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236B1 -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 - Google Patents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236B1
KR102497236B1 KR1020160048489A KR20160048489A KR102497236B1 KR 102497236 B1 KR102497236 B1 KR 102497236B1 KR 1020160048489 A KR1020160048489 A KR 1020160048489A KR 20160048489 A KR20160048489 A KR 20160048489A KR 102497236 B1 KR102497236 B1 KR 102497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ing
shaft
transmission
drive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263A (ko
Inventor
김정문
Original Assignee
케이씨모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모터(주) filed Critical 케이씨모터(주)
Priority to KR1020160048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23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8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with provision for reversing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01/2881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two axially spaced central gears, i.e. ring or sun gear, engaged by at least one common orbital gear wherein one of the central gears is forming the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Vessel propulsion device having Turn the deceleration to have an antiwar drive}
본 발명은 두 축의 반전 회전을 위한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동심축을 이루는 두 개의 축을 단순하고 간단한 기어 조합을 통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감소기를 더 구비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각각의 축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반전구동기구는 구동원에 의해 주동축이 회전할 때 그 주동축과 동심축을 이루는 종동축이 주동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메카니즘으로서, 근래에 쿨링 팬, 환풍기, 송풍기, 선박 또는 항공기 제조업 등의 분야에서 그 사용이 시도되고 있다.
일예로, CRP(Counter/Contra Rotating Propeller)로 칭해지는 선박추진장치는 회전방향이 반대인 두 개의 프로펠러를 동심축선 상에 구비한다. 위와 같은 선박추진장치는 전방 프로펠러와 후방 프로펠러의 유체역학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프로펠러를 거쳐 바다에 버려지는 물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회수함으로써 선박의 추진효율을 높여질 수 있다.
기존의 CRP 선박추진장치는 두 개의 축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서 하나의 이중축을 형성하되, 두 개의 모터가 이중축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에 연결된 두 개의 프로펠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CRP 선박추진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두 개의 모터의 설치에 따른 비용손실 및 설치용적의 증가가 문제되어 왔다.
이에 대해, 종래에는 베벨기어의 응용을 통해 두 개의 축을 상반 회전시키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미국특허 제589093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장치는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두 축에 베벨치형을 형성하고 그 베벨치형에 기어 맞물림되는 베벨기어가 두 축을 상반 회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중요 구성요소를 이루는 각 부품의 제조비용이 크며, 상반 회전되는 두 축의 설계에 많은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동심축을 이루는 두 개의 축을 단순하고 간단한 기어 조합을 통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감소기를 더 구비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각각의 축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서로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각각 구비되고, 주동축과 종동축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축반전구동기구, 상기 동축반전구동기구의 상기 주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는 상기 동축반전구동기구의 하부에 위치하며 모터(M)축에 연결되어 동축반전구동기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에 있어서, 동축반전구동기구는 동축상에 배치되어 반전 회전하는 주동축 및 종동축과, 상기 주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주동부재와, 상기 주동부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대칭 배치되어 상기 주동부재의 회전을 전달받는 복수의 전동부재와, 상기 복수의 전동부재 사이에서 상기 종동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대칭 배치되어 상기 전동부재의 회전을 반전시키는 복수의 반전부재와, 상기 복수의 반전부재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반전부재의 회전을 전달받고, 상기 종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부재와, 상기 주동부재, 상기 복수의 전동부재, 상기 복수의 반전부재 및 상기 종동부재의 외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동축, 상기 복수의 전동부재, 상기 복수의 반전부재 및 상기 종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동부재 각각은, 그 양측 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동축과, 상기 전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부재의 회전을 전달받는 제1전동부재와; 상기 제1전동부재에 인접되게 상기 전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동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전부재 각각은, 그 양측 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반전축과, 상기 제2전동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반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전동부재의 회전을 반전시키는 제1반전부재와, 상기 제1반전부재에 인접되게 상기 반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반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반전부재를 포함하고, 감속기는 일단과 타단에 입력축과 출력축이 각각 삽입 고정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케이스 내부에 다수 적층되고, 적층된 갯수에 따라 감속비를 결정하는 재1,2단위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동축반전구동기구는 주동부재, 전동부재, 반전부재, 종동부재의 간단한 기어 조합을 통해 주동축과 종동축의 반대방향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주동부재, 전동부재, 반전부재, 종동부재가 모두 제1 및 제2패널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회전축의 길이 축소가 가능하고, 콤팩트한 구조의 동축반전구동기구의 구현을 가능케 한다.
또한, 회전축에 가해지는 비틀림 모멘트 또는 굽힘 모멘트를 저감하여 내구성이 있는 동축반전구동기구의 구현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의 평면도로서, 주동부재와 전동부재의 연결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서, 보조플랜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의 단면도로서, 주동축과 종동축이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됨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의 평면도로서, 주동부재와 전동부재의 연결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서, 보조플랜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의 단면도로서, 주동축과 종동축이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됨을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능을 갖는 회전반동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는 동축반전구동기구(100)를 구비한다.
동축반전구동기구(100)는 주동축(112)과 종동축(114)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축반전구동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주동축(112)과 종동축(114)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마주보는 제1,2패널(120,122)과, 상기 제1,2패널(120,122)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주동축(112)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는 주동부재(130)와, 상기 주동부재(130)와 연결되어 상기 주동부재(130)의 회전을 전달하는 전동부재(140)와, 상기 전동부재(140)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부재(140)의 회전을 반전시키는 반전부재(150)와, 상기 반전부재(150)와 연결되어 상기 반전부재(150)의 회전을 전달하고, 상기 종동축(114)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는 종동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축반전구동기구(100)와; 동축반전구동기구(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감속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동축반전구동기구(100)의 주동축(112)와 종동축(114)는 서로 동심축선을 가지면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이를 위해 종동축(114)은 주동축(112)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공형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패널(120,122)은 원형 형상이며, 상기 제1,2패널(120,122)의 내부에는 각각 상기 주동축(112), 종동축(114)이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홀(124)과 이하 설명되는 전동부재(140)의 전동축(142)과 반전부재(150)의 반전축(152)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축홀(126)이 형성된다.
상기 주동부재(130), 전동부재(140), 반전부재(150), 종동부재(160)는 기어 또는 일반적인 마찰롤러나 그 외 다양한 동력전달요소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어일 경우 평기어, 헬리컬기어, 더블헬리컬기어 등 다양한 기어가 적용 가능하며, 기어비도 1:1 또는 1:다수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 상기 주동부재(130), 전동부재(140), 반전부재(150), 종동부재(160)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전동부재(140)와 반전부재(150)은 각각 3개로 구성되어 주동축(112) 및 반전축(114)을 중심으로 각각 방사상 대칭 배열되며, 상기 주동부재(130), 전동부재(140), 반전부재(150), 종동부재(160)는 상기 제1,2패널(120,122)의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일부 기어 맞물림되어 구비된다.
주동부재(130), 전동부재(140), 반전부재(150), 종동부재(160)는 서로 평행한 회전축들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전동부재(140)와 반전부재(150)의 동일 개수이며 각각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동부재(140)와 반전부재(150)는 동일한 구성을 갖고 방향만 반대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동부재(130)와 전동부재(140)의 연결부위와 상기 종동부재(160)와 반전부재(150)의 연결부위에는 전동부재(140)와 반전부재(150)가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170)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170)는 상기 주동부재(130)와 종동부재(160)의 둘레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172)와, 상기 플랜지(172)가 삽입되도록 상기 전동부재(140)와 반전부재(150)의 둘레에 동방지홈(174)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플랜지(172)는 주동부재(130)의 상하단부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종동부재(160)의 상하단부 둘레에 2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72)는 상기 주동부재(130)의 하단부 둘레와 상기 종동부재(160)의 상단부 둘레에만 형성되어 상기 전동부재(140), 반전부재(150)의 유동방지홈에 끼워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72)의 높이는 상기 주동부재(130)와 종동부재(160)의 둘레에 형성된 기어치와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주동부재(130)와 종동부재(160)의 기어치보다 높이가 높거나 낮을 수도 있다.
상기 전동부재(140)의 하부, 상기 반전부재(150)의 상부에는 각각 돌출된 간격유지돌기(18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전동부재(140)의 하부, 반전부재(150)의 상부의 간격유지돌기(180)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보조플랜지(19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부재(140)의 보조플랜지(190)는 상기 반전부재(150)의 유동방지홈(174)과 끝단에 끼워지고, 상기 반전부재(150)의 보조플랜지(190)는 상기 전동부재의 유동방지홈(174)과 끝단에 끼워져 축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170)의 플랜지(172)와, 보조플랜지(190)는 각각 단독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동축(112)과 종동축(114)은 동일축상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주동축(112)과 종동축(114)은 서로 독립되어 사용 가능하다.
도 8에서는 상기 주동부재(130)와 전동부재(140)가 외접되고, 동시에 상기 종동부재(160)와 반전부재(150)가 외접되어 동력전달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한편,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주동부재(130)는 상기 전동부재(140)와 내접될 수도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종동부재(160)에는 상기 반전부재(150)가 내접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주동부재(130)와 전동부재(140)가 내접되고, 동시에 상기 종동부재(160)와 반전부재(150)가 내접될 수도 있다.
상기 감속기(300)는 동축반전구동기구(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모터(M) 축에 연결되어 동축반전구동기구(1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일단과 타단에 입력축(200)과 출력축(210)이 각각 삽입 고정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500)와, 상기 입력축(200)과 출력축(210)이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케이스(500) 내부에 다수 적층된다.
케이스(500)는 내부에 적층되는 감속기(300)의 적층정도에 따라 길이가 길거나 짧게 형성되고, 내부에 적층된 감속기(300)와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하며, 일단에는 모터(M)와 연결된 입력축(200)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에는 출력축(210)이 각각 삽입 고정된다.
감속기(300)는 케이스(500) 내부에 적층되고, 적층된 갯수에 따라 감속기의 감속비를 결정하여 케이스(100)를 회전시키는데, 이 감속기(300)는 크게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속기(300)는 도면에서와 같이 케이스(500)내에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만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속기의 감속비 결정에 따라 갯수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케이스(500)내에서 적층되는 감속기(300)는 감속기의 감속비에 따라 제1단위감속기(300)만 적층될 수 있고, 제1단위감속기(300)와 제2단위감속기(400)만 적층될 수 있으며,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 제4단위감속기(도시하지 않음)......, 제10단위감속기가 적층될 수 있다.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는 케이스에 형성된 내접기어(510)에 치합된 회전기어(340),(430)와, 회전기어(340),(430)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50),(450)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의 회전기어(340),(440)와 구동기어(350),(450),(550)의 직경을 각기 다르게 형성하고 이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회전속도 비율에 따른 각기 다른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즉, 제1단위감속기(300)의 회전기어는 구동기어 보다 직경을 크게 형성하고, 제2단위감속기의 회전기어는 구동기어와 같은 직경을 가지게 형한 후, 상기 제1단위감속기의 기어비는 3:1이고, 제2단위감속기의 기어비는 4:1라고 가정할 때 감속기(300)의 회전속도 비율에 따른 감속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위감속기의 기어비는 3:1,4:1.,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속기의 감속비를 조절할 수 있다면 제1단위감속기 3:1, 제2단위감속기 4:1과 같이 연속적으로 같은 기어비를 갖는 단위감속기를 적충할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의 감속비는 단위감속기의 적충정도와 기어비를 조절하면 임의대로 소망하는 감속기의 감속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2패널(120,122) 사이에는 주동부재(130), 종동부재(160), 전동부재(140), 반전부재(1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주동부재(130)의 둘레에는 3개의 전동부재(140) 중 윗부분(제1전동부재)가 기어 맞물림되어 있고, 상기 전동부재(140) 중 아랫부분(제2전동부재)의 사이사이에는 반전부재(150)의 윗부분(제1반전부재)이 구비되어 상기 전동부재(140)의 아랫부분(제2전동부재)과 상기 반전부재(150)의 윗부분(제1반전부재)이 기어 맞물림되어 있으며, 상기 반전부재(150)의 아랫부분(제2반전부재)는 상기 종동부재(160)에 기어 맞물림되어 상기 주동축(112)과 상기 종동축(11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동축(112) 및 주동부재(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주동부재(130)에 기어 맞물림되는 상기 전동부재(1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주동축(112)의 회전을 전달하게 된다.
이에 연속하여, 상기 전동부재(140)와 일부 기어 맞물림된 반전부재(150)가 전동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반전부재(150)와 일부 맞물림된 종동부재(160)는 반전부재(150)의 회전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종동부재(160)와 일체로 형성된 종동축(114)을 주동축(11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주동부재(130)의 상하단부 둘레와 종동부재(160)의 상하단부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172)는 상기 전동부재(140)와 반전부재(150)의 중앙부 둘레에 형성된 유동방지홈(174)과 끝단에 각각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전동부재(140), 반전부재(150)가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작동 중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동부재(140), 반전부재(150) 각각의 일측에는 간격유지돌기(180)가 형성되어 각 부재(130,140,150,160)의 기어 맞물림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142,152)을 짧게 형성하여 회전축(142,152)에 가해지는 비틀림 모멘트 또는 굽힘 모멘트를 저감하여 내구성이 있는 동축반전구동기구(100)의 구현을 가능케 한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동축(112)와 종동축(114)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주동축(112)와 종동축(114)상에 별도의 브라켓(미도시)를 부착하여 서로 반대 회전하게 하여 운동기구 등에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주동부재(130)와 종동부재(미도시)가 내측으로 돌출된 기어치를 형성하여 상기 전동부재(140)의 기어치는 상기 주동부재(130)의 기어치에 내접하고, 상기 반전부재(150)의 기어치는 종동부재의 기어치에 내접하여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축반전구동기구는 주동부재, 전동부재, 반전부재, 종동부재의 간단한 기어 조합을 통해 주동축과 종동축의 반대방향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부재, 반전부재 들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2패널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회전축의 길이 축소가 가능하고, 콤팩트한 구조의 동축반전구동기구의 구현을 가능케 한다.
또한, 회전축에 가해지는 비틀림 모멘트 또는 굽힘 모멘트를 저감하여 내구성이 있는 동축반전구동기구의 구현을 가능케 한다.
더 나아가, 상기한 동축반전구동기구는 평기어(spur gear)와 같이 회전축이 나란한 싸고 간단한 기어구조의 이용을 가능케 하여 기존의 베벨기어와 같은 값 비싼 기어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한다.
이러한 동축반전구동기구는 주동축의 입력단에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한편 주동축과 종동축의 출력단에는 한 쌍의 프로펠러가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프로펠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각종 기체 및 액체를 포함하는 유체의 추진효율 향상에 기여한다.
바람직하게 송풍기 및 환풍기에 적용될 경우, 상기 프로펠러는 팬(FAN)으로 용이하게 대치될 수 있다.
또한, 주동축과 종동축을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서로 기어 맞물림되는 기어들의 기어비를 변경함으로써, 주동축과 종동축의 방향은 물론 주동축과 종동축 사이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회전부재(30)는 회전반동구동기구(100)의 주동축과 종동축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본체 20: 고정축
30 : 회전부재
100: 동축반전구동기구 112: 주동축
114: 종동축 120: 제1패널
122: 제2패널 124: 중심홀
126: 축홀 130: 주동부재
140: 전동부재 142: 전동축
152: 반전축 150: 반전부재
160: 종동부재 170: 유동방지부재
172: 플랜지 174: 유동방지홈
180: 간격유지돌기 190: 보조플랜지
300 : 감속기

Claims (2)

  1.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100)를 포함하며,
    상기 동축반전구동기구(100)는,
    동축상에 배치되어 반전 회전하는 주동축(112) 및 종동축(114)과;
    상기 주동축(112)과 일체로 회전하는 주동부재(130)와;
    상기 주동부재(13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대칭 배치되어 상기 주동부재(130)의 회전을 전달받는 복수의 전동부재(140)와;
    상기 복수의 전동부재(140) 사이에서 상기 종동축(114)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대칭 배치되어 상기 전동부재(140)의 회전을 반전시키는 복수의 반전부재(150)와;
    상기 복수의 반전부재(150)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반전부재(150)의 회전을 전달받고, 상기 종동축(114)과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부재(160)와;
    상기 주동부재(130), 상기 복수의 전동부재(140), 상기 복수의 반전부재(150) 및 상기 종동부재(160)의 외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동축(112), 상기 복수의 전동부재(140), 상기 복수의 반전부재(150) 및 상기 종동축(1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패널(120, 12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동부재(140) 각각은,
    그 양측 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120, 1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동축(142)과;
    상기 전동축(142)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부재(130)의 회전을 전달받는 제1전동부재와; 상기 제1전동부재에 인접되게 상기 전동축(142)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동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전부재(150) 각각은,
    그 양측 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120, 1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반전축(152)과;
    상기 제2전동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반전축(152)에 결합되어 상기 제2전동부재의 회전을 반전시키는 제1반전부재와;
    상기 제1반전부재에 인접되게 상기 반전축(152)에 결합되어 상기 제1반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반전부재를 포함하고,
    감속기(300)는,
    일단과 타단에 입력축(200)과 출력축(210)이 각각 삽입 고정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500)와;
    상기 입력축(200)과 출력축(210)이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케이스(500) 내부에 다수 적층되고, 적층된 갯수에 따라 감속비를 결정하는 재1,2단위감속기(300, 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
  2. 삭제
KR1020160048489A 2016-04-21 2016-04-21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 KR102497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489A KR102497236B1 (ko) 2016-04-21 2016-04-21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489A KR102497236B1 (ko) 2016-04-21 2016-04-21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263A KR20170120263A (ko) 2017-10-31
KR102497236B1 true KR102497236B1 (ko) 2023-02-07

Family

ID=6030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489A KR102497236B1 (ko) 2016-04-21 2016-04-21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23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421B1 (ko) * 2010-05-27 2012-08-16 박용헌 수중 추진장치
KR101476257B1 (ko) * 2013-02-26 2014-12-24 계양전기 주식회사 임팩트 전동공구의 조작장치
KR20140115073A (ko) * 2013-03-20 2014-09-30 정창록 프로펠러 추진장치
KR20160035734A (ko) * 2014-09-24 2016-04-01 정창록 반전회전구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263A (ko)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4296B2 (ja) マルチシャフト押出し機を駆動するためのギア装置
CA2975632C (en) Gear-lever mechanism using meshing and pushing to rotate
CN104074930A (zh) 一种同轴单输入同侧双输出摆线减速器
TW201139892A (en) Planetary gear decelerator
JP5620381B2 (ja) 反転回転駆動機構
US20160091053A1 (en) Epicyclic gear train
US2066758A (en) Infinitely variable speed mechanical transmission system
KR100673560B1 (ko) 반전구동기구
KR102497236B1 (ko)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선박추진장치
KR101012694B1 (ko) 회전반전구동기구
KR100883333B1 (ko) 회전반전구동기구
KR102448327B1 (ko)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드론
JP2020015347A (ja) 可変ピッチプロペラの翼角変節装置及び旋回式船舶推進装置
KR101756445B1 (ko)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기
RU2629620C2 (ru) Одноступенчатый понижающий редуктор с большим передаточным отношением для авиацио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KR20170071034A (ko) 감속기능을 갖는 동축반전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장치
CN105538337A (zh) 一种高精度钢丝绳垂直传动关节
CN203979290U (zh) 一种同轴单输入同侧双输出摆线减速器
KR20140115073A (ko) 프로펠러 추진장치
EP2988024A2 (en) Large-ratio strain wave gearing speed changing apparatus
RU2635753C2 (ru) Ветровая турбина с коробкой передач одноступенчатого мультипликатора скорости с большим передаточным отношением
US5149310A (en) Differential speed reducer
KR20160035734A (ko) 반전회전구동기구
KR200427761Y1 (ko) 동축 반전식 헬리콥터의 동력 전달 장치
KR101873854B1 (ko) 추진 방향의 조정이 가능한 추진력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