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187B1 -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187B1
KR102495187B1 KR1020200110585A KR20200110585A KR102495187B1 KR 102495187 B1 KR102495187 B1 KR 102495187B1 KR 1020200110585 A KR1020200110585 A KR 1020200110585A KR 20200110585 A KR20200110585 A KR 20200110585A KR 102495187 B1 KR102495187 B1 KR 102495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ember
sealing material
construction
guid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932A (ko
Inventor
김승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림테크
에스와이엠티 주식회사
(주)송림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림테크, 에스와이엠티 주식회사, (주)송림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림테크
Priority to KR102020011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1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6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handling roofing or sealing material in rol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시공부에 실링재를 시공하는 실링재 시공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링재가 공급된 상기 시공부에 테이프 부재를 시공하는 테이프 부재 시공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CONSTRUCTING DEVICE FOR TAPE MEMBER}
본 개시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옥상 슬래브 등에 시공되는 방수 시트 사이의 이음부를 보강하기 위한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옥상, 지붕, 지하실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의 바닥이나, 각종 유체 저장탱크, 지하 주차장, 도로, 교량, 터널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빗물이나 지하수가 스며들게 되면, 일부가 내부로 침투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각종 방수 재료를 사용하여 지붕, 외벽, 바닥 등을 방수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방수 시공에는 다양한 방수 부재와 방수 공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방수 시공을 요하는 구조물의 표면을 불투수성의 시트로 피복하는 시트 방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시트 방수는 건축물의 노출 부위를 아스팔트계나 합성고분자계 등의 불투수성 방수 시트를 종횡으로 여러 장을 배열하고 이들 방수 시트의 경계 부위를 서로 겹치거나 맞대어 이어서 접합함으로써 건축물의 노출 부위를 전체적으로 기밀하게 피복하는 방식으로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방수 시트를 사용하여 방수 시공하는 경우에는, 방수 시트의 이음부에서의 부착 미비, 고온 또는 저온 환경에 따른 시트 재료의 변형, 시트 재료의 균열, 분리, 박리 또는 파단으로 인한 취약 부위의 발생 등으로 인해 누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많은 유지 보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출원인은 부직포 시트의 일면에 벨크로파스너층이 형성된 테이프 부재를 시공함으로써 방수 시트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거나 누수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한 새로운 방수 공법을 제안하여 특허등록 제10-1881478호를 취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방수 공법에 의하더라도, 방수 시트 사이의 이음부에 벨크로파스너가 형성된 테이프 부재를 시공하는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하여야 했기 때문에, 시공 작업이 번거롭고 시공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작업을 기계적으로 정밀하게 실행할 수 있는 새로운 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시공부에 실링재를 시공하는 실링재 시공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링재가 공급된 상기 시공부에 테이프 부재를 시공하는 테이프 부재 시공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테이프 부재 시공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가 권취되는 보빈 샤프트와, 상기 테이프 부재를 가압하는 텐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를 상기 보빈 샤프트측으로 가압하는 텐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보빈 샤프트에 권취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텐션 롤러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실링재 시공부는 상기 실링재의 공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로는 출구측을 향해 폭이 점점 넓어지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일정한 폭을 갖는 제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 사이에 상기 실링재를 균일하게 확신시키는 확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실링재의 확산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부재 시공부는 상기 시공부 상에서 상기 테이프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롤러의 후방에는 상기 가압 롤러를 통과한 상기 테이프 부재를 가압하는 스퀴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공 장치는 상기 시공부 상의 시공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광을 방출하는 시공 경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공 경로 가이드부는 상기 시공부 상에 상기 시공 경로의 방향과 폭을 안내하는 한 쌍의 시준선을 형성하는 광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방수 시트 사이의 이음부를 연결하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하지 않고도 기계적으로 정밀하게 실행할 수 있는 새로운 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형태들 및 그 목적, 구성, 작용, 효과, 이점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수 시트의 테이프 부재 시공 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실링재 시공부(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테이프 부재 시공부(3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규제 부재(249)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퀴징 부재(35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광가이드 부재(612)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일 실시형태"는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된 각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의미하며, 본 개시가 이러한 실시형태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세부적인 설명을 포함할 수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세부적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확대, 과장하거나, 간략히 도시 또는 생략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발명의 설명 전체에서 서로 동일, 유사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그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발명의 설명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설명할 경우,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매체 또는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설명할 경우, 특별히 달리 표현하지 않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부품, 단계, 동작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수 시트의 테이프 시공 장치(10)(이하, 시공 장치로 약칭한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공 장치(10)는 건축물의 옥상 슬래브 등의 바탕면에 방수 시트(20)를 시공하고, 누수 등이 발생하기 쉬운 취약 부위인 방수 시트(20) 사이의 이음부(20a)를 보강하는 작업 등을 할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시공 장치로서, 예를 들면, 방수 시트(20)의 이음부(20a)에 실링재를 시공함과 동시에, 실링재로 채워진 방수 시트(20)의 이음부(20a)의 표면에 테이프 부재(310)를 시공하는 시공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시공 장치(10)가 액상의 우레탄 수지 등의 실링재를 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접착용, 도막용 등의 다른 액상 재료의 시공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시공 장치(10)가 방수 시트(20)의 부직포 표면에 테이프 부재(310)를 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방수 시트(20) 표면의 부직포에 부착이 가능한 다른 보강용의 테이프 부재의 시공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시공 장치(10)는 본체부(100)와, 실링재 시공부(200)와, 테이프 부재 시공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시공 장치(10)의 프레임 또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조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길이 방향(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대략 직육면체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길이 방향의 일측(예를 들면, 전방)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102)과, 길이 방향의 타측(예를 들면, 후방)에 배치되고 제1 프레임(102)과 대향하는 제2 프레임(104)과, 제1 프레임(102)과 제2 프레임 (104)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Y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3 및 제4 프레임(106, 108)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102, 104, 106, 10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 한 장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칼럼 부재 또는 파이프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프레임(102, 104, 106, 108)는 단일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별개의 부재로 형성한 후, 나사 체결,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본체부(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각각의 프레임(102, 104, 106, 108)은 강도가 우수하고 경량인 FRP 등의 플라스틱 재료,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시공 장치(10)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들도 상술한 재료 또는 해당 부재의 목적 및/또는 성질에 맞게 다양한 공지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실링재 시공부(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링재 시공부(200)는 본체부(100)의 일측(예를 들면,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실링재 시공부(200)는 제1 프레임(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210)과, 지지 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실링재의 공급 유로를 형성하는 노즐부(220)와, 노즐부(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실링재 공급 탱크(230)와, 지지 프레임(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실링재의 공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0)은 본체부(100)에 실링재 시공부(200)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 부재로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0)은 본체부(100)의 제1 프레임(10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0)은 대략 그 길이 방향 중간부가 제1 프레임(102)의 상부 단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나사 체결,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제1 프레임(102)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0)의 폭 방향(Y방향) 양 단부는 제3 및 제4 프레임(106, 108)의 전방 상부측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0)의 전방부에는 노즐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우레탄 수지 등의 액상의 실링재가 통과하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는 지지 프레임(21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일 수 있다.
노즐부(220)는 실링재 공급 탱크(230)로부터 공급된 실링재를 시공부(예를 들면, 방수 시트(20) 사이의 이음부(20a))에 공급하기 위한 실링재 공급 유로(220a)가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노즐부(220)는 실링재 공급 유로(220a)가 개구부와 정렬된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210)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될 수 있다.
노즐부(220)는 실링재의 공급 유로(220a)가 형성된 노즐 본체(222)와, 노즐 본체(222)의 측방에 구비되고 실링재 공급 유로를 통과하는 실링재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노즐 밸브(224)와, 노즐 본체(222)의 하방에 구비되고 노즐부(220)를 지지 프레임(210)에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결합부(226)와, 노즐 본체(222)의 상방에 구비되고 노즐부(220)에 실링재 공급 탱크(230)를 결합하기 위한 탱크 결합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222)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실링재 공급 유로(220a)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 본체(222)의 상부 및 하부의 양 단부의 외주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 본체(222)의 측방에는 노즐 밸브(224)를 결합하기 위한 대략 원통 형상의 밸브 결합부(222a)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노즐 본체(222)의 밸브 결합부(222a)에는 노즐 밸브(224)가 결합될 수 있다. 노즐 밸브(224)는 노즐 본체(222)에 형성된 실링재 공급 유로(220a)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체(미도시)와, 밸브체에 연결된 밸브 핸들(224a)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밸브(224)는 밸브체를 실링재 공급 유로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밸브 핸들(224a)을 회동 가능하게 밸브 결합부(222a)에 체결함으로써 노즐 본체(222)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 밸브(224)로서는, 예를 들면, 중앙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대략 볼 형상의 밸브체의 회동에 의해 실링재 공급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타입의 밸브를 채용할 수 있다. 물론 노즐 밸브(224)가 이러한 타입의 밸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링재의 공급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동식 또는 전자식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노즐 본체(222)의 하방에는 프레임 결합부(226)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226)는 중앙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원통부(226a)와, 원통부(226a)의 하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디스크 형상의 플랜지부(226b)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부(226a)의 외주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 본체(222)의 실링재 공급 유로와 프레임 결합부(226)의 원통부(226a)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유체 유통 가능하게 서로 정렬한 상태에서, 노즐 본체(222)의 하단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프레임 결합부(226)의 원통부(226a)의 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를 너트에 의해 나사 체결함으로써, 노즐 본체(222)를 프레임 결합부(226)에 결합할 수 있다. 너트에 의한 나사 체결을 결합 또는 해제함으로써 노즐 본체(222)를 프레임 결합부(226)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부(220)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226)의 플랜지부(226b)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구(226c)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복수의 개구(226c)에 볼트를 삽입하여 지지 프레임(210)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프레임 결합부(226)를 지지 프레임(210)에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결합부(226)에 결합되는 노즐 본체(222)를 지지 프레임(210) 상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노즐 본체(222)의 상방에는 탱크 결합부(228)가 구비될 수 있다. 탱크 결합부(228)는 중앙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탱크 결합부(226)의 하단부의 외주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탱크 결합부(228)의 관통 구멍을 노즐 본체(222)의 실링재 공급 유로(220a)와 유체 유통 가능하게 정렬한 상태에서, 노즐 본체(222)의 상단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탱크 결합부(226)의 하단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를 너트에 의해 나사 체결함으로써, 탱크 결합부(228)를 노즐 본체(222)에 결합할 수 있다.
탱크 결합부(226)의 상단부의 내주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실링재 공급 탱크(230)의 노즐 결합부(236)의 외주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재 공급 탱크(230)의 노즐 결합부(236)의 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를 탱크 결합부(226)의 상단부의 내주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실링재 공급 탱크(230)가 탱크 결합부(226)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재 공급 탱크(230)는 실링재를 수용하는 대략 통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실링재 공급 탱크(230)는 실링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부(232)와, 탱크부(232)의 일단에 형성되는 공급 포트(234)와, 공급 포트(234)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노즐 결합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재 공급 탱크(230)의 노즐 결합부(236)가 탱크 결합부(226)에 결합됨에 따라, 실링재는 실링재 공급 탱크(230)로부터 공급 포트(234)를 통하여 노즐 본체(222)의 실링재 공급 유로로 공급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0)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4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40)는 노즐부(220)의 실링재 공급 유로(220a)를 통해 공급된 실링재를 시공부로 안내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240)는 지지 프레임(210)의 하부에 부착되어 지지 프레임(210)으로부터 전방 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40)는 노즐부(220)로부터 실링재가 공급되는 실링재 유입부(242)와, 실링재 유입부(242)를 통해 유입된 실링재를 시공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246)가 형성된 가이드 본체(24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재 유입부(242)는 중앙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실링재 유입부(242)는 지지 프레임(242)의 하부에 설치되는 환형의 플랜지부(242a)와, 플랜지부(242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부(242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242a)는 지지 프레임(242)의 하부에 나사 체결, 용접,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플랜지부(242a)로부터 연장되는 원통부(242b)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재 유입부(242)로 공급된 실링재가 가이드 본체(244)의 대략 중앙 부근에 정확히 공급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244)는 실링재 유입부(242)로부터 공급된 실링재를 시공부에 공급하기 위한 부재로서, 실링재 유입부(242)로부터 대략 전방 하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244)는 바닥 플레이트(244a)와, 바닥 플레이트(244a)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244a)와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는 단일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별개의 부재로 형성한 후 상호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244)는 상방을 덮는 커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본체(244)는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닥 플레이트(244a)의 상단부 및/또는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의 상단부는 실링재 유입부(242)의 원통부(242b)에 나사 체결, 용접,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244a)와 바닥 플레이트(244a)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된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실링재가 유동하는 가이드 유로(246)를 형성할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244a)와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유로(246)는 실링재의 유동 경로를 따라 순서대로 입구(246a), 제1 유로(246b), 제2 유로(246c) 및 출구(246d)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246a)는 가이드 유로(246)에 있어서 실링재 유입부(242)의 원통부(242b)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실링재 유입부(242)의 원통부(242b)로부터 실링재를 공급받는 부분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입구(246a)는 가이드 유로(246)에 있어서 바닥 플레이트(244a)의 상단부와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의 상단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방으로 개방된 부분일 수 있다. 실링재 유입부(242)로부터 공급된 실링재는 입구(246a)를 통해 가이드 유로(246)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제1 유로(246b)는 가이드 유로(246)에 있어서 입구(246a)를 통해 도입된 실링재가 넓게 확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유로(246b)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유로(246b)를 형성하는 부분에 있어서,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 사이의 간격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더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246a)를 통해 도입된 실링재가 가이드 유로(246)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면서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를 따라 점점 더 넓게 확산될 수 있다.
제2 유로(246c)는 제1 유로(246b)를 통과한 실링재를 일정한 폭으로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유로(246c)는 가이드 유로(246)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유로(246c)를 형성하는 부분에 있어서,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유로(246c)에 있어서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 사이의 간격은 실링재가 시공부 전체를 피복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테이프 부재의 폭(예를 들면, 10~12 cm) 정도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246b)와 제2 유로(246c) 사이에는 확산 부재(248)가 설치될 수 있다. 확산 부재(248)는 제1 유로(246b)를 통과한 실링재를 보다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산 부재(24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의 플레이트 부재일 수 있다. 확산 부재(248)에는 실링재가 통과하는 확산 통로(248a)가 형성될 수 있다. 확산 통로(248a)는 확산 부재(248)의 적어도 일측(도 3에서는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 또는 관통 홈에 의해 전체적으로 파형 또는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246b)를 통과한 실링재는 확산 부재(248)에 형성된 확산 통로(248a)를 통과하면서 보다 균일하게 확산되어 제2 유로(246c)로 공급될 수 있다. 확산 통로(248a)가 상술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확산 부재(248)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출구(246d)는 가이드 본체(244)로부터 실링재를 토출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제2 유로(246b)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출구(246d)는 가이드 유로(246)에 있어서 바닥 플레이트(244a)의 하단부와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의 하단부에 의해 둘러싸인 하방으로 개방된 부분일 수 있다. 가이드 유로(246)를 통과한 실링재는 출구(246d)를 통해 시공부로 토출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46)의 하단부, 즉, 출구(246d)의 끝단은 시공부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구(246d)의 끝단은 시공부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부에 도포되는 실링재가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테이프 부재 시공부(3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타측(예를 들면, 실링재 시공부(200)의 후방측)에는 테이프 부재 시공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 시공부(300)는 테이프 부재(310)와, 보빈부(320)와, 텐션부(330)와, 가압 롤러(34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310)는, 예를 들면, 일정한 폭(예를 들면, 10~12cm)을 갖는 부직포 시트의 일면에 링형 또는 후크형의 벨크로파스너가 형성된 벨크로 파스너 부재일 수 있다. 테이프 부재(310)는 중앙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권취부(310b, 도 5 참조)의 둘레에 벨크로파스너가 형성된 부직포 시트(310a)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제공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310)는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10-1881478호에 개시된 형태의 벨크로파스너가 형성된 부직포 시트일 수 있다.
보빈부(320)는 테이프 부재(310)를 시공 장치(10)에 탑재하기 위한 부재로서, 본체부(100)에 지지되는 보빈 샤프트(322)와, 보빈 샤프트(3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테이프 부재(310)가 탑재되는 보빈(324)과, 보빈(324)의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는 보빈 가이드(32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 샤프트(322)는 중앙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예를 들면, 보빈 샤프트(322)의 폭 방향 일단 또는 양단을 본체부(100)의 제3 및/또는 제4 프레임(106, 108)에 지지한 상태에서 관통 구멍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보빈 샤프트(322)를 본체부(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보빈(324)은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롤 형태로 권취된 테이프 부재(310)의 중앙부의 관통 구멍에 보빈(324)을 삽입함으로써 테이프 부재(310)가 보빈(324)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보빈(324)은 보빈 샤프트(322)에 삽입되어 베어링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보빈(324)과 본체부(100) 사이, 즉, 보빈(324)의 외측에는 보빈 가이드(326)가 설치될 수 있다. 보빈 가이드(326)는 대략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 가이드(326)는 보빈(324)을 보빈 샤프트(322) 상에 탑재한 상태에서 보빈 가이드(326)를 보빈(324)에 나사 체결 등에 의해 결합하여 보빈(324)과 함께 회동할 수 있다. 보빈(324)에 테이프 부재(310)를 설치했을 경우, 보빈 가이드(326)는 테이프 부재(310)의 폭방향 양 단을 지지 및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빈 샤프트(322)의 타단에는 관통 구멍(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관통 구멍(322a)에는 잠금 노브(322b)가 결합될 수 있다. 잠금 노브(322b)의 일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 노브(322b)에 형성된 수나사를 관통 구멍(322a)의 내주부에 형성된 암 나사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잠금 노브(322b)를 보빈 샤프트(322)에 결합할 수 있다.
보빈(324)의 타단과 잠금 노브(322b) 사이에도 보빈 가이드(326)가 설치될 수 있다. 보빈 가이드(326)를 보빈(324)의 타단에 결합시키고 보빈(324)을 보빈 샤프트(322) 상에 탑재시킨 상태로 잠금 노브(322b)를 보빈 샤프트(322)에 체결함으로써 보빈 가이드(326)를 부착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빈 가이드(326)가 테이프 부재(310)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빈 샤프트(322) 상에서 보빈(324)이 회동함에 따라 보빈(3224)에 롤 형태로 권취된 테이프 부재(310)가 보빈 가이드(326)를 따라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보빈부(320)의 근방(예를 들면, 하방)에는 텐션부(330)가 설치될 수 있다. 텐션부(330)는 테이프 부재(310)를 보빈 샤프트(322)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텐션부(330)는 회전 샤프트(332)와, 회전 샤프트(33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션 아암(334)과, 텐션 아암(334)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션 롤러(336)와, 텐션 아암(334)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텐션 스프링(338)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332)는 바아 형상의 샤프트 부재로서, 폭방향의 양 단이 본체부(100)의 제3 및 제4 프레임(106, 10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텐션 아암(334)은 그 기단부가 회전 샤트프(33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텐션 아암(334)은 회전 샤프트(332)의 폭방향 양 단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방향(예를 들면, 후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좌우의 한 쌍의 텐션 아암(334)을 포함할 수 있다. 좌우의 텐션 아암(334)은 장방형의 바아(bar) 또는 플레이트 부재일 수 있다. 좌우의 텐션 아암(334) 사이의 폭방향 간격을 유지하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바아(334a)가 좌우의 텐션 아암(334)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텐션 아암(334)의 선단부에는 텐션 롤러(336)가 구비될 수 있다. 텐션 롤러(336)는 탄성을 갖는 고무나 플라스틱 재료, 또는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등으로 형성된 롤러 부재일 수 있다. 텐션 롤러(336)는 양단이 좌우의 텐션 아암(334)에 지지된 롤러 샤프트(336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 샤프트(322)에 권취된 테이프 부재(310)는 텐션 롤러(336)를 거쳐서 인출될 수 있다. 즉, 테이프 부재(310)는 텐션 롤러(336)에 1회 권취된 상태로 가압 롤러(340)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310)가 텐션 롤러(336)에 권취되는 방향은, 테이프 부재(310)가 보빈 샤프트(322) 또는 가압 롤러(340)에 권취되는 방향(예를 들면, 도 5에서는 시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좌우의 텐션 아암(334)의 적어도 일측(예를 들면, 좌측)에는 텐션 스프링(338)이 연결될 수 있다. 텐션 스프링(338)은,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텐션 스프링(338)의 일단은 본체부(100)(예를 들면, 제3 프레임(106))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에 고정되고, 텐션 스프링(338)의 타단은 회전 샤프트(332)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텐션 아암(334)의 기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텐션 스프링(338)은 텐션 아암(334)을 보빈 샤프트(322)측을 향해 회동시키는 방향으로의 편향력을 항상 텐션 아암(334)에 인가할 수 있다. 다르게는, 텐션 스프링(338)은 코일 부분이 회전 샤프트(332)와 동축으로 설치되고, 코일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일단은 본체부(100)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코일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타단은 회전 샤프트(33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텐션 아암(334)의 기단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텐션 스프링(338)에 의해 보빈 샤프트(322)측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의 편향력이 텐션 아암(334)에 인가됨에 따라, 텐션 아암(334)의 선단부에 설치된 텐션 롤러(336)는 텐션 아암(334)과 함께 보빈 샤프트(322)측으로 가압되어, 보빈 샤프트(322)에 권취된 테이프 부재(310)를 보빈 샤프트(322)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빈 샤프트(322)에 권취된 테이프 부재(310)가 텐션 롤러(336)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테이프 부재(310)의 시공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테이프 부재(310)가 임의로 보빈 샤프트(322)로부터 풀려나오는 일이 방지되어 항상 균일한 량의 테이프 부재(310)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시트(20)에 부착되는 테이프 부재(310)가 텐션 롤러(336)에 의해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시공되므로, 테이프 부재(310)를 방수 시트(20) 상에 시공할 때에 주름, 구겨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이프 부재(310)의 시공 불량으로 인한 이음부(20a)의 누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부재(310)는 보빈 샤프트(322)에 권취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텐션 롤러(336)에 권취된 상태로 인출되므로, 텐션 롤러(336)에 의해 테이프 부재(310)에 보다 확실하게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보빈부(320)의 후방에는 가압 롤러(34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압 롤러(340)는 보빈 샤프트(322)로부터 인출되는 테이프 부재(310)를 압착하여 시공부 상에 시공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 롤러(340)는 탄성을 갖는 고무나 플라스틱 재료, 또는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 등을 롤러 형상으로 성형한 부재일 수 있다. 가압 롤러(340)의 폭은 테이프 부재(310)의 폭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롤러(340)는 양단이 본체부(100)의 제3 및 제4 프레임(106, 108)의 일측(예를 들면, 후방 하측)에 지지된 회전 샤프트(34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압 롤러(340)는 시공 장치(10)의 후륜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부재(310)를 가압 롤러(340)의 가압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시공부 상의 시공 경로를 따라 시공 장치(10)를 이동시키면, 시공 장치(10)의 중량이 가압 롤러(340)에 작용함으로써 가압 롤러(340)에 의해 테이프 부재(310)를 시공부 상에 확실하게 밀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전방 하측에는 가동 휠(400)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동 휠(400)이 본체부(100)의 제3 및 제4 프레임(106, 108)의 전방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가동 휠(400)은 시공 장치(10)의 전륜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 장치(10)는 전륜인 한 쌍의 가동 휠(400)과 후륜인 가압 롤러(340)의 회동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후방에는 핸들 바(500)가 설치될 수 있다. 핸들 바(500)는 시공 장치(10)를 가압하여 시공부 상의 시공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바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핸들 바(500)의 일단은 본체부(100)의 제2 플레이트(104)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5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10)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512)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부(512) 사이에는 핸들 바(500)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 샤프트(500a)의 양 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핸들 바(500)는 일단에 형성된 회전 샤프트(500a)를 중심으로 일 방향(예를 들면, 전후 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핸들 바(500)의 타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단에 형성된 회전 샤프트(500a)를 중심으로 핸들 바(500)를 회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 바(500)의 타단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전방에는 시공 경로 가이드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시공 경로 가이드부(600)는 시공 장치(10)를 시공부 상의 시공 경로를 따라 정확하게 이동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경로 가이드부(600)는 발광부(610)와, 회동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610)는 시공부 상의 시공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광을 방출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광을 방출하는 레이저 포인터일 수 있다.
회동 부재(620)는 발광부(610)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부재로서, 지지 프레임(210)에 장착되는 설치 플랜지부(622)와, 설치 플랜지부(6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624)와, 회동부(624)를 고정시키기 위한 조절 노브(626)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플랜지부(622)는 대략 환형 디스크 형상의 하부 플랜지부(622a)와, 하부 플랜지부(622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상부 원통부(6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원통부(622b)는 상방을 향해 직경이 점점 확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원통부(622b)의 상부에는 회동부(624)의 구형 부재(624c)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형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원통부(622b)는 후술하는 조절 노브(626)의 회동에 의해 직경이 변경 가능한 가요성의 플라스틱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부(624)는 중앙부에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 구멍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회동부 본체(624a)와, 회동부 본체(624a)의 일단에 형성된 잠금 노브(624b)와, 회동부 본체(624a)의 타단에 형성된 구형 부재(624c)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 본체(624a)의 장착 구멍에는 발광부(61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발광부(610)가 장착 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회동부 본체(624a)의 일단에 형성된 잠금 노브(624b)를 회전시킴으로서 발광부(610)를 회동부 본체(624a)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 노브(624b)의 회전에 의해 발광부(610)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로도 조절할 수 있다. 구형 부재(624c)는 설치 플랜지부(622)의 상부 원통부(622b)에 형성된 구형면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 본체(624a)를 전후 좌우로 회동시켜서 발광부(610)로부터 방출되는 가이드광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조절 노브(626)는 설치 플랜지부(622)의 외주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조절 노브(626)를 회동시켜 회동부(624)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설치 플랜지부(622)의 상부 원통부(622b)의 직경이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 부재(624c)가 설치 플랜지부(622)의 구형면 내에 밀착되어 회동부 본체(624a)의 자세가 고정될 수 있다. 발광부(610)를 온 상태로 조절한 상태에서 회동부 본체(624a)의 자세를 고정하면, 발광부(610)로부터 방출되는 가이드광이 조사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광이 시공부 상의 시공 경로를 향해 조사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시공 장치(10)를 시공 경로를 따라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 작업의 정밀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보빈(324)에 일측의 보빈 가이드(326)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보빈(324)에 테이프 부재(310)를 탑재한후, 보빈 샤프트(322)에 보빈(324)을 끼워 넣을 수 있다. 그런 다음, 타측의 보빈 가이드(326)를 보빈(324)에 결합하고 잠금 노브(324b)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노즐부(220)의 탱크 결합부(228)에 실링재 공급 탱크(230)를 장착하고, 시공 경로 가이드부(600)에는 발광부(610)를 장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시공 장치(10)를 시공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공부는 방수 시트(20) 사이의 이음부(20a)일 수 있다. 방수 시트(20)는 대략 10 m 정도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시공부가 되는 방수 시트(20) 사이의 이음부(20a)도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시공 장치(10)를 시공부가 되는 상수 시트 사이의 이음부(20a)의 끝단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보빈(324)을 회동시키면서 테이프 부재(310)의 선단을 인출하여 텐션 롤러(336)를 거쳐서 가압 롤러(340)측으로 이동시켜 가압 롤러(340)의 가압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테이프 부재(310)의 선단을 텐션 롤러(336)를 거쳐서 인출하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310)를 텐션 롤러(336)에 의해 보빈 샤프트(322)측으로 압박하면서 인출할 수 있어, 테이프 부재(310)가 우연히 인출되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가압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부(610)를 온 상태로 조절하고 회동부(624)를 회동시켜 발광부(610)로부터 방출되는 가이드광이 시공부 상의 시공 경로를 향해 조절한 후, 조절 노브(626)를 잠궈서 회동부(624)의 자세를 정확히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광을 시공 경로를 향해 조사함으로써 시공 장치(10)의 시공 경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 작업의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 밸브(224)에 의해 실링재 공급 유로(220a)의 개도를 조절하여 일정량의 실링재가 공급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핸들 바(500)를 잡고 시공 장치(10)를 시공 경로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시공 장치(10)의 이동과 함께, 먼저, 실링재 공급 탱크(230)로부터 공급된 실링재가 노즐부(220)를 통과하여 가이드 부재(240)의 가이드 유로(246)를 따라 시공부 상에 토출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46)는 출구(246d)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제1 유로(246b)와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유로(246b)를 포함하므로, 가이드 유로(246)를 통해 공급되는 실링재는 가이드 유로(246)의 전체 폭에 걸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유로(246b)의 출구(246d)로부터 토출되는 실링재는 시공부의 전체 폭에 걸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실링재가 도포된 시공부 상에는, 테이프 부재(310)가 부착될 수 있다. 테이프 부재(310)는, 시공 장치(10)의 이동과 함께 후륜인 가압 롤러(340)가 회동함에 따라, 가압 롤러(340)의 가압 위치에 위치된 테이프 부재(310)의 선단부터 가압 롤러(340)에 의해 시공부 상에 압착 시공될 수 있다. 시공 장치(10의 이동과 이에 따른 가압 롤러(340)의 회동에 의해 테이프 부재(310)가 보빈(324)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인출되므로, 시공 장치(10)를 이동시키면서 테이프 부재(310)를 시공부 상에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롤러(340)는 시공 장치(10)의 중량을 지탱하는 후륜으로 기능하므로, 시공 장치(10)의 중량을 가압 롤러(340)에 의한 가압력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부재(310)를 가압 롤러(340)에 의해 시공부 상에 확실하게 압착하면서 시공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310)는 텐션 롤러(336)에 의해 회전 중심축이 되는 보빈 샤프트(322)측으로 가압되므로, 테이프 부재(310)가 임의로 풀려나오는 일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항상 일정량의 테이프 부재(310)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장치(10)는 실링재 및/또는 테이프 부재(310)의 시공을 보조하는 다양한 구조 및/또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규제 부재(249)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240)의 가이드 유로(246)의 출구(246d)에는, 규제 부재(24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규제 부재(249)는, 예를 들면,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244b)의 선단으로부터 가이드 본체(244)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의 플레이트 부재일 수 있다. 규제 부재(249)는 시공 장치(10)의 이동에 따라 썰매의 날처럼 방수 시트(20) 상을 슬라이딩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46)의 출구(246d)의 양측에 규제 부재(249)를 설치함으로써, 출구(246d)를 통해 시공부 상으로 공급되는 실링재는 규제 부재(249)에 의해 측방으로의 확산이 규제되면서 시공부 상에 일정한 폭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규제 부재(249)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링재를 시공부 상에 일정한 폭으로 공급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의 규제 부재(249)도 사용 가능하다.
도 7은 스퀴징 부재(35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후방(예를 들면, 제2 플레이트(104)의 하부)에는, 스퀴징 부재(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퀴징 부재(350)는 가압 롤러(3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스퀴징 부재(35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의 시트 부재로서, 가요성과 탄력성을 갖는 고무,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스퀴징 부재(350)는 테이프 부재(310)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퀴징 부재(350)는, 적어도 그 하단부에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의 스퀴징편(350a)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 롤러(340)의 후방에 스퀴징 부재(350)를 설치함으로써, 가압 롤러(340)를 통과한 테이프 부재(310)에 부분적으로 들뜸 등이 발생하더라도 테이프 부재(310) 상에 위치하는 스퀴징편(350a)이 테이프 부재(310)를 재차 가압하여 들뜸 등을 신속히 제거함으로써, 테이프 부재(310)를 방수 시트(20) 상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 롤러(340)의 압박에 의해 테이프 부재(310)의 단부로부터 실링재가 비어져 나오더라도, 테이프 부재(310)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스퀴징편(350a)이 실링재를 재차 도포하므로, 실링재가 비어져 나오기 쉬운 테이프 부재(310)의 단부측에서도 실링재를 확실하게 방수 시트(20)에 도포할 수 있다.
도 8은 광가이드 부재(612)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발광부(610)는 테이프 부재(310)가 시공되는 시공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시준선(612a)을 투사하는 광가이드 부재(612)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가이드 부재(612)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경로의 방향과 폭을 보여줄 수 있는 한 쌍의 선분 형태의 시준선(612a)을 시공부 상에 투사할 수 있다. 광가이드 부재(612)는, 예를 들면, 하부에 한 쌍의 슬릿이 형성된 케이싱 내에 LED 소자를 배치하고, LED 소자로부터의 방출광이 한 쌍의 슬릿을 통과하여 시공 장치(10)의 전방에 투사되도록 함으로써 시준선(612a)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시공 장치(10)가 광가이드 부재(612)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310)가 시공되는 경로는 물론, 그 폭까지 확인하면서 보다 정확하게 테이프 부재(310)를 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장치(10)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요소나 방법, 각각의 적용예나 그 변형예 등은 각각 필요에 따라 적절히 상호 결합되거나 또는 별개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구성 및 그 균등범위를 포함하는 모든 변형예와 다른 실시형태를 포함하도록 광의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시공 장치 20 방수 시트
20a 이음부 100 본체부
102 제1 프레임 104 제2 프레임
106 제3 프레임 108 제4 프레임
200 실링재 시공부 210 지지 프레임
220 노즐부 220a 실링재 공급 유로
222 노즐 본체 222a 밸브 결합부
224 노즐 밸브 224a 밸브 핸들
226 프레임 결합부 226a 원통부
226b 플랜지부 226c 개구
228 탱크 결합부 230 실링재 공급 탱크
232 탱크부 234 공급 포트
236 노즐 결합부 240 가이드 부재
242 실링재 유입부 242a 플랜지부
242b 원통부 244 가이드 본체
244a 바닥 플레이트 244b 가이드 플레이트
246 가이드 유로 246a 입구
246b 제1 유로 246c 제2 유로
246d 출구 248 확산 부재
248a 확산 통로 240 규제 부재
300 테이프 부재 시공부 310 테이프 부재
310a 부직포 시트 310b 권취부
320 보빈부 322 보빈 샤프트
322a 관통 구멍 322b 잠금 노브
324 보빈 326 보빈 가이드
330 텐션부 332 회전 샤프트
334 텐션 아암 334a 보강 바아
336 텐션 롤러 336a 롤러 샤프트
338 텐션 스프링 340 가압 롤러
342 회전 샤프트 350 스퀴징 부재
350a 스퀴징편 400 가동 휠
500 핸들 바 500a 회전 샤프트
510 지지 플레이트 512 플랜지부
600 시공 경로 가이드부 610 발광부
612 광가이드 부재 612a 시준선
620 회동 부재 622 설치 플랜지부
622a 하부 플랜지부 622b 상부 원통부
624 회동부 624a 회동부 본체
624b 잠금 노브 624c 구형 부재
626 조절 노브

Claims (10)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시공부에 실링재를 시공하는 실링재 시공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링재가 공급된 상기 시공부에 테이프 부재를 시공하는 테이프 부재 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부재 시공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가 권취되는 보빈 샤프트와, 상기 테이프 부재를 가압하는 텐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는, 일단부가 회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션 아암과, 상기 텐션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텐션 아암을 상기 보빈 샤프트측으로 회동시키는 편향력을 제공하는 텐션 스프링과, 상기 텐션 아암의 타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프 부재가 권취되는 텐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보빈 샤프트에 권취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텐션 롤러에 권취되고,
    상기 텐션부는, 상기 텐션 스프링에 의해 상기 텐션 아암을 상기 보빈 샤프트 측으로 회동시키는 편향력을 인가하여, 상기 텐션 아암에 지지된 상기 텐션 롤러를 상기 보빈 샤프트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텐션 롤러에 권취되는 상기 테이프 부재를 상기 보빈 샤프트측으로 가압하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 시공부는 상기 실링재의 공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로는 출구측을 향해 폭이 점점 넓어지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일정한 폭을 갖는 제2 유로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 사이에 상기 실링재를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실링재의 확산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설치되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 시공부는 상기 시공부 상에서 상기 테이프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롤러의 후방에는 상기 가압 롤러를 통과한 상기 테이프 부재를 가압하는 스퀴징 부재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 장치는 상기 시공부 상의 시공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광을 방출하는 시공 경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 경로 가이드부는 상기 시공부 상에 상기 시공 경로의 방향과 폭을 안내하는 한 쌍의 시준선을 형성하는 광가이드 부재(612)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KR1020200110585A 2020-08-31 2020-08-31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KR10249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85A KR102495187B1 (ko) 2020-08-31 2020-08-31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85A KR102495187B1 (ko) 2020-08-31 2020-08-31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32A KR20220028932A (ko) 2022-03-08
KR102495187B1 true KR102495187B1 (ko) 2023-02-06

Family

ID=8081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585A KR102495187B1 (ko) 2020-08-31 2020-08-31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1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9261A (ja) * 2009-11-06 2011-05-19 Sanko Techno Co Ltd 光硬化性プリプレグテープ貼付装置
CN208379939U (zh) * 2018-07-04 2019-01-15 安徽天筑远大住宅产业化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卷材铺设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9261A (ja) * 2009-11-06 2011-05-19 Sanko Techno Co Ltd 光硬化性プリプレグテープ貼付装置
CN208379939U (zh) * 2018-07-04 2019-01-15 安徽天筑远大住宅产业化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卷材铺设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32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6067B2 (en) Cultivation floor system for providing supply and discharge irrigation
US5327693A (en) Sealing device for concrete joints and process for the introducing of a sealing medium into sealing devices
KR102495187B1 (ko) 테이프 부재의 시공 장치
EP0796717A1 (en) A liner for manhole and a method for lining a manhole
KR20140124000A (ko) 섬유 다발들 및 섬유 다발 리본을 사용하여 파이프를 보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823576A (zh) 生产灌溉垫的方法和设备
KR101416059B1 (ko) 접착필름 코팅장치
KR20080089334A (ko) 유연성 폭기패널 및 사용 방법
JP2019035263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シール貼り機
US4566816A (en) Pressure fed paint roller
EA039747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рошения
JP3682760B2 (ja) トンネル内壁の形成方法およびその形成装置
US92792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a material with resin and applying the coated material to a surface
KR100751294B1 (ko) 체인이 구비된 보강섬유판 프리스트레싱 래핑장치 및 이를이용한 기둥구조물 보강방법
KR102188330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공법
KR100870490B1 (ko) 상ㆍ하수관 보수 및 보강 장치
EP0372027A1 (de) Verfahren zum abdichten von schadhaften rohrleitungen.
JP7064526B2 (ja) 老朽管の補修及び補強の方法と補修・補強構造体
JP2002295785A (ja) 枝管分岐部樹脂補修方法および分岐部補修材
EP1705145B1 (en) Apparatus for cutting to size sheets of material
KR102671277B1 (ko) 상하수도관 보수용 튜브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 공법
JP3927573B2 (ja) トンネル内壁の形成方法
CH717039B1 (de) Duschplatzkonstruktion, Duschplatz und Verfahren zur Bildung eines Duschplatzes.
CN219741435U (zh) 一种可移动式滴灌带铺设装置
KR19980015086U (ko) 농약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