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670B1 -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 - Google Patents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670B1
KR102496670B1 KR1020200160148A KR20200160148A KR102496670B1 KR 102496670 B1 KR102496670 B1 KR 102496670B1 KR 1020200160148 A KR1020200160148 A KR 1020200160148A KR 20200160148 A KR20200160148 A KR 20200160148A KR 102496670 B1 KR102496670 B1 KR 102496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ter
hard palate
oral
snoring
h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2488A (en
Inventor
이일욱
Original Assignee
이일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욱 filed Critical 이일욱
Priority to KR102020016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670B1/en
Publication of KR2022007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4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6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 중 코골이 발생을 야기하는 연구개나 주위 점막의 떨림 발생을 억제하여, 수면 중 충분한 호흡과 함께 코골이 현상을 예방하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that suppresses vibration of the soft palate or surrounding mucous membrane, which causes snoring during sleep, and prevents snoring with sufficient breathing during sleep. It is about an anti-snoring device.

Description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

본 발명은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 중 코골이 발생을 야기하는 연구개나 주위 점막의 떨림 발생을 억제하여, 수면 중 충분한 호흡과 함께 코골이 현상을 예방하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that suppresses vibration of the soft palate or surrounding mucous membrane, which causes snoring during sleep, and prevents snoring with sufficient breathing during sleep. It is about an anti-snoring device.

주지하는 바와 같이 코골이 현상이란, 코에서 소리가 나는 것이라기 보다는 목젖을 포함한 연구개나 주위 점막이 떨리면서 나는 소리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비강에서 인후두로 이어지는 상기도의 공간이 좁아져서 호흡을 하면서 들어온 호흡공기가 통과하지 못하고 막혀 주변 조직들과 마찰을 일으켜서 발생된다.As is well known, the snoring phenomenon is not a sound coming from the nose, but rather a sound made when the soft palate including the uvula or surrounding mucous membranes vibrate. It is caused when air cannot pass through and is blocked, causing friction with surrounding tissues.

이러한 코골이는 비만한 성인 남자, 아래턱이 작고 뒤로 처지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는 앞서 말한 연구개나 인두 부위가 좁아서 호흡으로 인한 호흡공기의 흐름에 의해 주위 점막이 쉽게 떨리기 때문이며, 20대 중반부터 성장 호르몬 분비가 줄면서, 살이 찌기 쉽기 때문에 코골이를 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여성보다 남성이 코골이를 하는 비율이 높다.This snoring is commonly seen in obese adult men, people with a small lower jaw and a short and thick neck. As growth hormone secretion decreases from the mid-20s, the rate of snoring increases because it is easy to gain weight, and the rate of snoring is higher in men than women.

코골이가 의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수면 무호흡증이 동반된 경우인데, 한동안 숨이 막혀 컥컥거리다가 한계점이 지나면 푸하고 숨을 몰아 쉬는 것을 말하는데 숨을 들이쉴 때 생기는 음압이 너무 커져서 목젖과 연구개 및 인두 주위 조직이 들러붙어 숨이 멎어버리는 상태이다.Snoring is a medical problem when it is accompanied by sleep apnea. It means that you are choked for a while and then breathe out after the threshold. It is a condition in which the tissue around the pharynx gets stuck and stops breathing.

이는 코골이에서 더 나아간 보다 심해진 형태로 원활하지 않은 호흡공기 흐름에 의해 저산소증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는 체내에 이산화탄소가 축적되어 두통, 만성피로, 업무효율저하, 수면질 저하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산소가 부족하다 보니 심장이 더 빨리 뛰면서 체내에 산소를 공급해야 하고, 그로 인해 수면 중에도 심장이 편하게 쉬지 못하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각종 심혈관계 질환, 뇌졸중 및 폐 질환의 원인이 될뿐만 아니라, 코골이라는 주변의 시선으로 인한 심리적인 위축도 당사자에게는 부담이다.This is a more severe form that goes further than snoring, and hypoxia occurs due to poor breathing air flow, and as a result, carbon dioxide accumulates in the body, which can cause symptoms such as headache, chronic fatigue, reduced work efficiency, and reduced sleep quality. , Due to the lack of oxygen, the heart has to beat faster to supply oxygen to the body, and as a result, the heart cannot rest comfortably during sleep, which causes various cardiovascular diseases, stroke and lung disease in the mid- to long-term, as well as snoring. The psychological shrinkage caused by the surrounding gaze is also a burden to the person concerned.

그러나, 코골이 같은 경우는 자신이 컨트롤 할 수 없고 자신이 선택해서 고의적으로 내는 소리가 아니며, 통계적으로 성인 인구의 절반 이상이 겪고 있고, 나이가 들면서 근육 등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원래는 코골이를 전혀 안했는데 코를 고는 경우도 많다.However, in the case of snoring, it is not a sound that one cannot control and chooses and intentionally produces. Statistically, more than half of the adult population suffers from it. I didn't do it at all, b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I snore.

이에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 10-1380336호와 제 10-1133537호에서는 상악과 하악에 교정장치를 착용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Accordingly, 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s. 10-1380336 and 10-1133537 suggest a method of preventing snoring by wearing orthodontic devices on the upper and lower jaws.

즉, 수면시에는 고개가 뒤로 젖혀지면서 하악이 자연스럽게 상악보다 뒤로 밀려나게 되어 비강에서 인후두로 이어지는 상기도의 공간이 좁아져서 호흡을 하면서 들어온 호흡공기가 주변 조직들과 마찰을 일으켜 목젖을 포함한 연구개나 주위 점막이 떨리면서 코를 골게 되는데, 상악과 하악에 장착하는 교정장치를 통하여 강제로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 시켜서 기도가 넓어지도록 유도하여 코골이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In other words, as the head is tilted back during sleep, the lower jaw is naturally pushed back than the upper jaw, and the space in the upper airway from the nasal cavity to the pharynx is narrowed. When the mucous membrane vibrates, snoring occurs, and the snoring phenomenon is prevented by inducing the airway to widen by forcibly moving the lower jaw forward through a correction devic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jaws.

그런데, 상기 교정장치들은 하악을 상악의 전방으로 강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관계로,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야기된다.However, since the correction devices are configured to forcibly move the lower jaw to the front of the upper jaw, the following problems are caused.

첫째, 수면시 자연스럽게 뒤로 밀려난 하악을 강제로 전방 이동시키게 되므로, 악관절에 통증을 유발하고 치아 및 치아주변 근육에 무리를 주어 통증을 발생시킨다.First, since the mandible, which is naturally pushed back during sleep, is forcibly moved forward, causing pain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straining the teeth and muscles around the teeth to cause pain.

둘째, 수면중에는 근육이 이완되므로 무의식중에 하악이 장치에서 이탈하거나하여 구강호흡이 이루어져,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이 발생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muscles are relaxed during sleep, the mandible is separated from the device unconsciously, and oral breathing is performed, which may cause snoring or sleep apnea.

KRKR 10-138033610-1380336 B1B1 KRKR 10-113353710-1133537 B1B1 JPJP 20165380742016538074 A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과정에 기도를 통해 급배기되는 호흡공기에 의해, 구강의 천정부를 형성하는 연구개, 및 연구개 주변조직의 떨림 발생을 억제하여, 편안한 호흡과 함께 코골이 현상이 예방되도록 하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vibration of the soft palate forming the ceiling of the oral cavity and the tissue surrounding the soft palate by breathing air supplied and exhausted through the airway during slee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al implantable anti-snoring device that prevents snoring with comfortable breathing.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는,Oral insertable anti-sn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강 내 상악부에 착용되는 상악 스프린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xillary sprinter worn on the upper jaw in the oral cavity,

상기 상악 스프린터는,The upper jaw sprinter,

상악의 치아들을 덧씌워져 고정되는 크라운부와;a crown portion covering and fixing the teeth of the upper jaw;

상기 크라운부의 상부에 아치형으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강의 경구개 내벽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경구개 지지부; 및a hard palate support port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an arcuate shape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rown portion and entirely covering an inner wall of the hard palate of the oral cavity; and

상기 경구개 지지부의 후단부에 연장하여 형성되어, 경 구개의 후방에 형성된 연구개의 내벽을 지지하여, 호흡에 의해 기도를 통해 급배기되는 호흡공기에 의한 연구개의 떨림 발생을 억제하는 연구개 지지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oft palate support lip tha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rear end of the hard palate support, supports the inner wall of the soft palate formed at the rear of the hard palate, and suppresses the vibration of the soft palate due to the breathing air supplied and exhausted through the airway by respira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inclu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구개 지지부에는, 경구개의 천정부에 형성된 구개소와를 구강에 노출하는 하나 이상의 소공이 관통하여 형성된다.Preferably, the hard palate support part is formed through at least one small hole exposing the palatine fossa formed in the ceiling of the hard palate to the oral cavity.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구개 지지부는 크라운부와 일체 형성된 경질 성형물로 구성되고, 상기 경구개 지지부의 후단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연구개 지지립은 인체에 무해한 연질의 성형체로 구성되어서, 외접하는 연구개의 내벽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is composed of a hard mold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crown portion, and the soft palate support lip formed by extending to the rear end of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is composed of a soft molded body harmless to the human body, so that the inner wall of the soft palate circumscribes. It is configured to support elastically.

그리고, 상기 구강 내 하악부에 착용되는 하악 스프린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악 스프린터는 하악의 치아들을 덧씌워 고정되어서, 하악의 치아와 상악 스프린터 사이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크라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ndibular sprinter worn on the lower part of the oral cavity, and the mandibular sprint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crown that covers and fixes the teeth of the lower jaw and supports the lower teeth and the upper sprinter to be spaced apar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강 내 상악부에 설치된 상악 스프린터에, 경구개의 내벽을 지지하는 경구개 지지부와, 상기 경구개 지지부의 후단부에 연장하여 형성되어 경구개의 후방에 형성된 연구개를 지지하는 연구개 지지립을 마련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xillary sprinter installed in the upper jaw in the oral cavity,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inner wall of the hard palate, and the study supporting the soft palate formed by extending to the rear end of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are formed at the rear of the hard palate. A dog support lip is being prepa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연구개 지지립에 의해 호흡공기에 의해 떨림하여 코골이 현상을 야기하는 연구개, 및 연구개 주의 점막의 떨림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코골이 현상의 예방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vibration of the soft palate and the mucous membrane around the soft palate, which causes the snoring phenomenon due to vibration by breathing air, by the soft palate support lip,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noring phenomenon.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악 스프린터를 통해 경구개의 내벽을 전체적으로 커버함에 있어, 경구개의 천정부에 형성된 구개소와를 구강공간에 노출하는 소공을 형성하여서, 구개소와를 통해 분출되는 침이 경구개의 내벽과 경구개 지지부의 외벽 사이에 장시간 잔류하여 부패되지 아니하고 구강공간 내로 안정되게 유입될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vering the entire inner wall of the hard palate through the maxillary sprinter, a stomata exposing the palatine fossa formed on the ceiling of the hard palate to the oral space is formed, so that the saliva ejected through the palatine fossa is the inner wall of the hard palate. It remains for a long time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hard palate support and does not decay and can be stably introduced into the oral space.

또한, 본 발명은 하악에 장착되어 상악을 중심 교합 거상하여 기도공간을 넓게 확보하는 하악 스프린터가 부가되고, 또 상악 스프린터에는 하악에 착용된 하악 스프린터가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견착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ndibular sprinter is added to the mandible to secure a wide airway space by centrally occluding the upper mandible, and the upper mandible sprinter is provided with a shoulder strap to prevent the mandible sprinter worn on the mandible from being pushed backward.

따라서, 본 발명은 수면중에 근육이 이완되어 무의식 중에 하악과 혀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혀가 기도가 위치한 기도공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기도공간이 좁혀져 비강호흡이 불편해지고, 또 목젖이 떨림하여 코골이 현상과 수면 무호흡 현상을 발생시키는 현상이 예방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muscles are relaxed during sleep and the lower jaw and tongue move backwards unconsciously, the airway space is narrowed as the tongue moves to the airway space where the airway is located, making nasal breathing uncomfortable, and the uvula trembling to prevent snoring. symptoms and the phenomena that cause sleep apnea ar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를 구강 내에 착용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에 있어, 경구개 지지부와 연구개 지지립의 세부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9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an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rn in the oral cavity;
2 to 5 show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1,
7 to 8 show the detailed assembly state of the hard palate support and the soft palate support lip in the mouth insert type snoring prevention device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oral insert-type anti-snoring tool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를 구강 내에 착용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에 있어, 경구개 지지부와 연구개 지지립의 세부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9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an oral insertable anti-snoring device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worn in the oral cavity, and FIGS. 6 shows an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1, and FIGS. 7 and 8 show the oral insert type anti-snoring device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 palate support 9 shows a detailed assembly state of the soft palate support lip, and FIG. 9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1)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구강의 상악부와 하악부에 각각 착용되어 상악 스프린터(100)와 하악 스프린터(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1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outh of the wearer, respectively, to prevent the upper and lower sprinter 100 and the lower jaw It includes the sprinter 200.

상기 상악 스프린터(100)는, 상악부의 상악치아들에 덧씌워져 고정되는 크라운부(110)와; 상기 크라운부(110)의 상부에 아치형으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강의 경구개(Hard Palate, HP) 내벽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경구개 지지부(120)를 포함한다.The maxillary sprinter 100 includes a crown portion 110 that is overlaid and fixed to the upper teeth of the upper jaw; The upper part of the crown part 11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an arcuate shape, and includes a hard palate support part 120 covering the entire inner wall of the hard palate (HP) of the oral cavity.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강 경구개의 천정부에는 침샘을 통해 구강 내에 분비되는 침의 배출경로인 구개소와가 형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상악 스프린터(100)를 구성하는 경구개 지지부(120)의 천정부에 구개소와와 구강을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소공(121)을 관통되게 형성하여서, 상기 구개소와를 통해 분비되는 침이 경구개 지지부(120)에 의한 차폐없이 소공(121)을 통해 구강 내로 안정되게 분비되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alatine fossa, which is a discharge path of saliva secreted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the salivary glands, is formed on the ceiling of the oral hard palate, the ceiling of the hard palate support 120 constituting the maxillary sprinter 100. At least one stomata 121 through which the palatine fossa and the oral cavit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formed to pass through, so that saliva secreted through the palatal fossa enters the oral cavity through the stomata 121 without being shielded by the hard palate support 120. to ensure stable secretion.

따라서, 상기 구개소와를 통해 침샘을 통해 분비되는 침은 소공(121)을 따라 구강 내에 원활히 분비되고, 또 경구개 지지부(120)와 외벽과 구개소와가 형성된 경구개(HP) 내벽 사이에 침이 장시간 잔류하여 부패하여 악취를 유발하는 현상을 억제한다.Therefore, the saliva secreted through the salivary gland through the foramen is smoothly secreted into the oral cavity along the foramen 121, and saliva is secreted between the hard palate support 120 and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of the hard palate (HP) formed with the foramen. Resists for a long time and decomposes to suppress the phenomenon of causing bad odor.

그리고, 상기 구강 내 하악부에 착용되는 하악 스프린터(200)는 하악부의 하악치아들을 덧씌워 고정되어서, 하악부의 하악치아와 상악부에 덧씌워진 상악 스프린터(100) 사이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크라운부(21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ndibular sprinter 200 worn on the lower part of the oral cavity is fixed by overlaying the lower teeth of the lower part, and the crown part supporting the spaced apart between the lower teeth of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sprinter 100 overlaid on the upper part ( 210).

상기 상악 스프린터(100)와 하악 스프린터(200)를 구성하는 크라운부(110, 210)는 상악부과 하악부의 형상과 동일한 말굽형으로 구성된다.The crown parts 110 and 210 constituting the upper jaw sprinter 100 and the lower jaw sprinter 200 have the same horseshoe shape as the upper and lower jaws.

그리고, 상기 상악 스프린터(100)의 크라운부(110)는 상악부에 형성된 치아들이 하향 진입하여 규합되는 상부 개방형의 규합 그루브(111)가 형성되고, 상기 하악 스프린터(200)의 크라운부(210)는 하악부에 형성된 하악치아들이 상향 진입하여 규합되는 하부 개방형의 규합 그루브(211)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rown part 110 of the upper jaw sprinter 100 has an upper open assembling groove 111 in which the teeth formed in the upper jaw enter downward and engage, and the crown part 210 of the lower jaw sprinter 200 A lower open-type assembling groove 211 is formed in which the mandibular teeth formed in the lower part enter upward and engage.

따라서, 착용자는 상악 스프린터(100)와 하악 스프린터(200)를 구강의 상악부와 하악부에 위치시킨 다음 입을 다물면, 상악 스프린터(100)와 하악 스프린터(200)에 형성된 크라운부(110, 2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악치아와 하악치아에 규합하여 구강 내에 정형화되게 고정된다.Therefore, when the wearer places the upper jaw sprinter 100 and the lower jaw sprinter 200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oral cavity and then closes the mouth, the crown parts 110 and 210 formed on the upper jaw sprinter 100 and the lower jaw sprinter 200 ) As shown in FIG. 1, it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teeth in a regular manner in the oral cavity.

본 실시예에 따른 상악 스프린터(100)와 하악 스프린터(20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석고 등의 인상재를 통해 착용자의 상악부와 하악부의 음각의 치아본을 수득한 상악 치아본과 하악 치아본을 취득하는 인상 취득공정(S 10)과; As shown in FIG. 9 , the upper jaw sprinter 100 and the lower jaw sprint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btain upper and lower dental impressions of the wearer through an impression material such as gypsum and upper and lower teeth. an impression acquisition step (S10) of acquiring a pattern;

상기 취득된 상악 치아본과 하악 치아본을 교합기를 장착하여, 턱관절의 거상 각도에 맞도록 상악 치아본과 하악 치아본을 중심 교합 거상하는 중심 교합 거상공정(S 20)과; a central occlusion elevation step (S20) of attaching the obtained upper and lower teeth to an articulator, and performing central occlusion elevation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to match the elevation angl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퍼티 형재료를 교합된 상악 치아본과 하악 치아본에 도포 및 경화시켜 상악용 퍼티형과 하악용 퍼티형을 각각 성형하는 퍼티형 성형공정(S 30); 및 A putty mold forming step of applying and curing the putty mold material to the occluded upper and lower tooth specimens to mold the putty mold for the upper jaw and the putty mold for the lower jaw, respectively (S30); and

상기 상악용 퍼티형과 하악용 퍼티형에 레진을 충진하여, 레진 성형물으로 이루어진 상악 스프린터(10)와 하악 스프린터(20)를 수득하는 레진 충진공정(S 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착용자의 상악부와 하악부의 중심 교합 거상 각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된 맞춤형으로 이루어진다.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sin filling step (S40) of filling the putty mold for the upper jaw and the putty mold for the lower jaw with resin to obtain an upper jaw sprinter 10 and a lower jaw sprinter 20 made of resin moldings, It is made of a custom ma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cclusal elevation angle of the upper and lower jaw.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는 인상 취득공정과, 중심 교합 거상공정과, 퍼티형 성형공정과, 레진 충진공정을 통해서, 착용자의 구강 체형에 따른 형상과 치수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규격으로 제작되어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rresponding shape and dimension according to the wearer's oral body shape through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the center occlusal elevation process, the putty-type molding process, and the resin filling process. Manufactured to standard, it provides a comfortable fit.

그리고, 상기 상악 스프린터(100)의 크라운부(110)와 하악 스프린터(200)의 크라운부(210) 사이에는, 상호 견착되어 하악 스프린터(200), 및 하악 스프린터(200)가 고정된 하악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견착부를 형성한다.And, between the crown part 110 of the upper jaw sprinter 100 and the crown part 210 of the lower jaw sprinter 200, the lower jaw sprinter 200 and the lower jaw to which the lower sprinter 200 are fixed are rearward It forms a shoulder attachment that prevents it from moving.

상기 견착부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악 스프린터(100)의 크라운부(110)를 구성하는 모조 상전치(112)의 후방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악 스프린터(200)의 크라운부(210)의 배면을 견착 지지하는 견착돌기(113)와; 상기 상악 스프린터(100)의 모조 상전치(112)와 견착돌기(113) 사이에 형성된 견착홈(11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2 and 4 to 6, the shoulder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rear of the imitation upper anterior tooth 112 constituting the crown portion 110 of the upper jaw sprinter 100, so that the lower jaw sprinter ( 200) of the shoulder protrusion 113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crown portion 210; It includes a shoulder grip groove 114 formed between the imitation upper anterior teeth 112 of the maxillary sprinter 100 and the shoulder grip protrusion 113.

따라서, 상기 하악 스프린터(200)의 크라운부(210)의 모조 하전치(212)는 견착홈(114) 내에 삽입 지지되어 위치 고정되고, 결과적으로 수면과정에 하악 스프린터(200) 및 하악 스프린터(200)가 착용된 하악부가 견착부에 의해 고정되어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방지된다.Therefore, the fake lower anterior teeth 212 of the crown part 210 of the lower jaw sprinter 200 ar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houlder groove 114 to be fixed in position, and as a result, the lower jaw sprinter 200 and the lower jaw sprinter 200 ) is fixed by the shoulder strap to prevent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이때, 상기 견착부를 구성하는 견착돌기(114)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악 스프린터(100)와 하악 스프린터(200)를 착용한 착용자가 입을 다물게 되면 견착돌기(113)는 하악 스프린터(200)의 모조 하전치(212)의 배면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결과적으로 수면과정에 하악 스프린터(200) 및 하악 스프린터(200)가 착용된 하악부(L)는 견착부에 의해 전후로 견착되어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shoulder protrusions 114 constituting the shoulder attachment part have a tapered shape that is inclined from top to bottom, so that when the wearer wearing the upper jaw sprinter 100 and the lower jaw sprinter 200 closes his or her mouth, the shoulder attachment projection 113 stably supports the back surface of the fake lower anterior teeth 212 of the mandibular sprinter 200, and as a result, the mandible sprinter 200 and the mandibular part (L) on which the mandibular sprinter 200 is worn during the sleeping process are It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and prevents the phenomenon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스프린터(100)와 하악 스프린터(200)는 교정기를 통해 착용자의 턱관절의 중심 교합 거상에 따른 개방각도와 대응되게 성형된 즉, 착용자의 맞춤형으로 제작된 관계로, 견착부에 의해 견착된 하악 스프린터(200)가 상악 스프린터(100)의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수면과정에 하악이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른 턱관절의 통증과 피로도의 발생이 예방된다.In particular, the upper jaw sprinter 100 and the lower jaw sprint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old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angle according to the center occlusal elevation of the wearer's temporomandibular joint through braces, that is, they are custom-made for the wearer. Since the lower jaw sprinter 200 attached by the attachment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forward or moving backward from the upper jaw sprinter 100, the occurrence of pain and fatigu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ue to the forward protrusion of the lower jaw during sleep is prevented. do.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된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1)를 구현함에 있어서, 상악 스프린터(100)를 구성하는 경구개 지지부(120)의 후단부에 연구개 지지립(130)을 연장되게 형성하여서, 도 1과 같이 상기 연구개 지지립(130)을 통해 경구개(HP)의 후방에 형성된 연구개(SP)의 내벽을 지지하여 호흡에 의해 기도를 통해 급배기되는 호흡공기에 의한 연구개(SP)의 떨림 발생이 억제되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발생을 예방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5 and 7 to 8, in implementing the oral insert-type snoring prevention device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ard palate support 120 constituting the maxillary sprinter 100 ) is formed to extend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at the rear end of the soft palate 130 to support the inner wall of the soft palate SP formed at the rear of the hard palate HP through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as shown in FIG. It prevents the occurrence of snoring by suppressing the vibration of the soft palate (SP) caused by the breathing air supplied and exhausted through the airway by respira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구개 지지부(120)는 크라운부(110)와 일체 형성된 경질의 레진 성형물로 구성되고, 상기 경구개 지지부(120)의 후단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연구개 지지립(130)은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등으로 제작된 연질의 성형물로 구성되어서, 외접하는 연구개(SP)의 내벽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120 is composed of a hard resin mold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crown portion 110, and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120 is It is composed of a soft molding made of silicon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inner wall of the circumscribed soft palate (SP).

그리고, 상기 연구개 지지립(130)은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민감한 연구개(SP)와의 과도한 압박이나 간섭없이 연구개(SP)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면서도 연구개(SP)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is configured in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and elastically adheres to the inner wall of the soft palate SP without excessive pressure or interference with the sensitive soft palate SP. It is configured to stably support the soft palate (SP) while providing a comfortable fit.

이와 같이 경구개 지지부(120)의 후방에 연질의 연구개 지지립(130)을 연장되게 형성하여 연구개 지지립(130)을 통해 연구개(SP)의 탄력적인 지지를 도모하면, 수면 호흡에 의해 기도를 통해 급배기되는 호흡공기에 의한 연구개(SP)의 떨림 발생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코골이 현상의 방지와 함께 코골이에 따른 연구개(SP)의 피로도가 최소화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soft soft palate support lip 130 is formed to extend behind the soft palate support portion 120 to promote elastic support of the soft palate SP through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sleep breathing Vibration of the soft palate (SP) caused by breathing air supplied and exhausted through the airway is suppressed, and as a result, the snor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and fatigue of the soft palate (SP) caused by snoring can be minimiz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구개 지지립(130)은 경구개 지지부(120)의 후방으로 5mm 내지 20mm의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양측 보다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제작되어서, 경구개(HP)의 후방에 형성된 연구개(SP)의 내벽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에 따른 거부감을 최소화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is formed to extend in a length of 5 mm to 20 mm to the rear of the hard palate support 120, and is manufactured in a shape that is relatively longer in the center than both sides, so that the hard palate ( It minimizes rejection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inner wall of the soft palate (SP) formed at the rear of the HP).

그리고, 상기 연구개 지지립(130)의 길이와 두께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증감하여 제작되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구개 지지부(120)의 후단부에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are manufactur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and as shown in FIG.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길이와 두께를 포함하는 규격의 연구개 지지립(130)을 경구개 지지부(120)와 분리하여 성형하여, 착용자의 체형이나 코골이의 증상에 적합한 규격의 연구개 지지립(130)을 선택적으로 경구개 지지부(120)의 후단부에 장착하도록 한 것을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of a standard including various lengths and thicknesses is molded separately from the hard palate support 120, and the size suitable for the wearer's body shape or symptoms of snoring. It is proposed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at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hard palate support 120.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악 스프린터(100)를 구성하는 경구개 지지부(120)의 후단부와 상기 후단부에 형성되는 연구개 지지립(130)의 전단부 사이에는, 외벽에 압입돌기(131a)들이 형성된 압입 조립단(131)과, 상기 압입 조립단(131)을 압입하여 조립하며 내벽에 압입 조립단(131)의 압입돌기(131a)를 압입하는 압입홈(122a)이 형성된 압입소켓(122)을 포함한다.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 to 8, the rear end of the hard palate support 120 constituting the maxillary sprinter 100 and the front end of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formed at the rear end. In between, a press-fitting assembly stage 131 having press-fitting protrusions 131a formed on the outer wall, press-fitting the press-fitting assembly stage 131 and press-fitting the press-fitting assembly stage 131a of the press-fitting assembly stage 131 into the inner wall. A press-fitting socket 122 having a groove 122a is included.

이때, 상기 압입 조립단(131)과 압입 소켓(122)에는 복수의 압입돌기(131a)와 압입홈(122a)이 다단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경구개 지지부(120)의 후단부에 진입하여 조립되는 연구개 지지립(130)의 진입 깊이에 따라 경구개 지지부(12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구개 지지립(130)의 연장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press-in projections 131a and press-in grooves 122a are formed in multiple stages at the press-fit assembly end 131 and the press-fit socket 122, and are assembled by entering the rear end of the hard palate support 120. Depending on the entry depth of the dog support lip 130,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120 can be adjusted.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적합한 규격의 연구개 지지립(130)을, 상악 스프린터(100)에 형성된 경구개 지지부(120)의 후단부에 설정된 깊이로 진입 및 고정하여서, 연구개 지지립(130)이 연구개(SP)의 내벽을 과도하게 압박하지 아니하면서 안정되게 밀착되어 연구개(SP)의 안정적인 지지를 도모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user enters and fixes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of a standard suitable for the user's body shape to the rear end of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120 formed on the maxillary sprinter 100 to a set depth, and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 is stably adhered to without excessive pressure on the inner wall of the soft palate (SP) to promote stable support of the soft palate (SP).

그리하여, 본 발명은 경구개 지지부(120)의 후단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연구개 지지립(130)을 통해 연구개의 내벽을 탄력적으로 밀착하여 지지함으로써, 호흡공기에 의한 연구개(SP) 및 연구개(SP) 주변조직의 떨림 발생을 억제하여 수면 중코골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elastically adheres to and supports the inner wall of the soft palate through the soft palate support lip 130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hard palate support 120, thereby supporting the soft palate (SP) and soft palate ( SP) 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tremor in the surrounding tissue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henomenon of snoring during sleep.

1.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
100. 상악 스프린터 110. 크라운부
111. 규합 그루브 112. 모조 상전치
113. 견착돌기 114. 견착홈
120. 경구개 지지부 121. 소공
122. 압입 소켓 122a. 압입홈
130. 연구개 지지립 131. 압입 조립단
131a. 압입돌기
200. 하악 스프린터 210. 크라운부
211. 규합 그루브 212. 모조 하전치
213. 견착홈 214. 압입소켓
214a. 압입돌기
HP. 경구개 SP. 연구개
1. Oral insertable snoring device
100. Upper sprinter 110. Crown part
111. Rallying groove 112. Imitation upper anterior teeth
113. Shoulder protrusion 114. Shoulder groove
120. Hard palate support 121. Stomata
122. Press-fit socket 122a. press groove
130. Soft palate support lip 131. Press-fit assembly end
131a. press-in protrusion
200. Mandibular sprinter 210. Crown part
211. Rallying groove 212. Imitation lower anterior teeth
213. Shoulder groove 214. Press-fit socket
214a. press-in protrusion
HP. Hard palate SP. soft palate

Claims (4)

구강 내 상악부에 착용되는 상악 스프린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악 스프린터는,
상악의 치아들을 덧씌워져 고정되는 크라운부와;
상기 크라운부의 상부에 아치형으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강의 경구개 내벽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경구개 지지부; 및
상기 크라운부의 양측 후단부에서부터 아치형으로 상기 경구개 지지부의 후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경구개의 후방에 형성된 연구개의 내벽을 지지하여, 호흡에 의해 기도를 통해 급배기되는 호흡공기에 의한 연구개의 떨림 발생을 억제하는 연구개 지지립을 포함하고,
상기 경구개 지지부에는, 경구개의 천정부에 형성된 구개소와를 구강에 노출하여 상기 구개소와와 구강을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소공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구개소와를 통해 분출되는 침이 상기 경구개 지지부의 차폐로 인하여 경구개의 내벽과 경구개 지지부의 외벽 사이에 장시간 잔류하지 아니하고, 상기 소공을 통해 구강공간 내로 안정되게 유입됨으로써, 상기 경구개의 내벽과 경구개 지지부의 외벽 사이에서 상기 구개소와를 통해 분출되는 침의 부패로 인하여 악취가 유발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xillary sprinter worn on the upper jaw in the oral cavity,
The upper jaw sprinter,
a crown portion covering and fixing the teeth of the upper jaw;
a hard palate support port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an arcuate shape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rown portion and entirely covering an inner wall of the hard palate of the oral cavity; and
It is formed by extending from both rear ends of the crown part in an arcuate shape to entirely surround the rear end of the hard palate support, supporting the inner wall of the soft palate formed at the rear of the hard palate, and studying by breathing air supplied and exhausted through the airway by respiration. Contains a soft palate support lip that suppresses the onset of tremor in dogs;
In the hard palate support part, one or more small holes are formed through which the palatal fossa formed in the ceiling of the hard palate is exposed to the oral cavity so that the palatal fossa and the oral cavit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saliva ejected through the palatine fossa does not remain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hard palate and the outer wall of the hard palate support for a long time due to the shielding of the hard palate support, and is stably introduced into the oral space through the stomata. An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uppress a phenomenon caused by odor due to decay of saliva ejected through the palatine fossa between the outer walls of the support par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개 지지부는 크라운부와 일체 형성된 경질 성형물로 구성되고, 상기 경구개 지지부의 후단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연구개 지지립은 인체에 무해한 연질의 성형체로 구성되어서, 외접하는 연구개의 내벽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is composed of a hard mold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crown portion, and the soft palate support lip forme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is composed of a soft molded body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 oral insertable anti-sn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inner wa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내 하악부에 착용되는 하악 스프린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악 스프린터는 하악의 치아들을 덧씌워 고정되어서, 하악의 치아와 상악 스프린터 사이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크라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구.



The method of claim 1, comprising a mandibular sprinter worn on the lower part of the mouth, wherein the mandibular sprinter covers and fixes the teeth of the lower jaw, and includes a crown that supports the teeth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sprinter to be spaced apart. An oral insert-type anti-sn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KR1020200160148A 2020-11-25 2020-11-25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 KR1024966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148A KR102496670B1 (en) 2020-11-25 2020-11-25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148A KR102496670B1 (en) 2020-11-25 2020-11-25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488A KR20220072488A (en) 2022-06-02
KR102496670B1 true KR102496670B1 (en) 2023-02-06

Family

ID=8198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148A KR102496670B1 (en) 2020-11-25 2020-11-25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6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986B1 (en) * 2023-01-10 2023-08-02 주식회사 로얄이글코리아개발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5385A (en) * 1997-04-02 1999-06-29 Hakimi; Farhad Snore and stress relieving device
JP2017029654A (en) 2015-07-29 2017-02-09 有限会社ニューウェーブメディカル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e or the like
KR101944807B1 (en) * 2018-06-26 2019-02-01 김세훈 Oral insertion type sleep breathing assist device
KR102053985B1 (en) * 2019-04-05 2019-12-12 윤형호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537B1 (en) 2011-11-24 2012-04-09 김희윤 Snoring preventing apparatus
KR101380336B1 (en) 2012-05-02 2014-04-02 구현웅 Oral instrument for preventing snoring
CN104739566B (en) 2013-12-27 2017-02-01 林彦璋 Air flow interference type stuffy nose relieving snore-ceas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5385A (en) * 1997-04-02 1999-06-29 Hakimi; Farhad Snore and stress relieving device
JP2017029654A (en) 2015-07-29 2017-02-09 有限会社ニューウェーブメディカル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e or the like
KR101944807B1 (en) * 2018-06-26 2019-02-01 김세훈 Oral insertion type sleep breathing assist device
KR102053985B1 (en) * 2019-04-05 2019-12-12 윤형호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488A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385A (en) Snore and stress relieving device
CA2679451C (en)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US5003994A (en)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breathing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same
US5562106A (en) Dental appliance for relief of sno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884628A (en) Snoring device
KR101235888B1 (en)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US20130263864A1 (en) Teat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other habits
KR101944807B1 (en) Oral insertion type sleep breathing assist device
US20120160249A1 (en) Tongue advancement device for reducing obstructive sleep apnea condition
US9192455B1 (en) Oral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oral appliances
KR20180125848A (en) 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exercising pedal
KR100596129B1 (en) Snore and sleep apnear preventing device
GB2264868A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CA3126771A1 (en) Anatomical self-gripping dental barrier device
KR102496670B1 (en)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
US20190216636A1 (en) Oral appliance device
JPH08126733A (en) Mouthpiece prototype
CN209847422U (en) Body device is planted in orthodontic science correction
KR102377844B1 (en) Sleep breathing assist device
JP6120780B2 (en) Oral appliance
KR102566018B1 (en) Orthodintic retainer for preventing bruxism
WO2023188415A1 (en) Mouthpiece
WO2023127071A1 (en) Intraoral appliance
US20230157860A1 (en) Oral appliance
KR20200005961A (en) Snore preventing kit using impression materials of tee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