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474B1 -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 Google Patents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474B1
KR101795474B1 KR1020160069693A KR20160069693A KR101795474B1 KR 101795474 B1 KR101795474 B1 KR 101795474B1 KR 1020160069693 A KR1020160069693 A KR 1020160069693A KR 20160069693 A KR20160069693 A KR 20160069693A KR 101795474 B1 KR101795474 B1 KR 10179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ertial sensor
user
inertial
golf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성범
고경리
황세현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9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EMS 기반의 관성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골프자세 데이터를 취득 및 분석하여 골프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자세 교정방법은 관성센서를 사용자의 머리와 가슴, 골반 및 양측 대퇴부에 부착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초기 위치로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각 지점에 부착된 관성센서들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골프스윙을 실시하고, 상기 각 관성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데이터를 통해 스윙자세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교정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Golf posture correction method and golf posture correc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MEMS 기반의 관성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골프자세 데이터를 취득 및 분석하여 골프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가 일반인도 자연스럽게 즐기는 대중 스포츠로 저변이 확대되어 골프인구가 수백만에 다다르고, 골프장 및 골프 연습장이 고속성장을 하고 있다. 또한, 골프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골프관련 사업이 활성화되어, 골프장과 골프연습장의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골프는 다른 스포츠보다 입문이 까다로우며, 대부분의 경우 골프 자세 및 동작 습득과정은 독학, 입문선배의 도움, 레슨프로에 의하여 진행되나 직감적인 자세교정으로 인한 체계적인 교습과정의 부재, 교습자 의존적인 교정 판단의 다양성, 과학적인 분석의 어려움 등으로 체계적으로 개인 교습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내지 방법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7704호에는 골퍼의 스윙 동작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실시간 센싱 데이터에 대한 제1정보를 분석하는 장치와 가상골프시뮬레이션의 환경정보에 대한 제2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정보구축 장치와 제1,2정보를 분석하여 설명하는 설명 모듈을 포함하는 골퍼자세교정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골프 자세 및 동작 교정을 위한 골프교습 시스템은 CCD카메라로 골퍼의 스윙 폼을 촬영하고 반도체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프로 골퍼의 스윙 폼이나 표준 폼의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 자신의 스윙 폼과 서로 비교해 볼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표준 자세와 정밀하게 비교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770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48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26493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관성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골프자세의 정확한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자세 교정에 필요한 문제 진단 및 분석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자세 교정방법은 관성센서를 사용자의 머리와 가슴, 골반 및 양측 대퇴부에 부착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초기 위치로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각 지점에 부착된 관성센서들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골프스윙을 실시하고, 상기 각 관성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데이터를 통해 스윙자세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교정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골프자세 교정방법은 상기 관성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3D 모델에 투영하고, 3D 모델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측정된 스윙자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성센서는 골반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1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대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 관성센서 및 제3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척추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4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5 관성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관성센서들은 제1 관성센서의 하위에 제2 관성센서와 제3 관성센서 및 제4 관성센서가 위치하고, 제4 관성센서의 하위에 제5 관성센서가 위치하는 계층구조를 갖도록 분류되어 분석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성센서에서 취득한 자세데이터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되고, 상기 스윙자세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파일 포맷으로 변환된 자세 데이터를 3차원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윙자세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관성센서에서 취득한 자세데이터를 통해 척추의 방향, 머리 숙임 각도, 머리의 움직임 정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스윙 자세를 분석하되, 척추와 머리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SVM(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즘을 통해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관성센서들과, 상기 관성센서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관성센서들의 자세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분석하는 분석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관성센서는 골반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1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대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 관성센서 및 제3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척추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4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5 관성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관성센서들은 제1 관성센서의 하위에 제2 관성센서와 제3 관성센서 및 제4 관성센서가 위치하고, 제4 관성센서의 하위에 제5 관성센서가 위치하는 계층구조를 갖도록 분류되어 분석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은 상기 무선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관성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분석프로세서에서 분석된 분석 결과 및 상기 분석결과가 투영된 3D 모델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성센서들에서 측정된 자세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자세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메모리와, 상기 무선수신부와 저장메모리가 장착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웨어러블기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저장메모리는 자세 분석을 위한 컴퓨터로 저장된 자세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성센서들 중 제1 관성센서 및 제2 관성센서가 부착된 제1 언더웨어와, 상기 제4 관성센서가 부착된 제2 언더웨어 및 상기 제5 관성센서가 부착된 모자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상기 관성센서들을 초기화할 수 있는 초기화 버튼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저장메모리는 상기 관성센서들의 초기화에 따라 저장되는 자세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은 사용자의 골프 자세에 대하여 수치적으로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자세의 문제점에 대해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언제든 자세 진단 및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자세 교정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골프자세 교정방법에 따라 자세 교정 및 분석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관성센서가 인체에 부착되는 부착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의 관성센서의 계층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인체를 나누는 세 기준평면과 여섯 개의 방향을 표시한 도면,
도 7은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인체의 상태를 분석하는 기준위치관계를 표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출력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자세 교정방법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관성센서(10)를 부착하는 단계와, 관성센서(10)를 초기화하는 단계, 관성센서(10)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데이터를 3D 모델에 투영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교정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골프자세 교정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골프자세 교정시스템(1)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다섯 개의 관성센서(10)들과 관성센서(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20)와,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0), 관성센서(10)에서 측정된 자세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프로세서(40) 및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50)를 포함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골프자세 교정시스템(1)을 중심으로 골프자세를 교정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성센서(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각 부착위치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이 측정정보를 스윙자세의 분석을 위한 자세데이터로 전송하는 것이다.
관성센서(1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골반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1 관성센서(11)와, 양측 대퇴부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2 관성센서(12) 및 제3 관성센서(13)와, 사용자의 가슴부근에 설치되어 가슴 또는 척추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제4 관성센서(14)와, 머리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5 관성센서(15)를 포함한다.
상기 관성센서(10)들은 벨크로밴드를 통해 신체에 부착되거나 관성센서(10)가 부착된 의류를 사용자가 착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 관성센서(11~15)들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1 관성센서(11)의 하위에 제2 관성센서(12)와 제3 관성센서(13) 및 제4 관성센서(14)가 위치하고, 제4 관성센서(14)의 하위에 제5 관성센서(15)가 위치하는 계층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계층구조에 따라 측정된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인체 움직임을 더욱 정확하게 분석하게 된다.
관성센서(10)들에서 취득된 자세데이터는 무선으로 송출되고 무선송신기에서 이를 수신하여 저장부(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된 데이터는 분석프로세서(40)에 의해 분석이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인체는 해부학적 위치에서 세 기준평면과 여섯 기본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관성센서(10)들에서 취득된 5개 관절의 자세데이터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세 축의 회전각도로 표현될 수 있고, 각 축의 회전각도를 통해 스윙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즉,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각도 Roll은 센서 부착 위치를 따라 인체가 전방으로 숙여지는 경우 음수를 나타내고, 후방으로 젖혀지는 경우 양수 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각도 Pitch는 인체가 음수인 경우 인체가 오른쪽 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나타내고, 양수인 경우 외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각도 Yaw는 방위를 나타낸다.
분석프로세서(40)는 각 관성센서(10)들의 측정데이터를 종합하여 스윙과정에서 척추의 경사각도, 머리 숙임정도 및 머리가 회전하는 정도를 판단한다.
이렇게 자세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척추와 머리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SVM(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즘을 통해 분류한다.
이렇게 판단된 분석데이터는 3D 모델에 투영되고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50)에는 일측에 분석데이터가 투영된 3D 모델이 재생되는 창과, 일측에 분석데이터를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창이 구분될 수 있으며, 3D 모델을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상태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다. 일측에는 모범이 되는 스윙자세에 대한 3D 모델이 비교 영상으로 출력되어 모범자세와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관성센서(10)들로부터 수집된 자세데이터를 수치화하여 출력함으로써 척추의 각도나 하체의 이동, 머리의 숙임정도나 움직임에 대한 분석결과를 수치로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자세에 대한 오류 정도를 객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분석프로세서(40)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기 위한 교정방법 또는 교정자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스윙동작의 오류를 직접 확인하고 교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골프자세 교정시스템(1)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저장메모리(72)가 구비된 웨어러블기기(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섯 개의 관성센서(10)들은 각각 제1 언더웨어(61)와 제2 언더웨어(62) 및 모자(63)에 분리되어 부착될 수 있는데, 골반 위치를 측정하는 제1 관성센서(11)와 양측 대퇴부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2 관성센서(12) 및 제3 관성센서(13)는 하의로 착용하는 제1 언더웨어(61)에 부착되어 해당 위치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척추의 움직임 감지를 위한 제4 관성센서(14)는 상의로 착용하는 제2 언더웨어(62)에 부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머리의 움직임 측정을 위한 제5 관성센서(15)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모자(63)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웨어러블기기(70)는 팔목에 착용하는 밴드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웨어러블기기(7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목걸이 형태나 바지나 허리띠에 착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웨어러블기기(70)에는 관성센서(10)들에서 측정된 자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부가 마련되어 있고, 수신된 자세데이터들은 저장메모리(72)에 저장된다.
아울러 상기 웨어러블기기(70)에는 관성센서(10)의 초기화를 위한 초기화버튼(71)이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자세 측정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바르게 기립된 상태로 초기화버튼(71)을 누르면 해당 위치에서 관성센서(10)들이 초기화되고, 이후 골프 스윙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의 골프자세에 대한 자세데이터가 측정된다.
상기 저장메모리(72)는 초기화버튼(71)을 통해 관성센서(10)가 초기화되는 것을 기준으로 수신된 자세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저장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관성센서(10)들이 부착된 의류를 착용한 상태로 실제 골프코스에서 골프를 치는 경우 각 상황에성의 자세데이터를 저장해 두었다가 분석프로세서(40)가 마련되어 있는 컴퓨터로 상기 저장메모리(72)의 저장데이터를 전송하고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골프 스윙의 자세에 대한 데이터가 누적되어 있다가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골프 자세의 분석 및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10: 관성센서
11: 제1 관성센서
12: 제2 관성센서
13: 제3 관성센서
14: 제4 관성센서
15: 제5 관성센서
20: 무선수신기
30: 저장부
40: 분석프로세서
50: 디스플레이
61: 제1 언더웨어
62: 제2 언더웨어
63: 모자
70: 웨어러블기기
71: 초기화버튼
72: 저장메모리

Claims (12)

  1. 관성센서를 사용자의 머리와 가슴, 골반 및 양측 대퇴부에 부착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초기 위치로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각 지점에 부착된 관성센서들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골프스윙을 실시하고, 상기 각 관성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데이터를 통해 스윙자세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교정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성센서는 골반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1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대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 관성센서 및 제3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척추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4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5 관성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관성센서들은 제1 관성센서의 하위에 제2 관성센서와 제3 관성센서 및 제4 관성센서가 위치하고, 제4 관성센서의 하위에 제5 관성센서가 위치하는 계층구조를 갖도록 분류되어 분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자세 교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3D 모델에 투영하고, 3D 모델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측정된 스윙자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자세 교정방법.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에서 취득한 자세데이터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되고,
    상기 스윙자세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파일 포맷으로 변환된 자세 데이터를 3차원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자세 교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자세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관성센서에서 취득한 자세데이터를 통해 척추의 방향, 머리 숙임 각도, 머리의 움직임 정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스윙 자세를 분석하되,
    척추와 머리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SVM(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즘을 통해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자세 교정방법.
  6.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관성센서들과;
    상기 관성센서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관성센서들의 자세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분석하는 분석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관성센서는 골반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1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대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 관성센서 및 제3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척추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4 관성센서와,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5 관성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관성센서들은 제1 관성센서의 하위에 제2 관성센서와 제3 관성센서 및 제4 관성센서가 위치하고, 제4 관성센서의 하위에 제5 관성센서가 위치하는 계층구조를 갖도록 분류되어 분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관성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프로세서에서 분석된 분석 결과 및 상기 분석결과가 투영된 3D 모델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들에서 측정된 자세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자세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메모리와,
    상기 무선수신부와 저장메모리가 장착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웨어러블기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저장메모리는 자세 분석을 위한 컴퓨터로 저장된 자세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들 중 제1 관성센서 및 제2 관성센서가 부착된 제1 언더웨어와,
    상기 제4 관성센서가 부착된 제2 언더웨어 및
    상기 제5 관성센서가 부착된 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상기 관성센서들을 초기화할 수 있는 초기화 버튼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저장메모리는 상기 관성센서들의 초기화에 따라 저장되는 자세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KR1020160069693A 2016-06-03 2016-06-03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KR10179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693A KR101795474B1 (ko) 2016-06-03 2016-06-03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693A KR101795474B1 (ko) 2016-06-03 2016-06-03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474B1 true KR101795474B1 (ko) 2017-11-10

Family

ID=6038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693A KR101795474B1 (ko) 2016-06-03 2016-06-03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734A (ko) *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KR20190096742A (ko) *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4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3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6853B2 (ja) * 1994-05-26 2005-06-08 ビー カーショッド,ドナルド 運動測定装置
JP2014500740A (ja) * 2010-11-01 2014-01-16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アスレチック機能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装置アセンブリ
JP2015139562A (ja) * 2014-01-29 2015-08-03 横浜ゴム株式会社 スイング測定方法およびスイング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6853B2 (ja) * 1994-05-26 2005-06-08 ビー カーショッド,ドナルド 運動測定装置
JP2014500740A (ja) * 2010-11-01 2014-01-16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アスレチック機能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装置アセンブリ
JP2015139562A (ja) * 2014-01-29 2015-08-03 横浜ゴム株式会社 スイング測定方法およびスイング測定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734A (ko) *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KR20190096742A (ko) *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4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3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KR102494210B1 (ko) * 2018-02-09 2023-02-03 (주)지티에스골프 5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4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KR102494213B1 (ko) * 2018-02-09 2023-02-03 (주)지티에스골프 4개의 다중 센서장치를 이용한 3개의 센서장치 기반 골프 스윙 가상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0083A1 (en)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movement using sensor devices
JP5641222B2 (ja) 演算処理装置、運動解析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115653B (zh) 调整泳姿的装置、泳姿信息处理系统、泳姿信息处理方法
JP4971808B2 (ja) 歩行動作分析装置
US9024976B2 (en) Postur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KR101751760B1 (ko) 하지 관절 각도를 이용한 보행 인자 추정 방법
CN107330967B (zh) 基于惯性传感技术的骑师运动姿态捕捉及三维重建系统
CN107754225A (zh) 一种智能健身教练系统
US20100194879A1 (en) Object motion capturing system and method
US20100228487A1 (en) Postur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149104A1 (en) Motion Tracking Solutions Using a Self Correcting Three Sensor Architecture
US20130171596A1 (en) Augmented reality neurological evaluation method
CN109045651B (zh) 高尔夫挥杆矫正系统
US201403035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motion tracking system
US10293205B2 (en) IMU system for assessing head and torso orientation during physical motion
US20150097937A1 (en) Single-camera motion capture system
KR20120131553A (ko) 동작 추적 방법.
Kim et al. Golf swing analysis system with a dual band and motion analysis algorithm
CN110609621B (zh) 姿态标定方法及基于微传感器的人体运动捕获系统
JP669062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95474B1 (ko) 골프자세 교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자세 교정시스템
WO2015109442A1 (zh) 一种多节点运动测量与分析系统
KR20220049271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재활운동관리 시스템
JP7482471B2 (ja) 学習モデルの生成方法
WO2020121500A1 (ja) 推定方法、推定プログラムおよび推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