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242B1 -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242B1
KR102498242B1 KR1020210109235A KR20210109235A KR102498242B1 KR 102498242 B1 KR102498242 B1 KR 102498242B1 KR 1020210109235 A KR1020210109235 A KR 1020210109235A KR 20210109235 A KR20210109235 A KR 20210109235A KR 102498242 B1 KR102498242 B1 KR 10249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name
file
application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서
Original Assignee
신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준서 filed Critical 신준서
Priority to KR102021010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신규 다운로드시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하는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과 다른 언어로 변환한 복사본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언어별로 분류하여 표시할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모든 언어 카테고리에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목록으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 및 직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s on the terminal and the terma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을 서로 다른 언어로 표기한 복수의 파일들로 구성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고 빠르게 찾아서 관리할 수 있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유저들은 스마트 폰,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시, 미리 설정된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새로운 어플리케이션들이 계속해서 출시되고 있으므로, 유저는 수십 또는 수백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됨에 따라, 유저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대표 또는 바탕 화면이 아닌 전체 화면에서 찾아서 실행하거나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찾는 데에 번거로움을 느끼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단말기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명칭을 한글의 가나다순과 영문의 알파벳순으로 정렬하여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유저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한글과 영문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한글 카테고리와 영문 카테고리를 모두 찾아봐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6845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검색 및 관리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의 프로세서가 앱 스토어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언어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상기 제1언어를 제외한 다른 제2언어로 변환하고, 상기 제2언어로 변환된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각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언어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때,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제1언어로 분류된 제1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복사본 파일은 상기 제2언어로 분류된 제2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언어 카테고리마다 모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의 프로세서가 앱 스토어로부터 미리 설정된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앱 스토어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치된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언어이면,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상기 제1언어를 제외한 다른 제2언어로 변환하고, 상기 제2언어로 변환된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각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언어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때,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제1언어로 분류된 제1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복사본 파일은 상기 제2언어로 분류된 제2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언어 카테고리마다 모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언어들은, 한글과 영문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 중 어느 하나는 한글의 가나다순으로 정렬된 한글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나머지 하나는 영문의 알파벳순으로 정렬된 영문 카테고리에 표시한다.
상기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를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한다.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가 숫자인 경우, 상기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로 각각 변환시켜, 상기 복수의 언어들로 변환된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복사본 파일들을 생성한다.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가 숫자인 경우, 상기 원본 파일은 숫자의 크기순으로 정렬된 숫자 카테고리에 표시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유저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언어로 검색 입력 받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추출하여 표시한다.
상기 복사본 파일은, 상기 원본 파일의 위치와 상기 원본 파일의 실행을 위한 매개 변수를 포함하는 바로 가기 파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의 프로세서가 앱 스토어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언어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상기 제1언어를 제외한 다른 제2언어로 변환하고, 상기 제2언어로 변환된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각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언어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때,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제1언어로 분류된 제1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복사본 파일은 상기 제2언어로 분류된 제2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언어 카테고리마다 모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를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언어들은, 한글과 영문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 중 어느 하나는 한글의 가나다순으로 정렬된 한글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나머지 하나는 영문의 알파벳순으로 정렬된 영문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가 숫자인 경우, 상기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로 각각 변환시켜, 상기 복수의 언어들로 변환된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복사본 파일들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프로세서가 앱 스토어로부터 미리 설정된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앱 스토어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치된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언어이면,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상기 제1언어를 제외한 다른 제2언어로 변환하고, 상기 제2언어로 변환된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각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언어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때,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제1언어로 분류된 제1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복사본 파일은 상기 제2언어로 분류된 제2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언어 카테고리마다 모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를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언어들은, 한글과 영문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 중 어느 하나는 한글의 가나다순으로 정렬된 한글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나머지 하나는 영문의 알파벳순으로 정렬된 영문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가 숫자인 경우, 상기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로 각각 변환시켜, 상기 복수의 언어들로 변환된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복사본 파일들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신규 다운로드시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하는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과 다른 언어로 변환한 복사본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언어별로 분류하여 표시할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모든 언어 카테고리에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목록으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 및 직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보다 쉽고 빠르게 찾아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화면에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앱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받아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하며, 앱(App)이라고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데이터를 처리하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통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유저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앱 스토어에 접속하여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기의 프로세서는 상기 앱 스토어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한다.(S12)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언어들 중에서 어떤 언어로 표기되었는지 확인하고, 표기한 언어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언어들은 두 가지의 제1,2언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언어는 한글로 설정되고, 상기 제2언어는 영문으로 설정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글과 영문 이외에 일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를 표기한 언어가 상기 제1언어인 한글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칭을 상기 제2언어인 영문으로 변환한다.(S13)(S14)
즉,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와 다른 언어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글과 다른 언어인 영문으로만 변환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문이 아닌 다른 나라의 언어로 변환하거나, 영문과 다른 나라의 언어로 모두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명칭을 영문으로 변환한 후, 영문 명칭을 가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한다.(S15)
상기 복사본 파일은, 상기 원본 파일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동일한 파일인 것도 가능하고, 상기 원본 파일의 위치와 상기 원본 파일의 실행과 삭제를 위한 매개 변수를 포함하는 바로 가기 파일인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파일만 한번 다운로드해서 실행하면, 한글 명칭의 원본 파일과 영문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하나의 세트로 저장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의 유저의 요청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이 때, 상기 어플레이션들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한글 카테고리와 영문 카테고리를 포함한 언어 카테고리와 숫자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표시할 때, 상기 한글 카테고리, 상기 영문 카테고리, 상기 숫자 카테고리를 미리 설정된 순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이 한글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언어 카테고리 중에서 상기 한글 카테고리에서 가나다순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의 명칭은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상기 언어 카테고리 중에서 영문 카테고리에서 알파벳 순으로 표시한다.(S16)
즉,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나타내는 복수의 언어 카테고리마다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표시한다.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한글로만 표기되더라도 영문으로 변환된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자동 생성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한글 카테고리 뿐만 아니라 영문 카테고리에도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의 유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찾고자 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에서 한글 카테고리와 영문 카테고리 중 어디서든 찾을 수 있으므로, 직관성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13)에서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를 표기한 언어가 상기 한글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칭을 표기한 언어가 영문인지 판단한다.(S17)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가 영문이면, 상기 명칭을 한글로 변환한다.(S18)
상기 명칭을 상기 한글로 변환한 후, 한글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한다.(S19)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한번 다운로드하면, 한글 명칭의 원본 파일과 영문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하나의 세트로 저장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유저의 요청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각 명칭을 표기한 언어에 따라 서로 다른 언어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여기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이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언어 카테고리 중에서 영문 카테고리에서 알파벳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의 명칭은 한글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상기 언어 카테고리 중에서 한글 카테고리에서 가나다 순으로 정렬하여표시한다.(S16)
즉,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나타내는 복수의 언어 카테고리마다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표시한다. 따라서,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영문으로만 표기되더라도 한글로 변환된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자동 생성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영문 카테고리 뿐만 아니라 한글 카테고리에도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유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찾고자 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에서 한글 카테고리와 영문 카테고리 중 어디서든 찾을 수 있으므로, 직관성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17)에서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가 영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칭의 첫 글자는 숫자로 표기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명칭의 첫 글자가 숫자라고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칭을 한글과 영문으로 모두 변환시킨다.(S20)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칭을 한글로 변환하여 한글 명칭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명칭을 영문으로 변환하여 영문 명칭의 복사본 파일도 생성한다.(S21)
따라서,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가 숫자인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한번 한 개의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숫자 명칭의 원본 파일, 한글 명칭의 복사본 파일 및 영문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하나의 세트로 저장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유저의 요청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각 명칭을 표기한 언어에 따라 서로 다른 언어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여기서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이 숫자로 표기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카테고리 중에서 상기 숫자 카테고리에 숫자의 크기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고, 영문 명칭의 복사본 파일은 상기 영문 카테고리에 알파벳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며, 한글 명칭의 복사본 파일은 상기 한글 카테고리에 가나다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S16)
즉,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나타내는 복수의 언어 카테고리마다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표시한다. 따라서,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숫자로만 표기되더라도 한글과 영문으로 각각 변환된 복사본 파일들이 자동 생성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숫자 카테고리 뿐만 아니라 상기 한글 카테고리와 상기 영문 카테고리에도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의 유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찾고자 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에서 상기 숫자 카테고리, 상기 한글 카테고리 및 상기 영문 카테고리 중 어디서든 찾을 수 있으므로, 직관성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의 유저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검색 입력 받으면, 입력된 명칭의 언어에 관계없이 모든 원본 파일과 복사본 파일을 모두 추출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과 복사본 파일은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만 확인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검색을 통해서도 모두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화면에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버스 앱(A1)과 Bus APP(A2)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인 바, 버스 앱(A1)은 명칭이 한글로 표기된 파일이고, Bus APP(A2)는 명칭이 영문으로 표기된 파일이다. 도 2a는 한글 카테고리에는 버스 앱(A1)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영문 카테고리에 표시된 Bus APP(A2)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화면을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위로 드래그하면, 한글 카테고리 다음으로 영문 카테고리가 표시된다.
상기 단말기에 영문 명칭의 Bus APP(A2)을 다운로드 받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영문 명칭을 한글 명칭으로 변환시켜, 복사본 파일인 버스 앱(A1)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문 명칭의 원본 파일인 Bus APP(A2)을 영문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한글 명칭의 복사본 파일인 버스 앱(A1)은 한글 카테고리에 표시한다. 즉, 영문 명칭의 Bus APP(A2)만 다운로드받았지만, 영문 명칭의 원본 파일과 한글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한글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생성되지 않으면, 영문 카테고리에만 Bus APP(A2) 파일이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의 유저는 상기 한글 카테고리를 위로 드래그하여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을 넘긴 후, 상기 한글 카테고리 다음에 나오는 상기 영문 카테고리에서 상기 Bus APP(A2)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유저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는 작업이 번거롭게 느낄 수 있다. 비록 어플리케이션을 찾는 데 드는 시간은 수 초에서 수 분에 불과할 지라도 속도나 직관성을 중요시하는 스마트 폰의 유저들은 오래 걸린다고 느끼며 매우 불편하게 생각한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영문 명칭의 Bus APP(A2)을 다운받으면, 한글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자동 생성되기 ??문에, 상기 유저는 상기 한글 카테고리와 상기 영문 카테고리 중 어디서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가 자신이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영문인지 한글인지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영문 카테고리 뿐만 아니라 한글 카테고리에서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 및 직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고, 다른 언어로 변환하는 것을 단말기의 프로세서가 아닌 별도로 설치된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이하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상기 단말기의 프로세서가 상기 앱 스토어로부터 미리 설정된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S1)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앱 스토어로부터 신규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으면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S2)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규로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될 때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단계(S2)에서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이 신규로 다운로드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한다.(S12)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언어들 중에서 어떤 언어로 표기되었는지 확인하고, 표기한 언어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언어들은 두 가지의 제1,2언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언어는 한글로 설정되고, 상기 제2언어는 영문으로 설정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글과 영문 이외에 일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가 상기 제1언어인 한글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칭을 상기 제2언어인 영문으로 변환한다.(S13)(S14)
즉,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와 다른 언어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글과 다른 언어인 영문으로만 변환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문이 아닌 다른 나라의 언어로 변환하거나, 영문과 다른 나라의 언어로 모두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명칭을 영문으로 변환한 후, 영문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한다.(S15)
상기 복사본 파일은, 상기 원본 파일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동일한 파일인 것도 가능하고, 상기 원본 파일의 위치와 상기 원본 파일의 실행과 삭제를 위한 매개 변수를 포함하는 바로 가기 파일인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한번 하나의 파일만 다운로드하면, 한글 명칭의 원본 파일과 영문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하나의 세트로 저장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의 유저의 요청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이 때, 상기 어플레이션들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한글 카테고리와 영문 카테고리를 포함한 언어 카테고리와 숫자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표시할 때, 상기 한글 카테고리, 상기 영문 카테고리, 상기 숫자 카테고리를 미리 설정된 순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이 한글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언어 카테고리 중에서 상기 한글 카테고리에서 가나다순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의 명칭은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상기 언어 카테고리 중에서 영문 카테고리에서 알파벳 순으로 표시한다.(S16)
즉,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나타내는 복수의 언어 카테고리마다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표시한다.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한글로만 표기되더라도 영문으로 변환된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자동 생성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한글 카테고리 뿐만 아니라 영문 카테고리에도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의 유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찾고자 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에서 한글 카테고리와 영문 카테고리 중 어디서든 찾을 수 있으므로, 직관성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13)에서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를 표기한 언어가 상기 한글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칭을 표기한 언어가 영문인지 판단한다.(S17)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가 영문이면, 상기 명칭을 한글로 변환한다.(S18)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명칭을 상기 한글로 변환한 후, 한글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한다.(S19)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한번 다운로드하면, 한글 명칭의 원본 파일과 영문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하나의 세트로 저장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유저의 요청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각 명칭을 표기한 언어에 따라 서로 다른 언어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여기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이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언어 카테고리 중에서 영문 카테고리에서 알파벳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의 명칭은 한글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상기 언어 카테고리 중에서 한글 카테고리에서 가나다 순으로 정렬하여표시한다.(S16)
즉,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나타내는 복수의 언어 카테고리마다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표시한다. 따라서,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영문으로만 표기되더라도 한글로 변환된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자동 생성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영문 카테고리 뿐만 아니라 한글 카테고리에도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유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찾고자 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에서 한글 카테고리와 영문 카테고리 중 어디서든 찾을 수 있으므로, 직관성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17)에서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가 영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칭의 첫 글자는 숫자로 표기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명칭의 첫 글자가 숫자라고 판단되면,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명칭을 한글과 영문으로 모두 변환시킨다.(S20)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명칭을 한글로 변환하여 한글 명칭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명칭을 영문으로 변환하여 영문 명칭의 복사본 파일도 생성한다.(S21)
따라서,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가 숫자인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한번 한 개의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숫자 명칭의 원본 파일, 한글 명칭의 복사본 파일 및 영문 명칭의 복사본 파일이 하나의 세트로 저장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유저의 요청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각 명칭을 표기한 언어에 따라 서로 다른 언어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여기서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이 숫자로 표기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카테고리 중에서 상기 숫자 카테고리에 숫자의 크기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고, 영문 명칭의 복사본 파일은 상기 영문 카테고리에 알파벳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며, 한글 명칭의 복사본 파일은 상기 한글 카테고리에 가나다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S16)
즉,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나타내는 복수의 언어 카테고리마다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표시한다. 따라서,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숫자로만 표기되더라도 한글과 영문으로 각각 변환된 복사본 파일들이 자동 생성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숫자 카테고리 뿐만 아니라 상기 한글 카테고리와 상기 영문 카테고리에도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의 유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찾고자 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에서 상기 숫자 카테고리, 상기 한글 카테고리 및 상기 영문 카테고리 중 어디서든 찾을 수 있으므로, 직관성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의 유저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검색 입력 받으면, 입력된 명칭의 언어에 관계없이 모든 원본 파일과 복사본 파일을 모두 추출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과 복사본 파일은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만 확인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검색을 통해서도 모두 확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단말기의 프로세서가 앱 스토어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언어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상기 제1언어를 제외한 다른 제2언어로 변환하고, 상기 제2언어로 변환된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각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언어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때,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제1언어로 분류된 제1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복사본 파일은 상기 제2언어로 분류된 제2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언어 카테고리마다 모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를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가 숫자인 경우, 상기 명칭을 상기 제1언어와 상기 제2언어로 각각 변환시켜, 상기 제1언어와 상기 제2언어로 각각 변환된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복사본 파일들을 생성하여, 숫자 명칭의 원본 파일, 상기 제1언어로 변환된 명칭의 복사본 파일 및 상기 제2언어로 변환된 복사폰 파일이 하나의 세트로 저장되며, 상기 숫자 명칭의 원본 파일은 숫자의 크기순으로 정렬된 숫자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제1언어로 변환된 명칭의 복사본 파일은 상기 제1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언어로 변환된 명칭의 복사본 파일은 상기 제2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유저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언어로 검색 입력 받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추출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사본 파일은, 상기 원본 파일의 위치와 상기 원본 파일의 실행을 위한 매개 변수를 포함하는 바로 가기 파일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 단말기의 프로세서가 앱 스토어로부터 미리 설정된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앱 스토어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치된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을 표기한 언어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언어이면, 상기 언어변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 상기 제1언어를 제외한 다른 제2언어로 변환하고, 상기 제2언어로 변환된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복사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각 명칭을 표기한 언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언어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동일한 언어 카테고리내에서 초성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때, 상기 원본 파일은 상기 제1언어로 분류된 제1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복사본 파일은 상기 제2언어로 분류된 제2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언어 카테고리마다 모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를 표기한 언어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원본 파일의 명칭의 첫 글자가 숫자인 경우, 상기 명칭을 상기 제1언어와 상기 제2언어로 각각 변환시켜, 상기 제1언어와 상기 제2언어로 각각 변환된 명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복사본 파일들을 생성하여, 숫자 명칭의 원본 파일, 상기 제1언어로 변환된 명칭의 복사본 파일 및 상기 제2언어로 변환된 복사폰 파일이 하나의 세트로 저장되며, 상기 숫자 명칭의 원본 파일은 숫자의 크기순으로 정렬된 숫자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제1언어로 변환된 명칭의 복사본 파일은 상기 제1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언어로 변환된 명칭의 복사본 파일은 상기 제2언어 카테고리에 표시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유저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을 상기 복수의 언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언어로 검색 입력 받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을 모두 추출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사본 파일은, 상기 원본 파일의 위치와 상기 원본 파일의 실행을 위한 매개 변수를 포함하는 바로 가기 파일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언어들은, 한글과 영문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파일과 상기 복사본 파일 중 어느 하나는 한글의 가나다순으로 정렬된 한글 카테고리에 표시하고, 나머지 하나는 영문의 알파벳순으로 정렬된 영문 카테고리에 표시하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사용하는 단말기.
KR1020210109235A 2021-08-19 2021-08-19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KR102498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235A KR102498242B1 (ko) 2021-08-19 2021-08-19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235A KR102498242B1 (ko) 2021-08-19 2021-08-19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242B1 true KR102498242B1 (ko) 2023-02-10

Family

ID=8522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235A KR102498242B1 (ko) 2021-08-19 2021-08-19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2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825A (ko) * 2004-04-27 2005-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소팅 방법 및 장치
JP2010073034A (ja) * 2008-09-19 2010-04-02 Nec Personal Products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01825A (ko) * 2012-03-06 2013-09-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방법
KR20160041388A (ko) * 2014-10-07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5547A (ko) * 2016-07-06 2018-01-16 (주) 비미오 앱 이름 검색 방법 및 시스템
US20180136799A1 (en) * 2015-04-27 2018-05-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View and Terminal Device
KR102268453B1 (ko) 2019-10-23 2021-06-22 홍석준 유저 맞춤형 스마트폰 앱 자동 정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825A (ko) * 2004-04-27 2005-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소팅 방법 및 장치
JP2010073034A (ja) * 2008-09-19 2010-04-02 Nec Personal Products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01825A (ko) * 2012-03-06 2013-09-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방법
KR20160041388A (ko) * 2014-10-07 201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36799A1 (en) * 2015-04-27 2018-05-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View and Terminal Device
KR20180005547A (ko) * 2016-07-06 2018-01-16 (주) 비미오 앱 이름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2268453B1 (ko) 2019-10-23 2021-06-22 홍석준 유저 맞춤형 스마트폰 앱 자동 정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9696B2 (en) Appl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P38761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unning mini program,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7657844B2 (en) Providing accessibility compliance within advanced componentry
US74962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natural language translation of embedded text regions in images during information transfer
US9086735B2 (en) Extension framework for input method editor
US20140365496A1 (en) Menu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of smart device
JP2019520625A (ja) ヒューマンコンピュータ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3158651A (zh) Web服务器系统以及演示应用生成方法
US200601010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software programs with data files within a computer network
US10095528B2 (en) Interfacing systems and methods
CN114237457A (zh) 一种显示方法和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10182030A1 (en) System and method applied to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WO2016172825A1 (zh) 一种显示视图的方法和终端设备
KR102498242B1 (ko)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WO2007097526A1 (en) Method for providing hierarchical ring menu for graphic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of
US11436029B2 (en) Help information display system, help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help information display program
CN110780970A (zh) 数据筛选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25205A (zh) 看板数据显示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5756692A (zh) 基于样式属性自动组合展示页面的方法及其相关设备
CN112433741B (zh) 页面处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158544B1 (ko)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77723A1 (en) Exporting a component of a currently displayed user interface to a development system
CN109725799B (zh) 一种广告显示的控制方法、装置及智能终端
CN106775726B (zh) 下载应用的方法及电子终端
JP2002024067A (ja) ファイル管理装置と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