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863B1 -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저감 및 비산먼지 저감용 살수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저감 및 비산먼지 저감용 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863B1
KR102494863B1 KR1020220069526A KR20220069526A KR102494863B1 KR 102494863 B1 KR102494863 B1 KR 102494863B1 KR 1020220069526 A KR1020220069526 A KR 1020220069526A KR 20220069526 A KR20220069526 A KR 20220069526A KR 102494863 B1 KR102494863 B1 KR 102494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osed
spraying
solu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순웅
Original Assignee
인순웅
금용환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순웅, 금용환경(주) filed Critical 인순웅
Priority to KR102022006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8Spray cleaning with 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05B13/041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the angular position of the spray heads relative to the straight line being modified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저감 및 비산먼지 저감용 살수장치가 제공된다. 내부에 살수 용액이 배치되는 액체탱크;와 상기 액체탱크에서 배출된 상기 살수 용액이 여과되는 필터부;와 상기 살수 용액의 압력을 조절하고, 펌프에 의해 상기 살수 용액을 조정부로 이동시키는 작동부;와 분사부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살수 용액이 일측 방향으로 분사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측에 지지부 및 각도조절 실린더가 배치되고, 내부에 웜기어 및 웜을 포함하여 360˚회전되는 회동부; 및 하측은 상기 회동부의 상측과 연결되고, 상측은 상기 분사부의 하측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분사부를 지지하고, 내측에는 상기 살수 용액이 이동되는 배관이 배치되어, 상기 분사부로 상기 살수 용액이 전달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살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저감 및 비산먼지 저감용 살수장치{WATERING DEVICE FOR REDUCING ODOR AND SCATTERING DUST AT THE LANDFILL}
본 발명은 쓰레기 매립장 등에서 발생되는 비산 먼지 및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저감 및 비산먼지 저감용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재 공장, 시멘트 공장, 공사장, 쓰레기 매립장, 야적장 및 건설폐기물 재활용 처리장 등은 각종 파쇄 설비의 가동, 자재 운반 및 자재 하역 과정에서 비산먼지가 다량으로 발생된다. 이는 환경 오염과 대기오염 피해를 유발하며,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침투되어 각종 호흡기 질환과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필요 조치와 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물 및 약제를 노즐로 분사하는 살수차나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비산먼지 발생 장소의 주위에 물을 흩뿌려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살수차 및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비산먼지 발생 억제 방법은 대개 주위에서 물을 흩어 뿌리는 특성상 살수 면적 및 살수 범위가 좁고 압력이 낮아 물방울이 크고 주위의 환경 및 바람에 따라 살수 상태가 좌우된다. 즉, 종래의 비산먼지 억제 방법은 넓은 면적의 장소에서는 비산먼지의 발생 억제를 위한 효율이 상당히 낮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비산먼지 억제 방법은 바람의 세기, 방향 및 먼지의 발생 정도와 상관없이 살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바람의 영향으로 먼지가 날리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물이 흩날림에 따라 바람이 부는 방향의 먼지의 비산을 억제할 수가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비산먼지 억제 방법은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상승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자재 등이 높게 쌓여 있는 환경에서는 자재의 상측으로 물이 분사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덧붙여, 원거리로 물을 분사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물이 뿌려지는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워, 물이 원하는 위치 외에도 분사되어 물이 낭비되기도 한다.
또한, 비산먼지가 발생되는 환경에 자주 노출되는 특성 상 살수차는 외부가 쉽게 더러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살수차의 외부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세차 장비가 구비된 장소로 살수차를 이동하여 청소하여야 하므로 매번 청소하기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쓰레기 매립장과 같은 비산먼지 발생 장소에서 발생되는 비산 먼지 및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 차량 등에 장착되어 작동되는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저감 및 비산먼지 저감용 살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살수 용액이 배치되는 액체탱크;와 상기 액체탱크에서 배출된 상기 살수 용액이 여과되는 필터부;와 상기 살수 용액의 압력을 조절하고, 펌프에 의해 상기 살수 용액을 조정부로 이동시키는 작동부;와 분사부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살수 용액이 일측 방향으로 분사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측에 지지부 및 각도조절 실린더가 배치되고, 내부에 웜기어 및 웜을 포함하여 360˚회전되는 회동부; 및 하측은 상기 회동부의 상측과 연결되고, 상측은 상기 분사부의 하측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분사부를 지지하고, 내측에는 상기 살수 용액이 이동되는 배관이 배치되어, 상기 분사부로 상기 살수 용액이 전달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살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살수장치는 쓰레기와 같은 장애물이 높게 쌓인 장소에서도 살수 용액을 용이하게 분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살수 용액이 분무되는 위치를 파악하여 원하는 장소에 살수 용액을 정확하게 분무할 수 있어, 살수 용액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살수장치는 노즐이 회전되며 분사 가능하여, 살수 용액을 넓은 면적에 더 강하고 멀리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살수장치는 차량의 외부를 바로 청소할 수 있어, 청결하게 차량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부의 확대도 및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동부의 내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정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분사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살수장치(100)는 트럭과 같은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어, 비산먼지 및 악취 발생 장소에 물 및 약제가 포함된 살수 용액을 살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수장치(100)는 내부에 살수 용액이 배치되는 액체탱크(110), 살수 용액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필터부(120), 살수 용액의 압력을 조정하는 작동부(130), 분사부(150)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부(140) 및 살수 용액이 분사되는 분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살수장치(100)는 비산먼지 및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액체탱크(110)는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고, 내부에 비산먼지 및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살수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액체탱크(110)는 물과 약품을 포함할 수 있고, 물 및 약품은 혼합 보관되거나 각각 별도로 보관될 수 있다. 액체탱크(110)는 일측이 필터부(120)와 연결되어, 살수 용액이 필터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 예컨대, 액체탱크(110)의 외주연에는 발열부(미도시)가 배치되고, 주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하강되는 경우 발열되어, 액체탱크(110)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부의 확대도 및 분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필터부(120)는 일측이 액체탱크(1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작동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용액의 내부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여 작동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120)는 액체탱크(110) 및 작동부(130)와 연결되는 상부커버(121), 상부커버(121)와 연결되는 하부필터(122) 및 하부필터(122)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확산가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20)는 살수 용액 내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후술할 분사부(150)의 노즐(153a)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대상물을 향해 청결한 살수 용액을 분사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부커버(121)는 하측 면이 개방된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121)는 필터부(1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은 액체탱크(1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작동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부커버(121)의 하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필터(122)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커버(121)는 살수 용액이 유입되는 액체 유입관(121a), 살수 용액이 배출되는 액체 배출관(121b) 및 액체 유입관(121a)과 액체 배출관(121b)의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121c)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유입관(121a)은 상부커버(121)의 일측과 액체탱크(110)의 하측과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액체 유입관(121a)은 T자형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체 유입관(121a)은 살수 용액의 여과 시, 필터부(120)로 살수 용액을 유입시키고, 살수 용액의 여과 후에는 T자형 배관이 개방되어 액체 유입관(121a)에 남아있는 살수 용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액체 유입관(121a)에는 체크밸브(121a-1)가 배치되어 액체 유입관(121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즉, 액체 유입관(121a)은 살수 용액을 필터부(120)로 전달하고, 살수 용액이 여과되지 않을 때는 배관의 내측에 고여 있는 용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액체 배출관(121b)은 상부커버(121)의 타측과 후술할 작동부(130)의 펌프(131)와 연결될 수 있다. 액체 배출관(121b)은 필터부(120)를 통해 여과된 살수 용액이 필터부(120)에서 작동부(130)로 이동될 수 있다.
분리막(121c)은 상부커버(121)의 내측에 배치되고, 액체 유입관(121a)과 액체 배출관(12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막(121c)은 상부커버(121)의 중심에 배치된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막(121c)은 살수 용액이 유입 및 유출되는 경로를 구분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분리막(121c)은 액체 유입관(121a)을 통해 유입된 살수 용액이 하부필터(122)로 유입되어 불순물 여과 후 액체 배출관(121b)으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분리막(121c)은 액체 유입관(121a)과 액체 배출관(121b)이 마주보게 배치되는 경우, 필터부(120)의 내측으로 유입된 살수 용액이 하부필터(122)로 인입되지 않고 바로 액체 배출관(121b)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부필터(122)는 상부커버(121)의 하측에 연결되어, 살수 용액의 내부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필터(122)는 하측에 배치되는 바닥커버(122a), 살수 용액 내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제1필터(122b), 제2필터(122c) 및 바닥커버(122a)와 상부커버(121) 사이를 밀폐하는 외부커버(122d)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커버(122a)는 하부필터(122)의 가장 하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제1필터(122b), 제2필터(122c), 확산가압부(123) 및 배출밸브(122a-1)가 배치될 수 있다. 바닥커버(122a)는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커버(122a)의 상측에는 제1필터(122b) 및 제2필터(122c)의 단면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제1필터(122b) 및 제2필터(122c)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배출밸브(122a-1)는 바닥커버(122a)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배출밸브(122a-1)는 살수 용액이 모두 여과된 후 개방하여 하부필터(122)의 내부에 남아있는 살수 용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1필터(122b)는 원통형의 메쉬(mesh)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필터(122b)는 상하측 및 측면에 뼈대를 포함하여, 메쉬(mesh) 망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필터(122b)는 상측 둘레에 패킹(122b-1)이 배치되어, 제1필터(122b), 제2필터(122c) 및 상부커버(121) 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제1필터(122b)는 제2필터(122c)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2필터(122c)보다 넓은 크기의 메쉬(mesh) 망으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불순물을 여과할 수 있다.
제2필터(122c)는 원통형의 금속 및 메쉬(mesh)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필터(122c)는 원통형의 메쉬(mesh) 망의 외측에 개방부(122c-1)가 형성된 금속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필터(122c)는 제1필터(122b)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필터(122b)보다 촘촘한 메쉬(mesh) 망으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불순물을 여과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필터(122c)의 금속 부재는 자성이 있는 부재로 형성되어, 금속성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2필터(122c)의 상단 둘레에는 패킹(미도시)이 배치되어, 상부커버(121) 간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2필터(122c)에 의해 여과되지 않은 입자가 작은 불순물은 개방부(122c-1)를 통해 유출되고, 제1필터(122b)에 의해 이차 여과될 수 있다.
즉, 살수 용액 내에 포함된 불순물은 제1필터(122b) 및 제2필터(122c)에 의해 이중으로 여과되어, 효과적으로 여과될 수 있다.
외부커버(122d)는 상측 및 하측 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커버(122d)는 일측 면이 투명하게 형성된 투명부(122d-1)가 포함되어,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외부커버(122d)의 투명부(122d-1)는 필터부(120)를 개방하지 않고도 제1필터(122b) 및 제2필터(122c)의 오염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필터 교체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외부커버(122d)는 상단 및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커버(121) 및 바닥커버(122a)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확산가압부(123)는 바닥커버(122a)의 상단에 배치되어, 살수용액을 상측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확산가압부(123)는 하부필터(122)의 내부로 유입된 살수 용액을 상측으로 확산시켜, 액체 배출관(121b)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산가압부(123)는 판형 부재인 지지부재(123a), 지지부재(123a)에 부착되고, 한 쌍의 가압판(123c)이 연결되는 힌지부(123b), 힌지부(123b)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판(123c) 및 가압판(123c)과 지지부재(123a)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23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23a)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힌지부(123b) 및 탄성부재(123d)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123b)는 지지부재(123a)의 상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가압판(123c)이 끼움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123b)는 가압판(123c)이 상하로 회동되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가압판(123c)은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힌지부(123b)에 끼움 배치되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가압판(123c)은 하부필터(122)로 유입된 살수 용액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살수 용액을 상측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압판(123c)은 한 쌍이 힌지부(123b)를 사이에 두고 양 측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가압판(123c)은 바닥커버(122a)에 배치되어, 살수 용액이 하측에 고여있지 않고, 액체 배출관(121b)이 배치된 상측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23d)는 가압판(123c)과 지지부재(123a)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판(123c)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23d)는 양 측의 가압판(123c)에 각각 형성되되, 한 개 또는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23d)는 가압판(123c)의 하측이자 지지부재(123a)의 상측에 배치되어, 살수 용액의 가압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되면서 살수 용액이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동부의 내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작동부(130)는 필터부(120)의 측면에 배치되고, 조정부(1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작동부(130)는 살수 용액의 압력을 조절하고, 살수 용액을 조정부(1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부(130)는 살수 용액을 조정부(140)로 이동시키는 펌프(131), 살수 용액이 이동되는 연결관(132), 살수 용액의 압력을 표시하는 계기판(133) 및 연결관(132)과 조정부(1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살수 용액이 전달되는 급수배관(134)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130)는 살수 용액의 분사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배치되고, 살수 차량의 외부를 세척하기 위한 호스가 배치되어 차량의 외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펌프(131)는 살수 용액을 연결관(132)으로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펌프(131)는 살수 용액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고압이면서도 일정한 압력으로 살수 용액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연결관(132)은 원통형의 배관으로 형성되어 펌프(131)에 의해 살수 용액이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관(132)은 살수 용액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132a) 및 살수 차량의 외부 청소를 위한 청소 호스(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관(132)은 살수 용액의 압력을 측정하여, 원하는 압력으로 살수 용액을 분사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압력조절밸브(132a)는 살수 용액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에컨대, 살수 용액에 포함된 물 및 약제가 각각 보관되는 경우, 압력조절밸브(132a)는 각각의 살수 용액이 이동되는 배관에 구비되어 각각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청소 호스(132b)는 연결관(132)의 일측에 배치되어, 살수 용액이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청소 호스(132b)는 개폐 밸브(미도시)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개방하여 차량의 외부를 향해 분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살수장치(100)가 안착되는 차량은 먼지 및 불순물이 많은 장소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가 쉽게 오염되고, 바로 세척하지 않으면 지워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즉, 청소 호스(132b)는 필요하지 않을 때는 작동부(130)의 내측에 보관되었다가, 필요시 꺼내어 차량의 외부를 언제든지 청소할 수 있다. 살수장치(100)의 내측에 차량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 호스(132b)가 구비되어, 차량을 세차장까지 이동하지 않고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계기판(133)은 연결관(132)의 일측에 배치되어, 살수 용액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급수배관(134)은 연결관(132)과 조정부(1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살수 용액이 조정부(140)로 이동되는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급수배관(134)은 후술할 조정부(140)의 로타리조인트(142)에 연결되어 분사부(150)로 살수 용액의 이동 시, 조정부(140)가 회동되더라도 꼬임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급수배관(134)의 외주연에는 발열부(미도시)가 배치되고, 주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하강되는 경우 발열되어, 급수배관(134)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정부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정부(140)는 작동부(130)와 분사부(1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살수 용액을 분사부(150)로 전달하고, 분사부(1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부(140)는 분사부(15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 실린더(141), 살수 용액이 꼬이지 않게 분사부(150)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로타리조인트(142), 분사부(150)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부(143), 분사부(150)와 회동부(143)의 사이에 배치되어 분사부(150)를 지지하는 지지부(144) 및 분사부(150)의 상하 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 실린더(145)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 실린더(141)는 작동부(130)와 회동부(143)의 사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동부(14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조절 실린더(141)는 로타리조인트(142)의 양 측면 또는 사방에 배치되어, 회동부(143)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 실린더(141)는 분사부(15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쓰레기와 같은 장애물이 높게 쌓인 장소에서도 살수 용액을 용이하게 분무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로타리조인트(142)는 회동부(143)의 하측에 연결되고, 일측에는 급수배관(134)이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부(144)의 내측에 배치된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로타리조인트(142)는 급수배관(134)으로 유입되는 살수 용액의 꼬임을 방지하며 무한 회전하면서 지지부(144)의 내측에 배치된 배관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로타리조인트(142)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동부(143)는 높이조절 실린더(141) 및 로타리조인트(142)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동부(143)의 중심에는 로타리조인트(14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회동부(143)는 로타리조인트(142)의 상측에 배치되고, 로타리조인트(142)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의 회동부(143)의 상단에는 지지부(144) 및 각도조절 실린더(145)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부(143)는 웜기어(143a), 웜(143b) 및 회동부(143)의 측면에 배치되는 왕복센서(143c)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143)는 분사부(150)를 360˚로 회동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웜기어(143a) 및 웜(143b)은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어, 웜(143b)의 회전에 따라 웜기어(143a)가 회전될 수 있다. 웜기어(143a)의 중심에는 로타리조인트(142)가 배치될 수 있다. 웜(143b)은 모터(미도시)가 연결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웜(143b)이 회전될 수 있다. 지지부(144) 및 각도조절 실린더(145)는 웜기어(143a)의 상단에 배치되어, 웜기어(143a)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왕복센서(143c)는 회동부(143)의 측면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왕복센서(143c)는 후술할 감지핀(144a)의 위치를 감지하여, 웜기어(143a)를 왕복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일측의 왕복센서(143c)는 감지핀(144a)이 감지되면, 웜기어(143a)가 회전하던 방향에서 반대로 회전되게 하고, 타측의 왕복센서(143c)에 감지핀(144a)이 감지되면 또 다시 웜기어(143a)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즉, 왕복센서(143c)는 웜기어(143a)를 일정 각도로 왕복 운동하게 하여, 웜기어(143a)와 연결된 분사부(15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왕복센서(143c)가 이격된 거리에 따라 분사부(150)가 왕복 운동되는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44)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폭 방향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44)의 하측은 회동부(143)의 상측과 연결되고, 상측은 분사부(150)의 하측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부(144)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44)의 내측에 로타리조인트(142)를 통과한 살수 용액이 배출되는 배관(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144)는 분사부(150)를 지지하고, 분사부(150)로 연결되는 배관(미도시)을 보호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44)의 내부에 배치된 배관의 외주연에는 발열부(미도시)가 배치되고, 주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하강되는 경우 발열되어, 지지부(144)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44)는 감지핀(144a)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핀(144a)은 웜기어(143a)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왕복센서(143c)에 감지되어 웜기어(143a)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각도조절 실린더(145)의 하측은 지지부(144)와 힌지 결합되고, 상측은 분사부(150)의 하측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각도조절 실린더(145)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어 분사부(150)의 상하 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정부(140)는 센서(S1, S2, S3, 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S1)는 웜(143b)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센서(S2)는 웜기어(143a)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3센서(S3)는 지지부(144)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4센서(S4)는 각도조절 실린더(145)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센서(S1)는 웜기어(143a)의 일측에 배치된 제2센서(S2)의 위치와 비교하여 웜기어(143a)의 좌우 방향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3센서(S3)는 각도조절 실린더(145)의 일측에 배치된 제4센서(S4)의 위치와 비교하여 분사부(150)의 상하 방향의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S1, S2, S3, S4)는 서로 상호 작용하게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S1, S2, S3, S4)는 회동부(143) 및 각도조절 실린더(145)의 작동에 의해 간섭 받지 않게 하기 위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S1, S2, S3, S4)는 제어부(미도시)로 분사부(150)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회전 각도를 전달하여 분사부(15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는 제어부(미도시)에서 전달받은 분사부(15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 분사부(150)의 회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분사부(150)는 차량의 가장 상단에 위치하고, 작업자가 그 회전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센서(S1, S2, S3, S4)를 통해 분사부(150)의 위치를 파악하여 작업자가 차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분사부(150)의 회전 각도 및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분사부의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분사부(150)는 조정부(140)의 상측에 배치되어, 비산먼지 및 악취 발생 장소를 향해 살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부(150)는 조정부(140)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부(151), 고정부(151)와 노즐부(153)의 사이에 배치되는 원통관(152), 원통관(152)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노즐부(153) 및 분사부(150)의 중심에 배치되는 이송관(154)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150)는 노즐부(153)의 회전에 의해 살수 용액이 파형을 그리며 분사되어 원거리까지 분사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고정부(151)는 분사부(15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조정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부(151)는 조정부(140)의 지지부(144) 및 각도조절 실린더(145)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51)는 분사부(15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구(131a)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131a)는 고정부(151)의 일측에 개방되게 배치되어, 공기가 분사부(1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원통관(152)은 고정부(151)와 노즐부(153)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관(154)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부(153)는 원통관(152)의 일측 단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살수 용액이 분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부(153)는 튜브 형의 배관으로 외주연에 노즐(153b)이 배치되는 노즐배관(153a), 살수 용액이 분사되는 노즐(153b) 및 살수 용액의 분사 위치를 안내하는 레이저발생부(153c)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153)는 살수 용액을 다수 개의 작은 입사로 분사하게 하여, 비산 먼지 및 악취 발생부에 넓은 면적으로 흩뿌려질 수 있다.
노즐배관(153a)은 원통관(152)의 일측 단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튜브 형상의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배관(153a)은 원통관(152)과 베어링으로 연결되고, 노즐연결부(154c)의 일측은 후술할 이송관(154)의 노즐연결부(154c)와 연결될 수 있다. 노즐배관(153a)은 살수 용액이 인입되어 노즐(153b)을 통해 살수 용액이 분사되도록 하고, 회전하며 분사되어 살수 용액이 파형을 이루며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노즐(153b)은 노즐배관(153a)의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노즐(153b)은 살수 용액이 작은 입자로 흩뿌려지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노즐(153b)은 노즐배관(153a)에 살수 용액이 유입 시 다수 개의 노즐(153b)에서 동시에 살수 용액이 분사될 수 있다.
레이저발생부(153c)는 노즐배관(153a)의 외주연에 배치되고, 노즐(153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저발생부(153c)는 살수 용액이 분사되는 방향으로 레이저(laser)를 발생하여, 작업자에게 살수 용액이 분사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즉, 레이저발생부(153c)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살수 용액의 분사 위치를 파악하여 살수 용액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송관(154)은 지지부(144)에서부터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노즐부(153)까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관(154)은 살수 용액이 이동되는 액체이동관(154a), 액체이동관(154a)의 외주연에 배치되는 프로펠러(154b) 및 노즐배관(153a)과 연결되는 노즐연결부(15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154)은 노즐배관(153a)으로 살수 용액을 전달하고, 회전시키며, 일측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액체이동관(154a)은 지지부(144)의 내부에 배치된 배관에서부터 노즐부(153)까지 연결되어, 살수 용액을 노즐부(153)로 전달시킬 수 있다. 액체이동관(154a)은 원통관(152)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외주연에는 프로펠러(154b)가 배치되고, 끝단에는 노즐연결부(154c)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로펠러(154b)는 액체이동관(154a)의 외주연에 배치되어 일측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프로펠러(154b)는 액체이동관(154a)의 외주연과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며 공기를 노즐부(153)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노즐연결부(154c)는 액체이동관(154a)과 수직된 방향으로 배치된 배관으로 형성되어, 액체이동관(154a)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연결부(154c)의 끝단은 노즐배관(153a)의 내측에 연결되어, 살수 용액이 노즐배관(153a)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노즐연결부(154c)는 액체이동관(154a)의 끝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노즐연결부(154c)와 연결된 노즐배관(153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살수장치(100)는 쓰레기와 같은 장애물이 높게 쌓인 장소에서도 살수 용액을 용이하게 분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살수 용액이 분무되는 위치를 파악하여 원하는 장소에 살수 용액을 정확하게 분무할 수 있어, 살수 용액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살수장치(100)는 노즐(153b)이 회전되며 분사 가능하여, 살수 용액이 더 강하고 멀리 분사될 수 있다. 노즐(153b)이 회전되며 파형을 형성하여 분사되어, 일반적으로 분사되는 경우보다 더 멀고 강하게 분사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살수장치(100)는 분사부(150)의 높이를 조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노즐(153b)의 회전을 통해 살수 용액이 더 멀리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분사부(150)의 높이를 향상시킨 상태에서는 살수 용액의 최대 분사 거리를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살수장치(100)는 차량의 외부를 바로 청소할 수 있어, 청결하게 차량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차량의 외부가 오염되면, 작동부(130)의 내측에 배치된 청소 호스(132b)를 꺼내어 차량의 외부를 즉각적으로 세척하여 차량에 오염물이 고착되기 전에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살수장치 110: 액체탱크
120: 필터부 121: 상부커버
122: 하부필터 123: 확산가압부
130: 작동부 131: 펌프
132: 연결관 133; 계기판
134: 급수배관 140: 조정부
141: 높이조절 실린더 142: 로타리조인트
143: 회동부 144: 지지부
145: 각도조절 실린더 150: 분사부
151: 고정부 152: 원통관
153: 노즐부 154: 이송관

Claims (7)

  1. 내부에 살수 용액이 배치되는 액체탱크(110);
    상기 액체탱크(110)에서 배출된 상기 살수 용액이 여과되는 필터부(120);
    상기 살수 용액의 압력을 조절하고, 펌프(131)에 의해 상기 살수 용액을 조정부(140)로 이동시키는 작동부(130);
    분사부(15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부(140); 및
    상기 살수 용액이 일측 방향으로 분사되는 분사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120)는,
    상기 필터부(120)의 바닥에 배치되어, 상기 살수 용액을 상측으로 확산시키는 확산가압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가압부(123)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120)의 바닥에 배치되는 지지부재(123a);
    상기 지지부재(123a)의 상단에 배치되고, 한 쌍의 가압판(123c)이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123c)이 상하로 회동되게 하는 힌지부(123b);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살수 용액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살수 용액을 상측으로 확산시키는 가압판(123c); 및
    상기 지지부재(123a)와 상기 가압판(12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 및 이완되며 상기 가압판(123c)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3d);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140)는,
    상기 조정부(1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사부(150)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조절 실린더(141);
    회동부(143)의 하측에 연결되고, 일측에는 급수배관(134)이 연결되어, 상기 분사부(150)로 상기 살수 용액이 전달되되, 상기 급수배관(134)과 상기 분사부(150) 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무한 회전 가능한 로타리조인트(142);
    상측에 지지부(144) 및 각도조절 실린더(145)가 배치되고, 내부에 웜기어(143a) 및 웜(143b)을 포함하여 360˚회전되는 회동부(143);
    하측은 상기 회동부(143)의 상측과 연결되고, 상측은 상기 분사부(150)의 하측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분사부(150)를 지지하고, 내측에는 상기 살수 용액이 이동되는 배관이 배치되어, 상기 분사부(150)로 상기 살수 용액이 전달되는 지지부(144);
    상기 지지부(144)의 일측에 배치되어, 왕복센서(143c)에 감지되는 감지핀(144a); 및
    상기 조정부(140)의 측면에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고, 감지핀(144a)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핀(144a)이 감지 시, 상기 웜기어(143a)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웜기어(143a)에 연결된 상기 분사부(15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왕복센서(143c);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150)는,
    상기 분사부(150)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살수 용액이 다수 개로 분사되게 하는 노즐부(153);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153)는,
    상기 분사부(150)의 끝단에 배치되고, 튜브 형상의 배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살수 용액의 공급과 동시에 회전되는 노즐배관(153a);
    상기 노즐배관(153a)의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살수 용액이 분사되는 노즐(153b); 및
    상기 노즐배관(153a)의 외주연에 배치되어, 상기 살수 용액이 분사되는 방향으로 레이저를 발생하여, 상기 살수 용액이 분사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레이저발생부(153c);를 포함하는, 살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140)는,
    하측은 상기 지지부(144)와 힌지 결합되고, 상측은 상기 분사부(150)의 하측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분사부(150)의 상하방향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실린더(145);를 포함하는, 살수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20)는,
    일측이 상기 액체탱크(110)와 연결되어 상기 살수 용액이 상기 필터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유입관(121a)과, 타측은 상기 작동부(130)와 연결되어 여과된 상기 살수 용액이 상기 조정부(140)로 유출되는 액체배출관(121b)을 포함하는 상부커버(121); 및
    상기 상부커버(121)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살수 용액의 내부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하부필터(122);를 포함하는, 살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21)는,
    상기 상부커버(121)의 내측 중심에 배치되되, 상기 액체유입관(121a)과 상기 액체배출관(121b)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살수 용액이 유입 및 유출되는 경로를 구분하는 분리막(121c);을 포함하는, 살수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터(122)는,
    상기 하부필터(122)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닥커버(122a); 및
    상기 바닥커버(122a)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커버(122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밸브(122a-1);를 포함하는, 살수장치.
KR1020220069526A 2022-06-08 2022-06-08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저감 및 비산먼지 저감용 살수장치 KR102494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526A KR102494863B1 (ko) 2022-06-08 2022-06-08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저감 및 비산먼지 저감용 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526A KR102494863B1 (ko) 2022-06-08 2022-06-08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저감 및 비산먼지 저감용 살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863B1 true KR102494863B1 (ko) 2023-02-06

Family

ID=8522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526A KR102494863B1 (ko) 2022-06-08 2022-06-08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저감 및 비산먼지 저감용 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82588A (zh) * 2023-11-23 2023-12-26 河北恒山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外架多功能喷淋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71B1 (ko) * 2006-11-23 2007-05-02 주식회사 뉴테크특장 다목적 압력가변형 살수차
KR20130142260A (ko) * 2012-06-19 2013-12-30 김영목 비산먼지 제거용 분무스프레이장치
KR102347334B1 (ko) * 2021-05-28 2022-01-04 이현주 회전 기능을 구비하는 단일 노즐 분사 장치 및 분사거리에 따른 최적 분사를 이용하는 건설현장 비산먼지 저감 장치
KR102384342B1 (ko) * 2021-10-13 2022-04-08 동우인더스(주) 원격제어가 가능한 고압 물펌프의 전기 콘트롤 레귤레이터가 구비된 준설차
KR20220068011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비산먼지 방지용 살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71B1 (ko) * 2006-11-23 2007-05-02 주식회사 뉴테크특장 다목적 압력가변형 살수차
KR20130142260A (ko) * 2012-06-19 2013-12-30 김영목 비산먼지 제거용 분무스프레이장치
KR20220068011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비산먼지 방지용 살수장치
KR102347334B1 (ko) * 2021-05-28 2022-01-04 이현주 회전 기능을 구비하는 단일 노즐 분사 장치 및 분사거리에 따른 최적 분사를 이용하는 건설현장 비산먼지 저감 장치
KR102384342B1 (ko) * 2021-10-13 2022-04-08 동우인더스(주) 원격제어가 가능한 고압 물펌프의 전기 콘트롤 레귤레이터가 구비된 준설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82588A (zh) * 2023-11-23 2023-12-26 河北恒山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外架多功能喷淋系统
CN117282588B (zh) * 2023-11-23 2024-01-23 河北恒山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外架多功能喷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863B1 (ko)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저감 및 비산먼지 저감용 살수장치
CN102056678B (zh) 用于清洁车辆内部以及hvac系统的雾生成设备
AU2018214149A1 (en) Propellantless aerosol system
US5056948A (en) Screen cleaning apparatus
JP4436255B2 (ja) 単一ブロックのプラスチック・ブースと内蔵された供給および濾過装置とを有する工業用の洗浄設備
KR20180128792A (ko) 습식형 미세먼지 제거장치
US3181541A (en) Apparatus washer
KR20190109920A (ko)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CN209423218U (zh) 除尘系统及沥青拌合站
KR102037960B1 (ko) 오염공기 정화장치
CN107189760B (zh) 一种干粉洗消装置
KR100235902B1 (ko) 집진기
CN207828877U (zh) 吹扫一体多功能道路保洁车
CN104492217A (zh) 一种除尘装置
CN219847511U (zh) 一种用于废弃移液器枪头的消毒装置
CN215062609U (zh) 一种高压微雾加湿器
KR200377465Y1 (ko) 이동형 고압 제염장치
DE69401638D1 (de) Spender für Reinigungsstoffe oder dergleichen
KR102582458B1 (ko) IoT 기술을 이용한 도장부스 공기 정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N220738892U (zh) 一种用于胶乳储罐的清洗装置
KR100638401B1 (ko) 이동형 고압 제염장치
CN214949613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114796569B (zh) 一种危化品洗消应急处理装置
CN116040831B (zh) 一种基于bim和物联网的生物医学建筑环境监测系统
CN212940752U (zh) 一种超声波气体除臭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