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600B1 - 아이 트래킹을 이용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 트래킹을 이용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600B1
KR102493600B1 KR1020210183340A KR20210183340A KR102493600B1 KR 102493600 B1 KR102493600 B1 KR 102493600B1 KR 1020210183340 A KR1020210183340 A KR 1020210183340A KR 20210183340 A KR20210183340 A KR 20210183340A KR 102493600 B1 KR102493600 B1 KR 102493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ussion
reading
book
group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삼락
김의영
김상분
Original Assignee
(주)웅진씽크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웅진씽크빅 filed Critical (주)웅진씽크빅
Priority to KR102021018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아이 트래킹을 통해 독서 중에 학습자의 집중도 및/또는 관심도를 진단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집중도 및/또는 관심도를 기준으로 독서 토론 주제를 설정하여 독서 토론을 진행하도록 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 단말에서 아이 트래킹을 통해 생성한 트래킹 정보를 기반으로 토론 주제를 설정하여 토론 그룹의 학습자에게 적합한 토론 주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이 트래킹을 이용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READING DISCUSSION USING EYE-TRACKING}
본 발명은 가상 공간에서 독자들 간의 독서 토론을 지원하는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육은 학교, 학원 등의 장소에서 교수, 교수가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오프라인 학습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전과 환경 변화(예를 들면,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학습의 중요성이 많이 주목받고 있어 학습자가 이동하지 않고 통신을 이용하는 온라인 학습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실제 학습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독서 및 토론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온라인 및/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독서 토론 서비스가 학습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가상공간, AR/VR, 인공지능 등을 이용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독서 토론 서비스에도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독서 토론 서비스들은 학습자들에게 도서를 추천하고, 학습자들이 독서를 완료한 후에 해당 도서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주제로 토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독서 토론 서비스에서는 학습자들이 교사에 의해 미리 준비된 주제로 독서 토론을 진행하게 되며, 교사는 학습자의 집중도를 이해하지 못하고 일방향적인 토론을 진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된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1467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아이 트래킹을 통해 독서 중에 학습자의 집중도 및/또는 관심도를 진단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집중도 및/또는 관심도를 기준으로 독서 토론 주제를 설정하여 독서 토론을 진행하도록 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은 복수의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독서 토론 서비스를 지원하는 독서 토론 지원 서버를 포함하고, 독서 토론 지원 서버는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이 포함된 독서 토론 그룹을 구성하고,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플랫폼 생성 요청을 출력하는 그룹 구성 모듈, 그룹 구성 모듈의 플랫폼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을 연계하는 독서 토론 플랫폼을 생성하고, 독서 토론 플랫폼을 포함한 독서 토론 참여 요청을 전송하고 독서 토론 참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토론 준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도서 설정 요청을 출력하는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의 도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로 복수의 추천 도서를 포함한 도서 선택 요청을 전송하고, 도서 선택 요청에 대한 응답인 토론 대상 도선 선택 정보로부터 검출한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를 토론 대상 도서로 설정하고,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로 토론 대상 도서를 포함한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하는 도서 설정 모듈, 도서 설정 모듈에서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한 후에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복수의 학습 단말로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고, 복수의 학습 단말로부터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인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을 수신하면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에 포함된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저장 쿼리를 출력하는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 및 트래킹 정보의 수집을 완료한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의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트래킹 정보를 근거로 토론 주제를 설정하는 토론 주제 설정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토론 지원 방법은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과 연결된 독서 토로 지원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독서 토론 지원 방법으로, 그룹 구성 모듈에 의해,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로 구성된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플랫폼 생성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에 의해, 플랫폼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을 연계하는 독서 토론 플랫폼을 생성하는 단계,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에 의해,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로 독서 토론 플랫폼을 포함한 독서 토론 참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에 의해, 독서 토론 참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토론 준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도서 설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도서 설정 모듈에 의해, 도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로 복수의 추천 도서를 포함한 도서 선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도서 설정 모듈에 의해, 교사 단말로부터 도서 선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로부터 도서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한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를 토론 대상 도서로 설정하는 단계, 도서 설정 모듈에 의해,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로 토론 대상 도서를 포함한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에 의해, 도서 설정 모듈에서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한 후에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복수의 학습 단말로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에 의해, 복수의 학습 단말로부터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인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을 수신하면,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에 포함된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저장 쿼리를 전송하는 단계, 토론 주제 설정 모듈에 의해, 트래킹 정보의 수집을 완료한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의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트래킹 정보를 근거로 토론 주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아이 트레킹 데이터(즉, 트래킹 정보)를 분석하여 학습자가 집중하는 단어 및/또는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를 근거로 토론 주제를 선정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조금 더 흥미를 갖고 독서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독서 토론 후에 토론 내용을 텍스트 파일 또는 음성 파일로 저장 및 출력할 수 있어 독서 토론 이후에도 해당 토론 장면을 복기하거나 다시 회상해보며 다른 이의 관점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학습자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교사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독서 토론 지원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도 6의 도서 설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는 도 6의 토론 주제 설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토론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도 12의 독서 토론 그룹 구성 및 플랫폼 생성 요청 전송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도 12의 도서 선택 요청 전송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13의 토론 주제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 상대적인 두께, 길이나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은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 교사 데이터베이스(230),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290) 및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독서 토론 서비스에 가입한 학습자에 관련된 정보인 학습자 정보를 저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학습자별로 부여되는 고유 식별자인 학습자 식별자, 학습자 명, 학년 등을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이때,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학습자들에 토론 그룹이 미리 설정된 경우 그룹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교사 데이터베이스(230)는 독서 토론 서비스에 등록된 교사에 관련된 정보인 교사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교사 데이터베이스(230)는 교사별로 부여되는 고유 식별자인 교사 식별자, 교사 명, 교사가 담당하는 그룹의 등급인 담당 등급 등을 포함하는 교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이때, 교사 데이터베이스(230)는 교사들에 토론 그룹이 미리 배정된 경우 그룹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교사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독서 토론을 위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도서에 관련된 정보인 도서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도서별로 부여되는 고유 식별자인 도서 식별자, 도서 명, 도서의 독서 대상인 그룹의 학년(연령)인 권장 학년(연령), 도서에 관련된 토론 주제인 토론 주제, 도서에 포함된 단어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자인 단어 식별자, 도서의 위치, 단어 명 등을 포함한 단어 정보, 도서에 포함된 이미지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자인 이미지 식별자, 이미지의 위치, 이미지 명 등을 포함한 이미지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메타 단어를 포함한 도서 주제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도서 "만화로 떠나는 신화 여행 - 테세우스와 미노타우로스"에는 아래와 같이 2개의 토론 주제가 포함된다.
토론 주제 1) 배의 모든 요소가 교체되어도 여전히 같은 배인가?
토론 주제 2) 정체성을 규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근본인가 변화인가?
이때, 토론 주제 1)은 처음, 구성, 구성요소, 같은, 다른, 보존, 교체, 부분, 원조, 동일, 대신, 수리, 보완 등의 단어를 메타 단어로 포함한다. 토론 주제 2)는 변화, 시간, 결정, 배, 수리, 근본, 점진적 변화, 순간, 근본, 원리, 원래, 처음, 급진적 변화, 정체성, 의미, 규정, 의도, 역설, 본질, 존재, 원형 등의 단어를 메타 단어로 포함한다.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학습자들이 도서를 독서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아이 트래킹 결과인 트래킹 정보를 저장한다.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에서 수집한 학습자의 트래킹 정보를 저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단어 식별자 또는 이미지 식별자, 단어 또는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머문 시간인 시선 머문 시간, 단어 또는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집중된 횟수인 시선 반복 등을 포함하는 트래킹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290)는 학습자들과 교사로 구성된 토론 그룹에서 토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정보인 토론 정보를 저장한다.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290)는 그룹 식별자, 토론 일자, 발언 식별자(학습자 식별자 또는 교사 식별자), 학습자 또는 교사가 독서 토론 시 발언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텍스트 또는 음성을 녹음한 파일인 발언 내용 등을 포함한 토론 정보를 저장한다.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는 교사 단말(110), 학습 단말(120) 및 데이터베이스들(210, 230, 250, 270, 290)과 연계하여 독서 토론 서비스를 제공한다.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는 동일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 단말(120) 및 교사 단말(110)에 이펍 형태의 전자 도서를 제공하여 동시에 독서를 진행하도록 유도한다.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는 전자 도서를 독서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학습자의 아이 트래킹 결과인 트래킹 정보를 학습 단말(120)로부터 수집한다.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는 동일한 토론 그룹에 속한 트래킹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토론 주제를 교사 단말(110)에 제공한다.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는 교사 단말(110)에 의해 선택된 토론 주제를 포함한 독서 토론 플랫폼을 생성하여 동일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 단말(120) 및 교사 단말(110)에 제공한다.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는 독서 토론 플랫폼을 통해 독서 토론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습자 및 교사의 음성을 분석하여 토론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토론 정보는 텍스트로 구성되거나, 음성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는 통신 모듈(310), 그룹 구성 모듈(320),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 도서 설정 모듈(340),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 토론 정보 수집 모듈(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 모듈(310)은 교사 단말(110), 학습 단말(120) 및 데이터베이스들(210, 230, 250, 270, 29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그룹 구성 모듈(320), 도서 설정 모듈(340),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 및 토론 정보 수집 모듈(370)이 교사 단말(110), 학습 단말(120) 및 데이터베이스들(210, 230, 250, 270, 29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 특별한 한정이 없는 경우 통신 모듈(310)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그룹 구성 모듈(320)은 교사 단말(110)과 복수의 학습 단말(120)을 포함하는 독서 토론 그룹을 구성한다. 그룹 구성 모듈(320)은 하나 이상의 교사 식별자 및 복수의 학습자 식별자가 연계된 독서 토론 그룹을 구성한다. 그룹 구성 모듈(320)은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플랫폼 생성 요청을 생성하여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로 전송한다.
일례로, 그룹 구성 모듈(320)은 독서 토론을 주제할 교사의 교사 식별자를 포함한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하여 교사 데이터베이스(230)로 전송한다.
교사 데이터베이스(230)는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에 포함된 교사 식별자를 포함한 교사 정보로부터 그룹 식별자를 검출한다. 교사 데이터베이스(230)는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 응답을 그룹 구성 모듈(320)로 전송한다.
그룹 구성 모듈(320)은 교사 데이터베이스(230)의 응답으로부터 그룹 식별자를 검출한다. 그룹 구성 모듈(320)은 검출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하여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로 전송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에 포함된 그룹 식별자와 연계된 학습자 정보들을 검출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검출한 학습자 정보들로부터 학습자 식별자를 검출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학습자 식별자를 포함한 응답을 그룹 구성 모듈(320)로 전송한다.
그룹 구성 모듈(320)은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의 응답으로부터 학습자 식별자를 검출한다. 그룹 구성 모듈(320)은 기 검출한 그룹 식별자, 교사 식별자 및 학습자 식별자를 포함한 독서 토론 그룹을 생성한다.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은 그룹 구성 모듈(320)의 플랫폼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독서 토론 플랫폼을 생성한다. 독서 토론 플랫폼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은 교사용 독서 토론 플랫폼과 학습자용 독서 토론 플랫폼을 포함하는 토론 플랫폼을 생성한다. 이때, 교사용 독서 토론 플랫폼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독서 영상 및 토론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독서 토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용 독서 토론 플랫폼은 전자 도서와 독서 토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은 독서 토론 플랫폼을 생성한 후에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식별자에 대응하는 교사 단말(110) 및 학습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학습 단말(120)들로 독서 토론 참여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은 독서 토론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는 링크 주소를 포함한 독서 토론 참여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로부터 독서 토론 참여 요청을 수신한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들은 독서 토론 참여 요청에 포함된 링크 주소에 접속하여 독서 토론 플랫폼에 입장한다. 학습 단말(120)들은 아이 트래킹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교사 단말(110)은 독서 토론 플랫폼에 입장한 후 토론 준비 완료 메시지를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로 전송한다. 학습 단말(120)들은 아이 트래킹 캘리브레이션을 완료한 후 토론 준비 완료 메시지를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로 전송한다.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은 독서 토론 플랫폼을 생성한 후에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들로부터 토론 준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도서 설정 요청을 생성하여 도서 설정 모듈(340)로 전송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도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추천 도서를 설정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복수의 추천 도서를 포함한 도서 선택 요청을 생성하여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교사 단말(110)로 전송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도서 설정 요청으로부터 독서 토론 그룹을 검출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학습자 식별자들을 검출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검출한 학습자 식별자들을 포함한 학년(연령)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하여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로 전송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도서 설정 모듈(340)의 학년(연령)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학년(연령)을 검출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학년(연령) 검출 요청 쿼리로부터 학습자 식별자들을 검출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검출한 학습자 식별자들을 포함한 학습자 정보들을 검출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검출한 학습자 정보들로부터 학년(연령)을 검출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검출한 학년(연령)을 포함한 응답을 도서 설정 모듈(340)로 전송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의 응답으로부터 학년(연령)을 검출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검출한 학년(연령)을 근거로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학년(연령) 평균값을 산출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학년(연령) 평균값을 포함한 추천 도서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하여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로 전송한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도서 설정 모듈(340)의 추천 도서 검출 요청 쿼리로부터 학년(연령) 평균값을 검출한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학년(연령) 평균값과 근사값을 갖는 권장 학년(연령)을 포함한 도서 정보들을 검출한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검출한 도서 정보들을 포함한 응답을 도서 설정 모듈(340)로 전송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의 응답으로부터 도서 정보들을 검출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검출한 도서 정보들을 포함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을 생성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토론 그룹으로부터 교사 식별자를 검출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교사 식별자에 대응하는 교사 단말(110)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을 전송한다.
교사 단말(110)은 도서 설정 모듈(340)의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에 응답하여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으로부터 도서 정보들을 검출한다. 교사 단말(110)은 도서 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하여 교사에게 토론 대상 도서의 선택을 요청한다.
교사에 의해 도서 정보들 중에서 하나가 토론 대상 도서로 선택되면, 교사 단말(110)은 토론 대상 도서의 도서 식별자를 검출한다. 교사 단말(110)은 도서 식별자를 포함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도서 설정 모듈(340)로 전송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교사 단말(110)의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토론 대상 도서를 설정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로부터 도서 식별자를 검출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를 토론 대상 도서로 설정한다.
한편,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교사 단말(110)의 도서 선택 정보를 근거로 독서 토론 그룹의 토론 대상 도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도서 설정 모듈(340)은 교사 단말(110)로부터 도서 식별자를 포함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로부터 도서 식별자를 검출하고,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를 토론 대상 도서로 설정한다.
토론 대상 도서의 설정이 완료되면, 도서 설정 모듈(340)은 토론 대상 도서로 설정된 전자 도서를 독서할 수 있는 페이지의 링크 주소를 포함한 독서 개시 요청을 생성한다. 이때, 도서를 독서할 수 있는 페이지는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에서 생성된 독서 토론 플랫폼에 포함된 것을 일례로 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식별자에 대응하는 교사 단말(110)로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학습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학습 단말(120)로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은 도서 설정 모듈(340)의 독서 개시 요청에 응답하여 독서 개시 요청에 포함된 링크 주소에 접속한다. 그에 따라,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에는 전자 도서가 출력되고,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이 전자 도서를 동시에 독서하게 된다. 이때, 전자 도서는 독서 토론 플랫폼 상에서 오디오가 출력되는 이펍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학습 단말(120)은 전자 도서의 출력과 함께 학습자에 대한 아이 트래킹을 수행하여 트래킹 정보를 생성한다.
학습 단말(120)은 출력되는 전자 도서의 단어별로 시선이 머무르는 시간(즉, 시선 머문 시간), 단어에 학습자의 시선이 집중된 횟수(즉, 시선 반복)를 포함하는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학습 단말(120)은 출력되는 전자 도서의 이미지별로 시선이 머무르는 시간(즉, 시선 머문 시간),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집중된 횟수(즉, 시선 반복)를 포함하는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이때, 학습 단말(120)은 단어 식별자 또는 이미지 식별자와 시선 머문 시간 및 시선 반복을 포함한 트래킹 정보를 생성한다.
학습 단말(120)은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 즉,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의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및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을 생성한다. 학습 단말(120)은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을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로 전송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한 후에 트래킹 정보 수집 요청을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트래킹 정보 수집 요청을 생성하여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로 전송한다.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한 후에 도서 정보의 출력이 완료되면(즉, 독서가 완료되면), 도서 설정 모듈(340)은 토론 주제 추천 요청을 생성하여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로 전송한다.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은 도서 설정 모듈(340)의 트래킹 개시 요청에 응답하여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 단말(120)들로부터 트래킹 정보를 수집한다.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은 트래킹 정보의 수집이 완료되면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로 토론 주제 설정 요청을 전송한다.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은 전자 도서를 출력 중인 학습 단말(120)들로 설정 주기 간격으로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은 전자 도서의 출력이 완료된 학습 단말(120)들로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을 수신하면,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은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으로부터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및 트래킹 정보를 검출한다.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은 학습자 식별자 및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저장 쿼리를 생성하여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로 전송한다.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의 트래킹 정보 저장 쿼리에 응답하여 트래킹 정보 저장 쿼리로부터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및 트래킹 정보를 검출한다.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및 트래킹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의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추천 토론 주제를 설정하고, 교사 단말(110)로 추천 토론 주제를 전송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의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그룹 식별자 및 학습자 식별자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를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로 전송한다. 이때,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모든 학습자들에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를 순차적으로 생성 및 전송한다.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의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로부터 그룹 식별자 및 학습자 식별자를 검출한다.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검출한 그룹 식별자 및 학습자 식별자에 연계된 트래킹 정보를 검출하여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로 전송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의 응답으로 트래킹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근거로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생성한다. 즉,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를 학습자별로 구분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에 포함된 시선 머문 시간 및 시선 반복을 기준으로 한 단어(즉, 단어 식별자) 및 이미지(즉, 이미지 식별자)의 최빈값으로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생성한다.
일례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한 학습자의 시선 머는 시간 및 시선 반복을 기준으로 단어를 오름차순으로 배치하고, 각 단어 및 이미지에 우선 순위를 설정한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생성한다. 교사 단말(110)은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포함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도서 식별자를 포함한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하여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로 전송한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의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로부터 도서 식별자를 검출한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검출한 도서 식별자에 연계된 복수의 토론 주제를 검출한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복수의 토론 주제를 포함한 추천 토론 주제를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로 전송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의 응답으로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추천 토론 주제를 수신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추천 토론 주제로부터 복수의 토론 주제를 검출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토론 주제에 포함된 메타 단어들과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비교하여 복수의 토론 주제에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이때, 도 10을 참조하면,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우선 순위가 높은 단어/이미지를 메타 단어로 많이 포함할수록 토론 주제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한다. 다시 말해,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학습자가 오래 많이 본 단어를 메타 단어로 포함하는 토론 주제일수록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토론 주제가 갖고 있는 메타 단어들에 시선이 오래 자주 머문 것을 우선 순위로 두어 상대적으로 선호하는 토론 주제로 판단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우선 순위를 근거로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설정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복수의 토론 주제와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표시한 페이지의 링크 주소를 포함한 토론 주제 설정 요청을 생성하여 교사 단말(110)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110)은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의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링크 주소를 검출하고, 링크 주소에 접속하여 복수의 토론 주제와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표시한다. 교사는 교사 단말(110)에 표시된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확인하고 복수의 토론 주제 중에 하나를 토론 주제로 선택한다. 그에 따라, 교사 단말(110)은 교사에 의해 선택된 토론 주제를 포함한 토론 주제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110)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가 높은 토론 주제를 선택할 수도 있다.
교사 단말(110)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가 모두 다르거나 어느 하나로 결정되지 않는 경우 임의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교사는 토론 주제와 관련한 부분(즉, 단어, 이미지)에 시선을 오래 둔 학습자를 중심으로 발언권을 주고 생각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질의 응답을 진행하도록 유도한다. 교사는 학습자들 중 너무 빠르게 읽거나 너무 천천히 읽는 학습자에게 우선 순위를 낮게 설정하고, 학습자들 대비 상대적으로 전체 페이지를 중간속도로 꾸준히 읽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토론을 할 수 있도록 유도 한다. 이를 위해, 도 11을 참조하면, 독서 토론 플랫폼은 교사 단말(110)에 토론 주제에 선호도가 높은 학습자를 표시할 수 있다.
교사 단말(110)은 독서 토론이 완료되면, 토론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 즉, 토론 정보 수집 모듈(370))로 전송한다.
독서 토론 플랫폼을 통해 독서 토론에 참여한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은 교사 식별자 또는 학습자 식별자, 교사 또는 학습자가 발언한 음성 및 또는 텍스트를 포함한 토론 정보를 생성한다.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은 독서 토론이 종료된 시점에 토론 정보를 토론 정보 수집 모듈(370)로 전송한다.
토론 정보 수집 모듈(370)은 교사 단말(110) 또는 학습 단말(120)의 토론 종료 메시지에 응답하여 토론 정보 전송 요청을 생성한다. 토론 정보 수집 모듈(370)은 토론 그룹에 속한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로 토론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학습 단말(120) 및 교사 단말(110)은 토론 정보 수십 모듈의 토론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학습자 식별자 또는 교사 식별자와 토론 정보를 토론 정보 수집 모듈(37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독서 토론 시 학습자가 토론한 음성, 음성으로부터 변환된 텍스트 등을 포함한 독서 토론 정보를 저장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 트래킹을 이용한 독서 토론 지원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그룹 구성 모듈(320)은 교사 단말(110)과 복수의 학습 단말(120)을 포함하는 독서 토론 그룹을 구성하고,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플랫폼 생성 요청을 생성하여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로 전송한다(S110). 이때, 그룹 구성 모듈(320)은 하나 이상의 교사 식별자 및 복수의 학습자 식별자가 연계된 독서 토론 그룹을 구성한다.
일례로, 도 14를 참조하면, 그룹 구성 모듈(320)은 독서 토론을 주제할 교사의 교사 식별자를 포함한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하여 교사 데이터베이스(230)로 전송한다(S111).
교사 데이터베이스(230)는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에 포함된 교사 식별자를 포함한 교사 정보로부터 그룹 식별자를 검출한다(S112). 교사 데이터베이스(230)는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 응답을 그룹 구성 모듈(320)로 전송한다.
그룹 구성 모듈(320)은 교사 데이터베이스(230)의 응답으로부터 검출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하여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로 전송한다(S113).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에 포함된 그룹 식별자와 연계된 학습자 정보들을 검출하고, 검출한 학습자 정보들로부터 학습자 식별자를 검출한다(S114).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학습자 식별자를 포함한 응답을 그룹 구성 모듈(320)로 전송한다.
그룹 구성 모듈(320)은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의 응답으로부터 검출한 학습자 식별자와 그룹 식별자 및 교사 식별자를 포함한 독서 토론 그룹을 생성한다(S115).
그룹 구성 모듈(320)은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플랫폼 생성 요청을 생성하여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로 전송한다(S116).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은 그룹 구성 모듈(320)의 플랫폼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독서 토론 플랫폼을 생성한다(S120). 일례로,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은 교사용 독서 토론 플랫폼과 학습자용 독서 토론 플랫폼을 포함하는 토론 플랫폼을 생성한다. 이때, 교사용 독서 토론 플랫폼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독서 영상 및 토론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독서 토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용 독서 토론 플랫폼은 전자 도서와 독서 토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은 독서 토론 플랫폼을 생성한 후에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식별자에 대응하는 교사 단말(110) 및 학습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학습 단말(120)들로 독서 토론 참여 요청을 전송한다(S130). 일례로,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은 독서 토론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는 링크 주소를 포함한 독서 토론 참여 요청을 전송한다. 독서 토론 참여 요청을 수신한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들은 독서 토론 참여 요청에 포함된 링크 주소에 접속하여 독서 토론 플랫폼에 입장한다. 학습 단말(120)들은 아이 트래킹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교사 단말(110)은 독서 토론 플랫폼에 입장한 후 토론 준비 완료 메시지를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로 전송한다. 학습 단말(120)들은 아이 트래킹 캘리브레이션을 완료한 후 토론 준비 완료 메시지를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로 전송한다.
독서 토론 참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들로부터 토론 준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S140; 예),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은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도서 설정 요청을 생성하여 도서 설정 모듈(340)로 전송한다(S150).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도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추천 도서를 포함한 도서 선택 요청을 생성하여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교사 단말(110)로 전송한다(S160).
도 15를 참조하면,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도서 설정 요청으로부터 독서 토론 그룹을 검출하고,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학습자 식별자들을 검출한다(S161).
도서 설정 모듈(340)은 검출한 학습자 식별자들을 포함한 학년(연령)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하여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로 전송한다(S162).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도서 설정 모듈(340)의 학년(연령)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학년(연령)을 검출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학년(연령) 검출 요청 쿼리로부터 학습자 식별자들을 검출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검출한 학습자 식별자들을 포함한 학습자 정보들을 검출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검출한 학습자 정보들로부터 학년(연령)을 검출한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는 검출한 학년(연령)을 포함한 응답을 도서 설정 모듈(340)로 전송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10)의 응답으로부터 학년(연령)을 검출하고,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학년(연령) 평균값을 산출한다(S163).
도서 설정 모듈(340)은 학년(연령) 평균값을 포함한 추천 도서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하여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로 전송한다(S164).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도서 설정 모듈(340)의 추천 도서 검출 요청 쿼리로부터 학년(연령) 평균값을 검출한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학년(연령) 평균값과 근사값을 갖는 권장 학년(연령)을 포함한 도서 정보들을 검출한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검출한 도서 정보들을 포함한 응답을 도서 설정 모듈(340)로 전송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의 응답으로부터 검출한 도서 정보들을 포함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을 생성한다(S165).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토론 그룹의 교사 단말(110)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을 전송한다(S166). 즉,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토론 그룹으로부터 교사 식별자를 검출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교사 식별자에 대응하는 교사 단말(110)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을 전송한다.
교사 단말(110)은 도서 설정 모듈(340)의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에 응답하여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으로부터 도서 정보들을 검출한다. 교사 단말(110)은 도서 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하여 교사에게 토론 대상 도서의 선택을 요청한다. 교사에 의해 도서 정보들 중에서 하나가 토론 대상 도서로 선택되면, 교사 단말(110)은 토론 대상 도서의 도서 식별자를 검출한다. 교사 단말(110)은 도서 식별자를 포함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도서 설정 모듈(340)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110)로부터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가 입력(전송)되면(S170; 예), 도서 설정 모듈(340)은 교사 단말(110)의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토론 대상 도서를 설정한다(S180). 도서 설정 모듈(340)은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로부터 검출한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를 토론 대상 도서로 설정한다.
이때,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교사 단말(110)의 도서 선택 정보를 근거로 독서 토론 그룹의 토론 대상 도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도서 설정 모듈(340)은 교사 단말(110)로부터 도서 식별자를 포함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로부터 도서 식별자를 검출하고,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를 토론 대상 도서로 설정한다.
토론 대상 도서의 설정이 완료되면,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들로 토론 대상 도서에 대한 독서 개시 요청을 생성하여 전송한다(S190). 이때, 도서 설정 모듈(340)은 토론 대상 도서로 설정된 전자 도서를 독서할 수 있는 페이지의 링크 주소를 포함한 독서 개시 요청을 생성한다. 도서를 독서할 수 있는 페이지는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330)에서 생성된 독서 토론 플랫폼에 포함된 것을 일례로 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식별자에 대응하는 교사 단말(110)과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학습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학습 단말(120)로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한다.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은 도서 설정 모듈(340)의 독서 개시 요청에 응답하여 독서 개시 요청에 포함된 링크 주소에 접속하여 전자 도서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독서 토론 플랫폼 상에서 오디오가 출력되는 이펍 형태로 전자 도서가 출력되며,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이 전자 도서를 동시에 독서하게 된다.
이때, 학습 단말(120)은 전자 도서의 출력과 함께 학습자에 대한 아이 트래킹을 수행하여 트래킹 정보를 생성한다. 학습 단말(120)은 출력되는 전자 도서의 단어별로 시선이 머무르는 시간(즉, 시선 머문 시간), 단어에 학습자의 시선이 집중된 횟수(즉, 시선 반복)를 포함하는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학습 단말(120)은 출력되는 전자 도서의 이미지별로 시선이 머무르는 시간(즉, 시선 머문 시간),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집중된 횟수(즉, 시선 반복)를 포함하는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이때, 학습 단말(120)은 단어 식별자 또는 이미지 식별자와 시선 머문 시간 및 시선 반복을 포함한 트래킹 정보를 생성한다.
도서 설정 모듈(340)은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한 후에 트래킹 정보 수집 요청을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트래킹 정보 수집 요청을 생성하여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로 전송한다.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은 도서 설정 모듈(340)의 트래킹 개시 요청에 응답하여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 단말(120)들로부터 트래킹 정보를 수집한다(S200). 즉,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은 전자 도서를 출력 중인 학습 단말(120)들로 설정 주기 간격으로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건, 전자 도서의 출력이 완료된 학습 단말(120)들로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학습 단말(120)은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 즉,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의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및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을 생성한다. 학습 단말(120)은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을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로 전송한다.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을 수신하면(S210; 예),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은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으로부터 검출한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및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저장 쿼리를 생성하여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로 전송한다(S220). 그에 따라,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의 트래킹 정보 저장 쿼리에 응답하여 트래킹 정보 저장 쿼리로부터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및 트래킹 정보를 검출한다.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및 트래킹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트래킹 정보의 수집을 완료한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의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추천 토론 주제를 설정한다(S230).
도 16을 참조하면,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350)의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그룹 식별자 및 학습자 식별자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한다(S231).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를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로 전송한다. 이때,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모든 학습자들에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를 순차적으로 생성 및 전송한다.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의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로부터 그룹 식별자 및 학습자 식별자를 검출한다.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검출한 그룹 식별자 및 학습자 식별자에 연계된 트래킹 정보를 검출하여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로 전송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의 응답으로 트래킹 정보를 근거로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생성한다(S232). 즉,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를 학습자별로 구분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트래킹 정보에 포함된 시선 머문 시간 및 시선 반복을 기준으로 한 단어(즉, 단어 식별자) 및 이미지(즉, 이미지 식별자)의 최빈값으로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생성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도서 식별자를 포함한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를 생성하여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로 전송한다(S233).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의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로부터 도서 식별자를 검출한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검출한 도서 식별자에 연계된 복수의 토론 주제를 검출한다.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복수의 토론 주제를 포함한 추천 토론 주제를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로 전송한다.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의 응답으로 추천 토론 주제를 수신하면(S234; 예),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추천 토론 주제로부터 복수의 토론 주제를 검출한다(S235).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토론 주제에 포함된 메타 단어들과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비교하여 복수의 토론 주제에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S236). 이때,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우선 순위가 높은 단어/이미지를 메타 단어로 많이 포함할수록 토론 주제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한다. 다시 말해,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학습자가 오래 많이 본 단어를 메타 단어로 포함하는 토론 주제일수록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토론 주제가 갖고 있는 메타 단어들에 시선이 오래 자주 머문 것을 우선 순위로 두어 상대적으로 선호하는 토론 주제로 판단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우선 순위를 근거로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설정한다(S237).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우선 순위가 높을수록 학습자가 선호하는 토론 주제로 판단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토론 주제를 학습자의 선호 토론 주제로 설정한다.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은 복수의 토론 주제와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표시한 페이지의 링크 주소를 포함한 토론 주제 설정 요청을 생성하여 교사 단말(110)로 전송한다(S238).
교사 단말(110)은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의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링크 주소를 검출하고, 링크 주소에 접속하여 복수의 토론 주제와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표시한다. 교사는 교사 단말(110)에 표시된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확인하고 복수의 토론 주제 중에 하나를 토론 주제로 선택한다. 교사 단말(110)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가 높은 토론 주제를 선택할 수도 있다. 교사 단말(110)은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가 모두 다르거나 어느 하나로 결정되지 않는 경우 임의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교사 단말(110)은 교사에 의해 선택된 토론 주제를 포함한 토론 주제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토론 주제 설정 모듈(360)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110)에서 토론 주제가 설정됨에 따라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단말(120)은 토론을 개시한다. 이때, 교사는 토론 주제와 관련한 부분(즉, 단어, 이미지)에 시선을 오래 둔 학습자를 중심으로 발언권을 주고 생각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질의 응답을 진행하도록 유도한다.
교사는 학습자들 중 너무 빠르게 읽거나 너무 천천히 읽는 학습자에게 우선 순위를 낮게 설정하고, 학습자들 대비 상대적으로 전체 페이지를 중간속도로 꾸준히 읽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토론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독서 토론 플랫폼은 교사 단말(110)에 토론 주제에 선호도가 높은 학습자를 표시할 수 있다.
독서 토론 플랫폼을 통해 독서 토론에 참여한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은 교사 식별자 또는 학습자 식별자, 교사 또는 학습자가 발언한 음성 및 또는 텍스트를 포함한 토론 정보를 생성한다.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은 독서 토론이 종료된 시점에 토론 정보를 토론 정보 수집 모듈(370)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110)은 독서 토론이 완료되면, 토론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독서 토론 지원 서버(300; 즉, 토론 정보 수집 모듈(370))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110) 및/또는 학습 단말(120)의 토론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S240; 예), 독서 정보 수집 모듈은 토론 정보 전송 요청을 생성하고, 토론 그룹에 속한 교사 단말(110) 및 학습 단말(120)로 토론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S250). 학습 단말(120) 및 교사 단말(110)은 토론 정보 수십 모듈의 토론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학습자 식별자 또는 교사 식별자와 토론 정보를 토론 정보 수집 모듈(370)로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학습자 데이터베이스 230: 교사 데이터베이스
250: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 270: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
290: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 300: 독서 토론 지원 서버
310: 통신 모듈 320: 그룹 구성 모듈
330: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 340: 도서 설정 모듈
350: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 360: 토론 주제 설정 모듈
370: 토론 정보 수집 모듈

Claims (17)

  1. 복수의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독서 토론 서비스를 지원하는 독서 토론 지원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독서 토론 지원 서버는,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이 포함된 독서 토론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플랫폼 생성 요청을 출력하는 그룹 구성 모듈;
    상기 그룹 구성 모듈의 플랫폼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상기 교사 단말 및 상기 복수의 학습 단말을 연계하는 독서 토론 플랫폼을 생성하고, 상기 독서 토론 플랫폼을 포함한 독서 토론 참여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독서 토론 참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토론 준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도서 설정 요청을 출력하는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
    상기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의 상기 도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로 복수의 추천 도서를 포함한 도서 선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도서 선택 요청에 대한 응답인 토론 대상 도선 선택 정보로부터 검출한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를 토론 대상 도서로 설정하고,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로 상기 토론 대상 도서를 포함한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하는 도서 설정 모듈;
    상기 도서 설정 모듈에서 상기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한 후에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상기 복수의 학습 단말로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학습 단말로부터 상기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인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에 포함된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저장 쿼리를 출력하는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 및
    트래킹 정보의 수집을 완료한 상기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의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트래킹 정보를 근거로 토론 주제를 설정하는 토론 주제 설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토론 주제 설정 모듈은,
    상기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의 상기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모든 학습자들에 대한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되, 그룹 식별자 및 학습자 식별자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를 전송하고,
    상기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트래킹 정보로부터 단어 또는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머문 시간인 시선 머문 시간 및 단어 또는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집중된 횟수인 시선 반복을 검출하고, 상기 트래킹 정보로부터 검출한 시선 머문 시간 및 시선 반복을 기준으로 한 단어 식별자 및 이미지 식별자의 최빈값을 근거로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생성하고,
    도서 식별자를 포함한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추천 토론 주제로부터 복수의 토론 주제를 검출하고, 토론 주제에 포함된 메타 단어들과 상기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토론 주제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토론 주제에 대한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설정하고,
    상기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포함한 토론 주제 설정 요청을 상기 교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교사 단말로부터 상기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인 토론 주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토론 주제 선택 정보에 포함된 토론 주제를 상기 독서 토론 그룹의 토론 주제로 설정하는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 모듈은,
    교사 식별자를 포함한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를 출력하고, 상기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검출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를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검출한 학습자 식별자와 상기 그룹 식별자 및 상기 교사 식별자를 포함한 독서 토론 그룹을 생성하는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설정 모듈은,
    상기 도서 설정 요청으로부터 검출한 독서 토론 그룹으로부터 검출한 학습자 식별자들을 포함한 학년(연령) 검출 요청 쿼리를 전송하고, 상기 학년(연령)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검출한 학년(연령)의 평균값인 학년(연령)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학년(연령) 평균값을 포함한 추천 도서 검출 요청 쿼리를 전송하고, 상기 추천 도서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검출한 도서 정보들을 포함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을 상기 교사 단말로 전송하는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은 상기 학습 단말에서 아이 트래킹을 통해 수집된 정보인 트래킹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트래킹 정보는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단어 식별자 및/ 또는 이미지 식별자, 단어 및/또는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머문 시간인 시선 머문 시간, 단어 및/또는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집중된 횟수인 시선 반복을 포함하는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토론 지원 서버는,
    상기 토론 주제 설정 모듈에 의해 설정된 토론 주제로 독서 토론을 진행한 교사 단말 및/또는 학습 단말로 토론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로 토론 정보를 수집하는 독서 정보 수집 모듈을 더 포함하는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독서 토론 서비스에 가입한 학습자학습자 식별자, 학년(연령) 및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그룹 구성 모듈의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에 포함된 그룹 식별자와 연계된 학습자 정보들로부터 검출한 학습자 식별자를 포함한 응답을 상기 그룹 구성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도서 설정 모듈의 학년(연령)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학습자들의 학년(연령)을 포함한 응답을 상기 도서 설정 모듈로 전송하는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독서 토론 서비스에 등록된 교사의 교사 식별자 및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교사 정보를 저장하는 교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그룹 구성 모듈의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상기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의 교사 식별자를 포함한 교사 정보로부터 검출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 응답을 상기 그룹 구성 모듈로 전송하는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독서 토론을 위해 제공되는 도서의 도서 식별자, 권장 학년(연령), 복수의 토론 주제, 메타 단어, 단어 식별자 및 이미지 식별자를 포함하는 도서 정보를 저장하는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서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도서 설정 모듈의 추천 도서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상기 추천 도서 검출 요청 쿼리의 학년(연령) 평균값과 근사값을 갖는 권장 학년(연령)을 포함한 도서 정보들을 포함한 응답을 상기 도서 설정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토론 주제 설정 모듈의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상기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의 도서 식별자에 연계된 복수의 토론 주제를 포함한 추천 토론 주제를 상기 토론 주제 설정 모듈로 전송 하는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도서를 독서하는 과정에서 학습 단말에서 수행된 아이 트래킹 결과인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단어 식별자 및/또는 이미지 식별자, 시선 머문 시간 및 시선 반복을 포함한 트래킹 정보를 저장하는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래킹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토론 주제 설정 모듈의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에 응답하여 상기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의 그룹 식별자 및 학습자 식별자에 연계된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응답을 상기 토론 주제 설정 모듈로 전송하는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독서 토론 그룹에서 토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 또는 교사가 독서 토론 시 발언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텍스트 및 음성을 녹음한 파일 중에 적어도 하나를 그룹 식별자, 토론 일자, 발언 식별자와 연계한 토론 정보를 저장하는 토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12.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과 연결된 독서 토로 지원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독서 토론 지원 방법에 있어서,
    그룹 구성 모듈에 의해, 상기 교사 단말 및 상기 복수의 학습 단말로 구성된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플랫폼 생성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에 의해, 상기 플랫폼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을 연계하는 독서 토론 플랫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에 의해,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로 상기 독서 토론 플랫폼을 포함한 독서 토론 참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토론 플랫폼 제공 모듈에 의해, 상기 독서 토론 참여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토론 준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도서 설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도서 설정 모듈에 의해, 상기 도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로 복수의 추천 도서를 포함한 도서 선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서 설정 모듈에 의해, 상기 교사 단말로부터 상기 도서 선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정보로부터 도서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한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를 토론 대상 도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도서 설정 모듈에 의해,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 단말로 상기 토론 대상 도서를 포함한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에 의해, 상기 도서 설정 모듈에서 독서 개시 요청을 전송한 후에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상기 복수의 학습 단말로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에 의해, 상기 복수의 학습 단말로부터 상기 트래킹 정보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인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트래킹 정보 저장 요청에 포함된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저장 쿼리를 전송하는 단계;
    토론 주제 설정 모듈에 의해, 트래킹 정보의 수집을 완료한 상기 트래킹 정보 수집 모듈의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트래킹 정보를 근거로 토론 주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토론 주제 설정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토론 주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모든 학습자들에 대한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되, 그룹 식별자 및 학습자 식별자를 포함한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정보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트래킹 정보로부터 단어 또는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머문 시간인 시선 머문 시간 및 단어 또는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집중된 횟수인 시선 반복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정보로부터 검출한 상기 시선 머문 시간 및 상기 시선 반복을 기준으로 한 단어 식별자 및 이미지 식별자의 최빈값으로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도서 식별자를 포함한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토론 주제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추천 토론 주제로부터 복수의 토론 주제를 검출하는 단계;
    토론 주제에 포함된 메타 단어들과 상기 학습자별 집중 키워드 목록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토론 주제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토론 주제에 대한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별 선호 토론 주제를 포함한 토론 주제 설정 요청을 상기 교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사 단말로부터 상기 토론 주제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인 토론 주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토론 주제 선택 정보에 포함된 토론 주제를 상기 독서 토론 그룹의 토론 주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독서 토론 지원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독서 토론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는,
    교사 식별자를 포함한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그룹 식별자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그룹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검출한 학습자 식별자와, 상기 그룹 식별자 및 상기 교사 식별자를 포함한 독서 토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독서 토론 그룹을 포함한 플랫폼 생성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독서 토론 지원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설정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도서 선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서 설정 요청으로부터 독서 토론 그룹을 검출하고, 상기 독서 토론 그룹으로부터 학습자 식별자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식별자들을 포함한 학년(연령) 검출 요청 쿼리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년(연령)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학년(연령)을 검출하고,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포함된 학습자들의 학년(연령)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학년(연령) 평균값을 포함한 추천 도서 검출 요청 쿼리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추천 도서 검출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검출한 도서 정보들을 포함한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독서 토론 그룹의 교사 단말로 상기 토론 대상 도서 선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독서 토론 지원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정보는 상기 학습 단말에서 아이 트래킹을 통해 수집된 정보로, 그룹 식별자, 학습자 식별자, 단어 식별자 및/ 또는 이미지 식별자, 단어 및/또는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머문 시간인 시선 머문 시간, 단어 및/또는 이미지에 학습자의 시선이 집중된 횟수인 시선 반복을 포함하는 독서 토론 지원 방법.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론 주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토론 주제로 독서 토론을 진행한 교사 단말 및/또는 학습 단말로 토론 종료 메시지를 수신한 독서 정보 수집 모듈에 의해, 상기 독서 토론 그룹에 속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로 토론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독서 토론 지원 방법.
KR1020210183340A 2021-12-21 2021-12-21 아이 트래킹을 이용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493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340A KR102493600B1 (ko) 2021-12-21 2021-12-21 아이 트래킹을 이용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340A KR102493600B1 (ko) 2021-12-21 2021-12-21 아이 트래킹을 이용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600B1 true KR102493600B1 (ko) 2023-01-31

Family

ID=8510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340A KR102493600B1 (ko) 2021-12-21 2021-12-21 아이 트래킹을 이용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096B1 (ko) * 2023-04-21 2023-12-13 박성순 독서 심리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081A (ko) * 2007-02-26 2009-01-09 이종문 독서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5430A (ko) * 2015-02-03 2016-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 트래킹 센서를 이용한 독해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101678521B1 (ko) * 2016-06-07 2016-11-22 주식회사 미래엔 도서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14673A (ko) 2018-03-30 2019-10-10 (주)한국교육문화연구원 교과연계 독서토론 서비스 방법
JP2021144633A (ja) * 2020-03-13 2021-09-24 Kddi株式会社 ユーザの関心度に応じて対話内容を切り替える対話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081A (ko) * 2007-02-26 2009-01-09 이종문 독서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5430A (ko) * 2015-02-03 2016-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 트래킹 센서를 이용한 독해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101678521B1 (ko) * 2016-06-07 2016-11-22 주식회사 미래엔 도서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14673A (ko) 2018-03-30 2019-10-10 (주)한국교육문화연구원 교과연계 독서토론 서비스 방법
JP2021144633A (ja) * 2020-03-13 2021-09-24 Kddi株式会社 ユーザの関心度に応じて対話内容を切り替える対話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096B1 (ko) * 2023-04-21 2023-12-13 박성순 독서 심리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ulaziz Al Fadda Determining how social media affects learning English: An investigation of mobile applications instagram and snap chat in TESOL classroom
Ockey et al. Human versus computer partner in the paired oral discussion test
KR102493600B1 (ko) 아이 트래킹을 이용한 독서 토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ndersson The front and backstage: pupils’ information activities in secondary school
Chmiel et al. A homogenous or heterogeneous audience? Audio description preferences of persons with congenital blindness, non-congenital blindness and low vision
de la Rie et al. Level of abstraction in parent–child interactions: the role of activity type and socioeconomic status
US9547995B1 (en) Dynamic instructional course
Parks The arts experience at community college: A phenomenological study
Khayati et al. The Realization of Grice’ s Maxims in English Teacher’ s Interaction with Male and Female Students
Khusna et al. Investigating the use of maxims in the efl class presentation: a pragmatic study
Mann et al. Reading online in deaf and hearing young people: Do differences exist?
Hale et al. Providing platforms: An examination of low-level questions in informational read alouds
Surrain et al. Fostering Dual Language Learners’ Participation in Head Start Classroom Conversations Through Code-Switching in Whole Group and Small Group Settings
Braganza et al. A conjoint analysis of the listening activity preferences of a select group of grade 7 and 8 students from Philippine provincial schools
Mthethwa A comparative Use of Traditional and Multimedia Modes of Teaching Curriculum Studies in English
Francuz The impact of audio information intonation on understanding television news content
Plackowski “Word Crimes” and Linguistic Ideology: Examining Student Ideas about Language in the English Language Arts Classroom
Green Tiny happy people? Brain building and the ‘word gap’
Morais et al. I SEA project: Challenges from science communication and evaluation methods using virtual reality in non-formal contexts
KR101926275B1 (ko) 개념정리를 위한 영상물 제작 및 활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Langer et al. Knowledge and Comprehension: Helping Students Use What They Know.
Recklies How to deal with classical music? Music teachers’ thoughts of western art music as a subject in music education
Silva Manchego Promoting listening and speaking through audiovisual content and cognitive feedback: comparative strategy.
Jordan Writing a Doctoral Thesis or Dissertation in the Social Sciences
Pothiphoksumphun et al. A survey of electronic-based dictionary usage of English major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