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142B1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142B1
KR102498142B1 KR1020200179084A KR20200179084A KR102498142B1 KR 102498142 B1 KR102498142 B1 KR 102498142B1 KR 1020200179084 A KR1020200179084 A KR 1020200179084A KR 20200179084 A KR20200179084 A KR 20200179084A KR 102498142 B1 KR102498142 B1 KR 102498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less
hardness
bulletproof
excellent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8242A (ko
Inventor
유승호
조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7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142B1/ko
Priority to PCT/KR2021/015873 priority patent/WO2022131539A1/ko
Priority to EP21906844.2A priority patent/EP4265789A1/en
Priority to AU2021402470A priority patent/AU2021402470A1/en
Publication of KR20220088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Abstract

본 발명은 고경도 특성과 더불어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을 구비하여 우수한 강탄 성을 제공 가능한 방탄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ARMORED STEEL HAVINH HIGH HARDNESS AND EXCELLENT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장갑 차량 및 방폭 구조물 등에 적합한 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고경도를 가지는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탄강은 탄알을 막는 주 기능을 위해 표면을 매우 단단하게 만든 소재로서, 전장에서 사용되는 장갑 차량의 외부 등 방호력이 필요한 곳에 사용되는 소재이다. 방탄 성능은 인명과 직결되는 만큼 방탄 소재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는 과거부터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티타늄, 알루미늄 등의 비철 소재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철 소재는 철강재 대비 경량화의 이점은 있으나,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가공성이 열위하다. 이에 비해 철강재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경도와 같은 물성을 비교적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자주포, 차륜형 장갑차 등의 소재로 널리 쓰이고 있다.
경도는 방탄강의 성능 확보를 위한 중요한 물성 중 하나이지만, 단순히 경도만 높다고 하여 방탄 성능이 확보되는 것은 아니다. 고경도 특성은 총알이 소재를 관통하지 못하도록 하는 저항성을 높이는 인자이지만, 고경도 특성을 가지는 소재는 상대적으로 쉽게 깨질 수 있기 반드시 우수한 방탄 성능을 제공한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단순히 소재의 고경도화 만을 도모하기 보다는, 고경도 특성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한 취성 파괴 저항성을 동시에 확보 가능한 소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3788호 (2018.04.30. 공개)
본 발명은 고경도 특성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방탄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은, 중량%로, 탄소(C): 0.19~0.28%, 실리콘(Si): 1.0~2.0%, 망간(Mn): 0.5~1.6%, 니켈(Ni): 1.3~3.0%, 크롬(Cr): 0.4~1.5%, 인(P): 0.05% 이하, 황(S): 0.02% 이하, 질소(N): 0.006% 이하, 알루미늄(Al): 0.07% 이하(0%는 제외), 몰리브덴(Mo): 0.03% 이하(0% 포함), 니오븀(Nb): 0.01% 이하(0% 포함), 보론(B): 0.0002~0.005%, 칼슘(Ca): 0.0005~0.004%,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며, 마르텐사이트 기지조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포함된 복합조직을 미세조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관계식 1]
([Si]/([Mo]+0.1)) * ([Ni] /5) ≥ 5
상기 관계식 1에서 [Si], [Mo] 및 [Ni]은 상기 강판에 포함된 실리콘(Si), 몰리브덴(Mo) 및 니켈(Ni)의 함량(중량%)을 의미하며, 해당 성분이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은 경우 0을 대입한다.
상기 방탄강은 중량%로, 티타늄(Ti): 0.005~0.025% 및 바나듐(V): 0.2% 이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은 95면적% 이상이고,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은 0.5면적% 내지 5면적%일 수 있다.
상기 방탄강은 표면 경도가 460~540HB 이고, -40℃에서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19J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방탄강은 5~4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탄소(C): 0.19~0.28%, 실리콘(Si): 1.0~2.0%, 망간(Mn): 0.5~1.6%, 니켈(Ni): 1.3~3.0%, 크롬(Cr): 0.4~1.5%, 인(P): 0.05% 이하, 황(S): 0.02% 이하, 질소(N): 0.006% 이하, 알루미늄(Al): 0.07% 이하(0%는 제외), 몰리브덴(Mo): 0.03% 이하(0% 포함), 니오븀(Nb): 0.01% 이하(0% 포함), 보론(B): 0.0002~0.005%, 칼슘(Ca): 0.0005~0.004%,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강 슬라브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강 슬라브를 950~1150℃의 온도범위에서 조압연하는 단계; 상기 조압연 후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강판을 880~930℃의 온도범위로 재가열 한 후 10℃/s 이상의 냉각속도로 150℃ 이하의 냉각종료온도까지 냉각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관계식 1]
([Si]/([Mo]+0.1)) * ([Ni] /5) ≥ 5
상기 관계식 1에서 [Si], [Mo] 및 [Ni]은 상기 강 슬라브에 포함된 실리콘(Si), 몰리브덴(Mo) 및 니켈(Ni)의 함량(중량%)을 의미하며, 해당 성분이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은 경우 0을 대입한다.
상기 강 슬라브는 중량%로, 티타늄(Ti): 0.005~0.025% 및 바나듐(V): 0.2% 이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가열시 재로시간은 1.3t+10분(t: 판 두께(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경도를 가지면서, 저온 인성이 우수한 방탄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합금조성 및 제조조건의 최적화로부터 추가적인 열처리를 행하지 않고서도 목표 수준의 물성을 가지는 방탄강을 제공할 수 있는 바,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사항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이하에 기술된 설명으로부터 유추 가능한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시편 No.3의 미세조직 관찰 사진이다.
도 2는 시편 No.15의 미세조직 관찰 사진이다.
본 발명은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구현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차륜형 장갑차 및 방폭 구조물 등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소재로서,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물성인 고경도 특성 및 저온 충격인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강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깊이 연구하였다.
특히, 경제적으로 유리한 방법을 통해 강재의 방탄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을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탄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강 조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각 원소의 함량을 나타내는 %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탄소(C): 0.19~0.28%
탄소(C)는 마르텐사이트 또는 베이나이트 상과 같은 저온 변태상을 가지는 강에서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는데에 효과적이며, 경화능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은 0.19% 이상의 탄소(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한 경우 강의 용접성 및 인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바, 본 발명은 탄소(C) 함량의 상한을 0.28%로 제한할 수 있다.
실리콘(Si): 1.0~2.0%
실리콘(Si)은 탈산효과와 더불어 고용강화에 따른 강도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며, 일정량 이상의 탄소(C)를 함유하는 강재에서 세멘타이트와 같은 탄화물의 형성을 억제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생성을 촉진하는 원소이기도 하다. 특히, 마르텐사이트와 베이나이트 등의 저온 변태상을 가지는 강에서 균질하게 분포된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강도의 저하를 수반하지 않으면서도 충격인성의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은 1.0% 이상의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한 경우 용접성이 급격히 열화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실리콘(Si) 함량의 상한을 2.0%로 제한할 수 있다.
망간(Mn): 0.5~1.6%
망간(Mn)은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고, Ar3 온도를 낮춤으로써 강의 소입성을 향상시켜 강도 및 인성을 높이는데 유리한 원소이다. 본 발명은 목적하는 수준의 경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0.5% 이상의 망간(Mn)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한 경우 용접성이 저하되고 중심편석이 조장되어 강 중심부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바, 본 발명은 망간(Mn) 함량의 상한을 1.6%로 제한할 수 있다.
니켈(Ni): 1.3~3.0%
니켈(Ni)은 강의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1.3% 이상의 니켈(Ni)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니켈(Ni)은 고가의 원소이므로, 과다 첨가 시 제조 원가가 크게 상승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니켈(Ni) 함량의 상한을 3.0%로 제한할 수 있다.
크롬(Cr): 0.4~1.5%
크롬(Cr)은 강의 소입성을 증가시켜 강도를 향상시키며, 강의 표면부 및 중심부 경도 확보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크롬(Cr)은 비교적 저가의 원소이므로, 경제적으로 경도 및 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소이기도 하다.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은 0.4% 이상의 크롬(Cr)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한 경우 용접성이 열위해질 수 있는바, 본 발명은 크롬(Cr) 함량의 상한을 1.5%로 제한할 수 있다.
인(P): 0.05% 이하
인(P)은 강 중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로서, 강의 인성을 저해하는 원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 함량을 가능한 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인(P)을 최대 0.05%로 함유하더라도 강의 물성에 큰 영향이 없는 바, 인(P) 함량의 상한을 0.05%로 제한할 수 있다. 보다 유리하게는 0.03%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다만,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수준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할 수 있다.
황(S): 0.02% 이하
황(S)은 강 중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이며, MnS 개재물을 형성하여 강의 인성을 저해하는 원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 함량을 가능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황(S)을 최대 0.02%로 함유하더라도 강의 물성에 큰 영향이 없는 바, 황(S) 함량의 상한을 0.02%로 제한할 수 있다. 보다 유리하게는 0.01%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다만,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수준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할 수 있다.
질소(N): 0.006% 이하
질소(N)는 강 중에 석출물을 형성하여 강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한 성분이지만, 그 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오히려 강의 인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질소(N)를 함유하지 않더라도 강도 확보에 무리가 없는바, 본 발명은 질소(N) 함량의 상한을 0.006%로 제한할 수 있다. 다만,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수준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할 수 있다.
알루미늄(Al): 0.07% 이하(0%는 제외)
알루미늄(Al)은 강의 탈산제로서 용강 중에 산소 함량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다만, 알루미늄(Al) 함량이 과다한 경우 강의 청정성이 저해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알루미늄(Al) 함량의 상한을 0.07%로 제한할 수 있다.
반면, 알루미늄(Al)의 함량을 과도하게 낮추는 경우 제강공정 시 부하가 발생하고,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알루미늄(Al) 함량의 하한에서 0%를 제외할 수 있다.
몰리브덴(Mo): 0.03% 이하 (0% 포함)
몰리브덴(Mo)은 강의 소입성을 증가시키며, 특히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후물재의 경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원소이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한 경우 제조 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용접성이 열위해지질 수 있는바, 본 발명은 몰리브덴(Mo)의 첨가를 적극 억제하고자 한다. 몰리브덴(Mo) 함량의 상한은 0.03%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몰리브덴(Mo) 함량의 상한은 0.02%일 수 있다.
니오븀(Nb): 0.01% 이하 (0% 포함)
니오븀(Nb)은 오스테나이트에 고용되어 오스테나이트의 경화능을 증대시키고, Nb(C,N) 등의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강의 강도의 증가 및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는데에 유효한 성분이다. 다만, 니오븀(Nb)은 고가의 원소일 뿐만 아니라, Nb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 조대한 석출물을 형성하여 취성파괴의 기점이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니오븀(Nb)의 첨가를 적극 억제하고자 한다. 니오븀(Nb)의 함량은 0.01%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니오븀(Nb)의 함량은 0.005% 이하일 수 있다.
보론(B): 0.0002~0.005%
보론(B)은 소량의 첨가로도 강의 소입성을 상승시켜 강도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 본 발명은 0.0002% 이상의 보론(B)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 오히려 강의 인성 및 용접성을 저해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보론(B) 함량의 상한을 0.005%로 제한할 수 있다.
칼슘(Ca): 0.0005~0.004%
칼슘(Ca)은 황(S)과의 결합력이 좋아 MnS 주변(둘레)에 CaS를 생성하여 MnS의 연신을 억제하며, 압연 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으로의 인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원소이다. 또한, 칼슘(Ca)의 첨가로 생성된 CaS는 다습한 외부 환경 하에서 부식 저항을 높이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은 0.0005% 이상의 칼슘(Ca)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한 경우 제강 조업 시 노즐 막힘 등의 결함이 유발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칼슘(Ca) 함량의 상한을 0.004%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탄강은 상술한 합금조성 이외에도, 목표로 하는 물성을 유리하게 확보하기 위한 목적에서 하기 원소들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탄강은, 티타늄(Ti) 및 바나듐(V) 중의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티타늄(Ti): 0.005~0.025%
티타늄(Ti)은 강의 소입성 향상에 유리한 원소인 보론(B)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원소이다. 즉, 상기 티타늄(Ti)은 강 중의 질소(N)와 결합하여 TiN을 석출시키므로, 고용 질소(N)의 함량을 저감시키고, BN의 형성을 억제하여 고용 보론(B)을 증가시켜 소입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 0.005% 이상의 티타늄(Ti)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한 경우 조대한 TiN 석출물이 형성되어 강의 인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티타늄(Ti) 함량의 상한을 0.025%로 제한할 수 있다.
바나듐(V): 0.2% 이하 (0% 포함)
바나듐(V)은 열간압연 후 재가열시 VC 탄화물을 형성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고, 강의 소입성을 향상시켜,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하는데에 유리한 원소이다. 다만, 바나듐(V)은 상대적으로 고가의 원소이므로, 제조원가를 고려하여 그 한량의 상한을 0.2%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탄강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전면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전술한 성분 이외에 유효한 성분의 추가적인 첨가가 전면적으로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탄강은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Si]/([Mo]+0.1)) * ([Ni] /5) ≥ 5
상기 관계식 1에서 [Si], [Mo] 및 [Ni]은 상기 강판에 포함된 실리콘(Si), 몰리브덴(Mo) 및 니켈(Ni)의 함량(중량%)을 의미하며, 해당 성분을 의도적으로 첨가하지 않은 경우 0을 대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강판의 고경도 특성 및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을 동시에 확보 가능한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강판에 포함되는 개별 합금조성의 함량 범위뿐만 아니라, 강판에 포함되는 특정 합금조성의 상대적인 함량범위를 제어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점을 도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강판에 포함되는 개별 합금조성의 함량범위를 일정 범위로 제어할 뿐만 아니라, [관계식 1]과 같이 실리콘(Si), 몰리브덴(Mo) 및 니켈(Ni)의 상대적인 함량 범위를 일정 범위로 제어하므로, 고경도 특성과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을 효과적으로 양립시킬 수 있다.
상술한 합금조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방탄강은 마르텐사이트 기지조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포함된 복합조직을 미세조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기타 불가피한 조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탄강은 마르텐사이트 기지조직과 잔류 오스테나이트로 이루어지는 복합조직을 미세조직으로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은 0.5면적% 내지 5면적%일 수 있으며,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은 95면적% 이상일 수 있다.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급속 냉각 열처리 동안 마르텐사이트로 완전히 상변태를 하지 못한 상태로 남아있는 조직으로서, 마르텐사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는 낮으나 인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본 발명의 방탄강은 이와 같은 효과를 위해 0.5면적%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면적%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과도하게 형성되는 경우 저온 충격인성은 크게 증가하는 반면, 목표하는 경도 특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의 상한을 5면적%로 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탄강은 전체 두께에 걸쳐 상술한 미세조직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합금조성과 더불어 제안한 미세조직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방탄강은 5~4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방탄강의 표면 경도는 460~540HB로 고경도이면서, -40℃에서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19J 이상으로 우수한 저온 인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표면 경도란 상기 방탄강의 표면을 두께 방향을 2mm 밀링 가공한 후 브리넬 경도시험기(하중 3000kgf, 10mm 텅스텐 압입구)를 사용하여 3최 측정한 것의 평균 값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탄강의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소정의 성분을 가지는 강 슬라브를 준비한다. 본 발명의 강 슬라브는 전술한 열연강판의 합금조성([관계식 1] 포함)과 대응하는 합금조성을 가지므로, 강 슬라브의 합금조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열연강판의 합금조성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간략히 설명하면, 앞서 서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준비한 다음, 상기 강 슬라브를 [가열 - 압연 - 열처리(??칭)]의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공정 조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강 슬라브 가열 공정]
먼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합금조성을 가지는 강 슬라브를 준비한 후 이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시 온도가 1050℃ 미만이면 강의 변형저항이 커져 후속 압연 공정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없으며, 반면 그 온도가 1250℃를 초과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해져 불균일한 조직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강 슬라브의 가열은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행할 수 있다.
[압연 공정]
상기에 따라 가열된 강 슬라브를 압연할 수 있으며, 이때 조압연 및 마무리 열간압연의 공정을 거쳐 열연강판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가열된 강 슬라브를 950~1150℃의 온도범위에서 조압연하여 바(bar)로 제작한 후, 이를 850~950℃의 온도범위에 마무리 열간압연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조압연시 온도가 950℃ 미만이면 압연 하중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약압하 됨에 따라 슬라브 두께 방향 중심까지 변형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게 되며, 그 결과 공극과 같은 결함이 제거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면, 그 온도가 1150℃를 초과하게 되면 재결정 입도가 지나치게 조대해져 인성에 유해할 우려가 있다.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시 온도가 850℃ 미만이면 2상역 압연이 행해져 미세조직 중 페라이트가 생성될 우려가 있으며, 반면 그 온도가 950℃를 초과하게 되면 최종 조직의 입도가 조대해져 저온인성이 열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열처리(??칭) 공정)
상술한 압연공정을 거쳐 제조된 열연강판을 상온까지 공냉한 후, 880~930℃의 온도 범위에서 재로시간 1.3t+10분(t: 판 두께(mm)) 이상으로 재가열한다.
상기 재가열은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구성된 열연강판을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역변태시키기 위한 것으로, 재가열 온도가 880℃ 미만인 경우 오스테나이트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조대한 연질 페라이트가 혼재하게 되며, 그에 따라 최종 제품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 그 온도가 930℃를 초과하는 경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해져 소입성이 커지는 효과는 있으나, 대량 생산 시 열효율 측면에서 불리한 면이 있다. 따라서, ??칭 열처리시의 재가열은 880~930℃의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가열온도의 하한은 88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9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89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재가열온도의 상한은 9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2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91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재가열시 재로시간이 1.3t+10분(t: 판 두께(mm)) 미만이면 오스테나이트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여 후속하는 급속냉각에 의한 상변태 즉,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재가열시 재로시간은 1.3t+10분(t: 판 두께(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가열시 재로시간은 1.3t+12분(t: 판 두께(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t+13분(t: 판 두께(mm))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3t+15분(t: 판 두께(mm))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가열 시 재로시간의 상한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재가열 시 재로시간이 1.3t+60분(t: 판 두께(m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해져 소입성이 커지는 효과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가열 시 재로시간은 1.3t+60분(t: 판 두께(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가열 시 재로시간은 1.3t+50분(t: 판 두께(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t+40분(t: 판 두께(mm))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3t+30분(t: 판 두께(m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재가열된 열연강판을 판 두께 중심부(예컨대 1/2t 지점, t: 판 두께(mm))를 기준으로 10℃/s 이상의 냉각속도로 150℃ 이하까지 냉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각은 수냉을 통한 급속냉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속도가 10℃/s 미만이거나 냉각종료온도가 150℃를 초과하게 되면 냉각 중 페라이트 상이 형성되거나 베이나이트 상이 과다하게 형성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은 10℃/s 이상의 냉각속도로 150℃ 이하까지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속도는 빠르면 빠를수록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미세조직 형성에 유리하지만 두께가 40mm 이상으로 두꺼워지면 두께 중심부의 실질적인 냉각속도는 물리적으로 감소할 수 밖에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각 속도의 상한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설비 한계를 고려하여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냉각종료온도는 1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5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일련의 제조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열연강판은 두께 5~40mm 가지는 강재로서, 고경도 및 고인성을 확보하여 우수한 방탄 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냉각 공정 중에 후속 템퍼링(tempering)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보다 경제적으로 방탄강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방탄강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된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합금조성을 가지는 강 슬라브를 준비한 후, 이를 하기 표 2에 나타낸 공정 조건에 따라 [가열 - 압연 - 열처리(??칭)]을 행하여 각각의 열연강판을 제조하였다. 이 때 냉각 종료온도까지 수냉한 후 상온까지 공냉을 적용하였다. 표 1에 기재되지 않은 합금조성은 불가피한 불순물 및 철(Fe)을 의미한다. 또한, 표 1에서 “-“로 표시된 부분은 해당 성분을 의도적으로 첨가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오차범위 내의 0중량%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종 합금조성(중량%) [관계식 1]
C Si Mn P* S* Ni Cr Mo V Al Ca* Ti B* N*
A 0.16 0.27 0.31 105 25 2.95 1.52 0.41 0.03 0.03 29 - - 49 0.31
B 0.3 1.16 1.13 85 21 1.28 0.51 0.32 0.04 28 0.014 20 51 0.71
C 0.25 1.25 0.65 81 23 - 0.7 - 0.04 0.03 27 - 18 50 0.00
D 0.24 1.46 1.22 82 17 2.45 0.56 0.02 - 0.03 32 - 19 55 5.96
E 0.27 1.34 1.06 79 15 2.88 0.42 - - 0.04 29 0.012 22 47 7.72
F 0.21 1.52 1.51 83 19 1.76 0.75 - 0.05 0.03 31 - 21 53 5.35
G 0.23 1.27 0.92 80 16 2.61 0.61 0.02 0.03 0.03 35 0.011 20 49 5.52
P*, S*, Ca*, B*, N*은 ppm 단위로 기재한 것을 의미함
시편
No.
강종 두께
(mm)
슬라브
가열
(℃)
압연 열처리(??칭)
조압연
(℃)
마무리
열간
압연
(℃)
재가열
온도
(℃)
재로
시간
(분)
냉각
종료온도
(℃)
냉각
속도
(℃/s)
1 A 8 1248 1080 861 909 22 56 54
2 A 10 1187 1051 899 912 31 35 42.5
3 A 20 1165 1033 938 910 40 27 34.6
4 B 15 1166 1012 916 897 33 31 38.2
5 B 20 1148 1026 922 903 45 28 36
6 B 40 1128 980 915 905 67 179 25.6
7 C 9 1219 1027 904 911 29 21 47.5
8 C 12 1164 1022 905 917 33 26 45.2
9 C 16 1126 996 919 906 36 25 35.9
10 D 6 1198 1016 902 910 23 30 51.3
11 D 15 1159 1003 925 912 37 28 38.8
12 D 40 1126 975 912 907 71 25 8.4
13 E 25 1160 990 917 909 50 157 31.1
14 E 25 1149 982 916 921 49 17 26.9
15 E 12 1144 1031 902 913 34 22 53.4
16 F 5 1237 1096 859 908 20 33 61.3
17 F 25 1123 985 926 910 45 212 34.2
18 F 40 1143 967 902 916 69 26 25.9
19 G 8 1186 1065 887 872 23 19 44.5
20 G 12 1161 1019 900 900 30 17 40.7
21 G 30 1124 970 896 907 55 20 27.4
22 G 40 1117 968 905 896 18 35 26.1
이후, 각각의 열연강판에 대해 미세조직과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각 열연강판의 미세조직은 임의의 크기로 시편을 절단하여 경면을 제작한 후 나이탈(Nital) 에칭액을 사용하여 부식시킨 다음, 광학현미경과 전자주사현미경(SEM)을 활용하여 두께 중심부인 1/2t 지점을 관찰하였다. 이때, 미세조직 분율은 전자후방산란회절(Electron Back-scattered Diffraction, EBSD)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각 열연강판의 경도 및 인성은 각각 브리넬 경도 시험기(하중 3000kgf, 10mm 텅스텐 압입구) 및 샤르피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표면 경도는 열연판의 표면을 2mm 밀링 가공한 후 3회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샤르피 충격시험은 두께 방향 1/4t 지점에서 시편을 채취한 후 -40℃에서 3회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시편
No.
강종 미세조직
(면적%)
표면경도
(HB)
충격인성
(J,@-40℃)
M F or B R-γ
1 A 100 0 0 434 68
2 A 100 0 0 426 63
3 A 98 B: 2 0 421 75
4 B 99 0 1 553 31
5 B 98 0 2 560 57
6 B 88 B: 12 0 451 82
7 C 100 0 0 511 17
8 C 100 0 0 504 15
9 C 100 0 0 509 12
10 D 98 0 2 502 55
11 D 99 0 1 507 63
12 D 93 B: 7 0 456 41
13 E 89 B: 11 0 422 79
14 E 97 0 3 527 48
15 E 96 0 4 514 52
16 F 98 0 2 477 56
17 F 91 B: 9 0 431 51
18 F 97 0 3 483 49
19 G 75 F: 25 0 375 121
20 G 96 0 4 494 66
21 G 97 0 3 499 53
22 G 34 F: 57, B: 9 0 312 140
M은 마르텐사이트, B는 베이나이트, F는 페라이트, r-γ는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의미함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금조성 및 공정조건을 충족하는 시편들은 460~540HB의 표면 경도와 19J 이상의 -40℃ 충격 흡수에너지를 만족하는 반면, 본 발명의 합금조성 또는 공정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충족하지 않는 시편들은 460~540HB의 표면 경도 또는 19J 이상의 -40℃ 충격 흡수에너지를 동시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8)

  1. 중량%로, 탄소(C): 0.19~0.28%, 실리콘(Si): 1.0~2.0%, 망간(Mn): 0.5~1.6%, 니켈(Ni): 1.3~3.0%, 크롬(Cr): 0.4~1.5%, 인(P): 0.05% 이하, 황(S): 0.02% 이하, 질소(N): 0.006% 이하, 알루미늄(Al): 0.07% 이하(0%는 제외), 몰리브덴(Mo): 0.03% 이하(0% 포함), 니오븀(Nb): 0.01% 이하(0% 포함), 보론(B): 0.0002~0.005%, 칼슘(Ca): 0.0005~0.004%,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며,
    마르텐사이트 기지조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포함된 복합조직을 미세조직으로 포함하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관계식 1]
    ([Si]/([Mo]+0.1)) * ([Ni] /5) ≥ 5
    상기 관계식 1에서 [Si], [Mo] 및 [Ni]은 상기 강판에 포함된 실리콘(Si), 몰리브덴(Mo) 및 니켈(Ni)의 함량(중량%)을 의미하며, 해당 성분이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은 경우 0을 대입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강은 중량%로, 티타늄(Ti): 0.005~0.025% 및 바나듐(V): 0.2% 이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은 0.5면적% 내지 5면적%인,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강은 표면 경도가 460~540HB 이고, -40℃에서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19J 이상인,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강은 5~40mm의 두께를 가지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6. 중량%로, 탄소(C): 0.19~0.28%, 실리콘(Si): 1.0~2.0%, 망간(Mn): 0.5~1.6%, 니켈(Ni): 1.3~3.0%, 크롬(Cr): 0.4~1.5%, 인(P): 0.05% 이하, 황(S): 0.02% 이하, 질소(N): 0.006% 이하, 알루미늄(Al): 0.07% 이하(0%는 제외), 몰리브덴(Mo): 0.03% 이하(0% 포함), 니오븀(Nb): 0.01% 이하(0% 포함), 보론(B): 0.0002~0.005%, 칼슘(Ca): 0.0005~0.004%,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강 슬라브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강 슬라브를 950~1150℃의 온도범위에서 조압연하는 단계;
    상기 조압연 후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강판을 880~930℃의 온도범위로 재가열 한 후 10℃/s 이상의 냉각속도로 150℃ 이하의 냉각종료온도까지 냉각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의 제조방법.
    [관계식 1]
    ([Si]/([Mo]+0.1)) * ([Ni] /5) ≥ 5
    상기 관계식 1에서 [Si], [Mo] 및 [Ni]은 상기 강 슬라브에 포함된 실리콘(Si), 몰리브덴(Mo) 및 니켈(Ni)의 함량(중량%)을 의미하며, 해당 성분이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은 경우 0을 대입한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 슬라브는 중량%로, 티타늄(Ti): 0.005~0.025% 및 바나듐(V): 0.2% 이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시 재로시간은 1.3t+10분(t: 판 두께(mm)) 이상인,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의 제조방법.
KR1020200179084A 2020-12-18 2020-12-18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084A KR102498142B1 (ko) 2020-12-18 2020-12-18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1/015873 WO2022131539A1 (ko) 2020-12-18 2021-11-04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EP21906844.2A EP4265789A1 (en) 2020-12-18 2021-11-04 Armored steel having high hardness and excellent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U2021402470A AU2021402470A1 (en) 2020-12-18 2021-11-04 Armored steel having high hardness and excellent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084A KR102498142B1 (ko) 2020-12-18 2020-12-18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242A KR20220088242A (ko) 2022-06-27
KR102498142B1 true KR102498142B1 (ko) 2023-02-08

Family

ID=8205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084A KR102498142B1 (ko) 2020-12-18 2020-12-18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265789A1 (ko)
KR (1) KR102498142B1 (ko)
AU (1) AU2021402470A1 (ko)
WO (1) WO202213153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783A (ja) 2000-12-27 2005-07-07 Jfe Steel Kk 耐摩耗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25130A (ja) * 2012-07-30 2014-02-06 Jfe Steel Corp 耐衝撃摩耗特性に優れた耐摩耗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6820B2 (ja) * 2010-06-30 2016-02-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接部靭性および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耐磨耗鋼板
SI2789699T1 (sl) * 2013-08-30 2017-06-30 Rautaruukki Oyj Utrjeni vroče valjani jekleni proizvod in metoda za proizvodnjo le-tega
US10422015B2 (en) * 2014-08-28 2019-09-24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excellent in stretch-flange formability, in-plane stability of stretch-flange formability, and bend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5088090A (zh) 2015-08-28 2015-11-2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抗拉强度2000MPa级的防弹钢板及其制造方法
US10787727B2 (en) * 2016-09-21 2020-09-29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KR102175570B1 (ko) * 2018-09-27 2020-11-06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783A (ja) 2000-12-27 2005-07-07 Jfe Steel Kk 耐摩耗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25130A (ja) * 2012-07-30 2014-02-06 Jfe Steel Corp 耐衝撃摩耗特性に優れた耐摩耗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539A1 (ko) 2022-06-23
AU2021402470A1 (en) 2023-07-06
KR20220088242A (ko) 2022-06-27
EP4265789A1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959B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314432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570B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031443B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142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4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1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9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7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50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58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56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55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9109A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고강도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0131A (ko) 고인성 고경도강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439628B1 (ko) 내마모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24090A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