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904B1 -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904B1
KR102494904B1 KR1020220123242A KR20220123242A KR102494904B1 KR 102494904 B1 KR102494904 B1 KR 102494904B1 KR 1020220123242 A KR1020220123242 A KR 1020220123242A KR 20220123242 A KR20220123242 A KR 20220123242A KR 102494904 B1 KR102494904 B1 KR 102494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extend
support
main support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박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준 filed Critical 박성준
Priority to KR102022012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메인서포트모듈의 제 1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체결 위치에 의해 신축 길이가 1차 조절된 후, 서포트팁을 회전시켜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피치 이송에 의해 선박블록을 받침 지지하는 높이가 2차 미세 조절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선박블록 지지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메인서포트모듈(100), 제 1레벨링핀(200), 제 1익스텐드모듈(300), 제 2익스텐드모듈(400), 서포트팁(500)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Pin jig system for ship block support}
본 발명은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서포트모듈의 제 1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체결 위치에 의해 신축 길이가 1차 조절된 후, 서포트팁을 회전시켜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피치 이송에 의해 선박블록을 받침 지지하는 높이가 2차 미세 조절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선박블록 지지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선박은 수천 또는 수만 개의 부재를 용접 또는 조립하여 생산되고, 그 규모가 방대하고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선주 또는 발주사 마다 요청하는 선박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작업공정의 표준화가 어렵다.
이처럼 선박은 한번에 완성된 선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블럭(block)을 도크(dock)에 쌓아서 올리는 조립과정을 통하여 건조되며, 선박의 조립과정은 복수개의 부재를 조립하여 조립품(소조립품-> 중조립품->대조립품)을 생성하고 조립품을 조립하여 블럭(block)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럭을 용접등의 과정을 통하여 선체가 완성된다.
이때, 선박의 외판은 곡률을 가지지 않는 평판(flat panel) 과 일정한 곡률을 가진 곡판으로 크게 구분되고, 곡률을 가지지 않는 평판(flat panel)을 갖는 조립품(assembly)의 조립에서는 일반 조립 정반(대형 작업대)상에서 조립이 가능하나,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판(curved panel) 또는 측외판(side shell plate)을 갖는 조립품(assembly)의 조립에서는 평판 정반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곡판 또는 측외판의 곡량에 맞는 막대기 형태의 핀지그(pin jig)를 이용하여 선체를 조립하는바, 핀지그는 국내외 각 조선소에서 선박의 제작과정에 없어서는 안 될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서, 수십 kg에서 수백톤에 달하는 무게의 블럭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핀지그 자체의 주조를 위한 재질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블럭의 외판을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는 최적의 핀지그 배열과 높이를 갖도록 정확하게 설계, 제작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0998112호에서, 선박을 제작하는 작업장의 베이스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지지대에 다수개의 핀구멍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승강봉을 삽입 설치하고, 핀구멍에 고정핀을 끼움에 따라 승강봉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에 있어서, 상기 핀구멍은 90° 방향의 지그재그 방향으로 교호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대의 전면 상부에는 핀구멍을 확인하는 투시구멍이 형성되며, 투시구멍(13)의 90° 방향의 고정지지대에는 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통공 외측의 고정지지대의 외부면에는 플런저가 통공을 통하여 내측으로 삽입되어 핀구멍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스톱퍼를 설치하되, 상기 스톱퍼는 고정지지대의 외면에 설치되는 플랜지부의 중앙에 하우징이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후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선단 핀부가 통공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런저가 탄력적으로 내향 설치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승강봉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핀구멍을 90° 방향의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하여 승강봉이 좌굴하중에 견디어 내는 힘이 향상되도록 하려는 것이나, 고중량으로 인해 이동 설치에 어려움이 따랐고, 특히, 작업자가 2인 1조로 작업해야 하므로 인건비 부담과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KR 10-0998112 B1 (2010.11.26.)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메인서포트모듈의 제 1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체결 위치에 의해 신축 길이가 1차 조절된 후, 서포트팁을 회전시켜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피치 이송에 의해 선박블록을 받침 지지하는 높이가 2차 미세 조절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선박블록 지지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외주면에 복수의 받침편(110)이 설치되고, 내부에 제 1가이드홀(120)이 형성되며, 제 1가이드홀(120)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제 1핀홀(130)이 관통되는 메인서포트모듈(100);
상기 제 1핀홀(130)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제 1레벨링핀(200);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 제 2가이드홀(320)이 형성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 또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의 제 2가이드홀(320)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 암나사부(410)가 형성되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 및
상기 제 2익스텐드모듈(400)의 암나사부(410)에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부(510)가 형성되고, 선박블록(A)을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팁(50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과 제 2익스텐드모듈(400)을 조립하여 비교적 저소 받침용으로 제공되거나,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과 제 1, 2익스텐드모듈(300)(400)을 조립하여 비교적 고소 받침용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에 삽입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제 1레벨링핀(200)의 체결 위치에 의해 신축 길이가 1차 조절되고, 서포트팁(500)을 회전시켜 암나사부(410)와 수나사부(510)의 피치 이송에 의해 선박블록(A)을 받침 지지하는 높이가 2차 미세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익스텐드모듈(300)은 제 2가이드홀(320)과 대응하는 상부 영역에 복수의 제 2핀홀(34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핀홀(340)에 제 2레벨링핀(350)이 체결되어, 제 2가이드홀(320)에 삽입되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의 신축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익스텐드모듈(300)과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상단부 영역에 걸림턱(301)(401)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에 삽입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리프팅모듈(600)에 의해 신축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모듈(600)은,
구동부에 의해 신축 길이 조절되는 로드봉(620)이 구비되는 실린더(610)와,
실린더(610)에 장착되고,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에 거치되면서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이 수용되도록 'U'자형 홈이 형성되는 제 1포크암(630)과,
제 1포크암(63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의 걸림턱(301)(401)에 결속되면서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이 수용되도록 'U'자형 홈이 형성되는 제 2포크암(640)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봉(620)이 수축 이송된 상태로 제 1, 2포크암(630)(640)을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와 걸림턱 사이에 삽입하고, 로드봉(620)이 제 2포크암(640)과 함께 상방향으로 돌출 이송되면,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이 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높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모듈(600)은 틸팅모듈(700)에 의해 위치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틸팅모듈(700)은,
선단에 리프팅모듈(600) 하단부가 연결되며, 후단에 받침암(714)이 설치되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리프팅모듈(600)을 경사각으로 지지하는 틸팅바디(710)와,
틸팅바디(710)에 설치되는 받침축(7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틸팅바디(710)를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720)과,
메인서포트모듈(100)과 대응하는 리프팅모듈(600) 외주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730)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바디(710)를 메인서포트모듈(100) 측으로 밀착한 후, 휠(722)을 중심으로 틸팅바디(710)를 기울이면, 리프팅모듈(600)이 메인서포트모듈(100)과 평행하게 각도 변경되면서 제 1, 2포크암(630)(640)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와 걸림턱 사이에 삽입되고, 틸팅바디(710)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휠(720)이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팅바디(710) 선단부에 돌출되어 메인서포트모듈(100) 외주면에 면접되는 자력 범버블록(740)이 구비되고, 상기 자력 범버블록(740) 전면 하단부에 자석(742)이 설치되며,
상기 틸팅바디(710)를 메인서포트모듈(100) 측으로 밀착하면, 자석(742)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외주면에 부착된 상태로 정지되고, 이후 받침축(722)을 중심으로 틸팅바디(710)를 기울이면 자력 범버블록(740)이 전면 상단부를 받침점으로 기울어지면서 제 1, 2포크암(630)(640)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와 걸림턱 사이에 삽입되는 시점에 자석(742)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상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메인서포트모듈의 제 1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체결 위치에 의해 신축 길이가 1차 조절된 후, 서포트팁을 회전시켜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피치 이송에 의해 선박블록을 받침 지지하는 높이가 2차 미세 조절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선박블록 지지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서포트팁 높낮이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제 1, 2익스텐드모듈 간에 높낮이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리프팅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틸팅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자력 범버블록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서포트팁 높낮이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제 1, 2익스텐드모듈 간에 높낮이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리프팅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틸팅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의 자력 범버블록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메인서포트모듈의 제 1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체결 위치에 의해 신축 길이가 1차 조절된 후, 서포트팁을 회전시켜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피치 이송에 의해 선박블록을 받침 지지하는 높이가 2차 미세 조절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선박블록 지지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메인서포트모듈(100), 제 1레벨링핀(200), 제 1익스텐드모듈(300), 제 2익스텐드모듈(400), 서포트팁(500)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서포트모듈(100)은 외주면에 복수의 받침편(110)이 설치되고, 내부에 제 1가이드홀(120)이 형성되며, 제 1가이드홀(120)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제 1핀홀(130)이 관통되고, 상기 제 1핀홀(130)에 삽입되도록 제 1레벨링핀(200)이 구비된다.
도 1 (a)처럼 상기 받침편(110)은 메인서포트모듈(100)은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저면이 바닥면에 접지된 상태로 메인서포트모듈(100)을 종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가이드홀(120)은 후술하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이 삽입되는 공간이고, 제 1가이드홀(120)에 삽입된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제 1핀홀(130)에 삽입되도록 제 1레벨링핀(200)에 의해 높낮이가 결정된다.
도 1 (b)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익스텐드모듈(300)은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 제 2가이드홀(3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익스텐드모듈(300)은 원형 관체로서, 외경이 제 1가이드홀(120) 내경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후술하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이 삽입되는 제 2가이드홀(3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가이드홀(320) 내경은 제 1가이드홀(120) 내경과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도 1 (c)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 또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의 제 2가이드홀(320)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 암나사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원형 관체로서, 외경이 제 1, 2가이드홀(320)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상단부에 암나사부(410)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서포트팁(500)의 수나사부(510)와 나사체결되도록 구비된다.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팁(500)은 상기 제 2익스텐드모듈(400)의 암나사부(410)에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부(510)가 형성되고, 선박블록(A)을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팁(500)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선박블록(A)을 받침 지지하고, 수나사부(510)를 통하여 제 2익스텐드모듈(400)의 암나사부(410)에 나사체결된다.
이에 도 2 (a)처럼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과 제 2익스텐드모듈(400)을 조립하여 비교적 저소 받침용으로 제공되거나, 도 2 (b)와 같이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과 제 1, 2익스텐드모듈(300)(400)을 조립하여 비교적 고소 받침용으로 제공되므로, 현장에서 작업상황에 따라 서포트팁(500) 높낮이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선박블록(A)을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에 삽입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제 1레벨링핀(200)의 체결 위치에 의해 신축 길이가 1차 조절되고, 서포트팁(500)을 회전시켜 암나사부(410)와 수나사부(510)의 피치 이송에 의해 선박블록(A)을 받침 지지하는 높이가 2차 미세 조절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선박블록(A)을 지지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제 1익스텐드모듈(300)은 제 2가이드홀(320)과 대응하는 상부 영역에 복수의 제 2핀홀(34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핀홀(340)에 제 2레벨링핀(350)이 체결되어, 제 2가이드홀(320)에 삽입되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의 신축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선박블록(A)을 받침 지지할 수 있는 범위가 확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익스텐드모듈(300)과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상단부 영역에 걸림턱(301)(4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에 삽입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리프팅모듈(600)에 의해 신축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도 5에서, 상기 리프팅모듈(600)은, 구동부에 의해 신축 길이 조절되는 로드봉(620)이 구비되는 실린더(610)와, 실린더(610)에 장착되고,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에 거치되면서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이 수용되도록 'U'자형 홈이 형성되는 제 1포크암(630)과, 제 1포크암(63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의 걸림턱(301)(401)에 결속되면서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이 수용되도록 'U'자형 홈이 형성되는 제 2포크암(640)을 포함한다.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로드봉(620)이 수축 이송된 상태로 제 1, 2포크암(630)(640)을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와 걸림턱 사이에 삽입하고, 로드봉(620)이 제 2포크암(640)과 함께 상방향으로 돌출 이송되면,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이 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높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리프팅모듈(600)에 의해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의 높이 조절됨에 따라 1인 작업자에 의한 레벨링 작업이 가능하고, 특히, 제 2익스텐드모듈(400)을 다단으로 연결하여 사이즈를 확장하더라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6에서, 상기 리프팅모듈(600)은 틸팅모듈(700)에 의해 위치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틸팅모듈(700)은, 선단에 리프팅모듈(600) 하단부가 연결되며, 후단에 받침암(714)이 설치되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리프팅모듈(600)을 경사각으로 지지하는 틸팅바디(710)와, 틸팅바디(710)에 설치되는 받침축(7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틸팅바디(710)를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720)과, 메인서포트모듈(100)과 대응하는 리프팅모듈(600) 외주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730)를 포함한다.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틸팅바디(710)를 메인서포트모듈(100) 측으로 밀착한 후, 휠(722)을 중심으로 틸팅바디(710)를 기울이면, 리프팅모듈(600)이 메인서포트모듈(100)과 평행하게 각도 변경되면서 제 1, 2포크암(630)(640)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와 걸림턱 사이에 삽입되고, 틸팅바디(710)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휠(720)이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리프팅모듈(600)이 휠(720)에 간섭없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와 걸림턱 사이에 체결되어 리프팅 작동력이 정확하게 전달되는 이점이 있다.
도 7에서, 상기 틸팅바디(710) 선단부에 돌출되어 메인서포트모듈(100) 외주면에 면접되는 자력 범버블록(740)이 구비되고, 상기 자력 범버블록(740) 전면 하단부에 자석(742)이 설치된다.
이에 상기 틸팅바디(710)를 메인서포트모듈(100) 측으로 밀착하면, 자석(742)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외주면에 부착된 상태로 정지되고, 이후 받침축(722)을 중심으로 틸팅바디(710)를 기울이면 자력 범버블록(740)이 전면 상단부를 받침점으로 기울어지면서 제 1, 2포크암(630)(640)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와 걸림턱 사이에 삽입되는 시점에 자석(742)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상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리프팅모듈(600)을 장착하는 중에 유동이 방지되어 누구나 손쉽게 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메인서포트모듈 200: 제 1레벨링핀
300: 제 1익스텐드모듈 300: 제 2익스텐드모듈
500: 서포트팁

Claims (6)

  1. 외주면에 복수의 받침편(110)이 설치되고, 내부에 제 1가이드홀(120)이 형성되며, 제 1가이드홀(120)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제 1핀홀(130)이 관통되는 메인서포트모듈(100);
    상기 제 1핀홀(130)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제 1레벨링핀(200);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 제 2가이드홀(320)이 형성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 또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의 제 2가이드홀(320)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 암나사부(410)가 형성되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 및
    상기 제 2익스텐드모듈(400)의 암나사부(410)에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부(510)가 형성되고, 선박블록(A)을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팁(50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과 제 2익스텐드모듈(400)을 조립하여 비교적 저소 받침용으로 제공되거나,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과 제 1, 2익스텐드모듈(300)(400)을 조립하여 비교적 고소 받침용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 1익스텐드모듈(300)과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상단부 영역에 걸림턱(301)(401)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에 삽입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리프팅모듈(600)에 의해 신축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모듈(600)은,
    구동부에 의해 신축 길이 조절되는 로드봉(620)이 구비되는 실린더(610)와,
    실린더(610)에 장착되고,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에 거치되면서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이 수용되도록 'U'자형 홈이 형성되는 제 1포크암(630)과,
    제 1포크암(63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의 걸림턱(301)(401)에 결속되면서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이 수용되도록 'U'자형 홈이 형성되는 제 2포크암(640)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봉(620)이 수축 이송된 상태로 제 1, 2포크암(630)(640)을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와 걸림턱 사이에 삽입하고, 로드봉(620)이 제 2포크암(640)과 함께 상방향으로 돌출 이송되면,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이 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높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포트모듈(100)의 제 1가이드홀(120)에 삽입되는 제 1익스텐드모듈(300) 또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은 제 1레벨링핀(200)의 체결 위치에 의해 신축 길이가 1차 조절되고, 서포트팁(500)을 회전시켜 암나사부(410)와 수나사부(510)의 피치 이송에 의해 선박블록(A)을 받침 지지하는 높이가 2차 미세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익스텐드모듈(300)은 제 2가이드홀(320)과 대응하는 상부 영역에 복수의 제 2핀홀(34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핀홀(340)에 제 2레벨링핀(350)이 체결되어, 제 2가이드홀(320)에 삽입되는 제 2익스텐드모듈(400)의 신축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모듈(600)은 틸팅모듈(700)에 의해 위치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틸팅모듈(700)은,
    선단에 리프팅모듈(600) 하단부가 연결되며, 후단에 받침암(714)이 설치되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리프팅모듈(600)을 경사각으로 지지하는 틸팅바디(710)와,
    틸팅바디(710)에 설치되는 받침축(7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틸팅바디(710)를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720)과,
    메인서포트모듈(100)과 대응하는 리프팅모듈(600) 외주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730)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바디(710)를 메인서포트모듈(100) 측으로 밀착한 후, 휠(722)을 중심으로 틸팅바디(710)를 기울이면, 리프팅모듈(600)이 메인서포트모듈(100)과 평행하게 각도 변경되면서 제 1, 2포크암(630)(640)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와 걸림턱 사이에 삽입되고, 틸팅바디(710)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휠(720)이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바디(710) 선단부에 돌출되어 메인서포트모듈(100) 외주면에 면접되는 자력 범버블록(740)이 구비되고, 상기 자력 범버블록(740) 전면 하단부에 자석(742)이 설치되며,
    상기 틸팅바디(710)를 메인서포트모듈(100) 측으로 밀착하면, 자석(742)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외주면에 부착된 상태로 정지되고, 이후 받침축(722)을 중심으로 틸팅바디(710)를 기울이면 자력 범버블록(740)이 전면 상단부를 받침점으로 기울어지면서 제 1, 2포크암(630)(640)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상단부와 걸림턱 사이에 삽입되는 시점에 자석(742)이 메인서포트모듈(100) 상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6. 삭제
KR1020220123242A 2022-09-28 2022-09-28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KR102494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242A KR102494904B1 (ko) 2022-09-28 2022-09-28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242A KR102494904B1 (ko) 2022-09-28 2022-09-28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904B1 true KR102494904B1 (ko) 2023-02-06

Family

ID=8522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242A KR102494904B1 (ko) 2022-09-28 2022-09-28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9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12B1 (ko) 2008-05-21 2010-12-02 김종영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
KR20210037364A (ko) * 2019-09-27 2021-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핀 지그 장치
KR20210000840U (ko) * 2019-10-10 2021-04-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핀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12B1 (ko) 2008-05-21 2010-12-02 김종영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
KR20210037364A (ko) * 2019-09-27 2021-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핀 지그 장치
KR20210000840U (ko) * 2019-10-10 2021-04-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핀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844B1 (ko) 클램핑 장치
CN111751083B (zh) 一种用于大口径光学元件检测的调整与翻转设备
CA1047160A (en) Variable angle support apparatus
CN111336364A (zh) 一种标定系统及其标定支架
CN102931486B (zh) 天线角度调节装置
CN1493066A (zh) 用于调整显示器方向的装置
EP1897630A1 (en) Method for alignment of a vehicle and levelling bench arrangement
CN101723243A (zh) 支撑机构
CN100454084C (zh) 面板翻转机构
KR102494904B1 (ko)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시스템
GB2087836A (en) Load moving apparatus for example for a universal robot
CN106927358A (zh) 夹装吊具
CN109844357A (zh) 空气弹簧和转向架
KR101984667B1 (ko) 갠트리 크레인
CN212691245U (zh) 一种标定系统及其标定支架
EP1897631A1 (en) Levelling bench arrangement, set of accessories for a levelling bench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a levelling bench for a particular vehicle model
CN114738631B (zh) 一种可调整倾斜角度的固定平台
CN102360165A (zh) 用于浸没单元调节的3-psr-v并联机构
CN210596073U (zh) 细胞发酵罐显微监测系统的光轴空间姿态调整装置
KR102019144B1 (ko) 스탠드 장치
CN112756996A (zh) 一种六自由度调节装置
CN110608943A (zh) 一种用于调节便携式微米压入仪作动杆垂直度的装置
JP3816490B2 (ja) 反射鏡支持構造およびその調整方法
KR20210047569A (ko) 선박 화물창 내의 단열재 리프팅 장치
JP2016193646A (ja) 車輪着脱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