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602B1 -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압자동보정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압자동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602B1
KR102494602B1 KR1020220106292A KR20220106292A KR102494602B1 KR 102494602 B1 KR102494602 B1 KR 102494602B1 KR 1020220106292 A KR1020220106292 A KR 1020220106292A KR 20220106292 A KR20220106292 A KR 20220106292A KR 102494602 B1 KR102494602 B1 KR 102494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ressure
air pollution
pressure sensor
pollu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두균
신상훈
남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영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영씨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영씨앤티
Priority to KR1020220106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72Special valve constructions adapted to filters or filte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압자동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개의 오염발생구역(A); 상기 각 오염발생구역(A)에 설치되는 흡입후드(B); 상기 각 흡입후드(B)로부터 연결되는 덕트(C); 상기 덕트(C)의 끝단에 연결되고, 본체 내에 오염발생구역(A)을 오염원을 정화 및 여과할 수 있는 정화설비(D1)가 구성되며, 각 오염발생구역(A)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팬(D2)이 구성된 정화부(D);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방지시설; 상기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화부(D) 선단 덕트(C)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센서(S); 상기 압력감지센서(S)가 설치된 덕트(C)의 후방 내부에 설치되어 압력센서의 감지에 따라 덕트(C)의 압력이 상승할 때 덕트(C)의 관로를 비례적으로 저개도로 개방하여 덕트(C)의 압력을 낮출 수 있게 하여 덕트(C) 내 증가하는 압력을 정상적인 압력으로 자동적으로 보정하는 비례제어밸브(1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압자동보정장치{Automatic static pressure correction device for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압자동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과 같이 분진, 악취, 유해가스 등의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사업장에는 구역마다 흡입후드(A)를 설치하여 덕트(C)로 정화부(D)에 연결한 다음 정화부에서 여과필터 등으로 대기환경보전법에 정하는 수치 이하로 오염된 공기를 정화 또는 여과한 후 배기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대기환경보전법 및 시행규칙에 따르면 여러 구역 중 사용하지 않은 구역은 덕트는 패쇄하도록 규제하고 있고, 정화부의 흡기팬은 ON/OFF 외 회전속도를 조정하지 못하는 모터를 사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사업장 내 대기오염발생구역이 10구역이고, 정화부의 흡기팬은 10구역을 흡입할 수 있을 정도의 용량을 설치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대기오염발생구역의 10구역 중 9구역은 사용하지 않고 1구역만 사용할 경우, 덕트 내 흡입압력이 증대하여 덕트가 쭈그러들면서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단일흡입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덕트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덕트를 사용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시설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대기오염방지"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4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등록/공개번호: 1024025680000, 1023643600000, 1023065690000, 1020220076939.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덕트 내 흡입압력이 증대하더라도 덕트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려는데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개의 오염발생구역; 상기 각 오염발생구역에 설치되는 흡입후드; 상기 각 흡입후드로부터 연결되는 덕트; 상기 덕트의 끝단에 연결되고, 본체 내에 오염발생구역을 오염원을 정화 및 여과할 수 있는 정화설비가 구성되며, 각 오염발생구역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팬이 구성된 정화부;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방지시설; 상기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화부 선단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센서; 상기 압력감지센서가 설치된 덕트의 후방 내부에 설치되어 압력센서의 감지에 따라 덕트의 압력이 상승할 때 덕트의 관로를 비례적으로 저개도로 개방하여 덕트의 압력을 낮출 수 있게 하여 덕트 내 증가하는 압력을 정상적인 압력으로 자동적으로 보정하는 비례제어밸브;를 구성하는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르면, 덕트에 구성되는 압력감지센서 및 그 압력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덕트의 압력이 상승할 때 덕트의 관로를 저개도로 개방하여 덕트의 압력을 낮출 수 있게 하는 비례제어밸브에 의해 덕트 내 증가하는 압력을 정상적인 압력으로 자동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여러 개의 오염발생구역 중 대부분의 오염발생구역은 패쇄하고 일부의 오염발생구역의 사용시 덕트에 압력이 증가하여 종래와 같이 쭈그러들면서 훼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시설시 종래에 비해 덕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시설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되는 비례제어밸브의 예시도(a) 및 그 평면도(b)
도 4는 도 3의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구성의 모양을 특별하게 특정하지 않은 이상 그 평면의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이럴 경우 평면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오염발생구역(A); 상기 각 오염발생구역(A)에 설치되는 흡입후드(B); 상기 각 흡입후드(B)로부터 연결되는 덕트(C); 상기 덕트(C)의 끝단에 연결되고, 본체 내에 오염발생구역(A)을 오염원을 정화 및 여과할 수 있는 정화설비(D1)가 구성되며, 각 오염발생구역(A)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팬(D2)이 구성된 정화부(D);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방지시설을 기초로 한다.
도시된 그림은 오염발생구역(A)이 분진발생시설이라는 것으로 가정하여 하여 정화부(D)가 싸이클론집진기가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도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화부(D) 선단 덕트(C)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센서(S); 상기 압력감지센서(S)가 설치된 덕트(C)의 후방 내부에 설치되어 압력센서의 감지에 따라 덕트(C)의 압력이 상승할 때 덕트(C)의 관로를 비례적으로 저개도로 개방하여 덕트(C)의 압력을 낮출 수 있게 하여 덕트(C) 내 증가하는 압력을 정상적인 압력으로 자동적으로 보정하는 비례제어밸브(1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발명의 효과에 설명한 바와 같이 덕트(C)에 구성되는 압력감지센서(S) 및 그 압력감지센서(S)의 감지에 따라 덕트(C)의 압력이 상승할 때 덕트(C)의 관로를 저개도로 개방하여 덕트(C)의 압력을 낮출 수 있게 하는 비례제어밸브(10)에 의해 덕트(C) 내 증가하는 압력을 정상적인 압력으로 자동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여러 개의 오염발생구역(A) 중 대부분의 오염발생구역(A)은 패쇄하고 일부의 오염발생구역(A)의 사용시 덕트(C)에 압력이 증가하여 종래와 같이 쭈그러들면서 훼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시설시 종래에 비해 덕트(C)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시설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례제어밸브(10)는 덕트(C)를 내부를 가로막는 원판디스크(11); 상기 원판디스크(11)의 중간으로부터 덕트(C)의 외부로 연결되는 축대(12); 상기 축대(12)를 압력감지센서(S)의 감지에 따라 덕트(C)의 관로를 비례적으로 개방하도록 회전되게 하는 모터(M);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덴퍼나 버터플라이밸브를 덕트(C)에 구성하여 압력감지센서(S)의 감지에 따라 모터(M)에 의해 원판디스크(11)를 회전시킴으로써 덕트(C)의 관로를 비례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오염발생구역(A) 중 전부의 오염발생구역(A)을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덕트(C)의 압력이 낮으므로 원판디스크(11)를 수평으로 회전하여 덕트(C)의 최대한 개방되도록 하고, 대부분의 오염발생구역(A)은 패쇄하고 일부의 오염발생구역(A)의 사용할 때에는 덕트(C)의 압력이 증가하므로 원판디스크(11)를 수직에 가깝도록 회전하여 덕트(C)의 관로를 최소한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덕트(C) 내 압력을 정상압력으로 떨어트릴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렇게 하면, 쉽고 간편하게 덕트(C)의 비례적으로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이 간소하고, 작동이 원활하며,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례제어밸브(10)는 덕트(C)의 내부에 콘 형태로 설치되는 실링(13); 상기 실링(13)에 근접하면 경사면에 의해 덕트(C)의 관로가 좁아지고, 멀어지면 덕트(C)의 관로가 확장되게 하는 콘 형태의 이송디스크(14); 상기 이송디스크(14)를 실링(13)으로부터 전후로 이동하게 하는 스크류(15); 상기 스크류(15)를 회전되게 하는 구동기어(16); 상기 구동기어(16)를 압력감지센서(S)의 감지에 따라 덕트(C)의 관로를 비례적으로 개방하도록 회전되게 하는 모터(M);로 구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C)의 주벽으로부터 내부로 경사지게 좁아지는 콘 형태의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이송디스크(14)는 실링(13)의 경사면과 접촉되는 외형을 가진 콘 형태의 원판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송디스크(14)의 중앙으로부터 덕트(C)의 관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스크류(15)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15)를 구동기어(16) 및 그 구동기어(16)를 회전되게 하는 모터(M)에 의해 실링(13)으로부터 이송디스크(14)를 전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에 축잡이(17)를 구성하여 지지할 수 있고, 스크류(15)는 웜기어, 구동기어(16)는 웜휠로 구성하여 이송디스크(14)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오염발생구역(A) 중 전부의 오염발생구역(A)을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덕트(C)의 압력이 낮으므로 이송디스크(14)를 실링(13)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지게 하여 덕트(C)의 최대한 개방되도록 하고, 대부분의 오염발생구역(A)은 패쇄하고 일부의 오염발생구역(A)의 사용할 때에는 덕트(C)의 압력이 증가하므로 이송디스크(14)를 실링(13)에 최대한 가깝도록 하여 덕트(C)의 관로를 최소한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덕트(C) 내 압력을 정상압력으로 떨어트릴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렇게 하면, 도3에 비해 덕트(C)의 관로가 중앙에서 개폐됨으로써 도3의 구성보다 저개도로 개방시 덕트(C)의 진동 및 소음을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도3의 경우 저개도로 개방되는 덕트(C)의 주벽에 압력이 집중되어 덕트(C)가 확장되거나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데 이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저개도의 개방이 더욱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 및 하술 될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여러 개의 오염발생구역(A); 상기 각 오염발생구역(A)에 설치되는 흡입후드(B); 상기 각 흡입후드(B)로부터 연결되는 덕트(C); 상기 덕트(C)의 끝단에 연결되고, 본체 내에 오염발생구역(A)을 오염원을 정화 및 여과할 수 있는 정화설비(D1)가 구성되며, 각 오염발생구역(A)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팬(D2)이 구성된 정화부(D);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방지시설;에 있어서,
    상기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화부(D) 선단 덕트(C)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센서(S); 상기 압력감지센서(S)가 설치된 덕트(C)의 후방 내부에 설치되어 압력센서의 감지에 따라 덕트(C)의 압력이 상승할 때 덕트(C)의 관로를 비례적으로 저개도로 개방하여 덕트(C)의 압력을 낮출 수 있게 하여 덕트(C) 내 증가하는 압력을 정상적인 압력으로 자동적으로 보정하는 비례제어밸브(10);를 포함하고,
    상기 비례제어밸브(10)는, 덕트(C)를 내부를 가로막는 원판디스크(11); 상기 원판디스크(11)의 중간으로부터 덕트(C)의 외부로 연결되는 축대(12); 상기 축대(12)를 압력감지센서(S)의 감지에 따라 덕트(C)의 관로를 비례적으로 개방하도록 회전되게 하는 모터(M);로 이루어진 것;
    또는, 덕트(C)의 내부에 콘 형태로 설치되는 실링(13); 상기 실링(13)에 근접하면 경사면에 의해 덕트(C)의 관로가 좁아지고, 멀어지면 덕트(C)의 관로가 확장되게 하는 콘 형태의 이송디스크(14); 상기 이송디스크(14)를 실링(13)으로부터 전후로 이동하게 하는 스크류(15); 상기 스크류(15)를 회전되게 하는 구동기어(16); 상기 구동기어(16)를 압력감지센서(S)의 감지에 따라 덕트(C)의 관로를 비례적으로 개방하도록 회전되게 하는 모터(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압자동보정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106292A 2022-08-24 2022-08-24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압자동보정장치 KR102494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292A KR102494602B1 (ko) 2022-08-24 2022-08-24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압자동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292A KR102494602B1 (ko) 2022-08-24 2022-08-24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압자동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602B1 true KR102494602B1 (ko) 2023-02-06

Family

ID=8522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292A KR102494602B1 (ko) 2022-08-24 2022-08-24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압자동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6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373Y1 (ko) * 2000-01-21 2000-06-15 이재곤 수온감지식 난방온도 원격조절장치
KR20060011927A (ko) * 2005-12-14 2006-02-06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KR102203534B1 (ko) * 2019-05-07 2021-01-15 강호동 발포시트제조장치의 유해가스제거장치
JP2021010911A (ja) * 2014-10-07 2021-02-04 ライフ テクノロジ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流体処理システム用ガスフィルタの制御された真空脱ガス及び関連する方法
KR102402568B1 (ko) 2021-12-01 2022-05-30 주식회사 건일 항만하역 대기오염 모니터링 및 방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373Y1 (ko) * 2000-01-21 2000-06-15 이재곤 수온감지식 난방온도 원격조절장치
KR20060011927A (ko) * 2005-12-14 2006-02-06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JP2021010911A (ja) * 2014-10-07 2021-02-04 ライフ テクノロジ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流体処理システム用ガスフィルタの制御された真空脱ガス及び関連する方法
KR102203534B1 (ko) * 2019-05-07 2021-01-15 강호동 발포시트제조장치의 유해가스제거장치
KR102402568B1 (ko) 2021-12-01 2022-05-30 주식회사 건일 항만하역 대기오염 모니터링 및 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1660B (fi) Anordning foer rengoering av filter foer vaot- och torrdammsugare
US9273648B2 (en) Air intake system for a work vehicle
SE9601658L (sv) Självgående anordning
KR102258030B1 (ko) 집진 기류 유인팬
KR102494602B1 (ko)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정압자동보정장치
KR850700121A (ko) 공업용 로보트
KR20160044674A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흡기 시스템
JP2000249365A (ja) 空気調和機
CN207838557U (zh) 焊接烟尘净化器
KR101533730B1 (ko)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흡기 구조물
JPH03267108A (ja) 空気清浄器
JP2006057919A5 (ko)
JP2000346418A5 (ko)
WO2015043458A1 (zh) 空气净化系统
DE3866154D1 (de) Vorrichtung zum absaugen und filtern staub- und/oder faserflugbelasteter luft an spinnereimachinen.
WO2021004428A1 (zh) 移动式空气净化器
JPS63291616A (ja) 空気清浄装置
CN113531739A (zh) 负空气过滤系统
CN1259641A (zh) 抽油烟机的排风管接头
CN221120479U (zh) 一种高效除尘节能离心通风机
CN2514148Y (zh) 外流风机
CN221610086U (zh) 进气结构
CN213942413U (zh) 一种车间产生废气臭气净化加工装置
CN2510653Y (zh) 多功能后流风机
CN110302640A (zh) 一种组合式废气治理实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