과홀 또는 수용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수용홈(60a)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앙카부(70)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기초플레이트(60)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앙카부(70)의 둘레면 및 수직방향을 따라서는 복수개의 앙카유닛(7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앙카유닛(71)은 앙카부(70)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앙카유닛(71)은 후술되는 충진물(90)에 매립되어 앙카부(70)가 상,하 방향과, 전,후,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기초플레이트(60) 및 안착플레이트(120)에 홀딩된 수직프레임(11)이 지진, 지반침하, 외부충격 등에 의해 상,하 방향과, 전,후,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결국 수직프레임(11)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물품(1)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박스부(80)는 앙카부(70) 및 충진물(90)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박스부(8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앙카부(7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박스부(80)는 지중의 일정깊이에 매립된다.
충진물(90)은 몰탈로 형성되어 박스부(80)의 수용공간에 충진된다.
충진물(90)은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양생되어 앙카부(70) 및 앙카유닛(71)을 고정시킨다.
유동방지부(100)는 기초플레이트(60)의 수용홈(60a)에 매립된다. 유동방지부(10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프레임(11)의 하측 둘레면을 감싼다.
유동방지부(100)는 기초플레이트(60)와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유동방지부(100)가 기초플레이트(60)의 수용홈(60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동방지부(100)의 내주연에는 수직프레임(1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돌기(101)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유동방지돌기(101)는 대략 반원형 단면 형상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돌기(101)들은 수직프레임(11)과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방지부(100)를 통해서 수직프레임(11)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부(10)의 구조적 안정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지지부(110)는 유동방지부(100)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탄성지지부(110)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성지지부(110)는 후술되는 안착플레이트(1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수직프레임(11)의 하측으로 집중되는 물품(1)의 하중을 완충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지지부(110)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안착플레이트(120)는 탄성지지부(110)의 상면에 탄성지지 된다.
안착플레이트(120)는 다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체결구(50)의 플랜지(51)가 안착된다.
안착플레이트(120)에는 수직프레임(11)의 하측을 통과시키는 통과홀(120a)이 형성된다.
부가 유동방지부(130)는 안착플레이트(120)의 통과홀(120a)에 매립된다. 부가 유동방지부(13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동방지부(100)의 상측에서 수직프레임(11)의 하측 둘레면을 감싼다.
부가 유동방지부(130)는 안착플레이트(120)와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부가 유동방지부(130)가 안착플레이트(120)의 통과홀(120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 유동방지부(130)의 내주연에는 수직프레임(1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부가 유동방지돌기(131)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부가 유동방지돌기(131)는 대략 반원형 단면 형상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유동방지돌기(131)들은 수직프레임(11)과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유동방지부(130)를 통해서도 수직프레임(11)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부(10)의 구조적 안정성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140)는 통상의 너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부(140)는 체결구(50)의 외주연에 체결되면서 그 저면이 플랜지(51)의 상면을 가압하여 안착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밀착시킨다.
체결구(50)는 수직프레임(11)에 장착되어 일체화 되고, 가압부(140)가 체결구(50)의 외주연에 체결되면서 플랜지(51)를 가압하여 수직프레임(11)의 무게중심을 아래쪽에 집중시킨다.
즉, 수직프레임(11)의 하측으로 물품(1)의 하중, 받침프레임(12) 및 보강프레임(13)의 하중이 집중되는 바, 가압부(140)를 체결구(50)에 체결하면 수직프레임(11)의 하부측을 지면측으로 밀착시키는 작용이 발생되어, 수직프레임(11)에 수직방향 모멘트나 활하중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수직프레임(11)이 휨,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지지부(110)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탄성지지부(110)가 안착플레이트(120)를 매개로 수직프레임(11)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수직프레임(11)의 하부측으로 집중되는 물품(1)의 하중, 받침프레임(12) 및 보강프레임(13)의 하중, 기타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일정수준으로 압축되면서 수직프레임(11)을 탄성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하중이나 진동을 완화시켜 수직프레임(11)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해준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은, 일 예로, 박스부(80)를 먼저 지중에 매립한 다음, 박스부(80)의 내부공간에 충진물(90)을 주압한 후, 앙카부(70)가 충진물(90)에 잠기도록 기초플레이트(60)를 지면에 안착한 다음, 안착플레이트(120)의 통과홀(120a)에 수직프레임(11)의 하측을 통과시키면서 수직프레임(11)의 하단이 유동방지부(100)에 감싸여지도록 한 후, 가압부(140)를 체결구(50)에 체결하여 플랜지(51)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수직프레임(11)의 고정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인출입부(150)는 수납공간(S)에 수납된 물품(1)을 인출하거나 또는, 수납공간(S)에 물품(1)을 인입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특히, 인출입부(150)는 한번에 많은 양의 물품(1)을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출입부(150)는 인출부(151)와, 이송대차부(152)와, 인출판(153)과 연결유닛(154) 및 전,후진 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인출부(151)는 물품(1)의 일측 끝부분 외면에 장착되는 탄성밴드(1511) 및 탄성밴드(1511)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며 자석부(151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부(1512)는 탄성밴드(1511)의 둘레면 뿐만 아니라 전면에도 결합될 수 있다.
자석부(1512)는 고무자석 또는 일반 하드재질의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품(1)의 전측은 수납공간(S)의 입구측에 위치되는 바, 탄성밴드(1511)는 후술되는 인출판(153)과 접촉되어 부착되도록 작업자에 의해 물품(1)의 전측에 장착된다.
이때, 탄성밴드(1511)는 여러 개로 적용되어 다수개의 물품(1)들을 여러 묶음으로 분할하거나 또는, 하나로 적용되어 하나의 수납공간(S)에 보관되는 모든 물품(1)을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탄성밴드(1511)가 여러 개로 적용되어 물품(1)들을 여러 묶음으로 분할한 예를 도시하였다.
이송대차부(152)는 적재판(1521)과, 서포트(1522) 및 롤러(15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재판(1521)의 상면에는 물품(1)이 안착된다.
즉, 입고된 물품(1)을 적재판(1521)의 상면한 다음, 이송대차부(152)를 수납부(10)로 이송시켜 적재판(1521)에 적재된 물품(1)을 수납공간(S)으로 옮기거나 또는, 수납공간(S)의 물품(1)을 출고하고자 할 경우, 수납공간(S)의 물품(1)을 적재판(1521)으로 옮긴 다음 출고차량으로 이송시키면 된다.
적재판(1521)에는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이송대차부(152)를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면 된다.
서포트(1522)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적재판(1521)의 저면 각 모서리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서포트(1522)는 적재판(1521)을 받침프레임(12) 또는 안착판(20)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키도록 그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서포트(1522)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제1 서포트유닛(15221) 및 일부분이 제1 서포트유닛(15221)의 내부 빈 공간에 수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1 서포트유닛(1522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2 서포트유닛(15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포트유닛(15221)의 상측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높낮이 조절홀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제2 서포트유닛(15222)의 하측에는 높낮이 조절홀 중 어느 하나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연결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서포트유닛(15222)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적재판(1521)을 2층 또는 3층에 위치된 받침프레임(12)이나 안착판(20)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연결홀과 어느 하나의 높낮이 조절홀에 하나의 고정핀을 수평방향으로 관통설치하여 적재판(1521)의 높낮이를 결정하면 된다.
이때, 서포트(1522)는 제1 서포트유닛(15221) 및 제2 서포트유닛(15222) 대신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1522)의 높이로 인해 1층에 위치된 수납공간(S)에 수납된 물품(1)은 인출할 수 없고, 2층 이상의 수납공간(S)에 수납된 물품(1)만 인출할 수 있음을 밝힌다.
롤러(1523)는 제1 서포트유닛(15221)의 하측에 각각 결합된다.
롤러(1523)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여 이송대차부(152)를 원하는 위치, 즉, 수납부(10) 또는 출고차량으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롤러(1523)는 이송대차부(152)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제1 서포트유닛(15221)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된다.
그 일예로, 롤러(1523)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의 내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브라켓의 상면에는 제1 서포트유닛(15221)의 저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이 형성될 수 있다.
인출판(153)은 적재판(1521)의 상면에 배치된다.
인출판(153)은 대략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재판(1521)의 상면에 기립된 상태로 안착된다.
인출판(153)의 저면에는 돌기 형태의 슬라이더부가 형성되고, 적재판(1521)의 상면에는 슬라이더부가 수용되는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인출판(153)이 수납공간(S)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될 시, 슬라이더부가 레일홈을 따라 이동됨으로, 인출판(153)이 적재판(15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출판(153)은 자석부(1512)와 반대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인출판(153)의 전면에는 자석부(1512)와 반대 극성을 갖는 다수개의 자석이 매립될 수 있다.
연결유닛(154)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인출판(15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된다.
연결유닛(154)은 수직,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실린더(155)는 인출판(15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적재판(1521)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송실린더(155)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로드레스 실린더나 리니어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닛(154)은 이송실린더(155)의 피스톤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이송실린더(155)는 연결유닛(154)을 통해 인출판(153)을 인출부(151)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적재판(1521)의 측면이나 저면에는 이송실린더(15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재판(1521)에는 이송실린더(155)의 피스톤을 전진 시키는 전진 버튼 및 피스톤을 후진 시키는 후진 버튼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인출입부(150)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납공간(S)에 수납된 물품(1)을 출고하고자 할 경우, 제2 서포트유닛(15222)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받침프레임(12) 또는 안착판(20)과 적재판(1521)의 높낮이를 일치시킨 다음, 이송실린더(155)를 통해 인출판(153)을 전진시켜, 인출판(153)에 물품(1)에 장착된 인출부(151)의 자석부(1512)에 부착시킨다.
이후에, 이송실린더(155)를 통해 인출판(153)을 후진시키면 인출부(151) 및 인출부(151)가 장착된 물품(1)이 수납공간(S)에서 적재판(1521)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입고된 물품(1)을 수납공간(S)에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 서포트유닛(15222)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적재판(1521)의 높낮이를 2층 또는 3층에 위치된 받침프레임(12) 또는 안착판(20)과 일치시킨 다음, 인출판(153)을 후진시켜 적재판(1521)에 물건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이후, 적재판(1521)의 상면에 물품(1)을 적재한 다음, 물품(1)의 전측에 인출부(151)의 탄성밴드(1511)를 장착한다.
이후에, 이송대차부(152)를 수납부(10)로 이송시킨다.
이후에, 적재판(1521)에 적재된 물품(1)을 2층 또는 3층의 수납공간(S) 전방에 위치시킨 다음, 이송실린더(155)를 통해 인출판(153)을 전진시킨다. 따라서, 적재판(1521)에 적재되어 있던 물품(1)은 인출판(153)에 밀려 수납공간(S)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은 이상 설명한 인출입부(150)를 통해 한번의 여러 개의 물품(1)을 수납공간(S)에 용이하게 수납하거나 또는, 수납공간(S)에 수납된 물품(1)을 인출하여 출고할 수 있어 입고 또는 출고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하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분리부(160)는 인출판(153)에 부착된 인출부(151)를 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분리부(160)는 탑재판(161)과, 승강실린더(162) 및 이격칼날부(1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탑재판(161)은 인출판(153)의 후면 상측에 수평설치된다.
승강실린더(162)는 탑재판(161)의 상면에 볼트나 피스를 통해 결합되어 탑재된 상태를 유지한다.
승강실린더(162)는 로드레스 실린더나 유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재판(1521)의 측면이나 저면에는 승강실린더(16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칼날부(163)는 승강실린더(162)의 피스톤에 결합된다.
이격칼날부(163)의 하측은 인출판(153)에 부착된 인출부(151)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칼날과 같이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인출판(153)에 인출부(151)가 부착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162)를 통해 이격칼날부(163)를 하강시키면, 이격칼날부(163)가 인출판(153)과 인출부(151)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인출판(153)에 부착된 인출부(151)를 이격시키게 된다.
일 예로, 인출입부(150)를 통해 수납공간(S)에 물품(1)을 입고시킨 다음에는 분리부(160)를 통해 인출판(153)과 인출부(151)를 분리시키면 된다.
그리고, 수납공간(S)에 수납된 물품(1)을 손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이송대차부(152)를 후진시켜 인출판(153)과 인출부(151)를 이격시키면, 물품(1)이 수납공간(S)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납부 11 : 수직프레임
12 : 받침프레임 13 : 보강프레임
20 : 안착판 21 : 본체부
22 : 사각패널 30 : 중량계
31 : 액정 40 : 완충유닛
50 : 체결구 51 : 플랜지
60 : 기초플레이트 60a : 수용홈
70 : 앙카부 71 : 앙카유닛
80 : 박스부 90 : 충진물
100 : 유동방지부 101 : 유동방지돌기
110 : 탄성지지부 120 : 안착플레이트
120a : 통과홀 130 : 부가 유동방지부
131 : 부가 유동방지돌기 140 : 가압부
150 : 인출입부 151 : 인출부
1511 : 탄성밴드 1512 : 자석부
152 : 이송대차부 1521 : 적재판
1522 : 서포트 15221 : 제1 서포트유닛
15222 : 제2 서포트유닛 1523 : 롤러
153 : 인출판 154 : 연결유닛
155 : 이송실린더 160 : 분리부
161 : 탑재판 162 : 승강실린더
163 : 이격칼날부

Claims (3)

  1. 종, 횡 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복수개의 구획된 물품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 및 각 열마다 배치된 수직프레임들을 각각 연결하는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프레임은 각 열마다 배치된 수직프레임들의 수직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수직방향으로 구획하며,
    상기 수납부는 각 열마다 위치된 받침프레임들과 교차되는 형태로 서로 다른 열에 배치된 수직프레임들을 각각 연결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사이 마다 배치되며, 상기 받침프레임들의 상면에 공동으로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물품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판;
    상기 안착판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안착판에 안착되는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중량계;
    상기 수직프레임과, 받침프레임 및 보강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유닛;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의 하측에 장착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며, 하측 둘레면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을 통과시키도록 중공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체결구;
    상기 체결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지면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기초플레이트;
    상기 기초플레이트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둘레면 및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앙카유닛이 형성된 앙카부;
    지중에 매립되며, 내부에 상기 앙카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며 양생에 의해 상기 앙카부를 고정하는 몰탈재질의 충진물;
    상기 기초플레이트의 수용홈에 매립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둘레면을 감싸고, 내주연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유동방지돌기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초플레이트와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유동방지부;
    상기 유동방지부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탄성지지부;
    상기 탄성지지부의 상면에 탄성지지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을 통과시키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 상기 체결구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통과홀에 매립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둘레면을 감싸고, 내주연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부가 유동방지돌기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부가 유동방지부;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면서 상기 플랜지를 가압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거나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 물품을 인입하도록 마련되는 인출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부는,
    상기 물품의 일측 끝부분 외면에 장착되며,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인출부;
    상기 수납공간에 보관된 물품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 보관하기 위한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판과, 상기 적재판을 상기 받침프레임 또는 안착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키도록 그 높이가 조절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며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대차부;
    상기 적재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인출부와 반대 극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인출판;
    상기 인출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인출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적재판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보관된 물품이 상기 인출부와 인출판의 부착에 의해 상기 적재판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물품이 상기 인출판에 밀려 상기 수납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유닛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송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판에 부착된 상기 인출부를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인출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탑재판;
    상기 탑재판의 상면에 탑재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인출판과 상기 인출부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상기 인출판에 부착된 인출부를 이격시키는 이격칼날부를 포함하는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35243A 2022-10-19 2022-10-19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 KR102500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243A KR102500242B1 (ko) 2022-10-19 2022-10-19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243A KR102500242B1 (ko) 2022-10-19 2022-10-19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242B1 true KR102500242B1 (ko) 2023-02-16

Family

ID=8532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243A KR102500242B1 (ko) 2022-10-19 2022-10-19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2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427A (ja) * 1991-12-25 1993-07-20 Daifuku Co Ltd 表示装置付き枠組み棚
KR101386512B1 (ko) * 2013-01-21 2014-04-17 문승일 적재공간 가변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조립식 랙 구조물
KR102380255B1 (ko) 2019-10-10 2022-03-28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영상 기반 선반 상품 재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9405A (ko) * 2020-11-20 2022-05-27 이기우 랙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427A (ja) * 1991-12-25 1993-07-20 Daifuku Co Ltd 表示装置付き枠組み棚
KR101386512B1 (ko) * 2013-01-21 2014-04-17 문승일 적재공간 가변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조립식 랙 구조물
KR102380255B1 (ko) 2019-10-10 2022-03-28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영상 기반 선반 상품 재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9405A (ko) * 2020-11-20 2022-05-27 이기우 랙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8474B2 (en) Object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5464104A (en) Mobile storage rack for containers
US3887073A (en) Nestable-stackable receptacle
IL249473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storage and management
US20110253656A1 (en) Modular collapsible gardening rack
US6738687B2 (en) Storage shelf
KR101913219B1 (ko) 지진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창고관리시스템
KR102500242B1 (ko) 재고 보관용 거치대 시스템
US20070295682A1 (en) Cantilever pallet cart
CA3206720A1 (en) Object handling system and method
CN203211854U (zh) 一种线缆密集式存储货架
KR102324862B1 (ko) 재고 관리 시스템
US2963169A (en) Storage rack
CN215922843U (zh) 物流箱
CN217043507U (zh) 分拣装置及物流分拣系统
US6505748B2 (en) Modular storage rack for storing spooled material having arms and an axle for dispensing the spooled material
CN113356658A (zh) 载车板存放架、载车板、载车板存取系统及方法
US11807457B2 (en) System for distributing heavy bins in a storage grid
CN221139673U (zh) 一种便于装卸料的肥料成品仓储货架
CN207090264U (zh) 一种可升降式安全仓储架
WO2012052282A1 (en) Spool rack with securing bars
US2976096A (en) Article dispenser means
CN221139084U (zh) 一种配适于仓储货架的肥料成品托盘
CN109018614A (zh) 一种电力重点物资供应中可视式多层防挤压运输箱
CN216003434U (zh) 一种可码垛的托盘及码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