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891B1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891B1
KR102493891B1 KR1020160027855A KR20160027855A KR102493891B1 KR 102493891 B1 KR102493891 B1 KR 102493891B1 KR 1020160027855 A KR1020160027855 A KR 1020160027855A KR 20160027855 A KR20160027855 A KR 20160027855A KR 102493891 B1 KR102493891 B1 KR 102493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wash water
circulation
pump
circulatio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4875A (en
Inventor
김진호
오수영
우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891B1/en
Priority to EP17763539.8A priority patent/EP3428338B1/en
Priority to PCT/KR2017/002443 priority patent/WO2017155278A1/en
Publication of KR2017010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8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8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6Arrangements for avoiding detergent wastage in the discharge condui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물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를 경유하여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공기의 누설을 억제하여 세탁수의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tub; an electric heate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in the tub;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of the tub is circulated to the outside; a circulation pump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and controlling the air pump to supply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when the electric heater is heating, and supplying wash water to a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to suppress air leakage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It is configur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irculation pump to be possib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water level of washing water by suppressing air leakage.

Description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Laundry treatmen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주지된 바와 같이, 세탁물처리장치는, 의류 또는 세탁물을 세탁 과정, 헹굼 과정 또는 건조과정을 통해 처리(세탁)하는 장치의 일 종이다.As is well know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a type of apparatus that processes (washes) clothes or laundry through a washing process, a rinsing process, or a drying process.

상기 세탁물은, 의류뿐만 아니라, 이불 등 침구류, 커튼, 봉제 인형 등 세탁 가능한 물품을 포함한다. The laundry includes not only clothes, but also bedding such as blankets, curtains, and washable items such as stuffed toys.

상기 세탁물처리장치는, 통상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normal exterior,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nd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한편, 상기 세탁물처리장치 중 일부는 세탁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는 세탁수 가열기능을 구비한다. Meanwhile, som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s have a wash water heating function capable of heating wash water so as to enhance a washing effect.

세탁수 가열 기능을 구비한 세탁물처리장치에는 상기 터브의 내부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전기히터가 구비된다. An electric heater is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wash water heating function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wash water inside the tub.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터브의 내부의 세탁수는 기본 급수 수위(초기급수량)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터브의 용량이 증가할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세탁수의 가열시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ince the water supply level (initial water supply amount) inside the tub needs to be maintained, when the capacity of the tub increases, the amount of wash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o heat the washing water because of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이에 의해, 종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전체 세탁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a result,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otal washing time is extended.

또한, 종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세탁수의 양의 증가에 기인한 전기히터의 가열시간이 증가되므로, 전력소비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ince the heating time of the electric heater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wash wat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increases.

또한, 종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세탁수의 가열 시, 상기 세탁수의 수면 위로 상기 전기히터가 노출될 경우 상기 전기히터의 과열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기인하여 상기 전기히터의 강제 열화가 촉진되어 상기 전기히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en the electric heater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wash water during heating of the wash water, overheating of the electric heater may occur, resulting in forcible deterioration of the electric heat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ife of the electric heater is shortened due to acceleration.

KRKR 10-079207510-0792075 B1B1 (2008.01.04.)(2008.01.04.) KRKR 10-118660210-1186602 B1B1 (2012.09.27.)(2012.09.27.)

따라서, 본 발명은, 세탁수의 가열 시 전기히터의 주변의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raising the level of wash water around an electric heater when washing water is heate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높은 세탁수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어 세탁수의 수량을 저감할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wash water by maintaining a relatively high wash water leve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의 양을 저감할 수 있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reducing the amount of wash wat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의 양을 저감하여 세제의 농도를 높일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detergent by reducing the amount of wash wat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누설을 억제하여 세탁수의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level of washing water by suppressing air leak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시,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wash water from the tub is drawn to the outside and circulated into the tub; a circulation pump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upply wash water to a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when the air pump is driven, thereby controlling the circulation pump to suppress air leakage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provides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는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에어펌프 및 상기 순환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n electric heater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may be provided in the tub, an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rive the air pump and the circulation pump when the electric heater is heated.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를 구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rive the circulation pump before driving the air pump.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펌프를 미리 설정된 구동패턴으로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의 공급(on) 및 차단(off)을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alternately and repeatedly control power supply (on) and shutdown (off) of the circulation pump in a preset driving pattern.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In the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tub and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ass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후, 상기 전기히터와 접촉된 세탁수의 수위를 확인하고,After the air pump is driven, the control unit checks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in contact with the electric heater;

상기 제어부는, 확인된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가 급수될 수 있게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so that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when the checked wash water level is lower than a preset water level.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시간에 비해 큰 제2시간동안 대기하는 것을 반복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repeatedly open the water supply valve for a first preset time and wait for a second time greater than the first time until the preset water level is reached. there i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가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n electric heate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in the tub;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wash water from the tub is drawn to the outside and circulated into the tub; a circulation pump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and controlling the air pump to supply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when the electric heater is heating, and supplying wash water to a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to suppress air leakage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There is provide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irculation pump so as to be possible.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종료 시, 상기 에어펌프 및 순환펌프의 구동이 중지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driving of the air pump and the circulation pump to be stopped when heating of the electric heater is finished.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가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irculation pump to be driven before driving the air pump.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의 내부에 세탁수가 유입되고, 상기 순환유로의 출구로 세탁수가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을 통해 전량이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반복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uts off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before wash wa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flows out to the outlet of the circulation passage, and the circulation pump It can be configured to be repeatedly controlled so that the power of the circulation pump can be supplied before the entire amount of washing water inside the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flows out through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인출배관; 상기 인출배관의 타 단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In an embodiment, the circulation passage may include: a lead-ou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Including; filter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thdrawal pipe,

상기 필터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싱; 및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일 측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필터;를 구비하고,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casing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filter having one sid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lter casing,

상기 필터케이싱에는,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과 연통되고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유입배관의 타 단이 연결되는 토출포트; 및 상기 유입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이 연결되는 분기포트;가 형성되고,The filter casing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n in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And a branch port to which the branch pipe branched from the inlet pipe is connected; is formed,

상기 제어부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분기포트가 차단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irculation pump so that the branch port is blocked by wash water.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수가 상기 유입배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유입배관의 출구로 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유입배관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분기포트를 통해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로 전량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uts off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before the wash water flows into the inlet pip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inlet pipe, and the wash water inside the inlet pipe passes through the branch port. The power of the circulation pump may be controlled to be supplied before the entire amount is discharged into the filter casing.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더 포함하고,In an embodiment,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further comprisi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내부의 세탁물의 탈수 시, 상기 에어펌프가 구동되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air pump so that the air pump is driven when laundry inside the drum is spin-dri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n electric heate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in the tub;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wash water from the tub is drawn to the outside and circulated into the tub; a circulation pump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comprising: supplying wash water into the tub; introducing wash water to a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and heating the wash wat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n electric heate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in the tub;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wash water from the tub is drawn to the outside and circulated into the tub; a circulation pump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comprising: supplying wash water into the tub;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introducing wash water to a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heating the wash wat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n electric heate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in the tub;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wash water from the tub is drawn to the outside and circulated into the tub; a circulation pump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comprising: supplying wash water into the tub;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and introducing wash water to a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heating the wash water.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순환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tep of introducing wash water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may include supplying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cutting off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and repeating the steps of supplying power and cutting off the power.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재급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before the step of heating the wash water, the step of sensing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and resupplying wash water into the tub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is less than a preset water level.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In an embodiment, a wate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tub; And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assage; further comprising,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재급수하는 단계는,The step of resupplying wash water into the tub,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후 상기 급수밸브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개방하는 단계; 상기 급수밸브의 차단 후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및 대기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pening the water supply valve for a first preset time after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waiting for a second time longer than the first time after the water supply valve is shut off; and repeating the step of opening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step of waiting.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의 가열단계 후 상기 순환유로의 공기 공급 및 세탁수 유입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fter the step of heating the wash water, the step of stopping the air supply and the inflow of the wash water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가열세탁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In an embodiment, prior to the step of supplying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tub,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ncluding a heating wash mode for heating the wash water; and

상기 가열세탁모드 선택 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heat washing mode is selected,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in the laundry;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의 가열 시 순환펌프 및 에어펌프가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전기히터의 주변의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킬 수 있고 공기의 누설을 억제하여 상승된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irculation pump and the air pump to be driven when the washing water is heated,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around the electric heater can be raised and the air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elevated water level by suppressing the leakage of the

이에 의해, 전기히터의 노출에 기인한 과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전기히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ccurrence of overheating due to exposure of the electric heater can be suppressed, and the life of the electric heater can be extended.

또한, 세탁수의 수위가 상승될 수 있어 세탁수의 수량을 저감할 수 있고 가열 시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level of wash water can be raised, the amount of wash water can be reduced and power consumption during heating can be reduced.

또한, 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탁수의 양이 저감되므로 세탁수의 세제농도가 증가되어 세탁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wash water is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the detergent, the concentration of detergent in the wash water is increased, thereby enhancing the washing effect.

또한, 공기의 누설이 억제되므로 세탁수의 상승된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에어펌프의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leakage of air is suppressed, the increased water level of washing water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thus the capacity of the air pump can be reduced.

이에 의해, 에어펌프의 구동 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en driving the air pum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탁물처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순환유로 및 에어펌프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2의 필터부영역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터브 제거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2의 에어펌프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에어펌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13은 도 2의 전기히터설치영역의 확대도,
도 14는 도 2의 필터부영역의 확대도,
도 15는 도 1의 제어블록도,
도 16은 도 15의 순환펌프의 구동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요부확대도,
도 18은 도 15의 순환펌프의 구동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5의 순환펌프의 다른 구동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side view of Figure 2;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sposition of the circulation passage and the air pump of FIG. 2;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unit area of FIG. 2;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tub of FIG. 6 is removed;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mp of FIG. 2;
Figure 9 is a front view of Figure 8;
10 is a plan view of FIG. 8;
11 and 12 are planar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of FIG. 8;
13 is an enlarged view of the electric heater installation area of FIG. 2;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lter unit area of FIG. 2;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FIG. 1;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pattern of the circulation pump of FIG. 15;
Figure 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16;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iving timing of the circulation pump of FIG. 15;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driving point of the circulation pump of FIG. 15;
2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는,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40); 상기 터브(140)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210); 상기 순환유로(210)에 구비되는 순환펌프(270); 상기 순환유로(210)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290); 및 상기 에어펌프(290)의 구동 시, 상기 순환유로(210) 중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210)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270)를 제어하는 제어부(430);(도 15 참조);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110; a tub 140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0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 circulation passage 210 for drawing wash water from the tub 140 to the outside and circulating it into the tub 140; a circulation pump 270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210; an air pump 290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210; And when the air pump 290 is driven,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270 among the circulation passages 210 so that air leakage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s 210 can be suppressed. A control unit 430 for controlling the pump 270; (see FIG. 15);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캐비닛(1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The cabinet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 캐비닛(110)은, 예를 들면, 베이스(112a), 상기 베이스(112a)의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전면판(112b) 및 후면판(112c), 상기 베이스(112a)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양 측면판(112d), 및 상기 전면판(112b), 후면판(112c) 및 양 측면판(112d)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면판(탑커버)(112e)를 구비할 수 있다.The cabinet 110 includes, for example, a base 112a, a front plate 112b and a rear plate 112c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se 112a, 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112a. It may be provided with both side plates 112d, and a top plate (top cover) 112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12b, the back plate 112c and both side plates 112d.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40)가 구비될 수 있다.A tub 140 accommodating wash wat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0 .

상기 터브(140)는, 예를 들면, 전면에 개구가 구비된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The tub 140 may have, for exampl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ing on the front surface.

상기 터브(140)에는, 예를 들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기공(149)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An exhaust hole 149 may be formed in the tub 140 to allow internal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see FIG. 6 ).

상기 배기공(149)은,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후방 상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exhaust hole 149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n upper rear portion of the tub 140 , for example.

상기 터브(140)는, 예를 들면, 복수의 댐퍼(142) 및 지지브래킷(144)에 의해 상기 베이스(112a)에 대해 이격 지지될 수 있다.The tub 140 may be supported at a distance from the base 112a by, for example, a plurality of dampers 142 and a support bracket 144 .

상기 터브(140)는, 예를 들면, 전방이 상측을 향하게 상향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다.The tub 140, for example, may be supported with an upward slope so that the front faces upward.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는 드럼(160)이 구비될 수 있다.A drum 160 may be provided inside the tub 140 .

상기 드럼(160)은, 예를 들면, 전면에 개구가 구비된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The drum 160 may have, for exampl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ing on the front side.

상기 드럼(160)에는 내외가 연통될 수 있게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holes may be formed in the drum 160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may communicate.

상기 터브(140)의 후방에는, 예를 들면, 상기 드럼(16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65)가 구비될 수 있다. A drive motor 165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drum 160 may be provided behind the tub 140 .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게 도어(115)가 구비될 수 있다.A door 115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110 to allow laundry to enter and exit.

상기 도어(115)의 일 측 하부에는 내,외가 연통될 수 있게 커버(120)가 구비될 수 있다.A cover 12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door 115 so that inside and outside may communicate.

상기 도어(115)의 상부 일 측(예를 들면, 좌측)에는 세제공급장치(125)의 일 부가 외부에 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A par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25 may be installed on one upper side (eg, the left side) of the door 115 so as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상기 도어(115)의 상부 다른 일 측(예를 들면, 우측)에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An operation panel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upper side (for example, the right side) of the door 115 .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상부 후방영역에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물을 급수할 수 있게 급수밸브(135)가 구비될 수 있다. A water supply valve 135 to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tub 140 may be provided at an inner upper rear area of the cabinet 110 .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세제공급장치(125)가 구비될 수 있다.A detergent supply device 125 may be provided at an inner upper region of the cabinet 110 to supply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tub 140 .

한편, 상기 터브(140)의 하부에는, 예를 들면,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게 전기히터(180)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n electric heater 180 may be provided below the tub 140 to heat wash water, for example.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전기히터(180)가 수용될 수 있게 히터수용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A heater accommodating portion 145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ub 140 to accommodate the electric heater 180 , for example.

상기 히터수용부(145)는,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heater accommodating part 145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tub 140 , for example.

상기 전기히터(180)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181)과, 상기 보호관(181)의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체(18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for example, the electric heater 180 may include a protective tube 181 and a heating element 184 provided inside the protective tube 181.

상기 발열체(184)는, 예를 들면, 전원인가 시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전기저항체(니크롬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eating element 184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nichrome wire) that generates heat by electric resistance when power is applied.

상기 보호관(181)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는 직선구간(182a)과, 상기 직선구간(182a)을 연결하는 곡선형의 연결구간부(182b)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otective pipe 181 may include straight sections 182a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curved connection sections 182b connecting the straight sections 182a.

상기 보호관(181)은, 예를 들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protective tube 181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for example.

한편,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재유입되게 순환시키는 순환유로(21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irculation passage 210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ub 140 to circulate wash water from inside the tub 140 to the outside so that it is re-introduced into the tub 140 .

상기 순환유로(210)는, 예를 들면, 일 단이 상기 터브(140)와 연통되는 인출배관(211), 상기 인출배관(211)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필터부(220), 상기 필터부(220)에 연결되는 순환펌프(270) 및 일 단이 상기 순환펌프(270)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터브(140)에 연결되는 유입배관(24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passage 210 includes, for example, an outlet pipe 211 having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 140, a filter unit 22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outlet pipe 211, and the filter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irculation pump 270 connected to 220 and an inlet pipe 24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27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ub 140.

상기 유입배관(245)은,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전방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The inlet pipe 245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tub 140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for exampl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배관(245)은, 상기 터브(140)의 전방에 구비된 가스켓(147)의 상부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nlet pipe 245 may be connected to one upper side of a gasket 147 provided in front of the tub 140 .

상기 필터부(220)의 다른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필터부(220)의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280)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unit 220, for example, a drainage pump 280 for discharging wash water inside the filter unit 220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상기 필터부(220)의 상부 일 측에는 상기 배수펌프(280)의 토출측과 연통되는 배수포트(283)가 형성될 수 있다.A drain port 283 communicating with a discharge side of the drain pump 280 may be formed at one upper side of the filter unit 220 .

상기 배수포트(283)에는 배수관(285)이 구비될 수 있다.A drain pipe 285 may be provided in the drain port 283 .

상기 배수관(285)은, 예를 들면,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The drain pipe 285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10 , for example.

이에 의해, 세탁이 완료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ash water after washing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10 .

한편,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일 측에는 상기 전기히터(180)의 수면 아래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히터(180)의 주변의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에어펌프(290)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n air pump 29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abinet 110 to raise the water level around the electric heater 180 by supplying air under the water surface of the electric heater 180. there i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펌프(290)는 상기 터브(140)의 후방 하측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에어펌프(290)는 상기 터브(140)의 상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air pump 290 is installed at the lower rear of the tub 140 is exemplified, but the air pump 29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tub 140 .

상기 에어펌프(290)는, 예를 들면, 전원 인가 시 구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air pump 290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when power is applied, for example.

상기 에어펌프(290)는, 예를 들면 도 8,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압공간(294), 상기 가압공간(294)의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흡입구(295) 및 토출구(299)를 구비한 펌프바디(291); 상기 펌프바디(29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331); 및 상기 가압부재(331)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295)를 개폐하는 흡입밸브(297); 상기 가압부재(331)의 이동에 의해 상기 토출구(299)를 개폐하는 토출밸브(301); 및 상기 가압부재(331)를 구동시키는 가압부재구동부(340); 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ir pump 29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11 and 12, has a pressurized space 294 therein, and a suction port 295 through which air in the pressurized space 294 is sucked and discharged. and a pump body 291 having a discharge port 299; a pressure member 331 movable inside the pump body 291; and a suction valve 297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295 by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331; a discharge valve 301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299 by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331; and a pressing member driving unit 340 for driving the pressing member 331; It can be configured by providing.

상기 가압부재구동부(340)는, 예를 들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344) 및 상기 코일(344)에 의해 상대 운동 하는 영구자석(346)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member driver 340 may include, for example, a coil 344 that generates magnetic force and a permanent magnet 346 that moves relative to the coil 344 .

상기 에어펌프(290)는,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360)를 구비할 수 있다.The air pump 290 may include, for example, a case 360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상기 케이스(360)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361) 및 하부케이스(371)를 구비할 수 있다.The case 360 may include, for example, an upper case 361 and a lower case 371 coupled vertically, as shown in FIG. 9 .

상기 케이스(360)의 저부에는 상기 케이스(360)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게 복수의 지지부재(362)가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62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ase 360 to support the case 360 at a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상기 지지부재(362)는, 예를 들면, 고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362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rubber member.

이에 의해, 상기 케이스(360)의 진동이 상기 베이스(112a)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Accordingly, transmission of vibration of the case 360 to the base 112a may be suppressed.

상기 하부케이스(371)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case 37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for example.

상기 상부케이스(361)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구비한 하향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case 361 may have, for exampl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and a downward opening.

상기 하부케이스(371)는, 예를 들면, 상기 상부케이스(361)의 하부 개구를 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lower case 371 may be coupled to block the lower opening of the upper case 361, for example.

상기 하부케이스(371)에는, 예를 들면, 상기 에어펌프(290)에 의해 펌핑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부(374)가 형성될 수 있다. An outlet 374 through which air pumped by, for example, the air pump 290 flows out may be formed in the lower case 371 .

상기 유출부(374)에는 일 단이 상기 필터부(220)에 연결된 공기공급관(265)의 타 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65,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part 374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하부케이스(371)의 다른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36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유입부(376)가 형성될 수 있다. An inlet 376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ase 371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case 360 , for example.

상기 케이스(360)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바디(291) 및 가압부재구동부(340)를 지지하는 프레임(381)이 구비될 수 있다.A frame 381 supporting the pump body 291 and the pressing member driver 3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360 .

상기 프레임(381)은, 예를 들면, "U"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The frame 381 may have, for example, a “U” shape.

상기 프레임(381)은, 예를 들면, 저면부(382) 및 상기 저면부(382)의 양 측에서 상향 돌출된 측면부(38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rame 381 may include, for example, a bottom portion 382 and side portions 384 protru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382 .

상기 프레임(381)은, 예를 들면, 상기 하부케이스(371)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될 수 있다.The frame 381 may be supported to be spaced apart from, for example, the lower case 371 .

상기 프레임(381)의 하측에는 복수의 프레임지지부재(387)가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rame support members 387 may be provided below the frame 381 .

상기 프레임지지부재(387)는, 예를 들면, 고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support member 387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rubber member.

이에 의해, 상기 프레임(381)의 진동이 상기 케이스(360)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Accordingly, transmission of vibration of the frame 381 to the case 360 may be suppressed.

상기 프레임(381)에는 상기 펌프바디(291)가 구비될 수 있다.The frame 381 may include the pump body 291 .

상기 펌프바디(291)는, 예를 들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ump body 291 may be configured as a pair, for example.

상기 펌프바디(291)는, 상기 프레임(381)의 양 측면부의 외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The pump body 291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ides of both side parts of the frame 381, respectively.

상기 각 펌프바디(291)의 내부에는 가압공간(29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Pressurized spaces 294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side each of the pump bodies 291 .

상기 각 펌프바디(291)는, 예를 들면, 상호 대면 접촉결합되는 제1펌프바디(292) 및 제2펌프바디(322)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pump bodies 291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pump body 292 and a second pump body 322 coup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펌프바디(292)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공간(294)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urized space 294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pump body 292 .

상기 제1펌프바디(292)에는 상기 가압공간(294)과 연통될 수 있게 흡입구(295) 및 토출구(299)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suction port 295 and a discharge port 299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pump body 292 to communicate with the pressurized space 294 .

상기 흡입구(295)에는 상기 흡입구(295)를 개폐할 수 있게 흡입밸브(297)가 구비될 수 있다.A suction valve 297 may be provided in the inlet 295 to open and close the inlet 295 .

상기 토출구(299)에는 상기 토출구(299)를 개폐할 수 있게 토출밸브(301)가 구비될 수 있다.A discharge valve 301 may be provided in the outlet 299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299 .

상기 흡입밸브(297)는, 상기 가압공간(29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ction valve 297 may be disposed inside the pressurized space 294 .

상기 토출밸브(301)는 상기 가압공간(294)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discharge valve 301 may be provided outside the pressurized space 294 .

상기 제1펌프바디(292)의 외측에는 상기 가압공간(294)과 연통된 공기흡입유로(314) 및 공기토출유로(31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An air suction passage 314 and an air discharge passage 316 communicating with the pressurized space 294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irst pump body 292 , respectively.

상기 제1펌프바디(292)의 외면에는 상기 제1펌프바디(292)와 사이에 상기 공기흡입유로(314) 및 공기토출유로(316)를 형성하는 실링부재(31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A sealing member 312 forming the air suction passage 314 and the air discharge passage 316 between the first pump body 29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ump body 292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

상기 각 제1펌프바디(292)의 상기 공기토출유로(316)에는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게 토출관(305)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A discharge pipe 305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air discharge passages 316 of each of the first pump bodies 292 to move the discharged air.

상기 프레임(381)의 측면부의 각 내측면에는 상기 제2펌프바디(322)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pump body 322 may be coupled to each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of the frame 381 .

상기 각 제2펌프바디(322)는 상기 프레임(381)(측면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펌프바디(292)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Each of the second pump bodies 32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ump body 292 with the frame 381 (side part) therebetween.

상기 제1펌프바디(292)와 상기 제2펌프바디(322) 사이에는 소위 다이아프램(diaphragm)이라고 하는 가압부재(331)(이하, '가압부재(331)'로 표기함)가 구비될 수 있다.Between the first pump body 292 and the second pump body 322, a pressing member 33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essing member 331') called a so-called diaphragm may be provided. there is.

상기 가압부재(331)는, 예를 들면, 원반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331 may have, for example, a disc shape.

상기 가압부재(3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곽부(테두리)는 상기 제1펌프바디(292) 및 제2펌프바디(322)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ressing member 331 , the outer portion (border)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pump body 292 and the second pump body 322 .

이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31)는 중앙영역이 상기 펌프바디(291)에 대해 상대 운동하면서 상기 가압공간(294)의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내부의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surizing member 331 changes the volume of the pressurized space 294 while the central region moves relative to the pump body 291, so that internal air can be sucked in and discharged.

상기 각 가압부재(331)에는 작용로드(351)의 일 단부가 각각 고정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action rod 351 may be fixedly coupled to each of the pressing members 331 .

상기 작용로드(351)는 상기 가압부재(331)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action rod 35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ing members 331 .

상기 작용로드(351)에는, 예를 들면, 영구자석(346)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 permanent magnet 346 may be provided on the working rod 351 .

상기 작용로드(351)에는, 예를 들면, 상기 영구자석(346)이 결합될 수 있게 영구자석결합부(353)가 마련될 수 있다. A permanent magnet coupling part 353 to which the permanent magnet 346 can be coupled may be provided on the working rod 351 , for example.

상기 영구자석(346)의 일 측에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344)이 구비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permanent magnet 346,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a coil 344 generating magnetic force may be provided.

상기 코일(344)은, 예를 들면, 자성체로 된 코어(342)에 미리 설정된 길이 및 턴수로 각각 권회될 수 있다. The coil 344 may be wound around a core 342 made of, for example, a magnetic material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number of turns.

상기 코어(342) 및 코일(344)은,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381)의 저면부(382)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될 수 있다.The core 342 and the coil 344 may be suppor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ortion 382 of the frame 381, for example.

이에 의해, 상기 코일(344)과 상기 프레임(381)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il 344 and the frame 381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또한, 상기 코일(344)의 구동(전원인가) 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프레임(381)으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In addition, transmission of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coil 344 is driven (power is applied) to the frame 381 can be suppressed.

상기 영구자석(346)은, 예를 들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ermanent magnets 346 may be configured in plural, for example.

상기 각 영구자석(346)은,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자극을 구비하게 배열될 수 있다.Each of the permanent magnets 346 may be arranged to have different magnetic poles, for example.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영구자석(346)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코일(344)측이 N극을 구비하게 배치되면 다른 하나는 상기 코일(344)측이 S극이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f one of the permanent magnets 346 is disposed to have an N pole on the coil 344 side, the oth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 pole is disposed on the coil 344 side. .

상기 코일(344)은, 상기 영구자석(346)에 대응되게 복수의 자극부(343)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il 344 may form a plurality of magnetic pole parts 343 corresponding to the permanent magnet 346 .

이에 의해, 상기 코일(344)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과 상기 영구자석(346)의 자기력이 상호 흡인 및 반발하면서 상기 영구자석(346)이 상기 코일(344)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344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346 are mutually attracted and repulsed, and the permanent magnet 346 can move relative to the coil 344 .

한편, 상기 터브(140)의 하부 저부에는, 내부의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게 히터수용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heater accommodating portion 145 may be formed at the lower bottom of the tub 140 to heat wash water therein.

상기 히터수용부(145)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heater accommodating part 145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tub 140 .

상기 히터수용부(145)는 상기 터브(140)의 전방 단부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ater accommodating part 145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tub 140 backward in an axial direction by a preset distance.

상기 히터수용부(145)의 하부에는 인출배관(211)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An outlet pipe 211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heater receiving part 145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인출배관(211)은, 상기 터브(140)에 연결되는 유입단부(213) 및 상기 필터부(220)에 연결되는 유출단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도 6 참조).The outlet pipe 211 may include an inlet end 213 connected to the tub 140 and an outlet end 215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220 (see FIG. 6 ).

상기 인출배관(211)의 유입단부(213)는 상향 돌출되고, 상기 유출단부(215)는 상기 베이스(112a)의 전방 일 모서리(예를 들면, 우측 모서리)을 향해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inlet end 213 of the outlet pipe 211 protrudes upward, and the outlet end 215 may be disposed to extend toward one front corner (eg, right corner) of the base 112a.

상기 필터부(220)는,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싱(221), 및 상기 필터케이싱(221)에 분리 가능하게 일 측이 삽입되는 필터(23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22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lter casing 221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filter 231 having one sid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lter casing 221. can

상기 필터(231)는, 예를 들면,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된 복수의 관통공(233)을 구비할 수 있다. The filter 231 may include, for exampl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33 through which washing water passes.

상기 필터케이싱(221)은,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112a)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casing 221 may be dispos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base 112a, for example.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후방단부는 상기 인출배관(211)의 유출단부(215)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filter casing 221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end 215 of the outlet pipe 211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전방 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An opening may b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filter casing 221 .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개구의 일 측에는 일 단이 상기 에어펌프(290)에 연결된 공기공급관(265)의 타 단이 연결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65,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pump 29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filter casing 221.

이에 의해, 상기 에어펌프(290)에서 공급된 공기가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Accordingly, air supplied from the air pump 290 may flow into the filter casing 221 .

상기 필터케이싱(221)에는 상기 공기공급관(265)이 연결될 수 있게 연결부(261)가 형성될 수 있다.A connection part 261 to which the air supply pipe 265 can be connected may be formed in the filter casing 221 .

상기 연결부(261)는, 예를 들면,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개구의 후방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261 may be formed, for example, at a rear lower side of the opening of the filter casing 221 .

상기 필터케이싱(221)에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필터(23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The filter 231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lter casing 221 through the opening.

상기 필터케이싱(221)에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토출측과 연통되고 상기 유입배관(245)이 연결되는 토출포트(241)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casing 221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241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270 and connected to the inlet pipe 245 .

상기 토출포트(241)의 일 측에는 상기 유입배관(245)에서 분기된 분기관(255)이 접속되는 분기포트(251)가 구비될 수 있다. A branch port 251 to which a branch pipe 255 branched from the inlet pipe 245 is connected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241 .

상기 유입배관(245)에는,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255)이 접속될 수 있게 분기유닛(247)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a branch unit 247 to which the branch pipe 255 can be connected may be provided in the inflow pipe 245 .

상기 분기유닛(247)은, 예를 들면, "T" 또는 "Y"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ranch unit 247 may be configured in a “T” or “Y” shape, for example.

상기 분기유닛(247)의 양 단부에는 2부분으로 분리된 유입배관(245)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An inlet pipe 245 separated into two parts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ranch unit 247, respectively.

상기 분기유닛(247)의 분기측 단부에는 상기 분기관(255)의 일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branch pipe 255 may be coupled to a branch side end of the branch unit 247 .

한편, 본 실시예의 세탁물처리장치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4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ler 430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with a control program.

상기 제어부(430)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435)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 mode selection unit 435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driving modes, for example,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30 .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세탁수를 가열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세탁을 수행하는 가열세탁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ting wash mode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is raised by heating the wash water in the tub 140 and then washing is performed.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가열세탁모드 선택 시, 상기 순환펌프(270) 및 에어펌프(290)가 각각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3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irculation pump 270 and the air pump 290 to be driven respectively when the heat washing mode is selected.

상기 제어부(430)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펌프(270)를 미리 설정된 구동패턴으로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의 공급(on) 및 차단(off)을 교호적으로 반복되게 상기 순환펌프(270)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30 alternates supplying (on) and shutting off (off) the power of the circulation pump 270 according to a preset driving pattern.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irculation pump 270 repeatedly in an arc.

상기 순환펌프(270)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공급(on) 시간(t1)은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체 운전 시간(t)의 60% 내지 66%로 설정되고,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차단(off) 시간(t2)은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체 운전 시간(t)의 34% 내지 40%로 설정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pump 27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the power supply (on) time t1 of the circulation pump 270 is the total operating time t of the circulation pump 270 It is set to 60% to 66%, and the power off time (t2) of the circulation pump 270 may be set to 34% to 40% of the total operating time (t) of the circulation pump 27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공급 시간은 63%이고,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차단 시간은 37%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순환유로(210)의 구조 및/또는 상기 공기공급유로의 구조, 상기 순환펌프(270)의 용량, 상기 에어펌프(290)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supply time of the circulation pump 270 is 63% and the power cut-off time of the circulation pump 270 is set to 37%,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circulation passage It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of 210 and/or the structure of the air supply passage, the capacity of the circulation pump 270, and the capacity of the air pump 290.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체운전시간(t)이 1초인 경우를 예를 들면,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공급시간(구동시간)(t1)은 0.63초이고,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차단시간(t2)은 0.37초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otal operating time (t) of the circulation pump 270 is 1 second,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time (driving time) (t1) of the circulation pump 270 is 0.63 seconds, and the power cut-off time t2 of the circulation pump 270 may be 0.37 seconds.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전기히터(180)의 가열 시, 상기 순환유로(210) 중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의 내부에 세탁수가 유입되고, 상기 순환유로(210)의 출구로 세탁수가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순환펌프(270)의 토출측을 통해 상기 필터부(220)(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전량이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반복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electric heater 180 is heated, the control unit 430 controls that wash wa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270 among the circulation passages 210 and exits the circulation passages 210. Before wash water flows out,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270 is cut off, and wash water inside the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270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270 to the filter unit 220 (filter casing). 221) may be configured to be repeatedly controlled so that the power of the circulation pump 270 is supplied before the entire amount is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세탁수가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유입배관(245)의 출구로 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분기관(255)이 접속된 분기포트(251)를 통해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전량 배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30 cuts off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270 before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inlet pipe 245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inlet pipe 245, Power is supplied to the circulation pump 270 before the wash water inside the inlet pipe 245 is completely discharged into the filter casing 221 through the branch port 251 to which the branch pipe 255 is connected.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전기히터(180)의 작동 전에 상기 에어펌프(290) 및 순환펌프(270)가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43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air pump 290 and the circulation pump 270 to be driven before the electric heater 180 operates.

상기 제어부(430)는,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펌프(290)의 구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 for example, the controller 43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irculation pump 270 to be driven before the air pump 290 is driven.

상기 순환펌프(270)는, 예를 들면, 상기 에어펌프(290)의 구동 전에 미리 설정된 시간(T1) 앞선 시점에 구동되게 제어될 수 있다. The circulation pump 27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at a time ahead of a preset time T1 before driving the air pump 290, for example.

또한, 상기 제어부(430)는,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펌프(290)의 구동 직 후에 상기 순환펌프(27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Also, as shown in FIG. 19 , for example, the controller 43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irculation pump 270 to be driven immediately after the air pump 290 is drive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펌프(270)는 상기 에어펌프(290)가 구동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T2) 경과된 시점에 구동되게 제어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irculation pump 27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when a preset time T2 elapses after the air pump 290 is driven.

이는 상기 공기공급관(265)의 길이가 길어 상기 에어펌프(290)의 구동 후 공기가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주입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air supply pipe 265 is long, so that the air injected into the filter casing 221 takes into account the time for air to be injected into the filter casing 221 after the air pump 290 is driven. This is to enable the circulation pump 270 to be driven before leakage occurs.

이에 의해, 상기 순환펌프(270)의 구동 시점을 늦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by delaying the driving timing of the circulation pump 270 .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가열세탁모드 선택 시, 상기 전기히터(180)와 접촉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된 세탁수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재급수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heating washing mode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430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ic heater 180, and if the detected washing water level is less than the set water level, the washing water level is stored inside the tub 140. It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control that watering is performed.

상기 제어부(430)에는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135)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 water supply valve 13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assage may be controllab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30 .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에어펌프(290) 구동 후,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재급수하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135)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 동안 개방하고, 상기 급수밸브(135)의 차단 후 상기 제1시간에 비해 큰 제2시간 동안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When resupplying water into the tub 140 after the air pump 290 is driven, the control unit 430 opens the water supply valve 135 for a first preset time, and the water supply valve 135 ) After blocking, it may be configured to repeatedly control the process of waiting for a second time greater than the first time.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재급수 시, 상기 급수밸브(135)를 0.5초 동안 개방하고 5초 동안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설정된 수위(예를 들면 히터보호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게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resupplying water into the tub 140, the control unit 430 repeats a process of opening the water supply valve 135 for 0.5 seconds and waiting for 5 seconds to set the water level (eg,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repeatedly until reaching the heater protection level).

이에 의해, 상기 에어펌프(290)에 의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세탁수의 수면의 출렁거림에 의한 오감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false senses caused by the sloshing of the wat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by the air injected by the air pump 290 .

상기 제어부(430)에는, 가열된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44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 temperature sensing unit 44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washing water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30 .

상기 제어부(430)에는 상기 전기히터(180)와 접촉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445)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ler 43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445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washing wat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ic heater 180 .

상기 제어부(430)에는, 상기 가열세탁모드 선택 시, 상기 드럼(160)의 내부의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부(45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3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laundry quantity detecting unit 450 for detecting the laundry quantity inside the drum 160 when the heat washing mode is selected.

상기 제어부(430)에는 상기 드럼(16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65)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 drive motor 165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drum 160 may be controllab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30 .

상기 제어부(430)에는 상기 전기히터(180), 상기 순환펌프(270) 및 에어펌프(290)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electric heater 180, the circulation pump 270, and the air pump 290 may be respectively controllab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30.

이하,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2 .

상기 모드선택부(435)에 의해 운전모드가 선택되면(S11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가열세탁모드의 선택여부를 확인한다(S120).When the operation mode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or 435 (S110), the control unit 430 checks whether the hot washing mode is selected (S12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가열세탁모드가 선택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모드선택부(435)에 의해 선택된 해당 모드가 진행되게 할 수 있다. When the heat washing mode is not selected, the control unit 430 may allow the corresponding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435 to proceed.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가열세탁모드가 선택되었으면(S120), 상기 포량감지부(450)에 의해 상기 드럼(160)의 내부의 세탁물의 포량이 감지되도록 한다(S130).When the heat wash mode is selected (S120), the control unit 430 allows the laundry amount detecting unit 450 to detect the amount of laundry inside the drum 160 (S130).

상기 제어부(430)는 감지된 포량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밸브(135)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양의 세탁수가 급수되게 할 수 있다(S140).The control unit 430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135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laundry to supply a preset amount of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tub 140 (S14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수위감지부(445)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고(S150), 미리 설정된 수윙 도달하면 상기 구동모터(165)를 제어하여 포고름을 실시한다(S160).The control unit 430 detects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140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445 (S150), and controls the driving motor 165 to perform pogorum when a preset swing is reached. (S160).

포고름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온(on) 및 오프(off)되게 제어할 수 있다(S170).When the form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430 can control the power of the circulation pump 270 to be turned on and off in a preset pattern (S170).

상기 순환펌프(270)에 전원이 공급(on)되면,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의 물은 상기 토출포트(241)를 통해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될 수 있다.When power is supplied (on) to the circulation pump 270, water inside the filter casing 221 may flow into the inside of the inlet pipe 245 through the discharge port 241 and rise.

상기 제어부(430)는 미리 설정된 구동 패턴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의 세탁수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분기포트(251)를 통해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430 cuts off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270 according to a preset driving pattern, wash water inside the inlet pipe 245 descends by gravity and passes through the branch port 251. It may flow into the inside of the filter casing 221 .

상기 제어부(430)는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270)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순환펌프(270)가 재가동되어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로 세탁수가 다시 유입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430 re-supplies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270 according to a preset pattern, the circulation pump 270 is restarted so that wash water can flow into the inflow pipe 245 again.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을 미리 설정된 구동 패턴에 따라 온 및 오프되게 교호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항상 존재하게 되어 상기 유입배관(245)을 통해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430 alternately controls the power of the circulation pump 270 to be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a preset driving pattern, so that washing water is always present inside the inlet pipe 245, so that the inlet pipe ( 245), leakage of air inside the filter casing 221 to the outsid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한편,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가 구동(on)되면 상기 순환유로(21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290)를 구동(on)되게 제어할 수 있다(S180).Meanwhile, the controller 430 may control the air pump 290 to be turned on so that air can be injected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210 when the circulation pump 270 is turned on. Yes (S18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에어펌프(290)가 구동되면 상기 수위감지부(445)를 통해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S190).When the air pump 290 is driven, the control unit 430 can detect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140 through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445 (S190).

상기 수위감지부(445)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설정수위(예를 들면 히터보호수위) 미만이면(S20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급수밸브(135)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재급수가 될 수 있도록 한다(S205).When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445 is less than a set water level (eg, heater protection water level) (S200), the control unit 430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135 to It allows resupply to the inside (S205).

상기 제어부(430)는, 재급수 시, 상기 급수밸브(135)를 상기 제1시간( 예를 들면 0.5초) 동안 개방하고, 상기 급수밸브(135)의 차단 후 제2시간(예를 들면, 5초) 동안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제어할 수 있다. When resupplying water, the control unit 430 opens the water supply valve 135 for the first time (for example, 0.5 seconds), and opens the water supply valve 135 for a second time (for example, 5 seconds) can be controlled to repeat the waiting process.

상기 제어부(430)는 감지된 수위가 상기 설정수위에 도달하면(S200), 상기 세탁수가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히터(180)에 전원이 인가되게 제어할 수 있다(S210).When the detected water level reaches the set water level (S200), the control unit 430 may control power to be applied to the electric heater 180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heated (S21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온도감지부(440)를 통해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S220). The controller 430 may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440 (S220).

상기 제어부(430)는 감지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에 도달하면(S230), 상기 에어펌프(290) 및 순환펌프(270)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펌프(290) 및 순환펌프(270)의 동작이 중지되게 할 수 있다(S240).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reaches a preset set temperature (S230), the controller 430 controls the air pump 290 and the circulation pump 270 so that the air pump 290 and the circulation pump 270 are operated. It can be stopped (S24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에어펌프(290) 및 상기 순환펌프(270)의 동작이 각각 중지되면 후속 행정이 진행되게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30 may allow subsequent strokes to proceed when the operations of the air pump 290 and the circulation pump 270 are respectively stopp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S140); 상기 순환유로(210)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S165); 상기 순환유로(210) 중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S175);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21, the step of supplying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tub 140 (S140);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210 (S165); introducing wash water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270 in the circulation passage 210 (S175); and heating the wash water (S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전기히터(180)의 작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를 먼저 구동시켜 상기 순환유로(210)에 공기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430 may first drive the circulation pump 270 to supply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210 before operating the electric heater 180 .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구동 후에 상기 순환유로(210) 중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에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270)를 구동시킬 수 있다.After the circulation pump 270 is driven, the control unit 430 may drive the circulation pump 270 so that washing water flows into a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270 in the circulation passage 210 .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구동 후에는, 미리 설정된 구동 패턴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공급을 차단(off) 및 공급(on)이 교호적으로 발생되게 제어할 수 있다.After driving the circulation pump 270, the controller 43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circulation pump 270 to be turned off and supplied alternately according to a preset driving pattern. can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S140); 상기 순환유로(210)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순환유로(210) 중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S185);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2, includes supplying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tub 140 (S140);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210 and introducing wash water to a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270 in the circulation passage 210 (S185); and heating the washing water (S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전기히터(180) 작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 및 에어펌프(290)를 동시에 구동되게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30 may simultaneously operate the circulation pump 270 and the air pump 290 before operating the electric heater 180 .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구동 후, 미리 설정된 구동 패턴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공급을 차단(off) 및 공급(on)이 교호적으로 발생되게 제어할 수 있다.After driving the circulation pump 270, the control unit 43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circulation pump 270 to be turned off and supplied alternately according to a preset driving pattern. can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conten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even if the embodiments are not listed one by on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above, they should be widely interpret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vered by the appended claims.

110: 캐비닛 115 : 도어
120: 커버 125: 세제공급장치
130: 조작패널 135: 급수밸브
140: 터브 145: 히터수용부
149: 배기공 160: 드럼
180: 전기히터 210: 순환유로
211: 인출배관 220 : 필터부
221: 필터케이싱 231: 필터
241: 토출포트 245: 유입배관
251: 분기포트 255: 분기관
261: 연결부 265 : 공기공급관
270: 순환펌프 280: 배수펌프
283 : 배수포트 285: 배수관
290 : 에어펌프 291: 펌프바디
294: 가압공간 295: 흡입구
297: 흡입밸브 299: 토출구
301 : 토출밸브 331 : 가압부재
340 : 가압부재구동부 342: 코어
344: 코일 346: 영구자석
351: 작용로드 360: 케이스
361: 상부케이스 371: 하부케이스
372: 공기유로 374: 유출부
376: 유입부 381: 프레임
430: 제어부 435: 모드선택부
440: 온도감지부 445: 수위감지부
450 : 포량감지부
110: cabinet 115: door
120: cover 125: detergent supply device
130: operation panel 135: water supply valve
140: tub 145: heater receiving unit
149: exhaust hole 160: drum
180: electric heater 210: circulation flow path
211: withdrawal pipe 220: filter unit
221: filter casing 231: filter
241: discharge port 245: inlet pipe
251: branch port 255: branch pipe
261: connection part 265: air supply pipe
270: circulation pump 280: drainage pump
283: drain port 285: drain pipe
290: air pump 291: pump body
294: pressurized space 295: inlet
297: suction valve 299: discharge port
301: discharge valve 331: pressing member
340: pressing member driving unit 342: core
344: coil 346: permanent magnet
351 action rod 360 case
361: upper case 371: lower case
372: air flow path 374: outlet
376: inlet 381: frame
430: control unit 435: mode selection unit
440: temperature sensing unit 445: water level sensing unit
450: linen detection unit

Claims (2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시, 상기 순환유로중에서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 영역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로는,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인출배관; 상기 인출배관의 타 단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싱; 및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일 측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케이싱에는,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과 연통되고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유입배관의 타 단이 연결되는 토출포트; 및 상기 유입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이 연결되는 분기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분기포트가 차단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세탁물처리장치.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wash water from the tub is drawn to the outside and circulated into the tub;
a circulation pump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and
When the air pump is driven, a control unit controls the circulation pump to supply washing water to a region downstream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so as to suppress air leakage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The circulation flow path may include a lead-ou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Including; filter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thdrawal pipe,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casing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filter having one sid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lter casing,
The filter casing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n in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And a branch port to which the branch pipe branched from the inlet pipe is connected; is form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irculation pump so that the branch port is blocked by wash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는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에어펌프 및 상기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 heater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is provided in the tub,
The control unit drives the air pump and the circulation pump when the electric heater heats the laundr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drives the circulation pump before driving the air pum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펌프를 미리 설정된 구동패턴으로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의 공급(on) 및 차단(off)을 교호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lternately repeats supplying (on) and shutting off (off) power of the circulation pump in a preset driving patter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후, 상기 전기히터와 접촉된 세탁수의 수위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는, 확인된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가 급수될 수 있게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tub and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assage;
After the air pump is driven, the control unit checks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in contact with the electric heat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to supply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tub when the level of the confirmed wash water is lower than a preset water leve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시간에 비해 큰 제2시간동안 대기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unit opens the water supply valve for a first preset time until the preset water level is reached, and repeats waiting for a second time larger than the first time.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순환유로중에서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 영역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로는,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인출배관; 상기 인출배관의 타 단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싱; 및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일 측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케이싱에는,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과 연통되고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유입배관의 타 단이 연결되는 토출포트; 및 상기 유입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이 연결되는 분기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분기포트가 차단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세탁물처리장치.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n electric heate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in the tub;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wash water from the tub is drawn to the outside and circulated into the tub;
a circulation pump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and
When the electric heater is heated, the air pump is controlled so that air can be supplied to the circulation passage, and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a region downstream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to suppress air leakage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Includ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irculation pump so as to be
The circulation flow path may include a lead-ou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Including; filter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thdrawal pipe,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casing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filter having one sid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lter casing,
The filter casing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n in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And a branch port to which the branch pipe branched from the inlet pipe is connected; is form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irculation pump so that the branch port is blocked by wash wa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종료 시, 상기 에어펌프 및 순환펌프의 구동이 중지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and the circulation pump to be stopped when the heating of the electric heater is finish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가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irculation pump to be driven before the air pump is drive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의 내부에 세탁수가 유입되고, 상기 순환유로의 출구로 세탁수가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을 통해 전량이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controller cuts off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before wash wa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before wash water flows out to the outlet of the circulation passage, and the insid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by repeatedly controlling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before the entire amount of wash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수가 상기 유입배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유입배관의 출구로 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유입배관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분기포트를 통해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로 전량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7,
The control unit cuts off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before the wash water flows into the inlet pip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inlet pipe, and the wash water inside the inlet pipe passes through the branch port to the inside of the filter casin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o that the power of the circulation pump can be supplied before the entire amount is discharged to the.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내부의 세탁물의 탈수 시, 상기 에어펌프가 구동되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7,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further compris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 pump to operate the air pump when the laundry inside the drum is spin-dried.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유로는,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인출배관; 상기 인출배관의 타 단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싱; 및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일 측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케이싱에는,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과 연통되고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유입배관의 타 단이 연결되는 토출포트; 및 상기 유입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이 연결되는 분기포트;가 형성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중에서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 영역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n electric heate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in the tub;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wash water from the tub is drawn to the outside and circulated into the tub; a circulation pump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wherein the circulation passage includes: a lead-ou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Including; filter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thdrawal pipe,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casing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filter having one sid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lter casing,
The filter casing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n in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And a branch port to which branch pipes branched from the inlet pipe are connect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med,
supplying wash water into the tub;
introducing washing water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supplying air to a region downstream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 of heating the washing water.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유로는,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인출배관; 상기 인출배관의 타 단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싱; 및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일 측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케이싱에는,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과 연통되고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유입배관의 타 단이 연결되는 토출포트; 및 상기 유입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이 연결되는 분기포트;가 형성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중에서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 영역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n electric heate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in the tub;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wash water from the tub is drawn to the outside and circulated into the tub; a circulation pump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wherein the circulation passage includes: a lead-ou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Including; filter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thdrawal pipe,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casing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filter having one sid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lter casing,
The filter casing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n in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And a branch port to which branch pipes branched from the inlet pipe are connect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med,
supplying wash water into the tub;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introducing wash water into an area downstream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 of heating the washing water.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유로는,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인출배관; 상기 인출배관의 타 단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싱; 및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일 측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케이싱에는,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과 연통되고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유입배관의 타 단이 연결되는 토출포트; 및 상기 유입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이 연결되는 분기포트;가 형성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순환유로중에서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 영역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wash water; an electric heate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in the tub;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wash water from the tub is drawn to the outside and circulated into the tub; a circulation pump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n air pump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wherein the circulation passage includes: a lead-ou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Including; filter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thdrawal pipe,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casing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filter having one sid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lter casing,
The filter casing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n in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circulation pump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ub; And a branch port to which branch pipes branched from the inlet pipe are connect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med,
supplying wash water into the tub;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and introducing wash water into a region downstream of the circulation pump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 of heating the washing water.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순환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The step of introducing washing water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may include supplying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cutting off power to the circulation pump; and repeating the steps of supplying power and cutting off the power.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재급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Sensing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before the step of heating the wash water; and resupplying wash water into the tub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is less than a preset water leve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재급수하는 단계는,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후 상기 급수밸브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개방하는 단계; 상기 급수밸브의 차단 후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및 대기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8,
a water supply passage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tub; And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assag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supplying wash water into the tub,
opening the water supply valve for a first preset time after supplying air to the circulation passage; waiting for a second time longer than the first time after the water supply valve is shut off; and repeating the step of opening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step of waiting.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의 가열단계 후 상기 순환유로의 공기 공급 및 세탁수 유입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pping the supply of air and the inflow of wash water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after the step of heating the washing water.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가열세탁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세탁모드의 선택 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ncluding a heat washing mode for heating the wash water before the step of supplying wash water to the inside of the tub;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when the heat washing mode is selected.
KR1020160027855A 2016-03-08 2016-03-08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93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55A KR102493891B1 (en) 2016-03-08 2016-03-08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763539.8A EP3428338B1 (en) 2016-03-08 2017-03-07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7/002443 WO2017155278A1 (en) 2016-03-08 2017-03-07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55A KR102493891B1 (en) 2016-03-08 2016-03-08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75A KR20170104875A (en) 2017-09-18
KR102493891B1 true KR102493891B1 (en) 2023-01-31

Family

ID=6003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855A KR102493891B1 (en) 2016-03-08 2016-03-08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8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690A (en) * 2018-08-23 202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547A (en) * 2009-01-30 2010-08-12 Toshiba Corp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04514122A (en) * 2013-09-27 2015-04-15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Flocculation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602B1 (en) 2005-08-23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water circulating pump of a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KR100792075B1 (en) 2006-03-07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for heating water in a washer
KR101184457B1 (en) * 2007-09-07 2012-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547A (en) * 2009-01-30 2010-08-12 Toshiba Corp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04514122A (en) * 2013-09-27 2015-04-15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Flocculation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75A (en) 201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022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ing agent thereof
KR20180013535A (en) Washing drying machine having heat pump and drying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191077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075065B2 (en) Washing machine
KR102303656B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thereof
JP2008110002A (en)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KR10249389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052632A (en) Control method of drum washing machine
JP6135979B2 (en) Washing machine
KR10250068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428338B1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49147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252200B1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TWI479063B (en) Drum washing machine
WO2014103135A1 (en) Washing machine
JP6135977B2 (en) Washing machine
KR20180067594A (en) Laundry Dryer
WO2024051153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JP6004336B2 (en) Washing machine
CN218474584U (en) Cleaning machine
JP2010082344A (en) Washing drying machine
KR100803126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KR100733308B1 (en) Drum washing machine
JP6168442B2 (en) Washing machine
JP2023043482A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