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308B1 - Drum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Drum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308B1
KR100733308B1 KR1020050028485A KR20050028485A KR100733308B1 KR 100733308 B1 KR100733308 B1 KR 100733308B1 KR 1020050028485 A KR1020050028485 A KR 1020050028485A KR 20050028485 A KR20050028485 A KR 20050028485A KR 100733308 B1 KR100733308 B1 KR 10073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ub
washing machine
foam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6072A (en
Inventor
홍경섭
정인철
박대윤
홍석기
오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308B1/en
Publication of KR20060106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0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거품과 접촉되는 3개의 센서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3개의 센서 중 두 개의 센서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전압차에 따라 거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터브의 내부 전체에 거품이 가득차기전에 거품 발생여부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하여 거품의 과도한 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ee sensors contacting the foam are respectively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ar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foam is generated according to a signal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wo sensors among the three sensor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excessive generation of bubbles in advance by detecting whether the bubble is generated more quickly before the bubble is filled in the entire inside of the tub.

세탁기, 드럼, 터브, 거품, 센서, 단자, 건조, 응축, 배기 Washing Machine, Drum, Tub, Foam, Sensor, Terminals, Drying, Condensation, Exhaust

Description

드럼 세탁기{Drum washing machine}Drum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내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정단면도,1 is a front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1,81,101: 터브 52,82,102: 드럼51,81,101: Tub 52,82,102: Drum

53,83,103: 모터 54: 베이스팬53,83,103: Motor 54: Base fan

55: 캐비닛 본체 56: 캐비닛 커버55: cabinet body 56: cabinet cover

57: 탑 플레이트 58,88: 포 출입홀57: top plate 58,88: gun entrance hall

59,89,109: 도어 60: 급수장치59,89,109: Door 60: Water supply

61: 급수호스 62: 급수밸브61: water supply hose 62: water supply valve

63: 세제통 64: 급수 벨로우즈63: detergent container 64: water supply bellows

65: 급수구 66: 배수장치65: water inlet 66: drainage

67: 배수 벨로우즈 68: 배수펌프67: drain bellows 68: drain pump

69: 배수호스 70: 공기홀부69: drain hose 70: air hole

71,91,111: 제 1센서 72,92,112: 제 2센서71,91,111: first sensor 72,92,112: second sensor

73,93,113: 제 3센서 80,100: 캐비닛73,93,113: third sensor 80,100: cabinet

84,104: 순환팬 85,105: 건조용 히터84,104: circulation fan 85,105: drying heater

86,106: 건조덕트 87: 응축덕트86,106: drying duct 87: condensation duct

90,110: 개스킷 94: 냉각수 공급장치90,110: Gasket 94: Cooling water supply

107: 배기덕트 108: 필터107: exhaust duct 108: filter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품과 접촉되는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하고, 상기 3개의 센서 중 2개의 센서 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전압차에 따라 거품 발생여부가 판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터브 내부에 거품이 가득차기 전에 거품 발생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m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by mounting the three sensors in contact with the foam in different positions, and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foam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ignal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wo of the three senso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m washing machine capable of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fore bubbles are filled in the tub.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가 용해된 물 또는 깨끗한 물(이하, '세탁수'라 칭함)의 작용을 이용하여 의류나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어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nts on clothing or bedd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 by using a detergent-dissolved water or clean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shing water').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내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1 is a front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 내부에 장착되어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4)와, 상기 터브(4)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포가 수용되는 드럼(6)과, 상기 드럼(6)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rotatable inside the cabinet 2, a tub 4 mounted inside the cabinet 2 to contain wash water, and a tub 4. It comprises a drum (6) is disposed so as to accommodate the cloth, and a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drum (6).

상기 터브(4)에는 외부에서 급수되는 세탁수를 상기 터브(4)내로 공급하는 급수장치(8)와, 상기 터브(4)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10)가 연결된다. The tub 4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device 8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tub 4, and a drainage device 10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tub 4 to the outside. .

상기 배수장치(10)는 상기 터브(4)의 하부에 연결된 배수호스(11)와, 상기 배수호스(11)에 연결된 배수펌프(12)로 이루어진다. The drainage device 10 includes a drain hose 11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tub 4 and a drain pump 12 connected to the drain hose 11.

한편, 상기 드럼세탁기는 상기 터브(4)내로 급수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압력센서(14)와, 상기 배수호스(11)의 측면에 형성된 압력챔버(16)와, 상기 압력센서(14)로 세탁수의 수압을 전달해주도록 상기 압력센서(14)와 압력챔버(16)사이를 연결하는 수압전달부(18)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rum washing machine is a pressure sensor 14 installed to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supplied into the tub 4, the pressure chamber 16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in hose 11, and the pressure sensor ( 14) further comprises a hydraulic pressure transmission unit 18 for connecting between the pressure sensor 14 and the pressure chamber 16 to deliver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wash wa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거품 감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foam detection method of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상기 드럼 세탁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급수장치(8)를 통해 상기 터브(4)내로 세탁수가 유입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drum washing machin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tub 4 through the water supply device 8.

이 때, 상기 터브(4) 내에 세탁수가 차게 되면, 상기 압력챔버(16)에 압력이 형성되고,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압력챔버(16)내의 압력이 변화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wash water is filled in the tub 4, pressure is formed in the pressure chamber 16, and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16 chan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sh water.

따라서, 상기 압력센서(14)는 상기 수압전달부(18)를 통해 상기 압력챔버(16)내의 압력변화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럼세탁기의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세탁수의 수위를 판단하게 된다. Therefore, the pressure sensor 14 detects the pressure change in the pressure chamber 16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transmitting unit 18,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drum washing machine determines the level of the wash water. do.

한편, 세탁시에 세제의 과다사용 등으로 인해 상기 터브(4) 내에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면, 상기 터브(4)내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excessive foaming occurs in the tub 4 due to excessive use of detergent during washing, the pressure in the tub 4 rises above a certain value.

즉, 세탁수의 수압과 거품의 압력이 더해져서 거품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보다 압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압력센서(14)에서 감지된 값의 변화에 따라 거품의 과다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pressure of the foam is added to increase the pressure than the case in which no foam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oam is excessiv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alu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14. do.

따라서, 거품이 과다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배수와 급수 등이 반복되는 거품 제거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excessive bubbles are generated, a bubble removing stroke in which drainage and water supply are repeated is perform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상기 터브(4)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 상승해야만 거품의 과다발생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드럼(6)내부에 이미 거품이 가득찬 후에야 감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거품 제거행정이 길어지게 되므로 세탁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부품의 부식이나 누전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의 위험을 신속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excessive generation of bubbles only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tub 4 rise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so that the drum washing machine can detect the bubbles only after the bubbles are already filled. As a result, the defoaming stroke becomes long,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much time and money to be wash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sk of fire due to corrosion or short circuit of the surrounding parts cannot be prevented quickl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거품 발생여부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불필요한 세탁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um washing machine that can reduce the unnecessary washing time and costs by more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ing the generation of bubble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드럼과, 상기 터브내로 급수된 세탁수 또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측 하부에 장착된 제 1센서와, 상기 터브의 내부 일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센서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제 1센서와의 사이에 거품이 발생되면 상기 제 1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센서와, 상기 터브의 내부 타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센서보다 높고 상기 제 2센서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제 1센서와의 사이에 거품이 발생되면 상기 제 1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센서와, 상기 제 1센서와 제 2센서사이 또는 상기 제 1센서와 제 3센서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전압차에 따라 거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 first sensor mount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tub to be in contact with the drum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tub, the wash water or foamed water in the tub and A second sensor which is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so as to contact the foam filling the inner side of the tub,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when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It is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ns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oam filling the other side of the tub,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when foam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according to a signal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third sensor and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or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third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a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지지된 터브(51)와, 상기 터브(5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드럼(52)과, 상기 드럼(52)을 구동시키는 모터(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cabinet, a tub 51 supported in the interior of the cabinet, and rotatably inside the tub 51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drum 52 arrange | positioned and the motor 53 which drives the said drum 52.

상기 캐비닛은 베이스 팬(54)과, 상기 베이스 팬(54)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 본체(55)와, 상기 캐비닛 본체(55)의 전면에 설치된 캐비닛 커버(56)와, 상기 캐비닛 본체(55)와 캐비닛 커버(56)의 상면에 설치된 탑 플레이트(57)로 구성된다. The cabinet includes a base fan 54, a cabinet main body 55 provided above the base fan 54, a cabinet cover 56 provided in front of the cabinet main body 55, and the cabinet main body 55. It consists of the top plate 57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cover 56. As shown in FIG.

상기 캐비닛 커버(56)에는 포(m)가 출입되는 포 출입홀(58)이 형성되고, 상기 포 출입홀(58)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59)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cabinet cover 56 has a fabric access hole 58 through which the fabric m enters and is formed, and a door 5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abric access hole 58 is rotatably mounted.

상기 터브(51)에는 외부에서 급수되는 세탁수를 상기 터브(51)내로 공급하는 급수장치(60)와, 상기 터브(51)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66)가 연결된다. The tub 51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device 60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tub 51, and a drainage device 66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tub 51 to the outside. .

상기 급수장치(60)는 외부로부터 세탁수가 급수되는 급수호스(61)와, 상기 급수호스(61)상에 장착되어 급수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62)와, 상기 급수호스(61)에 안내된 세탁수가 통과하는 세제통(63)과, 상기 세제통(63)을 통과한 세탁수를 상기 터브(51)로 안내하는 급수 벨로우즈(64)로 구성된다. The water supply device 60 is a water supply hose 61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from the outside, a water supply valve 62 for intermitting the wash water mounted on the water supply hose 61 and the water supply hose 61. And a water supply bellows 64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washing water tub 63 and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washing water tub 63 to the tub 51.

상기 급수 벨로우즈(64)는 상기 터브(5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급수구(65)에 연통되게 장착된다. The water supply bellows 64 is mounted in communication with a water supply port 65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tub 51.

상기 배수장치(66)는 상기 터브(51)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51) 내의 세탁수를 안내하는 배수 벨로우즈(67)와, 상기 배수 벨로우즈(67)에 안내된 세탁수를 펌핑시키는 배수펌프(68)와, 상기 배수펌프(68)에서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 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69)로 구성된다. The drainage device 66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tub 51 to drain the bellows 67 for guiding the wash water in the tub 51 and to drain the pumped wash water guided to the drain bellows 67. A pump 68 and a drain hose 69 for guiding the wash water pumped from the drain pump 68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한편, 상기 드럼 세탁기는 상기 터브(51)내의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거품감지센서는 상기 터브(51)의 내부 하측에 장착된 제 1센서(71)와, 상기 제 1센서(71)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된 제 2센서(72)와, 상기 제 1센서(71)보다 높고 상기 제 2센서(72)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장착된 제 3센서(73)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drum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foam sensor for sensing the bubbles in the tub 51, the foam sensor is the first sensor 71 mount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tub 51 and And a second sensor 72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71 and a third sensor mounted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71 and moun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sensor 72. It consists of 73.

또한, 상기 드럼 세탁기는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센서(72) 사이 또는 상기 제 1센서(71)와 제 3센서(73)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전압차에 따라 거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드럼세탁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rum washing machine may generate bubbles according to a signal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sensor 72 or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third sensor 73.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determin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um washing machine.

상기 제 1,2,3센서(71)(72)(73)는 거품과의 접촉시 통전 가능한 한 개의 전극단자로 각각 이루어진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sensors 71, 72 and 73 are each made of one electrode terminal which can be energized upon contact with bubbles.

따라서,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센서(72)는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센서(72) 사이에 발생된 거품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센서(71)와 제 3센서(73)는 상기 제 1센서(71)와 제 3센서(73) 사이에 발생된 거품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refore,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sensor 72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bubble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sensor 72, the first sensor 71 And the third sensor 73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bubble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third sensor 73.

상기 제 1센서(71)는 세탁시 세탁수가 급수되면, 항상 세탁수 또는 거품과 접촉되어 있도록 상기 터브(51)와 드럼(52)사이의 공간에 장착된다.The first sensor 71 is mounted in the space between the tub 51 and the drum 52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or foam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상기 제 2센서(72)는 상기 터브(51)의 내부 일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센서(71)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 터브(51) 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상기 급수구(65)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The second sensor 72 is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71 such that the second sensor 72 is in contact with the foam filling the inner side of the tub 51. Here, the water supp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tub 51 It demonstrates only to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phere 65. FIG.

상기 제 3센서(73)는 상기 터브(51)의 내부 타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센서(71)보다 높고 상기 제 2센서(72)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 터브(51)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터브(51)내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공기홀부(70)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third sensor 73 is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71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nsor 7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am filling the other side of the tub 51. The upper part of the tub 51 will be described as being mounted inside the air hole 70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tub 51.

상기 공기홀부(70)는 상기 드럼(52) 내부로 어린아이가 들어갔을 경우 어린아이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터브(51)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ir hole 70 is formed to allow the child to breathe when the child enters into the drum 52, i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highest position in the tub (51).

따라서, 상기 제 3센서(73)는 상기 제 2센서(7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Therefore, the third sensor 73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cond sensor 72.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foam detecting method of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상기 드럼 세탁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급수장치(60)를 통해 상기 터브(51)내로 세탁수가 유입되게 되고, 상기 터브(51) 내에 세탁수가 차게 되면 상기 제 1센서(71)는 세탁수에 접촉되게 된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drum washing machine, the wash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tub 51 through the water supply device 60, and when the washing water is filled in the tub 51, the first sensor 71 is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Will come into contact.

이 때, 세제의 과다사용 등으로 인해 상기 터브(51) 내에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거품이 상기 급수구(65)측으로 차오르게 되면, 상기 제 2센서(72)에 거품이 접촉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foam is excessively generated in the tub 51 due to excessive use of detergent, and the foam is filled to the water inlet 65, the foam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ensor 72.

따라서, 상기 터브(51)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급수구(65)까지 차오른 거품은 상기 제 1,2센서(71)(7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되므로,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센서(72) 사이의 저항이 급격히 작아지게 되고,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센서(72) 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전압차가 작아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bubbles fill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tub 51 to the water inlet 65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71 and 72, and thus,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sensor. The resistance between the 72 becomes drastically small, and the signal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sensor 72 becomes small.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센서(72)사이의 신호전압차가 "0"이 되면, 거품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배수와 급수 등이 반복되는 거품 제거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When the signal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sensor 72 becomes "0", the controller (not shown) determines that bubbles are generated and performs a bubble removing stroke in which drainage and water supply are repeated. Done.

거품 제거행정을 통해 거품이 제거되어,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센서(72) 사이에 거품이 존재하지 않게 되면,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센서(72)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When bubbles are removed through the bubble removing stroke and no bubbles exist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sensor 72,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sensor 72 is performed. Will be broken.

따라서,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센서(72) 사이의 저항이 무한대로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센서(72)의 신호전압차는 다시 높아지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거품이 제거되었다고 판단하고,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resistance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sensor 72 increases indefinitely, the signal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sensor 72 is increased again, so that the control unit ( In the case of not shown), it is determined that the foam is removed, and performs the washing administration.

한편, 상기 터브(51) 내에서 발생된 거품이 상기 공기홀부(70)측으로 차오르게 되면, 상기 제 3센서(73)에 거품이 접촉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tub 51 is filled to the air hole 70 side, the bubbles are in contact with the third sensor (73).

따라서, 상기 터브(51)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공기홀부(70)까지 차오른 거품은 상기 제 1,3센서(71)(7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되므로, 상기 제 1센서(71)와 제 3센서(73) 사이의 저항이 급격히 작아지게 되고, 상기 제 1센서(71)와 제 3센서(73) 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전압차가 작아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bubbles fill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tub 51 to the air hole 70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third sensors 71 and 73, and thus, the first sensor 71 and the third sensor. The resistance between the 73 becomes sharply small, and the signal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third sensor 73 becomes small.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상기 제 1센서(71)와 제 3센서(73)사이의 신호전압차가 "0"이 되면, 거품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배수와 급수 등이 반복되는 거품 제거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When the signal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or 71 and the third sensor 73 becomes "0", the controller (not shown) determines that bubbles are generated and performs a bubble removing stroke in which drainage and water supply are repeated. Done.

여기서,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3센서(72)(73)의 장착위치가 멀기 때문에, 거품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1센서(71)와 제 2,3센서(72)(73)사이에 수막이 형성되지 않는다.Here, since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72 and 73 are far from each other, the first sensor 71 and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72 in a state where no bubbles are generated. A water film is not formed between the (73).

따라서, 센서사이에 형성된 수막으로 인해 거품이 발생되었다고 오감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us, erroneous detection that bubbles are generated due to the water film formed between the sensors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제 2센서(72)와 제 3센서(73)가 별도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터브(51)내부에 거품이 가득차기전에 상기 제 2센서(72)와 제 3센서(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만 거품이 접촉되더라도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거품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ensor 72 and the third sensor 73 are dispos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sensor 72 and the third sensor 72 before the bubble is filled in the tub 51. Even if bubbles are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sensors 73,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determine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따라서, 상기 터브(51)내부에 거품이 가득차기전에 거품 제거행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거품의 과도한 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수 및 배수 횟수를 줄여 물,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bubble removal stroke is performed before the bubble is filled in the tub 51, not only can the bubble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advance, but water and time can be reduced to reduce water and time waste. .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내부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응축식 건조 겸용 세탁기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80)과, 캐비닛(80)의 내부에 지지된 터브(81)와, 상기 터브(8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드럼(82)과, 상기 드럼(82)을 구동시키는 모터(83)와, 상기 드럼(82)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순환팬(84) 및 건조용 히터(85)가 구비된 건조덕트(86)와, 상기 드럼(82)의 내부에서 포(m)를 건조시킨 공기를 응축한 후 상기 건조덕트(86)로 안내하는 응축덕트(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ensation type combined washing machine, and as shown in FIG. 4, a cabinet 80, a tub 81 supported inside the cabinet 80, and the tub A drum 82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81, a motor 83 for driving the drum 82, a circulation fan 84 and drying to supply hot air into the drum 82. A drying duct 86 having a heater 85 and a condensation duct 87 which guides the drying duct 86 to the drying duct 86 after condensing the air having dried the cloth m inside the drum 8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캐비닛(80)은 일면에 포(m)가 출입될 수 있도록 포 출입홀(88)이 형성되고, 상기 포 출입홀(88)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89)가 장착된다.The cabinet 80 has a fabric access hole 88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to allow the fabric m to enter and exit, and a door 8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abric access hole 88 is mounted.

상기 터브(81)에는 상기 도어(89)의 닫힘시 상기 도어(89)에 밀착되어 상기 도어(89)와의 사이로 포(m), 세탁수,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개스킷(90)이 장착된다.The tub 81 is equipped with a gasket 9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89 when the door 89 is closed and prevents the cloth m, the washing water, and the air from flowing out between the door 89. .

상기 건조덕트(86)의 토출부는 상기 터브(81)의 내부로 열풍을 토출하도록 상기 개스킷(9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터브(81)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한 바, 여기서는 상기 개스킷(90)에 연결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drying duct 86 may be connected to the gasket 90 so as to discharge hot air into the tub 81, a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tub 81, where the gasket (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90).

상기 응축덕트(87)의 흡입부는 상기 터브(81)의 배면 하부에 연결되고, 토출부는 상기 건조덕트(86)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덕트(87)에는 외부로부터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장치(94)가 연결된다.The suction part of the condensation duct 87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tub 81, the discharge part is connected to the drying duct 86, the cooling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coolant from the outside to the condensation duct (87) 94 is connected.

한편, 상기 드럼 세탁기는 상기 터브(81) 내부의 거품을 감지하기 위한 거품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거품감지센서는 상기 터브의 내부 하측에 장착된 제 1센서(91)와, 상기 제 1센서(91)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된 제 2센서(92)와, 상기 제 1센서(91)보다 높고 상기 제 2센서(92)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장착된 제 3센서(93)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drum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foam sensor for sensing the bubbles in the tub 81, the foam sensor is a first sensor 91 mount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tub, A second sensor 92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91 and a third sensor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91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nsor 9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93).

또한, 상기 드럼 세탁기는 상기 제 1센서(91)와 제 2센서(92)사이 및 상기 제 1센서(91)와 제 3센서(93)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전압차에 따라 거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drum washing machine determines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according to a signal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91 and the second sensor 92 and between the first sensor 91 and the third sensor 93.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not shown) to determine.

상기 제 1,2,3센서(91)(92)(93)는 거품과의 접촉시 통전 가능한 한 개의 전극단자로 각각 이루어진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sensors 91, 92 and 93 are each made of one electrode terminal that can be energized when contacted with bubbles.

여기서, 상기 제 1센서(91)는 세탁시 세탁수가 급수되면, 항상 세탁수 또는 거품과 접촉되어 있도록 상기 터브(81)와 드럼(82)사이의 공간에 장착된다.Here, the first sensor 91 is mounted in the space between the tub 81 and the drum 82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or foam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상기 제 2센서(92)는 상기 터브(81)의 내부 일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센서(91)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 터브(81)의 전면 상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건조 덕트(86)의 토출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The second sensor 92 is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91 such that the second sensor 92 is in contact with the foam filling the inner side of the tub 81. Here, the second sensor 92 is filled with the foam filling the upper front side of the tub 81. It is limited to being attached to the discharge part of the said drying duct 86 so that it may contact.

그리고, 상기 제 3센서(93)는 상기 터브(81)의 내부 타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센서(91)보다 높고 상기 제 2센서(92)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 응축덕트(87)의 토출부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third sensor 93 is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91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nsor 9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am filling the other side of the tub 81. Here,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that mount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condensation duct 87.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foam detecting method of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거품이 상기 건조덕트(86) 내부까지 차오르기 이전에 상기 제 2,3센서(92)(93)에 의해 거품의 발생여부가 감지되기 때문에, 상기 건조덕트(86)내 부품의 부식 및 절연 파괴등이 발생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건조 행정 수행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ther the foam is generated by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92, 93 before the foam is filled up to the inside of the drying duct 86 Since it is sen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rrosion and insulation breakdown of the components in the drying duct 86 to occur in advance, so that the drying stroke can be safely per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내부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배기식 건조 겸용 세탁기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지지된 터브(101)와, 상기 터브(10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드럼(102)과, 상기 드럼(102)을 구동시키는 모터(103)와, 상기 드럼(102)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순환팬(104) 및 건조용 히터(105)가 구비된 건조덕트(106)와, 상기 드럼(102)의 내부에서 포(m)를 건조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1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haust type combined washing machine, and as shown in FIG. 5, a cabinet 100, a tub 101 supported inside the cabinet 100, and A drum 102 rotatably disposed in the tub 101, a motor 103 for driving the drum 102, a circulation fan 104, and drying to supply hot air into the drum 102. It comprises a drying duct 106 is provided with a heater 105, and an exhaust duct 107 for discharging the air to dry the cloth (m) in the drum 102 to the outside.

상기 캐비닛(100)은 일면에 포(m)가 출입될 수 있도록 포 출입홀(108)이 형성되고, 상기 포 출입홀(108)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09)가 장착된다.The cabinet 100 has a fabric access hole 108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to allow the fabric m to come in and out, and a door 10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abric access hole 108 is mounted.

상기 터브(101)에는 상기 도어(109)의 닫힘시 상기 도어(109)에 밀착되어 상기 도어(109)와의 사이로 포(m), 세탁수,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개스킷(110)이 장착된다.The tub 101 is equipped with a gasket 11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109 when the door 109 is closed and prevents the cloth m, the washing water, and the air from flowing out between the door 109. .

상기 건조덕트(106)의 토출부는 상기 터브(101)의 내부로 열풍을 토출하도록 상기 개스킷(11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터브(101)에 직접 연결되는 것 도 가능한 바, 여기서는 상기 개스킷(110)에 연결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drying duct 106 may be connected to the gasket 110 so as to discharge hot air into the tub 101,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tub 101, in this case the gasket. It will be described limited to connected to (110).

상기 배기덕트(107)는 상기 터브(101)의 상측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배기덕트(107)상에는 포(m)를 건조시킨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108)가 장착된다.The exhaust duct 107 is connected to the upper rear of the tub 101, and a filter 108 is mounted on the exhaust duct 107 to purify the air dried in the fabric (m).

또한, 상기 드럼세탁기는 상기 터브(101)에서 발생된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거품감지센서는 상기 터브(101)내로 급수된 세탁수 또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터브(101)의 내부 하측에 장착된 제 1센서(111)와, 상기 제 1센서(111)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된 제 2센서(112)와, 상기 제 1센서(111)보다 높고 상기 제 2센서(112)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장착된 제 3센서(113)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rum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foam sensor for sensing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tub 101, the foam sensor is to be in contact with the wash water or foam water supplied into the tub 101 The first sensor 111 mount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tub 101, the second sensor 112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111, and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111 It consists of a second sensor 112 and the third sensor 113 moun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드럼세탁기는 상기 제 1센서(111)와 제 2센서(112)사이 및 상기 제 1센서(111)와 제 3센서(113)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전압차에 따라 거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drum washing machine generates bubbles according to a signal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111 and the second sensor 112 and between the first sensor 111 and the third sensor 113.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not shown) to determine.

상기 제 1,2,3센서(111)(112)(113)는 거품과의 접촉시 통전 가능한 한 개의 전극단자로 각각 이루어진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sensors 111, 112, and 113 are each made of one electrode terminal that can be energized upon contact with bubbles.

여기서, 상기 제 1센서(111)는 세탁시 세탁수가 급수되면, 항상 세탁수 또는 거품과 접촉되어 있도록 상기 터브(101)와 드럼(102)사이의 공간에 장착된다.Here, the first sensor 111 is mounted in the space between the tub 101 and the drum 102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or foam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상기 제 2센서(112)는 상기 터브(101)의 내부 일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센서(111)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 터브(101)의 전면 상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건조 덕트(106)의 토출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The second sensor 112 is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111 so as to contact the foam filling the inner side of the tub 101, in which the foam filling the upper front of the tub 101 and It is limited to being attached to the discharge part of the said drying duct 106 so that it may contact.

그리고, 상기 제 3센서(113)는 상기 터브(101)의 내부 타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센서(111)보다 높고 상기 제 2센서(112)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 배기덕트(107)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third sensor 113 is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111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nsor 1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am filling the other side of the tub 101. Here,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being mounted inside the exhaust duct 107.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foam detecting method of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거품이 상기 배기덕트(107) 내부까지 차오르기 이전에 상기 제 2,3센서(102)(103)에 의해 거품의 발생여부가 감지되기 때문에, 상기 배기덕트(107) 내부에 차오른 거품으로 인해 배기유량이 줄어들어 건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ther the foam is generated by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102 and 103 before the foam is filled up to the inside of the exhaust duct 107. Since it is sensed, the exhaust flow rate is reduced due to the bubbles filled in the exhaust duct 107 to prevent the drying performance from being lowered.

또한, 상기 건조덕트(106)내 부품의 부식 및 절연 파괴등이 발생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건조 행정 수행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occurrence of corrosion and dielectric breakdown of the components in the drying duct 106, so that the drying stroke can be performed safel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거품과 접촉되는 3개의 센서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3개의 센서 중 두 개의 센서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전압차에 따라 거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터브의 내부 전체에 거품이 가득차기전에 거품 발생여부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하여 거품의 과도한 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ree sensors contacting the foam are respectively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whether foam is generated according to a signal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wo sensors among the three sensors.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excessive generation of bubbles in advance by detecting whether the bubble is generated more quickly before the bubble is filled in the entire inside of the tub.

또한, 거품이 가득차기전에 거품 제거행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급수 및 배수 횟수가 감소되어 물,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bble removal stroke is performed before the bubble is full, the number of times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waste of water and time.

또한, 제 1센서와 제 2센서 또는 제 1센서와 제 3센서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실제로 거품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들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기 어려우므로 수막으로 인해 거품의 발생을 오감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or the first sensor and the third sensor is far, it is difficult to form a water film between the sensors in the absence of a bubble, so that the occurrence of bubbles due to the water film is not detec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 겸용 세탁기는 거품이 건조덕트 내부까지 차오르기 이전에 거품의 발생여부가 감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건조덕트내 부품의 부식 및 절연 파괴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densation-type combined-us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bubbles before the foam is filled to the drying duc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rrosion and dielectric breakdown of the components in the drying duct safety This has the effect of being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식 건조 겸용 세탁기는 거품이 배기덕트 내부까지 차오르기 이전에 거품의 발생여부가 감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기덕트 내부에 차오른 거품으로 인해 배기유량이 줄어들어 건조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mbined use of the exhaust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before bubbles rise to the inside of the exhaust duct, the exhaust flow rate is reduced due to the bubbles filled in the exhaust duct, thereby reducing drying performan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Claims (9)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드럼과;A drum rotatably disposed in the tub; 상기 터브내로 급수된 세탁수 또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 하측에 장착된 제 1센서와;A first sensor mounted inside the tub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wash water or the foamed water in the tub; 상기 터브의 내부 일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센서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제 1센서와의 사이에 거품이 발생되면 상기 제 1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센서와;A second sensor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to be in contact with the foam filling the inner side of the tub,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when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상기 터브의 내부 타측으로 차오르는 거품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센서보다 높고 상기 제 2센서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제 1센서와의 사이에 거품이 발생되면 상기 제 1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센서와;It is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sensor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ns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contact the foam filling the other side of the tub, and when the foam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first sensor, A third sensor connected; 상기 제 1센서와 제 2센서사이 또는 상기 제 1센서와 제 3센서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전압차에 따라 거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bubbles are generated according to a signal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or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third sensor; 상기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순환팬 및 건조용 히터가 구비된 건조덕트와;A drying duct provided with a circulation fan and a drying heater to supply hot air into the drum;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포를 건조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An exhaust duct for discharging air dried in the drum to the outside; 상기 제 1,2,3센서는 거품과의 접촉시 상기 거품과 통전 가능한 전극단자로 이루어지며,The first, second and third sensors are made of an electrode terminal capable of energizing the bubble when in contact with the bubble. 상기 제 2센서는 상기 건조덕트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3센서는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에 장착된 드럼세탁기. The second sensor is mounted in the drying duct, the third sensor is mounted in the exhaust duct drum washing mach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028485A 2005-04-06 2005-04-06 Drum washing machine KR100733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485A KR100733308B1 (en) 2005-04-06 2005-04-06 Drum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485A KR100733308B1 (en) 2005-04-06 2005-04-06 Drum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072A KR20060106072A (en) 2006-10-12
KR100733308B1 true KR100733308B1 (en) 2007-06-28

Family

ID=3762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485A KR100733308B1 (en) 2005-04-06 2005-04-06 Drum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30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6400A (en) * 1991-02-01 1992-09-02 Sharp Corp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3260290A (en) 2002-03-07 2003-09-16 Sanyo Electric Co Ltd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4008467A (en) * 2002-06-06 2004-01-15 Sharp Corp Washing machine
EP1441056A1 (en) 2003-01-22 2004-07-28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JP2004208712A (en) * 2002-12-26 2004-07-29 Sanyo Electric Co Ltd Drum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6400A (en) * 1991-02-01 1992-09-02 Sharp Corp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3260290A (en) 2002-03-07 2003-09-16 Sanyo Electric Co Ltd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4008467A (en) * 2002-06-06 2004-01-15 Sharp Corp Washing machine
JP2004208712A (en) * 2002-12-26 2004-07-29 Sanyo Electric Co Ltd Drum washing machine
EP1441056A1 (en) 2003-01-22 2004-07-28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072A (en)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831B1 (en) Foam sensor of drum washing machine and drum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 same
EP1751344B1 (en) A washing machine generating and using the steam
TWI452192B (en) Washing machine
US8438755B2 (en) Laundry machine
KR100416856B1 (en) Drum washer
JP4661522B2 (en) Drum washing machine
EP2039824A2 (en) Laundry machine
JP2008110002A (en)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JP7195225B2 (en) washing machine
KR20060040199A (en) Foam sensing apparatus in wash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KR100748977B1 (en) Drum washing machine
KR100733308B1 (en) Drum washing machine
JP5598283B2 (en) Drum washing machine
JP4921041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5155804B2 (en) Laundry dryer and dryer
JP4917353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0517619B1 (en) Circulation apparatus of drum washer
JP2008073126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or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KR20070075491A (en) Remained water draining structure of steam generator for wash machine
JP4896503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CN111676647A (en) Washing machine
JP2002210289A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060040198A (en) Foam sensing apparatus in washing machine and foam sensing method thereof
KR20070059413A (en) Water quality sensing structure of washing machine
JP6389700B2 (en)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