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877B1 -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877B1
KR102499877B1 KR1020200181545A KR20200181545A KR102499877B1 KR 102499877 B1 KR102499877 B1 KR 102499877B1 KR 1020200181545 A KR1020200181545 A KR 1020200181545A KR 20200181545 A KR20200181545 A KR 20200181545A KR 102499877 B1 KR102499877 B1 KR 102499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tank
connection pipe
strip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625A (ko
Inventor
이의철
김태현
김정환
이보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주)크레이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주)크레이더스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20018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877B1/ko
Priority to PCT/KR2020/019102 priority patent/WO2022139039A1/ko
Priority to US17/146,962 priority patent/US11857716B2/en
Publication of KR2022009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3Suction drainage systems comprising sensors or indicators for physical val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61M1/784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by filtering, sterilising or disinfecting the exhaust air, e.g. swellable filter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51Colorimeters; Construct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83Investigating reagent 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9Filters for solid ma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8Draining devices having means for processing the drained fluid, e.g. an absorber
    • A61M1/884Draining devices provided with means for filtering out the harmless water content before discarding the drain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96U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61M2205/3389Continuous leve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61M2205/3393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by weighing the reservo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1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inside a container, e.g. in an ampou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배뇨처리 시스템은 착용자의 배설물을 받아내는 리시버, 상기 리시버로부터 소변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소변탱크와 상기 소변탱크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리시버로 음압을 전달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리시버와 상기 소변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한다. 상기 소변탱크는 색변화를 통해 상기 저장된 소변의 성분을 분석하는 스트립을 수용하는 스트립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변탱크의 외측면에는 상기 스트립의 색 변화를 센싱하는 제1광센서부, 상기 저장된 소변의 탁도 및 색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제2광센서부를 이용하여 소변 분석을 수행한다. 이렇게 분석된 소변정보를 통해 장애인이나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배뇨처리 시스템{Automatic urination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배뇨에 장애가 있는 고령자나 장기요양환자의 배설처리를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배설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와 교통사고나 산업재해와 같은 후천적인 장애인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들 중 장기적인 요양을 필요로 하는 장기요양 대상자 중에서 배설조절이 어려운 환자들은 간병인의 도움 없이 혼자 힘으로 몸을 움직이거나 일으킬 수 없다.
이러한 장기요양 환자들은 보통 가정이 아닌 다수의 환자를 한명의 간병인이 케어하고 있다. 밤 시간이나 간병인이 자리를 비웠을 경우에 즉각적인 배설을 처리하지 못 해 욕창과 위생 등의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이들의 배설처리는 간병인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으로 이들의 피로를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장기요양 환자들의 배설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해 자동배설처리 기기가 제공되었다.
종래의 자동배설처리 기기는 착용자의 소변이 기저귀 타입의 리시버 또는 컵 형태의 리시버에 흡수되고, 상기 리시버에 흡수된 소변에 음압을 걸어 소변탱크로 흡입하도록 하는 구성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배설처리 기기는 진공탱크를 통해 음압을 형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음압이 진공탱크, 소변탱크, 연결관을 차례로 통과한 뒤 리시버로 전달되고, 음압이 걸린 리시버에서 소변이 배출되어 연결관을 통해 소변탱크로 저장한다.
이러한 음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소변탱크에 저장된 소변은 수증기 형태로 방출되면서 소변탱크와 진공탱크를 연결하는 관을 따라 진공탱크까지 전달된다.
이렇게 진공탱크로 전달된 수증기는 진공탱크 내에서 응결되면서 진공탱크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리시버는 음압이 걸리더라도 적은 양의 소변이나 착용자의 땀까지 모두 소변탱크로 전달되지 못 해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호자는 장기요양기관에 입원한 환자들의 건강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관심이 높으나, 이를 알 수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의료진은 원격에서 입원 환자들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31528(2008.05.15 등록)
본 발명은 진공펌프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공펌프의 부식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령자 또는 장애인의 소변을 분석하여 건강관리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는 자동배설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배뇨처리 시스템이 장착된 실내 공기의 쾌적함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배뇨처리 시스템은 착용자의 배설물을 받아내는 리시버, 상기 리시버로부터 소변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소변탱크와 상기 소변탱크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리시버로 음압을 전달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리시버와 상기 소변탱크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변탱크 내부에는 색변화를 통해 상기 저장된 소변의 성분을 분석하는 스트립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소변탱크는 상기 스트립의 색 변화를 센싱하는 제1광센서부와 상기 저장된 소변의 탁도 및 색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제2광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은 상기 소변에 포함된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색변화부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색변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거나, 단일의 광원에서 상기 색변화부에 대응되는 수의 광으로 분배되고, 상기 분배된 광이 상기 각각의 색변화부로 전달되어,상기 복수의 색변화부의 색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자동배뇨처리 시스템은 상기 자동배뇨처리 시스템은 상기 소변탱크 및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보조탱크, 일단이 상기 소변탱크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탱크와 연결되는 제2연결관, 일단이 상기 보조탱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제3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변탱크는 상기 소변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소변의 수위기 미리 설정한 범위에 도달한 경우에 뇨 수위정보를 발생하는 플로트 센서, 상기 소변탱크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의 질량을 감지하고, 상기 소변의 수위기 미리 설정한 범위에 도달한 경우에 뇨 질량정보를 발생하는 질량 센서, 상기 소변탱크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의 거품을 감지하고, 상기 소변의 거품이 미리 설정한 범위에 도달한 경우에 거품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뇨 수위정보 내지 거품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진공펌프의 구동이 멈출 수 있다.
상기 소변탱크 내부에는 색변화를 통해 소변성분을 분석하는 스트립이 장착되되,
상기 스트립은 소변성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색변화부가 부착된 스트립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 지지대는 스트립 장착부에 장착되되,
상기 스트립 장착부는 상기 스트립 지지대를 안착하고, 상기 소변탱크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장착부는 상기 스트립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수직이고, 상기 스트립 지지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스트립 지지대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소변탱크의 일면에 상기 스트립 장착부를 장착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와 연결된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부는 스트립 지지대의 일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절곡부는 상기 소변탱크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는 상기 배설물에서 고형성분을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펄터부는 통수성 재질의 메쉬 또는 포어 구조의 제1필터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본체에는 자몽종자 추출물, 참다래 추출물, 동백나무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코코넛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및 Zinc Polypeptide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동배뇨처리 시스템은 제2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는 활성탄에 유칼립투스 추출 분말, 연잎 추출 분말, 바인더를 혼합한 뒤 성형하여 고체 블록으로 제조되거나, 활성탄에 유칼립투스 추출 분말, 연잎 추출 분말, 이산화염소 분말, 바인더를 혼합한 뒤 성형하여 고체 블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 내지 상기 제3연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는 배설물에 포함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가스통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통과 홀이 형성된 기 제1연결관 내지 상기 제3연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는 상기 배설물에 포함된 가스성분을 감지하는 가스센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센서부는 상기 배설물의 가스성분을 감지하는 가스센서와, 상기 배설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3필터, 상기 가스센서와 상기 제3필터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가스통과 홀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기 제1연결관 내지 상기 제3연결관 중 적어도 하나에 나란하게 부착된 제1면, 상기 기 제1연결관 내지 상기 제3연결관 중 적어도 하나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상기 기 제1연결관 내지 상기 제3연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수직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제3면, 상기 제3면에 대향하고, 상기 기 제1연결관 내지 상기 제3연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수직하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을 연결하는 제4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필터는 상기 제1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1측면은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제3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측면에 대향되는 제2측면은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제4면에 부착되어, 상기 가스통과 홀을 통과한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가스센서로 전달하고, 상기 가스센서는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제2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동배뇨처리 시스템.은 가스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 내지 제3연결관 중 적어도 하나는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 연결관과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유입 연결관과 상기 가스배출 연결관은 상기 수납케이스와 연통되고, 상기 수납케이스는 내부에 배설물의 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와 상기 가스센서로 유입되는 수분을 필터링하는 제3필터를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탱크를 통해 진공펌프로 가는 수분을 제거하여 진공탱크의 고장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변 탱크에 색변화를 통해 소변 내의 성분을 분석하는 스트립을 장착하고, 상기 색변화를 제1광센서를 통해 분석하고 이 결과를 보호자 또는 의료진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고령자 또는 장애인의 건강을 관리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시버 중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제1필터부에 천연 식물 유래 성분의 항균, 살균, 탈취 기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탱크에서 흘러나온 배설물에 포함된 균이나 악취를 제거하는 제2필터부를 포함하여 소변탱크가 장착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뇨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과 스트립 장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장착부가 장착된 소변탱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에 설치된 가스센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에 설치된 가스센서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배뇨처리 시스템은 리시버(100), 본체(200), 제1연결관(610) 내지 제3연결관(630)을 포함한다.
<리시버(100)>
본 발명의 리시버(100)는 착용자의 둔부와 만나 착용자의 배설물을 받아낸다. 상기 리시버(100)는 제1필터부(110), 소변 저장부(130), 소변감지 센서(120)를 포함한다.
1.제1필터부(110)
상기 제1필터부(110)는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배설물에서 고형성분을 필터링하여 고형성분이 제거된 배설물을 상기 소변 저장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제1필터부(110)는 메쉬 또는 포어가 형성된 통수성 재질의 섬유로 구성된 제1필터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필터부(110)는 착용자의 피부질환을 방지하고 배설물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식물유래 추출물이 상기 통수성 재질의 섬유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물유래 추출물은 배설물에 포함된 균과 악취를 제거하면서도 화학성분과 다르게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물유래 추출물은 자몽종자 추출물, 오약 추출물, 참다래 추출물, 동백나무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코코넛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몽종자 추출물은 그람음성 세균 및 그람양성 세균, 곰팡이와 효모를 포함한 진균류에 대해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동백나무 추출물은 항염과 소염기능을 가져 상기 착용자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참다래 추출물은 여성의 질염의 원인이 되는 칸디다균에 대한 강한 항진균 효과가 있어, 여성 착용자의 질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동백나무 추출물은 항염 및 소염활성 효과가 있어, 가져 상기 착용자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캐모마일 추출물은 항균활성 효과가 높아 상기 배설물에 포함된 균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라벤더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은 Gram negative 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다.
상기 코코넛 추출물과 올리브 추출물은 항균활성을 증대시키고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총량은 상기 제1필터 본체의 중량을 100으로 두었을때, 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자몽종자 추출물 1 ~ 5 중량부, 참다래 추출물 1 ~ 2 중량부, 동백나무 추출물 0.5 ~ 2 중량부, 캐모마일 추출물 1 ~ 3 중량부, 라벤더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1 ~ 3 중량부, 코코넛 추출물 1 ~ 2 중량부, 올리브 추출물 1 ~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필터부(110)는 상기 제1필터 본체에 나노화된 Zinc Polypept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Zinc Polypeptide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항균 소취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소량 사용만으로도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의 생존율이 0에 수렴하는 살균 효과가 발휘되며 각종 악취나 냄새성분을 99.8% 이상 제할 수 있다.
2. 소변 저장부(130)
상기 소변 저장부(130)는 상기 제1필터부(110) 하부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변 저장부(130)는 제1필터부(110)에서 배설물의 고형성분을 필터링하여 고형성분이 제거된 액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소변 저장부(130)는 높은 통수성 재질의 섬유로 이루어져 상기 액체 성분의 배설물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흡수층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소변 저장부(130)는 비통수성이며 상면이 개방된 연질의 용기로 구성되어 상기 액체성분의 배설물을 용기 내부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변 저장부(130)는 집뇨 컵(urinal-cu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액체성분의 배설물을 컵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소변 저장부(130)는 상기 제1연결관(610)이 통과되는 도뇨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뇨구(140)는 상기 제1연결관(610)과 연결되어 저장된 액체성분의 배설물을 소변탱크(210) 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3. 소변감지 센서(120)
상기 소변감지 센서(120)는 제1필터부(110)와 상기 소변 저장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변감지 센서(120)는 착용자의 소변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극 사이에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소변을 감지하는 센싱방식,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소변을 감지하는 센싱방식, 화학변화를 감지하여 소변을 감지하는 센싱방식 등을 이용하여 소변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소변감지 센서(120)는 소변을 감지한 경우에 소변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본체(200) 쪽으로 전달한다.
<연결관(connecting hose)>
상기 제1연결관(610)의 일단은 상기 도뇨구(140)와 연결되고 타단은 소변탱크(210)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610)), 일단이 상기 소변탱크(2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탱크(300)와 연결되는 제2연결관(620), 일단이 상기 보조탱크(30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펌프(240)와 연결되는 제3연결관(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610))은 내부에 상기 소변 저장부(130)에서 저장된 소변, 가스를 소변탱크(210)로 운반하는 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관(610)의 외부에는 상기 소변감지 센서(120)와 후술할 제어부(230)를 연결하는 센서 와이어가 통과되는 와이어 통과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와이어 통과 채널은 상기 제1연결관(610)과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소변감지 센서(120)와 후술할 통신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610)의 내지 제3연결관(6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는 배설물에 포함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가스통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통과 홀이 형성된 상기 제1연결관(610)의 내지 제3연결관(6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는 상기 배설물에 포함된 가스성분을 감지하는 가스센서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연결관(620)을 통해 보조탱크(300)로 유입되는 가스 성분 중 수증기는 상기 제2보조탱크(30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센서부(400)는 상기 제2연결관(62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편의상 제2연결관(620)에 상기 가스센서부(40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제1연결관(610) 및 제3연결관(630)에도 설치될 수 있다.
<가스센서부 (400)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부(400)는 수납 케이스(410), 제3필터(420), 가스센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10)는 상기 제3필터(420)와 가스센서(430)를 수납한다. 상기 수납 케이스(410)는 상기 가스통과 홀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2연결관(620)에 나란하게 부착된 제1면, 상기 제2연결관(62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상기 제2연결관(620)에 수직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제 3면, 상기 제 3면에 대향하고, 상기 제2연결관(620)에 수직하며, 상기 제 1면과 제2면을 연결하는 제4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필터(420)는 상기 수납 케이스(410)의 제1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3필터(420)의 제1측면은 상기 수납 케이스(410)의 제 3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3필터(420)의 제2측면은 상기 수납 케이스(410)의 제4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3필터(420)는 상기 가스통과 홀을 통해 통과된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가스센서(430)로 전달한다.
상기 가스센서(430)는 상기 수납 케이스(410)의 제2면에 설치되고, 가스센서(430)에서 센싱된 가스 센싱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부(230)로 전달된다.
이와같이 가스센서(430)는 리시버(100) 및 제2연결관(620) 외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가스센서(430)는 별도의 수납 케이스(410)에 내장된다. 또한, 상기 제3필터(420)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가스성분이 가스센서(430)로 도입된디.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의해 상기 가스센서(430)로 고농도의 배설가스와 수분 유입이 차단되므로 가스센서(430)의 부식이 방지되고 센싱 정확도가 높아지며, 가스센서(430)의 수명이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가스센서부 (400)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부(400)는 수납 케이스(411), 제3필터(420), 가스센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관(620)은 상기 수납 케이스로 가스를 전달하는 가스 유입 연결관(621)과 상기 수납 케이스(411)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전달받는 가스 배출 연결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411)는 상기 가스 유입 연결관(621)과 연통되는 제1연통홀(441)과 상기 가스 배출 연결관(622)과 연통되는 제2연통홀(441)을 포함할 수 있다.
소변탱크(210) 내부의 공기는 차례로 상기 가스 유입 연결관(621), 제1연통홀(441)을 거쳐 수납케이스(411) 내부로 전달된다. 수납케이스(411) 내부로 전달된 공기는 제3필터(420)에 도달되어 수분이 제거된 후 상기 가스센서(430)로 전달된다.
상기 제3필터(420)와 상기 가스센서(430)는 상기 가스 유입 연결관(621)과 수직인 제1면과 제2면에 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스센서(430)는 센싱된 가스 센싱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부(230)로 전달된다.
<본체(200)(Mai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0)는 소변을 저장하는 소변탱크(210), 진공펌프(240), 제2필터부(260), 제어부(230), 통신부(220), 보조탱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0) 내부에 소변탱크(210), 진공펌프(240), 제어부(230), 통신부(220), 보조탱크(300)가 수납된다. 상기 제2필터부(260)는 상기 소변탱크(210) 하부에 수납되거나, 상기 본체(200) 외측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1. 소변탱크(210)
상기 소변탱크(21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소변탱크(210)의 개방된 부위를 덮어 밀폐하는 소변탱크 덮개(2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소변탱크 덮개(211)상면에는 제1소변흡입부(212)와 제1가스 전달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소변흡입부(212)는 상기 제1연결관(610)과 연결되고, 상기 제1가스 전달부(213)는 상기 제2연결관(620)과 연결된다.
상기 소변탱크(210)는 상기 제1연결관(610)과 연결되는 상기 제1소변흡입부(212)를 통해 상기 소변 저장부(130)로 음압을 전달하고, 상기 소변 저장부(130)로부터 뇨와 가스를 전달받는다.
상기 소변탱크(210)는 상기 제1가스 전달부(213)를 통해 상기 보조탱크(300)로부터 음압을 전달받고, 상기 보조탱크(300) 쪽으로 배설물에 포함된 가스를 전달한다.
상기 소변탱크 덮개(211)의 일면에는 상기 소변탱크(210)에 저장되는 소변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소변의 수위기 미리 설정한 범위에 도달한 경우에 뇨 수위정보를 발생하는 플로트 센서(5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소변탱크(210)의 외측 일면에는 상기 소변탱크(210)에 저장되는 소변의 질량을 감지하고, 상기 소변의 수위기 미리 설정한 범위에 도달한 경우에 뇨 질량정보를 발생하는 질량 센서(520)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질량 센서(520)는 상기 소변탱크(210)의 하부면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소변탱크(210)의 외측 일면에는 상기 소변탱크(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의 거품을 감지하고, 상기 소변의 거품이 미리 설정한 범위에 도달한 경우에 거품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거품감지 센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품감지 센서(530)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뇨 수위정보 내지 거품감지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뇨 수위정보 내지 거품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은 경우에, 상기 진공펌프(240)의 구동을 멈추도록 구동 멈춤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진공펌프(2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240)는 상기 구동 멈춤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구동을 정지하여 소변이 소변탱크(210)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변탱크(210) 내부에는 소변을 통해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트립(8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800)은 플라스틱 또는 종이 재질의 스트립 지지대(810)에 검출 시약을 내포한 패드(82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검출 시약을 내포한 패드(820)를 본 발명에서는 색변화부(820)로 지칭한다. 상기 스트립(800)은 소변 내에 다양한 성분을 한 번에 분석하기 위해 소변이 닿았을때 색변화가 일어나는 상기 색변화부(820)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색변화부(820)는 소변에 포함된 유로빌리노겐, 포도당, 케톤, 빌리루빈(bilirubin), 단백질, 아질산염, pH, 혈액, 비중, 백혈구의 존재 또는 양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반응표에 따른 색으로 변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립(800)은 스트립 장착부(9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장착부(900)는 상기 스트립 지지대(810)의 길이ㅤ방향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910)와 상기 스트립 지지대(8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930), 상기 스트립 지지대(810)의 상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소변탱크(210)의 일면에 상기 스트립 장착부(900)를 걸 수 있는 걸림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편의상 소변탱크(210)의 상면에 상기 스트립 장착부(900)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황에 따라 상기 스트립 장착부(900)는 상기 소변탱크(210)의 측면 또는 하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부(910)는 소변탱크(210)에 저장된 뇨가 유통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911)가 형성된다. 상기 소변탱크(210)에 저장된 뇨는 상기 개구(911)를 통해 색변화부(8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910)와 상기 제2지지부(930)는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제1지지부(910)는 길이 방향의 스트립 지지대(810)를 지지하고, 제2지지부(930)는 상기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스트립 지지대(810)를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지지부(910)의 제2면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지지부(9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920)는 상기 제1지지부(910)와 수직이면서 제2지지부(930)와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910)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910)의 제2면은 스트립 장착부(900)의 상면이다. 상기 제1면은 상기 제2면과 나란하고, 상기 제2면의 길이에서 상기 제1지지부(910)의 수평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면은 상기 제2면 쪽으로 제1길이를 갖는 가로면과 제2길이를 갖는 세로면의 직사각형 형태로 커팅(cutting)되는 절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결부를 통해 상기 걸림부(920)는 2번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처음 절곡된 부위인 제1절곡부에는 상기 스트립 지지대(810)의 상면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두 번째 절곡된 부위인 제2절곡부는 상기 소변탱크(210)의 일면에 안착된다. 상기 제1절곡부의 수직부분과 상기 제2절곡부의 수평부분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소변탱크 덮개(211)를 열고 상기 소변탱크(910) 일면에 상기 스트립 장착부(900)를 걸쳐 소변탱크(910)에 저장된 소변성분을 감지함으로써 소변탱크(920)의 밀폐력이 약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변탱크(210) 세척시 상기 스트립 장착부(900)만을 제거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상기 스트립 장착부(900)가 장착된 소변탱크(210)의 일측면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색변화부(820)의 색 변화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립(800)의 색 변화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립 수용부(220)가 형성된 소변탱크(210)의 외측면에는 제1광센서부(540)가 적어도 1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광센서부(540)는 상기 색변화부(820)에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색변화부(8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광센서부(540)는 상기 색변화부(8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800)에 소변에 포함된 유로빌리노겐, 포도당, 케톤, 빌리루빈(bilirubin), 단백질, 아질산염 검출할 수 있는 색변화부(820) 3개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제1광센서부(540)는 각각의 색변화부(8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총 3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광센서부(540)는 단일의 광원, 상기 단일의 광원에서 발광되는 빛을 분배하여 각각의 색변화부(820)로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각각의 색변화부(820)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부(5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센서부(540)에서 센싱된 스트립 색변화 정보는 제어부(230) 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소변탱크(210)의 측면에는 상기 소변탱크(210)에 저장된 소변의 탁도 및 색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제2광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광센서부의 수광부(551)는 상기 소변탱크(210) 제1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광센서부의 발광부(552)는 소변탱크(210) 제2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탱크(210)에 저장된 소변의 탁도 및 색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를 제어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2. 보조탱크(300)
상기 보조탱크(30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보조탱크(300)의 개방된 부위를 덮어 밀폐하는 제2소변탱크 덮개(3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소변탱크 덮개(311) 상면에는 제2가스 전달부(312)와 제3가스 전달부(313)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가스 전달부(312)는 상기 제2연결관(620)과 연결되고, 상기 제3가스 전달부(313)는 상기 제3연결관(630)과 연결된다.
상기 보조탱크(300)는 상기 제2연결관(620)과 연결되는 상기 제2가스 전달부(312)를 통해 상기 소변탱크(210)로 음압을 전달하고, 상기 소변탱크(210)로부터 배설물에 포함된 가스를 전달받는다.
상기 보조탱크(300)는 상기 제3가스 전달부(313)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240)로부터 음압을 전달받고, 상기 진공펌프(240) 쪽으로 배설물에 포함된 가스를 전달한다.
상기 보조탱크(300)는 소변탱크(210)로부터 배설물에 포함된 가스를 전달받는다. 이 가스에는 물이 기화된 수증기도 포함된다. 보조탱크(300)는 전달받은 수증기를 응결시켜 저장함으로써 진공펌프(240) 쪽으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탱크(300)의 용량은 상기 소변탱크(210)의 용량을 1로 두었을 때 0.1 내지 0.5일 수 있다.
3, 진공펌프(240)
본 발명의 진공펌프(240)는 제어부(23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23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상기 소변센서(120)는 소변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리시버(100)에 장착된 단말(7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단말(700)은 전달받은 소변감지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소변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상기 진공펌프(240)를 구동하도록하는 구동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진공펌프(2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240)는 상기 제어부(230)로부터 구동개시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동작된다. 상기 진공펌프(240)가 동작되면 상기 소변탱크(21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음압은 상기 제1연결관(610)을 통해 상기 리시버(100)의 도뇨구(140)으로 전달한다. 상기 음압은 도뇨구(140)을 거쳐 리시버(100)의 소변 저장부(130)에 전달되고 상기 소변 저장부(130)에 저장된 소변은 음압이 걸리면서 상기 도뇨구(140)을 통해 제1연결관(610)을 거쳐 소변탱크(210)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진공펌프(240)는 제3연결관(630)을 통해 전달된 가스를 제2필터부(260)) 쪽으로 송풍할 수 있다.
4. 제어부(230)
상기 제어부(230)는 단말(700)로부터 소변감지 신호를 전달받거나, 상기 소변감지 센서(11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직접 소변감지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소변감지 신호를 전달바은 경우에 상기 진공펌프(240)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구동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진공펌프(240)로 전달한다. 상기 진공펌프(240)는 상기 구동개시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구동되어 음압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플로트 센서(51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뇨 수위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질량 센서(52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뇨 질량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거품감지 센서(53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거품감지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전달받은 뇨 수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뇨수위가 미리 설정한 범위 이상인 경우에 제1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받은 뇨 질량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뇨 질량이 미리 설정한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제2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품감지센서(530)로부터 거품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는 제3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1위험신호 내지 제3위험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경우에 진공펌프(240)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구동멈춤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진공펌프(2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240)는 구동멈춤 제어신호를 전달받았을때 구동을 멈춰 상기 진공펌프(240)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가스센서(430)로부터 가스센싱 정보를 전달받아 대변과 방귀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가스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가로 축을 시간 축으로 세로 축을 가스 레벨 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형성한 뒤, 상기 가스 레벨의 피크가 소정시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대변으로, 소정시간 지속되지 못 한 경우에는 방귀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대변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220)로 리시버(100) 교체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통신부(220)는 리시버(100) 교체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보호자의 단말로 전달하여 리시버(100)를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제1광센서부(54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스트립 색변화 정보, 제2광센서부로부터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건강상태에 따른 스트립 색변화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전달받은 스트립 색변화 정보를 미리 저장한 스트립 색변화 정보와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230)에 저장된 스트립 색변화 정보는 건강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1스트립 색변화 정보와 건강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제2스트립 색변화 정보, 건강상태에 중대한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제3스트립 색변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받은 스트립 색변화 정보가 상기 제2스트립 색변화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건강상태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제1건강상태 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건강상태 이상신호와 상기 전달받은 스트립 색변화 정보를 통신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전달받은 스트립 색변화 정보가 상기 제3스트립 색변화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건강상태에 중대한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제2건강상태 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건강상태 이상신호와 상기 전달받은 스트립 색변화 정보를 통신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2건강상태 이상신호가 생성된 경우에 본체(200) 외부에 설치된 알람장치(미도시)를 통해 시각적 알람 또는 청각적 알람을 생성하도록 제1알람장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에 중대한 위험이 있음을 즉시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건강상태에 따른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받은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를 미리 저장한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와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230)에 저장된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는 건강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1소변정보와 건강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제2소변정보, 건강에 중대한 위험이 있음을 나타내는 제3소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받은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가 상기 제2소변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건강상태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제3건강상태 이상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한 제3건강상태 이상신호와 상기 전달받은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를 통신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전달받은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가 제3소변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건강상태에 중대한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제4건강상태 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4건강상태 이상신호와 상기 전달받은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를 통신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4건강상태 이상신호가 생성된 경우에 본체(200) 외부에 설치된 알람장치(미도시)를 통해 시각적 알람 또는 청각적 알람을 울리도록 제2알람장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에 중대한 위험이 있음을 즉시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230)는 상술한 것 이외에도 리시버(100)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거나, 후술할 제2 필터부(260)로 공기를 전달하는 등의 다양한 환경에 따른 동작조건에 따라 상기 진공펌프(240)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5. 통신부(220)
또한, 상기 통신부(220)는 제어부(230)부터 제1건강상태 이상신호와 스트립 색변화 정보를 보호자 단말(10) 또는 의료진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20)는 제어부(230)부터 제2건강상태 이상신호와 스트립 색변화 정보를 보호자 단말(10) 또는 의료진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20)는 제어부(230)부터 제3건강상태 이상신호와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를 보호자 단말(10) 또는 의료진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20)는 제어부(230)부터 제4건강상태 이상신호와 소변 탁도 정보 및 소변 색변화 정보를 보호자 단말(10) 또는 의료진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6. 전력공급부(2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250)는 진공펌프(240), 통신부(220), 제어부(23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250)는 상기 단말(700)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7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기존의 리시버(100)와 연결된 단말(700)은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배터리 내장형 단말(700)은 배터리 소진시 리시버(100)로부터 전달된 소변감지 신호를 전달받지 못 해 진공펌프(240)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간병인이 긴 시간 부재 중인 심야시간에 진공펌프(240)가 제대로 동작되지 않아 리시버(100)의 소변이 배출되지 않아 착용자의 피부 짓무름, 실내공기 오염등의 원인이 되었다.
7. 제2필터부(2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필터부(260)는 상기 소변탱크(210)로부터 흘러나온 공기를 입력받아 필터링한 뒤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기존에는 UV 램프를 통해 공기를 살균하였으나, UV 램프에 과다하게 노출되는 경우에 피부 발진이나 홍반이 발생되며, 과다 노출시 피부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악취제거 기능이 탁월한 활성탄에 천연 식물유래 분말을 혼합한 뒤 굳혀 제2필터부(26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260)는 하기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다
상기 제2필터부(260)는 활성탄을 분쇄하는 단계, 에탄올로 추출된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진공건조하고 분쇄하여 유칼립투스 분말을 획득하는 단계, 에탄올로 추출된 연잎 추출물을 진공건조하고 분쇄하여 연잎 분말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활성탄 분쇄물, 상기 유칼립투스 분말, 상기 연잎 분말, 수지 바인더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활성탄은 천연물질 중에서 악취 제거에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칼립투스의 테르펜은 공기 중에 산화하여 오존을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한 오존은 강력한 살균효과를 갖는다. 연잎은 탈취와 항균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활성탄, 유칼립투스, 연잎을 혼합하여 제조된 고체 블록은 탈취, 항균, 살균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식물유래 천연물질로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또는, 상기 제2필터부(260)는 활성탄을 분쇄하는 단계, 에탄올로 추출된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진공건조하고 분쇄하여 유칼립투스 분말을 획득하는 단계, 에탄올로 추출된 연잎 추출물을 진공건조하고 분쇄하여 연잎 분말을 획득하는 단계, 이산화염소 분말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활성탄 분쇄물, 상기 유칼립투스 분말, 상기 연잎 분말, 이산화염소 분말, 수지 바인더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1)

  1. 착용자의 배설물을 받아내는 리시버(100);
    상기 리시버(100)로부터 소변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소변탱크(210)와 상기 소변탱크(210)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리시버(100)로 음압을 전달하는 진공펌프(240)를 포함하는 본체(200);
    상기 리시버(100)와 상기 소변탱크(210)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610);
    상기 소변탱크(210) 및 상기 진공펌프(240)와 연결되는 보조탱크(300);
    일단이 상기 소변탱크(2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탱크(300)와 연결되는 제2연결관(620); 및
    일단이 상기 보조탱크(30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펌프(240)와 연결되는 제3연결관(630)을 포함하되,
    상기 소변탱크(210) 내부에는 색변화를 통해 상기 저장된 소변의 성분을 분석하는 스트립(800)이 장착되고.
    상기 소변탱크(210)는 상기 스트립(800)의 색 변화를 센싱하는 제1광센서부(540)와 상기 저장된 소변의 탁도 및 색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제2광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관(610) 내지 상기 제3연결관(6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는 배설물에 포함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가스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통과 홀이 형성된 기 제1연결관(610) 내지 상기 제3연결관(6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는 상기 배설물에 포함된 가스성분을 감지하는 가스센서부(400)가 형성되되.
    상기 가스센서부(400)는 상기 배설물의 가스성분을 감지하는 가스센서(430)와, 상기 배설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3필터(420), 상기 가스센서(430)와 상기 제3필터(420)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410)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 케이스(410)는 상기 가스통과 홀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기 제1연결관(610) 내지 상기 제3연결관(630) 중 적어도 하나에 나란하게 부착된 제1면, 상기 기 제1연결관(610) 내지 상기 제3연결관(630) 중 적어도 하나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상기 기 제1연결관(610) 내지 상기 제3연결관(630) 중 적어도 하나에 수직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제3면, 상기 제3면에 대향하고, 상기 기 제1연결관(610) 내지 상기 제3연결관(630) 중 적어도 하나에 수직하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을 연결하는 제4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필터(420)는 상기 제1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1측면은 상기 수납 케이스(410)의 제3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측면에 대향되는 제2측면은 상기 수납 케이스(410)의 제4면에 부착되어, 상기 가스통과 홀을 통과한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가스센서(430)로 전달하고,
    상기 가스센서(430)는 상기 수납 케이스(410)의 제2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800)은 상기 소변에 포함된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색변화부(820)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제1광센서부(540)는 상기 복수의 색변화부(8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거나, 단일의 광원에서 상기 색변화부(820)에 대응되는 수의 광으로 분배되고, 상기 분배된 광이 상기 각각의 색변화부(820)로 전달되어,
    상기 복수의 색변화부(820)의 색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탱크(210)는
    상기 소변탱크(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소변의 수위기 미리 설정한 범위에 도달한 경우에 뇨 수위정보를 발생하는 플로트 센서(510);
    상기 소변탱크(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의 질량을 감지하고, 상기 소변의 수위기 미리 설정한 범위에 도달한 경우에 뇨 질량정보를 발생하는 질량 센서(520); 및
    상기 소변탱크(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의 거품을 감지하고, 상기 소변의 거품이 미리 설정한 범위에 도달한 경우에 거품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뇨 수위정보 내지 거품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진공펌프(240)의 구동이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탱크(210) 내부에는 색변화를 통해 소변성분을 분석하는 스트립이 장착되되,
    상기 스트립은 소변성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색변화부(820)가 부착된 스트립 지지대(810)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 지지대(810)는 스트립 장착부(900)에 장착되되,
    상기 스트립 장착부(900)는 상기 스트립 지지대(810)를 안착하고, 상기 소변탱크(210) 일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장착부(900)는
    상기 스트립 지지대(810)의 길이방향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910);
    상기 제1지지부(910)와 수직이고, 상기 스트립 지지대(8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930);
    상기 스트립 지지대(810)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소변탱크(210)의 일면에 상기 스트립 장착부(900)를 장착시키는 걸림부(920)를 포함하는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920)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와 연결된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스트립 지지대(810)의 일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절곡부는 상기 소변탱크(210) 일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100)는 상기 배설물에서 고형성분을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11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부는 통수성 재질의 메쉬 또는 포어 구조의 제1필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 본체에는 자몽종자 추출물, 참다래 추출물, 동백나무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코코넛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및 Zinc Polypeptide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배뇨처리 시스템은
    제2필터부(2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부(260)는 활성탄에 유칼립투스 추출 분말, 연잎 추출 분말, 바인더를 혼합한 뒤 성형하여 고체 블록으로 제조되거나,
    활성탄에 유칼립투스 추출 분말, 연잎 추출 분말, 이산화염소 분말, 바인더를 혼합한 뒤 성형하여 고체 블록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81545A 2020-12-23 2020-12-23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KR102499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45A KR102499877B1 (ko) 2020-12-23 2020-12-23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PCT/KR2020/019102 WO2022139039A1 (ko) 2020-12-23 2020-12-24 자동소변처리 시스템
US17/146,962 US11857716B2 (en) 2020-12-23 2021-01-12 Automatic urine treat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45A KR102499877B1 (ko) 2020-12-23 2020-12-23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625A KR20220091625A (ko) 2022-07-01
KR102499877B1 true KR102499877B1 (ko) 2023-02-16

Family

ID=8202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545A KR102499877B1 (ko) 2020-12-23 2020-12-23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57716B2 (ko)
KR (1) KR102499877B1 (ko)
WO (1) WO2022139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7868A1 (en) * 2021-03-10 2022-09-15 Purewick Corporation Acoustic silencer for a urine suction system
US20220378601A1 (en) * 2021-05-26 2022-12-01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system including a cleaning system an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90423A1 (en) * 2019-06-17 2020-12-17 Medic, Inc. Toilet for Analysis of Urin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243A (en) * 1965-07-09 1968-09-17 Dow Corning Treatment of living bodies by immersion in silicone fluid
JPH0880318A (ja) * 1994-09-13 1996-03-26 Kyowa Hakko Kogyo Co Ltd 液体吸収シート
JP4283631B2 (ja) 2003-09-30 2009-06-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排尿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尿レシーバ
JP4420663B2 (ja) * 2003-12-19 2010-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尿タンクおよび尿処理装置
ITMI20080711A1 (it) * 2008-04-17 2009-10-18 Redoak S R L "dispositivo per l'analisi delle urine"
JP5356838B2 (ja) * 2009-01-20 2013-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収尿装置
KR100924812B1 (ko) * 2009-05-07 2009-11-03 주식회사 큐라코 배설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AU2015241071A1 (en) * 2014-03-31 2016-10-27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Fluid analysis devic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80202992A1 (en) * 2014-06-12 2018-07-19 Sikeliup S.R.L. Container for determining of analytes and/or chemico-physical parameters, as well as determining of urinary sediment, in urine; and method of full urine analysis using this container
US20150359522A1 (en) * 2014-06-17 2015-12-1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Point of care urine tester and method
WO2016176603A1 (en) * 2015-04-30 2016-11-03 Digisense Ltd. Sensor
US20170119300A1 (en) * 2015-10-29 2017-05-04 Patrona Medical, Inc. Sensor Management And Record Tracking System
KR101931088B1 (ko) * 2016-12-30 2018-12-20 주식회사 유기산업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활성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필터 제조방법
US11679036B2 (en) * 2019-04-12 2023-06-20 Verily Life Sciences Llc Determining diaper loading using color detection or activity st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90423A1 (en) * 2019-06-17 2020-12-17 Medic, Inc. Toilet for Analysis of Ur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7716B2 (en) 2024-01-02
KR20220091625A (ko) 2022-07-01
WO2022139039A1 (ko) 2022-06-30
US20220193312A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877B1 (ko) 자동배뇨처리 시스템
US59450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liquids containing body fluids
US20120066825A1 (en) Self-cleansing portable urine collection device
US11826483B2 (en) Water treatment dispensing apparatus
JP3144681B2 (ja) 廃棄物の吸引排出装置
TW201014622A (en) A flow system of a dialysis device and a portable dialysis device
KR100955105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CN109264903A (zh) 一种口腔综合治疗台水路消毒清洁系统及消毒方法
JP2003325658A (ja) 手術時における汚水の自動吸排水装置
KR100374235B1 (ko) 개인용 집뇨 및 비데장치
TWM560903U (zh) 牙科治療系統之自動消毒整合設備
JPH11511667A (ja) 医療液および生体液回収および処分システム
EP0350459A2 (en) A unit for the sterilization of operating fluids applicable to medical equipment, in particular to dental surgery instruments
KR102403260B1 (ko) 멸균 기능을 갖춘 이동형 음압기
CN209493423U (zh) 一种口腔综合治疗台水路消毒清洁系统
KR20100069633A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CN210104895U (zh) 具有智能远程看护功能的马桶除臭消毒装置
JP2005270590A (ja) 排泄物回収処理装置
CN110013339B (zh) 牙科治疗系统的自动消毒整合设备
KR101883215B1 (ko)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의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가습기
KR101018887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KR102252982B1 (ko)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CN214495951U (zh) 一种水杀菌系统
JP3728665B2 (ja) 水道水等の浄化システムおよび浄化装置
CN213158883U (zh) 感应计时免洗手消毒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