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198B1 - 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 - Google Patents

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198B1
KR102496198B1 KR1020210096478A KR20210096478A KR102496198B1 KR 102496198 B1 KR102496198 B1 KR 102496198B1 KR 1020210096478 A KR1020210096478 A KR 1020210096478A KR 20210096478 A KR20210096478 A KR 20210096478A KR 102496198 B1 KR102496198 B1 KR 102496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gh
ground
calf
supporting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15108A (en
Inventor
김봉준
김승겸
최재문
권오성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6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198B1/en
Publication of KR20230015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1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5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knee, leg or stump 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이 개시된다. 상기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은,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에 있어서, 허벅지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허벅지 파지부; 종아리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종아리 파지부; 상기 허벅지 파지부 양측 및 상기 종아리 파지부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보행 시 지면에 지지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지면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탱부; 및 일측이 상기 허벅지 파지부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지면 지지바 상부에 설치되며, 보행 시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사용자의 무릎이 자유롭게 굽혀질 수 있도록 상기 허벅지 파지부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허벅지 파지부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고, 보행 시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에 닿아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지면 지지바에 집중되어 실리게 되면 사용자의 무릎이 굽혀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상기 허벅지 파지부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회동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 crutch for supporting a load with the thigh is disclosed. The 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s, in the 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s, the thigh holding portion fixed to surround the thighs; A calf gripper fixed to surround the calf; Supporting units including ground support bar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thigh gripping unit and on both sides of the calf gripping unit and supported on the ground to support a load during walking; And one sid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gh gripping part, and the other sid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upport bar, so that the user's knee can be freely bent when the ground support bar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during walking. Based on one side of the thigh gripping part Rotate so that the angle of the thigh gripping part and the calf gripping part can be varied, and when the ground support bar touches the ground during walking and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ground support bar, the user's knee is fixed without bending It may include; rota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angle of the thigh gripping part and the calf gripping part in the state of being.

Description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 {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

본 발명은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의 하중을 겨드랑이를 통해 지탱하지 않고 허벅지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한 상태로 보행이 가능함으로써 보행 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utches supporting a load with the thighs, and more specifically, the crutches can be worn on the thighs without supporting the user's load through the armpits, thereby enabling walking while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s. It relates to crutches that support a load with one thigh so that both hands can be used freely when performing the task.

일반적으로, 다리를 다친 환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의료용 기구의 대표적인 것이 목발이다. 이러한 목발은 보통 환자의 겨드랑이에 위치하는 상단부와 지면에 위치하는 하단부 사이에 마련된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다친 발 또는 다리를 대신하여 하단부가 지면을 박차도록 손에 힘을 가하여 다리를 다친 환자라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crutches are representativ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medical devices for patients with leg injuries. These crutches can be moved even by a patient with an injured leg by holding the handl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art located in the armpit of the patient and the lower part located on the ground with the hand and applying force with the hand so that the lower part spur the ground instead of the injured foot or leg. It is configured so that

즉, 이와 같은 종래의 목발은, 다리를 다친 환자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손을 사용하여야만 하고, 이로 인해 다리를 다친 환자가 이동 중에는 다리 뿐만 아니라 손 조차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바, 많은 불편함을 갖고 있다고 할 것이다.In other words, such conventional crutches, in order for a patient with an injured leg to move, must use their hands inevitably, and this prevents a patient with an injured leg from freely using not only their legs but also their hands while moving, causing many inconveniences. will be said to have

또한, 이러한 기존의 목발을 사용할 때에는 겨드랑이에 목발을 끼워 지탱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 시 겨드랑이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these existing crutches,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armpit pain when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the crutches are inserted into the armpit and supported.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다리를 다친 환자라도 자유롭게 손을 사용하기 위해 다리에 장착될 수 있는 '다리 장착용 목발(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50193)'이 제안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leg-mounted crutche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50193)',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legs to freely use the hands even for patients with injured legs, has been proposed. there is.

하지만, 상기 종래의 다리 장착용 목발은 허벅지를 지지하는 제1 메인프레임과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2 메인프레임이 연결되고, 제1 메인프레임과 제2 메인프레임 연결부분에 각도조절 조인트가 설치되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eg-mounted crutches, a first main frame supporting the thigh and a second main frame supporting the calf are connected, and an angle adjustment joint is install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main frame and the second main frame to determine a predetermined valu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within the range of.

즉, 사용자의 무릎이 구부러지는 형태를 반영하여 각도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한 번 조절된 각도가 잠금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으로서 환자의 발 움직임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 보행 시 불편함을 가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That is, it is made to limit the range of angles by reflecting the bending shape of the user's knee, and the once adjusted angle is locked and fix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atient's foot is inevitably limited, which causes discomfort during walking. there is.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5019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5-0050193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하중을 겨드랑이를 통해 지탱하지 않고 허벅지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한 상태로 보행이 가능함으로써 보행 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행 시 무릎이 꺾이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회동되고 발이 땅에 닿을 때에만 각도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so that the user's load can be worn on the thigh without supporting it through the armpit, so that the user can walk while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so that both hands can be used freely during walking. It is to provide 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knee is variably rotated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of the knee during walking and the angle is fixed only when the foot touches the groun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은,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에 있어서, 허벅지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허벅지 파지부; 종아리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종아리 파지부; 상기 허벅지 파지부 양측 및 상기 종아리 파지부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보행 시 지면에 지지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지면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탱부; 및 일측이 상기 허벅지 파지부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지면 지지바 상부에 설치되며, 보행 시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사용자의 무릎이 자유롭게 굽혀질 수 있도록 상기 허벅지 파지부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허벅지 파지부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고, 보행 시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에 닿아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지면 지지바에 집중되어 실리게 되면 사용자의 무릎이 굽혀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상기 허벅지 파지부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회동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s, the thigh holding portion fixed to surround the thighs; A calf gripper fixed to surround the calf; Supporting units including ground support bar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thigh gripping unit and on both sides of the calf gripping unit and supported on the ground to support a load during walking; And one sid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gh gripping part, and the other sid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upport bar, so that the user's knee can be freely bent when the ground support bar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during walking. Based on one side of the thigh gripping part Rotate so that the angle of the thigh gripping part and the calf gripping part can be varied, and when the ground support bar touches the ground during walking and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ground support bar, the user's knee is fixed without bending It may include; rota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angle of the thigh gripping part and the calf gripping part in the state of being.

또한, 상기 허벅지 파지부는, 허벅지 뒤쪽 부분을 받치는 허벅지 받침부재; 및 상기 허벅지 받침부재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허벅지 받침부재를 허벅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허벅지 앞쪽 부분을 압박하여 감싸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종아리 파지부는, 종아리를 받치는 종아리 받침부재; 및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를 종아리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정강이 부분을 압박하여 감싸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gh gripping portion, the thigh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back portion of the thigh; and a stra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gh support member and wrapping the front portion of the thigh by compressing the thigh support member to firmly fix the thigh support member to the thigh. and a stra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lf support member and wrapping the shin portion by compressing the calf support member to firmly fix the calf support member to the calf.

또한, 상기 지탱부는, 상기 허벅지 파지부 양측에 설치되는 허벅지 지탱바; 상기 종아리 파지부 양측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지면에 지지되어 지면과 접촉 시 접촉면을 크게하여 사용자의 집중되는 체중을 분산시키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설치된 지면 지지바; 및 상기 지면 지지바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회동고정수단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허벅지 지탱바와 상기 지면 지지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thigh support ba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high gripping portion;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alf gripping part,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at the lower end to increase the contact surface when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disperse the user's concentrated weight and to mitigate the impact. Ground support with a buffer member installed bar; and a connection member installed above the ground support bar, provided with a groove therein, into which one side of the rotation fixing means is inserted, and connecting the thigh support bar and the ground support bar.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회동고정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설정된 탄성을 유지한 채 상기 상기 회동고정수단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회동고정수단이 삽입되는 부분에 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necting member, a spring may be embedded in a portion where the pivot fixing means is inserted to support the pivot fixing means while mitigating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pivot fixing means and maintaining set elasticity.

또한, 상기 지면 지지바는, 상부는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이어지면서 하부 단부에서 하나의 점에 모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 bar may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alf support member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made to gather at one point at the lower end while continuing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또한, 상기 완충부재에는, 지면에 닿는 바닥부분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a bottom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buffer member.

또한, 상기 회동고정수단은,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에 닿는 순간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지면 지지바로 집중된 상태로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에 지지되면 상기 지면 지지바를 통해 전달되는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수평방향 양측으로 분산되어 작용함으로써, 상기 허벅지 파지부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fixing means, when the ground support bar is supported on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ground support bar at the moment the ground support bar touches the ground, the force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ransmitted through the ground support bar is horizontal By distributing and acting in both directions, the angle of the thigh gripper and the calf gripper can be fixed.

또한, 상기 회동고정수단은, 상기 허벅지 파지부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홈과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연결바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스프링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일측면은 상기 스프링과 결합되고, 타측면은 중심부분을 제외하고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톱니가 형성된 제1톱니부재; 일측면은 상기 제1톱니부재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중심부분을 제외하고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절개된 체결홈이 형성된 제2톱니부재; 일측면은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은 축홀이 형성된 축삽입홈이 형성된 제1축홈부재; 하단이 상기 지면 지지바 상부와 연결되고, 상단은 일부 절개되어 공간이 마련되고 절개된 공간 중심부분에는 축이 관통 삽입되는 제1축삽입부가 구비된 연결바; 상기 연결바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구비된 제2축삽입부가 상기 제1축삽입부와 축결합되고, 타측에 구비된 제3축삽입부가 상기 제1축홈부재의 축삽입홈에 축결합되는 제1회동편 및 제2회동편을 포함하는 회동편; 일측면은 일측의 상기 회동편의 제3축삽입부와 축결합되기 위한 축홀이 형성된 축삽입홈이 형성된 제2축홈부재; 상기 제2축홈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되는 실린더부재; 및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기 연결바가 삽입되는 연결바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외부를 감싸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voting fixing means, the body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ripping portion of the thigh, has a spr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has a connection bar hole having one side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spring groove; a spring inserted into the spring groove; One side is coupled to the spring, the other side is a first sawtooth member formed along the circular rim except for the central portion; A second tooth member on one side having teeth formed along a circular rim except for the center portion to engage with the teeth of the first tooth member, and on the other side having fastening grooves cut outward from the center at regular intervals; A first shaft groove member on one side of which a fastening protrusion protrudes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groove, and on the other side, a shaft insertion groove formed with a shaft hole; A connection bar having a first shaft insertion portion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upport bar, a space provided by a partial cut at the upper end, and a shaft insert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of the cut space; The connecting bar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shaft inser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is shaft-coupled with the first shaft insertion part, and the third shaft insertion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Rotation pieces including first and second rotation pieces that are axially coupled; One side is a second shaft groove member formed with a shaft insertion groove formed with a shaft hole for shaft coupling with the third shaft insertion portion of the rotation piece on one side; a cylinder member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groove in which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is accommodated; and a cover having a space provided therein, a connecting bar hole having one side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nd into which the connecting bar is inserted, and sliding while wrapping around the outside of the body.

또한, 상기 회동고정수단은, 상기 허벅지 파지부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the pivot fixing means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igh gripper.

또한, 상기 연결바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일측의 상기 회동편, 상기 제1축홈부재, 상기 제2톱니부재, 상기 제1톱니부재, 상기 스프링, 상기 몸체 순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를 기준으로 타측으로, 타측의 상기 회동편, 상기 제2축홈부재, 상기 실린더부재, 상기 커버 순으로 결합되어,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체중 무게중심이 상기 지면 지지바 상측에 집중되는 작용에 따라 상기 연결바가 상승하면, 상기 일측의 상기 회동편과 타측의 상기 회동편이 회동하여 수평상태로 되면서 상기 제1축홈부재와 상기 제2축홈부재를 바깥쪽으로 밀어내고, 이에 따라 상기 제2톱니부재와 상기 제1톱니부재의 톱니가 맞물리면서 상기 연결바의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허벅지 파지부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의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voting piece on one side,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the second sawtooth member, the first sawtooth member, the spring, and the body are coupled to one side based on the connecting bar in this order, and the other side based on the connecting bar. To the other side, the pivot piece,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the cylinder member, and the cover are coupled in order, so that the ground support bar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support bar. When the connecting bar rises, the pivoting piece on one side and the pivoting piece on the other side rotate to a horizontal state and push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and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outward, thereby pushing the second sawtooth member and the As the teeth of the first sawtooth member are engaged,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bar is restricted, so that an angle between the thigh gripper and the calf gripper may be fixed.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스프링홈 일측과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톱니부재에는, 상기 내측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inner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groove in the body, and at least one side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may be formed on the first toothed member.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에는, 테두리 부분이 확장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플랜지가 걸림되면서 상기 실린더부재가 상기 커버에 고정되도록 하는 실린더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lange having an extended edg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cylinder member, and a cylinder hole may be formed in the cover to allow the cylinder member to be fixed to the cover while the flange is engaged.

본 발명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은, 사용자의 하중을 겨드랑이를 통해 지탱하지 않고 허벅지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짐으로써 겨드랑이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고 장시간 사용 시 사용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한 상태로 보행이 가능함으로써 보행 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보행 시 무릎이 꺾이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회동되고 발이 땅에 닿을 때에만 각도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안정적이고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유도할 수 있어 보행에 따른 피로도를 낮춤은 물론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보행 시 넘어질 우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rutches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to be worn on the thigh without supporting the user's load through the armpit, thereby reducing the user's fatigue when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causing pain in the armpit. It is possible to walk while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s, allowing both hands to be used freely while walking, and has a structure that turns variably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of the knee while walking and the angle is fixed only when the foot touches the grou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duce a stable and natural gait, thereby reducing the fatigue caused by walking and reducing the risk of falling due to an unstable pos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의 정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을 착용한 상태의 상태도.
도 6 내지 도 7은 회동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9는 회동고정수단의 작동 전, 후를 모습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utch for supporting a load with a thig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crutches for supporting a load to the thig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crutches for supporting a load with the thig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is a state diagram of a state wearing 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rotating fixing means.
8 to 9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showing the appearanc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fixing means.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objective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member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은, 사용자의 하중을 겨드랑이를 통해 지탱하지 않고 허벅지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한 상태로 보행이 가능함으로써 보행 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행 시 무릎이 꺾이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회동되고 발이 땅에 닿을 때에만 각도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에 관한 것이다.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to be worn on the thighs without supporting the user's load through the armpits, thereby enabling walking while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utches supporting a load with thigh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both hands can be freely used when walking, and the angle is variably rotated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of the knee during walking and the angle is fixed only when the foot touches the grou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의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을 착용한 상태의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utch for supporting a load with a thig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crutch for supporting a load with a thig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crutch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of a crutch for supporting a load with a thigh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S. 4 to 5 are state diagrams of a state wearing crutches for supporting a load with the thig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1)은 크게 허벅지 파지부(10), 종아리 파지부(20), 지탱부(30) 및 회동고정수단(1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crutch 1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gh gripping part 10, a calf gripping part 20, a support part 30, and a rotation A fixing means 100 may be included.

먼저, 허벅지 파지부(10)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부분으로, 허벅지 뒤쪽 부분을 받치는 허벅지 받침부재(11) 및 상기 허벅지 받침부재(11)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허벅지 받침부재(11)를 허벅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허벅지 앞쪽 부분을 압박하여 감싸는 스트랩(12)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thigh gripping part 10 is a part fixed to surround the user's thigh,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gh supporting member 11 and the thigh supporting member 11 supporting the rear part of the thigh, and the thigh supporting member 11 It may include a strap 12 that wraps around the front part of the thigh by compressing it in order to firmly fix the thigh to the thigh.

상기 허벅지 받침부재(11)는 허벅지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허벅지에 착용 시 형틀은 유지하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은 최소화하도록 이중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측부분은 딱딱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형틀을 유지하고 허벅지와 접촉되는 내측부분은 상대적으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허벅지 두께에 맞게 조절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성은 높일 수 있게 된다.The thigh support member 11 is made to cover more than half of the thigh and may be made of a double structure to minimize discomfort due to wearing while maintaining the mold when worn on the user's thigh. That is, the outer part is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o maintain the mold, and the inner part in contact with the thigh is made of a relatively soft material and is adjustable to fit the user's thigh thickness, so that wearability can be improved.

상기 스트랩(12)은 상기 허벅지 받침부재(11)를 사용자의 허벅지에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 두께에 맞게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허벅지 받침부재(11) 양측에 고리가 구비되어 일측의 고리에는 상기 스트랩(12)이 고정되어 스트랩(12)을 고리에 걸어 당긴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스트랩(12)은 벨크로 구조로 이루어져 착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스트랩(12)은 벨크로 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넵단추 등 스트랩(12)을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한정하지 않고 포함할 수 있다.The strap 12 is a part for fixing the thigh support member 11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ser's thigh in a state in which the thigh support member 11 is arranged to be wrapped around the user's thigh. The strap 12 is fixed to the ring of the hook, and the strap 12 can be fixed in a pulled state by hooking it to the ring. At this time, the strap 12 is made of a Velcro structure to provide convenience of wearing. However, the strap 12 is not limited to a Velcro structure, and may include any means capable of attaching and fixing the strap 12, such as a snap button, without limitation.

다음으로, 종아리 파지부(20)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부분으로, 종아리 뒤쪽 부분을 받치는 종아리 받침부재(21) 및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21)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21)를 종아리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종아리 앞쪽 부분을 압박하여 감싸는 스트랩(22)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alf gripping part 20 is a part fixed to surround the user's calf,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lf support member 21 and the calf support member 21 supporting the rear part of the calf, and the calf support member 21 ) may include a strap 22 that wraps around the front part of the calf by compressing it in order to firmly fix it to the calf.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21)는 종이리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종아리에 착용 시 형틀은 유지하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은 최소화하도록 이중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측부분은 딱딱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형틀을 유지하고 종아리와 접촉되는 내측부분은 상대적으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종아리 두께에 맞게 조절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성은 높일 수 있게 된다.The calf support member 21 is made to cover more than half of the paper roll and may be made of a double structure to minimize discomfort caused by wearing while maintaining the mold when worn on the user's calf. That is, the outer part is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o maintain the mold, and the inner part in contact with the calf is made of a relatively soft material to be adjustable to the thickness of the user's calf, so that wearability can be improved.

상기 스트랩(22)은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21)를 사용자의 종아리에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종아리 두께에 맞게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21) 양측에 고리가 구비되어 일측의 고리에는 상기 스트랩(22)이 고정되어 스트랩(22)을 고리에 걸어 당긴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스트랩(22)은 벨크로 구조로 이루어져 착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스트랩(22)은 벨크로 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넵단추 등 스트랩(22)을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한정하지 않고 포함할 수 있다.The strap 22 is a part for fixing the calf support member 21 to fit the thickness of the user's calf in a state in which the calf support member 21 is arranged to wrap around the user's calf, and is provided with rings on both sides of the calf support member 21 to one side The strap 22 is fixed to the ring of the strap 22 can be fixed in a state where the strap 22 is hooked and pulled. At this time, the strap 22 is made of a Velcro structure to provide convenience of wearing. However, the strap 22 is not limited to a Velcro structur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y means capable of attaching and fixing the strap 22, such as a snap button, without limitation.

다음으로, 지탱부(30)는 상기 허벅지 파지부(10) 양측 및 상기 종아리 파지부(20)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보행 시 지면에 지지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지면 지지바(32)를 포함하는 부분이다.Next, the support part 30 is installed to face both sides of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calf gripping part 20, a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during walking to support the load. Includes a ground support bar 32 part of doing

상기 지탱부(30)는 상기 허벅지 파지부(10) 양측에 설치되는 허벅지 지탱바(31), 상기 종아리 파지부(20) 양측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지면에 지지되어 지면과 접촉 시 접촉면을 크게하여 사용자의 집중되는 체중을 분산시키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33)가 설치된 지면 지지바(32) 및 상기 지면 지지바(32)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회동고정수단(100)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허벅지 지탱바(31)와 상기 지면 지지바(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3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high support bar 3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calf gripping part 20,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wer e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It is installed on the ground support bar 32 and the ground support bar 32 with a buffer member 33 for distributing the user's concentrated weight and relieving shock by increasing the contact surface when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groove is provided, one side of the rotation fixing means 100 is inserted, and a connection member 35 connecting the thigh support bar 31 and the ground support bar 32 may be included.

상기 허벅지 지탱바(31)는 상기 허벅지 받침부재(11) 양측에 '바' 형상으로 부착되는 구조물이고, 상기 지면 지지바(32)는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지면과 닿는 부분이다.The thigh support bar 31 is a structu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thigh support member 11 in a 'bar' shape, and the ground support bar 32 is a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ground and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때, 상기 지면 지지바(32)는 지면과 맞닿는 단부에 사용자의 체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33)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buffer member 33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installed at an end of the ground support bar 32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re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한편, 상기 지면 지지바(32) 상부에는 설치되는 연결부재(35)는 상기 회동고정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설정된 탄성을 유지한 채 상기 상기 회동고정수단(10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회동고정수단(100)이 삽입되는 부분에 스프링(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member 35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upport bar 32 is to support the pivot fixing means 100 while mitigating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rotation fixing means 100 and maintaining the set elasticity. For this purpose, a spring (not shown) may be embedded in a portion where the rotation fixing means 100 is inserted.

즉, 상기 연결부재(35)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상기 회동고정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탄성을 통해 수용하고 상기 회동고정수단(100)의 압력이 기준 설정압력 이하로 낮아지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고정수단(100)이 최초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That is, a spring is built into the connecting member 35 to accommodate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pivoting fixing means 100 through elasticity,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pivoting fixing means 100 is lowered to the standard set pressure or less, the spring By the restoring force, the rotation fixing means 100 is initially raised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상기 지면 지지바(32)는 상부는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21)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이어지면서 하부 단부에서 하나의 점에 모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 bar 32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alf support member 21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made to gather at one point at the lower end while continu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이때, 상기 지면 지지바(32)는 완만한 곡률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하나의 점으로 모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탄성력은 유지한 채 사용자의 체중은 분산되는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ground support bar 32 may be bent to have a gentle curvature and be formed to gather at one point. This is basically to obtain an effect of distributing the user's weight while maintaining elasticity.

한편, 상기 완충부재(33)에는 지면에 닿는 바닥부분 일측, 즉 전면의 일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보행 시 앞으로 전진하는 경우 완충부재(33) 앞부분에 형성된 경사면부(34)를 통해 마찰 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마찰저항없이 걸음걸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어 안전한 보행 및 보행 자세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ffer member 33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portion 34 inclined at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contacting the ground, that is,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That is, when the user moves forward while walking, the friction generating factor is removed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buffer member 33, so that the gait mo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frictional resistance,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safe walking and walking posture. be able to reduce

마지막으로, 회동고정수단(100)은 일측이 상기 허벅지 파지부(10)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지면 지지바(32) 상부에 설치되며, 보행 시 상기 지면 지지바(3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사용자의 무릎이 자유롭게 굽혀질 수 있도록 상기 허벅지 파지부(10)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허벅지 파지부(10)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20)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고, 보행 시 상기 지면 지지바(32)가 지면에 닿아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지면 지지바(32)에 집중되어 실리게 되면 사용자의 무릎이 굽혀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상기 허벅지 파지부(10)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20)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부분이다.Finally, the rotation fixing means 100 has one sid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other sid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upport bar 32, and the ground support bar 32 is removed from the ground when walking. When separated, the thigh gripping part 10 is rotated based on one side so that the user's knee can be bent freely,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calf gripping part 20 can be varied, and when walking When the ground support bar 32 touches the ground and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ground support bar 32, the user's knee is fixed without bending, and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calf wave This part allows the angle of the branch 20 to be fixed.

이하에서는 회동고정수단(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ivot fixing mean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 내지 도 7은 회동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회동고정수단의 작동 전, 후를 모습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6 to 7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rotation fixing means, and FIGS. 8 to 9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fixing means.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1)에 있어 상기 회동고정수단(100)은 사용자의 보행 시 보다 자유롭게 무릎이 굽혀진 상태로 걸음걸이가 가능하도록 가변적으로 허벅지 파지부(10)와 종아리 파지부(20)가 회동되거나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5 to 8, in the crutches 1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 fixing means 100 allows the user to walk with the knees bent more freely during walking. It is a part for variably rotating or fixing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calf gripping part 20.

상기 회동고정수단(100)은 상기 지면 지지바(32)가 지면에 닿는 순간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지면 지지바(32)로 집중된 상태로 상기 지면 지지바(32)가 지면에 지지되면 상기 지면 지지바(32)를 통해 전달되는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수평방향 양측으로 분산되어 작용함으로써, 상기 허벅지 파지부(10)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20)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부분이다.The rotation fixing means 100 supports the ground when the ground support bar 32 is supported on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ground support bar 32 at the moment the ground support bar 32 touches the ground. This is a part that fixes the angle between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calf gripping part 20 by distributing and acting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direction transmitted through the bar 32.

상기 회동고정수단(100)은 크게 몸체(110), 스프링(120), 제1톱니부재(130), 제2톱니부재(140), 제1축홈부재(150), 연결바(160), 회동편(170), 제2축홈부재(180), 실린더부재(190) 및 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fixing means 100 is largely a body 110, a spring 120, a first saw member 130, a second saw member 140, a first shaft groove member 150, a connecting bar 160, a rotation It may include a piece 170, a second shaft groove member 180, a cylinder member 190 and a cover 200.

먼저, 몸체(110)는 원통형 구조의 외형을 가지고 상기 허벅지 파지부(10)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이 수납될 수 있도록 스프링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홈(111) 중심에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홈(111)과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연결바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몸체(110)는 상기 허벅지 파지부(10)의 허벅지 받침부재(11) 일측에 부착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허벅지 지탱바(31) 하단과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110)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허벅지 지탱바(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First, the body 110 has an external shape of a cylindrical structure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a spring groove 111 is formed inside so that a spring can be accommodated, and in the center of the spring groove 111 It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and a connection bar hole 113 having one side ope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ring groove 111 may be formed. The body 110 is attach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thigh support member 11 of the thigh gripper 10, and at this time, it may be install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thigh support bar 31. Accordingly, the force applied to the body 110 may be supported by the thigh support bar 31 .

다음으로, 스프링(120)은 완충작용을 위해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지는 통상의 스프링으로서 상기 스프링홈(11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프링(120)은 일측단이 상기 스프링홈(111)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Next, the spring 120 is a part inserted into the spring groove 111 as a normal spring having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for a buffering action. The spring 120 may be installed such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pring groove 111 .

다음으로, 제1톱니부재(130)는 일측면은 상기 스프링(120)과 결합되고, 타측면은 중심부분을 제외하고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톱니가 형성된 부분이다. 즉, 상기 제1톱니부재(130)는 상기 스프링(120)과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홈(111)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Next, one side of the first sawtooth member 130 is coupled to the spring 120, and the other side is a portion where teeth are formed along the circular rim except for the center portion. That is, the first sawtooth member 130 may be coupled to the spring 120 and accommodated in the spring groove 111 .

한편, 상기 몸체(110)에는 상기 스프링홈(111) 일측과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홈(1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톱니부재(130)에는 상기 내측홈(112)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inner groove 112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groove 111 in the body 110, and the first tooth member 1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112. At least one side protrusion 131 may be formed.

상기 내측홈(112)은 상기 스프링홈(111)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2개가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돌기(131)는 상기 내측홈(112)과 대응되게 상기 제1톱니부재(130)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r at least two of the inner grooves 112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ring groove 111, and the side protrusions 131 correspond to the inner grooves 112 so that the first toothed member 130 ) may protru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처럼, 상기 제1톱니부재(130)는 상기 측면돌기(131)가 상기 내측홈(11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홈(111)에 슬라이딩 되면서 수납됨으로써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회동되지 않고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the first sawtooth member 130 is accommodated while sliding into the spring groove 111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protrusion 131 is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112, so that the first tooth member 130 moves horizontally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r rotated. this becomes possible

다음으로, 제2톱니부재(140)는 일측면은 상기 제1톱니부재(130)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중심부분을 제외하고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절개된 체결홈(141)이 형성된 부분이다. 이때, 상기 제1톱니부재(130)와 상기 제1톱니부재(140)의 서로 맞물리는 톱니는 동일한 치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41)은 중심부분에서 외주면까지 개방되되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톱니부재(130)와 상기 제2톱니부재(140)는 상시 톱니가 맞물려 있는 상태가 아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일시적으로 맞물려 있거나 분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Next, one side of the second sawtooth member 140 is formed with sawtooth along the circular rim except for the center portion so as to engage with the sawtooth of the first sawtooth member 130, and the other side is outward from the center. This is a portion in which fastening grooves 141 cut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At this time, the teeth meshing with each other of the first tooth member 130 and the first tooth member 140 are formed in the same tooth shape to be firmly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fastening groove 141 extends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open, but multiple pieces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first tooth member 130 and the second tooth member 140 are not in a state in which teeth are always engaged, but may be temporarily engaged or separated by a user's selection.

다음으로, 제1축홈부재(150)는 일측면은 상기 체결홈(141)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151)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은 축홀이 형성된 축삽입홈(152)이 형성된 부분이다. 즉, 상기 제1축홈부재(150)는 상기 제2톱니부재(140)와 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톱니부재(140)의 체결홈(141)에 상기 제1축홈부재(150)의 체결돌기(151)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Next, one side of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150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151 protruding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groove 141, and the other side has a shaft insertion groove 152 formed with a shaft hole. part formed. That is,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15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sawtooth member 140, and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150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groove 141 of the second sawtooth member 140. The fastening protrusion 151 may be coupl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한편, 상기 축삽입홈(152)은 '축' 또는 '핀' 구조물이 삽입되어 후술하는 회동편(170) 일측이 축결합되기 위해 축홀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회동편(170)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aft insertion groove 15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haft hole is formed so that a 'shaft' or 'pin' structure is inserted and one side of the pivoting piece 170 to be described later is shaft-coupled. In addition, a groove may be formed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pivoting piece 170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연결바(160)는 하단이 상기 지면 지지바(32) 상부와 연결되고, 상단은 일부 절개되어 공간이 마련되고 절개된 공간 중심부분에는 축이 관통 삽입되는 제1축삽입부(161)가 구비된 부분이다.Nex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ar 16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upport bar 32, the upper end is partially cut to provide a space, and the shaft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ut space First shaft insertion portion 161 ) is the part provided.

상기 연결바(160)는 상기 허벅지 받침부재(11)와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21) 사이에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지면 지지바(32)로 전달되도록 연결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바(160)는 막대 형상으로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1축삽입부(161)가 원통형의 중공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ar 160 is disposed between the thigh support member 11 and the calf support member 21, and substantially connect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user's thigh to the ground support bar 32 am. The connecting bar 160 may have a bar shape, and the first shaft insertion part 161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hollow shape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다음으로, 회동편(170)은 상기 연결바(160)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구비된 제2축삽입부(171)가 상기 제1축삽입부(161)와 축결합되고, 타측에 구비된 제3축삽입부(172)가 상기 제1축홈부재(150)의 축삽입홈(152)에 축결합되는 제1회동편(170a) 및 제2회동편(170b)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pivoting piece 170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bar 160, and the second shaft insert 171 provided on one side is shaft-coupled with the first shaft insert 161, The third shaft insertion portion 172 provided on the other side may include a first rotational piece 170a and a second rotational piece 170b shaft-coupled to the shaft insertion groove 152 of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150. can

이때, 상기 제1축삽입부(161) 동일축선상의 일측에는 상기 제2회동편(170b)의 제2축삽입부(171)가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축삽입부(161)와 상기 제2회동편(170b)의 제2축삽입부(171)가 밀착된 상태에서 동일축선상의 외측부분에 상기 제1회동편(170a)의 제2축삽입부(171)가 양측으로 배치되도록 축결합되어, 상기 제1축삽입부(161)를 중심으로 상기 제1회동편(170a)과 상기 제2회동편(170b)이 회동가능하도록 축결합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shaft insertion portion 171 of the second rotational piece 170b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shaft insertion portion 161 on the same axis, and the first shaft insertion portion 161 and the second shaft insertion portion 161 ar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haft insertion portion 171 of the second rotational piece 170b is in close contact, the second shaft insertion portion 171 of the first rotational piece 170a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portion on the same axis. By being coupled, the first rotational piece 170a and the second rotational piece 170b can be axially coupled around the first shaft insertion part 161 so as to be rotatable.

즉, 상기 회동편(170)은 상기 연결바(160)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회동편(170a)이 타측에는 제2회동편(170b)이 각각 배치되도록 축결합되며, 상기 연결바(160)의 수직운동에 따라 상기 회동편(170)이 제1축삽입부(161)와 제2축삽입부(171)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상태로 회동하게 된다.That is, the rotational piece 170 is shaft-coupled so that the first rotational piece 170a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second rotational piece 170b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ar 160,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bar 160 )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tation piece 170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shaft insertion portion 161 and the second shaft insertion portion 171 are disposed on the same axis.

다음으로, 제2축홈부재(180)는 일측면은 일측의 상기 회동편(170))의 제3축삽입부(172)와 축결합되기 위한 축홀이 형성된 축삽입홈(181)이 형성된 부분이다. 즉, 상기 제2축홈부재(180)는 상기 제1축홈부재(150)에서 체결돌기(151)만 생략된 구조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축홈부재(150)와 상기 제2축홈부재(180)는 상기 연결바(160)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Next, one side of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180 is a portion in which a shaft insertion groove 181 is formed with a shaft hole for shaft coupling with the third shaft insertion portion 172 of the rotation piece 170) on one side. . That is,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180 may be formed similarly to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fastening protrusion 151 is omitted from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150. Therefore,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150 and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180 may be disposed to fac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bar 160.

다음으로, 실린더부재(190)는 상기 제2축홈부재(180)가 수용되는 수용홈(191)이 마련되는 부분으로, 상기 실린더부재(190)에는 테두리 부분이 확장된 플랜지(192)가 형성될 수 있고, 이때, 후술하는 커버(200)에는 상기 플랜지(192)가 걸림되면서 상기 실린더부재(190)가 상기 커버(2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실린더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cylinder member 190 is a portion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groove 191 in which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180 is accommodated, and a flange 192 with an extended rim portion is formed in the cylinder member 190. At this time, a cylinder hole 220 may be formed in the cover 2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ylinder member 190 is fixed to the cover 200 while the flange 192 is caught.

마지막으로, 커버(20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기 연결바(160)가 삽입되는 연결바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 외부를 감싸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부분이다.Finally, the cover 200 has a space inside, a connection bar hole 210 into which the connection bar 160 is inserted, one side of which is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nd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body 110. It is a part that slides while moving.

상기 커버(20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원통형 구조로서 개방된 일측이 상기 몸체(110)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연결바홀(210)을 통해 연결바(160)가 위치되며, 외측에 형성된 상기 실린더홀(220)을 통해 상기 실린더부재(190)가 측면이 노출되도록 걸림되게 삽입될 수 있다.The cover 20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a space inside, and one open side is inserted into the body 110, a connecting bar 160 is positioned through the connecting bar hole 210, and the cylinder hole formed on the outside. Through 220, the cylinder member 190 can be inserted so as to be hooked so that the side surface is exposed.

이러한 상기 회동고정수단(100)은 상기 허벅지 파지부(10)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A pair of the pivot fixing means 10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igh gripping part 10 .

한편, 상기 회동고정수단(100)의 결합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otation fixing means 1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연결바(160)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일측의 상기 제1회동편(170a), 상기 제1축홈부재(150), 상기 제2톱니부재(140), 상기 제1톱니부재(130), 상기 스프링(120), 상기 몸체(110) 순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160)를 기준으로 타측으로, 타측의 상기 제2회동편(170b), 상기 제2축홈부재(180), 상기 실린더부재(190), 상기 커버(200) 순으로 결합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rotation piece 170a on one side,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150, the second sawtooth member 140, and the first sawtooth member 130 on one side based on the connecting bar 160 ), the spring 120, and the body 110 are coupled in this order, to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bar 160, the second pivot piece 170b on the other side,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180, The cylinder member 190 and the cover 200 may be coupled in order.

한편, 사용자가 목발(1)을 착용하고 보행 시 지면을 지지하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지면 지지바(32)가 지면에 닿을 경우, 지면에 지지되면서 지면 지지바(32)에 받는 힘과 사용자의 체중의 하중에 따라 상기 허벅지 파지부(10)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상기 연결부재(35) 부근에서 서로 집중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ears the crutches (1) and supports the ground while walking or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repeatedly, when the ground support bar 32 touches the ground, the ground support bar 32 is supported on the ground. ) and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thigh gripper 10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user's body weight are concentrated on each other near the connection member 35.

이때, 상기 지면 지지바(32)가 지면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체중 무게중심이 상기 지면 지지바(32) 상측에 집중되는 작용에 따라 상기 연결바(160)가 상승하면, 상기 일측의 상기 제1회동편(170a)과 타측의 상기 제2회동편(170b)이 회동하여 상기 연결바(160)와 상기 회동편(170)은 수평상태로서 'T'자 형상으로 되면서 상기 제1축홈부재(150)와 상기 제2축홈부재(180)를 바깥쪽으로 밀어내고, 이에 따라 스프링(120)이 압축되면서 반발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2톱니부재(140)와 상기 제1톱니부재(130)의 톱니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연결바(160)의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허벅지 파지부(10)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20)의 각도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ground support bar 32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connection bar 160 rises according to the action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support bar 32, the first The pivoting piece 170a and the second pivoting piece 170b on the other side rotate so that the connecting bar 160 and the pivoting piece 170 are in a 'T' shape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150 ) and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180 are pushed outward, and as a result, the spring 120 is compressed and a repulsive force acts so that the teeth of the second tooth member 140 and the first tooth member 130 are mutually While engaging,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bar 160 is restricted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calf gripping part 20 can be fixed.

이와 반대로 상기 지면 지지바(32)가 지면에 지지되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면 상기 지면 지지바(32)의 가압되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써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바(160)가 하강하면, 상기 일측의 상기 제1회동편(170a)과 타측의 상기 제2회동편(170b)이 회동하여 상기 연결바(160)와 상기 회동편(170)은 사선상태로서 'Y'자 형상으로 되면서 상기 제1축홈부재(150)와 상기 제2축홈부재(180)를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수평이동 하고, 이에 따라 스프링(120)은 신장되어 반발력이 약해져 상기 제2톱니부재(140)와 상기 제1톱니부재(130)의 톱니가 서로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어 분리되면서 상기 연결바(160)의 회동이 제한 또한 해제되어 상기 허벅지 파지부(10)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20)의 각도가 자연스럽게 가변가능한 구조로 될 수 있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ground support bar 32 is not supported on the ground and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the pressing force of the ground support bar 32 does not act, so when the connecting bar 160 descends due to its own weight , The first pivoting piece 170a on one side and the second pivoting piece 170b on the other side rotate so that the connecting bar 160 and the pivoting piece 170 form a 'Y' shape in an oblique state.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150 and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180 move horizontally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accordingly, the spring 120 is extended and the repulsive force is weakened so that the second sawtooth member 140 and the first As the interlocking state of the teeth of the toothed member 130 is released and separated,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bar 160 is also released,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calf gripping part 20 is naturally variable. structure can be made.

따라서, 사용자가 목발(1)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시 지면 지지바(32)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허벅지 파지부(10)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20)의 각도가 고정되고, 보행 시 지면 지지바(3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허벅지 파지부(10)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20)의 각도가 고정이 해제되어 가변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walks while wearing the crutches 1, the angle between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calf gripping part 20 is fixed when the ground support bar 32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walking When the ground support bar 32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the angle between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calf gripping part 20 is released from fixation and can be changed.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목발(1)을 사용하여 보행하더라도 무릎이 굽혀질 수 있어 자연스러운 걸음걸이가 가능하되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허벅지 파지부(10)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20)의 각도가 고정됨으로써 지면을 지지하여 전진하여 나아가는 순간에는 지면을 지지하는 힘을 받을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even if the user walks using the crutches 1, the knee can be bent, allowing a natural gait, but in a state spaced from the ground, the angle between the thigh gripping part 10 and the calf gripping part 20 is By being fixed, it is possible to receive a force supporting the ground at the moment of moving forward by supporting the ground.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1)은 사용자의 하중을 겨드랑이를 통해 지탱하지 않고 허벅지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짐으로써 겨드랑이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고 장시간 사용 시 사용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한 상태로 보행이 가능함으로써 보행 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보행 시 무릎이 꺾이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회동되고 발이 땅에 닿을 때에만 각도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안정적이고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유도할 수 있어 보행에 따른 피로도를 낮춤은 물론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보행 시 넘어질 우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crutches 1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to be worn on the thigh without supporting the user's load through the armpit, so that pain does not occur in the armpit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user's fatigue when using it for a long time without using it, and it is possible to walk while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s, so that both hands can be used freely while walking.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angle is fixed only when it touches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induce a stable and natural gait,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fatigue caused by walking as well as reducing the risk of falling when walking due to an unstable postur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um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목발 10: 허벅지 파지부
11: 허벅지 받침부재 12: 스트랩
20: 종아리 파지부 21: 종아리 받침부재
22: 스트랩 30: 지탱부
31: 허벅지 지탱바 32: 지면 지지바
33: 완충부재 34: 경사면부
35: 연결부재 100: 회동고정수단
110: 몸체 111: 스프링홈
112: 내측홈 113: 연결바홀
120: 스프링 130: 제1톱니부재
131: 측면돌기 140: 제2톱니부재
141: 체결홈 150: 제1축홈부재
151: 체결돌기 152: 축삽입홈
160: 연결바 161: 제1축삽입부
170: 회동편 170a: 제1회동편
170b: 제2회동편 171: 제2축삽입부
172: 제3축삽입부 180: 제2축홈부재
181: 축삽입홈 190: 실린더부재
191: 수용홈 192: 플랜지
200: 커버 210: 연결바홀
220: 실린더홀
1: crutches 10: thigh gripping part
11: thigh support member 12: strap
20: calf gripping part 21: calf support member
22: strap 30: support
31: thigh support bar 32: ground support bar
33: buffer member 34: inclined surface portion
35: connecting member 100: rotation fixing means
110: body 111: spring home
112: inner groove 113: connection bar hole
120: spring 130: first tooth member
131: side projection 140: second sawtooth member
141: fastening groove 150: first shaft groove member
151: fastening protrusion 152: shaft insertion groove
160: connecting bar 161: first shaft insertion part
170: round trip 170a: first round trip
170b: 2nd rotation piece 171: 2nd shaft insertion part
172: third shaft insertion part 180: second shaft groove member
181: shaft insertion groove 190: cylinder member
191: receiving groove 192: flange
200: cover 210: connection bar hole
220: cylinder hole

Claims (12)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에 있어서,
허벅지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허벅지 파지부;
종아리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종아리 파지부;
상기 허벅지 파지부 양측 및 상기 종아리 파지부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보행 시 지면에 지지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지면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탱부; 및
일측이 상기 허벅지 파지부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지면 지지바 상부에 설치되며, 보행 시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사용자의 무릎이 자유롭게 굽혀질 수 있도록 상기 허벅지 파지부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허벅지 파지부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고, 보행 시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에 닿아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지면 지지바에 집중되어 실리게 되면 사용자의 무릎이 굽혀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상기 허벅지 파지부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회동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In the crutches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a thigh holding portion fixed to surround the thigh;
A calf gripper fixed to surround the calf;
Supporting units including ground support bar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thigh gripping unit and on both sides of the calf gripping unit and supported on the ground to support a load during walking; and
One sid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gh gripping part, the other sid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upport bar, and the user's knee is freely bent when the ground support bar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during walking Rotation based on one side of the thigh gripping part So that the angle of the thigh gripping part and the calf gripping part can be varied, and when the ground support bar touches the ground during walking and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ground support bar, the user's knee is fixed without bending. 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fixing means for fixing the angle of the thigh gripping part and the calf gripping part in a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파지부는,
허벅지 뒤쪽 부분을 받치는 허벅지 받침부재; 및
상기 허벅지 받침부재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허벅지 받침부재를 허벅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허벅지 앞쪽 부분을 압박하여 감싸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종아리 파지부는,
종아리를 받치는 종아리 받침부재; 및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를 종아리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정강이 부분을 압박하여 감싸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According to claim 1,
The thigh gripping part,
a thigh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rear portion of the thigh; and
A stra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gh support member and pressing and wrapping the front portion of the thigh in order to firmly fix the thigh support member to the thigh;
The calf gripping part,
A calf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calf; and
A crutch for supporting a load with the thigh, comprising: a stra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lf support member and wrapping the shin portion by pressing the calf support member to firmly fix the calf support member to the calf.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부는,
상기 허벅지 파지부 양측에 설치되는 허벅지 지탱바;
상기 종아리 파지부 양측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지면에 지지되어 지면과 접촉 시 접촉면을 크게하여 사용자의 집중되는 체중을 분산시키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설치된 지면 지지바; 및
상기 지면 지지바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회동고정수단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허벅지 지탱바와 상기 지면 지지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part,
Thigh support ba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high gripping portion;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alf gripping part,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at the lower end to increase the contact surface when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disperse the user's concentrated weight and to mitigate the impact. Ground support with a buffer member installed bar; and
A crutch for supporting a load with the thigh,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upport bar, provided with a groove therein, into which one side of the rotation fixing means is inserted, and connecting the thigh support bar and the ground support bar.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회동고정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설정된 탄성을 유지한 채 상기 상기 회동고정수단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회동고정수단이 삽입되는 부분에 스프링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According to claim 3,
In the connecting member,
A crutch for supporting a load with the thigh, characterized in that a spring is built into the part where the rotation fixing means is inserted to support the rotation fixing means while mitigating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rotation fixing means and maintaining the set elasticity.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지지바는,
상부는 상기 종아리 받침부재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이어지면서 하부 단부에서 하나의 점에 모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According to claim 3,
The ground support bar,
The upper portion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alf support member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gather at one point at the lower end while lea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에는,
지면에 닿는 바닥부분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According to claim 3,
In the buffer member,
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고정수단은,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에 닿는 순간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지면 지지바로 집중된 상태로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에 지지되면 상기 지면 지지바를 통해 전달되는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수평방향 양측으로 분산되어 작용함으로써, 상기 허벅지 파지부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fixing means,
When the ground support bar is supported on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ground support bar at the moment the ground support bar touches the ground, the force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ransmitted through the ground support bar is distributed to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doing so, 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of the thigh gripping portion and the calf gripping portion is fix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고정수단은,
상기 허벅지 파지부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홈과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연결바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스프링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일측면은 상기 스프링과 결합되고, 타측면은 중심부분을 제외하고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톱니가 형성된 제1톱니부재;
일측면은 상기 제1톱니부재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중심부분을 제외하고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절개된 체결홈이 형성된 제2톱니부재;
일측면은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은 축홀이 형성된 축삽입홈이 형성된 제1축홈부재;
하단이 상기 지면 지지바 상부와 연결되고, 상단은 일부 절개되어 공간이 마련되고 절개된 공간 중심부분에는 축이 관통 삽입되는 제1축삽입부가 구비된 연결바;
상기 연결바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구비된 제2축삽입부가 상기 제1축삽입부와 축결합되고, 타측에 구비된 제3축삽입부가 상기 제1축홈부재의 축삽입홈에 축결합되는 제1회동편 및 제2회동편을 포함하는 회동편;
일측면은 일측의 상기 회동편의 제3축삽입부와 축결합되기 위한 축홀이 형성된 축삽입홈이 형성된 제2축홈부재;
상기 제2축홈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되는 실린더부재; 및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기 연결바가 삽입되는 연결바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외부를 감싸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According to claim 7,
The rotation fixing means,
a bod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igh gripper, having a spr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connection bar hole having one side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spring groove;
a spring inserted into the spring groove;
One side is coupled to the spring, the other side is a first sawtooth member formed along the circular rim except for the center portion;
A second tooth member on one side having teeth formed along a circular rim except for the center portion to engage with the teeth of the first tooth member, and on the other side having fastening grooves cut outward from the center at regular intervals;
A first shaft groove member on one side of which a fastening protrusion protrudes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groove, and on the other side, a shaft insertion groove formed with a shaft hole;
A connection bar having a first shaft insertion portion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upport bar, a space provided by a partial cut at the upper end, and a shaft insert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of the cut space;
The connection bar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shaft inser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is shaft-coupled with the first shaft insertion part, and the third shaft insertion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Rotation pieces including first and second rotation pieces that are axially coupled;
One side is a second shaft groove member formed with a shaft insertion groove formed with a shaft hole for shaft coupling with the third shaft insertion portion of the rotation piece on one side;
a cylinder member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groove in which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is accommodated; and
A space is provided inside, a connection bar hole is formed in which the connection bar is inserted, one side of which is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nd a cover that slides whil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body;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Crutches to do.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고정수단은,
상기 허벅지 파지부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According to claim 8,
The rotation fixing means,
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igh gripping por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일측의 상기 회동편, 상기 제1축홈부재, 상기 제2톱니부재, 상기 제1톱니부재, 상기 스프링, 상기 몸체 순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를 기준으로 타측으로, 타측의 상기 회동편, 상기 제2축홈부재, 상기 실린더부재, 상기 커버 순으로 결합되어,
상기 지면 지지바가 지면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체중 무게중심이 상기 지면 지지바 상측에 집중되는 작용에 따라 상기 연결바가 상승하면, 상기 일측의 상기 회동편과 타측의 상기 회동편이 회동하여 수평상태로 되면서 상기 제1축홈부재와 상기 제2축홈부재를 바깥쪽으로 밀어내고, 이에 따라 상기 제2톱니부재와 상기 제1톱니부재의 톱니가 맞물리면서 상기 연결바의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허벅지 파지부와 상기 종아리 파지부의 각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According to claim 8,
The pivoting piece on one side,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the second sawtooth member, the first sawtooth member, the spring, and the body are sequentially coupled to one side based on the connecting bar,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connecting bar, the rotation piece on the other side,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the cylinder member, and the cover are coupled in order,
When the connection bar rises according to the action that the ground support bar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support bar, the rotation piece on one side and the rotation piece on the other side rotate to a horizontal state while the The first shaft groove member and the second shaft groove member are pushed outward, and accordingly, the teeth of the second sawtooth member and the first sawtooth member engage with each othe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bar, and thus holding the thigh gripping part and the calf gripping part. Crutch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of is fix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스프링홈 일측과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톱니부재에는, 상기 내측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According to claim 8,
In the body, at least one inner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groove,
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awtooth member is formed with at least one s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에는,
테두리 부분이 확장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플랜지가 걸림되면서 상기 실린더부재가 상기 커버에 고정되도록 하는 실린더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According to claim 8,
In the cylinder member,
A flange with an extended rim portion is formed,
In the cover,
Crutches for supporting the load with the thigh,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er hole is formed so that the cylinder member is fixed to the cover while the flange is caught.
KR1020210096478A 2021-07-22 2021-07-22 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 KR1024961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478A KR102496198B1 (en) 2021-07-22 2021-07-22 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478A KR102496198B1 (en) 2021-07-22 2021-07-22 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108A KR20230015108A (en) 2023-01-31
KR102496198B1 true KR102496198B1 (en) 2023-02-06

Family

ID=8510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478A KR102496198B1 (en) 2021-07-22 2021-07-22 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19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0396A (en) 2010-11-22 2012-06-14 Emi Yasui Walking aid
KR101466306B1 (en) 2014-03-10 2014-12-01 국방과학연구소 Wearable leg clutch with kneel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0193A (en) 2013-10-31 2015-05-08 박영환 Crutch installing leg
KR20160023293A (en) * 2014-08-22 2016-03-03 김지섭 Wearing cru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0396A (en) 2010-11-22 2012-06-14 Emi Yasui Walking aid
KR101466306B1 (en) 2014-03-10 2014-12-01 국방과학연구소 Wearable leg clutch with knee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108A (en)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1730A (en) Knee support
JP5943470B2 (en) Single leg walking support machine
JP5189714B2 (en) Set of knee orthosis, outer leg side joint and inner leg side joint
ES2834379T3 (en) Ankle-foot orthosis
EP1334704B1 (en) Body prosthetic implement
US20230210708A1 (en) Mechanical foot
US8388564B2 (en) Hyperextension knee brace
KR101056621B1 (en) Ankle and detachable knee pads
JP2023501092A (en) Orthopedic technical device for supporting the lower back of a user
JP2004329945A (en) Joint device
KR102496198B1 (en) 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
KR101975493B1 (en) a walking buffer orthosis
KR20060109740A (en) Hinged knee brace for reducing pain and shock of knee-joint
KR20190046369A (en) Apparatus of joint assistance
KR102232082B1 (en) Portable device for correcting cervical vertebral
KR102062598B1 (en) Apparatus of joint assistance
KR101927593B1 (en) Ankle support using a wire
KR102661949B1 (en) Artificial knee joint
KR101460893B1 (en) Knee retractor
KR102226216B1 (en) Portable device for correcting cervical vertebral
KR102242469B1 (en) Portable device for correcting cervical vertebral
WO2023063250A1 (en) Sitting brace
JP2006102455A (en) Assistive device equipped with support member
JP6889037B2 (en) Assist equipment
KR102074564B1 (en) Ankle Orth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