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926B1 -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 Google Patents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926B1
KR102496926B1 KR1020220073233A KR20220073233A KR102496926B1 KR 102496926 B1 KR102496926 B1 KR 102496926B1 KR 1020220073233 A KR1020220073233 A KR 1020220073233A KR 20220073233 A KR20220073233 A KR 20220073233A KR 102496926 B1 KR102496926 B1 KR 10249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vert
tension member
resistance
precast concret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은구
Original Assignee
곽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은구 filed Critical 곽은구
Priority to KR102022007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박스 형태를 갖는 다수의 암거 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 고정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있어서, 상기 암거 유닛은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습식 성형되되, 네모서리 부분 내면에 각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헌치부와, 상기 헌치부에 인장재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일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타단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턱 및 돌출부와 상기 타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상기 돌출부가 수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단턱 및 요홈돌출부에 의해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이 접합되어 형성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기 돌출부 외주면에 홈부가 간격을 두고 이중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개입되어 형성되는 제1차 이중 지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암거 유닛의 헌치부의 요홈돌출부 각각의 일단부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인장재를 양방향에서 수용하고, 내부에 무수축 몰탈이 주입 경화되어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도록 매립되어 형성되는 원통 슬리브 형태의 매립 커플링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의 타단는 상기 헌치부 내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매립되고, 일단은 상기 요홈돌출부 일단부에 평면으로 배치되도록 개방되어,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장재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의 접합부 단면이 결합 고정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암거 유닛의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한 균열저항성과 상기 이중 지수재 및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장재의 인장 결합 고정에 의한 내진성이 향상되도록 한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culvert with function of crack resistant and aseismicity equipped with double insert water stop member and tensioning member fastened and reclamed coupling anchor}
본 발명은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박스 형태를 갖는 다수의 암거 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 고정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있어서, 상기 암거 유닛은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습식 성형되되, 네모서리 부분 내면에 각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헌치부와, 상기 헌치부에 인장재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일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타단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턱 및 돌출부와 상기 타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상기 돌출부가 수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단턱 및 요홈돌출부에 의해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이 접합되어 형성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기 돌출부 외주면에 홈부가 간격을 두고 이중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개입되어 형성되는 제1차 이중 지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암거 유닛의 헌치부의 요홈돌출부 각각의 일단부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인장재를 양방향에서 수용하고, 내부에 무수축 몰탈이 주입 경화되어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도록 매립되어 형성되는 원통 슬리브 형태의 매립 커플링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의 타단는 상기 헌치부 내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매립되고, 일단은 상기 요홈돌출부 일단부에 평면으로 배치되도록 개방되어,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장재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의 접합부 단면이 결합 고정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암거 유닛의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한 균열저항성과 상기 이중 지수재 및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장재의 인장 결합 고정에 의한 내진성이 향상되도록 한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거는 하수도관, 배수관, 농업용수로, 취수관, 전력구·통신구 또는 공동구 등의 시설로 지하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사를 통해 암거 구조물을 시공하여 왔으나, 현재에는 공기 단축 및 경제적 시공을 위해 공장에서 미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PC암거)를 각 단위별로 일정한 길이로 대량생산하고, 단위별로 제작된 PC 암거를 현장으로 옮겨 서로 연결, 연속적인 조립을 통해 매립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매립 설치되는 PC 암거들은, PC 암거 간 연결 강도가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PC 암거들 사이의 접합 연결부가 벌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수밀성이 저하되므로, 이러한 접합 연결 강도의 저하를 해소하기 위하여 인장재를 각 PC 암거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고 인장재를 인장시킨 상태로 인장재 양끝 부분을 PC 암거에 정착시키는 구조로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PC 암거를 연결하는 인장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호 연속 배치된 PC 암거에 설치하기가 어렵고, 상호연속 결합된 PC 암거의 하중이나 부등 침하 등의 외력 등에 의해 인장재가 변형되어 암거간의 체결력이 약해지거나, 인장재의 절단에 의한 접합영역의 균열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10-0418826(등록일자 2004년02월03일)에 관로 방향의 전후방면이 개방된 4각 박스구조물 형태를 갖추면서 헌치부의 중간에 강선정착홈(11)이 형성되고 전·후방 마구리면과 상기 강선정착홈(11)을 각각 관통하는 전·후방 강선삽입홀(12a)(12b)이 형성되는 PC암거(10)들과, PC암거 (10)들을 연결하여 긴장하기 위한 PC강선(20)과, 중앙부들에 관통구멍(31)을 가지면서 상기 PC암거(10)의 강선정착홈(11) 내에 여유있게 들어갈 수 있는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세워지는 전·후방판(32)(33)이 그것들을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간격유지재(34)에 의해 일체화 된 연결구(30)들과, PC강선(20)을 정착하기 위한 정착구 (40)들을 공장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하여 준비한 다음, 상기 PC암거(10)들을 현장의 터파기 내로 인입하여 조립·설치하되; a) 하기 b)~f)단계들을 거쳐 먼저 조립된 PC암거(10a)의 후방 강선삽입홀 (12b)에 PC강선을 넣고 강선정착홈(11)내 연결구(30)의 후방판(33) 관통구멍(31)을 통과시킨 PC강선(20)의 끝단에 정착구(40)를 물려서 고정시키는 단계; b) 먼저 조립된 PC암거(10a)의 후방에 새 PC암거(10b)를 거치한 후, 새 PC암거(10b)의 강선정착홈(11)내에 연결구(30)와 정착구(40)를 넣고, 먼저 조립된 PC암거(10a)의 강선정착홈(11)으로부터 후방 강선삽입홀(12b)을 경유하면서 밖으로 빠져 나와 있는 PC강선(20)을 새 PC암거(10b)의 전방 강선삽입홀(12a), 강재연결구 (30)의 전방판 관통구멍(31), 정착구(40), 연결구(30)의 후방판 관통구멍(31), 새 PC암거(10b)의 후방 강선삽입홀(12b)에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는 단계; c) 새 PC암거(10b)의 후방 마구리면 쪽에서 긴장용 잭(50)을 이용해 상기 PC강선(20)을 잡아당기면서 새PC암거(10b)를 먼저 조립된 PC암거(10a)쪽으로 밀어붙여서, 먼저 조립된 PC암거(10a)의 후방 마구리면과 새 PC암거(10b)의 전방 마구리면을 완전히 밀착시키는 단계; d) 먼저 조립된 PC암거(10a)의 강선정착홈(11)내에 기 설치되어서 새 PC암거 (10b)의 조립시 PC강선(20)의 긴장에 의해 벌어진 연결구(30)의 전방판(32)과 강선정착홈(11)의 전방측 벽면과의 틈새에 밀림방지용 쐐기(60)를 긴밀하게 끼워 넣는 단계; e) 새 PC암거(10b)의 강선정착홈(11)내 연결구(30)의 전방판(32)을 강선정착홈(11)의 전방측 벽면에 밀착하고, 정착구(40)를 연결구(30)의 전방판(3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PC강선(20)에 물려서 고정하는 단계; f) PC강선(20)을 긴장하고 있는 상기 긴장용 잭(50)을 제거하고, 정착구(4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PC강선(20)을 절단하여 먼저 조립된 PC암거(10a)에 새 PC암거(10b)의 접합을 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작업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서 이웃하는 PC암거들을 연속적으로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PC강선 연속화를 통한 접합력 증대방법이 개발되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10-0775757(등록일자 2007년11월05일)에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사전에 제작된 PC 암거 세그먼트(10)가 PC 암거 구조물(1)을 구축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접합되는 PC 암거 세그먼트(10)의 접합구조로서, 상기 PC 암거 세그먼트(10)의 모서리 헌치부에는 PC 암거 세그먼트(10) 간의 접합면에서 종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블럭아웃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PC 암거 세그먼트(10)의 모서리 헌치부 단면에는 종방향으로 연속 관통공(15)이, 상기 블럭아웃부(17)와 PC 암거 세그먼트(10) 간의 접합면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관 부재로 이루어진 연속관(21)과 상기 연속관(21)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부재(24)가, 상기 PC 암거 세그먼트(10)의 접합면이 서로 마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연속 관통공(15)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PC 암거 세그먼트(10)의 접합면에 걸쳐서 배치되며; 상기 PC 암거 세그먼트(10)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부재(24)의 양 단부는 각각 상기 블럭아웃부(17)의 내면에 설치되는 정착판(25)에 의해 상기 블록아웃부(17)에서 정착 고정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암거 세그먼트의 접합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10-1461009(등록일자 2014년11월06일)에 모서리에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외측에 상기 관통홀보다 직경이 큰 안치홈이 형성된 헌치부가 구성된 유닛몸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인접하는 유닛몸체 간을 연결하는 인장재; 상기 유닛몸체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패킹재; 유닛몸체 간의 접합부에 충진되는 코킹재;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고 양측으로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며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구와,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일측 내경에는 상기 연결구의 나사산에 대향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내경에는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홀이 형성된 한쌍의 결합구와, 외경은 상기 테이퍼홀에 대향하도록 테이퍼의 형상을 가지고 내경은 상기 인장재가 삽입관통 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웨지와, 일측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구 체결시 상기 웨지의 끝단에 의해 가압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치홈에 안치되는 인장재정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결합구, 상기 웨지 및 상기 연결구에 의해 형성되는 충진공간과 연통하는 주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공을 통해 발포수지가 상기 충진공간으로 충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 콘크리트 암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10-1841226(등록일자 2018년03월16일)에 양방향으로 강선을 정착하는 강선 정착유닛; 상기 강선 정착유닛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강선 정착유닛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앵커부재; 상기 강선 정착유닛에 작용하는 장력에 대응하여 상기 앵커부재에 걸리게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앵커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장력에 대응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강선 정착유닛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공간으로의 몰탈 유입이 방지되는 면진기능을 가지는 앵커형 강선 정착장치가 개발되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10-1806326(등록일자 2017년12월01일)에 암거 유닛의 양측 접합면 중 어느 일측 접합면에 형성된 수구의 내측으로 일체형 앵커를 각각 매립 설치하되, 일체형 앵커들은 상기 인장재 설치홀의 일단부와 연통되게 설치하여 다수의 암거 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할 때, 일체형 앵커가 설치되어 있는 암거 유닛의 일측 접합면에서 인장재 설치홀 내에 삽입 설치된 PC 강선을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앵커가 매설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10-2197348(등록일자 2020년12월24일)에 콘크리트 암거본체의 일단부에 매립되고 일측단부에는 프리캐스트강선이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콘크리트 암거본체의 전단면에 노출된 제1 커플링헤드와, 상기 콘크리트 암거본체의 타단부에 매립되고 일측단부는 상기 프리캐스트강선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콘크리트 암거본체의 타측 전단면에 노출된 제2 커플링헤드가 매립되고 노출되게 고정된 제1 콘크리트 암거본체(1)와; 상기 제1 콘크리트 암거본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전단면에는 상기 제1 콘크리트 암거본체와 조립가능하게 서로 대응되는 상태의 제1 또는 제2 커플링헤드가 매설되고 돌출되게 배치된 제2 콘크리트 암거본체(1)와;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암거본체가 접하는 이음부상에 기밀을 위하여 설치되는 그라우트재(6);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플링헤드(4)는, 일단부에 상기 프리캐스트강선(3)이 고정되고 타단부는 나사부(41a)가 형성된 강선고정부(41)와, 상기 강선고정부(41)가 일단부에 나사고정되는 커플링본체(42)와, 상기 커플링본체(42)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자유단부에 인접하게 볼고정홈(43a)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스프링(44)에 의하여 지지되는 후진판(43b)이 배치되고 선단부에는 접촉자유단(43c)이 형성된 연결돌출부(4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플링헤드(5)는, 일단부에 상기 프리캐스트강선(3)이 고정되고 타단부는 나사부(51a)가 형성된 강선고정부(51)와, 상기 강선고정부(51)가 일단부에 나사고정되는 커플링본체(52)와, 상기 커플링본체(52)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출부(43)가 탈착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부(53)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고정부(53)는 상기 접촉자유단(43c)에 접촉되어 압입될 경우에는 후방으로 후퇴하는 후방후퇴부(53a)와, 상기 후방후퇴부(53a)가 후퇴하는 후퇴공간(5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고정부(53)의 외측자유단부에는 회동원통부(53e)가 설치되며, 상기 강선고정부(41, 51)는, 내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강선고정부(41, 51)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슬리브(45, 55); 및 상기 슬리브(45, 55)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걸리고 프리캐스트강선(3)이 걸어지는 걸이편(46,56)으로 구성되어 상기 강성고정부(41, 51) 단부에 암거본체(1)의 타단부에 상기 강선고정부(41, 51)가 매립될 경우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평평한 판 형상의 고정편(47, 57)이 설치되며, 상기 그라우트재(6)는, 상기 제1 콘크리트 암거본체(1)와 상기 제2 콘크리트 암거본체(1)가 연결되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밀폐홈(10)과 암거본체(1, 2)의 상부에 형성되며 밀폐홈(10)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주입홀(63)을 통하여 주입되는 무수축몰탈(61)과, 상기 밀폐홈(10)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무수축몰탈(61)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고정되며 겉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수팽창지수재(62)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무수축몰탈(61)의 제1주입홀(63)은 무수축몰탈의 주입구멍과 공기구멍으로 사용하여 무수축몰탈이 원활하게 타설될 수 있으며, 동시에 암거본체(1, 2)의 하부에 무수축몰탈의 정상적 주입확인을 위한 제2주입홀(6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연결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구조체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특허기술들 중, 한국등록특허 10-0775757는 PC암거의 헌치부의 정착구를 이용하여 양측에서 단독 콘을 체결하여 인장기로 인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PC 강선의 로스가 생기게 됨음 물론 이로 인해 설치 자재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선 인장시 단독 콘의 수동정착방식과 지압판의 공극으로 슬립현상이 발생하며, 인장 신장량이 기준에 미달되어 인장력의 손실에 인한 박스 구체가 서로 밀착이 되지 않아 접합부에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특허기술들은 모두, 강선에 프리스트레스를 주어 양측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를 당김으로써 접합면을 접합할 수는 있으나, PC암거 설치 후 지반의 부등침하 발생시 PC강선에 도입된 긴장력이 손실되어 PC암거 접합부가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접합부 지수재의 밀착력 상실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지수재의 결합 위치는 접합부에 평면으로 개입되고, 단면적이 작고 두께가 얇아 접합부가 벌어지기 매우 쉬우며, 이에 따라 누수가 발생하게 되고, 콘크리트 열화가 가속되어 PC암거를 자주 보수하게나 교체해야 하는 등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허문헌 001] 한국등록특허 10-0418826(등록일자 2004년02월03일) [특허문헌 002] 한국등록특허 10-0775757(등록일자 2007년11월05일) [특허문헌 003] 한국등록특허 10-1461009(등록일자 2014년11월06일) [특허문헌 004] 한국등록특허 10-1841226(등록일자 2018년03월16일) [특허문헌 005] 한국등록특허 10-1806326(등록일자 2017년12월01일) [특허문헌 006] 한국등록특허 10-2197348(등록일자 2020년12월24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박스 형태를 갖는 다수의 암거 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 고정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있어서, 상기 암거 유닛은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습식 성형되되, 네모서리 부분 내면에 각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헌치부와, 상기 헌치부에 인장재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일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타단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턱 및 돌출부와 상기 타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상기 돌출부가 수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단턱 및 요홈돌출부에 의해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이 접합되어 형성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기 돌출부 외주면에 홈부가 간격을 두고 이중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개입되어 형성되는 제1차 이중 지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암거 유닛의 헌치부의 요홈돌출부 각각의 일단부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인장재를 양방향에서 수용하고, 내부에 무수축 몰탈이 주입 경화되어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도록 매립되어 형성되는 원통 슬리브 형태의 매립 커플링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의 타단는 상기 헌치부 내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매립되고, 일단은 상기 요홈돌출부 일단부에 평면으로 배치되도록 개방되어,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장재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의 접합부 단면이 결합 고정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암거 유닛의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한 균열저항성과 상기 이중 지수재 및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장재의 인장 결합 고정에 의한 내진성이 향상되도록 한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박스 형태를 갖는 다수의 암거 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 고정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있어서, 상기 암거 유닛은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습식 성형되되, 네모서리 부분 내면에 각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헌치부와, 상기 헌치부에 인장재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일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타단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턱 및 돌출부와 상기 타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상기 돌출부가 수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단턱 및 요홈돌출부에 의해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이 접합되어 형성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기 돌출부 외주면에 홈부가 간격을 두고 이중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개입되어 형성되는 제1차 이중 지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암거 유닛의 헌치부의 요홈돌출부 각각의 일단부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인장재를 양방향에서 수용하고, 내부에 무수축 몰탈이 주입 경화되어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도록 매립되어 형성되는 원통 슬리브 형태의 매립 커플링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의 타단는 상기 헌치부 내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매립되고, 일단은 상기 요홈돌출부 일단부에 평면으로 배치되도록 개방되어,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장재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의 접합부 단면이 결합 고정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인장재는 강꼬임선, 강봉 또는 철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20~30kg, 알루미나시멘트 5~10kg, 고로슬래그분말 5~10kg, 1~5mm 크기의 잔골재 50~80kg, MMA모노머액상수지 3~5kg, 활성실리카 및 탄산칼슘이 1:1 중량비로 혼합된 충전제 5~10kg, 고성능 AE감수제 0.1~5kg 및 물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접합부의 상기 돌출단턱과 요홈돌출부가 접하는 수직면에 상기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홈부가 간격을 두고 이중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개입되어 형성되는 제2차 이중 지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제1차 이중 지수재는 수팽창 고무지수재로서, 단면이 양 날개를 가지는 ∩ 형태의 링으로서 상기 양 날개가 상기 돌출부의 홈부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제2차 이중 지수재는 수팽창 고무지수재로서, 단면이 양 날개를 가지는 ⊂ 형태의 링으로서 상기 양 날개가 상기 수직면의 홈부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제2차 이중 지수재의 수직표면에는 상기 인장재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인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 슬리브 형태로서, 양단으로 인장재가 각각 삽입되어 무수축 몰탈 경화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양측 일측부에는 무수축 몰탈을 주입 및 배출하기 위한 주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에는 내부 중간에 인장재 길이를 동일하게 배치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외주 내면에는 상기 무수축 몰탈 경화 및 상기 인장재의 결합력 강화를 위한 저항굴곡부 또는 저항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박스 형태를 갖는 다수의 암거 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 고정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있어서, 상기 암거 유닛은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습식 성형되되, 네모서리 부분 내면에 각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헌치부와, 상기 헌치부에 인장재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일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타단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턱 및 돌출부와 상기 타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상기 돌출부가 수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단턱 및 요홈돌출부에 의해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이 접합되어 형성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기 돌출부 외주면에 홈부가 간격을 두고 이중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개입되어 형성되는 제1차 이중 지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암거 유닛의 헌치부 각각의 내부 일단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인장재를 양방향에서 수용하고, 내부에 무수축 몰탈이 주입 경화되어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도록 매립되어 형성되는 원통 슬리브 형태의 매립 커플링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의 타단는 상기 헌치부 내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매립되고, 일단은 상기 일단부에 평면으로 배치되도록 개방되어,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장재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의 접합부 단면이 결합 고정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암거 유닛의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한 균열저항성과 상기 이중 지수재 및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장재의 인장 결합 고정에 의한 내진성이 향상되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특허기술 한국등록특허 10-0418826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특허기술 한국등록특허 10-0775757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특허기술 한국등록특허 10-1461009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특허기술 한국등록특허 10-1841226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 특허기술 한국등록특허 10-1806326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 특허기술 한국등록특허 10-2197348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지수재 개입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결합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매립 커플링 앵커 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또는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는, [도 7] 내지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박스 형태를 갖는 다수의 암거 유닛(10)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 고정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있어서, 상기 암거 유닛(10)은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습식 성형되되, 네모서리 부분 내면에 각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헌치부(13)와, 상기 헌치부(13)에 인장재(15)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14)과, 일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타단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턱(12) 및 돌출부(11)와 상기 타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상기 돌출부가 수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단턱(16) 및 요홈돌출부(17)에 의해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이 접합되어 형성되는 접합부(A)와, 상기 접합부(A)의 상기 돌출부(11) 외주면에 홈부가 간격을 두고 이중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개입되어 형성되는 제1차 이중 지수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암거 유닛(10)의 헌치부(13)의 요홈돌출부(17) 각각의 일단부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14)을 관통하는 인장재(15)를 양방향에서 수용하고, 내부에 무수축 몰탈이 주입 경화되어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도록 매립되어 형성되는 원통 슬리브 형태의 매립 커플링 앵커(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30)의 타단는 상기 헌치부(13) 내부에 상기 관통홀(14)과 연통되도록 매립되고, 일단은 상기 요홈돌출부(17) 일단부에 평면으로 배치되도록 개방되어,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30)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장재(15)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의 접합부 단면이 결합 고정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20~30kg, 알루미나시멘트 5~10kg, 고로슬래그분말 5~10kg, 1~5mm 크기의 잔골재 50~80kg, MMA모노머액상수지 3~5kg, 활성실리카 및 탄산칼슘이 1:1 중량비로 혼합된 충전제 5~10kg, 고성능 AE감수제 0.1~5kg 및 물을 포함하여 조성된다.
즉, 상기 알루미나시멘트는 알루민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한 급결제인 속경성 특수시멘트로, 조강성, 화학저항성 및 내화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나 시멘트는 초기 팽창을 부여하고 건조수축을 줄일 수 있는 역할을 수행을 위하여, 산화알루미늄이 30∼40wt% 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10kg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조강성, 화학저항성이 미흡하게 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속경성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또한, 상기 고로슬래그분말은 용광로에서 선철을 제조할 때에 부산물로서 생성되는 것으로, 고온의 용융슬래그를 대기중에서 냉각하는 서냉슬래그와 압력수로 급냉하는 수쇄슬래그를 분말화한 것으로,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혼화재로서 사용되는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분말(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for use in concrete)은 KS F 2563에 그 적용범위 및 품질규격이 정해져 있다.
상기 고로슬래그분말의 평균적인 화학성분은 SiO2 = 33%, Al2O3 = 14%, CaO = 42%, MgO = 6%, TiO2 = 1%, Fe2O3 = 0.5% 정도이고, 보통포틀랜드시멘트와 비교하여 CaO가 적고, SiO2와 Al2O3가 각각 10% 정도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고로슬래그분말은 시멘트 수화반응에서 생성되는 불안정한 수산화칼슘과 반응하며, 안정한 수화물을 형성하고 경화체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더욱이, 시멘트와 비교하여 염소이온이나 알카리이온의 고정능력(능동적 열화원인 제어 가능성)이 크다. 그 때문에, 고로슬래그분말을 콘크리트 혼화재로서 사용하면 수밀성, 화학저항성, 내해수성, 염분차폐성, 알칼리실리카반응제어 등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 지속가능한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정한 수화물을 형성하는 반응은 고온에서 특히 가속되므로 증기양생에서는 초기 압축강도가 높게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에 유리한 측면이 많고, 콘크리트표면의 기포발생이 적어 수려한 콘크리트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고로슬래그분말은 분말도가 5000~7000cm2/g인 것이 바람직한데, 고로슬래그의 분말도가 5000cm2/g 미만이면 입자가 굵어 반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7000cm2/g를 초과하면 점성이 지나치게 커져서 워커빌리티가 나빠지며, 본 발명에서 사용량은 5~10kg 사용하며, 고로슬래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콘크리트 강도가 낮아지고, 초과하면 속경성에 의한 유동성이 낮아져 워커빌리티가 나빠진다.
또한, 상기 MMA모노머액상수지(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경질 타입이면서 유연성이 있고, 저온에서 라디칼 중합하면 고분자 사슬구조가 연속된 규칙성을 나타내는 신디오탁틱(Syndiotactic) 구조의 비율이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내므로 내구성,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UV안전성 등 물성이 뛰어나며, 햇빛 등의 날씨 및 기후에 견디는 성질인 내후성이 우수하여 외부 환경 변화(날씨 및 기후 변화)에 의한 부식 등을 억제함과 동시에 포장체로 침투하여 일체화 시켜줌으로써 부착강도 및 인성을 개선하고, 안료 등에 의한 착색성이 좋은 특성이 있으며, 높은 열팽창 계수를 갖지만, 안정성이 매우 높은 수지이므로 투명성, 내후성, 착색성이 우수하여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3~5kg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에는 균열저항성을 위해 활성실리카 및 탄산칼슘이 1:1 중량비로 혼합된 충전제 5~10kg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실리카는 SiO2 함량이 70중량%이상인 것으로 콘크리트의 유리석회(CaO) 성분과 반응을 일으켜 미세한 공극 내부에 미립자인 규산석회의 침상결정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부착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때, 상기 활성실리카는 300∼500 메쉬 통과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탄산칼슘도 본 발명의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조직 및 표면을 치밀하게 하고, 상기 활성실리카에 의한 침상결정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분쇄형 나노탄산칼슘 또는 침강형 나노탄산칼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나노 탄산칼슘은 평균 입자크기는 100 ~ 10000 nm가 바람직하다. 100 nm 미만인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 혼합성이 떨어지고, 혼합 시 교반이 잘되지 않아서 제조 공정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고성능 AE감수제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분말 입자를 분산시켜 콘크리트 내구성과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감수제로는 분말형태의 나프탈렌계, 유기산계, 멜라민계, 및 폴리크르본산계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둘의 혼합물로 일반 감수제보다 분산 효과가 우수한 고성능 감수제가 적합하다. 상기 감수제의 함량은 0.1~5kgdl 바람직하다. 감수제의 함량이 0.1kg 미만이면 감수효과가 거의 발현되지 않고, 5kg을 초과시 비중이 다른 성분들간의 분리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A)의 상기 돌출단턱(12)과 요홈돌출부(17)가 접하는 수직면에 상기 관통홀(14)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홈부가 간격을 두고 이중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개입되어 형성되는 제2차 이중 지수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차 이중 지수재(21)는 수팽창 고무지수재로서, 단면이 양 날개를 가지는 ∩ 형태의 링으로서 상기 양 날개가 상기 돌출부의 홈부에 각각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차 이중 지수재(22)는 수팽창 고무지수재로서, 단면이 양 날개를 가지는 ⊂ 형태의 링으로서 상기 양 날개가 상기 수직면의 홈부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제2차 이중 지수재의 수직표면에는 상기 인장재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30)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 슬리브 형태로서, 양단으로 인장재(15)가 각각 삽입되어 무수축 몰탈 경화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33)가 형성되고, 양측 일측부에는 무수축 몰탈을 주입 및 배출하기 위한 주입구(31) 및 배출구(32)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33)에는 내부 중간에 인장재 길이를 동일하게 배치하기 위한 스토퍼(34)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3)의 외주 내면에는 상기 무수축 몰탈 경화 및 상기 인장재(15)의 결합력 강화를 위한 저항굴곡부 또는 저항돌출부(35)가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인장재(15)는 강꼬임선, 강봉 또는 철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또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암거 유닛 11 : 돌출부
12 : 돌출단턱 13 : 헌치부
14 : 관통홀 15 : 인장재
16 : 요홈단턱 17 : 요홈돌출부
21 : 제1차 이중 지수재 22 : 제2차 이중 지수재
30 : 매립 커플링 앵커 31 : 주입구
32 : 배출구 33 : 고정부
34 : 스토퍼 35 : 저항굴곡부 또는 저항돌출부(35)가

Claims (7)

  1.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박스 형태를 갖는 다수의 암거 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 고정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있어서, 상기 암거 유닛은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습식 성형되되, 네모서리 부분 내면에 각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헌치부와, 상기 헌치부에 인장재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일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타단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턱 및 돌출부와 상기 타단에 인접 암거 유닛의 상기 돌출부가 수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요홈단턱 및 요홈돌출부에 의해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이 접합되어 형성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기 돌출부 외주면에 홈부가 간격을 두고 이중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개입되어 형성되는 제1차 이중 지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암거 유닛의 헌치부의 요홈돌출부 각각의 일단부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인장재를 양방향에서 수용하고, 내부에 무수축 몰탈이 주입 경화되어 상기 인장재를 고정하도록 매립되어 형성되는 원통 슬리브 형태의 매립 커플링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의 타단은 상기 헌치부 내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매립되고, 일단은 상기 요홈돌출부 일단부에 평면으로 배치되도록 개방되어,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장재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서로 인접한 암거 유닛들의 접합부 단면이 결합 고정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균열저항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20~30kg, 알루미나시멘트 5~10kg, 고로슬래그분말 5~10kg, 1~5mm 크기의 잔골재 50~80kg, MMA모노머액상수지 3~5kg, 활성실리카 및 탄산칼슘이 1:1 중량비로 혼합된 충전제 5~10kg, 고성능 AE감수제 0.1~5kg 및 물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는 강꼬임선, 강봉 또는 철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상기 돌출단턱과 요홈돌출부가 접하는 수직면에 상기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홈부가 간격을 두고 이중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개입되어 형성되는 제2차 이중 지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이중 지수재는 수팽창 고무지수재로서, 단면이 양 날개를 가지는 ∩ 형태의 링으로서 상기 양 날개가 상기 돌출부의 홈부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 이중 지수재는 수팽창 고무지수재로서, 단면이 양 날개를 가지는 ⊂ 형태의 링으로서 상기 양 날개가 상기 수직면의 홈부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제2차 이중 지수재의 수직표면에는 상기 인장재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커플링 앵커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 슬리브 형태로서, 양단으로 인장재가 각각 삽입되어 무수축 몰탈 경화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양측 일측부에는 무수축 몰탈을 주입 및 배출하기 위한 주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에는 내부 중간에 인장재 길이를 동일하게 배치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외주 내면에는 상기 무수축 몰탈 경화 및 상기 인장재의 결합력 강화를 위한 저항굴곡부 또는 저항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20220073233A 2022-06-16 2022-06-16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249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233A KR102496926B1 (ko) 2022-06-16 2022-06-16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233A KR102496926B1 (ko) 2022-06-16 2022-06-16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926B1 true KR102496926B1 (ko) 2023-02-08

Family

ID=8522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233A KR102496926B1 (ko) 2022-06-16 2022-06-16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92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103U (ja) * 1984-03-08 1985-09-28 藤村 一夫 暗渠用ブロツクの継手
JPH09209334A (ja) * 1996-02-06 1997-08-12 Daiwa Kuresu Kk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20010020056A (ko) * 1999-08-31 2001-03-15 박병무 조립식 암거설비
KR100418826B1 (ko) 2001-07-19 2004-02-18 이윤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피씨강선 연속화를 통한접합력 증대방법
KR100775757B1 (ko) 2007-02-09 2007-11-12 장정환 종방향의 관 부재를 이용한 체결구조에 의한 부등침하 저항방식의 암거 세그먼트 접합구조 및 그 접합시공방법
KR20070116319A (ko) * 2006-06-05 2007-12-10 유용진 화학 수지 라이너의 장착 구조와 이 라이너를 이용한 화학수지 라이닝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제조 방법과 시공방법
KR101461009B1 (ko) 2014-07-02 2014-11-12 신안콘크리트공업주식회사 피씨 콘크리트 암거
KR101806326B1 (ko) 2017-03-27 2017-12-07 서상준 일체형 앵커가 매설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1841226B1 (ko) 2016-12-28 2018-05-04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면진기능을 가지는 앵커형 강선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암거구조물
KR102092644B1 (ko) * 2019-07-25 2020-03-24 장명희 터널형 몰딩장치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197348B1 (ko) 2018-11-06 2020-12-31 주식회사 네오시티 커플링 연결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구조체 및 그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103U (ja) * 1984-03-08 1985-09-28 藤村 一夫 暗渠用ブロツクの継手
JPH09209334A (ja) * 1996-02-06 1997-08-12 Daiwa Kuresu Kk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20010020056A (ko) * 1999-08-31 2001-03-15 박병무 조립식 암거설비
KR100418826B1 (ko) 2001-07-19 2004-02-18 이윤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피씨강선 연속화를 통한접합력 증대방법
KR20070116319A (ko) * 2006-06-05 2007-12-10 유용진 화학 수지 라이너의 장착 구조와 이 라이너를 이용한 화학수지 라이닝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제조 방법과 시공방법
KR100775757B1 (ko) 2007-02-09 2007-11-12 장정환 종방향의 관 부재를 이용한 체결구조에 의한 부등침하 저항방식의 암거 세그먼트 접합구조 및 그 접합시공방법
KR101461009B1 (ko) 2014-07-02 2014-11-12 신안콘크리트공업주식회사 피씨 콘크리트 암거
KR101841226B1 (ko) 2016-12-28 2018-05-04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면진기능을 가지는 앵커형 강선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암거구조물
KR101806326B1 (ko) 2017-03-27 2017-12-07 서상준 일체형 앵커가 매설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2197348B1 (ko) 2018-11-06 2020-12-31 주식회사 네오시티 커플링 연결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구조체 및 그 연결방법
KR102092644B1 (ko) * 2019-07-25 2020-03-24 장명희 터널형 몰딩장치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56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복구 보수재
CN202391019U (zh) 钢筋端部加粗灌浆接头
KR102088816B1 (ko)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좌장치 및 이의 설치공법
KR101671438B1 (ko) Pc 부재 접합부 충전용 무수축 그라우트 모르타르 조성물
CN108194100A (zh) 一种裂隙煤岩体准三维预应力加固方法
CN202925922U (zh) 一种砖砌体墙的组合加固装置
CN102912937B (zh) 一种内嵌式型钢高延性纤维混凝土组合柱
CN110981327A (zh) 一种改性橡胶颗粒抗冲磨超高韧性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0284516B (zh) 一种轻型化预制装配式混凝土板柱基础及其施工方法
CN104891889B (zh) 一种装配式预应力空心桥面板及其制备方法
KR101990324B1 (ko) 공동주택 외벽 보수 보강 공법
KR102496926B1 (ko) 균열저항성과 내진성을 갖는 이중 개입 지수재 및 인장재 고정, 매립 커플링 앵커를 구비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Perret et al. Repair of 130-year old masonry bridge using high-performance cement grout
KR1009409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2088836B1 (ko)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좌장치 및 교좌장치의 교체공법
KR100941932B1 (ko) 리바운더 제로형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조성물과 이를 열화방지 코팅제와 함께 이용한 보수보강공법
CN102912893B (zh) 一种高延性纤维混凝土组合砌块砌体墙及其施工方法
CN210263113U (zh) 一种轻型化预制装配式混凝土板柱基础
CN102912892B (zh) 一种高延性纤维混凝土组合砖砌体墙及其施工方法
JP2003321999A (ja) トンネルの補強方法
CN109610490A (zh) 一种用于柔性垂直阻隔墙锁扣部位止水的注浆结构及注浆工艺
CN103524098B (zh) 一种低Ca/Si率柔态抗裂复相增强加固材料
CN102888947B (zh) 一种高延性组合砖柱及其施工方法
CN105064411A (zh) 一种地下构筑物墙板后浇膨胀加强带的构筑方法
CN215105439U (zh) 一种新旧下穿通道衔接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