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150B1 -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150B1
KR102499150B1 KR1020220096251A KR20220096251A KR102499150B1 KR 102499150 B1 KR102499150 B1 KR 102499150B1 KR 1020220096251 A KR1020220096251 A KR 1020220096251A KR 20220096251 A KR20220096251 A KR 20220096251A KR 102499150 B1 KR102499150 B1 KR 102499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ousing
fitting
protruding member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호
신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9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150B1/ko
Priority to PCT/KR2022/011542 priority patent/WO202402964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6Power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8Supine patient supports or bases, e.g. improving air-way access to the l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61H2201/107Respiratory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61H2201/1246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by piston-cylinde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4Che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1/00Surgery: kinesitherapy
    • Y10S601/10Artificial respiration combined with non-artificial respiratio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피스톤(310)에 끼움결합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은, 피스톤 끼움구(7110)를 형성하는 제1 피스톤 끼움부(711a) 및 제2 피스톤 끼움부(711b)의 사이와 제3 피스톤 끼움부(711c) 및 제4 피스톤 끼움부(711d)의 사이에 한 쌍의 홈(724a, 724b)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310)이 상기 피스톤 끼움구(7110)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한 쌍의 홈(724a, 724b)에는 상기 피스톤(31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인입되는 피스톤 끼움부(711)와, 하부면에 제1 돌출부재(7120), 제2 돌출부재(7121) 및 제1 끼움결합구(7120a), 제2 끼움결합구(7121a)를 형성한 바닥부(712)와, 상기 피스톤 끼움부(711)와 바닥부(712)가 일체 형성되는 패드 본체(710)를 구비한 패드(700); 및 상기 제1 돌출부재(7120) 및 제1 끼움결합구(7120a)를 통해 상기 패드(700)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피스톤(310)이 확장될 때 음압이 생성되면서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하고, 상기 피스톤(310)이 수축될 때 상기 음압을 통해 상기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를 끌고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하우징(810)을 구비한 제1 베큠(80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Piston cap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환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하고 분배시키는 완충작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다양한 종류의 심폐소생술(CPR)용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 중 하나가 압축 공기 또는 호흡 기체(스웨덴, 룬드, Jolife AB; LucasTM)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심폐소생술장치의 독특한 이점으로, 중량이 적어 운반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점으로는 압축 공기의 탄성적 성질인데, 이에 의해, 기체 구동식 심폐소생술장치가 강성 압박 수단이 구비된 장치보다 환자의 흉부에 손상을 덜 야기시킨다. 공지된 장치는 구명 상황에서 응급용 설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장치에는, 환자가 입원할 때 심폐소생술의 무중단 타격에 대해 바람직할 수 있는 병원용 공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구동 기체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압축 공기의 탄성적 성질을 이용한다 하여도 압박 수단의 재질 자체가 단단하여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경우에 환자의 흉부에 강한 압력을 가하게 되어 심폐소생술 과정에서 늑골골절 및 혈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6-528903호(2006.12.28 공개) 일본 공개특허 제2007-503257호(2007.02.22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압박 수단을 개선하기 위해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환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하고 분배시키는 완충작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피스톤(310)에 끼움결합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은, 피스톤 끼움구(7110)를 형성하는 제1 피스톤 끼움부(711a) 및 제2 피스톤 끼움부(711b)의 사이와 제3 피스톤 끼움부(711c) 및 제4 피스톤 끼움부(711d)의 사이에 한 쌍의 홈(724a, 724b)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310)이 상기 피스톤 끼움구(7110)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한 쌍의 홈(724a, 724b)에는 상기 피스톤(31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인입되는 피스톤 끼움부(711)와, 하부면에 제1 돌출부재(7120), 제2 돌출부재(7121) 및 제1 끼움결합구(7120a), 제2 끼움결합구(7121a)를 형성한 바닥부(712)와, 상기 피스톤 끼움부(711)와 바닥부(712)가 일체 형성되는 패드 본체(710)를 구비한 패드(700); 및 상기 제1 돌출부재(7120) 및 제1 끼움결합구(7120a)를 통해 상기 패드(700)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피스톤(310)이 확장될 때 음압이 생성되면서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하고, 상기 피스톤(310)이 수축될 때 상기 음압을 통해 상기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를 끌고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하우징(810)을 구비한 제1 베큠(8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에 구비된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피스톤(310)에 끼움결합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은, 피스톤 끼움구(7110)를 형성하는 제1 피스톤 끼움부(711a) 및 제2 피스톤 끼움부(711b)의 사이와 제3 피스톤 끼움부(711c) 및 제4 피스톤 끼움부(711d)의 사이에 한 쌍의 홈(724a, 724b)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310)이 상기 피스톤 끼움구(7110)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한 쌍의 홈(724a, 724b)에는 상기 피스톤(31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인입되는 피스톤 끼움부(711)와, 하부면에 제1 돌출부재(7120), 제2 돌출부재(7121) 및 제1 끼움결합구(7120a), 제2 끼움결합구(7121a)를 형성한 바닥부(712)와, 상기 피스톤 끼움부(711)와 바닥부(712)가 일체 형성되는 패드 본체(710)를 구비한 패드(700); 및 상기 제1 돌출부재(7120), 제2 돌출부재(7121) 및 제1 끼움결합구(7120a), 제2 끼움결합구(7121a)를 통해 상기 패드(700)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피스톤(310)이 확장될 때 음압이 생성되면서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하고, 상기 피스톤(310)이 수축될 때 상기 음압을 통해 상기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를 끌고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하우징(910)를 구비한 제2 베큠(9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은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환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하고 분배시키는 완충작용을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늑골골절 및 혈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심폐소생술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성하는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성하는 패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성하는 베큠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성하는 베큠의 평면도이다.
도 8는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큠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큠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B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심폐소생술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는 환자의 흉부 압박을 위한 받침판(100), 지지대(200), 후드(30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판(100)은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환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대(200) 및 후드(3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110)와 지지대(200) 및 후드(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12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판(100)은 피스톤(31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슬라이딩 가이드(110)에 구비되는 프레임(115)의 인입이 가능한 내부공간이 측부에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10)는 받침판(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지지대(200)의 일단과 타단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대(2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10)는 도 2의 (a)에 도시된 A영역을 확대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00)의 내부에 인입 또는 받침판(10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프레임(115)이 구비됨으로써, 지지대(200)의 양 끝단 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피스톤(31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31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은, 각 환자마다 다른 체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310)으로 특정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토퍼(120)는 슬라이딩 가이드(110)에 구비되고, 지지대(200)의 일단 및 타단과 결속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지대(200)의 일단 및 타단과 결속되며, 지지대(200)의 일단 및 타단과의 결속을 통해 지지대(200) 및 후드(3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대(200)는 피스톤(310)의 하단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딩 가이드(110)와 결합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후드(300)를 지지하기 위한 형태가 아치형일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대(200)는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110)를 축으로 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프레임(115)의 인입 및 인출을 통해 양 끝단 간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0)의 전, 후방 슬라이딩 이동과 양 끝단 간의 거리 조절은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대(200)는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를 압박 및 이완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스토퍼(120)에 의해 결속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110)로부터 탈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11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탈부착을 통해 후드(300)와 함께 받침판(100)으로부터 탈부착되어 별도의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후드(300)는 지지대(200)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치형인 지지대(200)의 중심부(Arch Crown)에 결합되고,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피스톤(310)과, 상기 피스톤(310)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32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후드(300)는 제어 유닛(320)이 외부에 노출되거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10)은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전에 환자의 흉부와 이격된 상태이며, 제어 유닛(320)에 의해 동작되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한 후 이격되어 상기 환자의 흉부를 이완시키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10)은 제어 유닛(320)을 통해 설정되는 흉부 압박 모드에 따라 환자의 흉부를 연속적으로 압박하는 압박연속모드 또는 30번의 환자 흉부 압박 후 2번의 인공호흡이 이루어져 환자의 흉부 압박과 인공호흡을 병행하는 압박 30:2 모드를 기반으로 동작되어 환자에게 흉부 압박 기반의 응급처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피스톤(310)의 동작 뿐만 아니라 심폐소생술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복수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버튼은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구체적인 일 예로 심폐소생술장치의 전원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 피스톤(31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버튼,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 압박(CPR)을 실행시키도록 하거나 상기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압박모드설정 버튼,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깊이(depth)를 설정하기 위한 압박깊이 설정 버튼, 피스톤(310)의 흉부 압박 속도(횟수)를 설정하는 압박속도 설정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어 심폐소생술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면 설정 초기화 및 정상 동작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셀프 테스트(self test)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심폐소생술장치가 온 상태일 때 다시 전원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 초기화 및 심폐소생술장치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압박모드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된 흉부 압박 모드가 압박연속모드이면, 환자의 흉부 압박 및 이완이 반복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와 달리 상기 압박모드설정 버튼을 통해 설정된 흉부 압박 모드가 압박 30:2 모드이면 환자의 흉부가 30회 압박된 후에 2회의 인공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압박깊이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될 때, 환자의 흉부가 4 cm, 4.5 cm, 5 cm, 5.5 cm 중 적어도 하나의 깊이로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초기화 상태에서 상기 압박깊이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5 cm, 그 후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5.5 cm, 다시 신호가 입력된 환자의 흉부가 4 cm, 또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4.5 cm만큼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320)은 압박속도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될 때, 환자의 흉부가 100회, 110회, 120회 중 적어도 하나의 횟수로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초기화 상태에서 상기 압박속도 설정 버튼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자의 흉부가 110회,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120회, 또 다시 신호가 입력되면 환자의 흉부가 100회만큼 압박되도록 피스톤(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장치에는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단단한 재질의 상기 피스톤(310)과 경도가 다른 부재로 이루어져 환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하고 분배시키는 완충작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캡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은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10)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부분인 패드(700) 및 상기 패드(70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피스톤(310)의 움직임에 따라 환자의 흉부를 직접 압박하는 부분인 제1 베큠(8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성하는 패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성하는 패드의 정면도이고, 도 5는은 도 3의 A-A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성하는 베큠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성하는 베큠의 평면도이며, 도 8는 도 7의 B-B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패드(700)는 피스톤(310)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도록 패드 본체(710)를 통해 외형을 이루며, 상기 패드 본체(710)는 피스톤 끼움부(711)와 바닥부(712)가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 본체(710)는 바닥부(712)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일체 형성되는 피스톤 끼움부(711)에 의해 피스톤 끼움구(7110)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310)은 상기 바닥부(712)에 하단부가 접촉된 후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피스톤 끼움구(7110)에 인입될 때 상기 패드 본체(7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끼움부(711)는 피스톤 끼움구(7110)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310)은 상기 피스톤 끼움구(7110)를 통해 하단이 상기 패드 본체(71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끼움부(711)는 피스톤(310)이 인입 가능한 피스톤 끼움구(7110)를 형성하기 위해 패드 본체(710)로부터 절곡 형성된 상태로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제1 피스톤 끼움부(711a), 제2 피스톤 끼움부(711b), 제3 피스톤 끼움부(711c) 및 제4 피스톤 끼움부(711d)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끼움부(711)는 제1 피스톤 끼움부(711a) 및 제2 피스톤 끼움부(711b)의 사이와, 제3 피스톤 끼움부(711c) 및 제4 피스톤 끼움부(711d)의 사이에 한 쌍의 홈(724a, 72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홈(724a, 724b)에는 피스톤(310)이 피스톤 끼움구(7110)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피스톤(31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인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스톤(310)은 바닥부(712)에 하단부가 접촉되면서 체결부재가 한 쌍의 홈(724a, 724b)에 인입되는 것을 통해 패드(700)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끼움부(711)는 피스톤(310)의 체결부재와 한 쌍의 홈(724a, 724b)의 결합 및 결합 해제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310)의 체결부재가 상기 한 쌍의 홈(724a, 724b)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부가 패드 본체(710)의 외측으로 확장(또는 유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패드 본체(710)과의 사이 공간에는 확장공간(7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712)는 패드 본체(710)의 하부면으로서, 피스톤(310)이 피스톤 끼움구(7110)에 끼움결합될 때 상부면이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부와 접촉하게 되며, 하부면에는 제1 베큠(800)과의 끼움결합을 구현하기 위한 돌출부재와 끼움결합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바닥부(712)의 하부면에는 제1 돌출부재(7120), 상기 제1 돌출부재(7120)가 내부에 구비된 제1 끼움결합구(7120a), 상기 제1 돌출부재(7120)보다 상기 바닥부(712)의 중심부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2 돌출부재(7121), 상기 제2 돌출부재(7121)가 내부에 구비된 제2 끼움결합구(712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재(7120)는 후술될 돌출부재 삽입구(811) 또는 제1 돌출부재 삽입구(911a)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바닥부(712)의 하부면으로부터 원의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재(7121)는 후술될 제2 돌출부재 삽입구(911b)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바닥부(712)의 하부면으로부터 원의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끼움결합구(7120a)는 후술될 외부 하우징(810a)의 상부 및 내부 하우징(810b)의 상부가 끼움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 하우징(910a)의 상부와 끼움결합되도록 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끼움결합구(7121a)는 후술될 제2 하우징(910b)의 상부와 끼움결합되도록 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712)는 피스톤(310)의 하단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피스톤(310)의 하단부가 환자의 흉부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패드(700)는 피스톤(310)의 수축 및 확장과 이에 대한 힘이 외부에서 가해질 수 있는 다양한 외력과 무관하게 캡에 전달될 수 있도록 경도가 강한 소재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700)는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의 경우 40 내지 60 Shore A 경도를, 그 외 소재의 경우 25 내지 30 Asker C 경도를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sker C 경도는 정해진 형태의 압침을 스프링의 힘으로 시료의 표면에 난입 변형을 주고 시료의 저항력과 스프링의 힘이 벨런스한 상태로의 압침의 시료에 압입된 깊이를 바탕으로 경도를 측정하는 Asker 경도계를 통해 측정될 수 있고, 쇼어 경도(shore hardness)는 작은 다이아몬드를 끝 부분에 고정시킨 낙하 물체를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켰을 때 반발하여 올라온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베큠(800)은 상기 패드(700)와의 끼움결합 후 피스톤(310)이 환자의 흉부를 향해 확장될 때 환자의 흉부 압박점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환자의 흉부를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베큠(800)은 하우징(810)으로 외형이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810)에는 복수개의 공기유동구(812)와 안착부(8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810)은 일체 형성된 외부 하우징(810a) 및 내부 하우징(810b)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이 환자의 흉부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810)은 외부 하우징(810a)과 내부 하우징(810b)의 경계에 패드(700)에 구비된 제1 돌출부재(7120)의 끼움결합이 가능한 돌출부재 삽입구(81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 삽입구(811)는 제1 돌출부재(7120)의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원의 형태로 외부 하우징(810a)과 내부 하우징(810b)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810a)과 내부 하우징(810b)은 사이 공간(A)의 부피 변화가 가능하도록 자바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810a)과 내부 하우징(810b)의 상부는 패드(700)의 제1 끼움결합구(7120a)에 끼움결합되는데, 상기 외부 하우징(810a)과 내부 하우징(810b)의 상부는 상기 패드(700)와 제1 베큠(800)의 끼움결합 구조가 유지되도록 접착수단(예: 접착제)이 구비(또는 도포)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외부 하우징(810a)과 내부 하우징(810b)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돌출부재(7120) 또는 제1 끼움결합구(7120a)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하우징(810a)과 내부 하우징(810b)은 돌출부재 삽입구(811)를 형성하는 측벽이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패드(700)와 제1 베큠(800)의 끼움결합 구조상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810b)과 바닥부(712)의 사이에 사이 공간(A)이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 하우징(810b)은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환자의 흉부로부터 하부면에 압력이 전달되면, 사이 공간(A)의 공기 유동을 통해 부피 변화가 발생되도록 상기 하부면에 복수개의 공기유동구(812)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하우징(810b)의 상측과 바닥부(712)의 사이 공간(A)은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확장되는 피스톤(310)에 의해 공기유동구(812)를 따라 공기가 외부로 유동될 때 부피가 줄어들 수 있고, 이와 달리 환자의 흉부 압박이 종료된 후 환자의 흉부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공기유동구(8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따라 부피가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부 하우징(810b)은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하부면이 환자의 흉부와 접촉되며 피스톤(310)의 확장에 따라 상기 사이 공간(A)으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유동되어 상기 사이 공간(A)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상기 사이 공간(A)에 구비된 안착부(813)가 바닥부(712)와 접촉될 때 상기 사이 공간(A)에 음압이 생성되고, 상기 사이 공간(A)에 음압이 생성된 후 상기 피스톤(310)이 수축될 때 환자의 흉부 압박점과 접촉된 하부면이 환자의 흉부를 끌고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베큠(800)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렌드(polyethylene-polypropylene blenc), 폴리스티렌(polystyrene), 네오프렌(neoprene), 클로로프렌(chlorop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소재의 특성상 환자의 흉부 모양에 순응하는 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베큠(800) 중 생체 적합성 실리콘은 10 내지 30 Shore A 경도, 그 외 소재는 10 내지 20 Asker C 경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810)은 환자의 흉부를 압박할 때 환자의 흉부에 순응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의 흉부 압박점과 접촉되는 내부 하우징(810b)의 하부면은 적용 가능한 소재 중 환자의 흉부에 순응이 용이한 생체 적합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하고 분배시키는 완충작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늑골골절 및 혈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700)의 제1 돌출부재(7120)가 제1 베큠(800)의 돌출부재 삽입구(811)에 삽입될 때 구현되며,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에 포함되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캡은 패드(700)와 제1 베큠(800)의 끼움결합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베큠(800)을 변형시킨 제2 베큠(900)이 상기 패드(700)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패드(700)와 제2 베큠(900)의 끼움결합을 통해 구현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큠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큠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B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베큠(900)은 하우징(910)으로 외형이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910)은 일체 형성된 제1 하우징(910a)과 제2 하우징(910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공기유동구(912), 제1 안착부(913), 제2 안착부(914) 및 구획부(91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910a)은 제1 돌출부재(7120)가 끼움결합될 제1 돌출부재 삽입구(911a)를 포함하여 패드(700)와 제2 베큠(900)의 끼움결합이 구현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1 하우징(910a)은 복수개의 구획부(915)를 통해 음압이 생성될 사이 공간(A)이 복수개로 구획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자의 흉부로부터 압력을 전달받아 사이 공간(A)의 부피가 줄어들 때 복수개의 하부면이 모두 바닥부(712)를 향해 이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하부면 중 환자의 흉부 압박점과 접촉되면서 환자의 흉부로부터 일정 세기 이상의 압력을 전달받는 하부면의 일부만 상기 바닥부(712)를 향해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재 삽입구(911a)는 제1 돌출부재(7120)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원의 형태로 제1 하우징(910a)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하우징(910b)은 하우징(910)의 구조상에서 복수개의 구획부(915)를 통해 제1 하우징(910a)과 연결되며, 제2 돌출부재(7121)가 끼움결합될 제2 돌출부재 삽입구(911b)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하우징(910a)과 함께 패드(700) 및 제2 베큠(900)의 끼움결합이 구현되도록 한다.
상기 제2 돌출부재 삽입구(911b)는 제2 돌출부재(7121)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원의 형태로 제2 하우징(910b)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우징(910a)과 제2 하우징(910b)은 패드(700)와 제2 베큠(900)의 끼움결합 구조상에서 바닥부(712)와의 사이에 사이 공간(A, B)이 생성되도록 측벽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910a)과 제2 하우징(910b)은 사이 공간(A, B)의 부피 변화가 가능하도록 자바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910a)과 제2 하우징(910b)의 상부는 제1 끼움결합구(7120a) 및 제2 끼움결합구(7121a)에 끼움결합되는데, 상기 제1 하우징(910a)과 제2 하우징(910b)의 상부는 상기 패드(700)와 제2 베큠(900)의 끼움결합 구조가 유지되도록 접착수단(예: 접착제)이 구비(또는 도포)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수단은 제1 하우징(910a)과 제2 하우징(910b)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돌출부재(7120) 및 제1 끼움결합구(7120a) 중 적어도 하나와 제2 돌출부재(7121) 및 제2 끼움결합구(7121a)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공기유동구(912)는 제1 하우징(910a)와 제2 하우징(910b)의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제1 하우징(910a)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공기유동구(912a)와 상기 제2 하우징(910b)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공기유동구(9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2 공기유동구(912a, 912b)는 피스톤(310)의 확장을 통해 환자의 흉부가 압박되는 과정에서 바닥부(712)와 제1 하우징(910a)의 사이 공간(A) 및 상기 바닥부(712)와 제2 하우징(910b)의 사이 공간(B)의 공기를 각각 외부로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사이 공간(A, B)의 부피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913)는 복수개의 구획부(915)를 통해 복수개로 구획되는 제1 하우징(910a)의 사이 공간(A)에 각각 구비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개의 제1 공기유동구(912a)로부터 사이 공간(A)의 공기가 외부로 유동되어 상기 사이 공간(A)의 부피가 줄어들 때, 바닥부(712)와 접촉되면서 상기 사이 공간(A)이 음압 상태가 되도록 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제1 안착부(913)는 바닥부(712)의 하부면 중심부를 둘러싸 상기 제1 안착부(913)와 수직 방향으로 평행한 상기 바닥부(712)의 하부면 둘레부가 피스톤(310)의 확장을 통해 상기 피스톤(310)에 구비된 체결부재로부터 하측 방향의 압력이 가해져 하측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바닥부(712)의 하부면 둘레부와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구획된 사이 공간(A)은 음압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착부(914)는 제2 하우징(910b)의 사이 공간(B)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제2 공기유동구(912b)로부터 구획되는 사이 공간(B)의 공기가 외부로 유동되어 상기 사이 공간(B)의 부피가 줄어들 때, 바닥부(712)와 접촉되면서 상기 사이 공간(B)이 음압 상태가 되도록 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제2 안착부(914)는 바닥부(712)의 하부면 중 상기 제2 안착부(914)와 수직 방향으로 평행한 상기 바닥부(712)의 하부면 중심부가 피스톤(310)의 확장을 통해 하측 방향의 압력이 가해져 하측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바닥부(712)의 하부면 중심부와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사이 공간(B)은 음압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915)는 제1 하우징(910a)의 사이 공간(A)을 복수개로 구획하기 위해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구획부(915)는 상기 제1 하우징(910a)과 제2 하우징(910b)을 연결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베큠(900)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렌드(polyethylene-polypropylene blenc), 폴리스티렌(polystyrene), 네오프렌(neoprene), 클로로프렌(chlorop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소재의 특성상 환자의 흉부 모양에 순응하는 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베큠(900) 중 생체 적합성 실리콘은 Shore A 10 내지 30, 그 외 소재는 10 내지 20 Asker C 경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910)은 환자의 흉부를 압박할 때 환자의 흉부에 순응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의 흉부 압박점과 접촉되는 제1, 2 하우징(910a, 910b)의 하부면은 적용 가능한 소재 중 환자의 흉부에 순응이 용이한 생체 적합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하고 분배시키는 완충작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흉부 압박 과정에서 늑골골절 및 혈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700)의 제1 돌출부재(7120) 및 제2 돌출부재(7121)가 제2 베큠(900)의 제1 돌출부재 삽입구(911a) 및 제2 돌출부재 삽입구(911b)에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제1, 2 하우징(910a, 910b)의 각 상부가 제1 끼움결합구(7120a) 및 제2 끼움결합구(7121a)에 끼움결합될 때 구현되며,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장치에 포함되어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은 일 실시예의 캡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돌출부재(7120, 7121)를 통해 패드(700)와 제2 베큠(900)간의 끼움결합이 구현됨으로써, 패드와 베큠간의 끼움결합 구조가 보강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받침판, 110: 슬라이딩 가이드,
115: 프레임, 120: 스토퍼,
200: 지지대, 300: 후드,
310: 피스톤, 320: 제어 유닛,
700: 패드, 710: 패드 본체,
711: 피스톤 끼움부, 711a: 제1 피스톤 끼움부,
711b: 제2 피스톤 끼움부, 711c: 제3 피스톤 끼움부,
711d: 제4 피스톤 끼움부, 712: 바닥부,
7101: 확장공간, 7110: 피스톤 끼움구,
7120: 제1 돌출부재, 7120a: 제1 끼움결합구,
7121: 제2 돌출부재, 7121a: 제2 끼움결합구,
724a, 724b: 홈, 800: 제1 베큠,
810: 하우징, 810a: 외부 하우징,
810b: 내부 하우징, 811: 돌출부재 삽입구,
812: 공기유동구, 813: 안착부,
900: 제2 베큠, 910: 하우징,
910a: 제1 하우징, 910b: 제2 하우징,
911a: 제1 돌출부재 삽입구, 911b: 제2 돌출부재 삽입구,
912: 공기유동구, 912a: 제1 공기유동구,
912b: 제2 공기유동구, 913: 제1 안착부,
914: 제2 안착부, 915: 구획부,
A, B: 사이 공간.

Claims (17)

  1.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피스톤(310)에 끼움결합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은,
    피스톤 끼움구(7110)를 형성하는 제1 피스톤 끼움부(711a) 및 제2 피스톤 끼움부(711b)의 사이와 제3 피스톤 끼움부(711c) 및 제4 피스톤 끼움부(711d)의 사이에 한 쌍의 홈(724a, 724b)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310)이 상기 피스톤 끼움구(7110)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한 쌍의 홈(724a, 724b)에는 상기 피스톤(31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인입되는 피스톤 끼움부(711)와, 하부면에 제1 돌출부재(7120) 및 제1 끼움결합구(7120a)를 형성한 바닥부(712)와, 상기 피스톤 끼움부(711)와 바닥부(712)가 일체 형성되는 패드 본체(710)를 구비한 패드(700); 및
    상기 제1 돌출부재(7120) 및 제1 끼움결합구(7120a)를 통해 상기 패드(700)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피스톤(310)이 확장될 때 음압이 생성되면서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하고, 상기 피스톤(310)이 수축될 때 상기 음압을 통해 상기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를 끌고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하우징(810)을 구비한 제1 베큠(80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810)은,
    상부가 상기 제1 끼움결합구(7120a)에 삽입되는 일체 형성된 외부 하우징(810a);과 내부 하우징(810b);
    상기 내부 하우징(810b)과 상기 바닥부(712) 간 사이 공간(A)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810b)의 하부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공기유동구(812); 및
    상기 사이 공간(A)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동구(812)를 통해 외부로 유동되어 상기 사이 공간(A)의 부피가 줄어들 때 상기 바닥부(712)와 접촉되도록 상기 사이 공간(A)에 구비되는 안착부(8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810)은,
    상기 외부 하우징(810a)과 상기 내부 하우징(810b)의 경계에 상기 제1 돌출부재(7120)의 끼움결합이 가능한 돌출부재 삽입구(8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712)는,
    상기 돌출부재 삽입구(811)에 삽입되는 상기 제1 돌출부재(7120); 및
    상기 제1 돌출부재(7120)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810a)의 상부와 상기 내부 하우징(810b)의 상부와 끼움결합되는 상기 제1 끼움결합구(712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810a) 및 내부 하우징(810b)은,
    상기 패드(700)와 제1 베큠(800)의 끼움결합 구조상에서 상기 바닥부(712)와의 사이에 상기 사이 공간(A)이 생성되도록 상기 돌출부재 삽입구(811)를 형성하는 측벽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810b)은,
    상기 바닥부(712)와 상기 사이 공간(A)에 구비된 상기 안착부(813)가 접촉되도록 상기 사이 공간(A)의 부피가 줄어들 때 상기 사이 공간(A)에 음압이 생성되며, 상기 사이 공간(A)에 음압이 생성된 후 상기 피스톤(310)이 수축될 때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를 끌고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큠(800)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렌드(polyethylene-polypropylene blenc), 폴리스티렌(polystyrene), 네오프렌(neoprene), 클로로프렌(chlorop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생체 적합성 실리콘의 경우 10 내지 30 Shore A 경도를 가지며,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렌드(polyethylene-polypropylene blenc), 폴리스티렌(polystyrene), 네오프렌(neoprene), 클로로프렌(chloroprene),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중 적어도 하나는 10 내지 20 Asker C 경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큠(800)은,
    상기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하는 하부면이 상기 생체 적합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70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10.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기 위한 피스톤(310)에 끼움결합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은,
    피스톤 끼움구(7110)를 형성하는 제1 피스톤 끼움부(711a) 및 제2 피스톤 끼움부(711b)의 사이와 제3 피스톤 끼움부(711c) 및 제4 피스톤 끼움부(711d)의 사이에 한 쌍의 홈(724a, 724b)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310)이 상기 피스톤 끼움구(7110)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한 쌍의 홈(724a, 724b)에는 상기 피스톤(310)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인입되는 피스톤 끼움부(711)와, 하부면에 제1 돌출부재(7120), 제2 돌출부재(7121) 및 제1 끼움결합구(7120a), 제2 끼움결합구(7121a)를 형성한 바닥부(712)와, 상기 피스톤 끼움부(711)와 바닥부(712)가 일체 형성되는 패드 본체(710)를 구비한 패드(700); 및
    상기 제1 돌출부재(7120), 제2 돌출부재(7121) 및 제1 끼움결합구(7120a), 제2 끼움결합구(7121a)를 통해 상기 패드(700)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피스톤(310)이 확장될 때 음압이 생성되면서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하고, 상기 피스톤(310)이 수축될 때 상기 음압을 통해 상기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를 끌고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하우징(910)를 구비한 제2 베큠(90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910)은,
    상부가 상기 제1 끼움결합구(7120a)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돌출부재(7120)가 끼움결합될 제1 돌출부재 삽입구(911a)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910a);
    상부가 상기 제2 끼움결합구(7121a)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돌출부재(7121)가 끼움결합될 제2 돌출부재 삽입구(911b)를 형성하는 제2 하우징(910b);
    상기 제1 하우징(910a) 및 상기 바닥부(712) 간 사이 공간(A)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제1 공기유동구(912a)와, 상기 제2 하우징(910b) 및 상기 바닥부(712) 간 사이 공간(B)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제2 공기유동구(912b)가 상기 제1 하우징(910a)과 제2 하우징(910b)의 각 하부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공기유동구(912);
    상기 제1 하우징(910a)의 사이 공간(A)을 복수개로 구획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획부(915);
    상기 사이 공간(A)의 공기가 상기 제1 공기유동구(912a)를 통해 외부로 유동되어 상기 사이 공간(A)의 부피가 줄어들 때 상기 바닥부(712)와 접촉되도록 상기 구획부(915)를 통해 복수개로 구획되는 각 사이 공간(A)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 안착부(913); 및
    상기 사이 공간(B)의 공기가 상기 제2 공기유동구(912b)를 통해 외부로 유동되어 상기 사이 공간(B)의 부피가 줄어들 때 상기 바닥부(712)와 접촉되도록 상기 사이 공간(B)에 구비되는 제2 안착부(9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712)는,
    상기 제1 돌출부재 삽입구(911a)에 삽입되는 상기 제1 돌출부재(7120);
    상기 제1 돌출부재(7120)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하우징(910a)의 상부가 끼움결합되는 상기 제1 끼움결합구(7120a);
    상기 제2 돌출부재 삽입구(911b)에 삽입되는 상기 제2 돌출부재(7121); 및
    상기 제2 돌출부재(7121)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하우징(910b)의 상부가 끼움결합되는 상기 제2 끼움결합구(712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910a) 및 제2 하우징(910b)은,
    상기 패드(700)와 제2 베큠(900)의 끼움결합 구조상에서 상기 바닥부(712)와의 사이에 상기 사이 공간(A, B)이 생성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재 삽입구(911a) 및 제2 돌출부재 삽입구(911b)를 형성하는 측벽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910a) 및 제2 하우징(910b)은,
    상기 바닥부(712)와 상기 제1 안착부(913) 및 제2 안착부(914)가 접촉되도록 상기 사이 공간(A, B)의 부피가 줄어들 때 상기 사이 공간(A, B)에 음압이 생성되며, 상기 사이 공간(A, B)에 음압이 생성된 후 상기 피스톤(310)이 수축될 때 하부면으로 상기 환자의 흉부를 끌고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큠(900)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렌드(polyethylene-polypropylene blenc), 폴리스티렌(polystyrene), 네오프렌(neoprene), 클로로프렌(chlorop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생체 적합성 실리콘의 경우 10 내지 30 Shore A 경도를 가지며,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렌드(polyethylene-polypropylene blenc), 폴리스티렌(polystyrene), 네오프렌(neoprene), 클로로프렌(chloroprene),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중 적어도 하나는 10 내지 20 Asker C 경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큠(900)은,
    상기 환자의 흉부 압박점을 압박하는 하부면이 상기 생체 적합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70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생체 적합성 실리콘(biocompatible silicon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KR1020220096251A 2022-08-02 2022-08-02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KR102499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251A KR102499150B1 (ko) 2022-08-02 2022-08-02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PCT/KR2022/011542 WO2024029646A1 (ko) 2022-08-02 2022-08-04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251A KR102499150B1 (ko) 2022-08-02 2022-08-02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150B1 true KR102499150B1 (ko) 2023-02-13

Family

ID=8520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251A KR102499150B1 (ko) 2022-08-02 2022-08-02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9150B1 (ko)
WO (1) WO202402964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8903A (ja) 2003-05-12 2006-12-28 ジョライフ エービー 心停止治療用システムおよび処置
JP2007503257A (ja) 2003-08-22 2007-02-22 メ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心臓蘇生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90021943A1 (en) * 2014-06-06 2019-01-24 Physio-Control, Inc. Adjustable pist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870B1 (ko) * 2002-08-28 2005-07-05 주식회사 림스텍 실리콘 성형제품 제조방법
US8888725B2 (en) * 2012-09-27 2014-11-18 Zoll Medical Corporation Mechanical chest compression plunger adapter and compression pad
US8920348B2 (en) * 2012-09-28 2014-12-30 Zoll Medica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lternating chest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US20220175614A1 (en) * 2020-12-07 2022-06-09 Physio-Control, Inc. Mechanic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suction cu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8903A (ja) 2003-05-12 2006-12-28 ジョライフ エービー 心停止治療用システムおよび処置
JP2007503257A (ja) 2003-08-22 2007-02-22 メ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心臓蘇生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90021943A1 (en) * 2014-06-06 2019-01-24 Physio-Control, Inc. Adjustable pis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9646A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6842B2 (en) Vacuum assisted suspension system
US11191684B2 (en) Cushion for seating
EP3613390A1 (en) Menstrual cup capable of being easily removed
US11123131B2 (en) Instrument for grasping, dissecting and/or coagulating biological tissue
CA2947573C (en) Customizable respiratory mask
KR101648192B1 (ko) 안과 수술을 위한 안과 수술용 카세트
CA2864208C (en) Vacuum assisted suspension system
KR102499150B1 (ko)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EP2816978B1 (en) Vacuum assisted suspension system
JP2015531657A (ja) 圧力を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KR102499151B1 (ko)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커버
US20200107644A1 (en) Cushioned knee separator and system for use in a side sleeping position
KR102499152B1 (ko)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캡 제조방법
CN207070928U (zh) 弹性鞋底和弹性鞋
US20210076755A1 (en) Pressure-adjustable brassiere pad
US3650268A (en) Apparatus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narcosis
CN203374553U (zh) 一种伸缩结构单元及由该结构单元组成的伸缩杆
US4693714A (en) Double pump adapted for use as an artificial heart
EP3868348A1 (en) Mattress system
KR100868025B1 (ko) 거품토출식 면도기
CN208710395U (zh) 头颈手术体位垫
CN106102793B (zh) 具有凹陷式膜阀的血液治疗盒、以及血液治疗设备
CN220141746U (zh) 一种止血装置
CN209474209U (zh) 垫体结构
CN115192094A (zh) 一种胸外科临床用标本取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