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210B1 -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 Google Patents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210B1
KR102494210B1 KR1020180016529A KR20180016529A KR102494210B1 KR 102494210 B1 KR102494210 B1 KR 102494210B1 KR 1020180016529 A KR1020180016529 A KR 1020180016529A KR 20180016529 A KR20180016529 A KR 20180016529A KR 102494210 B1 KR102494210 B1 KR 10249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evices
user
sensor
designated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734A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지티에스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티에스골프 filed Critical (주)지티에스골프
Priority to KR102018001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2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장갑에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신발이나 인솔에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와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골프의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j(j≥1)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입력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연동하여 획득한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상기 5개의 센서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버퍼링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하고,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j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종료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운영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수신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확인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매칭되는 센싱정보로 가상화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상기 가상화된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Description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Method for Virtualizing User's Golf Swing based on four Sensor Device by using Multiple Sensor Device of the Fiv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장갑에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신발이나 인솔에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와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골프의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j(j≥1)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입력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연동하여 획득한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상기 5개의 센서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버퍼링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하고,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j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종료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운영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수신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확인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매칭되는 센싱정보로 가상화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상기 가상화된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골프가 점차 대중화 되면서, 대중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주변이 실내외 골프 연습장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골프의 경우 특성상 코치나 경험자의 도움이 필요로 하며, 이에 따른 장소나 비용 문제도 무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45640호는 인공지능형 캐디를 이용한 골퍼자세교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퍼자세교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공지능형 캐디를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의 골프 코스의 모의 상황에서 골퍼의 스윙 자세 및 동작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통해 인공지능형 캐디가 골퍼에게 자세 교정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형 캐디를 이용한 골퍼자세교정시스템의 경우, 영상 촬영이나 스크린 등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소(예컨대, 실내 골프 연습장 등)에 사용자가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장갑에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신발이나 인솔에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와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골프의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j(j≥1)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입력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연동하여 획득한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상기 5개의 센서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버퍼링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하고,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j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종료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으로 결정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수신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매칭되는 센싱정보로 가상화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상기 가상화된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은, 사용자의 장갑에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신발이나 인솔에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와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골프의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j(j≥1)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입력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연동하여 획득한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상기 5개의 센서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버퍼링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하고,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j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종료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으로 결정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수신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매칭되는 센싱정보로 가상화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상기 가상화된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5개의 센서장치는, 사용자가 스윙자세를 연습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나 골프 채에 구비하는 센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센서장치는,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사용자가 골프 게임 중에 구비하는 일부의 센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는, 손바닥의 지정된 부위부터 손목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손목의 지정된 부위부터 팔꿈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팔꿈치의 지정된 부위부터 어깨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양 어깨의 지정된 부위 사이의 거리, 어깨의 지정된 부위부터 허리나 골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허리나 골반의 지정된 부위부터 무릎이나 오금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무릎이나 오금의 지정된 부위부터 발꿈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발꿈치의 지정된 부위부터 발바닥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 간 거리의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5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5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는 제2-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버퍼링된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하고,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을 결정하는 제2-3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운영서버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제공하는 제2-4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각 센서장치는 스위치 온 시 다른 센서장치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내부 시간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한 경우, 각 센서장치 별로 동일한 시간대에 수신된 센싱정보의 시간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각 센서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골프의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을 포함하는 i(i≥1)개의 스윙개시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조합한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이 상기 저장된 i개의 스윙개시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개시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은, 사용자의 장갑에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신발이나 인솔에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와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5개의 센서장치를 착용할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입력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연동하여 획득한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상기 5개의 센서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는 내부에 구비된 지정 개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시점의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를 버퍼링하고 지정된 시점에 각 센서장치로부터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와 각 센서장치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부호화하여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4개의 각 센서장치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BLE 신호를 수신하여 4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버퍼링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하고,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을 결정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수신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매칭되는 센싱정보로 가상화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상기 가상화된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5개의 센서장치는,사용자가 스윙자세를 연습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나 골프 채에 구비하는 센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센서장치는,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사용자가 골프 게임 중에 구비하는 일부의 센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센서장치는,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골프 채에 구비된 1개의 채 센서장치가 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 센서장치는, 내부 시간을 실시간 카운트하는 타이머부와, 자세나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지정된 정보 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비동기 송출하거나 수신 가능한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상기 타이머부의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대상 시간과 동기화하는 기능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 손의 움직임을 센싱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시점에 상기 타이머부를 통해 실시간 확인된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는 기능과, 상기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가 버퍼링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송출하는 BLE 신호에 상기 버퍼링된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시켜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부와, 상기 타이머부의 내부 시간 유지와 상기 센서부의 센싱 동작과 상기 블루투스부의 BLE 신호 송수신 및 상기 운영부의 운영 동작을 위한 전원을 충전하고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 센서장치는, 내부 시간을 실시간 카운트하는 타이머부와, 자세나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와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지정된 정보 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비동기 송출하거나 수신 가능한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상기 타이머부의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대상 시간과 동기화하는 기능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 발의 움직임이나 하중 변화를 센싱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시점에 상기 타이머부를 통해 실시간 확인된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는 기능과, 상기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가 버퍼링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송출하는 BLE 신호에 상기 버퍼링된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시켜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부와, 상기 타이머부의 내부 시간 유지와 상기 센서부의 센싱 동작과 상기 블루투스부의 BLE 신호 송수신 및 상기 운영부의 운영 동작을 위한 전원을 충전하고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 센서장치는, 내부 시간을 실시간 카운트하는 타이머부와, 자세나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지정된 정보 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비동기 송출하거나 수신 가능한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상기 타이머부의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대상 시간과 동기화하는 기능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골프 채의 움직임을 센싱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시점에 상기 타이머부를 통해 실시간 확인된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는 기능과, 상기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가 버퍼링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송출하는 BLE 신호에 상기 버퍼링된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시켜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부와, 상기 타이머부의 내부 시간 유지와 상기 센서부의 센싱 동작과 상기 블루투스부의 BLE 신호 송수신 및 상기 운영부의 운영 동작을 위한 전원을 충전하고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중력 방향을 센싱하는 중력 센서, 지구자기장에 의한 방위를 센싱하는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는, 손바닥의 지정된 부위부터 손목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손목의 지정된 부위부터 팔꿈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팔꿈치의 지정된 부위부터 어깨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양 어깨의 지정된 부위 사이의 거리, 어깨의 지정된 부위부터 허리나 골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허리나 골반의 지정된 부위부터 무릎이나 오금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무릎이나 오금의 지정된 부위부터 발꿈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발꿈치의 지정된 부위부터 발바닥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 간 거리의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목둘레, 어깨둘레, 가슴둘레, 허리둘레, 허벅지둘레 중 적어도 하나의 수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에 대한 장치ID를 입력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는 내부에 구비된 지정 개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시점의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를 버퍼링하고 지정된 시점에 각 센서장치로부터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와 각 센서장치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부호화하여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제2-1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5개의 각 센서장치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BLE 신호를 수신하여 5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5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는 제2-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버퍼링된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하고,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을 결정하는 제2-3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운영서버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제공하는 제2-4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각 센서장치는 스위치 온 시 다른 센서장치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내부 시간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각 센서장치는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시간으로 유효하게 동기화한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일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스위치 온 시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동기화 일시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가 상기 타이머부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보다 미래 시점이거나, 또는 상기 타이머부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에서 지정된 유효기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 내부 시간의 동기화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각 센서장치는 내부 시간의 동기화를 결정한 경우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를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요청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상기 시간동기화요청정보는,각 센서장치의 타이머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정보, 각 센서장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시간 동기화를 요청하기 위해 지정된 플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BLE 신호를 수신하여 시간동기화요청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단계와 상기 시간동기화요청정보를 인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각 센서장치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고 각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동기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각 센서장치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BLE 신호를 수신하여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한 경우, 각 센서장치 별로 동일한 시간대에 수신된 센싱정보의 시간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각 센서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센서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각 센서장치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고 각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동기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시간은, 상기 무선단말의 내부 시간,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GMT 표준 시간, 상기 무선단말의 내부 시간이나 GMT 표준 시간을 기준으로 지정된 규칙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송출하는 경우, 각 BLE 신호를 송출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특정 센서장치의 장치ID와 상기 특정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각 센서장치 별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각 센서장치에 대한 장치ID와 상기 각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일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각 센서장치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송출한 BLE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각 센서장치는 상기 인식된 시간동기화정보를 통해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시간으로 동기화하는 단계 및 각 센서장치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동기화한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일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 시점의 시간값은, 상기 동기화 후 실시간 카운트된 시간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각 센서장치는 상기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인식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 중 중복 인식된 센싱정보를 소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골프의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을 포함하는 i(i≥1)개의 스윙개시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조합한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이 상기 저장된 i개의 스윙개시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개시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에 있어서, 골프의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j(j≥1)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j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종료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상기 스윙종료 시간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에서 사용자의 양손의 장갑에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신발이나 인솔에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로부터 센싱된 센싱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센싱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별도의 조작이나 입력 없이 스윙자세를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골프 스윙 가상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손 센서장치(1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발 센서장치(115)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채 센서장치(1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100)과 연동하는 운영서버(105)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센서장치를 통한 내부 시간 동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각 센서장치의 센싱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통한 내부 시간 동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인식된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운영서버(105)에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4개의 센서장치로부터의 센싱정보를 운영서버(105)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운영서버(105)에서 4개의 센서장치를 기반으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골프 스윙 가상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에서 사용자의 양손의 장갑에 각각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110)와 사용자의 양발의 신발이나 인솔에 각각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115)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120)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과 운영서버(105)를 통해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사용자의 골프 스윙 가상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5개의 센서장치는 사용자가 스윙자세를 연습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나 골프 채에 구비하는 센서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4개의 센서장치는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사용자가 골프 게임 중에 구비하는 일부의 센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4개의 센서장치는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골프 채에 구비된 1개의 채 센서장치가 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양손의 장갑에 각각 구비 가능하며, 내부에 구비된 지정 개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시점의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를 버퍼링하고 지정된 시점에 각 센서장치로부터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와 각 센서장치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부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으로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2개의 손 센서장치(110)와, 사용자의 양발의 신발이나 인솔에 각각 구비 가능하며, 내부에 구비된 지정 개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시점의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를 버퍼링하고 지정된 시점에 각 센서장치로부터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와 각 센서장치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부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으로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2개의 발 센서장치(115)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하며, 내부에 구비된 지정 개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시점의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를 버퍼링하고 지정된 시점에 각 센서장치로부터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와 각 센서장치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부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으로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1개의 채 센서장치(120)와,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로부터 송출되는 BLE신호를 수신하여 각 센서장치가 센싱한 센싱값과 시간값을 인식하고, 각 센서장치로부터 인식된 센싱값을 시간값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버퍼링하여, 버퍼링된 4개의 센싱값 중 지정된 2개 이상의 센싱값의 변화패턴이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시간값과,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확인하여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운영서버(105)로 제공하는 무선단말(100)과,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 센서장치(110)는 실시간 카운트 되는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대상 시간과 동기화한후, 사용자 손의 움직임을 센싱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센싱 시점에 실시간 확인된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고, BLE 신호에 상기 센싱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으로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발 센서장치(115)는 실시간 카운트 되는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대상 시간과 동기화한후, 사용자 발의 움직임이나 하중 변화를 센싱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센싱 시점에 실시간 확인된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고, BLE 신호에 상기 센싱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으로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채 센서장치(120)는 실시간 카운트 되는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대상 시간과 동기화한후, 골프 채의 움직임을 센싱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센싱 시점에 실시간 확인된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고, BLE 신호에 상기 센싱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으로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하는 망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상기 각 센서장치들과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및/또는 상기 각 센서장치들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방향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상기 망 통신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및 단방향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소지(또는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망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5)와 통신(예컨대, 통신망을 경유하여 운영서버(105)와 통신채널을 연결, 또는 지정된 중계서버를 경유하여 운영서버(105)와 중계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각 센서장치들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센서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앱이 설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은 상기 사용자의 장갑에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110)와 사용자의 신발이나 인솔에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115)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120)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BLE신호를 수신하여 각 센서장치가 센싱한 센싱값과 시간값을 인식하고, 각 센서장치로부터 인식된 센싱값을 시간값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버퍼링하여, 버퍼링된 4개의 센싱값 중 지정된 2개 이상의 센싱값의 변화패턴이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시간값과,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확인하여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운영서버(105)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은 상기 사용자의 장갑에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110)와 사용자의 신발이나 인솔에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115)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120)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BLE신호를 수신하여 각 센서장치가 센싱한 센싱값과 시간값을 인식하고, 각 센서장치로부터 인식된 센싱값을 시간값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버퍼링하여, 버퍼링된 4개의 센싱값 중 지정된 2개 이상의 센싱값의 변화패턴이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시간값과,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확인하여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생성된 가상화 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운영서버(105)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운영서버(105)에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가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후, 상기 5개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BLE 신호를 수신하여 4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100)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버퍼링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하고,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운영서버(105)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과 통신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부터 상기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하거나, 가상화 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부터 상기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부터 가상화 데이터와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가상화 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부터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수신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5)는 상기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매칭되는 센싱정보로 가상화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상기 가상화된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사용자의 양손의 장갑에 각각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110)와 사용자의 양발의 신발이나 인솔에 각각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115)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120)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로부터 BLE신호로 송출되는 센싱값과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5)로 제공하거나, 상기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화 데이터를 지정된 운영서버(105)로 제공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2의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망 통신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제어부(200)와 메모리부(245)와 화면 출력부(205)와 사용자 입력부(210)와 사운드 처리부(235)와 케이블 통신부(22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215)와 근거리망 통신부(225)와 무선망 통신부(230)와 USIM 리더부(240)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앱(250) 구성을 본 제어부(20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4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45)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앱(25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4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화면 출력부(205)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4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235)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220)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제공하는 구성부로서,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220)는 유선 케이블 연결 시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지 판별하며,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 경우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15)는 사용자의 장갑에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110)와 사용자의 신발이나 인솔에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115)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120)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부로서,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블루투스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15)의 통신 규격 내지 신호 규격이 상기 블루투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5개의 센서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 가능하다면 어떤 통신 규격 내지 신호 규격이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와 근거리망 통신부(225)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100)은 무선망 통신부(230)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2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25)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25)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230)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25)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240)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될 수 있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24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장치들과 연동하는 앱(250)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메모리부(245)에 저장하며, 이후 상기 앱(250)이 구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사용자가 착용 또는 장착한 장갑, 신발(또는 인솔), 골프 채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장치를 식별하는 장치 식별부(255)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15)와 연동하여 상기 식별된 센서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연결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식별부(255)는 상기 센서장치의 최초 동작 시(또는 센서장치에서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식별 전 동작 시, 또는 센서장치에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기 전 동작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15)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근거리통신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센서장치를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15)가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장치 식별부(255)는 블루투스 페어링 절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장갑, 신발(또는 인솔), 골프 채에 구비된 센서장치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연결할 상기 센서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식별부(255)는 상기 센서장치를 식별한 결과로서 상기 센서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식별정보(예컨대, 장치ID)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장치 연결부(260)는 별도의 식별 절차 없이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연결부(260)는 상기 장치 식별부(255)를 통해 상기 센서장치를 식별한 결과 또는 상기 메모리부(245)에 저장된 통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센서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장치 통신부(26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치 통신부(265)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15)와 연동하여 상기 장치 연결부(260)를 통해 연결된 센서장치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15)와 연동하여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센서장치가 구비된 장갑, 신발(또는 인솔), 골프 채를 착용할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2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등록부(270)는 상기 2개의 손 센서장치(110)가 구비된 장갑과 2개의 발 센서장치(115)가 구비된 신발(또는 인솔)과 1개의 채 센서장치(120)가 구비된 골프 채를 착용 또는 장착할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입력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105)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체 수치정보는 손바닥의 지정된 부위부터 손목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손목의 지정된 부위부터 팔꿈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팔꿈치의 지정된 부위부터 어깨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양 어깨의 지정된 부위 사이의 거리, 어깨의 지정된 부위부터 허리나 골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허리나 골반의 지정된 부위부터 무릎이나 오금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무릎이나 오금의 지정된 부위부터 발꿈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발꿈치의 지정된 부위부터 발바닥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 간 거리의 수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 수치정보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목둘레, 어깨둘레, 가슴둘레, 허리둘레, 허벅지둘레 중 적어도 하나의 수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270)는 골프의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을 포함하는 i(i≥1)개의 스윙개시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등록부(270)는 골프의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j(j≥1)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각 센서장치와 내부 시간의 동기화를 처리하는 시간 동기화부(275)와, 센싱정보 인식부(280)와, 센싱정보 버퍼링부(285)와, 시간값 결정부(290)와, 가상화데이터 생성부(295)와, 정보 제공부(29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간 동기화부(275)는 각 센서장치에서 내부 시간의 동기화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각 센서장치로부터 장치ID를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요청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시간동기화요청정보가 인식되면, 각 센서장치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고 각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동기화부(275)는 각 센서장치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BLE 신호를 수신하여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한 경우, 각 센서장치 별로 동일한 시간대에 수신된 센싱정보의 시간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각 센서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시간 동기화부(275)는 상기 각 센서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한 후, 각 센서장치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고 각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기화 시간은 상기 무선단말의 내부 시간, 상기 무선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GMT 표준 시간, 상기 무선단말의 내부 시간이나 GMT 표준 시간을 기준으로 지정된 규칙에 따라 결정된 시간(예컨대, 상기 내부 시간이나 GMT 표준 시간을 BLE 신호에 부호화하여 송출한 후 센서장치에서 이를 수신하여 내부에 적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추가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동기화부(275)는 상기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송출하는 경우, 각 BLE 신호를 송출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동기화부(275)는 특정 센서장치의 장치ID와 상기 특정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각 센서장치 별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동기화부(275)는 상기 각 센서장치에 대한 장치ID와 상기 각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일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센싱정보 인식부(280)는 상기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가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와 각 센서장치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부호화하여 비동기 송출하면, 상기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BLE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싱정보 인식부(280)는 상기 각 센서장치가 상기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송출하는 경우, 상기 인식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 중 중복 인식된 센싱정보를 소거할 수 있다.
상기 센싱정보 버퍼링부(285)는 상기 센싱정보 인식부(280)를 통해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100)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할 수 있다.
상기 시간값 결정부(290)는 상기 센싱정보 버퍼링부(285)를 통해 상기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버퍼링되면, 상기 버퍼링된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간값 결정부(290)는 상기 정보 등록부(270)를 통해 골프의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을 포함하는 i(i≥1)개의 스윙개시 패턴정보가 기 저장된 경우,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조합한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이 상기 저장된 i개의 스윙개시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개시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시간값 결정부(290)는 상기 센싱정보 버퍼링부(285)를 통해 상기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버퍼링되면, 상기 버퍼링된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간값 결정부(290)는 상기 정보 등록부(270)를 통해 골프의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j(j≥1)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를 기 저장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j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종료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상기 스윙종료 시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윙종료는 하나의 센서장치 별 센서를 이용해도 무방하며, 예컨대 골프 채의 스윙에 따른 가속도가 증가했다가 지정된 기준값 이하로 감소한 경우에 스윙종료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데이터 생성부(295)는 상기 시간값 결정부(290)를 통해 스윙개시 시간값 및 스윙종료 시간값이 결정되면,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상화데이터 생성부(295)는 상기 생성된 가상화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운영서버(105)로 상기 생성된 가상화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297)는 상기 시간값 결정부(290)를 통해 스윙개시 시간값 및 스윙종료 시간값이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하는 운영서버(105)로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 또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손 센서장치(1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장갑에 구비 가능하며 내부에 구비된 지정 개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시점의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를 버퍼링하고 지정된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 장치ID와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N개의 센싱정보를 부호화하여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손 센서장치(11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손 센서장치(11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 센서장치(110)는 타이머부(300)와, 센서부(305)와, 블루투스부(310)와, 운영부(315)와, 배터리부(3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부(300)는 내부 시간을 실시간 카운트하며, 상기 센서부(305)는 자세나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305)는 중력 방향을 센싱하는 중력 센서, 지구자기장에 의한 방위를 센싱하는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부(310)는 지정된 정보 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비동기 송출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315)는 상기 블루투스부(310)를 통해 상기 타이머부(300)의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대상 시간과 동기화하고, 상기 센서부(305)를 통해 사용자 손의 움직임을 센싱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시점에 상기 타이머부(300)를 통해 실시간 확인된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며, 상기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가 버퍼링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부(310)를 통해 송출하는 BLE 신호에 상기 버퍼링된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시켜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부(315)는 스위치 온 시 다른 센서장치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내부 시간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315)는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시간으로 유효하게 동기화한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일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스위치 온 시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동기화 일시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예컨대, 한번도 동기화한적이 없는 경우), 또는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가 상기 타이머부(300)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보다 미래 시점이거나(예컨대,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뺐다 껴서 현재 시간이 초기화된 경우), 또는 상기 타이머부(300)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에서 지정된 유효기간 이상 경과한 경우(예컨대, 동기화 시점으로부터 유효기간을 경과하여 동기화 오차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내부 시간의 동기화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부(315)는 내부 시간의 동기화를 결정한 경우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를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요청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부(310)를 통해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간동기화요청정보는 각 센서장치의 타이머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정보, 각 센서장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시간 동기화를 요청하기 위해 지정된 플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부(3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송출한 BLE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시간동기화정보를 통해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동기화한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일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시점의 시간값은 상기 동기화 후 실시간 카운트된 시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315)는 상기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장치와 무선단말(100)의 앱(250)이 블루투스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 통신을 할 경우 센서장치는 1개의 무선단말과 통신하지만 무선단말의 앱은 동시에 5개의 센서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이 난해할 수 있다. 반면 BLE 신호는 페어링 없이도 송출 가능하므로 5개의 센서장치에서 동시에 송출하더라도 무선단말(100)은 5개의 센서장치로부터 BLE 신호를 수신하고 BLE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315)는 센싱정보가 센싱될 때마다 BLE 신호에 실시간 포함하여 송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이 경우 BLE 신호에 의해 정보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인지할 수 없으며 인지하더라도 복구 불가할 수 있음), N개의 센싱정보를 모아서 한번에 일괄적으로 BLE 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하되, 동일한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송출하여 통신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320)는 상기 타이머부(300)의 내부 시간 유지와 상기 센서부(305)의 센싱 동작과 상기 블루투스부(310)의 BLE 신호 송수신 및 상기 운영부(315)의 운영 동작을 위한 전원을 충전하고 공급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발 센서장치(115)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신발(또는 인솔)에 구비 가능하며 내부에 구비된 지정 개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시점의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를 버퍼링하고 지정된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 장치ID와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N개의 센싱정보를 부호화하여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발 센서장치(115)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발 센서장치(115)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 센서장치(115)는 타이머부(400)와, 센서부(405)와, 블루투스부(410)와, 운영부(415)와, 배터리부(4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부(400)는 내부 시간을 실시간 카운트하며, 상기 센서부(405)는 자세나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와 압력을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405)는 중력 방향을 센싱하는 중력 센서, 지구자기장에 의한 방위를 센싱하는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부(410)는 지정된 정보 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비동기 송출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415)는 상기 블루투스부(410)를 통해 상기 타이머부(400)의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대상 시간과 동기화하고, 상기 센서부(405)를 통해 사용자 발의 움직임이나 하중 변화를 센싱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시점에 상기 타이머부(400)를 통해 실시간 확인된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며, 상기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가 버퍼링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부(410)를 통해 송출하는 BLE 신호에 상기 버퍼링된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시켜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부(415)는 스위치 온 시 다른 센서장치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내부 시간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415)는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시간으로 유효하게 동기화한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일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스위치 온 시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동기화 일시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예컨대, 한번도 동기화한적이 없는 경우), 또는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가 상기 타이머부(400)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보다 미래 시점이거나(예컨대,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뺐다 껴서 현재 시간이 초기화된 경우), 또는 상기 타이머부(400)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에서 지정된 유효기간 이상 경과한 경우(예컨대, 동기화 시점으로부터 유효기간을 경과하여 동기화 오차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내부 시간의 동기화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부(415)는 내부 시간의 동기화를 결정한 경우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를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요청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부(410)를 통해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간동기화요청정보는 각 센서장치의 타이머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정보, 각 센서장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시간 동기화를 요청하기 위해 지정된 플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부(4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송출한 BLE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시간동기화정보를 통해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동기화한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일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시점의 시간값은 상기 동기화 후 실시간 카운트된 시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415)는 상기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장치와 무선단말(100)의 앱(250)이 블루투스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 통신을 할 경우 센서장치는 1개의 무선단말과 통신하지만 무선단말의 앱은 동시에 5개의 센서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이 난해할 수 있다. 반면 BLE 신호는 페어링 없이도 송출 가능하므로 5개의 센서장치에서 동시에 송출하더라도 무선단말(100)은 5개의 센서장치로부터 BLE 신호를 수신하고 BLE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415)는 센싱정보가 센싱될 때마다 BLE 신호에 실시간 포함하여 송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이 경우 BLE 신호에 의해 정보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인지할 수 없으며 인지하더라도 복구 불가할 수 있음), N개의 센싱정보를 모아서 한번에 일괄적으로 BLE 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하되, 동일한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송출하여 통신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420)는 상기 타이머부(400)의 내부 시간 유지와 상기 센서부(405)의 센싱 동작과 상기 블루투스부(410)의 BLE 신호 송수신 및 상기 운영부(415)의 운영 동작을 위한 전원을 충전하고 공급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채 센서장치(1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하며 내부에 구비된 지정 개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시점의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를 버퍼링하고 지정된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 장치ID와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N개의 센싱정보를 부호화하여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채 센서장치(12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채 센서장치(12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 센서장치(120)는 타이머부(500)와, 센서부(505)와, 블루투스부(510)와, 운영부(515)와, 배터리부(5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부(500)는 내부 시간을 실시간 카운트하며, 상기 센서부(505)는 자세나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505)는 중력 방향을 센싱하는 중력 센서, 지구자기장에 의한 방위를 센싱하는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부(510)는 지정된 정보 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비동기 송출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515)는 상기 블루투스부(510)를 통해 상기 타이머부(500)의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대상 시간과 동기화하고,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골프 채의 움직임을 센싱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시점에 상기 타이머부(500)를 통해 실시간 확인된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며, 상기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가 버퍼링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부(510)를 통해 송출하는 BLE 신호에 상기 버퍼링된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시켜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부(515)는 스위치 온 시 다른 센서장치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내부 시간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515)는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시간으로 유효하게 동기화한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일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스위치 온 시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동기화 일시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예컨대, 한번도 동기화한적이 없는 경우), 또는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가 상기 타이머부(500)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보다 미래 시점이거나(예컨대,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뺐다 껴서 현재 시간이 초기화된 경우), 또는 상기 타이머부(500)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에서 지정된 유효기간 이상 경과한 경우(예컨대, 동기화 시점으로부터 유효기간을 경과하여 동기화 오차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내부 시간의 동기화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부(515)는 내부 시간의 동기화를 결정한 경우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를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요청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부(510)를 통해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간동기화요청정보는 각 센서장치의 타이머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정보, 각 센서장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시간 동기화를 요청하기 위해 지정된 플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부(5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송출한 BLE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시간동기화정보를 통해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동기화한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일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시점의 시간값은 상기 동기화 후 실시간 카운트된 시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515)는 상기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송출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장치와 무선단말(100)의 앱(250)이 블루투스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 통신을 할 경우 센서장치는 1개의 무선단말과 통신하지만 무선단말의 앱은 동시에 5개의 센서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이 난해할 수 있다. 반면 BLE 신호는 페어링 없이도 송출 가능하므로 5개의 센서장치에서 동시에 송출하더라도 무선단말(100)은 5개의 센서장치로부터 BLE 신호를 수신하고 BLE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운영부(515)는 센싱정보가 센싱될 때마다 BLE 신호에 실시간 포함하여 송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이 경우 BLE 신호에 의해 정보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인지할 수 없으며 인지하더라도 복구 불가할 수 있음), N개의 센싱정보를 모아서 한번에 일괄적으로 BLE 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하되, 동일한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송출하여 통신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520)는 상기 타이머부(300)의 내부 시간 유지와 상기 센서부(505)의 센싱 동작과 상기 블루투스부(510)의 BLE 신호 송수신 및 상기 운영부(515)의 운영 동작을 위한 전원을 충전하고 공급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100)과 연동하는 운영서버(105)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사용자 무선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운영서버(10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운영서버(105)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5)는 정보 수신부(600)와, 가상화데이터 생성부(605)와, 정보 저장부(61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6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부터 5개의 센서장치를 착용할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6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부터 4개 또는 5개의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을 통해 가상화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부터 상기 가상화 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데이터 생성부(605)는 상기 정보 수신부(600)를 통해 5개의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5개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610)는 상기 정보 수신부(600)를 통해 상기 5개의 센서장치를 착용할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저장매체(별도 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610)는 상기 정보 수신부(600)를 통해 상기 가상화 데이터와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가상화 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610)는 상기 가상화데이터 생성부(605)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사용자의 스윙자세에 대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별도 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상화데이터 생성부(605)는 상기 정보 수신부(600)를 통해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수신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화데이터 생성부(605)는 상기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매칭되는 센싱정보로 가상화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상기 가상화된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센서장치를 통한 내부 시간 동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사용자의 양손의 장갑에 각각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110)와 사용자의 양발의 신발이나 인솔에 각각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115)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120)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를 통해서 다른 센서장치나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의 내부 시간의 시간 동기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센서장치의 시간 동기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각 센서장치는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시간으로 유효하게 동기화한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일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700), 스위치 온 시,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동기화 일시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705), 또는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가 상기 타이머부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보다 미래 시점이거나(710), 또는 상기 타이머부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에서 지정된 유효기간 이상 경과한 경우(715)에 다른 센서장치나 사용자 무선단말(100)과 내부 시간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한다(720).
상기 내부 시간의 동기화가 결정되면, 각 센서장치는 각 센서장치의 장치ID를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요청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 송출하도록 처리한다(725).
여기서, 상기 시간동기화요청정보는 각 센서장치의 타이머를 통해 실시간 카운트되는 현재 일시정보, 각 센서장치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동기화 일시정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시간 동기화를 요청하기 위해 지정된 플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BLE 신호를 수신하여 시간동기화요청정보가 인식되면(730), 각 센서장치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고 각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한다(7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BLE 신호를 송출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특정 센서장치의 장치ID와 상기 특정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각 센서장치 별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각 센서장치에 대한 장치ID와 상기 각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일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센서장치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이 송출한 BLE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인식하고(740), 상기 인식된 시간동기화정보를 통해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시간으로 동기화한다(745).
그리고, 각 센서장치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동기화한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일시정보를 저장한다(750).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각 센서장치의 센싱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에서 상기 사용자의 장갑에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110)와 사용자의 신발이나 인솔에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115)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120)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BLE신호를 수신하여 각 센서장치가 센싱한 센싱값과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각 센서장치의 센싱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5개의 센서장치를 착용할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의 입력을 확인하고(800), 확인된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105)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805).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는 손바닥의 지정된 부위부터 손목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손목의 지정된 부위부터 팔꿈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팔꿈치의 지정된 부위부터 어깨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양 어깨의 지정된 부위 사이의 거리, 어깨의 지정된 부위부터 허리나 골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허리나 골반의 지정된 부위부터 무릎이나 오금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무릎이나 오금의 지정된 부위부터 발꿈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발꿈치의 지정된 부위부터 발바닥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 간 거리의 수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목둘레, 어깨둘레, 가슴둘레, 허리둘레, 허벅지둘레 중 적어도 하나의 수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골프의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을 포함하는 i(i≥1)개의 스윙개시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에 대한 장치ID를 입력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810).
이후,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는 내부에 구비된 지정 개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시점의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고(815), 상기 생성된 센싱정보를 지정된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를 버퍼링한다(820).
여기서, 상기 센싱 시점의 시간값은 동기화 후 실시간 카운트된 시간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센서장치는 지정된 시점에 각 센서장치로부터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와 각 센서장치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부호화하여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한다(825).
여기서, 상기 각 센서장치는 상기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BLE 신호를 수신하여 4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가 인식되면(830), 각 센서장치 별로 동일한 시간대에 수신된 센싱정보의 시간값을 비교하여(835),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각 센서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한다(845).
여기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인식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 중 중복 인식된 센싱정보를 소거할 수 있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통한 내부 시간 동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에서 각 센서장치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BLE 신호를 수신하고,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한 경우, 각 센서장치 별로 동일한 시간대에 수신된 센싱정보의 시간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각 센서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내부 시간의 동기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각 센서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한 경우, 시간동기화정보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고(900), 상기 시간동기화정보에 각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여(905), 상기 각 센서장치의 장치ID 및 동기화 시간이 포함된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한다(9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BLE 신호를 송출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특정 센서장치의 장치ID와 상기 특정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각 센서장치 별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각 센서장치에 대한 장치ID와 상기 각 센서장치의 내부 시간을 일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부호화한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센서장치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이 송출한 BLE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장치ID를 수신측 식별자로 포함하는 시간동기화정보를 인식하고(915), 상기 인식된 시간동기화정보를 통해 내부 시간을 지정된 동기화 시간으로 동기화한다(920).
그리고, 각 센서장치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동기화한 시점에 대응하는 동기화 일시정보를 저장한다(925).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인식된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8의 과정을 통해 각 센서장치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BLE신호를 수신하여 각 센서장치가 센싱한 센싱값과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가 인식된 이후,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에서 상기 각 센서장치로부터 인식된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에서 상기 인식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100)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한다(1000).
그리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버퍼링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1005),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한다(1010).
그리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버퍼링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판독하여(1015),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을 결정한다(1020).
이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에서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적용하여(1025),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한다(1030).
그리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생성된 가상화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운영서버(105)로 상기 생성된 가상화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제공한다(1035).
상기 운영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부터 가상화 데이터와 식별정보가 수신되면(1040), 상기 가상화 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1045).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운영서버(105)에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운영서버(105)에서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부터 각 센서장치 별 부선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서버(105)에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5)는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부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한다(1100).
상기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운영서버(105)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확인하고(1105),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적용하여(1110),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한다(1115).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5)는 상기 생성된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1120).
도면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4개의 센서장치로부터의 센싱정보를 운영서버(105)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상기 도면7 내지 도면11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5)에서 5개의 각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이 연동하여 획득한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상기 5개의 센서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4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연계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후,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에서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운영서버(105)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에서 4개의 센서장치로부터의 센싱정보를 운영서버(105)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는 내부에 구비된 지정 개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 별 센싱값과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시점의 시간값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한다(1200).
그리고, 상기 각 센서장치는 지정된 버퍼영역에 N(N≥2)개의 센싱정보를 버퍼링한 후(1205), 지정된 시점에 각 센서장치로부터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 각 센서장치의 장치ID와 각 센서장치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부호화하여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한다(12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각 센서장치는 상기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4개의 각 센서장치로부터 비동기 송출된 BLE 신호를 수신하여 4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한다(1215).
그리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인식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한다(12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각 센서장치로부터 상기 N개의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수신되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 중 중복 인식된 센싱정보를 소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버퍼링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한다(123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조합한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이 상기 저장된 i개의 스윙개시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개시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을 결정한다(12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j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종료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상기 스윙종료 시간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은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운영서버(105)로 제공한다.
도면1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운영서버(105)에서 4개의 센서장치를 기반으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은 상기 도면12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에서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운영서버(105)로 제공한 이후, 운영서버(105)에서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앱(250)으로부터 수신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서버(105)에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3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5)는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가 수신되면(1300), 기 저장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수신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비교한다(1305).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비교한 결과,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가 확인되면(1310), 상기 운영서버(105)는 상기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확인하고(1315), 상기 확인된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매칭되는 센싱정보로 가상화한다(132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5)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상기 가상화된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적용하여(1325),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한다(1330).
100: 무선단말 105: 운영서버
110 : 손 센서장치 115 : 발 센서장치
120 : 채 센서장치 200 : 제어부
205 : 화면 출력부 210 : 사용자 입력부
215 : 근거리 무선 통신부 220 : 케이블 통신부
225 : 근거리망 통신부 230 : 무선망 통신부
235 : 사운드 처리부 240 : USIM리더부
245 : 메모리부 250 : 앱
255 : 장치 식별부 260 : 장치 연결부
265 : 장치 통신부 270 : 정보 등록부
275 : 시간 동기화부 280 : 센싱정보 인식부
285 : 센싱정보 버퍼링부 290 : 시간값 결정부
295 : 가상화데이터 생성부 297 : 정보 제공부
300 : 타이머부 305 : 센서부
310 : 블루투스부 315 : 운영부
320 : 배터리부 400 : 타이머부
405 : 센서부 410 : 블루투스부
415 : 운영부 420 : 배터리부
500 : 타이머부 505 : 센서부
510 : 블루투스부 515 : 운영부
520 : 배터리부 600 : 정보 수신부
605 : 가상화데이터 생성부 610 : 정보 저장부

Claims (28)

  1. 사용자의 장갑에 구비 가능한 2개의 손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신발이나 인솔에 구비 가능한 2개의 발 센서장치와 사용자의 골프 채에 구비 가능한 1개의 채 센서장치를 포함하는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와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골프의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j(j≥1)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입력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1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연동하여 획득한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상기 5개의 센서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하여 생성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4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는 제3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버퍼링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하고,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j개의 스윙종료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종료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으로 결정하는 제4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지정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와 상기 수신된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가장 매칭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매칭되는 센싱정보로 가상화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상기 4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와 상기 가상화된 나머지 1개의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센서장치는, 사용자가 스윙자세를 연습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나 골프 채에 구비하는 센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센서장치는, 상기 5개의 센서장치 중 사용자가 골프 게임 중에 구비하는 일부의 센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는,
    손바닥의 지정된 부위부터 손목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손목의 지정된 부위부터 팔꿈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팔꿈치의 지정된 부위부터 어깨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양 어깨의 지정된 부위 사이의 거리,
    어깨의 지정된 부위부터 허리나 골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허리나 골반의 지정된 부위부터 무릎이나 오금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무릎이나 오금의 지정된 부위부터 발꿈치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발꿈치의 지정된 부위부터 발바닥의 지정된 부위까지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 간 거리의 수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5개의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5개의 각 센서장치 별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중복되지 않게 무선단말의 지정된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는 제2-2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버퍼링된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 중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연계 판독하여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스윙개시 시간값을 결정하고,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 이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판독하여 '스윙동작 종료'에 대응하는 스윙종료 시간값을 결정하는 제2-3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과 스윙종료 시간값 사이의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가상화한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운영서버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를 제공하는 제2-4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5개의 각 센서장치 별 분석 대상 센싱정보의 각 시간값 별 센싱값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 수치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5개 센서장치 기반 가상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각 센서장치는 스위치 온 시 다른 센서장치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내부 시간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각 센서장치를 통해 센싱된 각 센서장치 별 N개의 센싱정보를 인식한 경우, 각 센서장치 별로 동일한 시간대에 수신된 센싱정보의 시간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각 센서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제 1항에 있어서,
    골프의 '스윙 준비'나 '스윙동작 시작'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을 포함하는 i(i≥1)개의 스윙개시 패턴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둘 이상의 지정된 센서장치 별 센싱정보에 포함된 지정된 센서의 센싱값 변화패턴을 시간값 기준으로 조합한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이 상기 저장된 i개의 스윙개시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윙개시 패턴정보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독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센싱값 변화패턴의 조합이 개시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값을 상기 스윙개시 시간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28. 삭제
KR1020180016529A 2018-02-09 2018-02-09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KR10249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29A KR102494210B1 (ko) 2018-02-09 2018-02-09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29A KR102494210B1 (ko) 2018-02-09 2018-02-09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734A KR20190096734A (ko) 2019-08-20
KR102494210B1 true KR102494210B1 (ko) 2023-02-03

Family

ID=6780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529A KR102494210B1 (ko) 2018-02-09 2018-02-09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2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280Y1 (ko) * 2005-09-27 2006-05-25 노보스(주) 스윙자세 교정 장치
JP2014530047A (ja) * 2011-09-20 2014-11-17 ブライアン・フランシス・ムーニー ゴルフ・スイングを分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16067408A (ja) * 2014-09-26 2016-05-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センサー、演算装置、運動計測方法、運動計測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795474B1 (ko) * 2016-06-03 2017-11-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3284B2 (en) * 2008-02-20 2017-04-18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analyzing golf data, including community and individual golf data collection and storage at a central hub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280Y1 (ko) * 2005-09-27 2006-05-25 노보스(주) 스윙자세 교정 장치
JP2014530047A (ja) * 2011-09-20 2014-11-17 ブライアン・フランシス・ムーニー ゴルフ・スイングを分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16067408A (ja) * 2014-09-26 2016-05-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センサー、演算装置、運動計測方法、運動計測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795474B1 (ko) * 2016-06-03 2017-11-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734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4444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グランドシステム及びデータ取得方法
EP37179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movement of electronic device
US10531277B2 (en) Wireless initial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for first time use
CN105373231A (zh) 一种体育运动检测设备
US20150102914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3304953B1 (en) Transmitting athletic data using non-connected state of discovery signal
CN108024011A (zh) 通过振动建立无线连接的方法、电子设备和记录介质
JP2017029701A5 (ko)
CN107409434A (zh) 运动感测服装的包含传感器连接与发射机制的交替的系统
KR102494207B1 (ko)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KR20160017120A (ko) 모션 캡쳐를 위한 근접도 센서 메시
CN103191563A (zh) 射频识别的拳击游戏系统、装置和方法
CN108417009A (zh) 一种终端设备控制方法以及电子设备
CN107297071B (zh) 一种麻将机
KR102494210B1 (ko)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KR102494213B1 (ko) 4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3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KR102494212B1 (ko) 4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KR102494214B1 (ko) 4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KR102494211B1 (ko)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KR20180050127A (ko) M2m 통신을 이용한 웨어러블 장치의 운동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5050049A (zh) 应用电子表手势之讯息交换系统
CN105388770A (zh) 一种基于智能穿戴的遥控装置和方法
CN110472459B (zh) 提取特征点的方法和装置
CN102033605A (zh) 人机互动信息系统及其方法
Karimi et al. A wearable 3D motion sensing system integrated with a Bluetooth smart phone application: A system level ov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