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534B1 - 지하철 승강장의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 승강장의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534B1
KR102493534B1 KR1020190151398A KR20190151398A KR102493534B1 KR 102493534 B1 KR102493534 B1 KR 102493534B1 KR 1020190151398 A KR1020190151398 A KR 1020190151398A KR 20190151398 A KR20190151398 A KR 20190151398A KR 102493534 B1 KR102493534 B1 KR 10249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atform
air supply
hood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013A (ko
Inventor
강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스웰
Priority to KR102019015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534B1/ko
Priority to EP20177016.1A priority patent/EP3825515A1/en
Priority to US16/889,884 priority patent/US20210156579A1/en
Priority to CN202010528617.6A priority patent/CN112833495A/zh
Publication of KR2021006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8Ventilation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air ducts, e.g. arrangements for mounting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의 일 양태는, 지하철 승강장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급기 덕트; 상기 지하철 승강장의 내부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배기 덕트; 상기 급기 덕트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승강장의 내부로 배출되고, 공기가 상기 급기 덕트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급기 후드; 및 상기 급기 후드에 의하여 상기 승강장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승강장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과 함께 흡입되고, 공기가 상기 배기 덕트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배기 후드;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철 승강장의 환기 시스템{AIR VENTILATION SYSTEM SUBWAY PLATFORM}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강장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의 승강장은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승강장의 내부의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환기가 요구된다. 한편, 승강장은, 지하철로의 탑승이나 하차를 위하여 그 측면이 개방되므로, 승강장의 천장에 환기를 위하여 승강장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구 및 승강장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를 오염물질과 함께 승강장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가 구비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승강장에 구비되는 급기구 및 배기구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승강장의 내부에서 실질적인 오염물질의 효율적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의 유동, 즉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된 공기가 승강장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순환한 후 오염물질을 포함한 상태로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동을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급기구 또는/및 배기구의 위치의 가변이나 별도의 급기 장치의 추가 등을 필요로 하므로, 승강장에 기존 설치되는 덕트 등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급기구는, 승강장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급기 덕트에 다수개가 연결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급기 덕트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편향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의 효율적인 배출을 위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38302호(명칭: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49904호(명칭: 지하철 통합 환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 승강장의 환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의 일 양태는, 지하철 승강장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급기 덕트; 상기 지하철 승강장의 외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배기 덕트; 상기 급기 덕트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승강장의 내부로 공급하고, 공기가 상기 급기 덕트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급기 후드; 및 상기 급기 후드에 의하여 상기 승강장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승강장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과 함께 배출하고, 공기가 상기 배기 덕트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배기 후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급기 후드는, 상기 승강장의 일측면을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승강장의 천장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후드는, 상기 급기 후드에 의하여 공급된 공기가 상기 승강장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서 기설정된 궤적으로 순환한 후 배출되도록 상기 승강장의 일측면 및 상기 급기 후드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승강장의 천장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급기 후드는, 상기 급기 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급기 덕트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승강장의 내부로 공급되는 급기구가 그 선단(先端)에 정의되는 후드 바디; 및 상기 후드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급기 덕트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 및 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1개의 에어 가이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후드 바디는, 상기 급기구를 향하여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중공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후드 바디의 내부 및 상기 급기구를 구획하도록 상기 후드 바디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급기 덕트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역방향 에어 가이드; 및 상기 급기 덕트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정방향 에어 가이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는, 상기 급기 덕트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는, 상기 급기 덕트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급기 덕트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상류측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는, 상기 급기 덕트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하류측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에 비하여 상기 급기 덕트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각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는,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를 초과하는 개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에서는, 급기 후드에 의하여 수직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승강장의 측면을 향하여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공급된 공기가 승강장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서 고르게 순환하면서 오염물질과 함께 배기 후드에 의하여 배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급기 후드의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의 에어 가이드에 의하여 공기가 급기 덕트를 유동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공기가 급기 덕트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의 급기 후드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다량의 공기가 배출되는 현상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을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급기 후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급기 후드를 보인 횡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시뮬레이션도.
도 8 및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시뮬레이션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급기 후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급기 후드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환기 시스템은, 지하철 승강장(P)의 환기를 위한 것이다. 여기서, '승강장(P)'은, 지하철의 탑승을 위하여 승객이 대기하는 곳으로, 기설정된 길이, 폭 및 높이로 정의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승강장(P)의 길이는, 지하철에 대응하여 그 높이 및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결정될 것이고, 상기 승강장(P)의 길이 방향 일측면 또는 양측면은 승객의 탑승이나 하차를 위하여 개방될 것이다. 물론, 개방된 상기 승강장(P)의 길이 방향 일측면 또는 양측면은, 별도의 스크린 도어(S) 등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승강장(P)의 양측면이 각각 상기 스크린 도어(S)에 의하여 개폐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환기 시스템은, 급기 덕트(100), 배기 덕트(200), 다수개의 급기 후드(300), 및 다수개의 배기 후드(4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장(P)의 내부를 공기가 기설정된 궤적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순환하면서, 상기 승강장(P)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급기 덕트(100)는, 상기 승강장(P)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기설정된 유동 방향(A1)으로 유동되는 곳이고, 상기 배기 덕트(200)는, 상기 지하철 승강장(P)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급기 덕트(100) 및 배기 덕트(200)는, 상기 승강장(P)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장(P)의 천장면 상방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 덕트(100) 또는/및 배기 덕트(200)는, 그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하류측의 유동 단면적이 감소됨으로써,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상류측 뿐만 아니라 하류측에서도 고르게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급기 후드(300)는, 상기 급기 덕트(100)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내부로 공급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기 후드(300)가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급기 후드(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후드(400)는,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상기 승강장(P)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과 함께 상기 승강장(P)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상기 배기 후드(400)는, 공기가 상기 배기 덕트(200)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기 후드(300)는, 상기 승강장(P)의 일측면, 실질적으로 상기 스크린 도어(S)에 의하여 개폐되는 상기 승강장(P)의 일측면을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승강장(P)의 천장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후드(400)는, 상기 승강장(P)의 일측면 및 상기 급기 후드(30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승강장(P)의 천장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된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서 기설정된 궤적으로 순환한 후 상기 배기 후드(400)에 의하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종래에는,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된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폭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유동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승강장(P)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효율적인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일측면을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짐으로써,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된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서 순환하면서, 상기 승강장(P)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과 함께 상기 배기 후드(400)에 의하여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기 덕트(100)의 내부를 소정의 유속으로 공기가 유동하므로,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편향되는 경향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되는 상기 급기 덕트(100)가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되는 상기 급기 덕트(100)에 비하여 다량의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현상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급기 덕트(100)의 길이 방향, 즉 상기 승강장(P)의 길이 방향으로 고르게 공기가 유동되지 못하고, 이는 종국적으로, 상기 승강장(P)에 대한 효율적인 환기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기 후드(300)가, 후드 바디(310) 및 적어도 1개의 에어 가이드(3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드 바디(310)는, 실질적으로 일단이 상기 급기 덕트(100)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 덕트(100)를 유동하는 공기를 공급받고, 그 타단에 상기 급기 덕트(10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내부로 공급되는 급기구(301)가 그 선단(先端)에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 바디(310)는, 상기 급기구(301)를 향하여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중공의 다면체 형상, 예를 들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중공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기구(301)를 정의하는 선단(先端) 및 이에 대향되는 단부는 개방될 것이다.
상기 에어 가이드(320)는, 상기 유동 방향(A1)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역 방향(A2)으로 상기 급기구(301)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에어 가이드(320)는, 상기 후드 바디(310)의 내부에 구비, 실질적으로, 상기 후드 바디(310)의 내부 및 상기 급기구(301)를 구획하도록 상기 후드 바디(310)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 가이드(320)가, 다수개의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 및 적어도 1개의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를 포함한다.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는,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역방향(A2)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는,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는, 상기 역방향(A2)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는,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는,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는,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는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에 비하여,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상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 덕트(100)를 유동한 후 상기 급기 후드(300), 실질적으로 상기 급기구(301)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는, 먼저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에 의하여 상기 역 방향(A2)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구(301)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안내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상류측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는,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하류측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에 비하여 상기 역 방향으로의 각도(A2)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즉 수평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한 각도로 경사진다. 그리고,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상류측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는, 상기 유동 방향(A2)으로 하류측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에 비하여, 상기 역 방향(A2)에 위치한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는,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를 초과하는 개수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편향되는 경향이 크므로, 상기 급기 후드(300)로부터 그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영역으로 공기를 다량의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유동 방향(A1)으로의 공기의 안내도 고려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상류측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는, 상기 급기 후드(300)로부터 상기 역 방향(A2)으로 상대적으로 더 이격된 영역으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역 방향(A2)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경사진다. 이에 반하여,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하류측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는, 상기 급기 후드(300)로부터 상기 역 방향(A2)으로 상대적으로 덜 이격된 영역으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역 방향(A2)으로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경사진다. 또한,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를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에 비하여 많은 개수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역 방향(A2)으로 다량의 공기가 안내되지만, 상기 유동 방향(A1)으로도 공기가 안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시뮬레이션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시뮬레이션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철 승강장용 배기 시스템에서, 급기 후드(300)를 구성하는 에어 가이드(320)의 개수의 가변에 따른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한 공기의 공급을 보인 것이다. 즉, 도 4는, 상기 에어 가이드(320)가 1개의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로 구성되는 경우이고, 도 5는 상기 에어 가이드(320)가 2개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를 포함하는 경우이며, 도 6은, 상기 에어 가이드(320)가 2개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 및 1개의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도 7은, 종래 기술, 즉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공기의 배출을 보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과 도 8을 대비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가 종래 기술의 경우에 비하여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 방향(A1)으로 편향되지 않고,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배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즉, 상기 에어 가이드(320)가 2개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 및 1개의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를 포함하는 경우에 승강장(P)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순환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 승강장(P)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순환을 보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된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서 순환하면서 배기 후드(400)를 통하여 배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9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상기 급기 후드(300)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급기 후드(300) 및 배기 후드(400)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영역으로 유동되지 못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승강장(P)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순환하지 못하고, 종국적으로 상기 승강장(P)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종래 기술의 경우에 지하철 승강장(P)의 환기 효율을 실험한 결과값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은, 길이 15m, 폭 11.8m 및 높이 3.2m의 승강장(P)에 대하여 급기 덕트(100)를 통하여 274CMM의 풍량으로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내부로 공급되었고, 배기 덕트(200)를 통하여 142CMM의 풍량으로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외부로 배출되었다. 또한, 상기 급기 덕트(100) 및 배기 덕트(200)로는, 폭 750mm 및 높이 450mm로 상기 승강장(P) 전체 길이에 배치되는 장방형 덕트 사용되었고, 각각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전체 길이 1/3의 폭과 높이를 각각 200mm 및 50mm씩 감소시켰다. 그리고 상기 급기 덕트(100) 및 배기 덕트(200)에는 각각 12개의 급기 후드(300) 및 6개의 배기 후드(400)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었다. 상기 승강장(P)의 내부에는 평균 직경 2.5μm 및 밀도 1690 kg/m3의 분진을 상기 승강장(P)의 바닥면에서 1m 높이에서 0.2m/s의 속도로 상승하도록 제공하였다.
대상 분진(개) 배출 분진(개) 잔존 분진(개) 배출율(%)
CASE1 2297 1006 1291 44
CASE2 2297 936 1361 41
CASE3 2297 1534 763 67
CASE4 2350 89 2261 4
[표 1]에서는 [CASE 1] 내지 [CASE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가이드(320)가 1개의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에어 가이드(320)가 2개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를 포함하는 경우 및 상기 에어 가이드(320)가 2개의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 및 1개의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를 포함하는 경우의 것이고, [CASE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경우이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현저하게 효율적인 환기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100: 급기 덕트 200: 배기 덕트
300: 급기 후드 301: 급기구
310: 후드 바디 320: 에어 가이드
321: 역방향 에어 가이드 323: 정방향 에어 가이드
400: 급기 후드 P: 승강장
S: 스크린 도어

Claims (8)

  1. 지하철 승강장(P)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기설정된 유동 방향(A1)으로 유동되는 급기 덕트(100);
    상기 지하철 승강장(P)의 외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배기 덕트(200);
    상기 급기 덕트(100)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승강장(P)의 내부로 공급하고, 공기가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급기 후드(300); 및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상기 승강장(P)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승강장(P)의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과 함께 배출하고, 공기가 상기 배기 덕트(200)를 유동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배기 후드(400); 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 후드(300)는,
    양단이 개방되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이 상기 급기 덕트(100)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 덕트(100)를 유동하는 공기를 공급받고, 그 타단에 상기 급기 덕트(10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내부로 공급되는 급기구(301)가 정의되는 후드 바디(310); 및
    상기 후드 바디(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급기구(301)를 통하여 상기 승강장(P)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유동 방향(A1) 및 이에 반대되는 역방향(A2)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1개의 에어 가이드(320); 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가이드(320)는,
    상기 역방향(A2)으로 수평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 및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수평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 를 포함하고,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는,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에 비하여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되고,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가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에 비하여 다량의 공기를 안내하는 지하철 승강장용 환기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후드(300)는, 상기 승강장(P)의 일측면을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승강장(P)의 천장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후드(400)는, 상기 급기 후드(300)에 의하여 공급된 공기가 상기 승강장(P)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서 기설정된 궤적으로 순환한 후 배출되도록 상기 급기 후드(300)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장(P)의 일측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승강장(P)의 천장에 배치되는 지하철 승강장용 환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바디(310)는, 상기 급기구(301)를 향하여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중공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 가이드(320)는, 상기 후드 바디(310)의 내부 및 상기 급기구(301)를 구획하도록 상기 후드 바디(310)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하철 승강장용 환기 시스템.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상류측에 위치되는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A)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하류측에 위치되는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B) 중 다른 하나에 비하여 수평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한 각도로 경사지는 지하철 승강장용 환기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의 각도는, 상기 유동 방향(A1)으로 상류측의 것이 하류측의 것에 비하여 수평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한 각도로 경사지는 지하철 승강장용 환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에어 가이드(321)는, 상기 정방향 에어 가이드(323)를 초과하는 개수로 구성되는 지하철 승강장용 환기 시스템.

KR1020190151398A 2019-11-22 2019-11-22 지하철 승강장의 환기 시스템 KR10249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398A KR102493534B1 (ko) 2019-11-22 2019-11-22 지하철 승강장의 환기 시스템
EP20177016.1A EP3825515A1 (en) 2019-11-22 2020-05-28 Air ventilation system for subway platform
US16/889,884 US20210156579A1 (en) 2019-11-22 2020-06-02 Air ventilation system for subway platform
CN202010528617.6A CN112833495A (zh) 2019-11-22 2020-06-11 地铁站台的通风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398A KR102493534B1 (ko) 2019-11-22 2019-11-22 지하철 승강장의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013A KR20210063013A (ko) 2021-06-01
KR102493534B1 true KR102493534B1 (ko) 2023-01-31

Family

ID=7091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398A KR102493534B1 (ko) 2019-11-22 2019-11-22 지하철 승강장의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56579A1 (ko)
EP (1) EP3825515A1 (ko)
KR (1) KR102493534B1 (ko)
CN (1) CN11283349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7928A (ja) * 2016-06-03 2017-12-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ダクト及び鉄道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6458A (en) * 1935-12-23 1938-01-25 Anemostat Corp Air distributing device
US2144631A (en) * 1936-08-24 1939-01-24 Anemostat Corp Air distributing device
US3374831A (en) * 1966-01-25 1968-03-26 Lennox Ind Inc Blower diffuser
KR200317598Y1 (ko) * 2003-03-17 2003-06-25 김하협 지하철 출입구 통풍덕트구조
KR100688606B1 (ko) * 2006-06-12 2007-03-02 이재천 열교환장치를 이용한 통합 환기 시스템
KR20100049904A (ko) 2008-11-04 2010-05-13 주식회사 벤토피아 지하철 통합 환기장치
CN201371012Y (zh) * 2009-02-20 2009-12-30 长沙楚天科技有限公司 用于空气净化过滤器的均流装置
CN201652699U (zh) * 2010-03-23 2010-11-24 吴喜平 一种地铁车站轨行区用均匀侧排风系统
KR20130124037A (ko) * 2012-05-04 2013-11-13 (주)융도엔지니어링 승강장 제연 설비 시스템
KR101276455B1 (ko) * 2013-01-24 2013-06-19 (주)새한공조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US9109981B2 (en) * 2013-03-15 2015-08-18 Aircuit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oor air contaminant monitoring
KR101538302B1 (ko) 2013-09-26 2015-07-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승강장의 냉난방 환기장치
CN103512141A (zh) * 2013-10-26 2014-01-15 河南同济恒爱暖通消防有限公司 一种适用于地铁轨行区的等截面风道排风风量均匀分布系统
KR101921540B1 (ko) * 2017-02-23 2018-11-23 (주)와이엘산업 철도차량의 에어 덕트용 디퓨저
CN207778667U (zh) * 2017-12-20 2018-08-28 西安工程大学 太阳能驱动的机场登机廊桥用蒸发冷却空调系统
CN110094824A (zh) * 2019-05-22 2019-08-06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地铁站台层的空气净化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7928A (ja) * 2016-06-03 2017-12-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ダクト及び鉄道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5515A1 (en) 2021-05-26
KR20210063013A (ko) 2021-06-01
US20210156579A1 (en) 2021-05-27
CN112833495A (zh)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6802A1 (zh) 一种稳流结构及应用该稳流结构的通风设备
DE4324488C2 (de) Verfahren und Heißluft-Trockner zur Trocknung beschichteter Oberflächen
KR100917301B1 (ko) 공조용 토출 장치 시스템, 배출열 반송 장치 시스템 및이들을 구비한 공조 시스템
US4696226A (en) Fluid barrier curtain system
US6682414B2 (en) Article storage system for a clean room
US10701830B1 (en) Data center cooling device
HK1079178A1 (en) Elevator cabin with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JP5467605B2 (ja) 発熱機器用のラック空調システム
US20060211365A1 (en) Induction diffuser
CN101363652A (zh) 气帘产生装置
TWI732992B (zh) 貯藏庫
KR10249353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환기 시스템
JP6854330B2 (ja) 処理炉を通り搬送される可撓性の長尺材料、特に薄膜樹脂の処理装置
SE459324B (sv) Suganordning vid kaapor
KR20080081855A (ko) 반도체 기판용 스토커
US20100321886A1 (en) Enclosure Element
ATE348030T1 (de) Vorrichtung zur verteilung klimatisierter luft im passagierraum eines schienenfahrzeugs
KR20150035202A (ko) 선박용 펀넬의 상부구조
JP2005308345A (ja) 機器収容用ラックおよび電算機室用空調システム
JP4217958B2 (ja) トンネル坑内の換気方法
WO2023228502A1 (ja) 送風装置
JP6760406B2 (ja) ストッカ
WO2023181535A1 (ja) 気流形成システム
JPH0311647Y2 (ko)
JP2702234B2 (ja) 室内換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