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732B1 - Green algae and ordor removal purif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Green algae and ordor removal purif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732B1
KR102493732B1 KR1020210006633A KR20210006633A KR102493732B1 KR 102493732 B1 KR102493732 B1 KR 102493732B1 KR 1020210006633 A KR1020210006633 A KR 1020210006633A KR 20210006633 A KR20210006633 A KR 20210006633A KR 102493732 B1 KR102493732 B1 KR 102493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odule
water
water purification
me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4409A (en
Inventor
심학섭
심준형
이승혁
Original Assignee
(주)진행워터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행워터웨이 filed Critical (주)진행워터웨이
Priority to KR102021000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732B1/en
Publication of KR2022010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4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는, 수상에 부유되는 수상부유모듈, 상기 수상부유모듈과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향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이동하면서 유체가 정수되는 정수모듈 및 수중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정수모듈을 향해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듈을 포함하는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를 제공한다.An apparatus for purifying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ating module floating on a water surface, a water purification module combined with the floating module, allowing fluid to flow toward an inner space and purifying the fluid while moving through the inner space, and a water purification module. Provided is a purification device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including a pump module that sucks fluid from the water and supplies power 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Description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 {GREEN ALGAE AND ORDOR REMOVAL PURIFICATION DEVICE}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GREEN ALGAE AND ORDOR REMOVAL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모듈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정수모듈을 통과하면서 자연전위차에 의해 용출된 금속이온을 통해 산화환원반응을 일으키고, 이를 통해 생성된 산화제와 금속이온을 이용하여 녹조와 악취를 제거하고, 유체를 정수하는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rification device for removing algae and odors, and more particularly, while a fluid introduced through a pump module passes through a water purification module, it causes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hrough metal ions eluted by a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thereby producing It relates to a purifier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 by using an oxidizing agent and metal ions to remove green algae and odor and to purify a fluid.

최근에는 수질 개선을 위한 경각심으로 인해 다양한 공간에 정수필터를 사용하거나 녹이 발생하는 샤워시설에 정화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등 수질개선을 위한 다양한 시도와 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필터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awareness of improving water qualit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water quality, such as using a water filter in various spaces or installing a purifier in a shower facility where rust occurs, and improving filters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there is.

다만, 호수나 하천 등과 같은 넓은 범위에서는 녹과 같은 수질문제보다는 녹조류의 과다 생성으로 인해 녹조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어류의 폐사 및 녹조류가 분비하는 독소에 의해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도 치명적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However, in a wide range such as lakes and rivers, green algae occur due to excessive production of green algae rather than water quality problems such as rust. There may be.

또한 호수와 같은 곳에서 갈수기가 되어 유체의 흐름이 적어지면 호수 바닥에서 혐기성 미생물로 인해 황화수소와 같은 환원성 황 화합물이 만들어져 악취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흔히 있게 되며, 또한 축산폐수 등이 호소에 들어오게 되면 암모니아와 같은 악취성분으로 인해 유체에서 악취가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dry season in a place such as a lake and the flow of fluid decreases, reducing sulfur compounds such as hydrogen sulfide are created due to anaerobic microorganisms at the bottom of the lake, which often causes odor, and when livestock wastewater enters the lake, Malodorous components such as ammonia can cause odors in the fluid.

따라서 이러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정화장치를 사용하기 보다는 비용, 시간적 문제에 의해 화학적인 요소를 통한 수질개선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화학적인 요소에 대한 2차적인 수질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2차적인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uch water quality, water quality improvement through chemical factors is used due to cost and time problems rather than using multiple purification devices, which solves the problem of secondary water pollution by chemical factors. If you want to prevent this, you can prevent secondary water pollution by using a purification device.

다만, 정화장치를 이용한 수질개선의 경우에는 정화장치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과 비용 및 시간적 소모가 상당하며, 이를 순환시키기 위한 방법 역시 필요하기 때문에 수질 개선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improving water quality using a purifier, electricity, cost, and time consumption for providing power to the purifier are considerable, and a method for circulating it is also required, so it may be difficult to improve water quality.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2차적인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화학적인 요소를 사용하지 않으며, 정화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간, 전력비용 등을 절감하면서 수질개선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 활발하게 고안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a method for improving the speed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while reducing the time and power cost for operating the purifier without using chemical elements to prevent secondary water pollution has been actively pursued. It is being devised, and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화학적인 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산화제를 발생시켜 수질을 개선하기 때문에 화학적인 요소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며, 자연 전위차를 통한 금속이온 용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자극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반영구적인 동작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since the water quality is improved by generating an oxidizing agent without using chemical elements, contamination by chemical elements is prevented, and metal ions are ionized through a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Because elution is possible, semi-permanent operation is possible even without a separate stimulus.

또한,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마찰 면적을 높이기 때문에 금속이온의 용출량이 늘어나 수질개선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with the fluid is improved and the friction area is increased, the elution amount of metal ions is increased, so that water quality can be effectively improv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는, 수상에 부유되는 수상부유모듈, 상기 수상부유모듈과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향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이동하면서 유체가 정수되는 정수모듈 및 수중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정수모듈을 향해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듈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urification device for removing algae and od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a floating module floating on a water surface and the floating module, and a fluid flows into the inner space, and the fluid moves through the inner space. A water purification module for purifying water and a pump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by suctioning fluid from the water.

여기서 상기 정수모듈은, 일측이 상기 펌프모듈과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정수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formed with an inlet connected to the pump module to receive fluid,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purified fluid passing through an internal space.

아울러 물가에 배치되고, 상기 물가의 일측에서 내부 공간을 향해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물가의 타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유체가 정수되는 정수모듈, 상기 물가의 일측에서 상기 정수모듈과 연통되며,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정수모듈을 향해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듈 및 상기 물가의 일측에서 상기 펌프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다량의 유체를 정수하기 위해 다수의 상기 정수모듈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정화모듈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water purification module disposed on a waterside, in which fluid flows into an inner space from one side of the waterside and purifies the flui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and mov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waterside; A pump module communicated with and supplying power for supplying fluid toward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by sucking in fluid, and a plurality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waterside to purify a large amount of fluid flowing through the pump module. It includes a purification module forming a space to be.

이 때, 상기 정수모듈은, 상기 물가의 일측에서 유체가 유입되도록 일측이 상기 펌프모듈과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정수된 유체를 상기 물가의 타측을 향해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pump module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one side of the waterside, and an inlet for receiving the fluid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side passes through an internal space to pass the purified fluid to the other side of the water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discharge port is formed to discharge toward.

아울러 상기 정수모듈은, 상기 주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며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이동유닛 및 유체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유체를 정수하기 위해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산화제를 발생시키는 제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ying module is disposed on a moving unit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can move and a moving path of the fluid to generate an oxidizing agent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o purify the fluid.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unit.

또한, 상기 제공유닛은, 상기 주입구로 인입되는 유체 또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체의 이동방향을 향해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vid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towar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to pass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or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여기서 상기 제공유닛은, 상기 주입구 또는 상기 배출구 측에 구비되고, 유체가 유입되면서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시켜 산화환원반응을 유도하며 유체에 함유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해 유체를 정수하는 제1 작용부 및 상기 제1 작용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유체에 함유된 상기 미생물을 번식의 억제 및 유체를 정수할 수 있도록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산화제를 제공하는 제2 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roviding un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nlet or the outlet, and generates static electricity due to friction as the fluid flows in, induces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suppresses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fluid to purify the fluid. At least one or more is provided between the unit and the first functioning unit, and includes a second functioning unit that provides an oxidizing agent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o suppress propagation of th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fluid and to purify the fluid. to be

이 때, 상기 제공유닛은, 상기 이동유닛과 상기 제공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2 작용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2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rovid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metal layer formed between the moving unit and the providing unit and a second metal layer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acting part.

아울러 상기 제공유닛은, 상기 제1 금속층에는 양극이 연결되고, 상기 제2 금속층에는 음극이 연결되며, 상기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금속층으로부터 금속이온 용출이 유도되어 산화제 발생을 촉진시키는 전압 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oviding unit, an an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layer, a cath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etal layer,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to induce elution of metal ions from the second metal lay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ltage supply module that promotes the generation of an oxidizing agent.

또한, 상기 제1 작용부는,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둘레 일부가 내측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c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formed to be depressed toward the inside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area with the flui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친환경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수질환경을 개선하기 때문에 수질을 정화하기 위한 화학적 요소를 통한 오염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 is improved by utilizing eco-friendly eleme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through chemical elements for purifying water quality.

둘째, 자연 전위차에 의해 금속이온을 용출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기적 자극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반영구적인 가동이 가능하다.Second, since metal ions are eluted by the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semi-permanent operation is possible even without separate electrical stimulation.

셋째,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유체의 마찰면적을 향상시켜 정전기의 발생을 향상시키고, 금속이온의 용출량을 높여 보다 빠른 수질개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ird, since a large number of pores are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is improved by improving the frictional area of the fluid and faster water quality improvement is possible by increasing the elution amount of metal ion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정수모듈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제1 작용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제2 작용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제1 작용부와 제2 작용부 단면을 함께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단면에서 금속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외부 전원에 의한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에 연결된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가 복수개가 연결되는 경우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정수 현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시간에 따른 아연과 산화제의 변화량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전압의 변화에 따른 시간과 농도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전반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활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The above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purificatio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purificatio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purification module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rst action part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action part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cross-sections of a first acting portion and a second acting portion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al layer in a cross section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metal layer and a second metal laye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and
10 is a view showing the status of water purification of a purificatio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changes in zinc and oxidizing agents over time in a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 graph of time and concentr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voltage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shape of a purificatio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utilization of the green algae and malodor removal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and purify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purificatio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는 수상에 부유하는 수상부유모듈(100), 상기 수상부유모듈(100)과 연결되어 수중으로 연장되는 연결모듈(200), 상기 연결모듈(200)과 결합되어 수중에 배치되고, 수중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내부공간을 통과하면서 자연적인 전위차에 의한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녹조 생성을 억제하고 유체를 필터링하는 정수모듈(300) 및 상기 정수모듈(300)로 유체를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듈(400)로 구성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1, the purification apparatus for removing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ating module 100 floating on the water and a connecting module connected to the floating module 100 and extending underwater. 200, a water purification module combined with the connection module 200 and disposed in the water,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algae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by a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and filtering the fluid while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300 and a pump module 400 providing power to supply fluid 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이 때, 상기 수상부유모듈(100)은 수상을 부유하고 있지만,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상의 어느 부분과 연동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천과 같은 유동적인 유체에 흐름에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해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위치고정모듈을 통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the water floating module 100 floats on the water surface, it may be interlocked with any part of the ground so that it can be fixed to any one part, and to prevent being washed away by the flow of a fluid fluid such as a river. The position may be fixed through a separate position fixing module capable of fixing the position determined for the purpose.

또한, 상기 정수모듈(300) 및 상기 펌프모듈(400)은 상기 연결모듈(200)에 의해 수중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정수모듈(300) 및 상기 펌프모듈(400)을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module supporting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the pump module 400 is provided so that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the pump module 400 can be disposed underwater by the connection module 200. can be supported through

여기서 상기 펌프모듈(400)의 경우에는 유체를 흡입하면서 상기 정수모듈(300)을 향해 공급하면서 일부 유로를 폐쇄시켜 유로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를 흡입하는 위치에 비닐, 해조류 등과 같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요소를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강성을 가진 금속재질의 거름망이 형성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pump module 400, the fluid is suctioned and supplied 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while a fluid is sucked in to close a portion of the flow path to prevent impurities that may hinder the flow of the flow path from entering. In this case, a rigid metal strainer having a plurality of pores formed therein may be formed to filter out elements that may hinder the flow of fluid, such as vinyl and algae.

한편, 상기 펌프모듈(400)에서 상기 정수모듈(300)로 유입되는 유체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주입구는 하부를 향해 개방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정수모듈(300)을 통과한 유체가 확산될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fluid flowing in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from the pump module 400 mov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inlet is open toward the bottom, and the outlet is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It may be open toward the top so that the can be diffused.

즉, 상기 주입구(I)와 상기 배출구(O)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서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inlet (I) and the outlet (O) can be opened toward different directions.

또한, 상기 주입구(I)와 상기 배출구(O)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서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정수모듈(300)은 상기 펌프모듈(400)이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지지모듈에서 상부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정수모듈(300)이 상기 지지모듈과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정수모듈(300)의 상기 주입구(I)측과 상기 배출구(O)측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고정부(240) 및 제2 고정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let (I) and the outlet (O) are open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water purifying module 300 is the support module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pump module 400 can suck fluid. may be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 and the inlet (I) side and the outlet (O) side of the water purifying module 300 may be fixed so that the water purifying module 300 may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module. A first fixing part 240 and a second fixing part 260 capable of supporting may be provided.

아울러 상기 수상부유모듈(100)의 경우, 수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풍파에 의해 손상될 확률이 높으며, 이에 따라 잦은 교체가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ater floating module 100, since it is exposed to the water surface, it is highly likely to be damaged by wind and waves, and accordingly, frequent replacement may occur.

그렇기 때문에 상기 수상부유모듈(100)과 상기 정수모듈(300)을 연결시키는 상기 연결모듈(200)은 상기 수상부유모듈(100)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고리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수상부유모듈(100)에 대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connection module 200 connecting the water floating module 100 and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can be formed with a coupling ring part 220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water floating module 100, ,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inconvenience by making it easy to replace the water floating module 100.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 a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앞서 도 1에서는 수중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압의 공급을 보다 유동적으로 하며, 전압의 누수로 인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상부유모듈(1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정화모듈(300)이 수상에 위치될 수 있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underwater in FIG. 1 above, the purification module ( 300) may be placed in the water phase.

즉,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상에 부유되는 상기 수상부유모듈(100), 상기 수상부유모듈(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수중에 위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수상부유모듈(100)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모듈(200), 상기 수상부유모듈(100)과 결합되고,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정수되는 정수모듈(300) 및 상기 정수모듈(300)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듈(400)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o connect the floating module 100 and the floating module 100 located in the wat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floating module 100 and the floating module 200 in the water The connection module 200 and the floating module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 300) may be composed of a pump module 400 that provides power to supply fluid.

아울러 상기 정수모듈(300)은 앞서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수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원활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상부유모듈(100)상에 전원공급모듈(600)이 함께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i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differently from that shown in FIG. 1, a power supply module 600 may be provided on the water floating module 100 to smoothly supply power. .

이에 따라, 전원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상기 정수모듈(300)을 더욱 효과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ly, there may be an effect of enabling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to operate more effectively by smoothly supplying power.

아울러 상기 정수모듈(300)과 상기 펌프모듈(400)을 연결하는 주입구과 반대방향에서 상기 정수모듈(300)을 통과한 상기 유체를 수중에서 분산시켜 보다 넓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측에는 별도의 회전팬(F)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let connecting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the pump module 400,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is dispersed in water so that the fluid can be spread more widely. A separate rotating fan (F) may be provided.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서 본 발명의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는 수중 또는 수상에 위치될 수 있으나, 상기 정수모듈(300)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통과시켜 상기 유체를 정수하며, 녹조 및 악취 발생을 억제시킨다는 효과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1 and 2 above, the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in water or water, but purifies the fluid by passing the fluid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The effect of suppressing odor generation may be the same.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펌프모듈(400)만 동작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상기 유체를 흡입하여 정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관리를 지속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상기 유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관리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중에 위치된 상기 정수모듈(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정수모듈(300)의 효율을 향상시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being located underwater, even if only the pump module 400 is operated, the fluid can be continuously sucked and purified, and accordingly, the fluid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even without separate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management by managing it, and by supplying power 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located in the water as necessary, the efficiency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is improved to flexibly cope with the situation. can make it

즉, 수중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평소에 별도의 관리를 지속적으로 하는 불편함을 줄여주면서도 녹조의 발생이 늘어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정수모듈(300)의 효과를 활성화시킴을 통해 유연하게 녹조 및 악취발생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it is located underwater, it reduces the inconvenience of continuing separate management, but also activates the effect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by supplying voltage in a situation where the occurrence of green algae increases or odors occur. Through this, it can flexibly cope with algal bloom and odor generation.

아울러, 수중에 위치되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유속변화가 아니라면 상기 정수모듈(300)에 가해지는 외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상기 정수모듈(300)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외관상 수상에 보여지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외관상 발생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located in water, there is almost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unless there is a sudden change in flow rate, so that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re prevented from occurring, or the part visible on the water surface Since this is small, there may be an effect of reducing the discomfort caused by appearanc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육안으로 살펴보거나 관리하기가 용이하고, 상기 전원공급모듈(600)이 상기 정수모듈(30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도 1과 같이 수중에 위치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소모되며, 상기 전원공급모듈(600)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상기 유체에 누수되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when located on the water, it is easy to inspect or manage with the naked eye, and since the power supply module 600 can be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As shown in FIG. 1, consumption is relatively less than that located in the water, and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600 leaks into the fluid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정수모듈(300)이 수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수중에 위치되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정수모듈(300)의 외관의 녹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is located on a water surface, rust on the exterior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which may occur due to being located in water, may be suppressed.

상술한 전체적인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정수모듈(3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효과 및 기능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Based on the overall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configuration, effects, and functions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can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정수모듈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제1 작용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제2 작용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제1 작용부와 제2 작용부 단면을 함께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단면에서 금속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외부 전원에 의한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에 연결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of the purification device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irst action of the purification device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action part of the purification device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acting part and the second acting part together,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tal layer in the cross section of the green algae and malodor removal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cross-sections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by an external power source of the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정수모듈(300)은 상기 펌프모듈(400)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가 내부공간을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유체가 유입되는 주입구(I)와 내부공간을 통과하면서 정수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O)가 형성되며, 주입구(I)와 배출구(O)를 연결하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이동유닛(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I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n inner space so that the fluid introduced by the pump module 400 can move toward the inner space. An outlet (O) through which purified fluid is discharged while passing is formed, and may be composed of a moving unit (320) connecting the inlet (I) and the outlet (O) and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pass.

또한, 상기 이동유닛(320)의 내측에서 유체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유체와 접촉하며, 산화환원반응을 통해서 산화제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유체가 정수될 수 있도록 촉진 및 유도하는 발생유닛(340, 36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nerating unit 340, which is disposed on the moving path of the fluid inside the moving unit 320 and contacts the fluid, generates an oxidizing agent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promotes and induces the fluid to be purified. 360) may be included.

아울러 상기 발생유닛(340, 360)은 주입구(I) 및 배출구(O) 측 구비되어 유입되는 유체와 마찰하며 정전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서 산화환원반응을 유도시키는 제1 작용부(340) 및 상기 제1 작용부(3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미생물의 번식과 악취 발생을 억제하여 유체를 정수할 수 있도록 금속이온이 용출되며, 산화제가 제공되는 제2 작용부(360)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neration units 340 and 360 are provided on the inlet (I) and outlet (O) sides and generate static electricity by rubbing against the flowing fluid, thereby inducing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It consists of at least one second acting part 360 provided between the first acting part 340, from which metal ions are eluted and an oxidizing agent is provided so that the fluid can be purified by suppressing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and odor generation. can

여기서 상기 제1 작용부(340) 및 상기 제2 작용부(360)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마찰면적을 높이고, 이를 통해서 유체와의 마찰을 통해 정전기를 발생시켜 금속이온 용출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Here,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and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res to allow fluid to pass through, which improves the contact area with the fluid to increase the frictional area.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mount of metal ion elution by generating static electricity through friction with a fluid.

한편, 상기 주입구(I) 및 상기 배출구(O)에서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여 상기 정수모듈(300)의 정수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직경이 가변되는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section having a variable diameter may be formed in the inlet (I) and the outlet (O) to improve the water purifying effect of the water purifying module 300 by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예를 들어, 상기 주입구(I)는 상기 이동유닛(320)을 향해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이동유닛(320)과 결합되기 때문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유체의 이동 면적이 늘어나 유체의 유속이 느려지도록 하여 상기 제1 작용부(340) 및 상기 제2 작용부(360)를 빠르게 통과하면서 정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inlet (I) extends to have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moving unit 320 and is coupled with the moving unit 320, the area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can be increased, which is The movement area is increased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fluid is slowed, so that the water purifying effect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while rapidly passing through the first acting part 340 and the second acting part 360.

아울러 상기 배출구(O)는 상기 이동유닛(320)을 통과한 유체가 보다 멀리 그리고 보다 넓게 확산되어야 전체적인 수중의 정수 효과가 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유닛(320)에서 직경이 좁아지며 연장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면적을 감소시키고, 유속을 높여 유체가 배출되면서 보다 멀리 그리고 넓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O has a narrower diameter and extends in the mobile unit 320 so that the fluid flows through the mobile unit 320 because the overall water purification effect increases only when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mobile unit 320 spreads farther and wid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vailable area and increase the flow rate so that the fluid spreads farther and wider as it is discharged.

즉, 이와 같은 상기 정수모듈(300)의 형상은 상기 이동유닛(3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유체의 이동방향상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hape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based on the center of the moving unit 320 .

보다 상세하게 도 3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수모듈(300)의 내부 배치관계를 설명하면, 상기 주입구(I)와 상기 배출구(O) 사이에 상기 이동유닛(320)이 결합되어 유로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유닛(320) 내부에 상기 제1 작용부(340)가 상기 주입구(I) 및 상기 배출구(O)와 맞닿게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 작용부(340) 사이에는 상기 제2 작용부(340)가 상기 제1 작용부(340)와 맞닿아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3, the internal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ombined to create a flow path,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is located in the moving unit 320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let I and the outlet O, respectively, and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Between them, the second acting portion 340 may be dispos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

즉,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주입구(I), 상기 제1 작용부(340), 복수의 상기 제2 작용부(360), 상기 제1 작용부, 상기 배출구(O)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fluid, the inlet (I),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the plurality of second acting portions 360, the first acting portion, and the outlet (O) may be arranged in this order. can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작용부(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I)측에서 유입되는 유체와 마찰하여 정전기를 발생시켜 산화환원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접촉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다수의 제1 홀(H1)이 형성되며, 둘레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유체가 통과하면서 보다 넓은 면적에서 마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action part 340 generates static electricity by rubbing against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let (I) side to initiate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Because of the induction, a plurality of first holes H1 are form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and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recessed inward so that the fluid can rub over a wider area while passing through.

또한, 상기 제1 작용부(340)는 둘레가 도면상에서 전면과 후면으로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342)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342 protruding so that the circumference extends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in the drawing.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돌기부(342)는 상기 제1 작용부(340)의 둘레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이동유닛(320)의 내측과 맞닿도록 형성되고,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고, 둘레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마찰부(344)가 형성되어 유체와 보다 넓은 면적에서 마찰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rotrusion 342 protrudes out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and is form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oving unit 320, improv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fluid, and A friction part 344 that is recessed inward from the side is formed so that it can rub against the fluid in a wider area.

아울러 상기 돌기부(342)는 상기 이동유닛(320)과 맞닿는 부분이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part 342 may be formed with a protruding member formed so th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oving unit 320 protrudes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여기서 상기 돌기부(342)와 상기 마찰부(344)는 상기 제1 작용부(340)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마찰부(344)는 상기 제1 작용부(340)의 둘레를 기준으로 곡률반경을 가지며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돌기부(342)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protrusion part 342 and the friction part 344 may be sequential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acting part 340, and the friction part 344 is of the first acting part 340. It has a radius of curvature based on the circumference and is recessed inward, and the protrusion 342 may b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한편, 상기 제2 작용부(360)는 상기 이동유닛(320) 내측에서 상기 제1 작용부(340) 사이에 구비되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고,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금속이온과 산화제를 제공하도록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제2 홈(H2)이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acting part 36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cting part 340 inside the moving unit 320, and at least one or mor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designer's intention, and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 second groove H2 through which the fluid can move to provide metal ions and an oxidizing agent may be form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여기서 상기 제2 작용부(360)는 금속이온이 용출되고, 금속이온과 악취로 작용하는 환원성 황화합물과 반응하여 침전을 만들고, 혹은 암모니아와 같은 염기와 착화합물을 만듦으로써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action unit 360 can remove odor by eluting metal ions, reacting with metal ions and reducing sulfur compounds that act as odors to form precipitates, or by forming complex compounds with bases such as ammonia.

또한, 용출된 금속이온을 통해서 산화환원반응을 유도하며,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산화제를 통해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유체를 정수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is induced through the eluted metal ion, and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can be suppressed and the fluid can be purified through an oxidizing agent generated through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작용부(360)의 외측에는 제2 금속층(M2)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이동유닛(320)의 내측에는 상기 제2 금속층(M2)의 금속이온 용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자연 전위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1 금속층(M1)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metal layer M2 may be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acting part 360, and the metal ion elution of the second metal layer M2 may be induced on the inside of the moving unit 320. A first metal layer M1 capable of generating a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may be coa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작용부(340)와 상기 제2 작용부(360)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342)가 돌출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와류공간(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작용부(340)는 이와 같은 와류공간(A)을 다수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작용부(36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and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may have a vortex space 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protruding portion 342, the first The first acting part 34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cond acting part 360, respectively, in order to form a plurality of vortex spaces A.

즉, 상기 제2 작용부(36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작용부(340)는 상기 제2 작용부(360)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a plurality of second acting parts 360 are provided, the first acting part 340 may also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acting parts 360 .

한편, 상기 이동유닛(320)과 상기 제2 작용부(360) 사이에는 전위차 발생을 위한 절연부재로 이루어진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이동유닛(320)과 상기 제2 작용부(360)의 전위차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insulating layer made of an insulating member for generating a potential difference may be formed between the moving unit 320 and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through which the moving unit 320 and the second acting portion ( 360)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제2 작용부(360)의 유체의 이동방향상 양측의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유닛(320)과 이격되어 있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grooves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s of both sides of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so that a spac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unit 320 may be formed.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I)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작용부(340)에 의해 유체와 마찰을 하며 정전기가 발생되고, 상기 마찰부(344)와 상기 제1 홈(H1)을 통해서 상기 제2 작용부(360)로 이동되는 유체가 상기 제2 작용부(360)에 형성된 상기 제2 홈(H2)을 통해 이동되면서 산화제가 발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s shown in FIG. 6, the first acting part 34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nlet (I) rubs against the fluid and generates static electricity, and the friction part 344 And while the fluid moving to the second acting part 360 through the first groove H1 moves through the second groove H2 formed in the second acting part 360, an oxidizing agent may be generated. .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홈(H1)과 상기 제2 홈(H2)은 상기 돌기부(342)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상기 마찰부(344), 상기 제1 홈(H1)의 위치와 상기 제2 홈(H2)의 위치가 반드시 맞물리도록 배치될 필요는 없지만, 상기 제2 홈(H2)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작용부(360)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 상기 제2 홈(H2)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작용부(360)를 구비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6, since the first groove H1 and the second groove H2 are spaced apart by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protrusion 342, the friction part ( 344), the position of the first groove H1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groove H2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aligned, but the second groove H2 must provide a space through which fluid can pass. Therefore, the second acting part 360 may be provided with the second acting part 360 such that the second groove H2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다만,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작용부(360)가 서로 동일한 위치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홀(H2)이 모두 동일한 위상을 갖는다는 것은 사실상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작용부(360)는 도 5의 상기 제2 작용부(36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이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2 홀(H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However, since the second acting portions 360 where a plurality of pores are formed are disposed on the same position, it may be practically difficult for all the second holes H2 to have the same phase, so that the second acting portion ( 360), the second hole H2 may be formed so th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of FIG.

왜냐하면,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홀(H2)이 상하가 대칭되고, 좌우가 대칭된다면 상기 제2 작용부(360)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제2 홀(H2)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 작용부(360)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작용부(360)의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위치시켜도 상기 제2 홀(H2)이 동일 위치로 배치되지 않아 재배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Because, as suggested above, if the second hole H2 is vertically symmetrical and left-right symmetrical, when the second acting part 360 is inser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le H2, Since the second acting part 360 can be inserted, the second hole H2 is not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 even if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acting part 360 is positioned to be the same, thereby solving the inconvenience of rearranging the second acting part 360. It can be done.

이와 같이 상기 제1 작용부(340)와 상기 제2 작용부(360)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와류공간(A)이 형성되면, 상기 주입구(I)를 통과한 유체는 상기 제1 홀(H1)과 상기 마찰부(344)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작용부(360)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홀(H2)로 유입되기 위해서 와류공간(A)에서 상기 제1 작용부(340) 및 상기 제2 작용부(360)와 충돌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and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form the vortex space A by the protrusions,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inlet I passes through the first hole H1. and the friction part 344 to flow into the second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acting part 360, the first acting part 340 and the second acting part 340 and the second It collides with the action part 360,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또한, 유체가 상기 주입구(I)를 통해 주입되고, 상기 배출구(O)를 향해 이동되면, 상기 제1 작용부(340)에서 상기 제1 홀(H1)과 상기 마찰부(344)를 제외한 공간에서는 유체가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유체는 또 다른 유로를 찾기 위해 통과할 수 없는 공간에서 주변으로 퍼지게 되고, 이는 상기 제1 작용부(340)의 둘레방향을 향해서 이동될 수 있다는 뜻이다.In addition, when fluid is injected through the inlet (I) and moved toward the outlet (O), a space excluding the first hole (H1) and the friction part (344) in the first action part (340). Since the fluid cannot pass through in , the fluid spreads to the periphery in the impassable space to find another passage, which means that it can move towar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

즉, 상기 제1 작용부(340)의 둘레방향을 향해서 충돌한 유체가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작용부(340) 둘레에 형성되는 상기 마찰부(344)를 통해 유로를 확보하여 통과하거나, 상기 돌기부(342)에 충돌하며 또 다른 마찰을 발생시켜 보다 효과적인 정전기 발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ile the fluid colli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acting part 340 is moved, a flow path is secured and passed through the friction part 344 formed around the first acting part 340, or the protrusion part 342 and generate another friction, so that more effective static electricity can be generated.

상술한 바를 유체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면, 상기 주입구(I)로 주입되는 유체는 상기 주입구(I)의 직경 확장에 의한 면적증가로 유속이 다소 느려지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주입구(I) 내측으로 이동되는 유체는 상기 제1 작용부(340)에 도달하여 상기 제1 홀(H1)을 제외한 이동경로가 폐쇄되어 제1 작용부(340)와 마찰되며 와류가 발생되고, 유체는 지속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제1 작용부(340)의 둘레방향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돌기부(342)에 마찰되면서 상기 주입구(I)와 상기 제1 작용부(340) 사이에서 제1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If the above is explain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fluid,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jected into the inlet (I) is somewhat slowed due to the area increase due to the diameter expansion of the inlet (I), and through this, the fluid injected into the inlet (I) The moving fluid reaches the first acting part 340 and the movement path except for the first hole H1 is closed, and friction with the first acting part 340 generates vortex, and the fluid continues to move For this purpose, a first vortex may be formed between the inlet I and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while mov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and being rubbed against the protruding portion 342 .

이와 같이 발생된 상기 제1 와류로 인해 상기 제1 작용부(340)와 마찰한 유체는 상기 마찰부(344), 상기 제1 홈(H1)을 통해 상기 제1 작용부(340)와 상기 제2 작용부(360)사이에 상기 돌출부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와류공간(A)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fluid that rubs against the first acting part 340 due to the first vortex generated in this way flows through the friction part 344 and the first groove H1 to the first acting part 340 and the first acting part 340. It can flow into the vortex space (A)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by the distance of the protruding part between the two acting parts 360 .

이와 같이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 작용부(340)와 상기 제2 작용부(360)의 상기 제1 홀(H1)과 상기 제2 홀(H2)이 서로 동일 경로 상에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일부 유체의 이동경로가 차단되고 상기 마찰부(344)로부터 유입되는 일부 유체의 이동경로 역시 차단되며 와류공간(A) 내에서 제2 와류가 발생된다.Since the first hole H1 and the second hole H2 of the first acting part 340 and the second acting part 360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ath, some of the fluid introduced in this way The moving path of the fluid is blocked, and the moving path of some of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riction part 344 is also blocked, and a second vortex is generated in the vortex space (A).

즉, 앞서 설명한 바를 토대로 살펴보면, 상기 돌기부(342)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작용부(340)를 기준으로 유체 이동경로상의 전후면에 와류공간(A)을 형성하여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제1 및 제2 와류가 발생되고, 이를 통해 더 많은 마찰이 발생되어 산화환원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O)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작용부(340)도 상기 제2 작용부(360)와 와류공간(A)에서 와류가 발생되며 제2 작용부(360)의 금속이온이 보다 많이 수용될 수 있다.That is,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protrusion 342 forms a vortex space A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luid movement path based on the first acting part 340, so th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vortices are generated, through which more friction is generated to induce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the first acting part 340 provided on the outlet (O) side is also the second acting part A vortex is generated in the vortex space 360 and the vortex space A, and more metal ions of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can be accommodated.

아울러, 상기 주입구(I)의 상기 제1 작용부(340)는 전면과 후면에서 모두 와류가 발생되지만, 상기 배출구(O)의 상기 제1 작용부(340)는 상기 제2 작용부(360)와 접촉시간을 향상시켜 용출된 금속이온의 수용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상기 배출구(O)와 상기 제1 작용부(340) 사이에서는 미비한 와류가 발생되는 정도이지만, 상기 제1 작용부(340)와 상기 제2 작용부(360) 사이에서는 와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제1 홀(H1)과 상기 제2 홀(H2)을 어긋나게 배치하여 상기 제2 작용부(360)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제1 작용부(340)로 이동되는 상기 와류공간(A)에서 재차 제3 와류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of the inlet (I) generates vortexes at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but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of the outlet (O) is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Since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capacity of the eluted metal ions by improving the contact time with, an insignificant vortex is generated between the outlet (O) and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but the first acting portion 340 ) and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is displaced from the first hole H1 and the second hole H2 so that a vortex is generated. A third vortex may be generated again in the vortex space A moving to the first action unit 340 .

또한, 이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와 같이 상기 제1 작용부(340)가 상기 주입구(I)와 상기 배출구(O)측에 각각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제2 작용부(360)는 상기 와류공간(A)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작용부(320)와 맞닿아 있어야 하고, 상기 제2 작용부(360)가 상기 이동유닛(320)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유체의 이동경로는 상기 제2 홀(H2)을 이용할 수밖에 없고, 좁은 공간에서의 충돌이 보다 높은 와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제1 작용부(340)와 상기 제2 작용부(360)는 맞닿아 있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generate such an effect, the first acting part 340 should be provided at the inlet (I) and the outlet (O), respectively, like the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acting part 360 must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acting part 320 to form the vortex space (A), and the second acting part 360 is the moving unit 320 Since it is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fluid has no choice but to use the second hole H2, and since the collision in a narrow space generates a higher vortex, the first acting part 340 and the second acting part ( 360) may be effective to be in contact.

아울러 상기 배출구(O)에 상기 제1 작용부(340)가 배치되는 것은 유체의 이동경로 상에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작용부(360)의 후면에서는 유체와의 접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전기를 발생시키면서 제3 와류를 발생시켜 유체가 상기 제2 작용부(360)의 후면과도 마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작용부(34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cting part 340 at the outlet O prevents active contact with the fluid at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acting part 360, which is positioned last on the fluid movement path.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first acting part 34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fluid rubs against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acting part 360 by generating a third vortex while generating static electricity.

다만, 상기 제2 작용부(360)가 상기 이동유닛(320) 내측에 다수개 구비되면서 서로의 상기 제2 홀(H2)이 일치하거나 혹은 소정거리 어긋나도록 배치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작용부(360)의 후면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내측 상기 제2 홀(H2)을 통해 유체와 접촉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에 상기 제2 작용부(360)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확보한 상태에서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econd acting parts 360 are disposed inside the moving unit 320 so that the second holes H2 of each other coincide o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ince it is more effective to contact the fluid through the inner second hole H2 rather than using the rear surface of the acting portion 360,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contacts each other while securing the movement path of the fluid. can keep the status quo.

만약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제1 작용부(320)와 상기 제2 작용부(340)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와류공간(A)이 형성되지 않으면, 유체가 재차 마찰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유체 접촉시간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금속이온의 용출량과 유체에 함유량이 저하되어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If the protrusion is not formed and the vortex space (A) formed between the first acting portion 320 and the second acting portion 340 is not formed, the phenomenon of friction of the fluid again does not occur. The fluid contact time is reduced, and accordingly, the elution amount of metal ions and the content in the fluid are reduced, and the effect may be reduc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320)의 내측과 상기 제2 작용부(360)의 외측에는 각각 상기 제1 금속층(M1)과 상기 제2 금속층(M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작용부(340)를 통과하는 유체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통해 상기 제2 금속층(M2)에서 금속이온이 용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etal layer M1 and the second metal layer M2 may be formed inside the moving unit 320 and outside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respectively. Metal ions may be eluted from the second metal layer M2 through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with a fluid passing through the portion 340 .

여기서 상기 제2 금속층(M2)는 상기 제2 작용부(36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홀(H2) 내측에도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second metal layer M2 may be form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acting portion 360 and may also be coated inside the second hole H2.

이와 같이 상기 제2 금속층(M2)이 상기 제2 홈(H2)에도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홀(H2)을 통과하는 유체는 상기 제2 금속층(M2)에서 용출되는 금속이온은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since the second metal layer M2 is also applied to the second groove H2,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le H2 can accommodate metal ions eluted from the second metal layer M2. There is.

예를 들어, 상기 제1 금속층(M1)이 구리금속으로 코팅되어 있고, 상기 제2 금속층(M2)이 아연금속으로 코팅되어 있다면, 구리와 아연의 자연 전위차에 의해서 아연이온이 용출되어 아연이온과 물은 정전기에 의한 전기적 자극에 의해 산화환원반응을 일으키며 산화제인 과산화수소와 아연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metal layer M1 is coated with copper metal and the second metal layer M2 is coated with zinc metal, zinc ions are eluted by the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copper and zinc, and Water causes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by electrical stimulation by static electricity, and can generate hydrogen peroxide and zinc ions, which are oxidizing agents.

또한, 아연이온은 다음에 식(1) 및 식(2)에 나타낸 화학식처럼 악취물질인 황하수소나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황화아연으로 침전하거나 혹은 비휘발성인 아연의 암모니아 착화합물을 만들어 황하수소 및 암모니아를 제거하게 된다.In addition, zinc ions then react with hydrogen sulfide or ammonia, which are odorous substances, as shown in formulas (1) and (2) to precipitate as zinc sulfide or form non-volatile zinc ammonia complexes to remove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will do

Figure 112021006184534-pat00001
식(1)
Figure 112021006184534-pat00001
Equation (1)

Figure 112021006184534-pat00002
식(2)
Figure 112021006184534-pat00002
Equation (2)

여기서 상기 제1 금속층(M1)은 구리를 함유하는 금속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순수 구리일 수 있음은 물론, 구리를 함유하는 합금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metal layer M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al containing copper, and may be pure copper or an alloy containing copper.

바람직한 구리 함유 합금으로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인 황동일 수 있다. A preferred copper-containing alloy may be brass, which is an alloy of copper and zinc.

또한, 상기 황동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아연을 20 내지 40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라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a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itably used as long as it contains zinc in the range of 20 to 40% by weight.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표적인 황동으로서, 아연 함량을 기준으로, 40중량%(사륙황동), 35중량%, 33중량%, 30중량%(삼칠황동), 20중량% 이하의 황동을 들 수 있으며, 아연을 20% 이하의 아연을 함유하는 황동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연의 함량이 적을수록 자연 전위차에 따른 아연이온 용출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limited thereto, representative brasses include 40% by weight (four-brass), 35% by weight, 33% by weight, 30% by weight (three-church brass), and 20% by weight or less of brass based on zinc content, However, brass containing less than 20% zinc may be used. More preferably, as the content of zinc decreases, the amount of zinc ion elution according to the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can be increased.

아울러 상기 제1 금속층(M1)은 구리와 다른 금속과의 합금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metal layer M1 may be an alloy of copper and another metal.

예를 들어, Zn, Mn, Zr, Mg, Ti 및 Al 중 어느 하나의 금속과 구리가 2:8 내지 3:7의 중량비를 갖는 합금일 수 있으며, 이들 금속은 전위차의 크기가 증대되어, 물속의 산소와 만나 산화제인 과산화수소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Zn, Mn, Zr, Mg, Ti, and Al, and copper may be an alloy having a weight ratio of 2:8 to 3:7, and these metals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potential difference, It can combine with oxygen to form hydrogen peroxide, an oxidizing agent.

한편, 상기 제1 금속층(M1)은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니켈로 도금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metal layer M1 may be plated with nickel in order to improve aesthetics.

아울러 상기 제2 금속층(M2)은 상기 제1 금속층(M1)과의 전위차에 의해 유체 내에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는 것으로서, 구리 또는 황동과 자연 전위차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제2 금속층(M2)은 아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metal layer (M2) elutes metal ions in the fluid by a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first metal layer (M1), and any material that can provide a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with copper or brass may be appropriately used, but the above As for 2 metal layers M2,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zinc.

왜냐하면, 아연은 용출되어 물속에 존재하더라도 주변 생태계에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Because zinc does not affect the surrounding ecosystem even though it is eluted and exists in water, it may be preferable to use zinc.

한편, 고체 아연을 진공 챔버 내에서 소성시키고, 상온 냉각시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고체 아연을 400 내지 800℃ 온도 조건에서 소성하여 아연을 용융한 후, 상기 동일한 진공 챔버 내에서 상온으로 냉각시켜 아연 블록을 제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may be preferable to manufacture solid zinc by calcining it in a vacuum chamber and cooling it to room temperature. Specifically, after melting the zinc by calcining the solid zinc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00 to 800 ° C., in the same vacuum chamber It can be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prepare and use a zinc block.

이와 같은 제조과정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가 결합되어 산화아연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자연 전위차에 의한 아연이온 용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Such a manufacturing process may suppress the generation of zinc oxide by combining oxygen present in the air, and may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zinc ion elution due to a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한편, 상기 제1 금속층(M1)과 상기 제2 금속층(M2) 사이에는 상기 제1 금속층(M1)과 상기 제2 금속층(M2)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도록 별도의 절연부재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a separate insulating member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M1 and the second metal layer M2 to separate the first metal layer M1 and the second metal layer M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여기서 상기 절연부재는 공기로 채워지거나 진공상태로 형성되는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층으로 형성되지 않고, 띠 형상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insulat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trips without being formed as a layer so as to form an empty space filled with air or formed in a vacuum state.

이는 상기 절연부재를 층으로 형성하는 것보다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공기로 가득찬 빈 공간이거나 진공상태인 빈 공간에서는 별도의 전해질이 존재하지 않아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거나 전기적 자극이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안전할 수 있다.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compared to forming the insulating member in layers, and in an empty space filled with air or in a vacuum state, there is no separate electrolyte, so electrical signals are exchanged or electrical stimulation is moved. It can be safer because it can't be.

여기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 금속층(M1) 및 상기 제2 금속층(M2) 간에 절연성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그 재질 및 구성에 제한되지 않도록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Here, as long as the insulating member provides insulation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M1 and the second metal layer M2, it may be suitably used without limitation in material and configuration.

예를 들어, 부도체로서의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 세라믹, 불소고무 또는 기타 부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plastics, ceramics, fluororubber or other non-conductors having properties as insulators may be used.

아울러 상기 절연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공성이 양호하고, 절연성이 뛰어나며, 마찰에 의한 정전기적 성질도 우수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member may preferabl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polytetrafluoroethylene, and most preferably has good workability, excellent insulation, and excellent electrostatic properties due to friction. It is preferably polytetrafluoroethylene.

이를 통해 생성된 과산화수소는 녹조류가 먹이로 이용하는 인을 석출할 수 있도록 아연이온과 과산화수소 및 인이 반응하여 인산염을 석출하고, 이를 통해 녹조류의 먹이가 줄어들어 녹조류의 번식을 억제해 녹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hydrogen peroxide generated through this process reacts with zinc ions, hydrogen peroxide and phosphorus to precipitate phosphorus, which green algae use as food, and precipitates phosphate. There is.

보다 상세하게 진행되는 화학식은 아래와 같으며, 식(1)과 같이 아연이온에 의한 1차 반응을 통해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식(2)와 같이 OH 라디칼이 생성되며, 마지막으로 식(3)과 같이 인산염이 석출되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e chemical formula proceeding in detail is as follows, and hydrogen peroxide is generated through the first reaction by zinc ions as shown in formula (1), through which OH radicals are generated as shown in formula (2), and finally formula (3 ), phosphate is precipitated and may have an effect of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Figure 112021006184534-pat00003
식(1)
Figure 112021006184534-pat00003
Equation (1)

Figure 112021006184534-pat00004
식(2)
Figure 112021006184534-pat00004
Equation (2)

Figure 112021006184534-pat00005
식(3)
Figure 112021006184534-pat00005
Equation (3)

제시된 바와 같이 금속이온을 용출함으로써 녹조류의 먹이를 석출하고, 이를 통해 녹조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녹조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만약 녹조현상이 발생 중인 경우에도, 녹조류의 먹이를 지속적으로 석출하기 때문에 녹조류의 번식이 억제되며, 녹조류의 먹이가 줄어들어 녹조를 제거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As suggested, since metal ions are eluted to precipitate food for green algae, and the propagation of green algae can be suppressed through this, the occurrence of algae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propagation of green algae is suppressed, and the feeding of green algae is reduced, thereby causing an effect of removing green algae.

이를 통해 별도의 작동을 위한 비용이나 시간을 투자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수중 내에서 자정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제 2금속층(M2)이 충분하다면 반영구적인 작동도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lf-purify in water without investing time or cost for separate operation, and semi-permanent operation is also possible if the second metal layer (M2) is sufficient.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작용부(340)와 유체의 마찰을 통해 발생되는 정전기는 주변에 수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로 자극적이지 않은 크기이며, 이에 따라 전위차 발생 및 산화환원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전기적 자극이 부족하여 금속이온 용출량이 낮아질 수도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through the friction between the first acting part 340 and the fluid is not irritating enough to affect the surrounding water, thereby generating a potential difference and inducing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he amount of elution of metal ions may be low due to lack of electrical stimulation.

그렇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적은 전기적 자극을 가해 전위차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압공급모듈(6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공급모듈(600)은 양극은 제1 금속층(M1)에 연결되고, 음극은 제2 금속층(M2)에 연결되도록 하면, 전압을 가했을 경우, 제1 금속층(M1)과 제2 금속층(M2)의 전위차가 인위적으로 발생되면서 금속이온의 용출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inforce this, the voltage supply module 600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o generate a potential difference by applying a small electrical stimulus, and the voltage supply module 600 has an anode of the first metal layer M1 ), and the cath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etal layer M2, when a voltage is applied,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M1 and the second metal layer M2 is artificially generated to improve the elution amount of metal ions. can

아울러 상기 정수모듈(300)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유체를 정수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 도 9를 통해서 이를 설명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s 300 are provided to suppress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purifying fluid, this can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9 .

구체적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가 복수개가 연결되는 경우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모듈(30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정수모듈(30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외부 갑판(C)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정수모듈(300)이 지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정수모듈(3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싱모듈(500)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9 , when a plurality of at least on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is formed, a separate external deck C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In addition, a casing module 500 may be form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water purification modules 300 can be supported and to fix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또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모듈(400)의 유압에도 다수의 상기 정수모듈(300)에 공급되는 유체의 양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정수모듈(300)의 주입구 측에서 복수의 상기 정수모듈(300)에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며, 유체가 상기 정수모듈(30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동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제1 팬유닛(F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fluid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water purification modules 300 may be different even i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pump module 400 supplying fluid, a plurality of water purification modules 300 are provided at the inlet side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to compensate for this. A rotating first fan unit F1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amount of fluid supplied 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to reinforce power for the fluid to move inside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

아울러 배출되는 상기 정수모듈(300)의 내부공간을 통과한 유체가 배출구(O)를 통과하며 넓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정수된 유체를 분산시키는 제2 팬유닛(F2)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fan unit F2 may be provided to disperse the purified fluid so that the discharged fluid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ort O and spreads widely.

즉, 펌프모듈(400)이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는 하부 방향을 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흡입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구는 상기 제1 팬유닛(F1)과 연통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uction port through which the pump module 400 sucks fluid may face downward, and the supply port through which the sucked fluid is supplied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fan unit F1.

아울러 상기 정수모듈(300)의 주입구는 상기 제1 팬유닛(F1)과 연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팬유닛(F1)의 회전에 의해 분산된 유체가 균등하게 복수의 상기 정수모듈(300)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fan unit F1, and the fluid dispers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fan unit F1 i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plurality of water purification modules 300. ) can enter.

예를 들어, 상기 정수모듈(300)이 제1 정수모듈(300)과 제2 정수모듈(300)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펌프모듈(40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제1 팬유닛(F1)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제1 팬유닛(F1)은 연통된 상기 제1 및 제2 정수모듈(300)로 유체를 분산시키기 위해 회전되면서 유체를 분산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is provided as shown in FIG. 9 with the first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the second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pump module 400 It is moved toward the first fan unit F1, and the first fan unit F1 can disperse and supply the fluid while being rotated to distribute the fluid to the first and second water purifying modules 300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즉, 유체는 상기 펌프모듈(40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 팬유닛(F1) 내측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정수?류(300)로 분산되어 유입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정수모듈(300)에서 정수되어 각각의 상기 배출구(O)로 이동되며, 상기 제1 정수모듈(300)과 상기 제2 정수모듈(300)의 상기 배출구(O)가 하나로 통합되어 상기 제2 팬유닛(F2)과 연통되어 상기 제2 팬유닛(F2)의 회전에 의해 확산되며 수중에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fluid is introduced through the pump module 400, is branched inside the first fan unit (F1), and is dispersed and introduc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lean water flow (300), 2 Purified water is purified in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moved to the respective outlets O, and the outlets O of the first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the second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re integrated into one, and the second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is integrated into one. It communicates with the fan unit (F2), diffuses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fan unit (F2), and can be discharged into the water.

또한, 상기 배출구(O)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확산되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체의 흐름을 저속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유체의 흐름 면적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배출구(O)가 점차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O) may be formed to gradually widen to improve the flow area of the fluid so that the flow of the fluid can be converted to a low speed to improve the diffusion efficiency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outlet (O). .

제시된 바와 같이 단일로 구비되는 상기 정수모듈(300)로도 유체를 정수할 수 있지만, 다수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정수모듈(300)을 이용함에 불편함이 없으며, 이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펌프모듈(400), 상기 제1 팬유닛(F1), 상기 제2 팬유닛(F2)의 동력을 위한 전력 또는 상술한 구성들을 포함하여 전위차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전압공급모듈(600)만 동작시키면 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성상에서 발생되는 비용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제작된 정수장치나 정화장치보다 높은 효율과 내구성, 지속성, 간편성을 가질 수 있다.As suggested,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provided singly can purify the fluid, but even when there are multiple water purification modules 300,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using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the pump module 400 for maintaining it ), the power for driving the first fan unit F1 and the second fan unit F2 or the voltage supply module 600 for artificially generating a potential differenc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is required to operate. Costs incurred in the overall configuration may have higher efficiency, durability, durability, and simplicity than water purifiers or purifier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한편, 도 10 내지 도 12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실험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10 to 12, it can be confirme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정수 현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시간에 따른 아연과 산화제의 변화량을 도시한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전압의 변화에 따른 시간과 농도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status of water purification of the purification device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are diagrams showing changes in the amount of oxidizing agent and time and concentration graphs according to changes in voltage of the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는 2개씩 설치한 수조를 4가지 분류로 구분하고, 각각의 장치는 아래와 같이 실험 조건을 설정하였다.First, as shown in FIG. 10, in the purificatio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water tank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d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each apparatus are set as follows.

먼저 두 개의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를 모두 OFF한 상태(A), 도면상에서 우측의 유체처리장치만 ON한 상태(B), 도면상에서 좌측의 유체처리장치만 ON한 상태(C), 두 개의 유체처리장치를 모두 ON한 상태(D)로 구분하였으며, 상기 정수모듈(300)의 아연 용출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정수모듈(300)의 용출량을 향상시키는 용액을 도면상에 우측에 해당하는 유체처리장치에만 주입하여 10일이 경과한 이후 이를 관찰한 것이다.First, both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s are turned off (A), only the right fluid treatment device is turned on (B), and only the left fluid treatment device is turned on (C). All of the fluid treatment devices are classified as ON state (D), and in order to improve the zinc elution amount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the solution for improving the elution amount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is applied to the fluid treatment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on the drawing. It was injected only into the device and observed after 10 days had elaps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실험 군의 경우는 녹조가 심하게 진행되어 일반적인 녹조현상을 그대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상기 정수모듈(300)이 가동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남조류의 발생이 억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10,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A), green algae progressed severely, and a general green algae phenomenon was observed as it was. I could hear the sound

아울러 (B)군 및 (C)군의 실험결과 (C)군에서 보다 많은 남조류가 발생되어 (B)군 보다 탁한 녹색을 띄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상기 정수모듈(300)의 이온 용출량을 향상시켜주기 위해 주입한 용액에 의해 차이가 발생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f groups (B) and (C), it was confirmed that more blue-green algae were generated in group (C) and had a more turbid green color than group (B).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solution injected to improve.

마지막으로 (B)군과 유사한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D)군의 경우는 용액이 접종 여부에 상관없이 두 개의 상기 정수모듈(300)을 가동한 상태이므로 남조류의 발생이 확연히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nally, in the case of group (D) showing similar experimental results to group (B),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ccurrence of blue-green algae is significantly different because the two water purification modules 300 are in opera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solution is inoculated or not. could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는 녹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녹조 발생을 억제하거나 녹조가 발생한 것을 제거하는 과정의 시간적 여유만 있다면 친환경적인 유체 필터링이 가능하다는 사실 역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Through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urification device for removing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algae, if there is enough time in the process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algae or removing the occurrence of algae. It will also be confirmed that environmentally friendly fluid filtering is possible.

이는 보다 상세하게 도 11을 참조하여 보면 초기 0Mg/L였던 아연과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2일차에서 아연은 0.34Mg/L, 과산화수소는 0.05Mg/L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4일차까지도 아연과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11,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zinc and hydrogen peroxide, which were initially 0 Mg/L, were 0.34 Mg/L for zinc and 0.05 Mg/L for hydrogen peroxide on the second day.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increased.

이를 통해서 유체에 함유된 아연이온의 농도와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남조류의 번식을 억제하고, 산화제인 과산화수소에 의해 정수가 이루어져 녹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concentration of zinc ions and hydrogen peroxide contained in the fluid increase, suppressing the propagation of blue-green algae, and water purification is performed by hydrogen peroxide as an oxidizing agent,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green algae.

다만, 아연의 용출을 위해 자연전위차를 이용하고 있지만, 조건상으로 전위차를 인위적으로 가해줄 수 있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아연 이온을 용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응성을 향상시켜 보다 많은 과산화수소의 생성을 통해 녹조를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owever, although the natural potential difference is used for the elution of zinc, if the potential difference can be artificially applied under conditions, more zinc ions can be eluted, and thus the reactivity is improved and more hydrogen peroxide is generated to reduce algae bloom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nd preventing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DC)를 8V로 가했을 경우, 직류(DC)를 4V로 가했을 경우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모듈(300)에 전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녹조를 제거하는 것보다 상기 정수모듈(300)에 전력을 가해 가동시키는 경우에 용출량이 보다 확연히 상승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1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a direct current (DC) is applied at 8V or a direct current (DC) is applied at 4V.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elution increased more clearly when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was operated by applying electric power than when the green algae were removed.

한편 유체에 함유된 아연이온은 녹조 발생 혹은 축산폐수 등의 유입으로 황화수소 혹은 암모니아 등의 악취 성분과 반응하여 황화 아연 침전물을 만들거나 4 아민아연 이온과 같은 착화합물을 만듦으로써 악취가수가 유체로부터 나가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일본의 경우 배출수 등에서 발생하는 황화수소 악취를 규제하고 있으며, 예로 주거지역에 흐르는 배출수에 대해서는 유량이 0.001 ㎥/S 이하인 경우 황화수소의 배수 중 허용농도는 0.1 ppm으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zinc ions contained in the fluid react with odorous components such as hydrogen sulfide or ammonia due to the occurrence of algal blooms or the inflow of livestock wastewater to form zinc sulfide precipitates or complex compounds such as 4-amine zinc ions, preventing odorous substances from escaping from the fluid. will suppress In Japan, the odor of hydrogen sulfide from discharged water is regulated. For example, for discharged water flowing in residential areas, if the flow rate is less than 0.001 ㎥/S , the permissibl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in drainage is 0.1 ppm.

본 발명에 있어서 악취제거 장치의 탈취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고체인 Na2S 소량을 물에 녹여 같은 당량의 묽은 염산을 넣어 물속에 황화수소를 발생시킨 후, 수면에서의 황화수소농도를 황화수소 검지관(Kitagawa Gas Detection Tube, 120GR 및 120GY, 검출한계 0.025 - 0.4 ppm, 0.25 - 4 ppm)을 이용하여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황화수소농도가 확인된 물을 동일하게 나눠 각각 수돗물과 본 발명품인 악취제거 장치를 통과시킨 같은 양의 물을 주입하여 수면 위의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수면 위의 암모니아(주거지에서의 악취배출허용기준은 1ppm) 농도가 10 ppm(Kitagawa Gas Detection Tube, 1055D, 검출한계 0.2 - 20 ppm)이 되도록 암모니아수를 만들어 동일한 양의 수돗물과 본 발명품을 통과한 물을 넣었을 때 시간경과에 따른 암모니아 농도변화를 표 1에 함께 제시하였다. 황화수소의 경우 초기 농도로서 악취를 쉽게 느낄 수 있는 1.02 ppm의 물에서의 냄새가 본 발명품을 통과시킨 물을 넣으므로 30분 이내에 전혀 느낄 수 없게 되었다. 암모니아의 경우도 30분 후에는 농도가 반으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시간 후에는 암모니아 냄새가 거의 없어짐을 확인하였다.In order to prove the deodorization performance of the odor removal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mall amount of solid Na2S is dissolved in water and the same amount of dilute hydrochloric acid is added to generate hydrogen sulfide in the water, and then the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at the water surface is measured by a hydrogen sulfide detector tube (Kitagawa Gas Detection Tube, 120GR and 120GY, detection limits 0.025 - 0.4 ppm, 0.25 - 4 ppm) were used to measure the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The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on the water surface was measured by equally dividing the water for which the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was confirmed and injecting tap water and the same amount of water passed through the odor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the same way, ammonia water is made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on the water surface (permissible standard for odor emission in residential areas is 1ppm) is 10 ppm (Kitagawa Gas Detection Tube, 1055D, detection limit 0.2 - 20 ppm), and the same amount of tap water and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duced. Table 1 shows the change in ammonia concentration over time when the passed water was added. In the case of hydrogen sulfide, the smell in water at 1.02 ppm, which can easily feel the odor as an initial concentration, was not felt at all within 30 minutes by adding water pass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mmonia,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 was reduced by half after 30 minut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mell of ammonia almost disappeared after 2 hours.

초기농도(ppm)Initial concentration (ppm) 10분10 minutes 30분30 minutes 1시간1 hours 2시간2 hours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1.021.02 0.100.10 0.025 미만less than 0.025 -- -- 암모니아ammonia 10.510.5 8.58.5 4.64.6 1.21.2 0.80.8

제시된 [표 1]은 수면 위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 제거율에 대한 실험결과이다.본 발명은 골프장 연못에 설치한 경우 녹조가 많이 발생할 때 느낄 수 있었던 독특한 냄새가 본 발명을 설치함으로써 냄새를 느낄 수 없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presented [Table 1]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removal rates on the water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that the unique smell that can be felt when a lot of green algae occurs when installed in a pond at a golf course is no longer felt by installing the present invention. coul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Meanwhile, a purificatio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3 .

구체적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의 전반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verall shape of the green algae and malodor removal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는 앞서 상술한 상기 정수모듈(300) 및 상기 펌프모듈(400)을 사용할 수 있으나, 물가에 설치되어 상기 물가의 일측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고, 상기 물가의 타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보다 확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purification device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the pump module 400 described above, but is installed on a waterside to remove fluid flowing from one side of the waterside. It may be installed more extensively to purify and discharge to the other side of the waterside.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모듈(300)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물가의 일측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내부를 향해 이동되며, 내부의 상기 정수모듈(300)에 의해 유체가 정화되고, 정화된 유체를 상기 물가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정화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 a space is formed so that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can be disposed therein, the fluid introduced from one side of the waterside is moved toward the inside, and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inside It may include a purification module 600 in which the fluid is purified and the purified fluid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of the waterside.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모듈(300)의 상기 배출구(O)는 상기 물가의 타측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주입구(I)는 상기 물가의 일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3 , the discharge port O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may be opene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waterside, and the inlet port I may be open toward one side of the waterside.

여기서 상기 물가의 일측과 상기 물가의 타측은 앞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이 수상에 부유하는 상태에서는 좌우 상하방향 등을 의미할 수 있지만, 물가의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강변 또는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의미할 수도 있다.Here, one side of the water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side may mean left and right up and down directions in a state of floating on wat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when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terside, the riverside or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river. may mean

아울러 상기 주입구(I)측에서는 상기 정수모듈(300), 또는 상기 정화모듈(600)의 내측방향을 향해 유체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펌프모듈(40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ump module 400 providing power to move the fluid toward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or the purification module 60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nlet (I).

아울러 상기 정수모듈(300) 및 상기 펌프모듈(400)의 구성 및 효과, 기능은 앞서 상술한 일 실시예의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와 유사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effect, and func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the pump module 400 may be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of one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앞서 상술한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는 평상시, 즉, 녹조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지속적으로 수질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고, 녹조 발생이 억제되지 않아 급격하게 녹조의 발생이 늘어나기 시작하는 경우에는 녹조 번식과 악취 발생을 억제하도록 가동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forementioned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can be used for continuous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normal times, that is, in a situation where the occurrence of algae is suppressed, and the occurrence of algae is not suppressed, so the occurrence of algae begins to increase rapidly. In this case, it can be operated to suppress the growth of algae and the generation of odor.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에는 다항목 정화처리부(700)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Meanwhile, the purification device for removing green algae and od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ulti-item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4.

여기서 상기 다항목 정화처리부(700)는 상기 정수모듈(300)의 상기 주입구(I)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의 일부를 수집하여 상기 유체 내부의 수질을 검사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모듈(300)의 상기 배출구(O) 측에서는 상기 정수모듈(300)을 통과한 상기 유체의 추가적인 정화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Here, the multi-item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700 collects a part of the fluid moving through the inlet I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to inspect the water quality inside the fluid, and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t the outlet (O) side, additional purification treatment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may be perform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항목 정화처리부(700)는 상기 주입구(I)측에서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채집하여 상기 유체의 수질을 측정하는 센서부(7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7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의 pH농도, 산화환원전위(ORP), 용존산소(DO), 전기전도도, 활성오니부유물질 농도(MLSS), 탁도, 나트륨 농도, 잔여염소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ulti-item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700 may include a sensor unit 720 that collects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let (I) side and measures the water quality of the fluid, and the sensor unit 720 ) can specifically measure the pH concentration,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 dissolved oxygen (DO), electrical conductivity, activated sludge suspended solids concentration (MLSS), turbidity, sodium concentration,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etc. of the fluid.

즉, 상기 센서부(720)는 상기 정수모듈(300)을 통과하기 이전의 수질 농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된 정보를 데이터화 하여 또 다른 디스플레이에 이를 표현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740)와 연동될 수 있다.That is, the sensor unit 720 can grasp the water quality concentration before passing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converts the measured information into data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displayed on another display (740) ) can be associated with.

여기서 상기 통신부(740)는 상기 센서부(720)를 통해서 측정된 정보들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기 위해 또 다른 위치의 단말기에 이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통신부(740)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상기 단말기에 표현하도록 상기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 변환부(D)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74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720 to a terminal in another location in order to output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720 on a display so that a manager can check it, and the terminal includes the communication unit ( 740) may be provided with a data conversion unit (D) that interprets the data to visualize and express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변환부(D)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센서부(720)를 통해 측정했던 상기 유체의 수질정보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정수모듈(300)에 공급되는 전압을 구동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manager can check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the fluid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 720 on the display through the data conversion unit D, and if necessary, the voltage supplied 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can be checked. It can be activated or blocked.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72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유체의 수질 데이터의 상태가 수질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는 상기 정수모듈(300)의 전압을 수동으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유체의 수질을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fluid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 720 has a water quality risk, the manager manually adjusts the voltage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fluid. This will allow for more stable water quality management.

한편, 상기 다항목 정화처리부(70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I)측에서 상기 유체의 수질 데이터를 확보하여 상기 정수모듈(300)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도 있지만, 상기 배출구(O) 측에서 상기 정수모듈(300)을 통과한 유체를 재차 정화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multi-item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700 may secure water quality data of the fluid at the inlet (I) side and adjust the voltage supplied to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but the outlet (O) ) sid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may be purified again.

여기서 상기 다항목 정화처리부(700)에는 상기 정수모듈(300)을 통과한 유체를 추가적으로 정화하기 위한 남조류 및 세균 번식을 억제하기 위한 UV램프부(760) 및 내부에 이끼 등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O)를 통해 유체가 이동되는 것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O)에서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Here, in the multi-item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700, a UV lamp unit 760 for suppressing the propagation of blue-green algae and bacteria for additionally purifying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300 and moss etc. are formed therein so that the outlet (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fluid movement through O),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from the outlet port O may be provided.

이 때,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배출구(O)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O)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어 이동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O) 내측에서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air injection unit injects compressed air toward the outlet (O), the flow of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 i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making it difficult to move. Compressed air can be inject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from the inside of the outlet (O) so as not to interfere.

아울러 상기 에어분사부는 필요에 따라 상기 펌프모듈(400)의 입구에 또 다른 남조류가 형성되어 유체의 흡입에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펌프모듈(400)의 입구에서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unit supplies compressed air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at the inlet of the pump module 400 to prevent other blue-green algae from being formed at the inlet of the pump module 400 and restricting the suction of the fluid, if necessary. can also be sprayed.

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남조류의 번식이나 다양한 폐기물 등에 의해 제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it may be placed in various locations to prevent restrictions caused by breeding of blue-green algae or various wastes,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UV램프부(760)는 상기 배출구(O)를 통과하는 유체에 남조류의 번식을 억제함과 동시에 수질의 정화도를 높이기 위해 유체 속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 등의 번식을 추가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O)를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UV lamp unit 760 suppresses the propagation of blue-green algae in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outlet O and at the same time additionally suppresses the propagation of bacteria contained in the fluid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It may be disposed along the outlet (O).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 matter of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M1: 제1 금속층
M2: 제2 금속층
I: 주입구
O: 배출구
100: 수상부유모듈
200: 연결모듈
300: 정수모듈
320: 이동유닛
340: 제1 작용부
360: 제2 작용부
400: 펌프모듈
500: 케이싱모듈
600: 전압공급모듈
M1: first metal layer
M2: second metal layer
I: inlet
O: Outlet
100: water floating module
200: connection module
300: water purification module
320: mobile unit
340 first acting part
360: second acting part
400: pump module
500: casing module
600: voltage supply module

Claims (10)

수상에 부유되는 수상부유모듈;
상기 수상부유모듈과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향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내부 공간을 이동하면서 유체가 정수되는 정수모듈; 및
수중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정수모듈을 향해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모듈은,
일측에 상기 펌프모듈과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 주입구와 타측에 상기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정수된 유체를 수중으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여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이동유닛 및 유체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유체를 정수하기 위해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산화제를 발생시키는 제공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공유닛은,
상기 주입구 및 상기 배출구에 각각 구비되고, 유체가 유입되면서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시켜 산화환원반응을 유도하며, 유체에 함유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해 유체를 정수하는 제1 작용부 및 상기 제1 작용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유체에 함유된 상기 미생물 번식의 억제 및 유체를 정수할 수 있도록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산화제를 제공하는 제2 작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닛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2 작용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2 금속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작용부는,
둘레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이동유닛의 내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에는 유체 이동방향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작용부와 상기 제2 작용부 사이에 유체가 와류되는 와류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
A water floating module that floats on water;
a water purifying module coupled to the water floating module, allowing fluid to flow into the inner space and purifying the fluid while moving through the inner space; and
A pump module that sucks fluid from the water and provides power to supply the fluid toward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An inlet connected to the pump module to receive fluid is formed on one sid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fluid into the water through the inner space on the other side,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move by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It includes a moving unit that provides and a providing unit that is disposed on the moving path of the fluid and generates an oxidizing agent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o purify the fluid,
The providing unit,
A first action unit provided at each of the inlet and the outlet, inducing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by generating static electricity due to friction as the fluid flows in, and purifying the fluid by suppressing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fluid; and the first At least one or more is provided between the action parts, and includes a second action part that provides an oxidizing agent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o suppress the propagation of th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fluid and to purify the fluid,
A first metal layer formed inside the moving unit and a second metal layer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acting part,
The first action part,
A protruding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circumferenc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oving unit, and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in a fluid moving direction is formed on the protruding portion to form a gap between the first ac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forming a vortex space in which the fluid vortexes,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삭제delete 물가에 배치되고, 상기 물가의 일측에서 내부 공간을 향해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물가의 타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유체가 정수되는 정수모듈;
상기 물가의 일측에서 상기 정수모듈과 연통되며,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정수모듈을 향해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듈; 및
상기 물가의 일측에서 상기 펌프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다량의 유체를 정수하기 위해 다수의 상기 정수모듈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정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모듈은,
상기 물가의 일측에서 유체가 유입되도록 일측이 상기 펌프모듈과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정수된 유체를 상기 물가의 타측을 향해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여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이동유닛 및 유체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유체를 정수하기 위해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산화제를 발생시키는 제공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공유닛은,
상기 주입구 및 상기 배출구에 각각 구비되고, 유체가 유입되면서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시켜 산화환원반응을 유도하며, 유체에 함유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해 유체를 정수하는 제1 작용부 및 상기 제1 작용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유체에 함유된 상기 미생물 번식의 억제 및 유체를 정수할 수 있도록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산화제를 제공하는 제2 작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닛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2 작용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2 금속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작용부는,
둘레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이동유닛의 내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에는 유체 이동방향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작용부와 상기 제2 작용부 사이에 유체가 와류되는 와류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
a water purification module disposed at a waterside, allowing fluid to flow into an inner space from one side of the waterside and purifying the flui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and mov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waterside;
a pump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at one side of the waterside and supplying power to suck fluid and supply the fluid toward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and
A purification module forming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s are disposed to purify a large amount of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pump module at one side of the waterside;
The water purification module,
One side of the waterside is connected to the pump module so that the fluid flows in, and an inlet is formed to receive the fluid, and an outle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o discharge the purified flui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waterside through an internal space, A moving unit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to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can move and a providing unit disposed on the moving path of the fluid and generating an oxidizing agent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o purify the fluid,
The providing unit,
A first action unit provided at each of the inlet and the outlet, inducing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by generating static electricity due to friction as the fluid flows in, and purifying the fluid by suppressing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fluid; and the first At least one or more is provided between the action parts, and includes a second action part that provides an oxidizing agent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o suppress the propagation of th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fluid and to purify the fluid,
A first metal layer formed inside the moving unit and a second metal layer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acting part,
The first action part,
A protruding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circumferenc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oving unit, and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in a fluid moving direction is formed on the protruding portion to form a gap between the first ac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forming a vortex space in which the fluid vortexes,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유닛은,
상기 주입구로 인입되는 유체 또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체의 이동방향을 향해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rovi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towar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so that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or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can pass,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유닛은,
상기 제1 금속층에는 양극이 연결되고, 상기 제2 금속층에는 음극이 연결되며, 상기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금속층으로부터 금속이온 용출이 유도되어 산화제 발생을 촉진시키는 전압 공급모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roviding unit,
An an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layer, a cath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etal layer,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to induce elution of metal ions from the second metal layer to promote generation of an oxidizing ag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voltage supply module,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용부는,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둘레 일부가 내측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악취 제거 정화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act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formed to be depressed toward the inside to improve the contact area with the fluid,
Green algae and odor removal purifier.
KR1020210006633A 2021-01-18 2021-01-18 Green algae and ordor removal purification device KR1024937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633A KR102493732B1 (en) 2021-01-18 2021-01-18 Green algae and ordor removal purif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633A KR102493732B1 (en) 2021-01-18 2021-01-18 Green algae and ordor removal purif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409A KR20220104409A (en) 2022-07-26
KR102493732B1 true KR102493732B1 (en) 2023-01-31

Family

ID=8260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633A KR102493732B1 (en) 2021-01-18 2021-01-18 Green algae and ordor removal purif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73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338B1 (en) * 2015-09-04 2017-11-29 (주)진행워터웨이 Zinc 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528A (en) * 2016-06-17 2017-12-28 이정용 Aquatic contaminator elimination device
KR20180085209A (en) * 2017-01-18 2018-07-26 (주)진행워터웨이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algae in the water
KR20190005554A (en) * 2017-07-07 2019-01-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by dilute hydrogen peroxide solution with zinc electro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338B1 (en) * 2015-09-04 2017-11-29 (주)진행워터웨이 Zinc 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409A (en)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6656C (en)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ti-cancer drug, and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2493732B1 (en) Green algae and ordor removal purification device
CN101172674A (en) Photoelectrochemistry multiple phase catalytic oxidation device for treatment of water
JPWO2019038994A1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and water treatment system
CN104355467A (en) Circulating cooling water filling purification system
JP5466615B2 (en) Water quality improv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idal river
JP2003172465A (en) Two-way check valve
CN205528287U (en) Little biodegradable of environment discharges purifier
CN107473365B (en) High-energy oxygen generating device and water treatment system
JP4908875B2 (en) Water quality improvement device
CN205635034U (en) Self -circulation ozone contact reactor
CN211847172U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CN212222717U (en) Glycerol-containing wastewater treatment integrated device
CN210097384U (en) Integral biological trickling filter deodorization device
CN111320296A (en) Low-cost emulsion purifies regeneration system
JP4848867B2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and sink equipped with the same
KR19980070337A (en) Sewage Treatment Equipment
CN205061805U (en) Bury power sewage treatment plant that declines
CN216395366U (en) Interim integral type sewage precipitation treatment equipment in building site
CN218810649U (en) RO filter core and purifier
CN218709723U (en) Multistage biological treatment device
CN212655635U (en) Integrated high-efficiency sewage treatment equipment
CN220703445U (en) Treatment tank structure
CN209906569U (en) Improved integrated sewage treatment equipment
CN216549837U (en) Circulating water tower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