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731B1 -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731B1
KR102499731B1 KR1020180073750A KR20180073750A KR102499731B1 KR 102499731 B1 KR102499731 B1 KR 102499731B1 KR 1020180073750 A KR1020180073750 A KR 1020180073750A KR 20180073750 A KR20180073750 A KR 20180073750A KR 102499731 B1 KR102499731 B1 KR 102499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light
video
viewer
keyword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153A (ko
Inventor
김병주
소송희
손의준
안승준
윤성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8007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7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으로, 구체적으로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반응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HIGHLIGHT VIDEO}
아래 실시예들은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반응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동영상에 대한 IT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 서비스는 위성 DMB 방송, 지상파 DMB 방송, 데이터 방송, 인터넷 방송 등 각종 통신 영상 서비스의 제공은 물론이며, PC나 노트북, 휴대 단말기 등을 통해 주문형 비디오(VOD)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그 종류와 범위가 날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최근 공급자가 일방적으로 프로그램을 선정 방송하는 종래의 방송 형태를 벗어나 시청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고 그 시간과 장소도 마음대로 선택하는 수요자 맞춤형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기술이 특히 주목받고 있다. 특히 시청자 맞춤형 동영상 서비스 중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요약하여 보고자 하는 하이라이트 동영상 추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 측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은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을 전송받는 동작, 상기 시청자 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포함하는 시청자 반응이 출력되는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적어도 하나 추출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구간의 영상을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시청자 반응은 상기 영상에 대해 시청자가 입력한 채팅어, 댓글, 이모티콘 및 특수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동작은 상기 시청자 반응 중 기 설정된 빈도 또는 횟수 이상 출력되는 시청자 반응을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로 결정한다.
상기 영상의 음성을 인식하여 화자가 발화한 음성 키워드를 추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동작은 상기 시청자 반응 및 상기 음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로 결정한다.
상기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은 시청자 단말로부터 하이라이트 영상 제작을 위한 레퍼런스 키워드를 전송받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동작은 상기 시청자 반응 및 상기 레퍼런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로 결정한다.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동작은 상기 결정된 하이라이트 키워드의 연관 키워드를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로 결정한다.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포함하는 시청자 반응이 단위 시간 내 기 설정된 빈도 또는 횟수 이상 출력된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한다.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동작은 상기 추출된 하이라이트 구간 전 또는 후의 일정 단위 시간의 영상 구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가한다.
상기 시청자 반응은 상기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후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동작은 후원 빈도 또는 금액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영상 구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한다.
상기 시청자 반응은 상기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재생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동작은 상기 시청자의 재생 이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영상 구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한다.
일 측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는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을 전송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시청자 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결정하는 하이라이트 키워드부,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포함하는 시청자 반응이 출력되는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적어도 하나 추출하는 하이라이트 구간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라이트 구간의 영상을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는 하이라이트 영상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및 시청자 반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동작,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동작,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시스템(10)은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 방송 단말(200), 시청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이라이트 영상 시스템(10) 내에 포함된 다양한 개체들(entities) 간의 통신은 유/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표준 통신 기술 및/또는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방송 단말(200)은 게임, 먹거리, 뉴스, 교육, 컨설팅 등 자체 제작된 컨텐츠를 방송하거나, 스포츠, 선거 등 다른 방송 주체에 의하여 사전 제작된 컨텐츠를 중계 방송할 수 있다. 일례로, 게임 방송의 경우에는 방송 단말(200)을 통해 방송을 제작하는 스트리머(streamer)가 플레이하고 있는 게임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300)은 방송 단말(200)에 의해 제작 및/또는 중계되는 방송을 시청하거나, 채팅, 댓글, 후원 등 방송 내 참여 활동을 하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시청자 단말(300)은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에서 생성된 하이라이트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300)은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에 하이라이트 영상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300)은 다양한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일례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스마트패드와 같은 패드형 단말, 랩탑 컴퓨터 등 각종 형태의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TV 단말 등의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방송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방송 단말(200)과 시청자 단말(300)에 방송 플랫폼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방송을 제작하거나 중계하는데 필요한 각종 방송 데이터 또는 이를 수행하는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가 제공하는 방송은 실시간 방송 외에 사전 제작 방송, VOD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단말(200) 및 시청자 단말(300)은 각각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를 통하여 방송 플랫폼의 기능을 제공받기 위한 방송 주체 계정 및 시청자 계정을 의미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방송 단말(200)에 의해 제작 및/또는 중계되는 방송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방송 데이터에는 방송을 위한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각종 설정 파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전송받은 방송 데이터를 시청자 단말(300)에 전송하여, 시청자에게 방송 영상을 제공한다.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방송 단말(200)에서 전송받은 방송 데이터를 그대로 시청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실시간 방송, 사전 제작 방송, VOD 등 방송 형식에 맞는 데이터로 새로 제작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방송 영상을 편집하거나 방송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거나 배경음악을 추가하는 등 방송 데이터에 다양한 효과를 처리한 후 전송 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300)은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방송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여, 시청자에게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시스템(10)은 영상에 대한 하이라이트(hightlight)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hightlight) 영상은 전체 영상 중에 시청자의 관심이 높은 장면만을 모아 하나의 영상으로 만든 것으로, 모든 영상을 시청하기 어려운 시청자들이 시청하게 된다.
하이라이트 영상 시스템(10)은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 영상의 음성 키워드, 시청자 요청 키워드 등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은 시청자가 영상에 대해 입력한 각종 데이터로, 채팅어, 댓글, 이모티콘, 특수 효과, 방송 후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의 음성 키워드는 영상 내 화자가 발화한 음성으로, 방송 영상에서 스트리머가 발화한 음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시청자 요청 키워드는 시청자가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의 요청 시에 입력하는 키워드로,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에 이용하게 되는 레퍼런스(reference) 키워드이다.
방송 단말(200)은 방송 영상을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에서 제공할 수 있으며, 시청자 단말(300)은 채팅어, 댓글, 특수 효과, 방송 후원과 같은 시청자 반응 및 시청자 요청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방송 단말(200) 및 시청자 단말(300)에서 제공한, 방송 영상, 시청자 반응, 시청자 요청 키워드를 이용하여, 방송 영상에 대한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하이라이트 영상을 시청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300)은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하이라이트 영상를 화면에 출력하여, 시청자에게 하이라이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시스템(10)에 의하면, 하이라이트 영상을 시청자 또는 스트리머의 관심이 높은 장면만으로 구성하거나, 시청자가 임의로 설정 키워드에 따라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어, 하이라이트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가 방송 단말(200)에서 전송받은 방송 영상에 대한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방송 영상뿐만 아니라, 기 제작된 영상, 다른 영상 서버에서 전송받은 영상, 시청자가 업로드한 영상 등에 대해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겠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플랫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방송 플랫폼의 기능을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와 구분된 방송 서버(미도시)로 구현할 수 있으며,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방송 서버(미도시)로부터 방송 영상을 전송받아,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기능에 따라 한정되지 아니하며, 전술 또는 후술하는 다양한 기능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및 시청자 반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은 단위 시간의 이미지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영상은 프레임(frame) 단위의 연속적인 이미지로 구성된 비디오 및 음성 파일인 오디오로 구성된다.
시청자는 영상을 시청하면서 또는 영상 시청 후,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을 입력할 수 있다. 시청자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 또는 방송 서버(미도시)가 제공하는 방송 플랫폼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영상의 장면에 대해 시청자 반응을 입력할 수 있다.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은 시청자가 영상에 대해 입력하는 각종 데이터로, 채팅어, 댓글, 이모티콘, 특수 효과, 방송 후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시청자 반응은 시청자가 영상을 시청하면서 입력한 채팅어, 댓글, 이모티콘, 특수 효과, 그리고 방송 후원 등이다.
시청자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 또는 방송 서버(미도시)가 제공하는 방송 플랫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방송 영상을 제작, 중계하는 스트리머를 후원할 수 있다.
시청자는 방송 플랫폼 내에서 사용가능한 후원 아이템(별풍선, 쿠키 등)을 구입하여, 스트리머에게 제공함으로써, 스트리머를 후원할 수 있다. 스트리머는 후원 아이템을 현금으로 환전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시청자들이 영상의 각 장면들에 대해 입력한 채팅어들을 도시한 것으로, 영상의 각 장면들마다 여러 시청자들이 자신들의 관심을 채팅어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청자 반응은 영상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사를 확인할 수 있는 시청자의 관심 키워드이다.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시청자 반응을 이용하여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관심을 파악한 후, 영상에서 시청자 관심이 높은 영상 구간들을 추출하여, 하이라이트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시청자의 관심 영상만으로 구성된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인터페이스부(110),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 하이라이트 구간부 (150), 하이라이트 영상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 각각의 구성들(110, 130, 150, 17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며,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들(110, 130, 150, 170)이 동작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 하이라이트 구간부 (150)를 통합하거나, 하이라이트 구간부 (150), 하이라이트 영상부(170)를 통합하여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본 명세서의 기재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방법과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영상 데이터, 시청자 반응, 레퍼런스 키워드 등을 전송받고, 하이라이트 영상을 시청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영상 데이터를 방송 단말(200), 영상 서버(미도시), 또는 시청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단위 시간의 이미지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구성되며, 프레임(frame) 단위의 연속적인 이미지로 구성된 비디오 및 음성 파일인 오디오로 구성 될 수 있다.
즉,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은, 방송 단말(200)에서 제작 또는 중계되는 영상이거나, 다른 영상 서버(미도시)에서 제작, 저장된 영상이거나, 시청자 단말(300)를 통해 시청자가 업로드한 영상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시청자 단말(300)로부터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과 레퍼런스 키워드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은 시청자가 영상에 대해 입력한 각종 데이터로, 채팅어, 댓글, 이모티콘, 특수 효과, 방송 후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방송 후원에 대한 정보에는 방송 영상에 후원한 시청자의 식별자, 후원 아이템의 수, 후원 금액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레퍼런스 키워드는 하이라이트 영상 제작을 위한 키워드로, 시청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의미한다.
시청자 단말(300)은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에 시청자의 관심사에 맞는 하이라이트 영상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으며, 시청자의 관심사에 해당하는 레퍼런스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에 전송하여,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가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시청자 반응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를 결정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는 영상에 대한 시청자나 방송 스트리머의 관심 키워드이다.
시청자들은 영상의 각 장면들에 대해 채팅어, 댓글, 이모티콘, 특수 효과, 후원 등의 시청자 반응을 입력할 수 있다.
시청자들은 시청자 반응을 통해, 영상의 각 장면들에 대한 자신들의 관심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청자 반응은 영상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사를 확인할 수 있는 시청자의 관심 키워드라 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시청자 반응을 이용하여, 시청자의 영상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하이라이트를 생성을 위한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하는 것이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출력 빈도/횟수가 높은 시청자 반응을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시청자 반응 중 기 설정된 빈도 또는 횟수 이상 출력되는 시청자 반응을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시청자 반응 중 출력 빈도/횟수가 높은 시청자 반응을 시청자의 영상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내는 키워드로 판단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시청자 반응뿐만 아니라, 영상에서 추출된 음성 키워드 또는 시청자로부터 입력받은 레퍼런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를 결정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미도시)를 통해 인식된 영상의 음성에서, 화자가 발화한 음성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음성 키워드를 통해, 방송 스트리머의 관심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복수의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전술한 하나의 방법에 따라 결정된 하이라이트 키워드(131)의 동의어, 유사어 또는 관련어인 연관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에서 결정된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구간(151)을 추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시청자 반응 중 하이라이트 키워드(151)가 높은 빈도로 출력되는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시청자 반응 중 하이라이트 키워드(151)가 단위 시간 내 기 설정된 빈도 또는 횟수 이상 출력된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추출된 하이라이트 구간(151)에 일정 영상 버퍼(buffer) 구간을 추가할 수 있다. 즉,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추출된 하이라이트 구간(151)의 전 및/또는 후의 일정 단위 시간의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가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후원 정보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구간(151)을 추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시청자의 후원 빈도, 후원 아이템 수 또는 후원 금액 등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시청자의 재생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구간(151)을 추출할 수 있다. 시청자 반응은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재생 이력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청자의 재생 이력은 시청자가 영상의 어느 구간을 얼마나 많이 재생하였는지, 영상의 어느 구간을 천천히 또는 빠르게 재생하였는지와 같이 정보로, 시청자의 영상 재생 빈도, 인기 재생 구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시청자의 재생 이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상부(170)은 영상에서 하이라이트 구간부(150)에서 추출된 하이라이트 구간(530)의 영상들을 조합하여 하이라이트 영상(50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은 영상 데이터 및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의 전송 동작(201),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동작(203),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동작(205),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동작(207)을 포함한다.
우선, 영상 데이터 및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의 전송 동작(201)으로, 인터페이스부(110)는 영상 데이터 및 시청자 반응을 전송 받는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영상 데이터를 방송 단말(200), 영상 서버(미도시), 또는 시청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으며, 시청자 반응을 시청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전술한대로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은 시청자가 영상에 대해 입력한 각종 데이터로, 채팅어, 댓글, 이모티콘, 특수 효과, 방송 후원, 재생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인터페이스부(110)는 레퍼런스 키워드를 전송받을 수 있다. 레퍼런스 키워드는 하이라이트 영상 제작을 위한 키워드로, 시청자가 입력한 키워드이다.
시청자 단말(300)은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에 시청자의 관심사에 맞는 하이라이트 영상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으며, 시청자의 관심사에 해당하는 레퍼런스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에 전송하여,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가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동작(203)으로,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시청자 반응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를 결정한다.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는 영상에 대한 시청자나 방송 스트리머의 관심 키워드이다.
시청자 반응은 영상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사를 확인할 수 있는 시청자의 관심 키워드로,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시청자 반응을 이용하여, 시청자의 영상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하이라이트를 생성을 위한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하는 것이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출력 빈도/횟수가 높은 시청자 반응을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시청자 반응 중 기 설정된 빈도 또는 횟수 이상 출력되는 시청자 반응을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시청자 반응 중 출력 빈도/횟수가 높은 시청자 반응을 시청자의 영상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내는 키워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키워드(131)의 결정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시청자 반응 중 출력 빈도/횟수가 높은 시청자 반응을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첫번째 영상 장면의 시청자 반응은 채팅어로, 시청자들의 채팅어에 '집행검'이라는 단어가 높은 빈도로 출력되고 있다. 이 경우,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집행검'의 단어를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두번째 영상 장면의 시청자 반응은 이모티콘으로, 시청자들의 입력한 이모티콘 중 '♥'의 이모티콘이 높은 빈도로 출력되고 있다. 이 경우,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의 이모티콘을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세번째 영상 장면의 시청자 반응은 특수 효과로, 시청자들의 입력한 특수 효과 중 '폭죽 효과'의 특수 효과가 높은 빈도로 출력되고 있다. 이 경우,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폭죽 효과'의 특수 효과를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시청자 반응뿐만 아니라, 영상에서 추출된 음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를 결정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미도시)를 통해 인식된 영상의 음성에서 화자가 발화한 음성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음성 키워드를 통해, 방송 스트리머의 관심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영상에서 추출된 음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장면에 대한 스트리머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 스트리머의 음성에는 '집행검'이라는 음성 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출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집행검'의 음성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시청자 반응, 음성 키워드뿐만 아니라, 시청자가 입력한 레퍼런스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퍼런스 키워드는 하이라이트 영상 제작을 위한 키워드로, 시청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의미한다.
시청자 단말(300)은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에 시청자의 관심사에 맞는 하이라이트 영상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으며, 시청자의 관심사에 해당하는 레퍼런스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에 전송하여,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가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시청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받은 레퍼런스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복수의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전술한 하나의 방법에 따라 결정된 하이라이트 키워드(131)의 동의어, 유사어, 관련어인 연관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는 '집행검'의 단어를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한 경우, '집행검'과 관련어인 '진명황', '드래곤 슬레이어' 등을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동작(205)으로,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하이라이트 키워드부(130)에서 결정된 하이라이트 키워드(131)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구간(151)을 추출한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시청자 반응 중 하이라이트 키워드(151)가 높은 빈도로 출력되는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시청자 반응 중 하이라이트 키워드(151)가 단위 시간 내 기 설정된 빈도 또는 횟수 이상 출력된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구간(151)의 추출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하이라이트 키워드(151)가 높은 빈도로 출력되는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이라이트 키워드(151)로 '집행검'의 단어, '♥'의 이모티콘, '폭죽 효과'의 특수 효과가 결정된 경우, 하이라이트 영상부(150)는 하이라이트 키워드(131)가 한 영상 장면 당 5번 이상 출력된 영상 장면의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하도록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라이트 영상부(150)는 '♥'의 이모티콘이 6번 출력된 두번째 영상 장면의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하이라이트 영상부(150)는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하는 영상 장면의 단위 시간을 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작게는 프레임 단위로, 크게는 5초, 10초, 30초 등의 다양한 시간 단위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추출된 하이라이트 구간(151)에 일정 영상 구간 버퍼(buffer)를 추가할 수 있다.
즉,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추출된 하이라이트 구간(151)의 전 또는 후의 일정 단위 시간의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가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전체 영상 시간을 고려하여, 추가할 버퍼 단위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버퍼 단위 시간을 추출된 하이라이트 구간(151)의 전 및/또는 후에 추가하여 하이라이트 구간(151)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후원 정보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구간(151)을 추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시청자의 후원 빈도, 후원 아이템 수 또는 후원 금액 등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구간(151)의 추출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후원 정보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구간(151)을 추출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이라이트 구간부(151)는 후원 시청자 수가 10명 이상, 후원 아이템 양이 300개 이상인 영상 장면의 단위 시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하도록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라이트 구간부(151)는 후원 시청자 수가 17명이고, 후훤 아이템 양이 500개인 첫번째 영상 장면의 단위 시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151)의 추출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시청자의 재생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구간(151)을 추출할 수 있다.
시청자 반응은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재생 이력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청자의 재생 이력은 시청자가 영상의 어느 구간을 얼마나 많이 재생하였는지, 영상의 어느 구간을 천천히 또는 빠르게 재생하였는지와 같이 정보로, 시청자의 영상 재생 빈도, 인기 재생 구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시청자의 재생 이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하이라이트 구간부(150)는 시청자가 N번 이상 재생한 영상 구간, M번 이상 천천히 재생한 영상 구간 등을 하이라이트 구간(151)으로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동작(207)으로, 하이라이트 영상부(170)는 하이라이트 구간부(150)에서 추출한 하이라이트 구간(151)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한다. 하이라이트 영상부(170)는 하이라이트 구간(151)의 영상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부(110)는 하이라이트 영상부(170)에서 생성된 하이라이트 영상을 시청자 단말(300)에 전송하여, 시청자 단말(300)이 시청자에게 하이라이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위한 시청자 단말(300)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300)은 프로세서(310), 및 디스플레이 장치(320)를 포함한다.
시청자 단말(3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및 메모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 디스플레이 장치(320),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및 메모리(340)는 통신 버스(30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에 시청자 반응 및 레퍼런스 키워드를 전송하여,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가 하이라이트 키워드(131), 하이라이트 구간(151)을 생성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20)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하이라이트 영상을 출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시청자에게 시청자 반응 및 레퍼런스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미리 정해진 시청자가 입력 가능한 시청자 반응, 영상의 재생 이력 정보, 시청자의 방송에 참여하는 기능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프로세서(310)는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중 시청자 단말(3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시청자 단말(3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34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어, DRAM, SRAM, DDR RAM 또는 다른 고속 액세스 고체 상태 메모리 장치 등과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10)로부터 원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전술한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100)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공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을 전송받는 동작;
    하이라이트 영상 제작을 위해 상기 영상의 시청자가 입력한 레퍼런스 키워드를 전송받는 동작;
    상기 시청자 반응 및 상기 레퍼런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영상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포함하는 시청자 반응이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하는 동작; 및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의 영상을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반응은
    상기 영상에 대해 시청자가 입력한 채팅어, 댓글, 이모티콘 및 특수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동작은
    상기 시청자 반응 중 기 설정된 빈도 또는 횟수 이상 출력되는 시청자 반응을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로 결정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음성을 인식하여 화자가 발화한 음성 키워드를 추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동작은,
    상기 시청자 반응 및 상기 음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결정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 결정 동작은,
    상기 결정된 하이라이트 키워드의 연관 키워드를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로 결정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동작은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포함하는 시청자 반응이 단위 시간 내 기 설정된 빈도 또는 횟수 이상 출력된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동작은,
    상기 추출된 하이라이트 구간 전 또는 후의 일정 단위 시간의 영상 구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가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반응은,
    상기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후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동작은,
    후원 빈도 또는 금액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영상 구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반응은,
    상기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재생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동작은,
    상기 시청자의 재생 이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영상 구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11.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 상기 영상에 대한 시청자 반응 및 하이라이트 영상 제작을 위해 상기 영상의 시청자가 입력한 레퍼런스 키워드를 전송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시청자 반응 및 상기 레퍼런스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결정하는 하이라이트 키워드부;
    상기 영상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포함하는 시청자 반응이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하는 하이라이트 구간부; 및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의 영상을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는 하이라이트 영상부를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반응은,
    상기 영상에 대해 시청자가 입력한 채팅어, 댓글, 이모티콘 및 특수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부는,
    상기 시청자 반응 중 기 설정된 빈도 또는 횟수 이상 출력되는 시청자 반응을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로 결정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부는,
    상기 영상의 음성을 인식하여 화자가 발화한 음성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시청자 반응 및 상기 음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결정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부는,
    상기 하이라이트 키워드를 포함하는 시청자 반응이 단위 시간 내 기 설정된 빈도 또는 횟수 이상 출력된 영상 구간을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부는,
    상기 추출된 하이라이트 구간 전 또는 후의 일정 단위 시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가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반응은,
    상기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재생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부는,
    상기 시청자의 재생 이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영상 구간을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추출하는,
    하이라이트 영상 서버.
KR1020180073750A 2018-06-27 2018-06-27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499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50A KR102499731B1 (ko) 2018-06-27 2018-06-27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50A KR102499731B1 (ko) 2018-06-27 2018-06-27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53A KR20200001153A (ko) 2020-01-06
KR102499731B1 true KR102499731B1 (ko) 2023-02-14

Family

ID=6915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750A KR102499731B1 (ko) 2018-06-27 2018-06-27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74A1 (ko) * 2020-06-22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51584B1 (ko) * 2021-07-29 2024-03-25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시스템 및 방법
CN117795968A (zh) 2021-12-27 2024-03-29 三星电子株式会社 基于图像信息提供最佳聊天室用户界面的方法和设备
KR102478019B1 (ko) * 2022-02-15 2022-12-16 주식회사 북세권 사용자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모임 결성을 위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2593762B1 (ko) * 2023-05-23 2023-10-26 주식회사 스푼라디오 보이스 인식 기반의 라이브 인터넷 방송에 대한 하이라이트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5940A (ja) 2013-06-24 2015-01-08 クリアタッチ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メ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メント管理方法
JP2017055393A (ja) * 2015-09-08 2017-03-16 ネイバー コーポレーションNAVER Corporation 動画コンテンツのハイライト映像を抽出して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461B1 (ko) * 2012-06-15 2019-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072720A (ko) * 2012-12-05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제공 장치, 콘텐츠 제공 방법, 영상표시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528976B1 (ko) * 2016-08-11 2023-05-03 한화비전 주식회사 실시간 시청자 반응을 전달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5940A (ja) 2013-06-24 2015-01-08 クリアタッチ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メ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メント管理方法
JP2017055393A (ja) * 2015-09-08 2017-03-16 ネイバー コーポレーションNAVER Corporation 動画コンテンツのハイライト映像を抽出して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53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731B1 (ko)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US11778138B2 (en) System and methods providing supplemental content to internet-enabled devices synchronized with rendering of first content
US1089881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virtual objects and/or playable recreations of gameplay
US10341694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live broadcasting method and device
WO2017088621A1 (zh) 一种实现网络直播的方法和服务器
US10623792B1 (en) Dynamic generation of on-demand video
CN112714330A (zh) 基于连麦直播的礼物赠送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067446B1 (ko) 자막 생성 방법 및 시스템
US11825148B2 (en) Expiring synchronized supplemental content in time-shifted media
US10051342B1 (en) Dynamic generation of on-demand video
US11334310B2 (en) Synchronization of digital content consumption
KR20140113405A (ko) 미디어 가공 메커니즘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US20150189348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and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102067360B1 (ko) 실시간 그룹 스트리밍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1316661A (zh) 非线性内容呈现和体验的管理
CN113727125B (zh) 直播间的截图方法、装置、系统、介质以及计算机设备
KR20150048961A (ko) 핫 씬 서비스 시스템, 핫 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Zhao Getting connected in China: Taming the mobile screen
Scolari et al. Spain: Emergences, strategies and limitations of spanish transmedia productions
KR102551307B1 (ko) 게임 스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64659B1 (ko) 효과음을 이용한 자막 삽입 시스템 및 방법
Srivastava et al. Broadcasting in 2030: Crystal Gazing
US20230388604A1 (en) Terminal and server
JP7433617B1 (ja) 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490148B2 (en)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when to rejoin a live media broadcast after an interru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