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834B1 -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 Google Patents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834B1
KR102126834B1 KR1020190019279A KR20190019279A KR102126834B1 KR 102126834 B1 KR102126834 B1 KR 102126834B1 KR 1020190019279 A KR1020190019279 A KR 1020190019279A KR 20190019279 A KR20190019279 A KR 20190019279A KR 102126834 B1 KR102126834 B1 KR 102126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nswer
code
questionnair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대성
김도남
Original Assignee
김도남
진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남, 진대성 filed Critical 김도남
Priority to KR1020190019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834B1/en
Priority to PCT/KR2019/004388 priority patent/WO202017128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8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grading system using a QR cod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grading system using a QR code, capable of grading an examination paper rapidly and convenient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grading system using a QR code comprises: a user device;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an examination paper creating device, where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a database module, an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a grading module, a ranking calculation module, and a result providing module.

Description

큐알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본 발명은 자동 채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c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학습에 있어서 실제 문제를 풀어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틀린 문제를 다시 학습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은 다양한 문제집 등을 풀곤 하는데, 문제 풀이 후에는 채점을 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쉽게 채점을 할 수 있도록 문제 부근에 정답을 표시하는 경우가 있으나, 문제를 풀기 전에 정답을 알게 되어 학업성취도를 파악하기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문제집 뒤쪽이나 별도의 책으로 정답지를 구비하는 경우도 많이 있으나, 문제집의 앞뒤를 왔다 갔다 해야 하므로 채점이 불편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정답지를 분실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In learning, it is very important to solve the real problem to make sure you know it correctly, and to learn the wrong problem again. To this end, learners often solve a variety of problem collections, but after the problem is solved, the process of scoring is essential. In some cases, the correct answer is displayed in the vicinity of the problem so that it can be easily scor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academic achievement by knowing the correct answer before solving the problem. 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correct answer sheet is provided in the back of the problem book or as a separate book, but since it is necessary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problem book, scoring is inconvenient, or a separate correct answer sheet is lost.

특히, 나이가 어린 학습자의 경우, 정답지 등을 교사나 학부모가 별도로 관리하면서 채점을 해 주게 되는데, 채점하는 과정에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학원 등에서 프린트물로 된 문제지를 나누어주는 경우, 이에 대한 정답을 관리하고 채점하는 것에 상당한 불편이 야기되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young learners, teachers or parents separately manage correct answer sheets, etc., and grade them. However, there was a limit in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scor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handing out a questionnaire in printed matters from academy and the like, considerable inconvenience was caused in managing and scoring the correct answer.

한편, 학업 능률을 고취하고 본인의 수준을 판단하기 위해 석차를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지만, 전국 모의고사와 같이 정해진 전국단위 시험에 참여하였을 때에 전국석차를 파악할 수 있을 뿐, 동일한 문제지를 많은 학습자가 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지를 이용해 학업성취도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없고, 친구들끼리 채점 결과를 서로 비교해 보는 수준에 머물렀다.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know the seating order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efficiency and judge one's level, bu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national seating when participating in a designated national unit test like a national mock exam, and many learners are solving the same problem. Nevertheless, there is no way to grasp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by using the problem paper, and they remained at the level of comparing scoring results among friends.

따라서 정답지의 분실이나 미리 정답이 유출될 염려 없이 좀 더 쉽고 편리하게 문제지를 채점하고, 나아가 석차까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mark the questionnaire without worrying about losing the correct answer sheet or leaking the correct answer in advance, and even more easily grasping the seat.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648756호(발명의 명칭: 시험지 인식 및 채점 시스템, 공고일자: 2016년 08월 17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gistration patent No. 10-1648756 (name of invention: test paper recognition and scoring system, date of publication: August 17, 2016) has been disclosed.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문제지에 구비된 QR코드 및 사용자의 답안이 기재되는 답안 기재부를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사용자 디바이스로 촬영하면, 문제지의 정보 및 정답을 저장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촬영된 QR코드 및 사용자의 답안을 인식해 자동으로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미리 정답이 유출될 염려나 정답지의 분실 우려 없이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문제지를 채점할 수 있는,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nd if the QR code provided in the questionnaire and the answering unit in which the user's answer is written are photographed with the user device driving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the problem sheet The service provision server that stores the information and correct answers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QR code and the user's answer, and automatically scores them and provides the scoring results to the user's device, making it easy, fast, and convenient without worrying about the correct answer being leaked or losing the correct answer shee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that can scor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동일한 문제지에 대한 채점 결과들로부터 사용자의 석차를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모의고사 등에 응시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쉽게 전국단위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calculates the user's seat from the scoring results for the same problem sheet and provides it to the user device in real ti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the national unit even without taking a mock exam or the lik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은,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채점이 필요한 문제지에 구비되며 해당 문제지의 정보가 포함된 QR코드 및 상기 QR코드 주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답안이 기재되는 답안 기재부를 카메라로 촬영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A user device that drives an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is provided on a problem sheet that needs scoring, and photographs a QR code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sheet and a response part recording unit in which the user's answer is written; And

문제지의 정보 및 정답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QR코드 및 사용자의 답안을 인식하며, 인식 결과를 이용해 자동으로 채점하여 채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stores information on the questionnaire and the correct answer, recognizes the QR code taken by the user device and the user's answer, and automatically scores the result using the recognition result to provide the scoring result to the user device,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The service providing server,

문제지의 정보 및 해당 문제지에 포함된 문제의 정답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A database module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questionnaire and correct answers to question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QR코드 및 답안 기재부로부터 문제지의 정보 및 사용자의 답안을 각각 인식하는 정보 인식 모듈;An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n a problem sheet and a user's answer, respectively, from the QR code photographed on the user device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상기 정보 인식 모듈에서 인식된 문제지의 정보 및 사용자의 답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문제지의 정보 및 정답을 이용해 사용자의 답안을 자동으로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채점 모듈;A scoring module for automatically scoring the user's answer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user's answer recognized in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and the information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questionnaire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and storing the scoring result in the database module;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상기 문제지의 정보에 대응하는 동일한 문제지에 대한 채점 결과들로부터 사용자의 석차를 산출하는 석차 산출 모듈; 및A seating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seating order of the user from scoring results for the same sheet of paper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sheet of paper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And

상기 채점 모듈의 채점 결과 및 상기 석차 산출 모듈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석차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결과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a result providing module that provides the user's seat difference calculated in the scoring module of the scoring module and the user's seat calculated in the seat calculation module in real time.

바람직하게는, 상기 QR코드 및 답안 기재부는,Preferably, the QR code and answer description unit,

상기 문제지에 인쇄 또는 부착될 수 있다.
It can be printed or attached to the problem sheet.

바람직하게는, 상기 답안 기재부는,Preferably, the answer description unit,

상기 문제지에 포함된 문제의 개수 및 문항 번호에 따라 테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able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he number of question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인식 모듈은,Preferably,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광학 문자 판독(Optical Character Reader; OCR)을 이용해 상기 답안 기재부로부터 사용자가 기재한 사용자의 답안을 추출할 수 있다.
Using the optical character reader (OCR), the user's answer written by the user may be extracted from the answer description uni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답안 기재부는,More preferably, the answer description unit,

문자 판독률을 높이기 위한 답안 작성 기준선을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baseline for writing an answer to increase the reading rate of characters.

바람직하게는, 상기 석차 산출 모듈은,Preferably, the seating calculation module,

해당 문제지에 포함된 문제별로 사용자들의 정오답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of users for each question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questionnai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Preferabl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문제지의 정보에 대응하는 QR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에 생성된 QR코드를 제공하는 QR코드 제작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e request of the production device for the problem paper, a QR code production module for generating a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paper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and providing the generated QR code to the produ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QR c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은,Preferably, the database module,

상기 해당 문제지에 포함된 문제에 대한 해설 동영상을 저장하며,Save the commentary video about the problem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problem sheet,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The service providing server,

상기 채점 모듈의 채점 결과, 틀린 문제에 대한 해설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cor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video providing module that provides a video explaining the wrong problem to the user device.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 따르면, 문제지에 구비된 QR코드 및 사용자의 답안이 기재되는 답안 기재부를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사용자 디바이스로 촬영하면, 문제지의 정보 및 정답을 저장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촬영된 QR코드 및 사용자의 답안을 인식해 자동으로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미리 정답이 유출될 염려나 정답지의 분실 우려 없이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문제지를 채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the QR cod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QR code provided in the questionnaire and the answering unit in which the user's answer is written are photographed with the user device driving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the information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questionnaire are obtained. The stored service provision server recognizes the QR code and the user's answer, and automatically scores the result and provides the scoring result to the user's device. Can.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동일한 문제지에 대한 채점 결과들로부터 사용자의 석차를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모의고사 등에 응시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쉽게 전국단위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the QR cod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calculates the user's seat from the scoring results for the same problem sheet and provides it to the user device in real time, even if the user does not take a mock exam or the like It is easy to grasp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t the national lev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서, 자동 채점을 위해 문제지를 촬영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서, QR코드 및 답안 기재부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서, 채점 결과가 제공된 사용자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for example, a state of a user device photographing a problem sheet for automatic scoring in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for example, a QR code and an answer description unit in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erver in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for example, a user device provided with a scoring result in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directly connected', but also'indirectly connected' with other elements in between. Includes. In addition, "including" a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nd a user device 200, and a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 May be further included.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제지의 정보 및 정답을 저장하고,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촬영된 QR코드 및 사용자의 답안을 인식하며, 인식 결과를 이용해 자동으로 채점하여 채점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접속을 허용하고,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stores the information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questionnaire, recognizes the QR code taken by the user device 200 and the user's answer, and automatically scores the recognition result using the recognition result to display the scoring result to the user device 200 ). To this e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llows access to the user device 2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signals and data. Here, the network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added network (VAN), such as a wired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or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을 구동하고, 채점이 필요한 문제지에 구비되며 해당 문제지의 정보가 포함된 QR코드 및 QR코드 주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답안이 기재되는 답안 기재부를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단말기용 프로그램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응용 프로그램' 내지 '응용 소프트웨어'로도 표현될 수 있다.
The user device 200 drives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is provided on the problem sheet that needs scoring, is located around the QR code and the QR code that contains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sheet, and the camera which answers the user's answer is recorded You can shoot. Here,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means a set of programs for a terminal designed to perform a specific task, and may also be expressed as'application'to'applicationsoftwar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20)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서, 자동 채점을 위해 문제지(10)를 촬영하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20)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서,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20)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를 촬영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자동 채점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코드(20)와 답안 기재부(30)를 한꺼번에 촬영할 수 있으나, QR코드(20)와 답안 기재부(30)를 각각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인식을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촬영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user device 200 photographing a problem sheet 10 for automatic scoring in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for example,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in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the QR cod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n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the QR cod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vice 200 to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It is possible to request automatic scoring by photographing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t this time, the user device 200 may photograph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all at once, as illustrated in FIG. 2, but may also photograph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respectively. have.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 a shooting guid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200 for accurate recogni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지(10)에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여기서 문제지(10)는 문제집과 같은 책의 형태일 수 있으나, 프린트물 형태나 시험지 등 채점이 필요한 문제지(10)라면 구체적인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문제집의 경우, 페이지 또는 챕터마다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를 구비하여, 편리하게 채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2,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ing unit 30 may be provided on the questionnaire 10, where the questionnaire 10 may be in the form of a book such as a problem book, but in the form of a printed matter. B If it is a question paper (10) that requires scoring, such as a test paper,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In the case of a problem collection, a QR code 20 and an answer description unit 30 are provided for each page or chapter, so that scoring is possible.

보다 구체적으로, QR코드(20)는 해당 문제지(1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집의 경우 문제집 명칭, 페이지 또는 챕터 정보 등을 QR코드(20)에 포함함으로써, QR코드(20) 인식을 통해 획득된 문제지(10)의 정보로부터 ㄱ출판사에서 출판한 ㄴ수학 중학교 2학년 1학기 문제집, 3단원 개념다지기 챕터, 124-125쪽 등의 구체적인 문제지(10)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QR code 20 may includ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blem sheet 1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roblem book, by including the name of the problem book, page or chapter information, etc. in the QR code 20, from the information on the questionnaire 10 obtain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QR code 20, a publishing company published by a publishing company b Mathematics Middle School You can grasp the information in the specific problem paper (10), such as the second semester's 1st semester problem book, Lesson 3 Concept Compaction Chapter, pages 124-125.

또한, 답안 기재부(30)는, QR코드(20) 주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답안이 기재될 수 있고, 문제지(10)에 포함된 문제의 개수 및 문항 번호에 따라 테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답안 기재부(30)는 QR코드(2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문항 번호 및 사용자의 답안을 기재할 수 있는 칸으로 구성된 테이블 형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is located around the QR code 20 and a user's answer may be written, and may be configured in a table form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and question number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1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QR code 20, and may be in the form of a table consisting of questions number and a column for describing the user's answer. have.

사용자 디바이스(2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광학 문자 판독(Optical Character Reader; OCR)을 이용해 답안 기재부(30)로부터 사용자가 기재한 사용자의 답안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답안 기재부(30)는, 문자 판독률을 높이기 위한 답안 작성 기준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답안 기재부(30)의 문항 번호 1 내지 5의 답안 기재 칸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 숫자 “8” 모양의 답안 작성 기준선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답안 작성 기준선에 맞추어 사용자의 답안을 작성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3의 답안 기재부(30)의 문항 번호 6 내지 10의 답안 기재 칸과 같이, 빈칸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답안을 작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의 답안 기재부(30)에는, 각 문항 번호 당 하나의 숫자를 기재한 예가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숫자, 문자 등 답안 작성에 필요하다면 답안 기재부(30)의 구성과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device 200 or the service provision server 100 may extract the user's answer written by the user from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using an optical character reader (OCR). Therefore, the answer writing unit 30 may include a answer writing reference line for increasing a character reading rate. For example, by including the answer writing reference line in the form of a number “8” having a rectangular shape, such as the answer writing boxes of item numbers 1 to 5 of the answer writing unit 30 of FIG. 3, the user can match the answer writing reference line. You can have your answer writte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answer description column of item number 6 to 10 of the answer description section 30 of FIG. 3 may be configured with a blank space so that the user can freely write an answer. In the answer writing unit 30 of FIGS. 2 and 3, an example in which one number is written for each item number is illustrated, but if necessary for writing a plurality of numbers, letters, etc., the answer writing unit 30 has a structure and form.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한편,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는, 문제지(10)에 인쇄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지(10)에 인쇄된 형태일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QR코드(20) 및 그 주변에 배치된 답안 기재부(30)를 별도로 인쇄하여 문제지(10)에 부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티커로 제작하여 문제지(10)의 빈 칸에 부착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별도로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배부할 수도 있다. 문제지(10)에 인쇄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소규모 학원 등에서 사용 중인 문제집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등, 문제집에 직접 인쇄를 할 수 없는 상황일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20)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서는,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를 문제지(10)와는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Meanwhile,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may be printed or attached to the questionnaire 10.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2, it may be in the form printed on the problem sheet 10, but separately print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disposed around it as shown in FIG. 3. It can also be attached to the problem sheet 10. For example, it can be made of a sticker and attached to a blank space of the problem sheet 10, or printed separately and distributed to a us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a situation in which printing is not possible on the problem book 10, or a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roblem book being used in a small school, etc., it may be a situation in which the problem book cannot be printed directly, Q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the code 20, since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separately from the question paper 10, its utilization can be maximized.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문제지(10)의 정보 및 해당 문제지(10)에 포함된 문제의 정답을 저장하고, 저장한 문제지(10)의 정보에 대응하는 QR코드(20)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는, 요청에 따라 생성된 QR코드(20)를 제공받아 문제지(10)에 인쇄하거나 별도로 인쇄하여 문제지(1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QR코드(20)뿐 아니라 QR코드(20) 주변으로 배치되는 답안 기재부(30)도, 해당 문제지(10)에 포함된 문제의 개수 및 문항 번호에 기초하여 함께 생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에 제공될 수 있다.
The questionnaire production device 300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10 and the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10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nd a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10 stored. You can request the creation of (20). The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may receive the QR code 20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print it on the problem paper 10 or separately print it and attach it to the problem paper 10. In addition, not only the QR code 20, but also the answering part 30 arranged around the QR code 20 is generated together based on the number and question number of the question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questionnaire 10, and is shown in FIG. 3. It may be provided to the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in the form as shown.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채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모바일 기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는 유무선 인쇄 또는 문제지(10) 편집이 가능한 기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는 전술한 디바이스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20)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종류와 관계없이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device 200 and the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devic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wearable device. hav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device 200 is a mobile device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scoring, and the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is preferably a device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printing or editing of the problem paper 10. However, the user device 200 and the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s of devices, and access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to access the QR cod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d automatic scoring system can be used, it can play any number of roles of the user device 200 and the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regardless of the specific typ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20)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20)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 모듈(110), 정보 인식 모듈(120), 채점 모듈(130), 석차 산출 모듈(140) 및 결과 제공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QR코드 제작 모듈(160) 및 동영상 제공 모듈(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in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of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the QR cod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module 110,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20, the scoring modul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130, the seat calculation module 140 and the result providing module 15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QR code production module 160 and the video providing module 170.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은, 문제지(10)의 정보 및 해당 문제지(10)에 포함된 문제의 정답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문제지(10)의 정보는, 문제집 명칭, 페이지 또는 챕터 정보, 문항 개수 및 문항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지(10)의 정보는, ㄱ출판사에서 출판한 ㄴ수학 중학교 2학년 1학기 문제집, 3단원 개념다지기 챕터, 124-125쪽, 문제 3개, 문항 번호 1, 2 및 3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제의 정답은 각 문항 번호별로 문항 번호 1의 정답 3, 문항 번호 2의 정답 3, 문항 번호 3의 정답 5 등으로 각 문항 번호별로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base module 110 may store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10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question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10. Here,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sheet 10 may include a problem book name, page or chapter information, the number of items, and the item number. For example, the information in the questionnaire (10), such as the first semester question book of the second semester of mathematics junior high school published by the Publishing House, chapter 3 of the concept compaction chapter, pages 124-125, 3 questions, item numbers 1, 2 and 3, etc.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correct answer of the question may be stored for each item number as correct answer 3 of item number 1, correct answer 3 of item number 2, correct answer 5 of item number 3, etc. for each item number.

또한,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은, 각 문제지(10)의 정보 또는 문제별로 채점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문제지(10)에 포함된 문제에 대한 해설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해설 동영상은, 문제의 풀이과정, 개념 설명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틀린 문제에 대한 설명을 동영상으로 시청하여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base module 110 may store scoring results for each problem sheet 10 or information, and may store commentary videos about the problem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issue sheet 10. In particular, the commentary video, including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onceptual explanation, and the like, allows the user to view the description of the wrong problem as a video to improve understanding.

정보 인식 모듈(120)은,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촬영된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로부터 문제지(10)의 정보 및 사용자의 답안을 각각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을 실행하고, 카메라를 이용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지(10)에 구비된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를 촬영할 수 있다. 정보 인식 모듈(120)은,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전달받아, QR코드(20)로부터 문제지(10)의 정보, 답안 기재부(3)로부터 사용자의 답안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20 may recognize information of the problem sheet 10 and a user's answer, respectively, from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photographed on the user device 200. That is, the user executes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on the user device 200, and uses a camera, as shown in FIG. 2, QR code 20 and answer answering unit 30 provided in the questionnaire 10 ).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20 may receive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user device 200 and extract the user's answer from the information on the questionnaire 10 from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 respectively. .

여기서,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촬영된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는 이미지 형태로 정보 인식 모듈(120)에 전달될 수 있으나,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이 자동 인식 기능을 포함하여, 문제지(10)의 정보 및 사용자 답안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Here,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ing unit 30 photographed on the user device 200 may be delivered to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20 in the form of an image, but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installed on the user device 200 ) Includes an automatic recognition function, and may recognize information on the problem sheet 10 and a user's answer and transmit the recogniz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한편, 정보 인식 모듈(120)은, 광학 문자 판독(Optical Character Reader; OCR)을 이용해 답안 기재부(30)로부터 사용자가 기재한 사용자의 답안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정보 인식 모듈(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기재하는 사용자의 답안을 광학 문자 판독을 통해 디지털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사용자의 답안을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표시하여, 정확하게 답안이 인식되었는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답안을 직접 수정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20 may extract the user's answer written by the user from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using an optical character reader (OCR). That is,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20 may convert a user's answer written by the user into digital information through optical character reading, as illustrated in FIG. 3. In addition, the extracted user's answ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200 so that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ly recognized, and if necessary, the user can directly correct the answer.

채점 모듈(130)은, 정보 인식 모듈(120)에서 인식된 문제지(10)의 정보 및 사용자의 답안과,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문제지(10)의 정보 및 정답을 이용해 사용자의 답안을 자동으로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인식된 문제지(10)의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문제지(10)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문제지(10)의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사용자의 답안이 일치하면 정(正), 불일치하면 오(誤)로 채점을 할 수 있다. 채점 결과는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될 수 있는데, 사용자별 또는 문제지(10)의 정보별로 채점 결과들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거나, 각 문제지(10)별 사용자들의 정답비율 등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채점 결과는, 각 문제별 난이도 판단, 문제 오류 판단, 새로운 문제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다.
The scoring module 130 automatically answers the user's answer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10 and the user's answer recognized in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20 and the information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questionnaire 10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Scoring and storing the scoring results in the database module 110. That is, when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paper 10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is searched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problem paper 10, and the correct answer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earched problem paper 10 and the user's answer match If it is inconsistent, it can be scored as five. Scoring results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By storing scoring results for each user or for information on the questionnaire 10, the user's academic achievement is measured, or the user's correct answer rate for each questionnaire 10 is varied. Analysis can be enabled. The scoring result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may be used for difficulty determination for each problem, problem error determination, new problem development, and the like.

석차 산출 모듈(140)은,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문제지(10)의 정보에 대응하는 동일한 문제지(10)에 대한 채점 결과들로부터 사용자의 석차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ㄱ출판사에서 출판한 ㄴ수학 중학교 2학년 1학기 문제집, 3단원 개념다지기 챕터, 124-125쪽, 문제 3개, 문항 번호 1, 2 및 3에 대하여, 3개의 문제를 채점한 여러 사용자의 채점 결과들을 분석하여, 해당 문제지(10)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석차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지나 문제집 전체가 아닌, 채점이 가능한 문제지(10) 단위로, 지역과 관계없이 해당 문제지(10)를 풀이하고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으로 채점을 한 모든 사용자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전국석차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학년 변화나 시험주기 등 미리 정해진 기간에 따라 전국석차를 초기화하여, 정확한 석차가 도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ating calculation module 140 may calculate the seating of the user from the scoring results for the same problem sheet 10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sheet 10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For example, the first issue of the second semester of the second grade of Mathematics Middle School published by Publishing House, Chapter 3, Conception Compaction Chapters, pp. 124-125, 3 questions, questions 3, 2, and 3 By analyzing the user's scoring result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seating order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roblem sheet 10 information. Therefore, instead of the entire test paper or collection of questions, among all users who solved the question paper 10 and scored it with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regardless of region, in the unit of scoreable question paper 10, nationwide seating of the user Can be calculat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itialize the national sea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such as a grade change or a test cycle, so that the correct seats can be derived.

한편, 석차 산출 모듈(140)은, 해당 문제지(10)에 포함된 문제별로 사용자들의 정오답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개별 문제별로 정오답 비율을 산출하여, 문제별 난이도를 판단하고 다른 사용자와의 비교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at calculation module 140 may calculate the ratio of users' incorrect answers for each of the problem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problem sheet 10. That is, by calculating the ratio of correct answers for each individual proble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fficulty level for each problem and facilitate comparison with other users.

결과 제공 모듈(150)은, 채점 모듈(130)의 채점 결과 및 석차 산출 모듈(140)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석차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문제지(10)의 정보에 대응하는 채점 결과뿐 아니라, 사용자의 석차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학업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The result providing module 150 may provide the user device 200 in real time with the scoring result of the scoring module 130 and the user's seat calculated by the seating calculation module 140. That is, not only the scoring resul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sheet 10, but also the user's seating order can be provided to the user device 200 in real time, thereby enhancing the user's desire to study.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20)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서, 채점 결과가 제공된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20)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결과 제공 모듈(150)이 제공하는 채점 결과와 사용자의 석차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의 촬영 직후 실시간으로 채점 결과와 석차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고 전국단위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device 200 provided with a scoring result in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a QR cod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in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the QR cod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ult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of the user device 200 The scoring result provided by the providing module 150 and the seating of the user may be check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since the scoring result and the seating order can be checked in real time immediately after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ing unit 30 are photographed,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an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t the national level is grasped. Can.

QR코드 제작 모듈(160)은,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문제지(10)의 정보에 대응하는 QR코드(20)를 생성하고,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에 생성된 QR코드(2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문제지(10)의 정보 및 문제의 정답을 업로드하고, QR코드(20)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QR코드 제작 모듈(160)은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의 요청에 따라 QR코드(20)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QR code production module 160 generates a QR code 20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paper 10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at the request of the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and the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 May provide the generated QR code 20. That is, the questionnaire production device 300 may access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to upload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10 and the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naire, and request generation of the QR code 20. The QR code production module 160 may generate and provide the QR code 2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이때, QR코드 제작 모듈(160)은, QR코드(20) 뿐 아니라 QR코드(20) 주변으로 배치되는 답안 기재부(30)도, 해당 문제지(10)에 포함된 문제의 개수 및 문항 번호에 기초하여 함께 생성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는, 제공받은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를 문제지(10)에 인쇄하거나 별도로 인쇄하여 문제지(10)에 부착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QR code production module 160, as well as the QR code 20, the answering unit 30 arranged around the QR code 20 also includes the number and question number of the question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problem sheet 10. It can be generated together on the basis, and can be provided to the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in the form as shown in FIG. 3. Therefore, the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may be used in such a way that the provided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are printed on the problem paper 10 or separately printed and attached to the problem paper 10.

동영상 제공 모듈(170)은, 채점 모듈(130)의 채점 결과, 틀린 문제에 대한 해설 동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틀린 문제인 문항 번호 2에 대하여 사용자 디바이스(200) 화면에서 “해설 동영상” 버튼이 선택되면,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해당 문제에 대한 해설 동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동영상 제공 모듈(170)은,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해설 동영상을 검색하여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틀린 문제의 풀이를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에서 바로 동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video providing module 170 may provide the user device 200 with a commentary video about a wrong result as a result of the scoring of the scoring module 130. That is, in the screen as shown in FIG. 5, when the “explanatory video” button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200 for question number 2, which is a wrong problem, the user device 200 corresponds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You can request a commentary video about. The video providing module 170 may search and provide commentary videos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to the user device 200 upon request. In this way, the user can watch the solution of the wrong problem directly in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as a video,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helping the user's learn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QR코드(20)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에 따르면, 문제지(10)에 구비된 QR코드(20) 및 사용자의 답안이 기재되는 답안 기재부(30)를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을 구동한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촬영하면, 문제지(10)의 정보 및 정답을 저장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촬영된 QR코드(20) 및 사용자의 답안을 인식해 자동으로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함으로써, 미리 정답이 유출될 염려나 정답지의 분실 우려 없이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문제지(10)를 채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동일한 문제지(10)에 대한 채점 결과들로부터 사용자의 석차를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함으로써, 모의고사 등에 응시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쉽게 전국단위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the QR code 2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QR code 20 provided in the questionnaire 10 and the answering unit 30 in which the user's answer is described When shooting with the user device 200 driving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storing the information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questionnaire 10 recognizes the QR code 20 and the user's answer taken By automatically scoring and providing the scoring result to the user device 200, the questionnaire 10 can be scored easily and quickly and conveniently without fear of leaking the correct answer in advance or fear of losing the correct answer shee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calculates the seating order of the user from the scoring results for the same problem sheet 10 and provides it to the user device 200 in real ti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the test without taking a mock test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t the national level.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appli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문제지
20: QR코드
30: 답안 기재부
100: 서비스 제공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모듈
120: 정보 인식 모듈
130: 채점 모듈
140: 석차 산출 모듈
150: 결과 제공 모듈
160: QR코드 제작 모듈
170: 동영상 제공 모듈
200: 사용자 디바이스
210: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
300: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
10: Problem
20: QR code
30: answer sheet
100: service providing server
110: database module
120: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30: scoring module
140: seating calculation module
150: module for providing results
160: QR code production module
170: video providing module
200: user device
210: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300: problem sheet production device

Claims (8)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을 구동하고, 채점이 필요한 문제지(10)에 구비되며 해당 문제지(10)의 정보가 포함된 QR코드(20) 및 상기 QR코드(20) 우측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답안이 기재되는 답안 기재부(30)를 카메라로 촬영하며, 정확한 인식을 위해 화면에 낫표 모양 4개로 구성된 촬영 가이드를 표시하는 사용자 디바이스(200);
문제지(10)의 정보 및 정답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촬영된 QR코드(20) 및 사용자의 답안을 인식하며, 인식 결과를 이용해 자동으로 채점하여 채점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문제지(10)의 정보 및 해당 문제지(10)에 포함된 문제의 정답을 저장하고, 저장한 문제지(10)의 정보에 대응하는 QR코드(20)의 생성을 요청하는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제지(10)의 정보, 해당 문제지(10)에 포함된 문제의 정답, 및 상기 해당 문제지(10)에 포함된 문제에 대한 해설 동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110);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촬영된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로부터 문제지(10)의 정보 및 사용자의 답안을 각각 인식하되, 광학 문자 판독(Optical Character Reader; OCR)을 이용해 상기 답안 기재부(30)로부터 사용자가 기재한 사용자의 답안을 추출하며, 추출된 사용자의 답안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표시하여, 정확하게 답안이 인식되었는지 사용자가 확인하고, 사용자가 답안을 직접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인식 모듈(120);
상기 정보 인식 모듈(120)에서 인식된 문제지(10)의 정보 및 사용자의 답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문제지(10)의 정보 및 정답을 이용해 사용자의 답안을 자동으로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하며, 사용자별 또는 문제지(10)의 정보별로 채점 결과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거나, 각 문제지(10)별 사용자들의 정답비율의 분석을 하는 채점 모듈(130);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상기 문제지(10)의 정보에 대응하는 동일한 문제지(10)에 대한 채점 결과들로부터 사용자의 석차를 산출하는 석차 산출 모듈(140);
상기 채점 모듈(130)의 채점 결과 및 상기 석차 산출 모듈(140)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석차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하는 결과 제공 모듈(150);
상기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문제지(10)의 정보에 대응하는 QR코드(20)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에 생성된 QR코드(20)를 제공하는 QR코드 제작 모듈(160); 및
상기 채점 모듈(130)의 채점 결과, 틀린 문제에 대한 해설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모듈(170)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상기 결과 제공 모듈(150)이 제공하는 채점 결과와 사용자의 석차를 확인하며, 틀린 문제의 문항 번호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구비된 “해설 동영상”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해당 문제에 대한 해당 동영상을 요청하며, 상기 동영상 제공 모듈(170)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해설 동영상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틀린 문제의 풀이를 상기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에서 바로 동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상기 QR코드 제작 모듈(160)은, QR코드(20) 우측에 배치되는 답안 기재부(30)를, 해당 문제지(10)에 포함된 문제의 개수 및 문항 번호에 따라 문항 번호 및 사용자의 답안을 기재할 수 있는 칸으로 구성된 테이블 형태로 구성하고, 각 문항 번호마다 사용자의 답안을 기재할 수 있는 칸에 문자 판독률을 높이기 위한 답안 작성 기준선을 포함하되,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 숫자 “8” 모양의 답안 작성 기준선을 포함해, 사용자가 상기 답안 작성 기준선에 맞추어 사용자의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여 상기 정보 인식 모듈(120)의 광학 문자 판독을 이용한 사용자의 답안 추출이 용이하도록 생성하고, 생성된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를 상기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에 제공하며,
상기 문제지 제작 디바이스(300)는, 제공받은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를 문제지(10)와는 별도로 인쇄하고,
상기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는, 문제지(10)와 별도로 인쇄되어 스티커로 제작하여 상기 문제지(10)에 부착되며, 소규모 학원에서 사용 중인 문제집에 상기 QR코드(20) 및 답안 기재부(30)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석차 산출 모듈(140)은,
시험지나 문제집 전체가 아닌, 채점이 가능한 문제지(10) 단위로 지역과 관계없이 해당 문제지(10)를 풀이하고 상기 자동 채점 애플리케이션(210)으로 채점을 한 모든 사용자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전국석차를 산출하되, 해당 문제지(10)에 포함된 개별 문제별로 사용자들의 정오답 비율을 산출하며, 미리 정해진 기간에 따라 전국석차를 초기화하여 정확한 석차가 도출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채점 결과는, 각 문제별 난이도 판단, 문제 오류 판단 및 새로운 문제 개발에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20)를 이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is driven, the QR code 20 is provided in the questionnaire 10 for which scoring is required and includes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10, and the QR code 2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and the user's answer is A user device 200 that photographs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to be described with a camera and displays a shooting guide composed of four sickle marks on the screen for accurate recognition;
The information and correct answers of the questionnaire 10 are stored, the QR code 20 photographed by the user device 200 and the user's answer are recognized, and the result of the scoring is automatically scored using the recognition result to display the scoring result to the user device 200 ) To provide a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10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problem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10, and requests the generation of the QR code 20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stored questionnaire 10 Includes a device 300 for making a problem paper,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 database module 110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questionnaire 10, correct answers to probl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10, and commentary videos about the probl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10;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10 and the user's answer are respectively recognized from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photographed by the user device 200, but the optical character reader (OCR) is used to The user's answer is extracted from the answer entry unit 30 and the extracted user's answ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200, so that the user checks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ly recognized, and the user answers the answer. An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20 that allows direct modification;
The user's answer is automatically scored and scored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10 recognized by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20 and the user's answer, and the information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questionnaire 10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By storing the results in the database module 110 and storing the scoring results for each user or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10, the user's academic achievement is measured, or the user's correct answer rate for each questionnaire 10 is analyzed. Scoring module 130;
A seating calculation module 140 for calculating a seating order of the user from the scoring results for the same sheet of paper 10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sheet 10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A result providing module 150 for providing the user device 200 in real time with the scoring result of the scoring module 130 and the user's seat difference calculated by the seating calculation module 140;
Upon request of the production device 300, the QR code 20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paper 10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is generated, and the QR code generated in the production device 300 for the problem paper QR code production module 160 that provides (20); And
The scoring module 130 includes a video providing module 170 that provides the user device 200 with a commentary video about a wrong result as a result of scoring.
Through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of the user device 200, the scoring result provided by the result providing module 150 and the user's seat number are checked, and the user device 200 is checked for the item number of the wrong problem. When the “Explanatory video” button provided on the screen is selected, the user device 200 requests a corresponding video about the problem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nd the video providing module 170 is the user device By searching for the commentary videos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and providing them to the user device 200 at the request of (200), the user can directly watch the solution of the wrong problem as a video in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Therefore, it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and help the user's learning.
The QR code production module 160, the answer code description unit 30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QR code 20, the number of question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10 according to the item number and the user's answer It is composed of a table consisting of columns that can be entered, and each question number contains a baseline for writing answers to increase the reading rate in the column where users can write their answers. Including the answer writing reference line, the user creates a user's answer according to the answer writing reference line, and is generated to facilitate extraction of the user's answer using optical character reading of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120, and the generated QR code ( 20) and providing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paper production device 300,
The questionnaire production device 300 prints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 description unit 3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questionnaire 10,
The QR code 20 and the answering unit 30 are printed separately from the questionnaire 10 and are made of stickers to be attached to the questionnaire 10, and the QR code 20 and It can be used when you want to apply the answer description section 30,
The seating calculation module 140,
Among all users who solved the questionnaire 10 and scored it with the automatic scoring application 210 in the unit of the scoreable questionnaire 10, not the entire test paper or the collection of problems, calculate the national difference of the user However, the ratio of correct answers of users is calculated for each individual problem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10, and the national seat is initializ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so that the correct seat is derived.
The scoring result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for difficulty determination, problem error determination, and new problem development for each problem, a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the QR code 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19279A 2019-02-19 2019-02-19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KR1021268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79A KR102126834B1 (en) 2019-02-19 2019-02-19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PCT/KR2019/004388 WO2020171283A1 (en) 2019-02-19 2019-04-11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79A KR102126834B1 (en) 2019-02-19 2019-02-19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834B1 true KR102126834B1 (en) 2020-06-25

Family

ID=7140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279A KR102126834B1 (en) 2019-02-19 2019-02-19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6834B1 (en)
WO (1) WO2020171283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881A1 (en) *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애드아이랩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learning appl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057A (en) * 2007-05-18 2008-11-24 박철 Pre designed pattern recognition
KR101481498B1 (en) * 2014-05-07 2015-01-13 오종현 System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and managing wrong answer data
KR20150099906A (en) * 2014-02-24 2015-09-02 전세일 Method for grading paper automatically
KR20170021101A (en) * 2015-08-17 2017-02-27 (주)플레이스터디 A smart studying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an user with scoring and studying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133A1 (en) * 2012-12-06 2014-06-12 Kim Byung Sun System and method for explaining questions using image co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057A (en) * 2007-05-18 2008-11-24 박철 Pre designed pattern recognition
KR20150099906A (en) * 2014-02-24 2015-09-02 전세일 Method for grading paper automatically
KR101481498B1 (en) * 2014-05-07 2015-01-13 오종현 System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and managing wrong answer data
KR20170021101A (en) * 2015-08-17 2017-02-27 (주)플레이스터디 A smart studying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an user with scoring and studying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881A1 (en) *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애드아이랩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learning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1283A1 (en)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59215B (en) Video intelligent pushing method and system
Collier Approaches to analysis in visual anthropology
Cherner et al. Cleaning up that mess: A framework for classifying educational apps
US20170330469A1 (en) Curriculum assessment
Chng et al. Using Plickers as an assessment tool in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settings
US201700618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orting hard copy assessments into an automatic educational system assessment
CN104881480A (en) Database-based annotating method and device
Morrison et al. Supporting non-native speaker student writers making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an English-medium university
KR20130021684A (en) System for managing answer paper and method thereof
Gamson et al. Standards,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curriculum design: A complex relationship
TWM546586U (en) Test making and scoring system of examination paper
KR102126834B1 (en) Automatic scoring system using qr code
WO2019150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monitoring and managing the educational progress
CN113204581A (en) Topic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big data and storage medium
KR1011011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tudying data based on learning level
KR101211641B1 (en) System for explaining workbook using image code and method thereof
Kelly et al. Resources for student assessment
Lesnussa et al. The Use of Pictures in Teaching Descriptive Text to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
KR101479444B1 (en) Method for Grading Examination Paper with Answer
KR101240428B1 (en) Omr card having image code and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12164262A (en) Intelligent paper reading tutoring system
Sabol A critical examination of visual arts achievement tests from state departments of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KR102069922B1 (en) System and Application For Learning Navigation
KR101870507B1 (en) Data utilization system that provides the incorrect Notes
Adams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style preference on achievement, attrition, and attitude of palm beach junior college students (FLORI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