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474B1 - Stacker crane - Google Patents

Stacker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474B1
KR102498474B1 KR1020180042501A KR20180042501A KR102498474B1 KR 102498474 B1 KR102498474 B1 KR 102498474B1 KR 1020180042501 A KR1020180042501 A KR 1020180042501A KR 20180042501 A KR20180042501 A KR 20180042501A KR 102498474 B1 KR102498474 B1 KR 10249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veling
motor
lift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4592A (en
Inventor
덕구 전
히로시 사카타
히데츠구 차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90024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5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1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control for stacker crane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8Transfer means for the stacker crane between the a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태커 크레인의 동작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저감한다.
(해결수단) 주행용 모터가 소비하는 전력의 최대 피크 기간과 승강용 모터가 소비하는 전력의 최대 피크 기간이 표준 제어 규칙에 있어서 겹칠 경우에는, 주행용 모터 및 승강용 모터의 상한 속도가 표준 제어 규칙에 있어서의 상한 속도보다 낮게 설정된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따라서 주행용 모터 및 승강용 모터의 구동 패턴을 결정한다.
(Task)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a stacker crane.
(Solution) When the maximum peak period of power consumed by the traveling motor and the maximum peak period of power consumed by the lifting motor overlap in the standard control rule, the upper limit speed of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is standard control Drive patterns of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set lower than the upper limit speed in the rule.

Description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Stacker Crane {STACKER CRANE}

본 발명은 자동창고설비 등에 있어서 물품을 반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태커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er crane used to transport goods in an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or the like.

자동창고설비 등, 다수의 물품을 관리하는 설비에 있어서는 설비 내에서 물품을 이동시키거나, 설비 밖과 설비 안 사이에서 물품을 반입 또는 반출시키거나 하기 위한 물품반송장치로서 스태커 크레인이 사용될 경우가 있다.In facilities that manage multiple items, such as automated warehouse facilities, there are cases where a stacker crane is used as a product transport device for moving products within the facility or bringing in or out of the product between the outside of the facility and the inside of the facility. .

특허문헌 1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하여 물품을 자동적으로 입고 및 출고하는 물류기기로서의 스태커 크레인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스태커 크레인에는 설비의 바닥면을 주행하는 주행대차와, 승강 가능한 승강대가 설치되어 있고, 주행대차의 주행 작동과 승강대의 승강 작동에 의해 물품 수납 선반 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각각에 복수 설치된 수납부와 승강대 사이에서 물품의 이송이 행하여진다.Patent Literature 1 shows a stacker crane as a distribution device that automatically stores and releases articles to article storage shelves for storing articles. This stacker crane is provided with a traveling carriage that travels on the floor of the facility and a lift platform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Transfer of goods is performed between the payment and the lift.

특허문헌 1에는, 주행 작동이 승강 작동보다 먼저 완료하는 것이 예상될 경우에 주행속도를 정격으로부터 저하시키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특허문헌 1의 스태커 크레인에서는 승강대의 승강 작동이 완료할 때까지 주행대차가 정지 상태에서 대기하는 사태를 방지해서 스태커 크레인의 전력 절약이 도모되고 있다.Patent Literature 1 indicates that the traveling speed is lowered from the rating when it is expected that the traveling operation will be completed before the raising/lowering operation. By performing such control, in the stacker crane of Patent Document 1, power saving of the stacker crane is achieved by preven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traveling carriage waits in a stopped state until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platform is completed.

일본 특허공개 2012-076858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2-076858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태커 크레인에서는, 주행 작동과 승강 작동이 개시되고나서 완료할 때까지의 전체 기간에 걸치는 소비전력량의 총계를 저감할 수 있다고 해도, 그 전체 기간 중의 일부, 특정의 기간에 있어서는 주행 작동의 소비전력과 승강 작동의 소비전력의 합계가 일시적으로 정격을 초과하여 버릴 경우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acker cran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total amount of power consumption over the entire period from the start of the traveling operation and the lifting operation to the completion thereof can be reduced, in a specific period, a part of the entire period There is a case where the sum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raveling operation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temporarily exceeds the rated value.

주행 작동을 위한 전력과, 승강 작동을 위한 전력이 양쪽 모두 공통하여 스태커 크레인의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되고 있을 경우에는, 주전원은 주행 작동의 소비전력과 승강 작동의 소비전력의 합계가 되는 총 소비전력을 출력해야만 한다. 한편, 주행 작동과 승강 작동의 각각에는 개시부터 완료까지의 동안에 가장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기간, 즉 소비하는 전력의 최대 피크 기간이 있다. 여기에서, 주행 작동과 승강 작동이 동시에 행하여져서 이것들의 최대 피크 기간이 겹칠 가능성을 고려하면, 주행 작동과 승강 작동의 양쪽의 최대 소비전력의 합계값에 상당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만큼 정격이 큰(출력 가능한 최대 전력이 높은) 주전원이 요구된다.When the electric power for the traveling operation and the electric power for the lifting operation are both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supply of the stacker crane, the main power supply output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which is the sum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raveling operation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must do it.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traveling operation and the lifting operation has a period in which power consumption is highest during from start to finish, that is, a maximum peak period of consumed power. Here,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the traveling operation and the lifting operation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their maximum peak periods overlap, the rating is large enough to supply power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of both the traveling operation and the lifting operation. A main power source (with a high maximum output power) is required.

이 문제에 대하여, 주전원을 보조하는 보조전원으로서 스태커 크레인에 축전지를 탑재하고, 이 축전지에 주전원으로부터 미리 축적된 전력을 병용함으로써 최대 피크 기간에 있어서의 전력공급을 보조한다고 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이 방법이면 주전원의 정격은 그다지 크지 않아도 된다. 단 축전지로부터 출력 가능한 전력에도 상한이 있고, 출력 가능한 상한 전력을 매회(몇번이나) 축전지로부터 실제로 출력시켜 버리면 축전지의 수명을 단축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총 소비전력은 주행 작동과 승강 작동의 개시부터 완료까지의 전체 기간에 걸쳐서 항상 축전지로부터 출력 가능한 상한 전력보다 낮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주전원도, 출력 가능한 최대 전력을 실제로 출력해 버리면 과도하게 부하를 받기 때문에, 총 소비전력은 피크에 있어서도 가능한 한 낮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o address this problem, a method of assisting power supply during the maximum peak period by mounting a storage battery on a stacker crane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to assist the main power source and using the storage battery in combination with electric power stored in advance from the main power source is conceivable. In this way, the rating of the mains supply does not have to be very large. There is an upper limit to the power that can be output from a single storage battery, and if the upper limit power that can be output is actually output from the storage battery each time (repeatedly), there is a risk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storage batter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lower than the upper limit power that can be output from the storage battery at all times over the entire period from the start to completion of the traveling operation and the lifting operation. Similarly, since the main power supply also receives an excessive load when it actually outputs the maximum power that can be output, it is desirable that the total power consumption be as low as possible even at the peak.

그래서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의 동작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저감해서 전력 절약을 도모함과 아울러, 주행을 위한 소비전력 피크와 승강을 위한 소비전력 피크가 겹치는 경우에도 총 소비전력이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tacker crane to save power, and prevent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from excessively increasing even when the power consumption peak for traveling overlaps with the power consumption peak for lifting.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의 스태커 크레인은 물품을 반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주행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 주행함으로써 주행경로를 따른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행대차와, 승강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함으로써 상기 주행대차에 세워서 설치된 승강 마스트를 따른 연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대와, 외부로부터의 반송지시에 따라서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반송지시에 의해 지시된 목표 위치로 상기 승강대를 이동시키는 이동제어장치를 갖는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장치는 상기 승강대를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 패턴을, 미리 정해진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서 결정하고, 상기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구동 패턴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모터가 소비하는 전력의 최대 피크 기간과, 상기 승강용 모터가 소비하는 전력의 최대 피크 기간이 상기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구동 패턴에서는 겹칠 경우에는, 상기 이동제어장치는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의 상한 속도가 상기 표준 제어 규칙에 있어서의 상한 속도보다 낮게 설정된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따라서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 패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tacker crane a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cker crane used to transport goods, and a traveling cart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a traveling path by traveling by driving a traveling motor. and a lift table that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n elevating mast installed on the traveling carriage by moving up and down by driving the lifting motor, and conveying instructions by controlling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according to a conveyance instruction from the outside. In the stacker crane having a movement control device for moving the elevator platform to a target position indicated by the movement control device, the traveling motor and the elevator motor necessary to move the elevator platform from a current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A driving pattern of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control rule, and in the driving patter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control rule, a maximum peak period of power consumed by the driving motor and power consumed by the lifting motor When the maximum peak period of is overlapped in the driving patter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control rule, the movement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the upper limit speed of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is lower than the upper limit speed according to the standard control r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patterns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power saving control rule.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축적하는 축전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전장치는 상기 주전원과 공동으로 전력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축전장치만으로부터의 전력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주전원만으로부터 전력이 출력될 경우보다 높은 전력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축전장치로부터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에 구동용의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cker crane, a power storage device for accumulating power supplied from a main power source is provided, and the power storage device outputs power jointly with the main power source, or only the power storage device It is possible to output higher power than when power is output only from the main power source by outputt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nd it is preferable that power for driving is supplied to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from the power storag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표준 제어 규칙에는 상기 주행대차의 주행속도의 상한으로서의 표준 상한 주행속도와, 상기 승강대의 승강속도의 상한으로서의 표준 상한 승강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상기 이동제어장치가 상기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서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 패턴을 결정할 경우에, 상기 이동제어장치는 상기 주행대차가 상기 표준 상한 주행속도로 상기 목표 위치의 수평좌표까지 주행하는데 요하는 최단 주행시간과, 상기 승강대가 상기 표준 상한 승강속도로 상기 목표 위치의 연직좌표까지 승강하는데 요하는 최단 승강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최단 주행시간이 상기 최단 승강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상기 승강대가 상기 목표 위치의 연직좌표까지 승강하는데 상기 최단 주행시간과 같은 시간을 요하도록 상기 승강대의 승강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최단 승강시간이 상기 최단 주행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상기 주행대차가 상기 목표 위치의 수평좌표까지 주행하는데 상기 최단 승강시간과 같은 시간을 요하도록 상기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cker crane,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 speed as the upper limit of the travel speed of the carriage and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 speed as the upper limit of the elevator speed of the platform are set in advance in the standard control rule. is set, and when the movement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driving patterns of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according to the standard control rule, the movement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the traveling cart moves to the target position at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ing speed. Compare the shortest travel time required to travel to the horizontal coordinate of the elevator and the shortest travel time required for the lift platform to travel to the vertical coordinate of the target position at the standard upper limit elevation speed. If it is long, the elevator speed of the platform is set so that it takes the same time as the shortest traveling time for the platform to move up and down to the vertical coordinate of the target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veling cart so that it takes the same time as the shortest ascending and descending time to travel to the horizontal coordinate of the target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설정하는 것에 추가해서, 상기 승강대가 승강 가능한 최대 거리를 가능한 한 고속으로 승강하는데 요하는 최대 전력 및 시간을 각각 최대 승강전력 및 최대 거리 승강시간으로 하고, 상기 최대 거리 승강시간과 같은 기간만큼 상기 주행대차가 상기 표준 상한 주행속도로 주행하는데 요하는 최대 전력을 최대 주행전력으로 하고, 상기 최대 승강전력과 상기 최대 주행전력의 합 이상의 값이 전력 절약 역치로서 설정되어 있고, 상기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서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 패턴이 결정되면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가 소비하는 합계 전력의 피크가 상기 전력 절약 역치보다 커질 경우에, 상기 이동제어장치는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따라서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 패턴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setting the travel speed of the traveling carriage as described above, the maximum power and time required for the elevator to move up and down the maximum distance that the elevator can go up and down at the highest possible speed are set to the maximum elevation, respectively. electric power and maximum distance lifting time, and the maximum power required for the carriage to travel at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ing speed for a period equal to the maximum distance lifting time is set as the maximum traveling power, and the maximum lifting power and the maximum traveling power If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is set as the power saving threshold and the driving patterns of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control rule, the peak of the total power consumed by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0024] When ? becomes greater than the power saving threshold, the movement control device determines driving patterns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according to a power saving control rule.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의 스태커 크레인에 의하면, 표준 제어 규칙에서는 주행을 위한 소비전력 피크와 승강을 위한 소비전력 피크가 겹칠 경우에는 승강용 모터의 상한 속도가 낮게 설정된 전력 절약 제어 규칙을 사용하기 때문에 승강용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상한이 낮게 제한되게 되어, 주행을 위한 소비전력 피크와 승강을 위한 소비전력 피크가 겹쳐 있어도 주행을 위한 소비전력과 승강을 위한 소비전력의 합계가 되는 총 소비전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일은 없다. 또한 전력 절약 제어 규칙을 사용함으로써 주행과 승강 각각의 소비전력 피크의 기간이 어긋나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이들 피크가 겹치지 않고, 이로써 총 소비전력이 낮게 억제된다. According to the stacker crane as an exampl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ndard control rule, when the power consumption peak for traveling overlaps with the power consumption peak for lifting,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in which the upper limit speed of the lifting motor is set low is used. Therefore, the upper limit of the power consumed by the lifting motor is limited to a low level, and even if the power consumption peak for driving and the power consumption peak for lifting overlap, the total consumption is the sum of the power consumption for driving and the power consumption for lifting. There is no such thing as too much power. Further, by using the power-saving control rule, there are cases in which periods of power consumption peaks for traveling and ascending/descending are shifted. In this case, as a result, these peaks do not overlap, thereby suppress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to a low level.

또한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태커 크레인에 축전지 등의 축전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 축전장치가 주전원을 충분하게 보조할 수 있는 높은 전력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면, 정격이 작은(출력 가능한 최대 전력이 낮은) 주전원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예를 들면 설비에 비치된 주전원을 변경할 수 없을 경우라도 문제 없이 소비전력이 높은 스태커 크레인을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총 소비전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일은 없으므로 축전장치가 출력 가능한 상한에까지 이를만큼 높은 전력을 실제로 출력해 버리는 것은 피할 수 있어, 축전장치의 수명을 단축해 버릴 일은 없다. 보다 상세하게는, 축전장치만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또는 축전장치와 주전원의 공동으로 출력되는 전력이 주전원만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력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 further embodiment, a storage device such as a storage battery is installed in the stacker crane, and if this storage device can output high power capable of sufficiently supporting the main power source, the rating is small (the maximum power that can be output is If it is necessary to use a low) main power source, for example, even if the main power source installed in the facility cannot be changed, a stacker crane with high power consumption can be operated without problems. Also in this case, sinc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does not increase excessively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void actually outputting power high enough to reach the upper limit of the power storage device's ability to output, and the lif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is not shortened.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output from only the power storage device or the power jointly output between the power storage device and the main power source is greater than the power output from only the main power source.

또한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태커 크레인에 의하면, 최단 주행시간과 최단 승강시간의 비교에 따라서 주행속도 또는 승강속도를 설정함으로써 승강대의 승강과 주행대차의 주행이 동시에 완료하게 되어, 승강대와 주행대차의 어느 한쪽이 다른쪽의 동작의 완료를 다른쪽이 정지 상태에서 대기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tacker crane in the further embodiment, by setting the traveling speed or the lifting spe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shortest traveling time and the shortest hoisting/lowering time, the hoisting platform and the traveling bogie are simultaneously completed, so that the hoisting platform and the traveling bogie can be complet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one side of the other side waits for the completion of the operation of the other side while the other side is stopped.

또한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태커 크레인에 의하면, 전력 절약 역치로서 최대 승강전력과 최대 주행전력의 합 이상의 값이 설정됨으로써, 총 소비전력의 피크가 표준 제어 규칙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최대 전력을 초과한다고 예상될 경우에 전력 절약 제어 규칙으로 바뀌는 것이 간이하게 실현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stacker crane in the further embodiment, a valu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maximum hoisting power and the maximum running power is set as the power saving threshold, so that the peak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allowable maximum power in the standard control rule. Changing to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when expected is easily real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의 스태커 크레인을 갖는 자동창고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창고설비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자동창고설비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4는 구동 패턴 결정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5는 표준 제어 규칙에 따르는 구동 패턴에 있어서의 주행대차 및 승강대의 속도 추이와, 각 모터의 소비전력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따르는 구동 패턴에 있어서의 주행대차 및 승강대의 속도 추이와, 각 모터의 소비전력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having a stacker crane a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of Figure 1;
Fig. 3 is a flowchart of processing performed in the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shown in Fig. 1;
Fig. 4 is a flowchart of drive pattern determination processing;
Fig. 5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speed of the traveling carriage and the elevator platform in a driving pattern conforming to standard control rules, and changes in power consumption of each motor;
Fig. 6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speed of the traveling carriage and elevator platform in a drive pattern complying with power-saving control rules, and the change in power consumption of each moto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일례로서의 스태커 크레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스태커 크레인(20)을 구비하는 자동창고설비(10)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자동창고설비(10)에는 물품 수납 선반(50)이 설치되어 있고, 스태커 크레인(20)은 자동창고설비(10) 내를 주행하면서 물품 수납 선반(50)에 대하여 물품(14)을 반입 및 반출한다. 또한, 자동창고설비(10)에는 이 설비 내에서 행하여지는 작업을 관리하는 자동창고 컨트롤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동창고 컨트롤러(60)는, 예를 들면 각 물품(14)의 정보를 관리하거나, 스태커 크레인(20)에 반송지시를 출력하거나 한다. 자동창고 컨트롤러(60)는 미리 결정된 루틴에 따라 자동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지만, 자동창고설비(10)의 관리자(물류업자 등)로부터 입력장치(62)를 통해서 동작지시를 수신하거나 하여,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입력장치(62)의 예로서 자동창고 컨트롤러(60)의 본체에 비치된 터치패널 디스플레이를 나타내고 있다.Hereinafter, a stacker crane a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shows an example of an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10 equipped with a stacker crane 20. An article storage shelf 50 is installed in this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10, and the stacker crane 20 carries in and carries articles 14 to the article storage shelf 50 while traveling in the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10. take out In addition, the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10 is provided with an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that manages work performed within the facility. This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manages information on each product 14, or outputs a conveyance instruction to the stacker crane 20, for example.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may operate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outine, but receives an operation instruction from the manager of the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10 (such as a logistics company) through the input device 62, and receives instructions from the manager may operate accordingly. 1 shows a touch panel display installed on the main body of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as an example of the input device 62 .

물품 수납 선반(50)에는 복수의 지주와 한쌍의 완목(54)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획된 복수의 수납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수납부(5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50) 내의 상하 방향(연직 방향) 및 좌우 방향(수평 방향)의 각각에 복수 설치되어 있고, 각각이 물품(14)을 수납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torage units 52 individually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supports and a pair of arms 54 are installed in the product storage shelf 50 . As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52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roduct storage shelf 50, and each accommodates the product 14. can

물품 수납 선반(50)은 자동창고설비(10) 내에 복수 설치된다. 도 1에는 물품 수납 선반(50)이 2개 도시되어 있지만, 스태커 크레인(20)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앞쪽의 물품 수납 선반(50)은 끝의 부분 이외가 생략되어 있다. 자동창고 컨트롤러(60)는 물품 수납 선반(50)의 각 수납부(52)에 대해서 어느 물품 수납 선반(50)에 속하는 수납부(52)인 것인지, 수평 방향의 어느 위치인 것인지, 연직 방향의 어느 위치인 것인지,라고 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수납부(52)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식별해서 관리한다.A plurality of product storage shelves 50 are installed in the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10 . Although two product storage shelves 50 are shown in FIG. 1, in order to make the stacker crane 20 easier to see, the front product storage shelf 50 is omitted except for the end portion.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determines which storage unit 52 belongs to which product storage shelf 50 for each storage unit 52 of the product storage shelf 50, which loc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which storage unit 52 belongs to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of the housing parts 52 is individually identified and manag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which position it is at.

복수의 물품 수납 선반(50)끼리는 수납부(52)에 대한 물품(14)의 출납 방향이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고, 각 물품 수납 선반(50)의 사이를 스태커 크레인(20)이 주행한다. A plurality of product storage shelves 50 are arranged at intervals such that the direc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of products 14 with respect to the storage section 52 face each other, and a stacker crane 20 is installed between the respective product storage shelves 50. drive

스태커 크레인(20)은 주행대차(22)와 승강대(23)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대차(22)는 각 물품 수납 선반(50)의 길이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서 바닥면측에 설치된 주행 레일(28) 및 천장측에 주행 레일(28)과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29)에 안내되어서, 주행 레일(28)에 의해 규정되는 주행경로를 따른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은 주행용 모터(22M)(도 2)가 주행대차(22)에 설치되어 있고, 이 주행용 모터(22M)의 구동에 의해 차륜이 회전되거나 해서 주행대차(22)가 주행한다.The stacker crane (20) has a traveling carriage (22) and a platform (23). The traveling cart 22 is provided on a running rail 28 installed on the floo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each article storage shelf 50 and a guide rail 29 installed parallel to the running rail 28 on the ceiling side. Guided, it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a travel path defined by the travel rail 28 . In addition, a travel motor 22M (FIG. 2), not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the travel cart 22, and wheels are rotated by driving the travel motor 22M, thereby driving the travel cart 22. is driving

승강대(23)는 주행대차(22)에 세워 설치된 전후 한쌍의 승강 마스트(27)에 지지·안내되어 있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용 모터(23M)(도 2)의 구동에 의해, 예를 들면 승강 마스트(27)에 설치된 스프로킷에 권회되어 있어서 승강대(23)를 매다는 체인이 권취·조출되거나 해서, 승강대(23)는 승강 마스트(27)를 따른 연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주행대차(22)의 주행과 승강대(23)의 승강에 의해, 승강대(23)는 물품 수납 선반(50) 중 임의의 수납부(52)에 임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주행대차(22)를 주행시키면서 승강대(23)를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승강대(23)는 그 수평 위치와 연직 위치를 동시에 변화시킬 수 있다.The lift platform 23 is supported and guided by a pair of front and back lift masts 27 installed upright on the running carriage 22 . By driving the lifting motor 23M (FIG. 2), which is not shown in FIG. 1, for example, a chain wound around a sprocket attached to the lifting mast 27 and suspending the lifting table 23 is wound up and drawn out, The lift platform 23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ift mast 27 . By the travel of the carriage 22 and the elevation of the platform 23, the platform 23 can move to a position facing an arbitrary storage section 52 of the product storage shelf 5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platform 23 while moving the carriage 22, and the platform 23 can simultaneously change its horizontal position and vertical position.

또한 승강대(23)에는 스태커 크레인(20)으로부터 수납부(52)를 향하는 방향(물품(14)의 출납 방향)으로 승강대(23)를 출퇴시키는 것이 가능한 포크장치(24)(이송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 포크장치(24)의 작동에 의해 승강대(23)와 물품 수납 선반(50) 사이에서 물품의 이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은 이송용 모터(24M)(도 2)의 구동에 의해 절첩식의 암이 출입 방향으로 신축하는 것 등에 의해 이송 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실제로 이송을 행함에 있어서는 이송용 모터(24M)의 구동 뿐만 아니라 승강대(23)의 승강이 수반된다. 즉, 암이 신장되면 승강대(23)가 물품 수납 선반(50) 내에 위치하게 되지만, 그 상태에서 승강대(23)가 물품(14)을 수납하고 있는 수납부(52)의 하방으로부터(한쌍의 완목(54)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승하면, 수납부(52)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14)이 포크장치(24)에 의해 반출된다. 한편, 물품(14)을 적재한 승강대(23)가 빈 수납부(52)의 상방으로부터 하강하면, 승강대(23)에 적재된 물품(14)이 수납부(52)에 반입된다.In addition, a fork device 24 (transfer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platform 23 in and out in the direction from the stacker crane 20 toward the storage unit 52 (the direction in which articles 14 are put in and out) is installed on the platform 23. By the operation of this fork device 24, it is possible to transfer articles between the platform 23 and the article storage shelf 50. For example, by driving a transfer motor 24M (FIG. 2), which is not shown in FIG. 1, the collapsible arm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entry/exit direction, and the transfer operation is performed. Moreover, in carrying out actual transfer, not only the driving of the transfer motor 24M but als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platform 23 is accompanied. That is, when the arm is extended, the platform 23 is positioned within the product storage shelf 50, but in that state, the platform 23 is positioned from below the storage section 52 storing the products 14 (a pair of wooden items). When it rises (passing between spaces 54), the articles 14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52 are taken out by the fork device 24.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tform 23 on which the articles 14 are loaded descends from above the empty storage section 52, the articles 14 loaded on the platform 23 are carried into the storage section 52.

한쌍의 승강 마스트(27) 중 한쪽의 근원측에 스태커 크레인(20)의 동작을 제어하는 크레인 컨트롤러(25)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레인 컨트롤러(25)에는 자동창고 컨트롤러(60)와의 통신(적외선 통신이나 전파 통신과 같은 무선통신이어도, 유선통신이어도 좋다)을 행하는 통신기(38)나, 주행대차(22)와 승강대(23)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장치(30) 등이 포함된다.A crane controller 2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acker crane 20 is installed on the root side of one of the pair of elevating masts 27 . As shown in Fig. 2, the crane controller 25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38 that communicates with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eithe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or radio wave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and a traveling cart 22. ) and a movement control device 3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platform 23.

도 2는 자동창고설비(10)에 설치된 각종 기기끼리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레인 컨트롤러(25)에 포함되는 이동제어장치(30)는 주행용 모터(22M)를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32)와, 승강용 모터(23M)를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33)와, 이송용 모터(24M)를 제어하는 이송 제어부(34)를 갖는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the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10. As shown in FIG. 2, the movement control device 30 included in the crane controller 25 includes a travel controller 32 that controls the travel motor 22M and a lift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lift motor 23M ( 33) and a transfer control unit 34 that controls the transfer motor 24M.

또한, 주행 제어부(32)와 승강 제어부(33)는 각각, 주행대차(22)의 현재 위치(수평 방향의 위치)를 측정하는 수평 측정장치(32a)와, 승강대(23)의 현재 위치(연직 방향의 위치)를 측정하는 연직 측정장치(33a)로부터, 측정된 현재 위치의 정보를 수신한다. 수평 측정장치(32a)의 구체예로서는, 주행대차(22)로부터 주행 레일(28)과 평행하게 레이저광을 투사하고, 주행 레일(28)의 단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반사경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조사한다고 하는 레이저 측정 방식의 측정기가 이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연직 측정장치(33a)에 대해서도, 주행대차(22)의 토대부로부터 상방으로 레이저광을 투사하고, 승강대(23)의 저면측에 붙여진 반사경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측정 방식의 측정기가 이용 가능하다. 이것들에 의해, 이동제어장치(30)는 주행대차(22)의 수평 방향 위치 및 승강대(23)의 연직 방향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신기(38)를 통해서 그 위치를 자동창고 컨트롤러(60)에 통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ravel control unit 32 and the elevation control unit 33 each include a horizontal measuring device 32a for measuring the current position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raveling bogie 22 and the current position (vertical position) of the platform 23, respectively. The measure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vertical measuring device 33a that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level measuring device 32a, it is said that a laser beam is projected from the running carriage 22 in parallel with the running rail 28, and reflected light from a reflector (not shown) provided at an end of the running rail 28 is irradiated. A laser measuring instrument is available. Similarly, for the vertical measuring device 33a, a measuring device of a laser measuring method is used that projects laser light upward from the base of the running bogie 22 and irradiates reflected light from a reflector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23. possible. With these, the movement control device 30 can recognize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traveling cart 22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platform 23, and transmits the posi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38 to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 may be notified.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창고설비(10)에는 주전원(70)과 축전장치(72)가 설치되어 있다. 주전원(70)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있고, 자동창고 컨트롤러(60)나 크레인 컨트롤러(25) 등의 각종 기기의 동작 전력이 주전원(70)으로부터 공급된다. 단 안전면·비용면의 관점으로부터, 주전원(70)이 순간적으로 출력 가능한 전력에는 제한이 결려 있는 경우가 많고, 모터와 같이 소비전력이 큰 장치에 대해서는 피크시의 전력을 안정되게 공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2에 나타내는 블록도에 있어서는 주전원(7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축적하는 축전장치(72)(커패시터나 축전지)가 설치되어 있고, 주행용 모터(22M), 승강용 모터(23M), 이송용 모터(24M)에 대해서는 이 축전장치(72)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게 되어 있다. 축전장치(72)는 미리 전력을 축적(충전)해 둠으로써 순간적으로는 주전원(70)보다 큰 전력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전원(70)도 크레인 컨트롤러(25)를 통해서 각 모터에 접속하고 있어 주전원(70)으로부터 각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요구되는 전력이 순간적으로 커질 때에는 축전장치(72)가 전력공급을 보조함으로써 주전원(70)에 출력 제한이 있어도 안정되게 각 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automatic warehouse facility 10 is provided with a main power source 70 and a power storage device 72. As the main power source 70, commercial power can be used, for example, and operating power for various devices such as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and the crane controller 25 is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source 70.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and cost, the power that can be instantaneously output by the main power source 70 is often limited, and power at peak times cannot be stably supplied to devices with large power consumption such as motors. there is Therefore, in the block diagram shown in Fig. 2, a power storage device 72 (capacitor or storage battery) for storing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source 70 is provided, and a traveling motor 22M, a lifting motor 23M, and a transfer Electric power is supplied from this power storage device 72 to the dragon motor 24M.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storage device 72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outputting larger power than the main power source 70 instantaneously by storing (charging) power in advance. The main power source 70 is also connected to each motor through the crane controller 25,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each motor from the main power source 70. By assisting, power can be stably supplied to each motor even if the main power source 70 has an output limitation.

이동제어장치(30)는 승강대(23)를 특정의 목표 위치(어느 하나의 수납부(52)에 임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자동창고 컨트롤러(60)로부터 지시(외부로부터의 반송지시)를 받았을 경우, 주행대차(22) 및 승강대(23)의 현재 위치에 의거하여 주행대차(22)의 주행 및 승강대(23)의 승강이 적절한 속도 추이로 행하여지도록 제어를 실행한다.When the movement control device 30 receives an instruction (transfer instruction from the outside) from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to move the elevator platform 23 to a specific target position (a position facing any one storage unit 52) In this cas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s of the travel cart 22 and the platform 23, control is executed so that the travel of the travel platform 22 and the elevation of the platform 23 are performed at an appropriate speed transition.

도 3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자동창고설비(10)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입력장치(62)나 외부의 상위장치로부터, 물품(14)을 새롭게 물품 수납 선반(50)에 수납하는 요구(반입 요구), 또는 수납완료의 물품(14)을 물품 수납 선반(50)으로부터 인출하는 요구(반출 요구)가 자동창고 컨트롤러(60)에 입력된다. 또는 각 물품(14)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루틴에 따라, 자동창고 컨트롤러(60)가 자동적으로 반입 요구 또는 반출 요구를 생성한다. 그리고, 반입 요구가 생긴 경우에는, 자동창고 컨트롤러(60)는 관리하고 있는 각 수납부(52)의 정보를 기초로 그 물품(14)을 수납 가능한 수납부(52)(빈 수납부(52))를 탐색하고, 어느 하나의 빈 수납부(52)를 물품(14)의 수납처로서 결정한다. 한편, 반출 요구가 생긴 경우에는, 목적의 물품(14)이 수납되어 있는 수납부(52)를 물품(14)의 인출원으로서 결정한다. 수납처 또는 인출원의 수납부(52)가 결정되면, 그 수납부(52)가 어느 물품 수납 선반(50)에 속하고 있고, 수평 방향의 어느 위치인 것인지, 연직 방향의 어느 위치인 것인지의 정보에 의거하여, 승강대(23)가 최종적으로 이동해야 할 목표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반송지시를 통신기(38)를 통해서 크레인 컨트롤러(25)에 발신한다(스텝 S01).Referr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3, the processing performed in the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10 will be described. First, from the input device 62 or an external host device, a request to newly store the article 14 in the article storage shelf 50 (carrying-in request) or a stored article 14 to the article storage shelf 50 A request to withdraw from (report request) is input to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Alternatively,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automatically generates a carry-in request or a carry-out reques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outine on how to manage each item 14 . Then, when a carry-in request occurs,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sets the storage unit 52 (empty storage unit 52) in which the product 14 can be stor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each storage unit 52 under management. ) is searched for, and one of the empty storage units 52 is determined as a storage destination for the article 14 . On the other hand, when a carry-out request occurs, the storing unit 52 in which the target article 14 is stored is determined as the withdrawal source of the article 14 . When the storing part 52 of the storage destination or the withdrawal source is determined, which article storage shelf 50 the storing part 52 belongs to, which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which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a transfer instruction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position to which the platform 23 is to finally move is transmitted to the crane controller 25 via the communication device 38 (step S01).

크레인 컨트롤러(25)의 이동제어장치(30)는 반송지시에 포함되는 목표 위치와, 수평 측정장치(32a) 및 연직 측정장치(33a)에 의해 측정된 승강대(23)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승강대(23)가 목표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주행대차(22) 및 승강대(23)가 어떤 속도 추이로 이동하면 좋을지(가속 운동·등속 운동·감속 운동을 각각 어느 정도의 기간, 어느 정도의 가속도 또는 속도로 행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 주행용 모터(22M) 및 승강용 모터(23M)의 구동 패턴을 결정한다(스텝 S02).The movement control device 30 of the crane controller 25 based on the target position included in the transfer instruc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latform 23 measured by the horizontal measuring device 32a and the vertical measuring device 33a, In order for the platform 23 to move to the target positio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at what speed transition the carriage 22 and the platform 23 should move (how long each of the acceleration motion, constant speed motion, and deceleration motion, how much acceleration or whether it should be performed at high speed), the driving patterns of the driving motor 22M and the lifting motor 23M ar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control rule (step S02).

이동제어장치(30)는 결정한 구동 패턴을 다시 검사하고, 주행용 모터(22M)가 소비하는 전력의 최대 피크 기간과, 승강용 모터(23M)가 소비하는 전력의 최대 피크 기간이 겹치고 있지 않은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03). 양자의 최대 피크 기간이 겹치고 있지 않으면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서 결정한 구동 패턴 대로 주행용 모터(22M) 및 승강용 모터(23M)를 구동한다(스텝 S04). 한편, 양자의 최대 피크 기간이 겹치고 있었을 경우에는,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서 결정한 구동 패턴을 파기하고, 미리 정해진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따라서 구동 패턴을 고쳐서 결정한다(스텝 S05). 이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있어서는, 승강용 모터(23M)의 상한 속도가 표준 제어 규칙에서의 상한 속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그 후에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따라서 결정한 구동 패턴 대로 주행용 모터(22M) 및 승강용 모터(23M)를 구동한다(스텝 S06). 스텝 S04 또는 스텝 S06의 완료 후에는 승강대(23)가 목표 위치에 도달한다. 그 후에 이동제어장치(30)는 수납부(52)에 대한 이송 동작을 실행한다(스텝 S07). 즉, 이송용 모터(24M)(및 승강용 모터(23M))가 구동되어서 수납부(52)에 물품(14)이 반입되거나, 또는 수납부(52)로부터 물품(14)이 반출된다.The movement controller 30 examines the determined drive pattern again, and determines whether the maximum peak period of electric power consumed by the traveling motor 22M and the maximum peak period of electric power consumed by the lifting motor 23M do not overlap. Whether or not is confirmed (step S03). If the maximum peak periods do not overlap, the travel motor 22M and the elevation motor 23M are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patter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control rule (step S04).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peak period of both overlaps, the drive patter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control rule is discarded, and the drive patter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power saving control rule is changed and determined (step S05). In this power saving control rule, the upper limit speed of the lifting motor 23M is set lower than the upper limit speed in the standard control rule. Thereafter, the travel motor 22M and the elevation motor 23M are driven according to the drive patter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step S06). After completion of step S04 or step S06, the platform 23 reaches the target position. After that, the movement control device 30 executes a conveyance operation to the storage portion 52 (step S07). That is, the transfer motor 24M (and the elevation motor 23M) are driven to carry the article 14 into the storage section 52 or to carry the article 14 out of the storage section 52 .

크레인 컨트롤러(25)의 이동제어장치(30)는 반입 요구 또는 반출 요구에 의거하는 반송지시가 발신될 때마다 상술의 처리를 행하고, 물품 수납 선반(50)에 대한 물품(14)의 출납을 실행한다.The movement control device 30 of the crane controller 25 performs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whenever a conveyance instruction based on a carry-in request or a carry-out request is transmitted, and puts the articles 14 in and out of the article storage shelf 50. do.

상술의 스텝 S02에 있어서 구동 패턴이 결정될 때의 처리에 대해서,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표준 제어 규칙에 있어서는 기기의 성능한계나 동작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주행대차(22)의 주행속도(va)의 상한으로서의 표준 상한 주행속도(vam)와, 승강대(23)의 승강속도(vb)의 상한으로서의 표준 상한 승강속도(vbm)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The processing when the driving pattern is determined in step S0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flowchart in FIG. 4 . In addition, in the standard control rule,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ing speed vam as the upper limit of the traveling speed va of the traveling bogie 22 and the lifting speed vb of the platform 23 a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limit of the device and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 is set in advance as the upper limit of the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vbm.

구동 패턴의 결정에 있어서는 우선, 반송지시에 포함되는 목표 위치의 수평좌표와 승강대(23)의 현재 위치의 수평좌표로부터 주행대차(22)가 주행해야 할 수평거리(La)가 산출해 내어지고, 그 수평거리(La)를 표준 상한 주행속도(vam)로 주행하는데 요하는 최단 주행시간(ta0)이 산정된다(스텝 S21). 또한, 이 산정에 있어서는 주행대차(22)가 일정한 표준 상한 주행속도(vam)로 주행하는 것은 아니고, 정지 상태로부터 표준 상한 주행속도(vam)까지 가속하는데 요하는 시간과 거리, 표준 상한 주행속도(vam)로부터 정지 상태까지 감속하는데 요하는 시간과 거리도 고려된다.In determining the drive pattern, first, the horizontal distance La that the traveling carriage 22 should travel is calculated from the horizontal coordinates of the target position included in the transfer instruction and the horizontal coordinates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latform 23, The shortest travel time ta0 required to travel the horizontal distance La at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 speed vam is calculated (step S21). In addition, in this calculation, the traveling cart 22 does not travel at a constant standard upper limit travel speed vam, but the time and distance required to accelerate from a stopped state to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 speed vam,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 speed ( The time and distance required to decelerate from vam) to a standstill are also taken into account.

이어서, 반송지시에 포함되는 목표 위치의 연직좌표와 승강대(23)의 현재 위치의 연직좌표로부터 승강대(23)가 승강해야 할 연직거리(Lb)가 산출해 내어지고, 그 연직거리(Lb)를 표준 상한 승강속도(vbm)로 승강하는데 요하는 최단 승강시간(tb0)이 산정된다(스텝 S22). 이 산정에 있어서도 승강대(23)가 정지 상태로부터 표준 상한 승강속도(vbm)까지 가속하는데 요하는 시간과 거리, 및 표준 상한 승강속도(vbm)로부터 정지 상태까지 감속하는데 요하는 시간과 거리가 고려된다.Then, from the vertical coordinate of the target position included in the transfer instruction and the vertical coordinate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latform 23, the vertical distance Lb that the platform 23 should go up and down is calculated, and the vertical distance Lb is calculated. The shortest lifting time tb0 required to move up and down at the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vbm is calculated (step S22). Also in this calculation, the time and distance required for the platform 23 to accelerate from the stationary state to the upper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vbm, and the time and distance required for decelerating from the upper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vbm to the stationary state are considered. .

그리고 산정된 최단 주행시간(ta0)과 최단 승강시간(tb0)이 비교된다(스텝 S23). 비교의 결과, 최단 주행시간(ta0)이 최단 승강시간(tb0)보다 길 경우(ta0>tb0)에는, 이동이 빨리 완료된다고 예상되는 쪽, 즉 승강대(23)의 속도가 제한된다. 즉 승강속도(vb)는 표준 상한 승강속도(vbm)보다 낮게(vb<vbm) 설정되고, 연직거리(Lb)를 이동하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tb)이 최단 주행시간(ta0)과 같게(tb=ta0) 되도록 조절된다(스텝 S24).Then, the calculated shortest traveling time ta0 and shortest rising/falling time tb0 are compared (step S23).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shortest traveling time ta0 is longer than the shortest getting up/down time tb0 (ta0>tb0), the side expected to complete the movement quickly, that is, the speed of the platform 23 is limited. That is, the lifting speed (vb) is set lower than the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vbm) (vb<vbm), and the time required to move the vertical distance (Lb) (tb) is the same as the shortest traveling time (ta0) (tb = ta0) (step S24).

한편, 최단 승강시간(tb0)이 최단 주행시간(ta0)보다 길 경우(ta0<tb0)에는, 주행대차(22)의 속도가 제한된다. 즉 주행속도(va)는 표준 상한 주행속도(vam) 이하의 값(va≤vam)으로 설정되어서, 수평거리(La)를 이동하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ta)이 최단 승강시간(tb0)과 같게(ta=tb0) 되도록 조절된다(스텝 S25).On the other hand, when the shortest up and down time tb0 is longer than the shortest travel time ta0 (ta0<tb0), the speed of the traveling carriage 22 is limited. That is, the traveling speed va is set to a value (va≤vam) less than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ing speed vam, so that the time ta required to move the horizontal distance La is the same as the shortest ascending and descending time tb0. (ta = tb0) (step S25).

또한, 최단 주행시간(ta0)과 최단 승강시간(tb0)이 같을 경우(ta0=tb0)에는, 주행대차(22)와 승강대(23)를 각각 표준 상한 주행속도(vam) 및 표준 상한 승강속도(vbm)로 이동시키면 좋지만, 도 4에 있어서는 도시의 편의상, ta0=tb0의 경우에는 스텝 S25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그 처리의 결과, va=vam으로 설정된다).In addition, when the shortest traveling time ta0 and the shortest lifting time tb0 are the same (ta0 = tb0), the carriage 22 and the platform 23 have a standard upper limit traveling speed vam and a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 vbm), but in Fig. 4,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processing similar to step S25 is performed in the case of ta0 = tb0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va = vam is set).

이상과 같이 주행속도(va) 및 승강속도(vb)가 설정됨으로써 승강대(23)의 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주행 동작과 승강 동작이 동시에 완료하도록 조절된다.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the traveling speed va and the raising/lowering speed vb, the time required for movement of the platform 23 is minimized and adjusted so that the traveling operation and the raising/lowering operation are completed simultaneously.

상술한 바와 같은 표준 제어 규칙에 따르는 구동 패턴으로 주행용 모터(22M) 및 승강용 모터(23M)가 구동되었을 경우의 주행대차(22) 및 승강대(23)의 속도 추이, 그리고 각 모터의 소비전력 추이의 일례를 도 5에 나타낸다.Speed change of the traveling carriage 22 and the lifting platform 23 when the traveling motor 22M and the lifting motor 23M are driven in the driving pattern according to the standard control rule as described abov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motor An example of the transition is shown in FIG. 5 .

속도의 피크 기간과 소비전력의 피크 기간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단,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할 속도가 클수록 가속 및 감속의 기간을 길게 하거나, 가속력 및 감속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할 속도(설정된 주행속도(va)나 승강속도(vb))가 클수록, 소비전력의 피크 기간이 길어지거나, 피크값이 커지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The peak period of speed and the peak period of power consumption do not necessarily coincide. However, as the speed to be finally reached is greater, the period of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needs to be longer or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forces must be increased. ) is larger, the peak period of power consumption tends to become longer or the peak value tends to become larger.

도 4에 나타내는 처리가 행하여진 결과, 주행 동작과 승강 동작은 같은 시간에 완료하도록 조절되어 있다. 그러나 주행속도(va)와 승강속도(vb)는 다른 값이며, 이동해야 할 수평거리(La)와 연직거리(Lb)도 다른 값이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도(회전수)의 피크 기간의 길이는 주행용 모터(22M)와 승강용 모터(23M)에서 다르다. 그러나 양쪽 모터의 소비전력의 피크 기간에 대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구동 패턴에서는 이것들의 피크 기간이 일부 겹치고 있다.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shown in Fig. 4, the travel operation and the elevation operation are adjusted to complete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the traveling speed va and the lifting speed vb are different values, and the horizontal distance La and vertical distance Lb to be moved are also different values, as shown in FIG. 5, the peak of the speed (number of revolutions) The length of the period is different between the traveling motor 22M and the lifting motor 23M. However, regarding the peak period of the power consumption of both motors, in the drive pattern shown in Fig. 5, these peak periods partially overlap.

도 5에서는 예로서 주행용 모터(22M)의 소비전력 피크값이 160kW, 승강용 모터(23M)의 소비전력 피크값이 70kW로 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축전장치(72)가 수명을 축소시키지 않고 주전원(70)과 함께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의 상한(추장 상한)이 200kW라고 했을 경우, 주행용 모터(22M)가 단체로 동작하면 문제 없이 동작되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용 모터(22M)와 승강용 모터(23M)의 소비전력의 피크 기간이 겹쳐 버리면, 순간적으로는 230kW의 소비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전원(70) 및 축전장치(72)의 추장 상한을 넘어 버린다. 필요 소비전력이 추장 상한을 넘는 경우에도, 주전원(70) 및 축전장치(72)는 실제로는 추장 상한을 초과하는 전력을 공급 가능하기 때문에 스태커 크레인(20)의 동작이 정지해 버릴 일은 없지만, 추장 상한을 초과한 전력을 공급해 버리면 축전장치(72)의 수명이 축소되어 버린다.5, the power consumption peak value of the traveling motor 22M is set to 160 kW, and the power consumption peak value of the lifting motor 23M is 70 kW, as an example. Assuming that the upper limit (recommended upper limit) of the electric power that the power storage device 72 shown in FIG. 2 can supply together with the main power source 70 without shortening the life is 200 kW, there is no problem if the running motor 22M operates as a single unit. However, as shown in Fig. 5, when the peak periods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raveling motor 22M and the lifting motor 23M overlap, the main power supply 70 and the power storage device instantaneously require 230 kW of power consumption. (72) exceeds the upper limit of the chief. Even when the required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recommended upper limit, the main power source 70 and the power storage device 72 can actually supply power exceeding the recommended upper limit, so the operation of the stacker crane 20 will not stop, but the recommended If power exceeding the upper limit is supplied, the lif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72 is shortened.

이 경우에는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따른 구동 패턴을 작성하고, 전체로서의 소비전력이 최대라도 200kW 이하로 수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내는 그래프는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따른 구동 패턴이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create a driving pattern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and to keep the power consumption as a whole to 200 kW or less at the maximum. The graph shown in FIG. 6 is a driving pattern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있어서의 구동 패턴의 결정 순서에 대해서는, 승강용 모터(23M)의 상한 속도가 표준 제어 규칙에서의 상한 속도(표준 상한 승강속도(vbm))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도 4와 같은 순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있어서의 승강용 모터(23M)의 상한 속도를 전력 절약 상한 승강속도(vbz)(vbz<vbm)로 해서, 도 4에 있어서의 표준 상한 승강속도(vbm) 대신에 전력 절약 상한 승강속도(vbz)를 이용하여 구동 패턴을 결정하면 좋다.Regarding the order of determining the drive pattern in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except that the upper limit speed of the lifting motor 23M is set lower than the upper limit speed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vbm) in the standard control rule, Basically, the same sequence as in FIG. 4 can be used. That is, by making the upper limit speed of the lifting motor 23M in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the power saving upper limit lifting speed vbz (vbz < vbm), instead of the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vbm in FIG. 4, electric power The driving pattern may be determined using the saving upper limit lifting speed vbz.

전력 절약 상한 승강속도(vbz)가 표준 상한 승강속도(vbm)보다 낮기 때문에, 정지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한 승강속도(vbz)까지 가속할 때의 피크 기간, 피크값은 표준 상한 승강속도(vbm)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작아진다. 그 때문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용 모터(22M)와 승강용 모터(23M)의 피크 기간이 겹치는 부분은 작아지고, 겹져 있는 부분에서도 양쪽 모터의 총 소비전력은 낮게 억제된다. 구체예로서,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있어서 상한 승강속도(vbz)를 낮게 설정한 결과, 승강용 모터(23M)의 소비전력 피크값이 40kW로 되었다고 하면, 주행용 모터(22M)(피크 160kW)와 승강용 모터(23M)의 소비전력의 피크 기간이 겹쳐 버려도 순간적인 소비전력은 최대라도 200kW 이하로 수습되게 되기 때문에, 주전원(70) 및 축전장치(72)의 추장 상한을 초과할 일이 없다. 따라서, 축전장치(72)의 수명이 축소되지 않고 완료된다.Since the power-saving upper limit lifting speed vbz is lower than the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vbm, the peak period and peak value when accelerating from a standstill to the power-saving upper limit lifting speed vbm smaller than when used. 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peak periods of the traveling motor 22M and the lifting motor 23M is reduced, and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both motors is suppressed to a low level even in the overlapping portion. As a specific example, assuming that the peak power consumption of the lifting motor 23M is 40 kW as a result of setting the upper limit lifting speed vbz low in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the driving motor 22M (peak 160 kW) and Even if the peak period of power consumption of the lifting motor 23M overlaps, the instantaneous power consumption is set to 200 kW or less at the maximum, so that the recommended upper limit of the main power source 70 and the power storage device 72 is not exceeded. Thus, the life of power storage device 72 is completed without being shortened.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태커 크레인(20)에 있어서는 주행대차(22)와 승강대(23)를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목표 위치에 도달하도록 적절하게 동작시키면서, 축전장치(72)의 수명을 단축하지 않도록 제어가 행해지기 때문에, 높은 반송 효율과, 긴 메인터넌스 프리 기간이 실현된다.In this way, in the stacker crane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fe of the electrical storage device 72 is not shortened while the traveling carriage 22 and the platform 23 are properly operated so as to reach the target position in the shortest possible time. Since control is performed so as not to be, high transfer efficiency and a long maintenance free period are realized.

또한 표준 제어 규칙에 있어서 주행용 모터(22M)와 승강용 모터(23M)의 소비전력의 피크 기간이 겹치고 있는 것을 계산 상에서 어떻게 해서 판정할지에 대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래프를 실제로 작성해서 피크 기간의 겹침의 정도를 조사해도 좋지만, 주행용 모터(22M)와 승강용 모터(23M)가 소비하는 합계 전력(순간적인 총 소비전력)의 추이를 계산하고, 그 피크가 소정의 역치를 상회하는지의 여부로 간이적인 판정을 행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tandard control rule, how to determine in calculation that the peak periods of power consumption of the traveling motor 22M and the lifting motor 23M overlap, a graph as shown in FIG. 5 is actually created, and the peak period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periods may be investigated, but the transition of the total power (instantaneous total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the traveling motor 22M and the lifting motor 23M is calculated, and whether the peak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A simple determination may be made based on whether or not

즉, 「총 소비전력이 순간적으로라도 이 값을 초과하면 전력 절약 제어 규칙을 적용한다」라고 하는 기준값으로서 전력 절약 역치를 설정해 두고, 예상되는 총 소비전력의 최대값과 전력 절약 역치를 비교하면 좋다. 여기에서 전력 절약 역치의 값으로서는 상술의 추장 상한(자동창고설비(10)에 고유의, 미리 정해진 값)을 그대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스태커 크레인(20)의 실제의 동작으로 소비되는 전력을 기초로 해서 전력 절약 역치가 계산으로 결정되어도 좋다.In other words, the power-saving threshold is set as a reference value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exceeds this value even momentarily, the power-saving control rule is applied", and the expected maximum value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compared with the power-saving threshold. Here, as the value of the power saving threshold value, the aforementioned recommended upper limit (predetermined value specific to the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10) may be used as it is. Further, the power saving threshold may be determined by calculation based on the power consumed by the actual operation of the stacker crane 20.

전력 절약 역치를 계산으로 결정하는 방법의 예로서는 이하와 같은 순서가 생각된다. 우선 승강대(23)가 승강 가능한 최대 거리를 확인한다. 승강 가능한 최대 거리라고 하는 것은 즉, 마스트(27)를 따라 승강대(23)가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의 크기이다. 이 거리는 많은 경우, 물품 수납 선반(50) 중 최상단의 수납부(52)와 최하단의 수납부(52)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다. 이 승강 가능한 최대 거리를 가능한 한 고속(예를 들면 표준 상한 승강속도(vbm))으로 승강하는데 어느 만큼의 시간(최대 거리 승강시간)이 필요한지, 또한 그 동안에 소비전력이 최대로 어느 만큼의 값(최대 승강전력)이 될지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최대 거리 승강시간에 대해서, 그것과 같은 기간만큼 주행대차(22)가 표준 상한 주행속도(vam)로 주행할 경우에 소비전력이 최대로 어느 만큼의 값(최대 주행전력)으로 될지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해서 산출된 최대 승강전력과 최대 주행전력의 합을 전력 절약 역치로서 설정한다. 여기에서, 표준 제어 규칙이 적용되는 케이스를 많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면, 최대 승강전력과 최대 주행전력의 합보다 어느 정도 큰 값을 전력 절약 역치로 해도 된다.As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wer saving threshold by calculation, the following procedure can be considered. First, the maximum distance at which the platform 23 can go up and down is checked. The maximum distance that can be lifted is the size of the range in which the lift table 23 can vertically move along the mast 27 . In many cases, this distance correspond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storage unit 52 and the lowermost storage unit 52 of the product storage shelf 50 . How much time (maximum distance lifting time) is required to move up and down the maximum possible distance at the highest possible speed (for example, the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vbm)), and how much power consumption is maximum during that time ( maximum lifting power) is calculated. And, for the calculated maximum distance up and down time, when the travel cart 22 travels at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 speed vam for the same period, how much power consumption will be the maximum value (maximum travel power) yield The sum of the maximum lifting power and the maximum running power calculated in this way is set as a power saving threshold. Here, if it is desir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ases to which the standard control rule is applied, a value somewhat larger than the sum of the maximum lifting power and the maximum running power may be used as the power saving threshold.

상술의 전력 절약 역치의 계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전원(70) 및 축전장치(72)가 공급 가능한 전력은 기본적으로는 주행대차(22)나 승강대(23)가 상정되어 있는 최대의 거리를 각각 단체로 이동함에 있어서의 소비전력보다 높게 설정되므로, 전력 절약 역치는 그 이상의 값으로 설정하면 좋다. 한편, 짧은 거리에서의 이동을 최단으로 행하려고 하면 가속·감속을 단시간에 끝낼 필요가 있고, 가속·감속에 따르는 부하가 과도하게 높아질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승강대(23)의 승강 거리가 최대 거리보다 짧아도 소비전력의 피크가 과도하게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마찬가지로, 주행대차(22)가 짧은 거리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소비전력 피크가 과도하게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주행대차(22) 및 승강대(23)가 생각할 수 있는 한 최대의 거리를 이동함에 있어서의 소비전력의 최대값을 산출해 두고, 그 값까지는 주전원(70) 및 축전장치(72)가 전력을 공급 가능하다고 간주하고, 그 이상의 값을 전력 절약 역치로서 설정하면 좋다.To explain in detail the calculation of the power saving threshold value described above, the power that can be supplied by the main power source 70 and the power storage device 72 is basically the maximum distance at which the carriage 22 or the platform 23 is assumed. Since each is set higher than the power consumption when moving alone, the power saving threshold may be set to a value higher than that. On the other hand, if an attempt is made to move over a short distance in the shortest way, it is necessary to complet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in a short time, and the load associated with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may become excessively high. Therefore, even if the lifting distance of the lifting table 23 is shorter than the maximum dista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eak of power consumption becomes excessively high. Similarly, even when the traveling cart 22 travels a short dista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eak power consumption becomes excessively high. Therefore, the maximum value of the power consumption when the traveling carriage 22 and the platform 23 travel the maximum conceivable distance is calculated, and the main power source 70 and the power storage device 72 use up to that value. It is sufficient to consider that can be supplied, and to set a value higher than that as a power saving threshold.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준 제어 규칙의 구동 패턴을 작성하고나서 양 모터의 소비전력의 피크 기간이 겹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지만, 이동해야 할 수평거리(La), 연직거리(Lb)의 조합에 의거하여 표준 제어 규칙과 전력 절약 제어 규칙의 어느쪽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동 패턴은 정해진 순서로 결정되기 때문에, 이동해야 할 수평거리(La), 연직거리(Lb)에 따라서 일의로 정해진다. 그 때문에, 어떤 수평거리(La), 연직거리(Lb)의 조합이면 표준 제어 규칙의 구동 패턴에서 양 모터의 소비전력의 피크 기간이 겹쳐버리는 것일지에 대해서 계산으로 미리 조사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창고설비(10)의 관리자가 수평거리(La)·연직거리(Lb)의 조합과, 표준 제어 규칙·전력 절약 제어 규칙의 어느쪽을 사용해야 할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표)을 작성해 두고, 이동제어장치(30)는 그 테이블을 참조해서 표준 제어 규칙·전력 절약 제어 규칙의 어느쪽을 사용하는지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전력 절약 제어 규칙을 사용해야 할 경우에 표준 제어 규칙의 구동 패턴을 일단 작성하고나서 그것을 파기한다고 하는 순서가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구동 패턴의 결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fter creating the drive pattern of the standard control ru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eak periods of power consumption of both motors overlap, but the horizontal distance (La) and vertical distance (Lb) to be move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ich of the standard control rules and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s to use based on a combination of . More specifically, since the driving pattern is determined in a predetermined order, it is uniqu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distance La and the vertical distance Lb to be mo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in advance which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distance (La) and vertical distance (Lb) will overlap the peak periods of power consumption of both motors in the drive pattern of the standard control rule. Therefore, the manager of the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10 created a table (table) show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distance (La) and the vertical distance (Lb) and which of the standard control rule and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should be used. After creating, the movement control device 30 may refer to the table and decide which of the standard control rules and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s is to be used. In this way, when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is to be used, the procedure of discarding the driving pattern of the standard control rule once created is not necessary, so that an appropriate driving pattern can be quickly determined.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행대차(22)와 승강대(23)의 어느 한쪽이 다른쪽의 동작의 완료를 다른쪽이 정지 상태에서 대기하는 사태를 방지하기 때문에, 주행대차(22)의 주행시간과 승강대(23)의 승강시간이 일치하도록 주행속도(va) 및 승강속도(vb)가 조절되지만, 이 조절은 반드시 행하지 않아도 좋다. 즉, 주행대차(22) 또는 승강대(23)가 정지 상태에서 대기하는 사태를 허용하면, 주행대차(22)와 승강대(23)를 각각 가능한 한 고속으로(예를 들면 표준 상한 주행속도(vam) 및 표준 상한 승강속도(vbm)로) 이동시켜도 좋다. 특히, 작업 지연이 생기고 있거나 해서 축전장치(72)의 수명을 단축해서라도 고속으로 물품(14)의 반송을 행하는 것이 요구될 경우에는, 전력 절약을 고려하지 않고 고속으로 주행대차(22)와 승강대(23)를 이동시켜도 좋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situation in which one of the traveling carriage 22 and the platform 23 waits for the completion of the operation of the other while the other stops is prevented, so that the traveling carriage 22 travels. The traveling speed va and the raising/lowering speed vb are adjusted so that the time and the lifting time of the platform 23 coincide, but these adjustments need not necessarily be performed. That is, if a situation in which the traveling carriage 22 or the platform 23 is in a stand-by state is allowed, the carriage 22 and the platform 23 can be moved at as high a speed as possible (e.g.,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ing speed vam). and at the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vbm)). In particular, when it is required to transport the articles 14 at high speed even if the lif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72 is shortened due to work delays or the like, the traveling cart 22 and the platform ( 23) may be moved.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태커 크레인(20)과 물품 수납 선반(50) 사이에서 물품(14)의 이송을 행하는 포크장치(24)가 스태커 크레인(20)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이송을 행하는 장치는 반드시 스태커 크레인(20)에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즉, 스태커 크레인(20)과 물품 수납 선반(50) 사이에서의 물품(14)의 이송을 행하는 이송장치가, 물품 수납 선반(50)의 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ork device 24 for transporting the product 14 between the stacker crane 20 and the product storage shelf 50 is provided in the stacker crane 20. The device may not necessarily be installed on the stacker crane 20. That is, a transfer device that transfers the product 14 between the stacker crane 20 and the product storage shelf 5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roduct storage shelf 50 .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동창고 컨트롤러(60)의 입력장치(62)로서 자동창고 컨트롤러(60) 자체에 비치되어 있는 터치패널 디스플레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입력장치(62)는 자동창고 컨트롤러(60)와 별체여도 좋고, 예를 들면 무선통신으로 자동창고 컨트롤러(60)에 동작지시를 발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이거나, 전자 네트워크를 통해서 자동창고설비(10)의 외부로부터 동작지시를 발신하는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touch panel display provided in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itself is shown as the input device 62 of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but the input device 62 is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 and may be a separate body, for example, a remote controller that sends operation instructions to the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6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a network device that sends operation instructions from the outside of the automated warehouse facility 10 through an electronic network. good night.

10 : 자동창고설비
14 : 물품
20 : 스태커 크레인
22 : 주행대차
23 : 승강대
22M : 주행용 모터
23M : 승강용 모터
30 : 이동제어장치
50 : 물품 수납 선반
52 : 수납부
60 : 자동창고 컨트롤러
70 : 주전원
72 : 축전장치
10: Automatic warehouse facility
14: Goods
20: Stacker Crane
22: driving bogie
23: lift platform
22M: driving motor
23M: lifting motor
30: movement control device
50: goods storage shelf
52: storage unit
60: automated warehouse controller
70: main power
72: power storage device

Claims (4)

물품을 반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주행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 주행함으로써 주행경로를 따른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행대차와,
승강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함으로써 상기 주행대차에 세워서 설치된 승강 마스트를 따른 연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대와,
외부로부터의 반송지시에 따라서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반송지시에 의해 지시된 목표 위치로 상기 승강대를 이동시키는 이동제어장치를 갖는 스태커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장치는 상기 승강대를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 패턴을, 미리 정해진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서 결정하고,
상기 주행용 모터가 소비하는 전력의 최대 피크 기간과 상기 승강용 모터가 소비하는 전력의 최대 피크 기간이 상기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구동 패턴에서는 겹칠 경우에는, 상기 이동제어장치는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의 상한 속도가 상기 표준 제어 규칙에 있어서의 상한 속도보다 낮게 설정된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따라서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표준 제어 규칙에는 상기 주행대차의 주행속도의 상한으로서의 표준 상한 주행속도와, 상기 승강대의 승강속도의 상한으로서의 표준 상한 승강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상기 이동제어장치가 상기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서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 패턴을 결정할 경우에,
상기 이동제어장치는,
상기 주행대차가 상기 표준 상한 주행속도로 상기 목표 위치의 수평좌표까지 주행하는데 요하는 최단 주행시간과, 상기 승강대가 상기 표준 상한 승강속도로 상기 목표 위치의 연직좌표까지 승강하는데 요하는 최단 승강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최단 주행시간이 상기 최단 승강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상기 승강대가 상기 목표 위치의 연직좌표까지 승강하는데 상기 최단 주행시간과 같은 시간을 요하도록 상기 승강대의 승강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최단 승강시간이 상기 최단 주행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상기 주행대차가 상기 목표 위치의 수평좌표까지 주행하는데 상기 최단 승강시간과 같은 시간을 요하도록 상기 주행대차의 주행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승강대가 승강 가능한 최대 거리를 가능한 한 고속으로 승강하는데 요하는 최대 전력 및 시간을 각각 최대 승강전력 및 최대 거리 승강시간으로 하고,
상기 최대 거리 승강시간과 같은 기간만큼 상기 주행대차가 상기 표준 상한 주행속도로 주행하는데 요하는 최대 전력을 최대 주행전력으로 하고,
상기 최대 승강전력과 상기 최대 주행전력의 합 이상의 값이 전력 절약 역치로서 설정되어 있고,
상기 표준 제어 규칙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구동 패턴에서는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가 소비하는 합계 전력의 피크가 상기 전력 절약 역치보다 커질 경우에, 상기 이동제어장치는 전력 절약 제어 규칙에 따라서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 패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As a stacker crane used to transport goods,
A travel cart that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a travel path by traveling by driving a travel motor;
A lift platform that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 lift mast installed on the running carriage by moving up and down by the drive of a lift motor;
In a stacker crane having a movement control device for moving the platform to a target position indicated by a conveyance instruction by controlling the traveling motor and the elevating motor according to a conveyance instruction from the outside,
The movement control device determines a driving pattern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required to move the elevator platform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control rule;
When the maximum peak period of power consumed by the traveling motor and the maximum peak period of power consumed by the lifting motor overlap in the driving patter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control rule, the movement control device Determine drive patterns of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according to a power saving control rule in which the upper limit speed of the motor and the lifting motor is set lower than the upper limit speed in the standard control rule;
In the standard control rule, a standard upper limit traveling speed as an upper limit of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veling bogie and a standard upper limit lifting speed as an upper limit of the lifting speed of the elevator platform are set in advance;
When the movement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drive patterns of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according to the standard control rule,
The movement control device,
The shortest traveling time required for the traveling carriage to travel to the horizontal coordinate of the target position at the upper standard upper limit traveling speed and the shortest lifting time required for the elevator to move up and down to the vertical coordinate of the target position at the upper standard upper limit traveling speed compare,
When the shortest traveling time is longer than the shortest traveling time, setting the hoisting speed of the hoist so that it takes the same amount of time as the shortest traveling time for the hoist to go up and down to the vertical coordinate of the target position;
When the shortest lifting time is longer than the shortest traveling time,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veling cart is set so that it takes the same time as the shortest lifting time for the traveling cart to travel to the horizontal coordinate of the target position;
The maximum power and time required for the elevator to move up and down the maximum distance that the elevator can go up and down at the highest possible speed are set as the maximum lifting power and the maximum distance lifting time, respectively;
The maximum power required for the travel cart to travel at the standard upper limit travel speed for a period equal to the maximum travel distance is set as the maximum travel power;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maximum lifting power and the maximum running power is set as a power saving threshold;
In the driving patter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control rule, when the peak of the total power consumed by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is greater than the power saving threshold, the movement control device performs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control rule. A stacker cran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drive pattern of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축적하는 축전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전장치는 상기 주전원과 공동으로 전력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축전장치만으로부터의 전력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주전원만으로부터 전력이 출력될 경우보다 높은 전력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축전장치로부터 상기 주행용 모터 및 상기 승강용 모터에 구동용의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al storage device is installed to accumulat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source,
The power storage device can output power jointly with the main power source or output power from only the power storage device, thereby outputting higher power than when power is output only from the main power source;
The stacker cran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power for driving is supplied from the electrical storage device to the traveling motor and the lifting mo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42501A 2017-08-30 2018-04-12 Stacker crane KR1024984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64903 2017-08-30
JP2017164903A JP6834852B2 (en) 2017-08-30 2017-08-30 Stacker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592A KR20190024592A (en) 2019-03-08
KR102498474B1 true KR102498474B1 (en) 2023-02-10

Family

ID=6551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501A KR102498474B1 (en) 2017-08-30 2018-04-12 Stacker cra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34852B2 (en)
KR (1) KR102498474B1 (en)
CN (1) CN109422059B (en)
TW (1) TWI74227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578B1 (en) * 2019-06-21 2019-10-21 김미숙 Warehouse system for storing material
KR102009862B1 (en) * 2019-06-21 2019-10-21 삼성상사 주식회사 Warehouse system for storing automobile parts
KR102034467B1 (en) * 2019-08-05 2019-10-21 주식회사 코너스톤에스에이치 Warehouse managing system
KR102056827B1 (en) 2019-08-05 2019-12-17 김종순 Warehouse managing system
KR102047308B1 (en) * 2019-09-07 2019-11-21 남상일 A storehouse with lifting apparatus
KR102041985B1 (en) * 2019-09-07 2019-11-07 김병수 A storehouse with lifting apparatus
KR102048557B1 (en) * 2019-09-11 2019-11-25 양명헌 Warehouse managing system
KR102096495B1 (en) * 2019-11-11 2020-04-02 김인배 Functional warehouse system
KR102432138B1 (en) 2021-04-14 2022-08-12 (주)코윈테크 Pallet assembly for stacker crane
CN117342052B (en) * 2023-12-06 2024-02-09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 material loading delivery coding equipment for medical auxiliary materi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153A (en) * 2001-03-08 2002-09-20 Okuma Corp Motor controller
JP2011201608A (en) * 2010-03-24 2011-10-13 Okamura Corp Stacker crane
JP2015113201A (en) * 2013-12-12 2015-06-22 西部電機株式会社 Stacker cra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07U (en) * 1989-06-12 1991-01-23
JP5184718B2 (en) * 2010-07-28 2013-04-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Power supply system, control device for power supply system, operation method for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ower supply system
JP5516985B2 (en) 2010-09-30 2014-06-11 株式会社ダイフク Stacker crane
JP5327655B2 (en) * 2011-05-31 2013-10-30 株式会社ダイフク Transport equipment
CN202864190U (en) * 2012-09-27 2013-04-10 余玉刚 Storage system
CN103482292B (en) * 2013-09-23 2015-07-29 陕西科技大学 A kind of automatic stereowarehouse intelligent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153A (en) * 2001-03-08 2002-09-20 Okuma Corp Motor controller
JP2011201608A (en) * 2010-03-24 2011-10-13 Okamura Corp Stacker crane
JP2015113201A (en) * 2013-12-12 2015-06-22 西部電機株式会社 Stacker c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22059A (en) 2019-03-05
TWI742270B (en) 2021-10-11
CN109422059B (en) 2021-08-24
JP6834852B2 (en) 2021-02-24
JP2019043685A (en) 2019-03-22
TW201912538A (en) 2019-04-01
KR20190024592A (en)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8474B1 (en) Stacker crane
JP4756371B2 (en) Goods storage equipment
JP2016050090A (en) Conveyance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veyance vehicle system
JP5884594B2 (en) Automatic warehouse
JP2008230841A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5516986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2008247558A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2007119136A (en) Article transfer equipment and article conveyance equipment provided with the article transfer equipment
JP2006219297A (en) Article conveying apparatus
JP5700251B2 (en) Automatic warehouse equipment
JP6627677B2 (en) Goods storage equipment
JP4618505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5516984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JP4706488B2 (en) Stacker crane control method and stacker crane control apparatus
JP4775652B2 (en) Goods storage equipment
KR20190114776A (en) Article conveyance apparatus
JP6870370B2 (en) Stacker crane and automated warehouse
JP4666224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JP6394292B2 (en) Automatic warehouse
JP2021031211A (en) Stacker crane
JP5807619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JP4026462B2 (en) Goods storage facility
JP7452236B2 (en) Conveyance system
JP4470120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JP2021134076A (en) Convey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