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857B1 - Learning Methods Using Smart Learning Systems - Google Patents

Learning Methods Using Smart Learning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857B1
KR102498857B1 KR1020200054040A KR20200054040A KR102498857B1 KR 102498857 B1 KR102498857 B1 KR 102498857B1 KR 1020200054040 A KR1020200054040 A KR 1020200054040A KR 20200054040 A KR20200054040 A KR 20200054040A KR 102498857 B1 KR102498857 B1 KR 102498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user
web server
server
difficul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5862A (en
Inventor
김연희
Original Assignee
(주)씨오쟁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오쟁이 filed Critical (주)씨오쟁이
Priority to KR102020005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857B1/en
Publication of KR2021013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8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아동, 다문화가정, 결혼이민자, 외국인귀화자, 중도입국청소년, 외국인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여 쉽게 학습할 수 있으며, PC, 랩탑,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등의 단말부를 이용하여 종이인쇄물 또는 직접 단말부로 학습하고 이를 평가받아 사용자의 학습수준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진행하고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의 난이도를 웹서버에서 산출하여 학습내용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단말부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을 통해 학습용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단말부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되는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 난이도 선택을 위해 본인 또는 다른 학습자의 연령대와 국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본인 또는 다른 학습자의 연령대와 국적를 통해 해당 학습자의 학습 내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DB서버에서 검색하여 학습 내용의 존재 유무를 표시하고, 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연령대에 따라 학습 난이도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단말부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로 표시하여 진행하고, 웹서버와 연결되는 산출서버를 통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해당 난이도에 따른 학습 내용을 종이로 출력하여 학습할 것인지 또는 단말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여 단말부를 통해 직접 학습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학습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진행하는 학습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여 난이도, 학습결과에 대한 적합여부 또는 학습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본인에게 맞는 적합한 학습내용 여부 및 학습내용의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사용자의 학습결과 및 내용을 DB서버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확인하거나 빅데이터화하여 다음에 학습 난이도를 선택할때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users such as infants, children, multicultural families, marriage immigrants, foreign naturalized persons, immigrant youths, and foreigners can easily learn by selecting the desired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PC, laptop, smartphone or tablet By using terminals such as PCs, learning is done with paper printouts or direct terminals and evaluated, so that users can check the learning level of the user, and depending on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It relates to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in which the user can proceed with learning suitable for his/her level because the difficulty is calculated by the web server and the learning content is provided. connecting; selecting an arbitrary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by a user through a terminal of the user accessing the web server; Selecting the age and nationality of the user or other learners to select the le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selected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Searching the DB server for whether or not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learner or other learners exist through the age group and nationality of the learner, displaying the existence of the learning contents, and confirming whether to load them; displaying a questionnaire for checking learning difficulty according to the selected age group through a web browser or an application of the terminal unit, and calculating the difficulty through a calcul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web server; Selecting whether to learn by outputting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level of difficulty on paper or directly learning through the terminal by displaying it through the screen of the terminal; A user proceeding with learning accor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method; Conducting a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ed by the user to check the difficulty, suitability for the learning result, or the result of the learning, and displaying it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suitable for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result of the learning content and storing the evaluated learning results and contents of the user in a DB server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check or convert them into big data so that they can be used as reference when selecting a learning level of difficulty next time.

Description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Learning Methods Using Smart Learning Systems}Learning methods using smart learning systems {Learning Methods Using Smart Learning Systems}

본 발명은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 아동, 다문화가정, 결혼이민자, 외국인귀화자, 중도입국청소년, 외국인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여 쉽게 학습할 수 있으며, PC, 랩탑,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등의 단말부를 이용하여 종이인쇄물 또는 직접 단말부로 학습하고 이를 평가받아 사용자의 학습수준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진행하고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의 난이도를 웹서버에서 산출하여 학습내용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쇄물과 단말부를 통해 학습한 내용이 연계되어 과목별 세부내용별로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select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desired by users such as infants, children, multicultural families, marriage immigrants, foreign naturalized persons, immigrant youths, and foreigners. It is possible to learn easily by using terminals such as PCs, laptops, smartphones or tablet PCs, learning with paper prints or direct terminals and evaluating them so that users can check their learning level,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 the web server calculates the difficulty of the type of learning (learning process) that the user wants to proceed and provides the learning content, so the user can proceed with learning that suits his or her level, and the user can learn through printed materials and terminals. It relates to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in which contents are linked so that users can check their own learning contents for each subject.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이나 일반 가정에서 부모는 자녀에게 언어, 수학등의 기초 학습을 교육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사교육을 행하게 된다.In general, in multicultural families or ordinary families, parents conduct various private tutoring to teach their children basic learning such as language and mathematics.

이때, 교육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 인테넷을 통해 교육용 사이트에 접속하여 교육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단순히 부모가 아이의 수준에 맞는다고 생각되는 교육과정을 선택하여 단순히 자녀에게 PC등을 이용하여 보여주거나 인쇄하여 직접 필기구를 통해 필기 또는 채색하며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make education comfortable, education is conducted by accessing an educational site through the Internet. The education is conducted by handwriting or coloring with a writing instrument.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단순히 P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이용할 뿐이지 정확하게 자녀의 수준에 맞는 교육 수준을 확인하기 어려워 자녀의 교육 수준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method simply uses a PC, smart phone, or tablet PC,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evel of education suitable for the level of the chil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child is not considered.

또한, 국내인만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학습과정만 지원하므로, 다문화가정의 경우 부모가 자녀의 교육을 쉽게 시킬 수 없으며, 부모가 직접 학습읍 하고자 하는 경우에 학습과정이 맞지 않아 학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supports only the learning process that educates only domestic residents,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parents cannot easily educate their children, and when parents want to learn directly, the learning process does not match, so the learning process is difficult. there is.

선행특허는 관리자 또는 교사에 의하여 키즈의 연령대 별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수업 콘텐츠가 업로드되고, 상기 수업 콘텐츠, 상기 수업 콘텐츠를 이용한 수업 정보, 수업에 참여한 키즈의 활동 콘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을 구비하는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키즈 교육용 서버; 스마트 교육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스마트 교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키즈 교육용 서버에 접속하여 교사 정보를 입력하여 교사 회원으로 등록한 후 상기 수업에 키즈를 등록한 후 추가 또는 수정할 수 있으며, 해당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수업 진행 정보를 입력하는 교사 단말; 및 스마트 교육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스마트 교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키즈 교육용 서버에 접속하여 키즈 정보를 입력하여 키즈 회원으로 등록한 후 자신의 나이에 맞는 수업을 자동으로 배정받고, 상기 배정된 수업에 참여하여 상기 수업 진행 정보에 대한 수업 참여 정보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즈 단말을 포함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In the prior patent, at least one class content created by a manager or teacher for each age group of kids is uploaded, and a web having a search function for the class content, class information using the class content, and activity contents of kids participating in the class. Kids Education Server serving the site; A smart educ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by executing the smart education application, you can connect to the kids education server, enter teacher information, register as a teacher member, register kids in the class, add or modify, and proceed with the class. Teacher terminal to input class progress information for; And a smart education application is mounted, and by executing the smart education application, access to the kids education server, enter kids information, register as a kids member, and then automatically be assigned classes suitable for their age, and to the assigned classes. A configuration including at least one kids terminal for participating and inputting class participation information for the class progress information is described.

그러나, 선행특허는 인터넷을 통해 유아가 학습할 수 있으나, 유아 외의 부모 또는 초등학생 이상의 자녀가 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학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patent, although infants can learn through the Internet, there is a problem in that parents other than infants or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age or older cannot learn the desired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또한, 다문화 가정의 경우 부모 중 국내인이 아닌 경우 또는 학습 내용을 잘 모르는 경우 학습 내용을 학습하고자 하여도 학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learning is difficult even if one of the parents is not a Korean or if the learning content is not well known.

또한, 유아를 교육하는 교육자가 인터넷을 통해 유아를 교육시키므로, 교육자가 없는 경우 유아를 교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n educator educating infants educates infants through the Interne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ducate infants without an educator.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6405호(2016.04.22.)Prior pat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6405 (2016.04.22.)

본 발명은 유아, 아동, 다문화가정, 결혼이민자, 외국인귀화자, 중도입국청소년, 외국인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여 쉽게 학습할 수 있으며, PC, 랩탑,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등의 단말부를 이용하여 종이인쇄물 또는 직접 단말부로 학습하고 이를 평가받아 사용자의 학습수준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진행하고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의 난이도를 웹서버에서 산출하여 학습내용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쇄물과 단말부를 통해 학습한 내용이 연계되어 과목별 세부내용별로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users such as infants, children, multicultural families, marriage immigrants, foreign naturalized persons, immigrant youths, and foreigners can easily learn by selecting the desired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PC, laptop, smartphone or tablet By using terminals such as PCs, learning is done with paper printouts or direct terminals and evaluated, so that users can check the learning level of the user, and depending on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The web server calculates the level of difficulty and provides the learning content, so the user can proceed with learning that is suitable for his or her level, and the user's learning content is linked to the printed materials and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learn his or her own learning by subject-specific detail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that allows you to check the content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은, 사용자가 단말부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을 통해 학습용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단말부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되는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 난이도 선택을 위해 본인 또는 다른 학습자의 연령대와 국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본인 또는 다른 학습자의 연령대와 국적를 통해 해당 학습자의 학습 내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DB서버에서 검색하여 학습 내용의 존재 유무를 표시하고, 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연령대에 따라 학습 난이도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단말부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로 표시하여 진행하고, 웹서버와 연결되는 산출서버를 통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해당 난이도에 따른 학습 내용을 종이로 출력하여 학습할 것인지 또는 단말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여 단말부를 통해 직접 학습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학습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진행하는 학습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여 난이도, 학습결과에 대한 적합여부 또는 학습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본인에게 맞는 적합한 학습내용 여부 및 학습내용의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된 사용자의 학습결과 및 내용을 DB서버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확인하거나 빅데이터화하여 다음에 학습 난이도를 선택할때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a user accessing a web server for learning through a web browser or application of a terminal unit; selecting an arbitrary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by a user through a terminal of the user accessing the web server; Selecting the age and nationality of the user or other learners to select the le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selected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Searching the DB server for whether or not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learner or other learners exist through the age group and nationality of the learner, displaying the existence of the learning contents, and confirming whether to load them; displaying a questionnaire for checking learning difficulty according to the selected age group through a web browser or an application of the terminal unit, and calculating the difficulty through a calcul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web server; Selecting whether to learn by outputting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level of difficulty on paper or directly learning through the terminal by displaying it through the screen of the terminal; A user proceeding with learning accor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method; Conducting a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ed by the user to check the difficulty, suitability for the learning result, or the result of the learning, and displaying it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suitable for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result of the learning content and storing the evaluated learning results and contents of the user in a DB server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check or convert them into big data so that they can be used as reference when selecting a learning level of difficulty next time.

상기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는 단계 및 연령대를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국적 또는 연령대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면 이에 따른 학습 과정을 웹서버에서 해당 학습유형(학습과정)의 단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 또는 설문을 통해 설정되는 난이도의 학습유형(학습과정)으로 학습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selecting the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age group are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user's nationality or age, and the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is provided on the web server. It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steps of (learning process) so that the user can learn in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of difficulty set through selection or questionnaire.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웹서버에 저장되는 언어, 학습유형(학습과정) 및 연령대에 따라 설문문항을 조합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문 문항에 설정되는 점수의 평점을 웹서버에서 산출하고, 산출된 평점을 통해 설정되는 해당 난이도의 학습 내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lculating step, survey questions are combin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languag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nd age group stored in the web server, and the rating of the score set for the survey question selected by the user is calculated and calculated in the web ser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rning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difficulty level set through the scored score is calculated.

상기 학습내용의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는 학습 내용을 종이로 인쇄하여 진행한 경우 단말부에 해당 학습의 평가 설문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을 통해 웹서버에서 평가 또는 진행된 학습내용을 촬영하여 웹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웹서버에서 이미지 인식 및 웹관리자 확인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고, 상기 학습내용을 단말부를 통해 직접 진행하는 경우에는 단말부를 통해 입력되는 학습내용에 따른 결과를 웹서버에서 설정되는 평가기준을 통해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results of the learning content, if the learning content is printed on paper and proceeded, an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the learning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and the user evaluates or progresses the learning content in the web server through inpu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web server. The evaluation is performed by image recognition and confirmation by the web manager on the web server, and in the case of directly proceeding with the learning contents through the terminal,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input through the terminal are evaluated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set in the web server. It is characterized by evaluating through.

상기 학습내용을 종이로 인쇄하여 진행한뒤 촬영하여 웹서버로 전송해 이미지 인식으로 평가할 때에는, 상기 웹서버에서 전송된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흑백이미지에서 글자 또는 그림을 추출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그림의 경우 외곽선과 대비하여 범위 이탈, 미달 또는 채워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훼ㅂ서버에 설정되는 점수 평가에 따라 평가하고, 상기 인식된 문자의 경우 웹서버에 설정되는 정답과 비교하여 글자의 동일 및 정답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과 오답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learning contents are printed on paper, photographed, transmitted to a web server, and evaluated by image recognition,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is converted to black and white, and letters or pictures are extracted from the converted black and white image for recognition. , In the case of the recognized picture, it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core evaluation set in the web server by checking whether it is out of range, under or filled in comparison with the outline, and in the case of the recognized character, compared with the correct answer set in the web ser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ct answer and the wrong answer are determined by checking whether the letters are identical and correct answers.

상기 학습내용은 언어, 수학, 미술, 창의, 사회 또는 과학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 난이도를 웹서버의 학습 난이도 설정과 별도로 선택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arning content can select any one of language, mathematics, art, creativity, social studies, or science, and the learning can be conducted by selecting the desired learning difficulty separately from the learning difficulty setting of the web server.

본 발명은 유아, 아동, 다문화가정, 결혼이민자, 외국인귀화자, 중도입국청소년, 외국인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여 쉽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users such as infants, children, multicultural families, marriage immigrants, foreign naturalized persons, immigrant youths, and foreigners can easily learn by selecting the desired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또한, PC, 랩탑,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등의 단말부를 이용하여 종이인쇄물 또는 직접 단말부로 학습하고 이를 평가받아 사용자의 학습수준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user's learning level by learning with a paper printout or direct terminal using a terminal such as a PC, laptop, smart phone or tablet PC and evaluating it.

또한,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진행하고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의 난이도를 웹서버에서 산출하여 학습내용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eb server calculates the difficulty of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that the user wants to proceed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nd provides the learning content, it is effective that the user can proceed with learning suitable for his/her level. .

또한, 사용자가 인쇄물과 단말부를 통해 학습한 내용이 연계되어 과목별 세부내용별로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check his/her own learning content by subject specific content by linking the printed matter and the content learned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의 시스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밤령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 단말부 또는 출력된 종이로 학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 단말부 또는 종이에 출력하여 학습하는 유아용 한글 학습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 단말부 또는 종이에 출력하여 학습하는 유아용 수학 학습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 단말부 또는 종이에 출력하여 학습하는 유아용 미술 학습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 단말부 또는 종이에 출력하여 학습하는 유아용 한문 학습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entire system configuration of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equence of the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night age.
3 is a diagram showing learning with a terminal unit or printed paper in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learning content of Hangeul for infants learning by outputting to a terminal or paper in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s of mathematics learning for young children that are output to a terminal or paper in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 of art learning for young children that is output to a terminal or paper in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Chinese learning contents for infants learning by outputting to a terminal or paper in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plaining one invention,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the illustrated drawings are limited to the drawings because only the essential contents are enlarged and the auxiliary parts are omitted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such.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부(40)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을 통해 학습용 웹서버(10)에 접속하는 단계(S10); 상기 웹서버(10)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단말부(40)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는 단계(S20); 상기 선택되는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 난이도 선택을 위해 본인 또는 다른 학습자의 연령대와 국적을 선택하는 단계(S30); 상기 본인 또는 다른 학습자의 연령대와 국적를 통해 해당 학습자의 학습 내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DB서버(30)에서 검색하여 학습 내용의 존재 유무를 표시하고, 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 상기 선택된 연령대에 따라 학습 난이도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단말부(40)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로 표시하여 진행하고, 웹서버(10)와 연결되는 산출서버를 통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S50); 상기 해당 난이도에 따른 학습 내용을 종이로 출력하여 학습할 것인지 또는 단말부(4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여 단말부(40)를 통해 직접 학습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60); 상기 선택한 학습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단계(S70); 상기 사용자가 진행하는 학습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여 난이도, 학습결과에 대한 적합여부 또는 학습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본인에게 맞는 적합한 학습내용 여부 및 학습내용의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S80) 및 상기 평가된 사용자의 학습결과 및 내용을 DB서버(30)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확인하거나 빅데이터화하여 다음에 학습 난이도를 선택할때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user accessing the web server 10 for learning through the web browser or application of the terminal unit 40 (S10); Selecting an arbitrary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user's terminal unit 40 accessing the web server 10 (S20); Selecting the age group and nationality of the user or other learners to select the level of learning according to the selected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S30); Searching the DB server 30 for whether or not the learning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learner exists through the age group and nationality of the learner or the other learner, displaying the existence of the learning content, and confirming whether to load (S40); Displaying a questionnaire for checking the learning difficulty level according to the selected age group in the web browser or application of the terminal unit 40, and calculating the difficulty level through a calcul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0 (S50); Selecting whether to learn by outputting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level of difficulty on paper or directly learning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by displaying it through the screen of the terminal unit 40 (S60); A user proceeding with learning accor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method (S70); Conducting a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ed by the user to check the difficulty, suitability for the learning result, or the result of the learning, and displaying it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suitable for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result of the learning content (S80) and storing the evaluated user's learning results and contents in the DB server 30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check or convert them into big data so that they can be used as reference when selecting the learning difficulty next time (S90). characterized by

상기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는 단계(S20) 및 연령대를 선택하는 단계(S30)는 사용자의 국적 또는 연령대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면 이에 따른 학습 과정을 웹서버(10)에서 해당 학습유형(학습과정)의 단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 또는 설문을 통해 설정되는 난이도의 학습유형(학습과정)으로 학습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selecting the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S20) 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age group (S30),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user's nationality or age, the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is per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b server 10 displays the steps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so that the user can learn with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of difficulty set through selection or survey.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웹서버(10)에 저장되는 언어, 학습유형(학습과정) 및 연령대에 따라 설문문항을 조합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문 문항에 설정되는 점수의 평점을 웹서버(10)에서 산출하고, 산출된 평점을 통해 설정되는 해당 난이도의 학습 내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lculating step, the questionnaire items are combin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languag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nd age group stored in the web server 10, and the rating of the score set for the questionnaire item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web server 10 ), and calculating the learning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difficulty level set through the calculated score.

상기 학습내용의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S80)는 학습 내용을 종이로 인쇄하여 진행한 경우 단말부(40)에 해당 학습의 평가 설문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을 통해 웹서버(10)에서 평가 또는 진행된 학습내용을 촬영하여 웹서버(10)로 전송하고, 이를 웹서버(10)에서 이미지 인식 및 웹관리자 확인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고, 상기 학습내용을 단말부(40)를 통해 직접 진행하는 경우에는 단말부(40)를 통해 입력되는 학습내용에 따른 결과를 웹서버(10)에서 설정되는 평가기준을 통해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checking the result of the learning content (S80), when the learning content is printed on paper and proceeded, an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so that the user can evaluate or When the progressed learning content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the evaluation is performed by image recognition and web manager confirmation in the web server 10, and the learning content is directly performed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ult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 input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is evaluated through the evaluation criteria set in the web server 10.

상기 학습내용을 종이로 인쇄하여 진행한뒤 촬영하여 웹서버(10)로 전송해 이미지 인식으로 평가할 때에는, 상기 웹서버(10)에서 전송된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흑백이미지에서 글자 또는 그림을 추출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그림의 경우 외곽선과 대비하여 범위 이탈, 미달 또는 채워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훼ㅂ서버에 설정되는 점수 평가에 따라 평가하고, 상기 인식된 문자의 경우 웹서버(10)에 설정되는 정답과 비교하여 글자의 동일 및 정답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과 오답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learning content is printed on paper,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for evaluation by image recognition,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10 is converted to black and white, and the converted black and white image is converted to text or text. The picture is extracted and recognized, and in the case of the recognized picture, it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core evaluation set in the web server by checking whether it is out of range, under or filled in comparison with the outline, and in the case of the recognized character, the web server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ct answer and the wrong answer ar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correct answer set in 10) and checking whether the letters are identical and correct.

상기 학습내용은 언어, 수학, 미술, 창의, 사회 또는 과학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 난이도를 웹서버(10)의 학습 난이도 설정과 별도로 선택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arning content can select any one of language, mathematics, art, creativity, social studies, or science, and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learning difficulty separately from the learning difficulty setting of the web server 10 to proceed with learning.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의 전체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로서, 사용자가 단말부(40)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을 통해 학습용 웹서버(10)에 접속하는 단계(S10), 웹서버(10)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단말부(40)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는 단계(S20), 선택되는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 난이도 선택을 위해 본인 또는 다른 학습자의 연령대와 국적을 선택하는 단계(S30), 본인 또는 다른 학습자의 연령대와 국적를 통해 해당 학습자의 학습 내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DB서버(30)에서 검색하여 학습 내용의 존재 유무를 표시하고, 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 선택된 연령대에 따라 학습 난이도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단말부(40)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로 표시하여 진행하고, 웹서버(10)와 연결되는 산출서버를 통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S50), 해당 난이도에 따른 학습 내용을 종이로 출력하여 학습할 것인지 또는 단말부(4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여 단말부(40)를 통해 직접 학습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60), 선택한 학습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단계(S70), 사용자가 진행하는 학습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여 난이도, 학습결과에 대한 적합여부 또는 학습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본인에게 맞는 적합한 학습내용 여부 및 학습내용의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S80) 및 평가된 사용자의 학습결과 및 내용을 DB서버(30)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확인하거나 빅데이터화하여 다음에 학습 난이도를 선택할때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90)를 포함한다.1 is a flowchart showing the entire sequence of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user accesses a web server 10 for learning through a web browser or application of a terminal unit 40 (S10), a step in which the user selects an arbitrary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user's terminal unit 40 accessing the web server 10 (S20), the selected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 the user selects the age and nationality of the learner or other learners to select the learning difficulty (S30), and the DB server 30 determines whether the learner's learning content exists through the age group and nationality of the user or other learners. Step of displa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earning content by searching for it and confirming whether to load it (S40), displaying a questionnaire to check the learning difficulty according to the selected age group through the web browser or application of the terminal unit 40 and proceeding and calculating the level of difficulty through a calcul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0 (S50). A step of selecting whether or not to directly learn through the unit 40 (S60), a step for the user to proceed with learning accor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method (S70), a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ed by the user, and difficulty, learning result Checking the suitability or the result of learning, and displaying it to confirm whether the learning content is suitable for the user and the result of the learning content (S80), and the DB server ( 30), and a step (S90) of allowing the user to arbitrarily confirm or make big data so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selecting a learning difficulty level next time.

도 2는 본 밤령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 단말부(40) 또는 출력된 종이로 학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equence of 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night age, Figure 3 is a learning method using the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learning with the terminal unit 40 or printed paper it is a drawin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웹서버(10)에 접속하는 단계(S10)는 사용자가 단말부(40)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을 통해 웹서버(10)에 접속하는 단계(S10)이다.1 and 2, the step of accessing the web server 10 (S10) is a step (S10) of a user accessing the web server 10 through a web browser or application of the terminal unit 40. .

상기 사용자는 유아, 아동, 다문화가정, 결혼이민자, 외국인귀화자, 중도입국청소년, 외국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학습을 원하는 누구라도 사용자가 될 수 있다.The users may be infants, children, multicultural families, marriage immigrants, foreign naturalized persons, immigrant youths, foreigners, etc., and anyone who wants to learn can be a user.

상기 단말부(40)는 일반 가정의 PC, 랩탑, 스마트폰, PDA 또는 태블릿 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erminal unit 40 may be composed of a PC, laptop, smart phone, PDA or tablet PC in a general household.

이때, 상기 단말부(4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At this time, the terminal unit 40 is preferably made of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for the user's convenience.

상기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은 단말부(40)를 통해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표시 및 입력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어플의 경우 웹서버(10)에서 제공받아 단말부(40)에 설치되며, 웹브라우저는 단말부(4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웹브라우저로서 사용자가 접속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web browser or application is made available for display and input so that learning can proceed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and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it is provided from the web server 10 and installed in the terminal unit 40, and the web browser As a web browser provided by default in the terminal unit 40, the user can use it through connection.

이때, 상기 웹서버(10)에 접속할 때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웹서버(10)에 로그인하여 사용자임을 인증 서버(20)에 저장되는 인증정보를 통해 인증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accessing the web server 10, the user logs in to the web server 10 through a terminal and authenticates the user through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server 20.

상기 웹서버(10)에 접속하면,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는 단계(S20)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부(40)에 표시되는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를 선택하거나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게 된다.When accessing the web server 10, through the step of selecting a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S20), the user selects the language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or the learning type ( learning process).

이때 상기 학습유형(학습과정)은 사용자가 학습 하고자하는 학습내용으로서, 이러한 학습내용은 언어, 수학, 미술, 창의, 사회 또는 과학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is the learning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learn, and this learning content can select any one of language, mathematics, art, creativity, society, or science.

상기 언어의 경우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캄보디아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또는 러시아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 language, the user selects one of Korean, English, French, German, Spanish, Japanese, Chinese, Vietnamese, Filipino, Cambodian, Thai, Indonesian, or Russian to learn the language.

이때, 상기 언어는 위의 언어 이외의 언어도 지원되어 사용자가 학습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languages other than the above languages are also supported so that the user can learn them.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이 미술인 경우 그림으로 단말부(40)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직접 그림을 색칠하거나 그리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If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selected by the user is art, it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as a picture so that the user can learn by directly coloring or drawing the picture.

상기 사용자가 수학, 사회 또는 과학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각 과정의 설명, 풀이 실험 과정 또는 문제출제 등의 학습내용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직접 단말부(40)를 통해 실험과정 또는 풀이과정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mathematics, social studies, or science, learning contents such as explanation of each process, solution experiment process, or problem solving are displayed, and the user directly displays the experiment process or solution process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make it possible to recognize

상기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는 단계(S20)를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학습자의 연령대를 선택하는 단계(S30)를 통해 학습자가 학습 난이도 선택을 위해 본인 또는 학습을 하고자 하는 다른 학습자의 연령대를 선택하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to be learned through the step of selecting the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S20), the learner learns through the step of selecting the age group of the learner (S30). To select the level of difficulty, you select the age group of yourself or other learners who want to learn.

이러한 상기 사용자의 연령대를 선택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연령대에 맞춰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른 학습내용을 웹서버(10)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e reason for selecting the user's age group is to enable the web server 10 to provid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user's age group.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 난이도를 웹서버(10)의 학습 난이도 설정과 별도로 선택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도 있다.Through this, learning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a desired learning difficulty separately from the learning difficulty setting of the web server 10 .

상기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는 단계(S20) 및 연령대를 선택하는 단계(S30)는 사용자의 국적 또는 연령대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면 이에 따른 학습 과정을 웹서버(10)에서 해당 학습유형(학습과정)의 단계를 표시하게 된다.In the step of selecting the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S20) 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age group (S30),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user's nationality or age, the corresponding learning process is performed. The web server 10 displays the level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 또는 설문을 통해 설정되는 난이도의 학습유형(학습과정)으로 학습 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users can learn with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of difficulty set through selection or survey.

상기 학습자의 연령대를 선택하는 단계(S30)를 통해 사용자가 연령대를 선택하면, 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를 통해 해당 학습자의 학습 내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DB서버(30)에서 검색하여 학습 내용의 존재 유무를 표시하고, 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an age group through the step of selecting the age group of the learner (S30), the DB server 30 searches whether or not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learner exist through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or not to load (S40). Thu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earning content is displayed, and whether or not to be loaded is checked.

이때, 상기 DB서버(30)에 저장되는 기존의 학습 결과를 웹서버(10)에서 로드하여 사용자가 학습을 한 학습유형(학습과정)을 단말부(40)를 통해 표시하며, 표시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 편식을 하지 않도록 미학습유형(학습과정)을 단말부(40)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미학습유형(학습과정)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existing learning results stored in the DB server 30 are loaded from the web server 10, and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that the user has learned is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and the displayed learning type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cess), the unlearned type (learning process)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to prevent the user from unbalanced learning, so that the user can also learn the unlearned type (learning process).

그리고, 상기 DB서버(30)에 종래에 진행하던 학습내용이 존재하면, 웹서버(10)에서 해당 사용자의 학습내용을 로드할 것인지 단말부(40)를 통해 사용자에게 확인하게 되고, 사용자가 로드할 것을 선택하면 DB서버(30)에 저장된 학습내용을 로드하여 표시하고, 이를 통해 학습을 이어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f the DB server 30 has conventional learning contents, the web server 10 confirms to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whether to load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the user loads the contents. If you select what to do, the learning contents stored in the DB server 30 are loaded and displayed, and through this, the learning can be continued.

상기 사용자가 DB서버(30)에 저장된 학습내용을 불러오지 않을 것을 선택하거나 기존에 진행된 학습내용이 없을 경우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S50)를 통해 선택된 연령대에 따라 학습 난이도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단말부(40)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로 표시하여 진행하고, 웹서버(10)와 연결되는 산출서버를 통해 난이도를 산출하게 된다.If the user selects not to load the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DB server 30 or if there is no previous learning content, a questionnaire for checking the learning difficulty level is sent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age group through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ifficulty level (S50). The process is displayed in the web browser or application of the unit 40, and the difficulty level is calculated through a calcul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0.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웹서버(10)에 저장되는 언어, 학습유형(학습과정) 및 연령대에 따라 설문문항을 조합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문 문항에 설정되는 점수의 평점을 웹서버(10)에서 산출하고, 산출된 평점을 통해 설정되는 해당 난이도의 학습 내용을 산출하게 된다.In the calculating step, the questionnaire items are combin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languag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nd age group stored in the web server 10, and the rating of the score set for the questionnaire item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web server 10 ), and the learning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level of difficulty set through the calculated grade is calculated.

이렇게 산출된 학습내용은 DB서버(30)에 다른 사용자들의 학습내용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어 빅데이터화되고, 이러한 빅데이터를 통해 사용자들의 학습내용 난이도 및 학습내용을 점진적으로 세분화 또는 진화시켜 더 사용자에게 더 적합한 학습내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learning content calculated in this way is stored together with the learning content data of other users in the DB server 30 and becomes big data, and through this big data, the learning content difficulty and learning content of the users are gradually subdivided or evolved to provide more users with more information. We can provide you with appropriate learning content.

이때, 상기 빅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에서 부족한 부분을 확인하여 집중학습(추가보완 과정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문제해결에 대한 해답에 대한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rough the big data, the insufficient part of the user's learning is identified, so that intensive learning (additional supplementary process setting) can be performed, and it can be used as data for answers to problem solving.

상기 산출되는 학습내용의 난이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학습내용을 표시하면, 직접 학습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60)를 통해 해당 난이도에 따른 학습 내용을 종이로 출력하여 학습할 것인지 또는 단말부(4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여 단말부(40)를 통해 직접 학습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게 된다.If the learning content is display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calculated learning content, through a step (S60) of selecting whether or not to directly learn the learning content, whether to output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difficulty level on paper and learn it, or the terminal unit 40 ) is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and it is selected whether or not to directly learn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 단말부 또는 종이에 출력하여 학습하는 유아용 한글 학습내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 단말부 또는 종이에 출력하여 학습하는 유아용 수학 학습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 단말부 또는 종이에 출력하여 학습하는 유아용 미술 학습내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 단말부 또는 종이에 출력하여 학습하는 유아용 한문 학습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learning contents of Hangeul for infants, which are output to a terminal or paper in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 of learning mathematics for toddlers learning by outputting it on paper,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 of learning art for toddlers learning by outputting it to a terminal or paper in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Chinese learning contents for infants that are output to a terminal or paper in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직접 학습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60)를 통해 학습 방법을 선택하면, 학습을 진행하는 단계(S70)를 통해 종이 또는 단말부(40)를 통해 학습을 사용자가 진행하게 된다.3 to 7, if a learning method is selected through the step of selecting whether or not to directly learn (S60), learning through paper or the terminal unit 40 through the step of proceeding with learning (S70) the user proceeds.

즉, 상기 학습내용을 종이로 학습내용을 출력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펜을 통해 학습을 하거나 채색도구로 채색하여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That is, when learning is performed by outputting the learning content on paper, the user performs the learning directly through a pen or by coloring with a coloring tool.

상기 학습내용을 단말부(40)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단말부(40)를 통해 표시되는 학습내용을 터치 또는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여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In the case of proceeding with the learning content to the terminal unit 40, the learning progresses by inputting the learning content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through a touch or an input device.

이때, 학습을 진행하는 도중 사용자가 임의로 중단하여 진행한 학습내용을 저장하거나 중단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른 학습 진도를 SB서버에 저장하여 추후에 사용자가 다시 학습을 이어서 진행 하거나, 다른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e user can arbitrarily stop and save or stop the learning progress, and the learning progress is stored in the SB server so that the user can resume learning later or proceed with other learning. make it possible

상기 학습을 진행할 때에는 사용자에게 글자와 음성으로 해당 난이도의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른 학습방법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정확한 방법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learning proceeds, th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of the level of difficulty is displayed to the user in text and voice so that the user can learn in an accurate way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이때, 표시되는 음성 및 글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표시되도록 단말부(40)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isplayed voice and text can be selected by the terminal unit 40 so that the user can display them in a desired language.

상기 학습을 진행하는 단계(S70)를 통해 학습을 완료하면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S80)를 통해 사용자가 진행하는 학습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여 난이도, 학습결과에 대한 적합여부 또는 학습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본인에게 맞는 적합한 학습내용 여부 및 학습내용의 결과를 확인하도록 환다.When the learning is completed through the learning step (S70), the evaluation is conduc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ed by the user through the step of checking the result (S80), and the difficulty, suitability for the learning result, or learning result is determined. It is checked and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learning content is suitable for the user and the result of the learning content.

이때, 상기 웹서버(10)에서 설정되는 기준으로 학습내용을 평가하여 결과를 확인하면, 웹서버(10)에 설정되는 기준 이상일 경우 산출된 난이도 또는 다음 난이도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고, 웹서버(10)에 설정되는 기준 미만인 경우 전단계의 학습내용으로 돌아가 전단계의 학습내용을 학습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learning content is evaluated based on the criteria set in the web server 10 and the result is confirmed, if the content is higher than the standard set in the web server 10, learning can proceed with the calculated difficulty level or the next difficulty level, and the web server ( If it is less than the standard set in 10), return to the learning content of the previous stage and learn the learning content of the previous stage.

상기 학습내용의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S80)는 학습 내용을 종이로 인쇄하여 진행한 경우 단말부(40)에 해당 학습의 평가 설문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을 통해 웹서버(10)에서 평가 또는 진행된 학습내용을 촬영하여 웹서버(10)로 전송하는데 인쇄물로 학습이 진행된 학습한 내용을 촬영하여 웹서버로 전송하여 확인하는 경우 이를 웹서버에서 이미지 인식으로 평가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인쇄물로 학습이 진행된 부분의 이미지 인식이 불가한 경우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촬영하여 웹서버로 전송(업로드)하면 웹서버 관리자가 전송(업로드)된 학습내용 촬영분을 확인하여 학습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checking the result of the learning content (S80), when the learning content is printed on paper and proceeded, an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so that the user can evaluate or If the learning progressed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and the learning progressed as a printout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for confirmation, the web server can evaluate it by image recognition, and the learning progressed as a printout If the image recognition of the progressed part is not possible, the learner takes a picture of the learning content and transmits (uploads) it to the web server.

이렇게 진행된 학습내용을 촬영하여 웹서버(10)로 전송하고, 학습 내용을 종이로 인쇄하여 진행한 경우 단말부(40)에 해당 학습의 평가 설문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을 통해 웹서버(10)에서 평가 또는 진행된 학습내용을 촬영하여 웹서버(10)로 전송하고, 이를 웹서버(10)에서 이미지 인식으로 평가를 진행하고, 학습내용을 단말부(40)를 통해 직접 진행하는 경우에는 단말부(40)를 통해 입력되는 학습내용에 따른 결과를 웹서버(10)에서 설정되는 평가기준을 통해 평가하게 된다.In this way, the learning content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and when the learning content is printed on paper and proceeded, an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and the user inputs the web server 10 The evaluation or progressed learning content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the evaluation is performed by image recognition in the web server 10, and in the case of directly proceeding with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the terminal unit The result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input through (40) is evaluated through the evaluation criteria set in the web server 10.

상기 학습내용을 종이로 인쇄하여 진행한뒤 촬영하여 웹서버(10)로 전송해 이미지 인식으로 평가할 때에는, 웹서버(10)에서 전송된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흑백이미지에서 글자 또는 그림을 추출하여 인식하고, 인식된 그림의 경우 외곽선과 대비하여 범위 이탈, 미달 또는 채워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훼ㅂ서버에 설정되는 점수 평가에 따라 평가하게 된다.When the learning content is printed on paper,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for evaluation by image recognition,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10 is converted to black and white, and the converted black and white image is converted to text or a picture. is extracted and recognized, and in the case of a recognized picture, it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core evaluation set in the web server by checking whether it is out of range, under or filled in by comparing it with the outline.

상기 인식된 문자의 경우 웹서버(10)에 설정되는 정답과 비교하여 글자의 동일 및 정답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과 오답을 판별하여 평가를 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recognized text, it is compared with the correct answer set in the web server 10 to determine whether the text is the same or correct, and the correct answer and the wrong answer are determined and evaluated.

상기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S80)를 통해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하게 되면,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90)를 통해 평가된 사용자의 학습결과 및 내용을 DB서버(30)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확인하거나 다음에 학습 난이도를 선택할때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confirms the result through the step of checking the result (S80), the user's learning result and contents evaluated through the step of making it a reference (S90) are stored in the DB server 30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arbitrarily or use it as a reference when selecting the learning difficulty level next time.

이러한 상기 사용자의 학습결과는 다른 사용자들의 유사학습결과 데이터와 DB서버(30)에 빅데이터화 되어 저장되고, 이를 통해 웹서버(10)에서는 사용자들의 학습내용에서 필요하거나, 삭제해야 하거나, 부족한 내용등을 유추하여 관리자서버(50)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서버(50)에서 변화가 필요한 학습내용에 대하여 추가, 수정 또는 삭제를 진행하여 진보된 학습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user's learning results are converted into big data and stored in the DB server 30 along with the similar learning result data of other users, and through this, the web server 10 requires, deletes, or lacks content in the user's learning content. Inferr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r server 50, and through this, the manager server 50 proceeds to add, modify, or delete the learning contents that need to be changed so that advanced learning content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상기 돤리자 서버는 관리자가 엡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학습내용을 업데이트, 수정 및 삭제등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DB서버(30)에 저장되는 사용자들의 학습 난이도 및 학습결과에 대한 빅데이터를 통해 추가될 학습내용을 생성하여 웹서버(10)에 업데이트를 시킬 수 있다.The dulija server is made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update, modify, and delete the learning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web server, and through big data on the learning difficulty and learning results of users stored in the DB server 30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web server 10 by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to be add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먼저 사용자가 단말부(40)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을 통해 웹서버(1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하면, 단말부(40)에 사용자가 학습하고자하는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태창을 표시한다.First, when a user accesses and logs in to the web server 10 through a web browser or application of the terminal unit 40, the terminal unit 40 allows the user to select a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to learn. display the status window

사용자는 상기 단말부(40)에 표시되는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 중 예를 들어 한글을 선택하면, 단말부(40)는 이에 대한 정보를 웹서버(10)로 전송하고, 다시 사용자의 학습 난이도 선택을 위한 연령을 확인하는 연령 선택 창을 표시한다.When the user selects, for example, Korean among the languages or learning types (learning proces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the terminal unit 4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is to the web server 10, and the user's Displays the age selection window to confirm the age for learning difficulty selection.

이때, 상기 단말부(40)에 선택되는 연령대는 상세한 연령대가 아닌 범위로 예를들어 유아 1(3 ~ 4세), 유아 2(5 ~ 6세),아동(7 ~ 9세),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 70대 또는 80대이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단말부(4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ge range selected by the terminal unit 40 is not a detailed age range, for example, infant 1 (3 to 4 years old), infant 2 (5 to 6 years old), child (7 to 9 years old), and teenagers. , 20s, 30s, 40s, 50s, 60s, 70s, or 80s or more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unit 40 so that any one can be selected.

상기 사용자가 단말부(40)에 표시된 연령대를 예를 들어 유아 2로 선택하면 웹서버(10)에서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인 한글과 유아 2의 연령대 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가 전에 해당 학습내용인 한글에 관해 학습하다가 중단한 적이 있는지를 DB서버(30)에서 검색하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age group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as, for example, infant 2, the web server 10 provides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of Hangeul and infant 2 age group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ad the corresponding learning content beforehand. The DB server 30 is searched for whether or not the learner has stopped studying Hangeul.

상기 DB서버(30)에 전에 학습하던 학습내용이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처음학습을 하는 경우는 연령대에 해당하는 난이도 설문을 작성하여 단말부(40)로 전송하고, 이를 단말부(40)에서 표시하여 사용자가 설문에 응답하여 설문을 통해 학습내용의 난이도를 웹서버(10)에서 산출하도록 하여 설문지와 해당연령에 맞는 학습지가 추출되어 단말부(40)에 표시된다. 상기 DB서버(30)에 전에 학습하던 학습내용이저장되어 있으면, 이어서 학습할 것인지 새로운 학습을 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게 된다.If the learning content previously learned is not stored in the DB server 30 or is learning for the first time, a difficulty questionnaire corresponding to the age group is cre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40, and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When the user responds to the questionnaire, the web server 10 calculates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and workbook suitable for the age are extracted and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If the previous learning content is stored in the DB server 30, the user is asked whether to continue learning or new learning.

이때, 상기 DB서버(30)에 저장되는 기존의 학습 결과를 웹서버(10)에서 로드하여 사용자가 학습을 한 학습유형(학습과정)을 단말부(40)를 통해 표시하며, 표시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 편식을 하지 않도록 미학습유형(학습과정)을 단말부(40)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미학습유형(학습과정)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existing learning results stored in the DB server 30 are loaded from the web server 10, and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that the user has learned is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and the displayed learning type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cess), the unlearned type (learning process)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to prevent the user from unbalanced learning, so that the user can also learn the unlearned type (learning process).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새로운 학습을 할 것을 선택하게 되면, 웹서버(10)에서 새로운 학습의 학습유형(학습과정)과 사용자의 연령대 또는 국적에 해당하는 난이도 설문을 작성하여 단말부(40)로 전송하고, 이를 단말부(40)에서 표시하여 사용자가 설문에 응답하여 설문을 통해 학습내용의 난이도를 웹서버(10)에서 산출하도록 한다.And when the user selects to do new learning, the web server 10 fills out a difficulty questionnair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of the new learning and the age or nationality of the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unit 40 , This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so that the user responds to the questionnaire and the web server 10 calculates the difficulty of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questionnaire.

이렇게 산출된 난이도에 따라 학습내용을 단말부(4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가 종이에 프린트하여 학습을 진행할 것인지 단말부(40)를 통해 직접 학습을 진행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해당 방법으로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difficulty calculated in this way, the learning contents are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and the user selects whether to proceed with learning by printing on paper or directly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and proceeds with the learning method. will do

상기 학습을 진행할 때에는 사용자에게 글자와 음성으로 해당 난이도의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른 학습방법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정확한 방법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learning proceeds, th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of the level of difficulty is displayed to the user in text and voice so that the user can learn in an accurate way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이때, 상기 학습내용을 종이에 인쇄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펜등을 이용하여 직접 종이에 한글을 따라 적거나 하는 등의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learning is performed by printing the learning content on paper, the user proceeds with learning by directly writing Hangul on the paper using a pen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단말부(40)를 통해 직접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단말부(40)에 표시되는 학습내용을 터치 또는 입력장치를 통해 진행하게 된다.And, in the case of directly proceeding with learning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the learning content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is progressed through a touch or an input device.

이때, 학습을 진행하는 도중 사용자가 임의로 중단하여 진행한 학습내용을 저장하거나 중단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른 학습 진도를 SB서버에 저장하여 추후에 사용자가 다시 학습을 이어서 진행 하거나, 다른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e user can arbitrarily stop and save or stop the learning progress, and the learning progress is stored in the SB server so that the user can resume learning later or proceed with other learning. make it possible

이렇게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하여 학습을 완료하게되면, 웹서버(10)에서 학습방법에 따른 평가를 진행하게 되며, 사용자가 종이에 인쇄하여 학습을 진행한 경우 단말부(40)를 통해 웹서버(10)에서 제공되는 학습 평가 기준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평가를 하여 단말부(40)를 통해 평가점수를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카메라,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을 이용하여 촬영한 학습내용을 단말부(40)를 통해 웹서버(10)로 전송하여 웹서버(10)에서 촬영 이미지 인식 및 웹서버 관리자 확인을 통해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user proceeds with learning and completes the learning in this way, the web server 10 proceeds with evalu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method, and when the user prints on paper and proceeds with learning, the web server ( 10), the user directly evaluates through the learning evaluation criteria provided and inputs an evaluation score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or the user records the learning content captured using a camera, smartphone, or tablet PC, etc. to the terminal unit ( 40), it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and the web server 10 can perform evaluation through recognizing the captured image and confirming the web server manager.

이때, 상기 사용자가 직접 학습 평가 기준을 통해 사용자가 진행한 학습내용에 대한 평가를 할때에는 단말부(40)를 통해 표시되는 학습 평가 기준 항목에 따라 책정되는 점수를 단말부(40)에 입력하고, 이를 웹서버(10)로 전송하여 평가 기준에 따른 평가 점수를 산출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directly evaluates the learning content that the user has progressed through the learning evaluation criteria, the terminal unit 40 inputs a sco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arning evaluation criterion items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 which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to calculate an evaluation score according to evaluation criteria.

그리고, 학습내용을 촬영하여 웹서버(10)로 전송 또는 업로드 하는 경우에는 웹서버 관리자가 전송 또는 업로드한 학습내용 촬영본을 확인하거나 웹서버(10)에서 촬영이미지를 흑백이미지로 변환하여 기준이 되는 글자와 써진 글씨의 선이 유사한지 여부, 글자 획의 부족등의 항목을 단계별로 나누어 각 단계의 점수에 따라 책정되는 학습 평가 기준으로 평가를 자동으로 진행하여 단말부(40)를 통해 결과를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learning content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or uploaded to the web server 10, the web server manager checks the transmitted or uploaded learning content copy, or the web server 10 converts the captured image into a black and white image so that the standard is met. Items such as whether the lines of the written letters and the similarity of the letters are similar, the lack of letter strokes, etc. are divided into stages, and the evalu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based on the learning evaluation criteria set according to the scores of each stage, and the results are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will display

상기 단말부(40)를 통해 직접 사용자가 학습을 한 경우에는 웹서버(10)의 학습 평가 기준을 통해 자동으로 평가하고 결과를 표시 하게 된다.When the user directly learns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it is automatically evaluated through the learning evaluation criteria of the web server 10 and the result is displayed.

이때, 상기 웹서버(10)에서 설정되는 기준으로 학습내용을 평가하여 결과를 확인하면, 웹서버(10)에 설정되는 기준 이상일 경우 산출된 난이도 또는 다음 난이도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고, 웹서버(10)에 설정되는 기준 미만인 경우 전단계의 학습내용으로 돌아가 전단계의 학습내용을 학습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learning content is evaluated based on the criteria set in the web server 10 and the result is confirmed, if the content is higher than the standard set in the web server 10, learning can proceed with the calculated difficulty level or the next difficulty level, and the web server ( If it is less than the standard set in 10), return to the learning content of the previous stage and learn the learning content of the previous stage.

이렇게 상기 사용자가 진행한 학습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면, 학습결과를 웹서버(10)와 연결되는 DB서버(30)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단말부(4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추후에 필요에 따라 유사한 학습내용을 선택할 경우 난이도 선택에 참고가 되도록 하여 더 높은 난이도 또는 낮은 난이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when the user's learning is evaluated, the learning result is stored in the DB server 30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0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when desired, and later If similar learning content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need,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selecting a difficulty level so that a higher or lower level of difficulty can be progressed.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유아, 아동, 다문화가정, 결혼이민자, 외국인귀화자, 중도입국청소년, 외국인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선택하여 쉽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that users such as infants, children, multicultural families, marriage immigrants, foreign naturalized persons, immigrant youths, and foreigners can easily learn by selecting the desired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또한, PC, 랩탑,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등의 단말부를 이용하여 종이인쇄물 또는 직접 단말부로 학습하고 이를 평가받아 사용자의 학습수준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user's learning level by learning with a paper printout or direct terminal using a terminal such as a PC, laptop, smart phone or tablet PC and evaluating it.

또한,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진행하고자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의 난이도를 웹서버에서 산출하여 학습내용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eb server calculates the difficulty of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that the user wants to proceed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nd provides the learning content, it is effective that the user can proceed with learning suitable for his/her level. .

또한, 사용자가 인쇄물과 단말부를 통해 학습한 내용이 연계되어 과목별 세부내용별로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check his/her own learning content by subject specific content by linking the printed matter and the content learned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unit.

상기와 같은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smart learn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10 : 웹서버 20 : 인증서버
30 : DB서버 40 : 단말부
50 : 관리자서버
10: web server 20: authentication server
30: DB server 40: Terminal
50: admin server

Claims (6)

학습자가 단말부(40)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을 통해 학습용 웹서버(10)에 접속하면, 상기 학습자의 단말부(40)에 상기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임의의 언어 또는 학습유형(학습과정)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상기 임의의 언어 또는 상기 학습유형(학습과정)의 선택하면, 상기 학습자의 학습 난이도 선택을 위해 상기 단말부(40)에 연령대와 국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연령대와 상기 국적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연령대 및 상기 국적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학습 내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DB서버(30)에서 검색하여 학습 내용의 존재 유무를 표시하고, 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연령대에 따라 학습 난이도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상기 단말부(40)의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로 표시하고, 웹서버(10)와 연결되는 산출서버를 통해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해당 난이도에 따른 학습 내용을 종이로 출력하여 학습할 것인지 또는 단말부(4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여 단말부(40)를 통해 직접 학습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가 진행하는 학습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여 난이도, 학습결과에 대한 적합여부 또는 학습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상기 단말부(40)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평가된 사용자의 학습결과 및 내용을 DB서버(30)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확인하거나 빅데이터화하여 다음에 학습 난이도를 선택할때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의 학습 난이도 선택을 위해 상기 단말부(40)에 연령대와 국적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령대 및 상기 국적이 선택되면, 이에 따른 학습 과정을 웹서버(10)에서 해당 학습유형(학습과정)의 단계를 표시하면 사용자가 선택 또는 설문을 통해 설정되는 난이도의 학습유형(학습과정)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웹서버(10)에 저장되는 언어, 학습유형(학습과정) 및 연령대에 따라 설문문항을 조합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문 문항에 설정되는 점수의 평점을 웹서버(10)에서 산출하고, 산출된 평점을 통해 설정되는 해당 난이도의 학습 내용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진행하는 학습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여 난이도, 학습결과에 대한 적합여부 또는 학습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상기 단말부(40)에 표시하는 단계는,
학습 내용을 종이로 인쇄하여 진행한 경우 단말부(40)에 해당 학습의 평가 설문을 표시하여 평가 또는 진행된 학습내용과 관련된 촬영 데이터를 웹서버(10)로 전송하고, 이를 웹서버(10)에서 이미지 인식 및 웹관리자 확인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고,
상기 학습내용을 단말부(40)를 통해 직접 진행하는 경우에는 단말부(40)를 통해 입력되는 학습내용에 따른 결과를 웹서버(10)에서 설정되는 평가기준을 통해 평가하고,
상기 학습내용을 종이로 인쇄하여 진행한뒤 촬영하여 웹서버(10)로 전송해 이미지 인식으로 평가할 때에는,
상기 웹서버(10)에서 전송된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흑백이미지에서 글자 또는 그림을 추출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그림의 경우 외곽선과 대비하여 범위 이탈, 미달 또는 채워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웹서버(10)에 설정되는 점수 평가에 따라 평가하고,
상기 인식된 문자의 경우 웹서버(10)에 설정되는 정답과 비교하여 글자의 동일 및 정답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과 오답을 판별하고,
상기 연령대와 상기 국적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연령대 및 상기 국적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학습 내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DB서버(30)에서 검색하여 학습 내용의 존재 유무를 표시하고, 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DB서버(30)에 저장되는 기존의 학습 결과를 웹서버(10)에서 로드하여 사용자가 학습을 한 학습유형(학습과정)을 단말부(40)를 통해 표시하며, 표시되는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 편식을 하지 않도록 미학습유형(학습과정)을 단말부(40)로 표시하고,
상기 DB서버(30)에 종래에 진행하던 학습내용이 존재하면, 웹서버(10)에서 해당 사용자의 학습내용을 로드할 것인지 단말부(4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로드할 것이 선택되면 상기 DB서버(30)에 저장된 학습내용을 로드하여 표시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웹서버(10)에 저장되는 언어, 학습유형(학습과정) 및 연령대에 따라 설문문항을 조합하여 표시하고, 상기 설문 문항에 설정되는 점수의 평점을 웹서버(10)에서 산출하고, 산출된 평점을 통해 설정되는 해당 난이도의 학습 내용을 산출하게 되고,
산출된 상기 학습 내용은 DB서버(30)에 다른 사용자들의 학습내용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어 빅데이터로 빅데이터화되고,
상기 빅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에서 부족한 부분을 확인하여 집중학습(추가보완 과정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문제해결에 대한 해답에 대한 데이터로 사용하고,
학습을 진행하는 도중 상기 사용자가 임의로 중단한 경우, 학습 진도를 SB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학습을 진행할 때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글자와 음성으로 해당 난이도의 학습유형(학습과정)에 따른 학습방법을 표시하고,
표시되는 상기 음성 및 상기 글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표시되도록 단말부(40)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가 진행하는 학습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여 난이도, 학습결과에 대한 적합여부 또는 학습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상기 단말부(40)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웹서버(10)에서 설정되는 기준으로 학습내용을 평가하여 결과를 확인하면, 웹서버(10)에 설정되는 기준 이상일 경우 산출된 난이도 또는 다음 난이도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고, 웹서버(10)에 설정되는 기준 미만인 경우 전단계의 학습내용으로 돌아가 전단계의 학습내용을 학습하도록 하고,
이러한 상기 사용자의 학습결과는 다른 사용자들의 유사학습결과 데이터와 DB서버(30)에 빅데이터화 되어 저장되고, 이를 통해 웹서버(10)에서는 사용자들의 학습내용에서 필요하거나, 삭제해야 하거나, 부족한 내용을 유추하여 관리자서버(50)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서버(50)에서 변화가 필요한 학습내용에 대하여 추가, 수정 또는 삭제를 진행하여 진보된 학습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서버는 관리자가 엡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학습내용을 업데이트, 수정 및 삭제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DB서버(30)에 저장되는 사용자들의 학습 난이도 및 학습결과에 대한 빅데이터를 통해 추가될 학습내용을 생성하여 웹서버(10)에 업데이트를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학습 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방법.
When a learner accesses the learning web server 10 through the web browser or application of the terminal unit 40, any language or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that the learner can select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of the learner. displaying;
If the learner selects the arbitrary language or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displaying the age group and nationality on the terminal unit 40 to select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When the age range and the nationality are selected, the DB server 30 searches whether or not the learner's learning content exists according to the selected age range and the nationality, displays the existence of the learning content, and checks whether to load it. doing;
Displaying a questionnaire for checking learning difficulty according to the selected age group in the web browser or application of the terminal unit 40, and calculating the difficulty through a calcul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0;
Selecting whether to learn by outputting th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level of difficulty on paper or directly learning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by displaying them through the screen of the terminal unit 40;
Conducting evalu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ed by the user, checking the degree of difficulty, suitability for the learning result, or learning result, and displaying it on the terminal unit 40;
Storing the evaluated learning results and contents of the user in the DB server 30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check or convert them into big data so that they can be used as reference when selecting the learning difficulty level next time,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age group and nationality on the terminal unit 40 to select the learning difficulty of the learner,
When the age range and the nationality are selected, the web server 10 displays the corresponding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step, and the user selects or selects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of difficulty set through a questionnaire. enable you to lear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evel of difficulty is to combine and display survey questions according to the languag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nd age group stored in the web server 10, and display the rating of the score set for the survey question selected by the user on the web server. Calculate the learning content of the difficulty level calculated in (10) and set through the calculated grade,
The step of evaluating the level of difficulty, suitability for the learning result, or the result of the learning by performing th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ed by the user, and displaying it on the terminal unit 40,
When the learning content is printed on paper and progressed, an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and shooting data related to the evaluation or progressed learning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and the web server 10 transmits the captured data. Evaluation is conducted by image recognition and web manager confirmation,
In the case of directly proceeding with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the result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 input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is evaluated through the evaluation criteria set in the web server 10,
When the learning content is printed on paper, photographed,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10, and evaluated by image recognition,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10 is converted to black and white, and letters or pictures are extracted and recognized from the converted black and white image,
In the case of the recognized picture, it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core evaluation set in the web server 10 by checking whether it is out of range, under or filled in comparison with the outline,
In the case of the recognized text, it is compared with the correct answer set in the web server 10 to determine whether the text is the same and whether the correct answer is correct, thereby discriminating between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When the age range and the nationality are selected, the DB server 30 searches whether or not the learner's learning content exists according to the selected age range and the nationality, displays the existence of the learning content, and checks whether to load it. At the stage of
The existing learning results stored in the DB server 30 are loaded from the web server 10, and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that the user has learned is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and the displayed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ocess), the unlearned type (learning process)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unbalanced learning,
If the DB server 30 has conventional learning contents, the web server 10 displays to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unit 40 whether to load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if the learning contents to be loaded are selected, the learning contents are selected. Loading and displaying learning contents stored in the DB server 30,
In the calculating step, the questionnaire items are combin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languag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and age group stored in the web server 10, and the web server 10 calculates the rating of the score set for the questionnaire item. And the learning content of the difficulty level set through the calculated score is calculated,
The calculated learning content is stored together with the learning content data of other users in the DB server 30 and converted into big data,
Through the big data,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insufficient part of the user's learning so that intensive learning (setting an additional supplementary course) is possible, and used as data for answers to problem solving,
If the user arbitrarily interrupts while learning is in progress, the learning progress is stored in the SB server,
When the learning proceeds, th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learning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difficulty is displayed to the user in text and voice,
The displayed voice and the text ar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m in the terminal unit 40 so as to be displayed in a desired language,
In the step of performing evalu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ed by the user to check the degree of difficulty, suitability for learning results, or learning results, and displaying them on the terminal unit 40,
If the learning content is evaluated based on the criteria set in the web server 10 and the result is checked, if the content is higher than the standard set in the web server 10, learning can proceed with the calculated difficulty or the next difficulty level, and the web server 10 If it is less than the standard set in , return to the learning content of the previous stage and learn the learning content of the previous stage
The user's learning results are converted into big data and stored in the DB server 30 along with the similar learning result data of other users, and through this, the web server 10 removes necessary, deleted, or insufficient content from the user's learning content. It is inferr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r server 50, and through this, the manager server 50 adds, corrects, or deletes the learning contents that need to be changed to provide advanced learning contents to the user,
The manager server is made so that the manager can update, modify, and delete the learning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web server, and will be added through big data on the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results of users stored in the DB server 30. A learning method using a smart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generating learning content and updating the web server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54040A 2020-05-06 2020-05-06 Learning Methods Using Smart Learning Systems KR1024988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40A KR102498857B1 (en) 2020-05-06 2020-05-06 Learning Methods Using Smart Learning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40A KR102498857B1 (en) 2020-05-06 2020-05-06 Learning Methods Using Smart Learning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862A KR20210135862A (en) 2021-11-16
KR102498857B1 true KR102498857B1 (en) 2023-02-10

Family

ID=7871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040A KR102498857B1 (en) 2020-05-06 2020-05-06 Learning Methods Using Smart Learning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5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940B1 (en) * 2006-04-21 2007-09-14 김영나 Management system for learning art
KR102099787B1 (en) * 2019-05-09 2020-04-10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Adaptive learning question bank system and individual attributes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0569A (en) * 2011-02-08 2012-08-1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learning material
KR101616405B1 (en) 2015-08-12 2016-04-29 주식회사 오름 Smart education system for kids
KR102187502B1 (en) * 2018-07-12 2020-12-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Learner-customized contents providing device through working memory range test and method of proniding learner-customized contents by using 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940B1 (en) * 2006-04-21 2007-09-14 김영나 Management system for learning art
KR102099787B1 (en) * 2019-05-09 2020-04-10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Adaptive learning question bank system and individual attributes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862A (en)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50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ment administration and evaluation
Dvorak Moodle for dummies
Ishaq et al. Usability and design issues of mobile assisted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
Beach et al. Understanding and creating digital texts: An activity-based approach
US10984671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6963302B2 (en) Kanji learning device
Dehghan et al. On the Cultural Schema and Iranian EFL Learners' Reading Performance: A Case of Local and Global Items.
Erlina et al. Whole language-based English reading materials
Allen et al. Primary ICT: knowledge, understanding and practice
Roarty et al. Analysis of Using Virtual Exchange to Develop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EFL Students.
TWI591501B (en) The book content digital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JP6957803B2 (en) Learning support device
KR102498857B1 (en) Learning Methods Using Smart Learning Systems
JP2002287608A (en) Learning support system
Sundeen et al. Interpreting visual texts: Use of an analytic rubric to evaluate student responses to writing prompts
KR102126834B1 (e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KR102017471B1 (en) Indication system for mathematical algorithm
Heine et al. Teaching information fluency: how to teach students to be efficient, ethical, and critical information consumers
US20140356821A1 (en) Vocabulary learning tools
Thombs et al. Using webquests in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a culturally responsive approach
Čulig et al. PISANKA: The mobile application for learning how to write uppercase letters
Araújo et al. Pedagogic software evaluation protocol: analyzing a digital educational game for portuguese language teaching
JP2004309890A (en) Education system
Astuti et al. Utilization of the gesture library for learning Java characters interactively
Abduraubovich IMPROVING THE TEACHING METHODOLOGY OF INFORMATIC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IN PRIMARY CLASSES UNDER DIGITAL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