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600B1 - Fast track for connecting safety devices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 Google Patents

Fast track for connecting safety devices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600B1
KR102494600B1 KR1020220146181A KR20220146181A KR102494600B1 KR 102494600 B1 KR102494600 B1 KR 102494600B1 KR 1020220146181 A KR1020220146181 A KR 1020220146181A KR 20220146181 A KR20220146181 A KR 20220146181A KR 102494600 B1 KR102494600 B1 KR 102494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nstruction vehicle
pin
mounting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선호
안은희
최선명
최혁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최선호
안은희
최선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최선호, 안은희, 최선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22014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6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6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6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truck collisions, e.g. bumpers; Arrangements on high-riding vehicles, e.g. lorries, for preventing vehicles or objects from running thereu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2019/005Crash attenuators, i.e. means added to highway service vehicles for softening high speed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 track for connecting a shock absorbing safety apparatus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mounting plat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a rear lower part of a construction vehicle. Accordingly, the fast track can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an impact generated due to a vehicle accident is transmitted to the construction vehicle.

Description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 { Fast track for connecting safety devices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 Fast track for connecting safety devices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 Fast track for connecting safety devices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

본 발명은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장착판을 공사 차량 후방 하부 양측에 형성하며, 안전 수단을 장착판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브라켓 프레임을 고정 핀을 이용하여 결합하므로서,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이용하여 안전 수단을 공사 차량에 용이하게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전 수단을 이용하여 도로 공사 진행 위치를 상기 공사 차량 후미를 따라오는 차량에게 알려 줄 수 있어 사고가 발생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마주보는 장착판의 상부에는 고정 핀이 관통되는 제1 핀홀이 구비된 고정봉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판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 핀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봉에 결합 되는 고정부를 브라켓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하면서, 제2 핀홀에 대응되는 제3 핀홀을 상기 브라켓 프레임에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장착판에 결합 시 고정부를 이용하여 브라켓 프레임의 상부를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제2 핀홀 및 제3 핀홀에 관통되게 고정 핀을 결합하므로서, 상기 공사 차량의 후미에 브라켓 프레임을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탈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 차량이 운행 하는 도중에 안전 수단이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정봉에 고정 핀을 관통되게 결합하여, 고정봉의 지지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핀에 관통되는 고정 핀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장착판에 형성하면서,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고정 핀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형성하여 공사 차량이 운행하는 도중에 고정 핀이 제2 핀홀을 통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합판(80)에는 장착판(20)의 내측에 밀착되는 고정돌기를 더 형성하여 장착판에 결합되는 브라켓 프레임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프레임에 결합 프레임을 형성하여 안내 표지판을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사고로 인하여 발생 되는 충격이 공사 차량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 track for connecting a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pair of mounting plat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vehicle, and the safety means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ounting plate. By combining the bracket frame that can be coupled using a fixing pin, the safety means can be easily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struction vehicle using the bracket frame, and thus the road construction progress position can be determined using the safety means.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vehicle following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to prevent an accident from occurring, and to form a fixing rod equipped with a first pinhole through which a fixing pin passes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facing mounting plate. A pair of second pin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late, and a third pin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nhole is formed in the bracket frame while forming a fixing part coupled to the fixing bar in the front of the bracket frame. When the bracket frame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frame is first coupled using the fixing part, and the fixing pin is coupl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pinhole and the third pinhole to easily mount the bracket frame to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or In addition to being removable, it is possible to maximally prevent the safety means from being separated while the construction vehicle is running, and to reinforce the support strength of the fixing rod by coupling the fixing pin to the fixing rod to penetrate, and the second While forming a fixing part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fixing pin penetrating the pin on the mounting plate,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xing pin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fixing part so that the fixing pin can open the second pin hole while the construction vehicle is run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ing through, and the coupling plate 80 can further form a fixing protrus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ounting plate 20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of the bracket frame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and the coupling frame to the bracket frame. Not only can the guide sig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by forming a guide sign, but it also prevents the impact generated by a vehicle acciden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onstruction vehicle. It relates to a fast track for connecting a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to prevent it.

일반적으로 도로 안전 장치란 도로 등에 설치되어 공사가 진행 되는 것을 후미 차량에 알려 줘 사고가 발생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general, a road safety device is installed on a road or the like and informs a rear vehicle of the progress of construction so that an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종래의 도로 안전 장치란 도로 공사가 진행 하는 장소에 미리 설치하여 도로를 달리는 차량이 도로 공사 현장을 미연에 발견하여 사고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 conventional road safety device is installed in advance at a place where road construction is in progress so that vehicles running on the road can detect the road construction site in advance and prevent accidents from occurring.

그러나 종래의 안전 장치의 문제점은 도로 공사가 진행하기 전에 미리 도로에 설치해야 하므로서, 안전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However,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afety device is that it must be installed on the road before road construction proceeds,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device is not easy.

또한, 도로 공사가 진행하기 전에 도로에 미리 안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 작업으로 차량을 통제한 상태에서 설치를 해야 하므로서, 안전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인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safety device on the road in advance before the road construction proceeds, the operator must manually control the vehicle and install it, so there is a problem that human accidents frequently occur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safety device. I did.

즉, 도로 공사를 하기 전에 안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들이 도로 공사가 시작하기 전에 도착하여 도로 안전 장치를 설치해야만 하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install safety devices before road construction, workers must arrive and install road safety devices before road construction begins.

따라서, 작업자들이 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을 통제하면서 도로 공사를 하기 전에 안전 장치를 도로에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상기 안전 장치를 도로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후미 차량에 의해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since the safety device must be installed on the road before road construction is performed while the workers control the vehicle using the hand sig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ccident occurs due to the rear vehicle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safety device on the roa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전 장치가 공사 차량에 설치된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discovered that a safety device was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vehicle.

도 8은 종래에 공사 차량(10)에 안전 수단(200)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safety means 200 is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vehicle 10 in the related art.

상기 안전 수단(200)은 도 8과 같이 접철 브라켓(210)과, 상기 접철 브라켓(210)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220)과 상기 상기 연결 프레임(220)에 설치되는 충격 흡수셀(23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8, the safety means 200 includes a folding bracket 210, a connecting frame 220 installed on bot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lding bracket 210, and an impact installed on the connecting frame 220. Consists of an absorption cell (230).

이와 같이 형성되는 안전 수단(200)은 공사 차량(1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된 장착판(25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The safety means 200 formed in this way is fixed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250 provided at the lower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10.

따라서, 공사 차량(10)에 안전 장치를 미리 설치하여 상기 공사 차량(10)이 운행하면서 도로 공사를 하는 위치를 알려 주기 때문에 후미 차량은 공사가 진행하는 장소를 운행하면서 알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since the safety device is installed in advance in the construction vehicle 10 to inform the location of the road construction while the construction vehicle 10 is running, the rear vehicle can know the place where the construction is in progress while driving.

또한, 안전 수단(200)에는 충격 흡수셀(230)이 구비되므로서, 후미 차량에 공사 차량(10)에 충돌하더라도 상기 충격 흡수셀(230)이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 충격이 공사 차량(10) 및 후미 차량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충돌 사고로 인하여 인명 사고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safety means 200 is provided with the shock absorbing cell 230, even if the rear vehicle collides with the construction vehicle 10, the shock absorbing cell 230 absorbs the shock, so that the vehicle impact is caused by the construction vehicle ( 10) and transmission to the rear vehicle, as well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human accidents due to collisions.

종래의 안전 장치의 문제점은 공사 차량의 후미에 직접 안전 수단(200)을 장착하기 때문에 안전 수단의 장착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afety device is that the safety means 200 is directly mounted on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so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safety means.

즉,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안전 수단(200)을 공사 차량(1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공사 차량(10)에 형성되는 장착판(250)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That is, in order to mount the safety means 200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to the construction vehicle 10, a problem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late 250 formed on the construction vehicle 10 has occurred.

그리고 안전 수단(200)을 공사 차량(10)의 후미에 직접 설치하므로서, 충돌 사고로 인하여 발생 되는 충격이 그대로 공사 차량(10)으로 절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In addition, since the safety means 200 is direct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10,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impact generated due to the collision is cut to the construction vehicle 10 as it is.

따라서, 장착판(250)에 설치된 안전 수단(200)이 공사 차량(10)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Therefore, a problem in that the safety means 200 installed on the mounting plate 25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struction vehicle 10 has occurred.

또한, 종래의 안전 수단(200)의 문제점은 안내 표지판(240)을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며, 이로 인하여 후미 차량에 보이게 공사 차량(10)에 직접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In addition,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afety means 200 is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guide sign 240, which causes a problem that must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vehicle 10 to be visible to the rear vehicle.

◈ 선행 기술 문헌 ◈◈ Prior art literature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208797 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08797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2010-0000107 호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0107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장착판을 공사 차량 후방 하부 양측에 형성하며, 안전 수단을 장착판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브라켓 프레임을 고정 핀을 이용하여 결합하므로서,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이용하여 안전 수단을 공사 차량에 용이하게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전 수단을 이용하여 도로 공사 진행 위치를 상기 공사 차량 후미를 따라오는 차량에게 알려 줄 수 있어 사고가 발생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마주보는 장착판의 상부에는 고정 핀이 관통되는 제1 핀홀이 구비된 고정봉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판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 핀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봉에 결합 되는 고정부를 브라켓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하면서, 제2 핀홀에 대응되는 제3 핀홀을 상기 브라켓 프레임에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장착판에 결합 시 고정부를 이용하여 브라켓 프레임의 상부를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제2 핀홀 및 제3 핀홀에 관통되게 고정 핀을 결합하므로서, 상기 공사 차량의 후미에 브라켓 프레임을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탈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 차량이 운행 하는 도중에 안전 수단이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정봉에 고정 핀을 관통되게 결합하여, 고정봉의 지지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핀에 관통되는 고정 핀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장착판에 형성하면서,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고정 핀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형성하여 공사 차량이 운행하는 도중에 고정 핀이 제2 핀홀을 통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합판(80)에는 장착판(20)의 내측에 밀착되는 고정돌기를 더 형성하여 장착판에 결합되는 브라켓 프레임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프레임에 결합 프레임을 형성하여 안내 표지판을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사고로 인하여 발생 되는 충격이 공사 차량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pair of mounting plat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vehicle, and a bracket frame capable of detachably coupling the safety means to the mounting plate is used by using a fixing pin. By combining, the safety means can be easily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struction vehicle using the bracket frame, and thus the road construction progress location can be informed to the vehicle following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using the safety me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from occurring in advance, and a fixing bar having a first pin hole through which a fixing pin passes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late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second pin holes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late. Since a third pin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nhole is formed in the bracket frame while the fixing part coupled to the fixing rod is formed in front of the bracket frame, the fixing part is used when the bracket frame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By coupling the fixing pin to pass through the second pinhole and the third pinhole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frame is first coupled,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or remove the bracket frame to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as well as while the construction vehicle is running Separation of the safety means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support strength of the fixing rod can be reinforced by coupling the fixing pin to the fixing rod so as to pass through the fixing rod, and the two sides of the fixing pin passing through the second pin can be fixed. While forming the top on the mounting plate,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xing pin is further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to prevent the fixing pin from falling through the second pinhole while the construction vehicle is running, and the coupling plate (80 ), it is possible to further form a fixing protrus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ounting plate 20 to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of the bracket frame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and by forming a coupling frame to the bracket frame, the guide sign can be easily mounted and used. Shock absorbing safety installed in construction vehicles to prevent shocks generated by vehicle accidents from being transmitted to construction vehicl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st track for device connection.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장착판을 공사 차량 후방 하부 양측에 형성하고, A pair of mounting plat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안전 수단을 공사 차량에 연결하는 브라켓 프레임을 고정핀을 이용하여 장착판에 착,탈식으로 결합 구성하여, The bracket frame connecting the safety means to the construction vehic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using a fixing pin,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이용하여 안전 수단을 공사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이용하여 공사 차량에 안전 수단을 결합 시 공사 차량의 후미를 따라오고 있는 차량에 도로 공사 진행할 위치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Using the bracket frame, the safety means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construction vehicle, and when the safety means is combined with the construction vehicle using the bracket frame, the vehicle following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can know the location to proceed with the road constru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본원 발명에 의하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장착판을 공사 차량 후방 하부 양측에 형성하며, 안전 수단을 장착판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브라켓 프레임을 고정 핀을 이용하여 결합하므로서,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이용하여 안전 수단을 공사 차량에 용이하게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전 수단을 이용하여 도로 공사 진행 위치를 상기 공사 차량 후미를 따라오는 차량에게 알려 줄 수 있어 사고가 발생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mounting plat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vehicle, and a bracket fram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ably coupling the safety means to the mounting plate is coupled using a fixing pin, so that the bracket frame By using it, the safety means can be easily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struction vehicle, and as a result, the road construction progress location can be informed to the vehicle following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using the safety means,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from occurring. can be expected to have preventive effects.

그리고 마주보는 상기 장착판의 상부에는 고정 핀이 관통되는 제1 핀홀이 구비된 고정봉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판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 핀홀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봉에 결합 되는 고정부를 브라켓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하면서, 제2 핀홀에 대응되는 제3 핀홀을 상기 브라켓 프레임에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 프레임을 장착판에 결합 시 고정부를 이용하여 브라켓 프레임의 상부를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제2 핀홀 및 제3 핀홀에 관통되게 고정 핀을 결합하므로서, 상기 공사 차량의 후미에 브라켓 프레임을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탈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 차량이 운행 하는 도중에 안전 수단이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rod having a first pinhole through which a fixing pin passes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late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second pin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late, and a fixing part coupled to the fixing rod. Since a third pin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nhole is formed in the bracket frame while forming in the front of the bracket frame, when the bracket frame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frame is first coupled using the fixing part. By coupling fixing pins to pass through the 2nd pinhole and the 3rd pinhole, not only can the bracket frame be easily installed or removed from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but also the safety mean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while the construction vehicle is running. effect can be expected.

또한, 상기 고정봉에 고정 핀을 관통되게 결합하여, 고정봉의 지지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reinforcing the support strength of the fixing rod by coupling the fixing pin through the fixing rod.

그리고 제2 핀에 관통되는 고정 핀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장착판에 형성하면서,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고정 핀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형성하여 공사 차량이 운행하는 도중에 고정 핀이 제2 핀홀을 통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d while forming a fixing part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fixing pin passing through the second pin on the mounting plate,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xing pin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fixing part so that the fixing pin is removed while the construction vehicle is running. It can prevent falling through the 2 pinhole.

또한, 결합판(80)에는 장착판(20)의 내측에 밀착되는 고정돌기를 더 형성하여 장착판에 결합되는 브라켓 프레임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프레임에 결합 프레임을 형성하여 안내 표지판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late 80 may further form a fixing protrus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ounting plate 20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of the bracket frame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and the coupling frame is formed on the bracket frame to form a guide sign.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 수단에 의해 브라켓 프레임이 결합 되는 것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의 다른 실시 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의 다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종래의 공사 차량에 안전 수단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
1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a fast track for connecting a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st track for connecting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s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fast track for connecting the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bracket frame is coupled by th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ast track for connecting a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fast track for connecting a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state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fast track for connecting a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at a safety means i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construction vehicle.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1 to 7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irst,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prior art, an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장착판(20)을 공사 차량(10) 후방 하부 양측에 형성하고, A pair of mounting plates 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vehicle 10,

안전 수단(200)을 공사 차량(10)에 연결하는 브라켓 프레임(60)을 고정핀(100)을 이용하여 장착판(20)에 착,탈식으로 결합 구성하여, The bracket frame 60 connecting the safety means 200 to the construction vehicle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20 using the fixing pin 100,

상기 브라켓 프레임(60)을 이용하여 안전 수단(200)을 공사 차량(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브라켓 프레임(60)을 이용하여 공사 차량(10)에 안전 수단(200)을 결합 시 공사 차량(10)의 후미를 따라오고 있는 차량에 도로 공사 진행할 위치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afety means 20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construction vehicle 10 using the bracket frame 60, and the safety means 200 is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vehicle 10 using the bracket frame 6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know the location to proceed with road construction to the vehicle following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10 when coupled.

마주보는 상기 장착판(20)의 일면 상부에 제1 핀홀(22)이 구비된 고정봉(21)을 형성하고, A fixing rod 21 having a first pinhole 22 is formed on an upper part of one surface of the facing mounting plate 20,

고정 핀(100)이 관통되는 제2 핀홀(30)을 상기 장착판(20)의 하부에 형성하며, A second pin hole 30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100 passes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late 20,

제2 핀홀(30)에 관통된 고정 핀(100)을 양측을 고정하는 핀 고정부(31)을 장착판(2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in fixing part 31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fixing pin 100 penetrating the second pin hole 30 is formed on the mounting plate 20.

상기 핀 고정부(31)의 내측면에 고정 수단(40)을 형성하여 장착판(20)을 관통한 고정 핀(1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A fixing means 4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n fixing part 31 to fix the fixing pin 100 penetrating the mounting plate 20,

상기 고정 수단(40)은, The fixing means 40,

핀 고정부(3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장착홈(50)과; Mounting groove 5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n fixing part 31;

탄발 스프링(52)에 탄지되게 장착홈(50)에 결합 구성되어, 고정 핀(10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판(51);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essure plate 51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50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elastic spring 52 and pressurizing and fix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in 100.

상기 브라켓 프레임(60)은, The bracket frame 60,

다수의 수평 프레임(70)과;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70;

수평 프레임(70)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71)과; a vertical frame 71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70;

안전 수단(200)이 브라켓 프레임(60)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도록 수평 프레임(70)의 후단에 형성되는 설치판(72)과; An installation plate 72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70 so that the safety means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racket frame 60;

설치판(72)과 대응되게 수평 프레임(70)의 양측 전방에 결합 되는 결합판(80);으로 구성하고, It consists of a coupling plate 80 coupled to the front of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70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plate 72;

상기 결합판(80)의 단부에는 고정홈(82)에 구비된 고정부(81)를 더 형성하고,A fixing part 81 provided in the fixing groove 82 is further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late 80,

고정봉(21)을 상기 고정홈(82)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면(83)을 결합판(80)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며, A guide surface 83 for guiding the fixing bar 21 to the inside of the fixing groove 82 is formed on the coupling plate 80 with an upward inclination,

결합판(8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핀홀(8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third pinholes 84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80.

상기 결합판(80) 일면에는 장착판(20)의 일면에 밀착되어 고정 돌기(85)를 돌출 형성하고,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80, a fixing protrusion 85 is formed protrudingly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0,

안전 표지판(240)이 끼워져 결합 되는 결합 프레임(90)을 브라켓 프레임(60)의 양측면에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frame 90 into which the safety sign 240 is inserted and coupled is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frame 60.

도 1은 본 발명의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며의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의 결합 사시도이다.1 shows that a fast track for connecting a safety devic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st track for connecting a safety devic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fast track for connecting safety devices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vehicl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공사 차량(10)의 후미에 안전 수단(200)을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mount the safety means 200 on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10.

상기 안전 수단(200)을 공사 차량(10)의 후미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장착판(20)을 도 1과 같이 공사 차량(10)의 후미 양측에 설치하고, 고정 핀(100)을 이용하여 브라켓 프레임(60)을 장착판(20)에 설치한다.In order to easily mount the safety means 200 to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10, a pair of mounting plates 2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10 as shown in FIG. 1, and the fixing pin 100 Install the bracket frame 60 to the mounting plate 20 by using.

상기 장착판(20)의 마주보는 일면 상부에는 제1 핀홀(22)이 구비된 고정봉(2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봉(21)으로부터 이격되게 장착판(2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 핀홀(30)을 형성한다.A fixing rod 21 having a first pinhole 22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acing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0, and a pair of A second pinhole 30 is formed.

상기 제2 핀홀(30)과 대응되게 장착판(20)의 일면인 외면에는 핀 고정부(31)를 형성한다.A pin fixing part 3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which is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0,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in hole 30.

상기 장착판(20)에 고정 핀(100)을 이용하여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브라켓 프레임(60)은, 도 2와 같이 다수의 수직 프레임(71)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71)의 상하단에 각각 수평 프레임(70)을 결합한다.The bracket frame 6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20 using the fixing pin 100, form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71 as shown in FIG. Horizontal frames 70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상기 수평 프레임(70)의 후단 상부에는 안전 수단(200)을 결합하는 설치판(72)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 프레임(70)의 전방 양측에는 장착판(20)의 사이로 결합되는 결합판(80)을 형성한다. An installation plate 72 for coupling the safety means 200 is formed on the upper rea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70, and a coupling plate 80 coupled between the mounting plates 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horizontal frame 70. ) to form

이때, 설치판(72)은 수직 프레임(71)의 상단에 설치된 수평 프레임(70)의 후단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plate 72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7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71,

상기 수직 프레임(71)의 하단에 설치된 수평 프레임(70)의 전단 및 후단은 지지판(73)으로 고정되게 결합함을 밝히는 바이다. It is revealed th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7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71 are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73.

상기 결합판(80)의 단부 상부에는 고정봉(21)이 내측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82)이 구비된 고정부(8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82)의 내측으로 고정봉(21)을 안내하는 안내면(83)을 상기 결합판(80)의 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한다. A fixing part 81 having a fixing groove 82 into which the fixing rod 21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late 80, and the fixing rod 8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82 ( 2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late 80 with an upward slope.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결합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A preferred combin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this manner is described as follows.

먼저, 고정봉(21)에 구비된 제1 핀홀(22)에 관통되게 고정 핀(100)을 결합한다.First, the fixing pin 100 is coupled to pass through the first pin hole 22 provided in the fixing bar 21 .

상기 고정 핀(100)이 고정봉(21)의 내측에 고정되게 결합되면, 고정부(81)가 고정봉(21)에 결합 되도록 브라켓 프레임(60)을 결합 한 후에 제2 핀홀(30) 및 제3 핀홀(84)에 관통되게 결합한다. When the fixing pin 100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rod 21, after coupling the bracket frame 60 so that the fixing part 81 is coupled to the fixing rod 21, the second pin hole 30 and It is coupled to pass through the third pinhole 84.

이때, 제2 핀홀(30)과 연통되게 장착판(20)에 형성된 핀 고정부(31)는 상기 제2 핀홀(30) 및 제3 핀홀(84)에 결합된 고정 핀(100)의 양측을 고정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in fixing part 31 formed on the mounting plate 20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pin hole 30 connects both sides of the fixing pin 100 coupled to the second pin hole 30 and the third pin hole 84. is to fix

이와 같이 고정 핀(100)을 이용하여 브라켓 프레임(60)을 공사 차량(10)에 굽된 장착판(20)에 결합하기 때문에 안전 수단(20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way, since the bracket frame 6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20 bent to the construction vehicle 10 using the fixing pin 100,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safety means 200.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핀 고정부(31)에 구비된 고정 수단(40)을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a fixing means 40 provided in the pin fixing portion 31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핀 고정부(31)의 내측면에는 장착홈(50)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탄발 스프링(52)에 탄지되게 가압판(51)을 장착홈(50)에 설치한다.A mounting groove 5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n fixing part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ressure plate 51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50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resilient spring 52 .

이때, 고정 핀(100)의 끝단은 만곡부(101)가 구비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end of the fixing pin 100 so that the curved portion 101 is provided.

따라서, 핀 고정부(31)에 관통되게 고정 핀(100)을 결합과 동시에 고정 핀(100)의 끝단에 구비된 만곡부(101)에 탄발 스프링(52)이 탄지된 가압판(51)이 장착홈(5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고정 핀(100)의 외주면을 지속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제2 핀홀(30) 및 제3 핀홀(84)에 관통되게 결합 된 고정 핀(100)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ile the fixing pin 100 is coupled to penetrate the fixing pin 31, the pressure plate 51 having the elastic spring 52 supported on the curved portion 101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xing pin 100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in 100 is continuously pressed while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fixing pin 100, the fixing pin 100 coupled to penetrate the second pin hole 30 and the third pin hole 84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that can be prevented.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5 to 8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not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결합판(80)에 고정 돌기(85)를 돌출 형성하면서, 브라켓 프레임(60)의 양측면에 결합 프레임(90)을 수직으로 세워지게 결합한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orming the fixing protrusion 85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plate 80, the coupling frame 90 is vertically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frame 60.

상기 결합판(80)에 고정 돌기(85)를 형성하므로서, 장착판(20)의 사이로 브라켓 프레임(60)을 결합 시 상기 고정 돌기(85)가 마주보는 장착판(20)의 일면에 밀착되므로서, 상기 장착판(20)에 결합 된 브라켓 프레임(60)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고정 핀(100)이 빠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Since the fixing protrusion 85 is formed on the coupling plate 80, when the bracket frame 60 is coupled between the mounting plates 20, the fixing protrusion 85 adheres to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0 facing each oth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aximally prevent the bracket frame 60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20 from moving left and right, thereby maximally preventing the fixing pin 100 from being pulled out.

그리고 결합 프레임(90)에 수직으로 세워진 결합 프레임(90)에 안전 표지판(240)을 결합하므로서, 안전 수단(200)과 이중으로 도로 공사가 진행할 위치를 알려 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nd by coupling the safety sign 240 to the coupling frame 90 erected vertically on the coupling frame 90, the safety means 200 and double the effect of informing the location of the road construction can be expected.

즉,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결합판(80)이 양측면에 고정 돌기(85)를 돌출 형성하면서, 브라켓 프레임(60)의 중간에는 결합 프레임(90)을 수직으로 세워지게 형성한 것이다.That i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coupling plate 80 protrudes the fixing protrusions 85 on both sides, the coupling frame 90 is formed vertically in the middle of the bracket frame 60.

따라서, 결합 돌기(85)로 인하여 브라켓 프레임(60)을 장착판(20)의 사이로 끼워지듯이 결합하더라고 상기 결합 돌기(85)가 양측을 견고히 고정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bracket frame 60 is coupled as if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mounting plates 20 due to the coupling protrusions 85, the coupling protrusions 85 firmly fix both sides to prevent movement.

또한, 브라켓 프레임(60)에 구비된 결합 프레임(90)으로 인하여 안전 표지판(240)을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due to the coupling frame 90 provided in the bracket frame 60, the safety sign 240 can be easily mounted and used.

10: 공사 차량 20: 장착판,
21: 고정봉, 22: 제1 핀홀,
30: 제2 핀홀, 31: 핀 고정부,
40: 고정 수단, 50: 장착홈,
51: 가압판, 52: 타발 스프링,
60: 브라켓 프레임, 70: 수평 프레임,
71: 수직 프레임, 72: 설치판,
73: 지지판, 80: 결합판,
81: 고정부, 82: 고정홈,
83: 안내면, 84: 제3 핀홀,
85: 고정 돌기, 100: 고정 핀,
101: 만곡부, 200: 안전 수단,
210: 접철 브라켓, 220: 연결 프레임,
230: 충격 흡수셀, 240: 안전 표지판,
250: 장착판,
10: construction vehicle 20: mounting plate,
21: fixing rod, 22: first pinhole,
30: second pinhole, 31: pin fixing part,
40: fixing means, 50: mounting groove,
51: pressure plate, 52: punching spring,
60: bracket frame, 70: horizontal frame,
71: vertical frame, 72: mounting plate,
73: support plate, 80: coupling plate,
81: fixing part, 82: fixing groove,
83: guide surface, 84: third pinhole,
85: fixed protrusion, 100: fixed pin,
101: curved portion, 200: safety means,
210: folding bracket, 220: connection frame,
230: shock absorption cell, 240: safety sign,
250: mounting plate,

Claims (5)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장착판(20)을 공사 차량(10) 후방 하부 양측에 형성하고,
안전 수단(200)을 공사 차량(10)에 연결하는 브라켓 프레임(60)을 고정핀(100)을 이용하여 장착판(20)에 착,탈식으로 결합 구성하여,
상기 브라켓 프레임(60)을 이용하여 안전 수단(200)을 공사 차량(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브라켓 프레임(60)을 이용하여 공사 차량(10)에 안전 수단(200)을 결합 시 공사 차량(10)의 후미를 따라오고 있는 차량에 도로 공사 진행할 위치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하며,
마주보는 상기 장착판(20)의 일면 상부에 제1 핀홀(22)이 구비된 고정봉(21)을 형성하고,
고정 핀(100)이 관통되는 제2 핀홀(30)을 상기 장착판(20)의 하부에 형성하며,
제2 핀홀(30)에 관통된 고정 핀(100)을 양측을 고정하는 핀 고정부(31)을 장착판(2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
A pair of mounting plates 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vehicle 10,
The bracket frame 60 connecting the safety means 200 to the construction vehicle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20 using the fixing pin 100,
The safety means 20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construction vehicle 10 using the bracket frame 60, and the safety means 200 is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vehicle 10 using the bracket frame 60. When combined,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vehicle following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vehicle 10 can know the location to proceed with the road construction,
A fixing rod 21 having a first pinhole 22 is formed on an upper part of one surface of the facing mounting plate 20,
A second pin hole 30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100 passes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late 20,
Fast for connecting the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fixing part 31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fixing pin 100 penetrating the second pin hole 30 is formed on the mounting plate 20 track.
삭제delete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핀 고정부(31)의 내측면에 고정 수단(40)을 형성하여 장착판(20)을 관통한 고정 핀(1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고정 수단(40)은,
핀 고정부(3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장착홈(50)과;
탄발 스프링(52)에 탄지되게 장착홈(50)에 결합 구성되어, 고정 핀(10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판(51);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
The method of claim 1,
A fixing means 4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n fixing part 31 to fix the fixing pin 100 penetrating the mounting plate 20,
The fixing means 40,
Mounting groove 5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n fixing part 31;
A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essure plate 51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50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elastic spring 52 and pressurizing and fix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in 100 Fast track for connections.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프레임(60)은,
다수의 수평 프레임(70)과;
수평 프레임(70)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71)과;
안전 수단(200)이 브라켓 프레임(60)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도록 수평 프레임(70)의 후단에 형성되는 설치판(72)과;
설치판(72)과 대응되게 수평 프레임(70)의 양측 전방에 결합 되는 결합판(80);으로 구성하고,
상기 결합판(80)의 단부에는 고정홈(82)에 구비된 고정부(81)를 더 형성하고,
고정봉(21)을 상기 고정홈(82)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면(83)을 결합판(80)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며,
결합판(8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핀홀(8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racket frame 60,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70;
a vertical frame 71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70;
An installation plate 72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70 so that the safety means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racket frame 60;
It consists of a coupling plate 80 coupled to the front of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70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plate 72;
A fixing part 81 provided in the fixing groove 82 is further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late 80,
A guide surface 83 for guiding the fixing bar 21 to the inside of the fixing groove 82 is formed on the coupling plate 80 with an upward inclination,
A fast track for connecting a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third pinhole 84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upling plate 80.
청구항 4 항에 있어서,
결합판(80) 일면에는 장착판(20)의 일면에 밀착되어 고정 돌기(85)를 돌출 형성하고,
안전 표지판(240)이 끼워져 결합 되는 결합 프레임(90)을 브라켓 프레임(60)의 양측면에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안전 장치 연결용 패스트 트랙.
The method of claim 4,
One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8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20 to form a fixed protrusion 85 protruding,
A fast track for connecting a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frame 90 to which the safety sign 240 is fitted and coupled is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frame 60.
KR1020220146181A 2022-11-04 2022-11-04 Fast track for connecting safety devices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KR1024946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181A KR102494600B1 (en) 2022-11-04 2022-11-04 Fast track for connecting safety devices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181A KR102494600B1 (en) 2022-11-04 2022-11-04 Fast track for connecting safety devices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600B1 true KR102494600B1 (en) 2023-02-06

Family

ID=8522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181A KR102494600B1 (en) 2022-11-04 2022-11-04 Fast track for connecting safety devices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6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568B1 (en) * 2023-05-18 2023-07-18 주식회사 태평양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904A (en) * 2003-04-17 2006-01-27 에너지 어브소션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Mount for truck mounted attenuator
KR100902984B1 (en) * 2007-12-27 2009-06-15 신도산업 주식회사 Collision absorption apparatus for truck mounting
KR102175342B1 (en) * 2020-05-22 2020-11-06 주식회사 코트라스 Attachable and detachable type crash cushion system for truck
KR20210145954A (en) *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Mounting apparatus for truck mounted attenu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904A (en) * 2003-04-17 2006-01-27 에너지 어브소션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Mount for truck mounted attenuator
KR100902984B1 (en) * 2007-12-27 2009-06-15 신도산업 주식회사 Collision absorption apparatus for truck mounting
KR102175342B1 (en) * 2020-05-22 2020-11-06 주식회사 코트라스 Attachable and detachable type crash cushion system for truck
KR20210145954A (en) *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Mounting apparatus for truck mounted attenu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568B1 (en) * 2023-05-18 2023-07-18 주식회사 태평양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1686B1 (en) Operator protective structure installed on cabin of construction machine
US7393016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KR102494600B1 (en) Fast track for connecting safety devices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US6298936B1 (en) Shock absorbing stopper
US7740278B2 (en) Steering gearbox mounting structure
KR920004211A (en) Vehicle collision sensor mounting structure
JP2007090965A (en) Supporting structure of power unit
KR101700417B1 (en) Guard fence for vehicle
KR20100042842A (en) Sub frame mounting structure
US20190308665A1 (en) Vehicle frame structure
KR102379509B1 (en) Mounting apparatus for truck mounted attenuator
KR102555568B1 (en) Shock absorbing safety device installed on construction vehicles
KR101825398B1 (en) Frame device for train
KR20070004375A (en) Method for installing median strip excellent in shock absorbing function
KR100820207B1 (en) Apparatus for shock-absorbing a head-on collision of bumper stay
CN205768554U (en) A kind of sliding door crash bar attachment structure and side impact energy-absorbing structure
KR100405340B1 (en) Connecting device for fuel tank
CN215052061U (en) Bridge expansion joint protection device
KR101760279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door hinge of vehicles
CN110733580A (en) Connecting structure of vehicle frame
KR100556234B1 (en) Shock absorption apparatus of vehicle for tunnel
KR100257315B1 (en) Bumper mounting structure
KR0136859Y1 (en) Bumper rubber for prevention of crack for frame
KR200268026Y1 (en) Median strip structure on road
US20190284976A1 (en) Oil pan guard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