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843B1 -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 - Google Patents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843B1
KR102497843B1 KR1020210106707A KR20210106707A KR102497843B1 KR 102497843 B1 KR102497843 B1 KR 102497843B1 KR 1020210106707 A KR1020210106707 A KR 1020210106707A KR 20210106707 A KR20210106707 A KR 20210106707A KR 102497843 B1 KR102497843 B1 KR 102497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mounting groove
cover
cover body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21010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는, 볼라드 바디의 장착홈에 마련되며 전기자동차의 소켓이 결합되는 전기차 충전 소켓; 장착홈에 마련되는 콘센트; 장착홈에 마련되는 유에스비포트; 장착홈에 마련되는 전자태그 리더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DC 또는 AC 연결부; 장착홈에 마련되는 빛 조사부; 장착홈에 마련되는 색상부; 볼라드 바디에 이동되게 마련되어 장착홈을 덮는 개폐 커버부;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는 강우 센서; 및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는 먼지 센서를 포함하고, 강우 센서에서 감지되는 비의 농도와 상기 먼제 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는 개폐 커버부를 볼라드 바디의 장착홈으로 이동시켜 장착홈을 덮고, 비의 양과 상기 먼지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되는 경우 제어부는 개폐 커버부를 이동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BOLLARD TYPE CHARGER OF E-MOBILITY}
본 발명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라드 타입으로 마련되어 전기자동차와 이모빌리티를 충전할 수 있으며 실외에 설치 시 비나 먼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속적인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해 온난화 현상, 산성비, 또는 미세먼지의 증가 등 대기오염이 지속적인 환경문제로 자리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하여 친환경적이고 고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전기자동차 또는 전동스쿠터, 세그웨이 등을 포함하는 전기구동운송수단인 e-모빌리티는 연료의 연소로 인한 배기가스의 배출이 발생하지 않아 불완전연소,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그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1인가구가 확대되면서 이동수단에 대한 이용패턴이 변화하고, 고령화 사회의 진입으로 다양한 형태의 미래형 교통수단에 대한 요구가 도심에서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시골 마을에서도 의료용 전기스쿠터 또는 전기 휠체어 등의 형태로 보급이 활성화될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할 수 있는 전기충전소는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으나, 대도시 위주로 구축되고 있으며, 전동휠체어 또는 전동스쿠터 등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많이 이용하는 형태의 e-모빌리티는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 뿐만 아니라, 현재 대부분의 전기충전소는 상용되는 일반 전력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환경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되지 못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전력을 ESS에 저장하고, 외부전력과 연계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의 e-모빌리티에 대한 충전시스템이 부재하고, 전기자동차 또는 e-모빌리티 등의 이동수단의 현재 상태에 따른 충전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볼라드(bollard)는 차량의 진입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철재나 석재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대략 원형이나 사각형의 기둥 형태로 설치된다.
종래의 볼라드는 차량진입을 방지하는 단순한 방호물 정도의 역할을 하는 것이 전부였고 별다른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볼라드는 주로 차량이 인도로 진입하는 것을 통제하기 위한 것에서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자전거 등과 사람이 접촉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원이나 바닷가, 절벽 등에 난간으로 볼라드를 설치하는 등 그 활용도가 커지고 있다.
특히 볼라드에 전기 충전 수단을 마련하여 실외에 설치할 경우 비나 먼지로 인해 고장이 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도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4214호(유지현) 2011. 10. 1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볼라드 타입으로 마련되어 전기자동차와 이모빌리티를 충전할 수 있으며 실외에 설치 시 비나 먼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볼라드 바디의 장착홈에 마련되며 전기자동차의 소켓이 결합되는 전기차 충전 소켓;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콘센트;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유에스비포트;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전자태그 리더기;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DC 또는 AC 연결부;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빛 조사부;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색상부; 상기 볼라드 바디에 이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장착홈을 덮는 개폐 커버부;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는 강우 센서; 및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는 먼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강우 센서에서 감지되는 비의 농도와 상기 먼제 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커버부를 상기 볼라드 바디의 장착홈으로 이동시켜 상기 장착홈을 덮고, 상기 비의 양과 상기 먼지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커버부를 이동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커버부는, 상기 장착홈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장착홈을 덮는 커버 바디; 상기 커버 바디가 배치된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는 랙 기어; 상기 커버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랙 기어와 기어 맞물림 되어 상기 커버 바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 바디의 최상단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커버 바디에 마련되어 빗물이나 먼지가 상기 커버 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바디에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커버 바디의 이동을 가이드 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는 스토퍼 공간홈; 상기 스토퍼 공간홈에 마련되며 일측부가 상기 커버 바디의 스토퍼 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 바디를 위치 고정시키는 스토퍼 볼; 및 상기 스토퍼 공간홈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볼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라드 바디는 일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볼라드 바디는 뒤집어진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볼라드 바디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볼라드 타입으로 마련되어 전기자동차와 이모빌리티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우천시나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경우 개폐 커버부에 의해 비와 먼지를 차단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착홈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폐 커버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볼라드 바디의 배면도로 빛 조사부에서 빛이 조사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장착홈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볼라드 바디의 배면도로 빛 조사부에서 빛이 조사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의 전자태그 리더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착홈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폐 커버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볼라드 바디의 배면도로 빛 조사부에서 빛이 조사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의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1)는, 볼라드 바디(10)와,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며 전기자동차의 소켓이 결합되는 전기차 충전 소켓(20)과,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는 콘센트(30)와,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는 유에스비포트와,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는 DC 또는 AC 연결부(50)와,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는 전자태그 리더기(60)와,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는 색상부(70)와,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는 빛 조사부(80)와, 볼라드 바디(10)에 이동되게 마련되어 볼라드 바디(10)의 장착홈(11)을 덮는 개폐 커버부(90)와,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는 강우 센서(100)와,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는 먼지 센서(110)를 구비한다.
볼라드 바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볼라드 바디(10)의 중앙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가 마련되고, 이 홈부에 빛 조사부(80)를 제외한 본 실시 예의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예의 주요 구성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부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본 실시 예의 주용 구성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볼라드 바디(10)는 금속 재질 예를 들어 비와 눈에도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볼라드 바디(10)는 나무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볼라드 바디(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1)이 마련되고, 이 장착홈(11)에 전기차 충전 소켓(20), 콘센트(30), 유에스비 포트(40), DC 또는 AC 연결부(50), 무선 충전부(6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장착홈(11)은 강우 센서(100)에서 감지되는 비의 양과 먼지 센서(110)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개폐 커버부(90)에 의해 덮혀져 비나 먼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볼라드 바디(10)에는 랜선과 연결되는 유선 또는 무선 포트가 마련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소켓(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라드 바디(10)의 홈부에 마련되며 여기에는 전기차의 충전 소켓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전기차의 진입 후 충전 소켓을 전기차와 전기차 충전 소켓(20)에 연결한 후 사용자가 결제와 인계된 회원카드를 전자태그 리더기(60)에 접근시키면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된 전자태그 리더기(60)가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에서는 이 신호를 기초로 전기차의 충전을 진행하고, 충전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충전 소켓을 전기차로부터 분리하면 전기차로의 전기 공급이 중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볼라드 바디(10)에는 알람부가 마련되어 충전 요금을 사용자에게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콘센트(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소켓(20)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볼라드 바디(10)의 홈부에 마련되어 이모빌리티의 충전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모빌리티는 전력기반 이동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개인 단거리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 예를 들어 전동킥, 전기 자동차, 전기 오토바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에스비 포트(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소켓(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볼라드 바디(10)의 홈부에 마련되어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DC 또는 AC 연결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에스비 포트(40)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볼라드 바디(10)의 홈부에 마련되어 전원 포트로 사용될 수 있다.
전자태그 리더기(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소켓(20)과 콘센트(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볼라드 바디(10)의 홈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전자 태그를 근접(도 7 참고)시키면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전자태그 리더기(60)는 RFID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는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일명 전자태그로 불린다. RFID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하며,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통신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충전건과 사용자의 차량에 RFID 기능이 있는 충전량에 대응된 금액이 결제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는 RFID 외에 다른 공지된 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색상부(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태그 리더기(6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어 본 실시 예에 근접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본 실시 예가 설치된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색상부(70)는 복수의 색깔을 갖는 띠를 볼라드 바디(10)에 부착시키거나 볼라드 바디(10)에 복수의 색상을 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빛 조사부(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라드 바디(10)의 배면부에 마련되어 야간이나 흐린 날씨 등에 지면이나 바닥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빛 조사부(80)는 볼라드 바디(10)에 함몰되게 마련되는 레이저 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커버부(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1)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비의 양이나 먼지의 농도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장착홈(11)을 덮어 장착홈(11)에 마련된 구성을 비나 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개폐 커버부(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1)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착홈(11)을 덮는 커버 바디(91)와, 커버 바디(91)가 배치된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는 랙 기어(92)와, 커버 바디(91)에 마련되며 랙 기어(92)와 기어 맞물림 되어 커버 바디(9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93)와,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어 커버 바디(91)의 최상단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94)와, 커버 바디(91)에 마련되어 빗물이나 먼지가 커버 바디(9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차단 부재(95)를 포함한다.
개폐 커버부(90)의 커버 바디(9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91a)가 마련되고, 가이드 돌기(91a)는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2)에 지지되어 커버 바디(91)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 바디(91)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토퍼 홈(91b)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스토퍼 홈(91b) 중 선택된 스토퍼 홈(91b)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94)의 스토퍼 볼(94b)이 삽입되어 커버 바디(91)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개폐 커버부(90)의 랙 기어(9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의 커버 바디(91)가 배치된 영역의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며 구동부(93)의 구동 기어(93b)와 기어 맞물림될 수 있다.
개폐 커버부(90)의 구동부(93)는, 커버 바디(91)를 볼라드 바디(10)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91)의 내벽에 마련되어 커버 바디(91)와 같이 이동되는 구동 모터(93a)와, 구동 모터(93a)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랙 기어(92)와 기어 맞물림되는 구동 기어(93b)를 포함한다.
개폐 커버부(90)의 스토퍼부(9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91)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스토퍼 공간홈(94a)과, 스토퍼 공간홈(94a)에 마련되며 일측부가 커버 바디(91)의 스토퍼 홈(91b)에 삽입되어 커버 바디(91)를 위치 고정시키는 스토퍼 볼(94b)과, 스토퍼 공간홈(94a)에 마련되어 스토퍼 볼(94b)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94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볼(94b)은 스토퍼 공간홈(94a)에 일측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스프링 부재(94c)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커버 바디(91)의 스토퍼 홈(91b)에 삽입되어 커버 바디(91)를 스토핑시킬 수 있다.
개폐 커버부(90)의 차단 부재(9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91)에 마련되어 비나 먼지가 커버 바디(9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단 부재(95)는 브러쉬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고, 커버 바디(9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차단 부재(95)는 투명하며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강우 센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어 비의 양을 감지할 수 있고, 강우 센서(10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먼지 센서(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라드 바디(10)에 마련되어 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고, 먼지 센서(11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빛 조사부에서 야간에 빛이 조사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전자태그 리더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1a)는,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볼라드 바디(10a)를 일작형 막대 형상이 아닌 뒤집어진 U자 형상으로 마련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개폐 커버부(90)는, 도 6에 도시된 볼라드 바디(10a)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 :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
10 : 볼라드 바디
20 : 전기차 충전 소켓
30 : 콘센트
40 : 유에스비 포트
50 : DC 또는 AC 연결부
60 : 무선 충전부
70 : 색상부
80 : 빛 조사부
90 : 개폐 커버부
100 : 강우 센서
110 : 먼지 센서

Claims (5)

  1. 볼라드 바디의 장착홈에 마련되며 전기자동차의 소켓이 결합되는 전기차 충전 소켓;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콘센트;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유에스비포트;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전자태그 리더기;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DC 또는 AC 연결부;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빛 조사부;
    상기 장착홈에 마련되는 색상부;
    상기 볼라드 바디에 이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장착홈을 덮는 개폐 커버부;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는 강우 센서; 및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는 먼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강우 센서에서 감지되는 비의 농도와 상기 먼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먼지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커버부를 상기 볼라드 바디의 장착홈으로 이동시켜 상기 장착홈을 덮고, 상기 비의 양과 상기 먼지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커버부를 이동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개폐 커버부는, 상기 장착홈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장착홈을 덮는 커버 바디; 상기 커버 바디가 배치된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는 랙 기어; 상기 커버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랙 기어와 기어 맞물림 되어 상기 커버 바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 바디의 최상단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커버 바디에 마련되어 빗물이나 먼지가 상기 커버 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바디에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커버 바디의 이동을 가이드 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볼라드 바디에 마련되는 스토퍼 공간홈; 상기 스토퍼 공간홈에 마련되며 일측부가 상기 커버 바디의 스토퍼 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 바디를 위치 고정시키는 스토퍼 볼; 및 상기 스토퍼 공간홈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볼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바디는 일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을 갖는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바디는 뒤집어진 U자 형상을 갖는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바디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
KR1020210106707A 2021-08-12 2021-08-12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 KR10249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707A KR102497843B1 (ko) 2021-08-12 2021-08-12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707A KR102497843B1 (ko) 2021-08-12 2021-08-12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843B1 true KR102497843B1 (ko) 2023-02-09

Family

ID=8522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707A KR102497843B1 (ko) 2021-08-12 2021-08-12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23134A (zh) * 2023-09-18 2023-10-24 贵阳中安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汽车充电线的定位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214B1 (ko) 2009-04-06 2011-10-14 유지현 볼라드
US20130320921A1 (en) * 2012-05-31 2013-12-05 Service Solutions U.S. Llc Arrangement and process for housing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KR101885535B1 (ko) * 2018-01-16 2018-09-06 주식회사 이린 고압용 배전선로 전원공급장치
KR20200091082A (ko) * 2019-01-22 2020-07-30 에스트래픽 (주) 전기차 충전, 환경 데이터 수집, 감시 카메라, 및 WiFi의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IoT 가로등
KR102227584B1 (ko) * 2020-03-03 2021-03-12 심동순 조명 안전 볼라드
KR20210075340A (ko) * 2019-12-13 2021-06-23 주식회사 지오라인 서버 모니터링 및 제어를 통한 동일형태 접속부를 가진 고배속 충전시스템
KR102279220B1 (ko) * 2021-03-26 2021-07-19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충돌 방지기능을 가지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214B1 (ko) 2009-04-06 2011-10-14 유지현 볼라드
US20130320921A1 (en) * 2012-05-31 2013-12-05 Service Solutions U.S. Llc Arrangement and process for housing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KR101885535B1 (ko) * 2018-01-16 2018-09-06 주식회사 이린 고압용 배전선로 전원공급장치
KR20200091082A (ko) * 2019-01-22 2020-07-30 에스트래픽 (주) 전기차 충전, 환경 데이터 수집, 감시 카메라, 및 WiFi의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IoT 가로등
KR20210075340A (ko) * 2019-12-13 2021-06-23 주식회사 지오라인 서버 모니터링 및 제어를 통한 동일형태 접속부를 가진 고배속 충전시스템
KR102227584B1 (ko) * 2020-03-03 2021-03-12 심동순 조명 안전 볼라드
KR102279220B1 (ko) * 2021-03-26 2021-07-19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충돌 방지기능을 가지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23134A (zh) * 2023-09-18 2023-10-24 贵阳中安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汽车充电线的定位装置
CN116923134B (zh) * 2023-09-18 2023-11-17 贵阳中安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汽车充电线的定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75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battery exchange in electric vehicles
KR101231896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US11305663B2 (en) Energy efficient hands-free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autonomous vehicles in uncontrolled environments
CA2609641C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 vehicle using radio frequency generators
KR102497843B1 (ko) 볼라드 일체형 이모빌리티 충전기
US20110291615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s
US83843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within a vehicle
CN106023457A (zh) 无桩位停车管理系统与方法
CN105539171B (zh) 一种新能源汽车节能充电装置
CN104972917A (zh) 一种多功能智能型电动汽车
KR20100067957A (ko) 풍력발전을 이용한 안전운전 장치 및 방법
CN212252371U (zh) 一种多功能市政建设用紫外线转化路灯
CN203359305U (zh) 一种太阳能环保便民指路垃圾桶
KR20230000114A (ko) 볼라드 일체형 다목적 전기자동차 및 이모빌리티 충전기
KR102274987B1 (ko) 고가식 충전차용 전용도로 시스템
CN209111955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新能源汽车用共享充电装置
CN206902594U (zh) 一种便携式太阳能交通诱导标
CN102296848B (zh) 一种改进型双层停车库
CN203151188U (zh) 一种电动汽车自动充电计费装置
CN220079840U (zh) 一种智慧交通降温防护栏
CN208914997U (zh) 一种市政道路辅助新能源车辆无线动态充电系统
CN205345132U (zh) 无桩位停车管理系统
KR102271038B1 (ko) 차량 진출입 감지에 기초한 충전장치의 디스플레이부 자동 온오프 시스템
CN208915955U (zh) 垃圾桶归纳装置
CN202090638U (zh) 一种改进型双层停车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