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088B1 -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088B1
KR102496088B1 KR1020210026986A KR20210026986A KR102496088B1 KR 102496088 B1 KR102496088 B1 KR 102496088B1 KR 1020210026986 A KR1020210026986 A KR 1020210026986A KR 20210026986 A KR20210026986 A KR 20210026986A KR 102496088 B1 KR102496088 B1 KR 102496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portion
pin member
contac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407A (ko
Inventor
강점석
김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026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0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버캡이 하우징에 결합시 통전안내부가 접속홀부로 삽입된 복수개의 터미널부를 상호 통전되도록 안내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시키는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인트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조인트 커넥터는 접속홀부가 구획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접속홀부에 축 삽입되는 복수개의 터미널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접속홀부를 커버하는 커버캡 및 상기 커버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 상기 터미널부를 상호 통전되도록 안내하는 통전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캡이 하우징에 결합시 통전안내부가 접속홀부로 삽입된 복수개의 터미널부를 상호 통전되도록 안내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시키는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인트 커넥터는 피메일하우징이 메일캡에 결합됨으로써 둘 사이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피메일하우징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일캡에는 다수개의 터미널 사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 타입(busbar type)의 터미널이 구비된다.
이러한 메일캡의 내부에 복수개의 단자핀들이 연결된 버스바가 구비되어 하나의 회로에서 복수의 회로로 전류를 분기하거나 반대로 복수개의 회로에서 하나의 회로로 전류를 통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의 구성은 접속홀부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피메일하우징과, 접속홀부에 삽입 설치되는 피메일터미널과, 피메일하우징의 안착홈부에 결합되어 피메일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TPA라고 함)와, 피메일하우징과 결합되는 메일캡과, 메일캡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메일터미널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조인트핀터미널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는 피메일하우징의 접속홀부에 피메일터미널을 조립하고, 안착홈부에 이탈방지부재(TPA)를 장착하여 1차 록킹과 2차 록킹을 거쳐 완전하게 조립하고, 피메일터미널이 고정된 피메일하우징을 메일캡에 삽입하면서, 메일캡에 설치된 조인트핀터미널의 단자핀을 피메일커넥터에 삽입하여 접속하므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탈방지부재의 1차 록킹 및 2차 록킹으로 인한 조립공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많아지고 금형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5973호(2013.11.14, 발명의 명칭: 조인트 커넥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커버캡이 하우징에 결합시 통전안내부가 접속홀부로 삽입된 복수개의 터미널부를 상호 통전되도록 안내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시키는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접속홀부가 구획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접속홀부에 축 삽입되는 복수개의 터미널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접속홀부를 커버하는 커버캡 및 상기 커버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 상기 터미널부를 상호 통전되도록 안내하는 통전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전안내부는 상기 커버캡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가 축 삽입되도록 상기 터미널부에 형성되는 삽입홀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상기 핀부재가 삽입시 상기 터미널부가 인접한 터미널부의 둘레면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안내하는 접촉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안내부는 상기 핀부재에 가압되도록 상기 터미널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부에 배치되는 탄성가압부재 및 상기 탄성가압부재가 탄성 변형시 상기 터미널부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터미널부의 둘레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터미널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돌출안내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핀부재가 축 삽입시 이동방지부에 의해 상기 접속홀부로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되고,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둘레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에 구비되어 상기 핀부재에 접촉 가능하게 가압되는 접촉가압부 및 상기 접촉가압부가 상기 핀부재에 가압시 상기 탄성변형부를 걸림 지지하도록 상기 접속홀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커버캡이 하우징에 결합시 통전안내부가 접속홀부로 삽입된 복수개의 터미널부를 상호 통전되도록 안내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부품수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통전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로킹부 및 이동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통전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로킹부 및 이동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하우징(10), 터미널부(20), 커버캡(30) 및 통전안내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고, 터미널부(20)가 삽입되는 접속홀부(11)를 구획 가능하게 형성한다. 이때, 접속홀부(11)는 하우징(10)에 2층 이상으로 폭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획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터미널부(20)는 전기적 신호가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을 가지고, 접속홀부(11)에 각각 축 삽입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전선(21)이 연결된다.
또한, 터미널부(20)는 접속홀부(11)에 삽입시 로킹부(50)에 의해 하우징(10)에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로킹부(50)는 접속홀부(11)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걸림부(51) 및 탄성걸림부(51)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터미널부(2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걸림홀부(52)를 포함한다.
즉, 탄성걸림부(51)는 터미널부(20)가 하우징(10)의 접속홀부(11)로 삽입되면 터미널부(20)의 둘레면에 접촉되어 탄성적으로 젖혀지다가 걸림홀부(52)에 도달되는 순간 복원되어 걸림홀부(52)에 걸림 지지된다. 이에 따라, 터미널부(20)는 하우징(10)의 접속홀부(11)로 진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되기 때문에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버캡(30)은 하우징(10)의 일측에 수용되어 접속홀부(11)를 커버한다. 이때, 커버캡(30)의 둘레면에는 결합부재(31)가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10)에는 커버캡(30)이 수용되는 부위에 결합부재(31)가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결합홀부(12)가 형성된다.
한편, 통전안내부(40)는 커버캡(30)이 하우징(10)에 결합시 터미널부(20)를 상호 통전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통전안내부(40)는 커버캡(30)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핀부재(41)와, 핀부재(41)가 축 삽입되도록 터미널부(20)에 형성되는 삽입홀부(42) 및 삽입홀부(42)로 핀부재(41)가 삽입시 상기 터미널부(20)가 인접한 터미널부(20)의 둘레면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안내하는 접촉안내부(43)를 포함한다.
이때, 접촉안내부(43)는 핀부재(41)에 가압되도록 터미널부(20)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삽입홀부(42)에 배치되는 탄성가압부재(43a) 및 탄성가압부재(43a)가 탄성 변형시 터미널부(20)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터미널부(20)의 둘레면에 접촉되도록 터미널부(2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돌출안내홀부(43b)를 포함한다.
즉, 탄성가압부재(43a)는 핀부재(41)가 삽입홀부(42)로 진입되기 전에 삽입홀부(42)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핀부재(41)가 터미널부(20)의 삽입홀부(42)로 진입되면 돌출안내홀부(43b)를 통해 터미널부(20)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터미널부(20)의 둘레면에 탄성 접촉된다.
아울러, 터미널부(20)는 핀부재(41)가 축 삽입시 이동방지부(60)에 의해 접속홀부(11)로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방지부(60)는 터미널부(20)의 둘레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변형부(61)와, 탄성변형부(61)에 구비되어 핀부재(41)에 접촉 가능하게 가압되는 접촉가압부(62) 및 접촉가압부(62)가 핀부재(41)에 가압시 탄성변형부(61)를 걸림 지지하도록 접속홀부(1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부(63)를 포함한다.
즉, 탄성변형부(61)는 핀부재(41)가 터미널부(20)의 삽입홀부(42)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접촉가압부(62)에 접촉되면 걸림턱부(63)에 걸리도록 탄성적으로 젖혀진다. 이로써, 터미널부(20)는 로킹부(50)와 이동방지부(60)에 의해 하우징(10)의 접속홀부(11)로 진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될 수 있어 이중으로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접속홀부
12: 결합홀부 20: 터미널부
21: 전선 30: 커버캡
31: 결합부재 40: 통전안내부
41: 핀부재 42: 삽입홀부
43: 접촉안내부 50: 로킹부
51: 탄성걸림부 52: 걸림홀부
60: 이동방지부 61: 탄성변형부
62: 접촉가압부 63: 걸림턱부

Claims (4)

  1. 접속홀부가 구획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접속홀부에 축 삽입되는 복수개의 터미널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용되어 상기 접속홀부를 커버하는 커버캡; 및
    상기 커버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 상기 터미널부를 상호 통전되도록 안내하는 통전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안내부는 상기 커버캡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가 축 삽입되도록 상기 터미널부에 형성되는 삽입홀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상기 핀부재가 삽입시 상기 터미널부가 인접한 터미널부의 둘레면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안내하는 접촉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안내부는 상기 핀부재에 가압되도록 상기 터미널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부에 배치되는 탄성가압부재 및 상기 탄성가압부재가 탄성 변형시 상기 터미널부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터미널부의 둘레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터미널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돌출안내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핀부재가 축 삽입시 이동방지부에 의해 상기 접속홀부로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되고,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둘레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변형부;
    상기 탄성변형부에 구비되어 상기 핀부재에 접촉 가능하게 가압되는 접촉가압부; 및
    상기 접촉가압부가 상기 핀부재에 가압시 상기 탄성변형부를 걸림 지지하도록 상기 접속홀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KR1020210026986A 2021-02-26 2021-02-26 조인트 커넥터 KR102496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86A KR102496088B1 (ko) 2021-02-26 2021-02-26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86A KR102496088B1 (ko) 2021-02-26 2021-02-26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407A KR20220122407A (ko) 2022-09-02
KR102496088B1 true KR102496088B1 (ko) 2023-02-06

Family

ID=8328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986A KR102496088B1 (ko) 2021-02-26 2021-02-26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0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8084A (ja) * 2010-07-21 2012-02-09 Yazaki Corp コネクタ
KR102179447B1 (ko) * 2019-07-05 2020-11-16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8084A (ja) * 2010-07-21 2012-02-09 Yazaki Corp コネクタ
KR102179447B1 (ko) * 2019-07-05 2020-11-16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407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4013B (zh) 带开关的同轴连接器及其组装方法
US693589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KR100433704B1 (ko)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JP4440160B2 (ja) コネクタ
TWI513127B (zh) 附開關之同軸連接器
US9627822B2 (en) Connector
JP5754533B1 (ja) コネクタ端子およびコネクタ
US20090149046A1 (en) Connector
WO2016208368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4941847A (en)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retention system
KR100885062B1 (ko) 프린터 잉크 카트리지용 전기 커넥터
JP2005294217A (ja) 圧接型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US7537473B2 (en) Low profile shorting bar for electrical connector
KR102496088B1 (ko) 조인트 커넥터
US7556530B2 (en)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CN106058577B (zh) 连接器组件
JPH0479114B2 (ko)
JP2018041552A (ja) コネクタ
CN219123520U (zh) 电连接器组件
US20240136768A1 (en) Connector mating structure
CN216488634U (zh) 缆线电连接器
JP5900544B2 (ja) コネクタ端子
KR102644878B1 (ko) 조인트 커넥터
CN219760029U (zh) 接线端子及断路器
CN109037989B (zh) 一种带有机械开关端子的卡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