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260B1 -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260B1
KR102497260B1 KR1020200115503A KR20200115503A KR102497260B1 KR 102497260 B1 KR102497260 B1 KR 102497260B1 KR 1020200115503 A KR1020200115503 A KR 1020200115503A KR 20200115503 A KR20200115503 A KR 20200115503A KR 102497260 B1 KR102497260 B1 KR 102497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torage container
refrigerant
accommodating space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3290A (ko
Inventor
오경진
Original Assignee
오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진 filed Critical 오경진
Priority to KR1020200115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2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61J1/165Cooled holders, e.g. for medications, insulin, blood,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1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통 형태를 가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 1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의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냉매를 수용하는 제 2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와의 열 교환을 통해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를 보온하거나 보냉하는 구조를 가지는 냉매보관용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VESSEL FOR STORING PROTEIN DRUG}
본 발명은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백질 의약품을 적정 온도로 보관할 수 있게 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의약품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보편화로 호르몬, 항체, 백신 따위를 미생물 또는 동물 세포에서 대량 생산하여 개발한 의약용 단백질 제품을 의미한다.
단백질 의약품의 대표적인 예가 인슐린이다. 인슐린을 체내에 투약하는 방법으로는 인슐린 카트리지가 장착된 인슐린펜(인슐린 주입기의 일종으로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의 일종이라 할 수 있음)에 펜니들을 장착한 후 펜니들을 환자의 피부 속으로 찔러 인슐린을 투여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단백질 의약품의 적정 보관 온도는 2℃ 이상 8℃ 이하인데, 환자의 잘못된 보관 습관으로 인해 적정 보관 온도 범위를 벗어나 단백질 의약품을 보관함에 따라 단백질 의약품을 투여하거나 복용할 때 흡수 저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인슐린 투여가 필요한 당뇨 환자의 경우, 유럽 당뇨병 학회(EASD)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79%의 중증 당뇨 환자가 인슐린을 잘못 보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온 투여에 따른 통증 증대, 인슐린의 점성 증가로 인한 흡수율 저해, 인슐린의 변질에 따른 부작용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백질 의약품을 보관하기 위한 많은 종류의 보관용기가 제시되고 있으나, 컴팩트한 구조로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예: 인슐린 카트리지가 장착된 인슐린펜) 및 관련 의약용품(예: 펜니들, 알코올 솜 등)을 한번에 보관하게 하면서 동시에 장시간 단백질 의약품(예: 인슐린)의 적정 보관 온도를 제공하는 보관용기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106호(2010.03.09. 등록)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예: 인슐린 카트리지가 장착된 인슐린펜) 및 관련 의약용품(예: 펜니들, 알코올 솜 등)을 한번에 보관하게 하는 컴팩트한 구조를 제시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단백질 의약품(예: 인슐린)의 적정 보관 온도를 제공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목적은 단백질 의약품(예: 인슐린)의 휴대성을 향상시켜 해당 단백질 의약품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1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통 형태를 가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 1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의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냉매를 수용하는 제 2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와의 열 교환을 통해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를 보온하거나 보냉하는 구조를 가지는 냉매보관용기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몸통부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태를 가지고 상기 몸통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외벽; 상부가 개구된 통 형태를 가지고 상기 외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벽의 내측에 개재되는 내벽; 및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제 1 진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의 상부을 연결하는 천정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몸통부는, 상기 외벽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단열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뚜껑부는, 상면에 복수개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몸통부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몸체의 하면 전체를 감싸고 상기 몸체가 상기 몸통부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될 때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벽과 접촉되면서 상기 몸통부에 대해 상기 뚜껑부를 고정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하면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뚜껑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몸통부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될 때 상기 하면마감재가 상기 천정벽의 상면과 상기 내벽의 내벽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기 하부가 상기 몸체의 상부보다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삽입 설치되는 냉매보관용기부의 상면에 접촉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몸체의 하측 중심부가 내측으로 함입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면마감재는, 상기 몸체의 하면 전체에 걸쳐 부착 결합되는 제 1 마감벽; 상기 제 1 마감벽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마감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마감벽의 하측에 개재되는 제 2 마감벽; 및 상기 제 1 마감벽과 상기 제 2 마감벽 사이에 제 2 진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마감벽과 상기 제 2 마감벽의 측부를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매보관용기부는, 상기 내벽의 내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통 형태를 가지고, 측면 둘레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되는 보관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관몸통; 및 상기 보관몸통의 상기 제 2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보관몸통은, 그 하면이 단차지게 구성되어 높은 위치의 하면에 상기 마개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보관몸통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낮은 위치의 하면과 함께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벽의 바닥면에 면 접촉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통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면마감재는, 상기 몸통부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냉매보관용기부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매보관용기부에 수용되는 상기 냉매는, 어는 점이 4℃ 이상 6℃ 이하인 성질을 가지는 PCM(Phase Change Material) 냉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예: 인슐린 카트리지가 장착된 인슐린펜) 및 관련 의약용품(예: 펜니들, 알코올 솜 등)을 한번에 보관하게 하는 컴팩트한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는 장시간 단백질 의약품(예: 인슐린)의 적정 보관 온도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는 단백질 의약품(예: 인슐린)의 휴대성을 향상시켜 해당 단백질 의약품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의 조립된 상태를 표현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의 분해된 상태와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를 함께 표현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뚜껑부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와 의약용품을 함께 표현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커버부재가 더 포함되고 다른 형태의 하면마감재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의 조립된 상태를 표현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의 분해된 상태와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를 함께 표현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뚜껑부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와 의약용품을 함께 표현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커버부재가 더 포함되고 다른 형태의 하면마감재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100)는, 몸통부(110), 뚜껑부(120), 및 냉매보관용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통부(110)는, 상부에 개구부(110a)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1 수용공간(110b)이 형성되는 통 형태를 가지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몸통부(110)는, 외벽(111), 내벽(112), 및 천정벽(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111)은, 상부가 개구된 통 형태를 가지고, 상기 몸통부(1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내벽(112)은, 상부가 개구된 통 형태를 가지고, 상기 외벽(111)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벽(111)의 내측에 개재되는 구성이다.
상기 천정벽(113)은, 상기 외벽(111)과 상기 내벽(112)의 사이에 제 1 진공부(110c)를 형성하며 상기 외벽(111)과 상기 내벽(112)의 상부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상기 제 1 진공부(110c)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몸통부(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통부(110)는 보온 기능 또는 보냉 기능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외벽(111), 상기 내벽(112), 및 상기 천정벽(113)은, 금속 재질(예: 스테인리스 재질)을 가공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몸통부(110)는, 상기 외벽(111)의 외면(111a)을 적어도 일부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단열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커버(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114)는,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를 보온하거나 보냉하는 역할을 보조한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114)는, 코르크 재질 또는 탄화코르크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체적으로 미려한 외관 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그 외면(114a)에 레이저 식각을 통해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시각적인 심미성 형성에 기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20)는,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개구부(110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뚜껑부(120)는, 몸체(121), 덮개(122), 및 하면마감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21)는, 상면(121a)에 복수개의 수납홈(121a-1)이 형성되고, 하부(121-2)가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개구부(110a)에 삽입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구성이다.
상기 몸체(121)의 상기 복수개의 수납홈(121a-1)은, 후술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100)의 사용과 관련된 제 1 의약용품(2) 및 제 2 의약용품(3)을 구분해서 수납할 수 있도록 상호 구획된 제 1 수납홈(121a-1a) 및 제 2 수납홈(121a-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의약용품(2)은 펜니들이고, 상기 제 2 의약용품(3)은 알코올 솜일 수 있다.
상기 덮개(122)는, 상기 몸체(121)의 상기 상면(121a)을 개폐하는 구성이다.
상기 덮개(122)는, 상기 몸체(121)의 일측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덮개(122)는, 그 하면(122a)에 상기 몸체(121)의 상기 복수개의 수납홈(121a-1)에 수납되는 상기 제 1 의약용품(2)과 상기 제 2 의약용품(3)을 안정적으로 고정 가압하기 위한 탄성체(예;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쿠션부재(122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면마감재(123)는, 상기 몸체(121)의 하면(121b) 전체를 감싸고, 상기 몸체(121)가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개구부(110a)에 삽입될 때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내벽(112)과 접촉되면서 상기 몸통부(110)에 대해 상기 뚜껑부(120)를 고정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121)의 상기 하면(121b) 전체'는 상기 하면(121b)이 함입 또는/및 단차진 구조로 형성된 경우 함입 또는/및 단차진 구조의 측면부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보다 효과적인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로써, 하면마감재(121')는, 상기 몸체(121)의 하면(121a) 전체에 걸쳐 부착 결합되는 제 1 마감벽(121'-1)과, 상기 제 1 마감벽(121'-1)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마감벽(121'-1)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마감벽(121'-1)의 하측에 개재되는 제 2 마감벽(121'-2), 및 상기 제 1 마감벽(121'-1)과 상기 제 2 마감벽(121'-2) 사이에 제 2 진공부(121'a)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마감벽(121'-1)과 상기 제 2 마감벽(121'-2)의 측부를 연결하는 측벽(12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진공부(121'a)는 상기 몸체(121) 측에서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진공부(121'a)는 전술한 상기 제 1 진공부(110c)와 함께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로 전달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상기 뚜껑부(120)는, 상기 몸체(121)가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개구부(110a)에 삽입될 때 상기 하면마감재(123)가 상기 천정벽(113)의 상면(113a)과 상기 내벽(112)의 내벽면(112a)에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121)의 상기 하부(121-2)가 상기 몸체(121)의 상부(121-1)보다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의 상면(131b)에 접촉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면마감재(123)가 상기 천정벽(113)의 상기 상면(113a)과 상기 내벽(112)의 상기 내벽면(112a)에 접촉되는 구조는 상기 몸통부(110)와 상기 뚜껑부(120)의 결합 틈새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보온 또는 보냉 효과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몸체(121)의 상기 하부(121-2)가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의 상기 상면(131b)에 접촉되는 구조는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보관되게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뚜껑부(120)는, 상기 몸체(121)의 하측 중심부가 내측으로 함입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1)의 길이가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보다 긴 경우 이를 수용하거나,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가 후술하는 손잡이부(133)를 구비할 때 상기 손잡이부(13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뚜껑부(120)는, 수지 재질 및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110) 및 상기 덮개(120)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면마감재(123)는, 보온 기능 또는 보냉 기능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는,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냉매(미도시)를 수용하는 제 2 수용공간(130a)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미도시)와의 열 교환을 통해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에 보관되는 상기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1)를 보온하거나 보냉하는 구조를 가지는 구성이다.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는, 보관몸통(131) 및 마개(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관몸통(131)은, 상기 내벽(112)의 상기 내벽면(112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통 형태를 가지고, 측면 둘레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되는 보관홈(13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가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에 삽입 설치된 경우, 상기 보관몸통(131)의 상기 보관홈(131a)은 상기 내벽(112)의 상기 내벽면(112a)에 막혀 상기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1)가 수용되는 보관부재수용공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1)는 이러한 보관부재수용공간에 수용되어 보관된다. 여기서, 상기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1)는 인슐린 카트리지가 장착된 인슐린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개(132)는, 상기 보관몸통(131)의 상기 제 2 수용공간(130a)을 개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상기 보관몸통(131)은, 그 하면(131c)이 단차지게 구성되어 높은 위치의 하면(131c-2)에 상기 마개(132)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132)는, 상기 보관몸통(131)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낮은 위치의 하면(131c-1)과 함께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내벽(112)의 바닥면(112b)에 면 접촉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는, 상기 보관몸통(131)의 상기 상면(131b)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부(1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를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에 넣거나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에서 꺼낼 때 파지 용이성을 확보하게 한다.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매보관용기부(130)에 수용되는 상기 냉매(미도시)는, 어는 점(녹는 점)이 4℃ 이상 6℃ 이하인 성질을 가지는 PCM(Phase Change Material) 냉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냉매(미도시)는, 여름철에는 얼려서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액체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여름철에는 완전히 녹을 때까지 온도 변화없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을 보냉하고, 겨울철에는 완전히 얼을 때까지 온도 변화없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상기 몸통부(110)의 상기 제 1 수용공간(110b)을 보온한다. 이를 통해, 상기 냉매(미도시)는, 상기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1)(예: 인슐린 카트리지가 장착된 인슐린펜)에 포함되는 단백질 의약품(예: 인슐린)을 2℃ 이상 8℃ 이하의 적정 온도로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예: 인슐린 카트리지가 장착된 인슐린펜) 및 관련 의약용품(예: 펜니들, 알코올 솜 등)을 한번에 보관하게 하는 컴팩트한 구조를 제시하고, 장시간 단백질 의약품(예: 인슐린)의 적정 보관 온도를 제공하며, 단백질 의약품(예: 인슐린)의 휴대성을 향상시켜 해당 단백질 의약품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의약품 보관 및 관리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 2: 의약용품 1
3: 의약용품 2
100: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110: 몸통부 110a: 개구부
110b: 제 1 수용공간 110c: 제 1 진공부
111: 외벽 111a: 외면
112: 내벽 112a: 내벽면
112b: 바닥면 113: 천정벽
113a: 상면 114: 보호커버
114a: 외면
120: 뚜껑부 121: 몸체
121a: 상면 121b: 하면
121a-1: 수납홈 121a-1a: 제 1 수납홈
121a-1b: 제 2 수납홈 121-1: 상부
121-2: 하부 122: 덮개
122a: 하면 122b: 쿠션부재
123, 123': 하면마감재 123'a: 제 2 진공부
123'-1: 제 1 마감벽 123'-2: 제 2 마감벽
123'-3: 측벽
130: 냉매보관용기부 130a: 제 2 수용공간
131: 보관몸통 131a: 보관홈
131b: 상면 131c: 하면
131c-1: 낮은 위치의 하면 131c-2: 높은 위치의 하면
132: 마개 133: 손잡이부

Claims (10)

  1.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1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통 형태를 가지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 1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의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냉매를 수용하는 제 2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와의 열 교환을 통해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부재를 보온하거나 보냉하는 구조를 가지는 냉매보관용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태를 가지고, 상기 몸통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외벽;
    상부가 개구된 통 형태를 가지고, 상기 외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외벽의 내측에 개재되는 내벽; 및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제 1 진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의 상부을 연결하는 천정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외벽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단열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면에 복수개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몸통부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몸체의 하면 전체를 감싸고, 상기 몸체가 상기 몸통부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될 때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벽과 접촉되면서 상기 몸통부에 대해 상기 뚜껑부를 고정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하면마감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몸통부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될 때 상기 하면마감재가 상기 천정벽의 상면과 상기 내벽의 내벽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기 하부가 상기 몸체의 상부보다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 1 수용공간에 삽입 설치되는 냉매보관용기부의 상면에 접촉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몸체의 하측 중심부가 내측으로 함입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마감재는,
    상기 몸체의 하면 전체에 걸쳐 부착 결합되는 제 1 마감벽;
    상기 제 1 마감벽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마감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마감벽의 하측에 개재되는 제 2 마감벽; 및
    상기 제 1 마감벽과 상기 제 2 마감벽 사이에 제 2 진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마감벽과 상기 제 2 마감벽의 측부를 연결하는 측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보관용기부는,
    상기 내벽의 내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통 형태를 가지고, 측면 둘레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되는 보관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관몸통; 및
    상기 보관몸통의 상기 제 2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마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몸통은, 그 하면이 단차지게 구성되어 높은 위치의 하면에 상기 마개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보관몸통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낮은 위치의 하면과 함께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벽의 바닥면에 면 접촉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 용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및 상기 덮개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면마감재는, 상기 몸통부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냉매보관용기부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매보관용기부에 수용되는 상기 냉매는, 어는 점이 4℃ 이상 6℃ 이하인 성질을 가지는 PCM(Phase Change Material) 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KR1020200115503A 2020-09-09 2020-09-09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KR102497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03A KR102497260B1 (ko) 2020-09-09 2020-09-09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03A KR102497260B1 (ko) 2020-09-09 2020-09-09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290A KR20220033290A (ko) 2022-03-16
KR102497260B1 true KR102497260B1 (ko) 2023-02-06

Family

ID=8093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503A KR102497260B1 (ko) 2020-09-09 2020-09-09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2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34Y1 (ko) 2015-11-24 2016-04-05 유동희 약 보관통이 내장된 물병
US20160228328A1 (en) 2013-05-16 2016-08-11 Sandy Wengreen Storage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ines
KR101750975B1 (ko) 2017-02-17 2017-06-27 김지일 알약 보관함이 구비된 물통
US20180036202A1 (en) * 2013-05-16 2018-02-08 Sandy Wengreen Storage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in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1177U (ko) * 1985-03-12 1986-09-18
KR19980063128U (ko) * 1997-04-08 1998-11-16 정재구 냉장기능을 갖는 식품수납용기
KR200448106Y1 (ko) 2008-05-14 2010-03-15 장병성 인슐린 보관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8328A1 (en) 2013-05-16 2016-08-11 Sandy Wengreen Storage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ines
US20180036202A1 (en) * 2013-05-16 2018-02-08 Sandy Wengreen Storage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ines
KR200480034Y1 (ko) 2015-11-24 2016-04-05 유동희 약 보관통이 내장된 물병
KR101750975B1 (ko) 2017-02-17 2017-06-27 김지일 알약 보관함이 구비된 물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290A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3501B2 (ja) デバイス容器
US10322866B2 (en) Thermally insulated livestock medication container
US10745188B2 (en) Outer cover of a pen needle for a drug delivery pen
US4767008A (en) Injection monitor appliance
US10202222B2 (en) Shipping container integrating a sharps disposal container with a new product storage container
US20150014210A1 (en) Medicine storage arrangements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US6685017B2 (en)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and dispensing of unused syringes and for storage of used syringes
US9016472B2 (en) Two-part hinged needle magazine
EP0397607B1 (en) Insulated and refrigerated container for transporting medicine vials together with related material
GB2481066A (en) Portable case for infusion
US10807786B2 (en) Thermally insulated livestock medication container
KR102497260B1 (ko)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US5078267A (en) Portable case for carrying a syringe with varying plunger positions
JP2018015451A (ja) 携帯用インスリンケース
CN211272363U (zh) 一种糖尿病便携药盒
JP3149697U (ja) 注射器
CN212679782U (zh) 一种糖尿病患者治疗用自助式注射装置
CN215504780U (zh) 一种胰岛素笔存放盒
KR200419758Y1 (ko) 휴대용 의약품 저장장치
WO2019161900A1 (en) Storage container for electronic injection device
CN209019452U (zh) 一种糖尿病便携式药盒
CN209932993U (zh) 一种麻醉科用麻醉药盘
KR102614064B1 (ko) 노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 홀더 및 이의 사용방법
CA2988719C (en) Thermally insulated livestock medication container
CN215134608U (zh) 一种糖尿病患者用便携式药物存放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