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986B1 -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 - Google Patents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986B1
KR102562986B1 KR1020230003534A KR20230003534A KR102562986B1 KR 102562986 B1 KR102562986 B1 KR 102562986B1 KR 1020230003534 A KR1020230003534 A KR 1020230003534A KR 20230003534 A KR20230003534 A KR 20230003534A KR 102562986 B1 KR102562986 B1 KR 102562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ate
hard palat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얄이글코리아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얄이글코리아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얄이글코리아개발
Priority to KR1020230003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9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9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부의 입전창의 형상에 따라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경구개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전방부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아랫니와 윗니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판 형태의 이물림판;을 포함하는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ral cavity inside the oral cavity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urface shape upward, the body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hard pal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mechanism including; and a plate-shaped tooth plate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and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teeth and the upper teeth.

Description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

본 발명은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수면 무호흡(sleep apnea)이란 수면 중에 호흡의 정지가 일어나는 현상으로, 임상적으로 수면 중 10 초 이상 호흡이 없는 증상이 시간당 5번 이상 나타나거나, 7시간 기준으로 30번 이상 나타나는 수면 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중년 성인의 약 2~4%가 수면 무호흡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천식과 당뇨병의 유병률과 비슷한 정도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성인 인구의 20%가 코골이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 중 50% 정도가 수면 무호흡의 증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수면 무호흡은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수면 무호흡은 과도한 주간 졸음, 집중력 저하, 동맥혈 내 산소 포화도(O2saturation)의 감소 및 교감신경계 항진으로 인한 고혈압, 부정맥, 뇌졸중,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수면 중 심장마비(heart attack), 돌연사(sudden death)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leep apnea is a phenomenon in which breathing stops during sleep. Clinically, it refers to a sleep disorder in which there is no breathing for more than 10 seconds during sleep more than 5 times per hour or more than 30 times per 7 hour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bout 2-4% of middle-aged adults have symptoms of sleep apnea, which is similar to the prevalence of asthma and diabetes.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20% of the adult population shows symptoms of snoring, and about 50% of them show symptoms of sleep apnea. Sleep apnea can cause several complications. Specifically, such sleep apnea can cause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such as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poor concentration, decrease in oxygen saturation in arterial blood (O2saturation) and hyperactivity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such as hypertension, arrhythmia,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It is known to cause heart attack and sudden death.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은 수면 무호흡증의 가장 흔한 형태로서 편도비대, 아데노이드비대, 연구개 및 혀의 크기 및 기능적 이상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 In particular,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the most common form of sleep apnea and has various causes such as enlarged tonsils, enlarged adenoids, size and functional abnormalities of the soft palate and tongue.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빈도가 높고 고혈압, 심장병, 뇌혈관 질환, 당뇨병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코골이 환자에서 약 70% 정도의 유병율을 보인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다른 포유동물에서 자연적인 상태에서 보기가 힘들다. 그 이유 중에 하나로 사람은 진화과정 중 언어의 필요성으로 다양한 자음과 모음을 구사하여야 함으로 여러 조합을 만들 수 있는 공명강이 필요하였고, 연구개에서부터 성대까지의 상대적인 길이가 길다. 이 부위는 주위 골격에 의해 지지받지 않고 연구개, 혀, 구개의 근육 등 연조직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로 되어 있어 좁아지기가 쉽고, 비만, 편도비대 등에 의해 부분적인 폐색이 생길 경우 특히 수면 시에 흡기시 기도를 넓혀주는 구개 근육의 활성도가 각성 시에 비해서 많이 떨어지므로 상기도가 더욱 좁아져 막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Obstructive sleep apnea is a disease that causes complication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heart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with a high frequency, and shows a prevalence of about 70% in snoring patients. Obstructive sleep apnea is rare in other mammals in its natural state.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humans have to use various consonants and vowels as a language necessity during the evolutionary process, so a resonant cavity that can make various combinations is needed, and the relative length from the soft palate to the vocal cords is long. This area is not supported by the surrounding skeleton and is surrounded by soft tissues such as the soft tissue such as the soft palate, tongue, and palate, so it is easily narrowed, and when partial blockage occurs due to obesity or enlarged tonsils, especially during inspiration during sleep Since the activity of the muscles of the palate, which widens the airway, is much lower than at the time of awake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per airway is further narrowed and block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0329호(2012.04.2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0329 (2012.04.27.)

본 발명은, 입천장과 혀, 목주변부의 근육 이완의 결과로 발생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표적 근력 운동을 통한 근육의 이완을 방지할 수 있는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muscle relaxation through target muscle strength exercise in obstructive sleep apnea, which occurs as a result of muscle relaxation of the palate, tongue, and neck.

또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개선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코골이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that is designed to be used to improve obstructive sleep apnea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snoring.

또한, 설근(혀)과 연구개 부위, 목 주변 근력을 등수측 운동을 통해 근력을 증가시키고 지방을 태우고, 침을 삼키는 동안 연구개와 입천장의 근육에 긴장을 증가시켜 상기도 근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상기도와 혀의 표적 근육 발달을 통해, 코골이를 상당히 감소할 수 있는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muscle strength of the tongue (tongue), the soft palate, and the neck are increased through dorsal side exercises, burn fat, and increase tension in the muscles of the soft palate and palate while swallowing saliva to strengthen the upper respiratory tract muscle function. It is to provide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snoring through target muscle development of the tongue and tong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내부의 입전창의 형상에 따라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경구개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전방부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아랫니와 윗니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판 형태의 이물림판;을 포함하는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upwar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ral cavity,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hard palate; It provides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mechanism including; and a plate-shaped tooth plate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and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teeth and the upper teeth.

또한, 상기 바디는, 윗니 안쪽의 입천장의 경구개에 접촉될 수 있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구개지지부; 상기 경구개지지부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곡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입천장의 연구개에 접촉될 수 있는 연구개지지부; 및 상기 경구개지지부에서 윗니의 앞니가 위치하는 중심부에서 소정 폭으로, 후방으로 소정 길이의 홈으로 형성되는 조절홈;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홈에 의해 상기 경구개지지부의 양 측부가 양 측 방향을 따라 소정 폭 벌어지거나 모아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the palate support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hard palate of the palate inside the upper teeth; a soft palate support part extended in a curved shape protru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hard palate support part and contacting the soft palate of the palate; And an adjustment groove formed in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a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rearward from the center where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are loca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opened or gathered in a predetermined width.

또한, 상기 이물림판은, 상기 조절홈의 양 측에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경구개지지부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배열을 따라 설치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lock plate i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ontrol groove, and is install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hard palate support along the tooth arran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또한, 상기 이물림판에는, 상기 이물림판의 둘레를 따라 선단부에서부터 후단부까지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보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mechanism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an auxiliary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rip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입천장과 혀, 목주변부의 근육 이완의 결과로 발생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표적 근력 운동을 통한 근육의 이완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uscle relaxation through target muscle strength exercise in obstructive sleep apnea, which occurs as a result of muscle relaxation in the palate, tongue, and neck area.

또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개선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코골이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designed for use in improving obstructive sleep apnea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snoring.

또한, 설근(혀)과 연구개 부위, 목 주변 근력을 등수측 운동을 통해 근력을 증가시키고 지방을 태우고, 침을 삼키는 동안 연구개와 입천장의 근육에 긴장을 증가시켜 상기도 근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상기도와 혀의 표적 근육 발달을 통해, 코골이를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scle strength of the tongue (tongue), the soft palate, and the neck are increased through dorsal side exercises, burn fat, and increase tension in the muscles of the soft palate and palate while swallowing saliva to strengthen the upper respiratory tract muscle function. Through targeted muscle development of the tongue and tongue, snoring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의 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의 위에서 바라보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의 좌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의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의 착용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에어포켓을 나타낸 도면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rom above of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rear view of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earing state of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air pocket according to FIG. 7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의 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의 위에서 바라보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의 좌측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의 착용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view of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rom above of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left side view of (1), Figure 5a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and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는 바디(10) 및 이물림판(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는 의료용 TPU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to 6,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nd an engagement plate 20. In addition,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may be made of a medical TPU material.

바디(10)는 구강 내부의 입전창의 형상에 따라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입천장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10)의 상면은 경구개와 연구개와 접촉될 수 있다. The body 1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convex upwar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ral cavity,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roof of the mouth.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hard palate and the soft palate.

바디(10)는 중심부가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10)는 타원형의 구가 1/4로 절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10 may protrude in a gently curved shape while the center portion protrudes upward. For example, the body 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n elliptical sphere is cut into 1/4.

바디(10)는 경구개지지부(11), 연구개지지부(12), 조절홈(13) 및 설근위치공간(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10 may include a hard palate support 11 , a soft palate support 12 , an adjustment groove 13 and a tongue muscle location space 14 .

경구개지지부(11)는 윗니 안쪽의 입천장의 경구개에 접촉될 수 있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구개지지부(11)는 바디(10)에서 연구개지지부(12)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경구개지지부(11)는 바디(10) 전체 영역의 1/2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경구개지지부(11)는 윗니 내측의 경구개에 접촉될 수 있다.The hard palate support 11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can contact the hard palate of the palate inside the upper teeth. The hard palate support 11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soft palate support 12 in the body 10. In addition, the hard palate support 11 may occupy more than 1/2 of the entire area of the body 10 . Therefore,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 11 may be in contact with the hard palate inside the upper teeth.

연구개지지부(12)는 경구개지지부(11)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곡면 형상으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입천장의 연구개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연구개지지부(12)는 경구개지지부(11)보다 상측으로 오목하게 돌출되며 형성될 수 있다. 연구개지지부(12)는 바디(10)에서 경구개지지부(11)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oft palate support 12 is formed to extend backward in a curved shape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the hard palate support 11 and can contact the soft palate of the palate. That is, the soft palate support 12 may be formed concavely protruding upward from the hard palate support 11 . Soft palate support 12 may be formed in the rear than the hard palate support 11 in the body (10).

조절홈(13)은 바디(10)의 좌우 중심부에 형성되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홈(13)은 경구개지지부(11)에서 윗니의 앞니 부분과 마주하는 중심부에서 소정 폭으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소정 길이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조절홈(13)의 폭이 줄어들 수 있다.The control groove 13 may be a groov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the body 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Specifically, the control groove 13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facing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in the hard palate support 11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formed as a groov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backward.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control groove 13 may decrease from the front to the rear.

조절홈(13)에 의해 경구개지지부(11)의 양 측부가 양 측 방향을 따라 소정 폭 벌어지거나 모아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별 경구개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경구개 좌우폭이 좁은 경우에는, 조절홈(13) 양 측의 경구개지지부(11)가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경구개 좌우폭이 비교적 넓은 경우에는, 조절홈(13) 양 측의 경구개지지부(11)가 외측으로 서로 벌어지도록 하여 경구개지지부(11)의 폭을 넓이거나 좁히며 조절할 수 있다.Both sides of the hard palate support 11 can be opened or gathered by a predetermined width along both lateral directions by the control groove 13 . Therefore,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ard palate for each user. For example, whe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user's hard palate is narrow, the hard palate support portions 11 on both sides of the control groove 13 may be converged inward, or whe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user's hard palate is relatively wide, the control groove 13 ) The width of the hard palate support 11 can be adjusted by widening or narrowing it so that the hard palate support 11 on both sides spreads outward from each other.

설근위치공간(14)은 바디(10)의 하면 아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디(10) 하측에 형성되는 동굴 형태의 공간에는 사용자의 설근(혀)가 위치될 수 있다.The tongue muscle location space 1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 That is, the user's tongue may be located in the cave-shaped spac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

이물림판(20)은 바디(10)의 전방부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물림판(20)은 아랫니와 윗니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소정 두께의 판 형태이다.The engagement plate 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10 . The bite plate 20 is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at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teeth and the upper teeth.

구체적으로, 이물림판(20)은 바디(10)의 조절홈(13)의 양 측에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이물림판(20)의 조절홈(13)의 양 측에서 바디(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물림판(20)은 경구개지지부(11)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배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즉, 이물림판(20)은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이물림판(20)을 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air of the two engagement plates 20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ontrol groove 13 of the body 10 . That is, it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 on both sides of the control groove 13 of the gripping plate 20, respectively. The bite plate 20 may be install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hard palate support 11 along the tooth arrangement. That is, the bite plate 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so that the user can bite the bite plate 20 .

또한, 이물림판(20)은 선단부(21)(즉, 전방)에서부터 후단부(22)(즉, 후방)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치아 배열과 치아 특성에 따라 어금니 부분까지 이물림판(20)이 물려질 수 있도록, 이물림판(20)의 후단부(22)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ngagement plate 20 may be formed such that its width increases from the front end 21 (ie, front) to the rear end 22 (ie, rear). This is that the width of the bite plate 20 increases toward the rear end 22 so that the bite plate 20 can be bitten up to the mola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eth.

이물림판(20)에는 보조홈(23)이 형성될 수 있다.An auxiliary groove 23 may be formed in the engagement plate 20 .

보조홈(23)은 이물림판(20)의 둘레를 따라 선단부(21)에서부터 후단부(22)까지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홈(23)은 이물림판(20)의 선단부(21)에서 후단부(22)까지 형성되되, 좌우 폭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 형태의 홈일 수 있다. 보조홈(23)을 통해 침과 공기가 흐를 수 있다.The auxiliary groove 23 may be a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front end 21 to the rear end 22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ripping plate 20 . Specifically, the auxiliary groove 23 is formed from the front end 21 to the rear end 22 of the grip plate 20, and may be a slit-shaped groove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dths. Saliva and air may flow through the auxiliary groove 23 .

또한, 이물림판(20)은 바디(10)의 하단에 연결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이물림판(20)과 바디(10)의 후단부(22) 사이에는 연결단차(24)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ripping plate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4, when viewed from the side, between the gripping plate 20 and the rear end 22 of the body 10 A connection step 24 may be formed.

이러한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의 착용 방법은 아래와 같다.The wearing method of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is as follows.

먼저, 입안에 물을 적셔 구강 점막을 적신다. 이후,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를 구강 내부로 삽입하고, 입천장의 경구개와 연구개에 바디(10)가 닿도록, 설근을 통해 바디(10)의 하면을 전방과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앞쪽방향으로 구강내 근육을 사용하여 앞니 쪽 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바디(10)가 앞니 뒷부분의 입천장 부분에서부터 입천장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입을 다물고 이물림판(20)을 이빨로 가볍게 문다. 이때, 침을 자주 삼켜야 하기 때문에 침 분비량이 증가하면 훈련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즉, 구강내 타액이 증가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침이 증가하여 자주 삼키게 되는데, 이 반응은 연구개부위와 설근(혀)의 근육발달을 촉진하는 바람직한 효과이다. 다시 말해,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를 착용한 상태에서 침을 삼키면서 상기도 근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First, wet your mouth with water to wet the oral mucosa. Thereafter,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is pressed forward and upward through the tongue muscles so that the body 10 touches the hard palate and soft palate of the roof of the mouth. there is. In other words, it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teeth using the intraoral muscles in the anterior direction. Therefore, the body 1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alate from the palate at the back of the front teeth. After that, the user closes his mouth and lightly bites the bite plate 20 with his teeth. At this time, since saliva needs to be swallowed frequently, an increase in saliva secretion can increase the training effect. That is, an increase in saliva in the oral cavity is a desirable phenomenon. During use of the instrument, saliva increases and is frequently swallowed. This response is a desirable effect of promoting muscle development of the soft palate and tongue. In other words, while wearing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while swallowing a needle,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can be strengthened.

이러한 방법으로 하루 5분씩 3회, 1일 15분을 운동할 수 있다.In this way, you can exercise for 15 minutes a day, 3 times a day for 5 minutes each.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프레임(30)을 더 포함하는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에어포켓(40)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further including an auxiliary fram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n air pocket 40 according to FIG. 7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는 보조프레임(30), 에어포켓(40) 및 정수통(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frame 30, an air pocket 40, and a water bottle. (50) may be further included.

보조프레임(30)은 바디(1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프레임(30)은 바디(1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30)은 직경이 후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반원 형태의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프레임(30)은 직경이 점차 커지는 관의 하부가 1/2 절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30)의 상면은 바디(10) 하면의 둘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바디(10)의 하면에 보조프레임(30)의 상면이 밀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즉, 보조프레임(30)의 외주면은 바디(10)의 설근위치공간(14)이 형성된 바디(10)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 하측에 보조프레임(30)이 설치되는 경우, 보조프레임(30)의 하측 내부에 설근(혀)이 위치될 수 있다.Auxiliary frame 30 may b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0). Specifically, the auxiliary frame 3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 The auxiliary frame 30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tubular shape with a diameter increasing toward the rear. That is, the auxiliary frame 3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a tube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is cut in half.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30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30 may be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in which the tongue root location space 14 of the body 10 is formed. When the auxiliary frame 3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the tongue muscle may be located inside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frame 30.

또한, 보조프레임(30) 전방부는 바디(10)의 조절홈(13)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홈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30 may have a groove shap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rtion where the control groove 13 of the body 10 is formed.

또한, 보조프레임(30)에는 복수개의 공급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급홀(31)은 후술할 정수통(50)과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ly holes 31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frame 30 . The supply hole 31 may communicate with a purified water bottle 50 to be described later.

보조프레임(30)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 내부에 에어포켓(40) 및 정수통(50)이 설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3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n air pocket 40 and a water bottle 50 may be installed therein.

에어포켓(40)은 보조프레임(30) 내측의 좌우 양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에어포켓(40)은 공기의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어 바디(1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바디(10)가 입천장을 가압하도록 하여 근기능 강화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Air pockets 40 may be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auxiliary frame 30, respectively. The air pocket 40 is inflated in volume by air injection and presses the body 10 upward, so that the body 10 presses the roof of the mouth to increase the effect of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각 에어포켓(40)은 하판(41), 측판(42) 및 상판(43)으로 구성될 수 있다.Each air pocket 40 may be composed of a lower plate 41, a side plate 42 and a top plate 43.

하판(41)은 에어포켓(40)의 하면을 형성하며 에어포켓(4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도 팽창되지 않는 단단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plate 41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pocket 40 and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that does not expand even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pocket 40.

측판(42)은 하판(41)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에어포켓(4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판(42)은 에어포켓(4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도 팽창되지 않는 단단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Side plate 42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plate 41 may form the side of the air pocket (40). The side plate 42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that does not expand even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pocket 40 .

상판(43)은 에어포켓(40)의 상면을 형성하며, 에어포켓(4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될 수 있다. 즉, 상판(43)은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부풀어오를 수 있는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43)에는 복수의 주름푸(431)가 형성될 수 있다.The top plate 43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ocket 40, and may expand as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pocket 40. That is, the top plate 43 may be formed of a deformable material that can infl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pleats 431 may be formed on the top plate 43 .

주름푸(431)는 상판(43)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는 주름진 부분이다. 에어포켓(40)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 주입량에 따라 상판(43)이 팽창될 때, 주름푸(431)가 펼쳐지며 팽창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상판(43)이 수축되면 주름푸(431)에는 다시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주름푸(431)는 상판(43)이 팽창될 수 있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wrinkles 431 are wrinkle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op plate 43 . When the top plate 43 is infl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the air pocket 40, the pleats 431 may be unfolded and inflated. In addition, when the top plate 43 is contracted as the air is discharged, wrinkles may be formed again in the pleat 431 . In this way, the pleat 431 may increase an area in which the top plate 43 can be expanded.

에어포켓(40)은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상판(43)만 팽창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바디(10)를 가압하고, 바디(10)의 가압을 통해 입천장을 가압하여 입천장에 자극을 줌으로써 상기도 근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The air pocket 40 is formed so that only the upper plate 43 expands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injected, thereby pressurizing the body 10 and stimulating the roof of the mouth through the pressurization of the body 10 to stimulate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can be strengthened.

에어포켓(40) 내부의 공기 배출은 보조프레임(30)의 전방부에 형성된 소정의 에어홀을 통해 배출하여, 사용자의 입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입 밖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Air discharge inside the air pocket 40 may be discharged through a predetermined air hol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30, so that it is discharged to the user's mouth so that it is discharged out of the mouth.

정수통(50)은 보조프레임(30) 내부에 설치되되, 두 개의 에어포켓(40) 사이에서 보조프레임(30)에 형성된 공급홀(31)과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bottle 5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auxiliary frame 30 and communicate with the supply hole 31 formed in the auxiliary frame 30 between the two air pockets 40 .

정수통(50)은 내부에 소정량의 정수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단말기와 연동되어, 신호에 따라 소정량의 정수 물을 공급홀(31)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 마다 배출시킬 수 있다.The purified water container 50 may contain a predetermined amount of purified water therein. In this state,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a predetermined amount of purified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upply hole 31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ccording to a signal.

정수통(50)은 보조프레임(30)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세척 및 정수물 보충이 가능하다.The purified water bottle 50 is detachably formed from the auxiliary frame 30, so that the user can wash and replenish purified water.

정수통(50)과 공급홀(31)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소정 량의 정수 물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안에 물이 형성되도록 하여 정수 물을 지속적으로 삼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기구(1)를 착용한 상태에서 정수 물을 자주 삼키도록 함으로써, 침을 삼키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B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urified wat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rough the purified water bottle 50 and the supply hole 31, water is formed in the user's mouth so that the purified water can be continuously swallowed. That is, by frequently swallowing purified water while wearing the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 the same effect as that of swallowing saliva can be genera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
10: 바디 11: 경구개지지부
12: 연구개지지부 13: 조절홈
14: 설근위치공간 20: 이물림판
21: 선단부 22: 후단부
23: 보조홈 24: 연결단차
30: 보조프레임 31: 공급홀
40: 에어포켓 41: 하판
42: 측판 43: 상판
431: 주름부 50: 정수통
1: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10: body 11: hard palate support
12: soft palate support 13: control groove
14: tongue root location space 20: interlocking plate
21: front end 22: rear end
23: auxiliary groove 24: connection step
30: auxiliary frame 31: supply hole
40: air pocket 41: lower plate
42: side plate 43: top plate
431: wrinkle part 50: water bottle

Claims (4)

구강 내부의 입천장의 형상에 따라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경구개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전방부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아랫니와 윗니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판 형태의 이물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윗니 안쪽의 입천장의 경구개에 접촉될 수 있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구개지지부;
상기 경구개지지부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곡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입천장의 연구개에 접촉될 수 있는 연구개지지부; 및
상기 경구개지지부에서 윗니의 앞니가 위치하는 중심부에서 소정 폭으로, 후방으로 소정 길이의 홈으로 형성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경구개지지부의 양 측부가 양 측 방향을 따라 소정 폭 벌어지거나 모아질 수 있도록 하는 조절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물림판은,
한 쌍이 상기 바디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상기 조절홈의 양 측에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경구개지지부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배열을 따라 설치되되,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물림판에는,
상기 이물림판의 둘레를 따라 선단부에서부터 후단부까지 소정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이물림판의 폭 사이에서 선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이어지는 슬릿 형태의 보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도 근기능 강화 운동 기구.
a body formed in an upwardly convex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oof of the mouth in the oral cavity,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hard palate; and
Including,
the body,
A hard palate support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can contact the hard palate of the palate inside the upper teeth;
a soft palate support part extended in a curved shape protru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hard palate support part and contacting the soft palate of the palate; and
In the hard palate support, a groove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center where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are located and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rear, and the width de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so that both sides of the hard palate support are formed in both directions. It includes; a control groove that allows a predetermined width to be spread or gathered along the
The bite plate,
One pair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ontrol groove so that a pair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and is installed along the tooth arrangement along the lower edge of the hard palate support, and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formed to widen
In the bite plate,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n auxiliary groove in the form of a slit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ite plat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and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between the width of the bite plate. Fitness equip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03534A 2023-01-10 2023-01-10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 KR1025629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534A KR102562986B1 (en) 2023-01-10 2023-01-10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534A KR102562986B1 (en) 2023-01-10 2023-01-10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986B1 true KR102562986B1 (en) 2023-08-02

Family

ID=8756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534A KR102562986B1 (en) 2023-01-10 2023-01-10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98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0329A (en) 2010-10-19 2012-04-27 김경석 Apparatus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sleep apnea
JP2014133016A (en) * 2013-01-11 2014-07-24 Kotaro Marumoto Mouthpiece type snore or sleep apnea prevention implement
KR102325958B1 (en) * 2021-05-31 2021-11-12 이동훈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KR102361865B1 (en) * 2021-02-21 2022-02-14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KR20220072488A (en) * 2020-11-25 2022-06-02 이일욱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0329A (en) 2010-10-19 2012-04-27 김경석 Apparatus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sleep apnea
JP2014133016A (en) * 2013-01-11 2014-07-24 Kotaro Marumoto Mouthpiece type snore or sleep apnea prevention implement
KR20220072488A (en) * 2020-11-25 2022-06-02 이일욱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
KR102361865B1 (en) * 2021-02-21 2022-02-14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KR102325958B1 (en) * 2021-05-31 2021-11-12 이동훈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380B2 (en) Oral appliances
US5915385A (en) Snore and stress relieving device
US5884625A (en) Oral appliance for delivering gas to the retroglossal area
US6494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noring, hypopnea and apnea
US10010444B2 (en) Breathing assist device
US20120227750A1 (en) Dental implant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BRPI0707500A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sleep apnea and snoring
US20120255561A1 (en) Devise for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treatment
KR102010191B1 (en) Extension for snoring prevention
US10105256B2 (en) Intraoral functional device for relie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 snoring and/or other airway disorders
CN213787854U (en) Dental occlusion sleeve structure
KR20100119249A (en) A pillow for a snorer
KR102562986B1 (en)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
KR20090022709A (en) Prosthesis for preventing snoring and the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AU2017265041B2 (en) Oral appliance
JP2006015001A (en) Lip implement
US20240226654A1 (en) Tongue Depression Auxiliary Device
TWI818818B (en) Tongue depression auxiliary device
RU2095039C1 (en) Snore prophylaxis and treatment device
RU40173U1 (en) DEVIC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ORRING AND FOR REMOVING TEETH GRINDING
KR20220090114A (en) Nasal cavity dilator
TW572754B (en) Snore preventer
TW202421233A (en) Tongue depression auxiliary device
KR20220089958A (en) Supporting base for anti-snoring apparatus
KR20220089955A (en) Anti-sno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