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047B1 -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047B1
KR102500047B1 KR1020207021752A KR20207021752A KR102500047B1 KR 102500047 B1 KR102500047 B1 KR 102500047B1 KR 1020207021752 A KR1020207021752 A KR 1020207021752A KR 20207021752 A KR20207021752 A KR 20207021752A KR 102500047 B1 KR102500047 B1 KR 102500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feedback
tim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203A (ko
Inventor
하이 탕
훼이-밍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를 개시하였고, 상기 방법은, 제1 단말이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중에는 제1 시간 정보가 반송됨 - ;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제1 전송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2 단말이 제1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여,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카 네트워킹 시스템은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 기기간 통신(D2D, Device to Device) 기반의 사이드 링크(SL, Sidelink) 전송 기술을 채택하며, 이는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통신 데이터가 기지국을 통해 송수신되는 방식과 서로 다른 바, 카 네트워킹 시스템은 단말 간 직접 통신 방식을 채택하므로, 더욱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더욱 낮은 전송 지연을 갖는다.
3GPP Rel-14에서는 카 네트워킹 기술(V2X, Vehicle-to-Everything)에 대해 표준화를 수행하였으며, 모드 3과 모드 4와 같은 두 가지 전송 모드가 정의되어 있다. 모드 3에서, 단말의 전송 자원은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다. 모드 4에서, 단말은 센싱(sensing)+예약(reservation)의 방식으로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NR-V2X에서는, 자율주행을 지원해야 하므로, 차량 사이의 데이터 인터랙션에 대해, 높은 정보 처리율, 낮은 지연, 높은 신뢰성, 큰 커버리지 범위, 유연한 자원 할당 등에 대한 요구가 더욱 높아진다. 상기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NR-V2X 에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을 도입해야 하며,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에서, 송신단이 복수의 후보 빔 중에서 최적의 빔을 어떻게 선택할지는 수신단이 피드백한 최적의 빔의 인덱스 값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또한, NR-V2X는 유니 캐스트(unicast), 그룹 캐스트(groupcast), 브로드 캐스트(broadcast)와 같은 다양한 전송 방식을 지원해야 한다. 유니 캐스트 전송의 경우, 수신단은 긍정 확인 응답(ACK)/부정 확인 응답(NACK) 등 정보를 피드백할 필요가 있으며, 송신단은 수신단의 피드백 정보에 따라 재전송 등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수신단에 의해 송신되는 피드백 정보의 자원(즉 피드백 자원)은 경쟁의 방식을 통해 획득된 것이며, 혼잡 시나리오에서, 수신단은 적절한 피드백 자원을 획득하기 매우 어렵거나, 획득한 피드백 자원의 지연이 클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 자원을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송신단의 지연 요구 사항을 더이상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일부 시나리오에서, 송신단은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송신단이 맹목적으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할 경우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상술한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피드백 방법은,
제1 단말이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에 따라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제1 전송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를 나태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제1 전송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 및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송 시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물리적 사이드 링크 제어 채널(PSCCH,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또는 물리적 사이드 링크 공유 채널(PSSCH,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에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데이터의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속성은, 상기 데이터의 우선 순위 정보, QoS 정보,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데이터의 상기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속성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피드백 방법은,
제2 단말이 제1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여,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제2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며;
상기 제2 단말이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 및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를 나태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제2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 상기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됨 - ;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가 오버타임되기 전인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제2 단말이 피드백 정보의 검출을 중지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위 계층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가 오버타임될 때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제2 단말이 피드백 정보의 검출을 중지하고, 상위 계층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지 못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데이터 중에 상기 제1 시간 정보가 반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PSCCH 또는 PSSCH에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상기 데이터의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은, 상기 데이터의 우선 순위 정보, QoS 정보,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속성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나타냄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피드백 장치는,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상기 데이터에 따라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제1 전송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및
상기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를 나태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2 전송 시점 및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송 시점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PSCCH 또는 PSSCH에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데이터의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속성은, 상기 데이터의 우선 순위 정보, 서비스 품질(QoS) 정보 및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속성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피드백 장치는,
제1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및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제2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2 전송 시점 및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를 나태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제2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가 오버타임되기 전인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제2 단말이 피드백 정보의 검출을 중지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위 계층 엔티티에 송신하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가 오버타임될 때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제2 단말이 피드백 정보의 검출을 중지하고, 상위 계층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지 못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데이터 중에 상기 제1 시간 정보가 반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PSCCH 또는 PSSCH에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상기 데이터의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은, 상기 데이터의 우선 순위 정보, QoS 정보,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속성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나타냄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정보 피드백 방법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제1 단말이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에 따라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제1 전송 시점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한다. 제2 단말이 제1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이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여,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송신된 데이터 중에 피드백 정보의 지연 정보를 반송함으로써, 수신단이 기정 시간 내에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송신단이 데이터를 송신한 후의 일정 기간 내에서 피드백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송신단이 검출 실패로 인한 피드백 정보의 무한 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부당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 1은 카 네트워킹에서의 모드 3의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 2는 카 네트워킹에서의 모드 4의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피드백 방법의 흐름 모식도 1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피드백 방법의 흐름 모식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피드백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1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피드백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2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컴퓨터 기기의 구조 구성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과 기술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 도면은 설명을 참조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 카 네트워킹 중의 모드 3과 모드 4를 해석 설명한다.
모드 3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탑재 단말의 전송 자원은 기지국(예를 들어, LTE 중의 이노드비(eNB, evolved NodeB))에 의해 할당된 것인 바,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다운 링크(DL, Down Link)를 통해 차량 탑재 단말에 그랜트(Grant)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고; 다음, 차량 탑재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자원에 따라 SL 상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한다. 모드 3에서, 기지국은 차량 탑재 단말에 단일 전송된 자원을 할당할 수 있거나, 반정적 전송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모드 4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탑재 단말은 센싱+예약의 전송 방식을 채택한다. 차량 탑재 단말은 자원 풀 중에서 센싱의 방식을 통해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세트를 획득하고, 상기 전송 자원 세트 중에서 하나의 자원을 램덤으로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카 네트워킹 시스템 중의 서비스가 주기성 특징을 갖기 때문에, 차량 탑재 단말은 일반적으로 반정적 전송의 방식을 사용하는 바, 즉 차량 탑재 단말은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한 후, 복수의 전송 주기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자원 재선택 및 자원 충돌의 확률을 감소시킨다. 차량 탑재 단말은 금번 전송된 제어 정보 중에 다음번 전송 자원을 예약하는 정보를 반송하여, 다른 단말로 하여금 상기 차량 탑재 단말의 제어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이 자원 블록이 상기 차량 탑재 단말에 의해 예약 및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자원 충돌을 감소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LTE-V2X에서 모드 3을 사용하여 차량 탑재 단말의 전송 자원이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었음을 각각 나타내고, 모드 4를 사용하여 차량 탑재 단말의 전송 자원이 단말에 의해 자발적으로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며, NR-V2X에서 새로운 전송 모드를 정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NR-V2X에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다중 안테나는 이하의 여러 측면의 장점이 있다.
1) 더욱 높은 전송 속도: 다중 안테나의 다중화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 상에서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2) 더욱 큰 커버리지 범위와 더욱 높은 신뢰성: 빔 포밍(Beamforming) 기술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하나의 매우 좁은 빔 내에 집중시킴으로써, 수신단의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를 향상시켜, 수신단의 수신 성공 확률 또는 전송 거리를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Beamforming을 통해 커버리지 범위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송신단이 복수의 후보 빔 중에서 최적의 빔을 어떻게 선택할지는 아래의 과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송신단은 빔 스캐닝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바, 서로 다른 빔을 각각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하며; 수신단은 각 빔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품질이 가장 좋은 하나의 빔을 최적의 빔으로 선택하며, 또한 상기 빔의 인덱스 값을 송신단에 피드백하고; 후속의 데이터 전송 중에서 송신단은 상기 최적의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방안에 있어서, 수신단은 송신단에 빔의 인덱스 값을 피드백할 필요가 있고, 또한, 수신단은 송신단에 ACK/NACK 등 정보와 같은 다른 타입의 정보를 더 피드백할 필요가 있으며, 서로 다른 피드백 정보는 송신단으로 하여금 서로 다른 전송 전략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NR-V2X에서의 정보 피드백은 주로 이하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1) 정보 피드백의 시간 제한: 수신단이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자원은 경쟁의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으며, 혼잡 시나리오에서, 수신단은 적절한 피드백 자원을 획득하기 매우 어렵거나, 획득한 피드백 자원의 지연이 클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 자원을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송신단의 지연 요구사항을 더이상 만족시킬 수 없다.
2) 송신단은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며, 이는 두 가지 원인이 존재할 수 있다.
2.1) 수신단은 송신단의 제어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하지 못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고, 수신단은 정보의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
2.2) 수신단은 제어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하였고, 데이터를 검출하고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였으나, 송신단은 피드백 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하지 못했다.
이때, 송신단은 수신단의 피드백 정보를 계속 검출하는 것을 중지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피드백 방법의 흐름 모식도 1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피드백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에 있어서, 제1 단말은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에 따라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타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 바, 차량 탑재 단말, 휴대 전화, 노트 컴퓨터 등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를 나태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시간 정보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PSCCH 또는 PSSCH에서 운반되고, PSCCH 또는 PSSCH에서의 몇 비트로 지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시간 정보는 암시적인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데이터의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속성은, 상기 데이터의 우선 순위 정보, QoS 정보,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속성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데이터의 서로 다른 속성은 서로 다른 시간 정보에 대응하며, 하나의 대응 관계 테이블을 구축할 수 있으며, 상기 대응 관계 테이블에는 복수의 대응 관계가 포함되며, 각 대응 관계는 하나의 속성과 시간 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며, 제1 단말은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대응 관계 테이블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검색한다.
단계30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제1 전송 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제1 단말이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전송 시점 및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송 시점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중에 반송되는 시간 정보가 20 ms(최대 지연)이고, 제2 단말이 시점 n(제2 전송 시점)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며, 제1 단말은 시점 n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그 중에 반송되는 시간 정보를 얻으며, 제1 단말은 [n+1, n+20ms](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내에서 자원(제1 전송 시점)을 선택하고 피드백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303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제2 단말이 제1 전송 시점에 수신한 피드백 정보는 제2 단말의 지연 요구사항에 부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피드백 방법의 흐름 모식도 2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피드백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1에 있어서, 제2 단말은 제1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타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 바, 차량 탑재 단말, 휴대 전화, 노트 컴퓨터 등 기기일 수 있다.
단계402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여,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제2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 및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를 나태내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데이터 중에 상기 제1 시간 정보가 반송되며; 또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PSCCH 또는 PSSCH에서 운반된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데이터 중에 상기 제1 시간 정보가 반송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제2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키며, 여기서, 상기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단말은 각 시간 유닛 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며, 하나의 시간 유닛을 검출할 때마다 상기 타이머에서 1을 감하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가 오버타임되기 전인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제2 단말은 피드백 정보의 검출을 중지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위 계층 엔티티에 송신하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가 오버타임될 때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제2 단말이 피드백 정보의 검출을 중지하고, 상위 계층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지 못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단말이 시점 n에서 데이터를 송신한 후, [n+1,n+T]의 시간 범위 내에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T는 제2 단말이 원하는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이다. 제2 단말이 데이터를 송신한 후, 타이머를 T1을 작동시키며, T1=T=20 ms와 같이 T1을 원하는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T로 설정하며, 제2 단말은 이후의 각 서브 프레임에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며, 타이머를 1만큼 감소시키며, 피드백 정보가 검출되면, 제2 단말은 피드백 정보의 검출을 중지하고, 또한 피드백 정보를 상위 계층 엔티티에 보고한다. 타이머가 0으로 감소될때까지 피드백 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2 단말은 검출을 중지하고, 상위 계층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보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지 못했거나, 피드백 정보의 검출이 오버타임되었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상기 데이터의 제1 속성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속성은, 상기 데이터의 우선 순위 정보, QoS 정보,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1 속성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피드백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1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피드백 장치는,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501);
상기 데이터에 따라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제1 전송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502); 및
상기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503)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를 나태내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 유닛(502)은, 상기 제2 전송 시점 및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송 시점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PSCCH 또는 PSSCH에서 운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502)은, 상기 데이터의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제1 속성은, 상기 데이터의 우선 순위 정보, 서비스 품질(QoS) 정보 및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502)은, 상기 제1 속성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당업자는 도 5에 나타낸 정보 피드백 장치 중의 각 유닛의 구현 기능은 전술한 정보 피드백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정보 피드백 장치 중의 각 유닛의 기능은 프로세서 상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거나, 구체적인 논리 회로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피드백 장치의 구조 구성 모식도 2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피드백 장치는,
제1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601);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602); 및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유닛(603)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601)은 제2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결정 유닛(602)은, 상기 제2 전송 시점 및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를 나태내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603)은, 제2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키며, 여기서, 상기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가 오버타임되기 전인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제2 단말이 피드백 정보의 검출을 중지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위 계층 엔티티에 송신하고, 또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가 오버타임될 때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제2 단말이 피드백 정보의 검출을 중지하고, 상위 계층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지 못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데이터 중에 상기 제1 시간 정보가 반송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PSCCH 또는 PSSCH에서 운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상기 데이터의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은, 상기 데이터의 우선 순위 정보, QoS 정보,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속성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나타냄 - 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도 6에 도시된 정보 피드백 장치 중의 각 유닛의 구현 기능이 전술한 정보 피드백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정보 피드백 장치 중의 각 유닛의 기능은 프로세서 상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거나, 구체적인 논리 회로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기술방안은 카 네트워킹 시스템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다른 엔드 투 엔드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상기 단말은 차량 탑재 단말, 핸드 헬드 단말,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웨어러블 단말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정보 피드백 장치가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실현되고, 또한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한 기여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함으로써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의 특정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정보 피드백 방법이 구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컴퓨터 기기의 구조 구성 모식도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컴퓨터 기기는 임의의 타입의 단말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기기(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도면에 하나만 도시됨) 프로세서(1002)(프로세서(1002)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또는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웨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 처리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04), 및 통신 기능에 사용되는 전송 장치(1006)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도 7에 나타낸 구조는 예시적인 것일 뿐, 상기 전자 장치의 구조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기(100)는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도 7에 도시된 것과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0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정보 피드백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모듈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002)는 메모리(100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바, 즉 상술한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004)는 고속 램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자기 저장 장치, 플래시 또는 다른 비 휘발성 고체 메모리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 있어서, 메모리(1004)는 프로세서(1002)에 대해 원격 설치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기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네트워크의 예는 인터넷,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송 장치(1006)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한다. 상술한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예는 컴퓨터 기기(100)의 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전송 장치(1006)는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전송 장치(1006)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일 수 있으며, 무선 방식을 통해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 사이는 충돌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논리 기능적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 시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되거나 다른 한 시스템에 통합되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나타내거나 거론된 상호 간의 커플링, 직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의 연결일 수도 있다.
상기 분리된 컴포넌트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나타낸 컴포넌트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제2 처리 유닛에 통합되거나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교체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과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31)

  1. 정보 피드백 방법으로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에 따라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피드백 정보의 제1 전송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피드백 정보의 제1 전송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 및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송 시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물리적 사이드 링크 제어 채널(PSCCH) 또는 물리적 사이드 링크 공유 채널(PSSCH)에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데이터의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속성은, 상기 데이터의 우선 순위 정보, 서비스 품질(QoS) 정보 및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데이터의 상기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속성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방법.
  6. 정보 피드백 방법으로서,
    제2 단말이 제2 전송 시점에 제1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여,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단말이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 및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제2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 상기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됨 - ;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가 오버타임되기 전인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제2 단말이 피드백 정보의 검출을 중지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위 계층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가 오버타임될 때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제2 단말이 피드백 정보의 검출을 중지하고, 상위 계층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검출하지 못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데이터 중에 상기 제1 시간 정보가 반송되고,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전송 시점에서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한 상기 데이터의 제1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속성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나타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방법.
  10. 정보 피드백 장치로서,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상기 데이터에 따라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피드백 정보의 제1 전송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및
    상기 제1 전송 시점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수신된 피드백 정보의 최대 지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제2 전송 시점에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2 전송 시점 및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후보 시간 도메인 자원 세트 중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송 시점을 선택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정보는 PSCCH 또는 PSSCH에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장치.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데이터의 제1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속성은, 상기 데이터의 우선 순위 정보, 서비스 품질(QoS) 정보 및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속성 및 제1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상기 제1 속성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피드백 장치.
  15.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 또는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207021752A 2017-12-27 2017-12-27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500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19137 WO2019127154A1 (zh) 2017-12-27 2017-12-27 一种信息反馈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203A KR20200113203A (ko) 2020-10-06
KR102500047B1 true KR102500047B1 (ko) 2023-02-14

Family

ID=6706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752A KR102500047B1 (ko) 2017-12-27 2017-12-27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12469B2 (ko)
EP (2) EP4167674A1 (ko)
JP (1) JP7089592B2 (ko)
KR (1) KR102500047B1 (ko)
CN (2) CN111901781B (ko)
AU (1) AU2017445368A1 (ko)
RU (1) RU2753373C1 (ko)
SG (1) SG11202006267PA (ko)
WO (1) WO2019127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9492B (zh) * 2020-07-16 2023-06-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反馈信息传输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88149C2 (ru) * 2005-03-24 2010-04-27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обратной связи формирования лучей в многоантенных системах связи
KR100691430B1 (ko) * 2005-12-05 2007-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궤환 정보를 이용한 적응 송신방법 및 장치
EP2692070B1 (en) * 2011-03-31 2019-11-20 Sun Patent Trust Method and user equipment of feeding back mu-cqi in a communication system
TWI620459B (zh) 2012-05-31 2018-04-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蜂巢式通訊系統中賦能直鏈通訊排程及控制方法
CN103677546B (zh) * 2012-09-03 2017-03-0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CN105187153B (zh) * 2014-06-06 2021-07-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反馈方法、发送方法、反馈装置及发送装置
CN105472744B (zh) * 2014-09-02 2020-07-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05991247A (zh) * 2015-02-16 2016-10-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到设备发送、接收、调度方法和相应装置
CN105263195B (zh) * 2015-09-23 2018-11-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装置及方法
CN106612561B (zh) * 2015-10-23 2019-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指示方法、装置及系统
WO2017119135A1 (ja) 2016-01-08 2017-07-1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
WO2017142377A1 (ko) * 2016-02-20 2017-08-2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757722B2 (en) * 2016-03-25 2020-08-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wing wireless resource to be allocat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7231400B (zh) * 2016-03-25 2020-07-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数据的同步方法和装置
CN107294646B (zh) 2016-04-01 2020-08-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息反馈方法、基站及终端
KR20210010320A (ko) * 2019-07-19 2021-01-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및 예약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312526A (zh) * 2019-08-01 2021-02-0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装置到装置通信监测功率节省的方法和设备
US11956679B2 (en) * 2019-08-16 2024-04-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nsing and resource selection based on priorities for sidelink transmiss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726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203A (ko) 2020-10-06
CN111901781B (zh) 2023-03-24
AU2017445368A1 (en) 2020-08-13
CN111527785A (zh) 2020-08-11
JP7089592B2 (ja) 2022-06-22
WO2019127154A1 (zh) 2019-07-04
RU2753373C1 (ru) 2021-08-13
US20200329445A1 (en) 2020-10-15
EP3735079B1 (en) 2023-01-25
SG11202006267PA (en) 2020-07-29
CN111901781A (zh) 2020-11-06
EP3735079A1 (en) 2020-11-04
US11412469B2 (en) 2022-08-09
JP2021513764A (ja) 2021-05-27
EP4167674A1 (en) 2023-04-19
EP3735079A4 (en)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976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3820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eliability transmission in vehicle to everything (V2X) communication
US202103070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r v2x resource selection
US11084436B2 (en)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interruptions for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US2022004669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80492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558852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2300855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advance valid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45122A1 (en) Signal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source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30143285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idelink device
KR102500047B1 (ko)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KR101613238B1 (k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무선 스테이션들 및 그에 대한 시스템
KR101992033B1 (ko) 경쟁 기반 업링크 전송의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노드
EP384636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JP2021513766A (ja) 情報フィードバック方法及び装置、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