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806B1 -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 Google Patents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806B1
KR102499806B1 KR1020200180779A KR20200180779A KR102499806B1 KR 102499806 B1 KR102499806 B1 KR 102499806B1 KR 1020200180779 A KR1020200180779 A KR 1020200180779A KR 20200180779 A KR20200180779 A KR 20200180779A KR 102499806 B1 KR102499806 B1 KR 102499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ure
unit
housin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019A (ko
Inventor
박용호
Original Assignee
박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호 filed Critical 박용호
Priority to KR102020018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80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는, 낚싯줄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루어 하우징, 상기 루어 하우징 외면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임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감지유닛,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유닛 및 상기 루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진동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Lure Having Catching-Notice Function}
본 발명은 낚시를 위해 사용하는 루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획 대상물이 포획된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낚시 활동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루어에 관한 것이다.
루어(Lure)는 낚시에서 사용하는 인조미끼로서, 지렁이나 새우 같은 생물을 이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특정 어류 등을 유혹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루어는 실제 생물을 이용하는 미끼보다 사용하기 편리하고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주꾸미, 낙지, 문어 등과 같은 연체동물의 경우, 루어를 사용하여 낚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많은 사람들이 해당 철에 적지 않은 비용을 지불하고 이들의 낚시하기 위해 출정하고 있다.
다만, 사용자들마다 낚시 실력이 달라 목표 대상이 루어에 걸렸는지를 파악하는 능력이 천차만별이며, 이에 포획 결과가 크게 차이가 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루어에 미끼가 걸렸음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초보자는 낚시에 대한 흥미를 쉽게 잃을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6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포획 대상물이 포획된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낚시 활동을 효과적으로 보조하고, 낚시에 대한 흥미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루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는, 낚싯줄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루어 하우징, 상기 루어 하우징 외면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임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감지유닛,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유닛 및 상기 루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진동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신호생성부는, 소정 파장의 빛 또는 음파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루어 하우징의 내부 또는 상기 루어 하우징의 외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루어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낚싯줄의 소정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지 않는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진동유닛을 구동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루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유닛, 상기 진동유닛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는, 임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생성부와, 신호생성부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여, 포획 대상물이 루어 하우징을 감싸 신호생성부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차단함에 따라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신호수신부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가 진동유닛을 구동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포획 대상물이 포획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매우 쉽게 포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낚시 활동을 효과적으로 보조하는 것은 물론, 초심자 등이 낚시에 대한 흥미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에 있어서, 포획 대상물이 포획된 상황에서 각 구성요소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100)에 있어서, 포획 대상물(w)이 포획된 상황에서 각 구성요소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100)는 루어 하우징(110)과, 감지유닛(150)과, 진동유닛(130)과,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루어 하우징(110)은 낚싯대로부터 연장된 낚싯줄(5)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루어 하우징(110)의 형태는 목적에 적합하도록 제한없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루어 하우징(110)은 하나 이상의 낚싯바늘이 구비된 낚싯바늘 구조체(10)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감지유닛(150)은 루어 하우징(110) 외면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임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생성부(150a)와, 신호생성부(150a)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50b)를 포함한다.
이때 신호생성부(150a)를 통해 발생되는 신호는, 특정 신호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생성부(150a)는 소정 파장의 빛 또는 음파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신호생성부(150a)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여 소정 파장의 빛을 신호수신부(150b) 방향으로 조사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신호생성부(150a) 및 신호수신부(150b)는 루어 하우징(110)의 외면에 장착되되, 발광부 및 수광부가 서로 대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신호생성부(150a)의 발광모듈은 RGB 컬러를 가지는 LED소자 등으로 형성되어, 포획 대상물(w)을 유도하거나 심미감을 조성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색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를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진동유닛(130)은 기 설정된 강도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루어 하우징(110)의 내부 또는 루어 하우징(110)의 외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진동유닛(130)은 루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루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신호생성부(150a)에서 발생된 신호가 신호수신부(150b)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진동유닛(130)을 구동 제어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낚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신호생성부(150a)에서 발생된 신호가 신호수신부(150b)에 지속적으로 수신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 대상물(w)이 루어 하우징(110)에 붙어 표면을 감싸게 될 경우에는 신호생성부(150a)에서 발생된 신호가 차단되어 신호수신부(150b)에 수신되지 않게 되며, 이때 제어부(120)는 진동유닛(130)을 구동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포획 대상물이 걸렸음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포획 대상물(w)이 주꾸미, 문어, 낙지 등과 같은 연체동물일 경우 미끼를 감싸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다리를 이용하여 루어 하우징(110)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어 신호생성부(150a)에서 발생된 신호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우 쉽게 포획 대상물(w)의 포획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낚시 활동을 효과적으로 보조하는 것은 물론, 초심자와 같은 경우에는 낚시에 대한 흥미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와 달리 신호생성부(150a)가 음파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경우, 신호생성부(150a) 및 신호수신부(150b)는 루어 하우징(11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포획 대상물(w)이 루어 하우징(110)을 감쌀 경우 포획 대상물(w)의 몸에 반사되는 음파를 신호수신부(150b)가 수신함에 따라 포획 대상물(w)이 걸렸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신호생성부(150a)에서 발생된 신호가 신호수신부(150b)에 수신되지 않는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된 이후 진동유닛(130)을 구동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이물질 또는 근처를 인접하여 지나가는 다른 어종 등에 의해 진동유닛(130)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루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감지유닛(150), 진동유닛(130) 및 제어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루어 하우징(110) 외측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전원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원버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하 설명될 각 실시예들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진동유닛(130)이 루어 하우징(110)의 외부에 구비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진동유닛(130)은 루어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된 낚싯줄(5)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이에 따라 낚싯줄(5)에 직접적으로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포획 대상물(w)이 문어와 같은 생물체일 경우, 주꾸미 또는 낙지에 비해 힘이 강하기 때문에 진동유닛(130)이 루어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진동을 감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진동유닛(130)을 루어 하우징(110)의 외부, 특히 낚시줄(5)에 배치하여 진동이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감지유닛(150)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루어 하우징(1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감지유닛(150)이 하나만 구비될 경우 이물질 또는 근처를 인접하여 지나가는 다른 어종 등에 의해 진동유닛(130)이 오작동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감지유닛(150)이 복수 개 구비하고, 이들을 서로 루어 하우징(110)의 반대 측에 배치하여, 포획 대상물(w)이 루어 하우징(110)을 완전히 감싸게 되었을 경우 제어부(120)는 모든 감지유닛(150)에서 신호가 차단되었음을 감지하고, 진동유닛(130)을 구동시키도록 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감지유닛(150) 외에도 루어 하우징(110)의 표면에 노출되어,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160)를 더 포함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 역시 감지유닛(150)이 하나만 구비될 경우 이물질 또는 근처를 인접하여 지나가는 다른 어종 등에 의해 진동유닛(130)이 오작동하는 상황을 방지하고, 감지유닛(150)의 상시 작동에 의한 배터리모듈(140)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는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감지유닛(150)이 미작동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전력을 소비하지 않으며, 포획 대상물(w)이 루어 하우징(110)을 완전히 감싸게 되었을 경우 압력감지부(160)가 포획 대상물(w)의 다리 힘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압력감지부(160)에 압력 신호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하여 감지유닛(150)에 전력을 공급하여 작동시키게 되고, 작동 이후 신호생성부(150a)에서 발생된 신호가 신호수신부(150b)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진동유닛(130)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 낚싯줄
10: 낚싯바늘 구조체
100: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110: 루어 하우징
112: 전원버튼
120: 제어부
130: 진동유닛
140: 배터리모듈
150: 감지유닛
150a: 신호생성부
150b: 신호수신부
160: 압력감지부
w: 포획 대상물

Claims (6)

  1. 낚싯줄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루어 하우징;
    상기 루어 하우징 외면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임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감지유닛;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유닛; 및
    상기 루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진동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소정 파장의 빛 또는 음파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루어 하우징의 내부 또는 상기 루어 하우징의 외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지 않는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진동유닛을 구동 제어하도록 하는,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유닛, 상기 진동유닛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KR1020200180779A 2020-12-22 2020-12-22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KR102499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779A KR102499806B1 (ko) 2020-12-22 2020-12-22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779A KR102499806B1 (ko) 2020-12-22 2020-12-22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019A KR20220090019A (ko) 2022-06-29
KR102499806B1 true KR102499806B1 (ko) 2023-02-13

Family

ID=8226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779A KR102499806B1 (ko) 2020-12-22 2020-12-22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8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940A (ja) 1998-12-04 2000-08-15 Tex:Kk 魚群探知センサ内蔵ルアーおよび釣り支援装置
JP2003000103A (ja) 2001-06-22 2003-01-07 Oki Joho Systems:Kk ルアー
JP2017209026A (ja) 2016-05-23 2017-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ルア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874B1 (ko) * 2013-03-29 2014-12-12 주식회사 세스코 포획장치
KR200474666Y1 (ko) 2014-03-24 2014-10-07 박민구 주꾸미 낚시채비
KR20200141333A (ko) * 2019-06-10 2020-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펫 케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940A (ja) 1998-12-04 2000-08-15 Tex:Kk 魚群探知センサ内蔵ルアーおよび釣り支援装置
JP2003000103A (ja) 2001-06-22 2003-01-07 Oki Joho Systems:Kk ルアー
JP2017209026A (ja) 2016-05-23 2017-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ルア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019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2132A1 (en) Multiple mode artificial fishing lure
US8240078B2 (en) Artificial fishing lure that generates visual and audible signals
US20140026465A1 (en) Fishing lure
US8025550B2 (en) Nocturnal pet toys
US20190008128A1 (en) Fishing lure with interchangeable body and head segments
US20100293832A1 (en) Fishing lure
US20110099882A1 (en) Illuminated lures
US20130333270A1 (en) Multiple Mode Artificial Fishing Lure
US20150264904A1 (en) Multiple mode artificial fishing lure
US20110030265A1 (en) Fishing Lure
JP5340987B2 (ja) 小害獣自動撃退装置
EP1091644B1 (en) Sonic device
US20110035987A1 (en) Fishing lure and accessory
KR102499806B1 (ko) 포획 안내 기능을 포함하는 루어
KR10242556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US20080170741A1 (en) Convenient electronic sound producing device
KR102638651B1 (ko) 두족류 감지 진동 에기 장치
KR102625581B1 (ko) 조과의 효율성이 향상된 집어등이 달린 낚시채비
US20060042149A1 (en) Fishing lure
KR100545469B1 (ko) 낚시용 물고기 미끼유인장치
US10362764B2 (en) Cat amusement system
NL1032751C1 (nl) Lokaas met een lichtje erin geïntegreerd voor een vis.
KR20210100445A (ko) 유인음향을 이용한 대상동물 포획장치
KR20230018922A (ko) 태엽형 두족류 감지 에기 장치
KR20200132083A (ko) 탈착식 미노우 에깅 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