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478B1 -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478B1
KR102493478B1 KR1020200133443A KR20200133443A KR102493478B1 KR 102493478 B1 KR102493478 B1 KR 102493478B1 KR 1020200133443 A KR1020200133443 A KR 1020200133443A KR 20200133443 A KR20200133443 A KR 20200133443A KR 102493478 B1 KR102493478 B1 KR 102493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ode value
classification
emergency
tex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9830A (ko
Inventor
신상도
홍기정
김기홍
임혁재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4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06F16/353Clustering; Classification into predefined c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6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685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automatically derived transcript of audio data, e.g. lyric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수보 요원과 신고자 간의 음성 통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는 단계, 복수의 구간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 그리고 복수의 구간에 대해서 분류 코드가 부여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medical dispatch process collection and management}
본 발명은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수보 과정에서 획득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119 구급전화에서 신고 전화를 받는 수보 요원과 신고자 간의 통화 내용은 녹음되고 있으나, 수보 기록지의 주요 체크 항목을 확인하고 필요시 간략히 문장으로 된 입력 항목을 작성하는 일은 수보요원이 수동으로 시행하고 있었다. 수보 단계의 질문/지시에 대한 지침은 존재하나, 지침을 일일이 참고하기는 어려우므로 수보 요원의 경험에 의존하여 질문 사항을 이어나가고 출동 지시 및 응급도를 결정하고 있었다. 또한 음성 대화에서 자동으로 수보 기록지를 기입하게 할 수단이 없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34274호(공개일자: 2005년 4월 14일)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보 과정에서 획득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은, 수보 요원과 신고자 간의 음성 통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간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구간에 대해서 분류 코드가 부여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류 코드는 응급 코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 코드값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 구간에 관련된 중증응급질환에 부여된 질환 코드값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상기 분류 코드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구간에 복수의 중증응급질환이 관련된 경우, 상기 관련된 복수의 중증응급질환에 대응하는 복수의 코드값을 합산하여 상기 응급 코드값을 구할 수 있다.
상기 응급 코드값에 의해 상기 중증응급질환으로 분류된 질환이 조합된 경우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질환 코드값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분류 코드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구간의 발화자가 수보 요원과 신고자로 구분하기 위한 코드값; 상기 텍스트 데이터 구간의 질문 내용, 지시 내용 또는 반응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대분류 코드값과 소분류 코드값; 상기 텍스트 데이터 구간이 환자에게 직접 질문하거나 환자가 직접 대답하는 것인지 또는 신고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묻거나 대답하는 것인지 구분하기 위한 코드값; 및 상기 대분류 코드값과 소분류 코드값이 동일한 질문 내용, 지시 내용 또는 반응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코드값;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 코드가 부여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수보 요원에게 질문 또는 지시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방법은, 수보 요원과 신고자 간의 음성 통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복수의 구간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구간에 대해서 분류 코드가 부여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19 신고 전화에서 수보 요원과 신고자 간의 통화를 체계적으로 코드화함으로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질문과 대답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수보 요원의 경험과 직관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 환자 중증도의 분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구급대 출동이 빠르게 요구되는 상황인 심정지 상황이나 이에 준하는 심뇌혈관질환 환자, 중증 외상 환자 등을 관련된 질문/대답에 부여된 코드를 이용해 확률 모델을 구성하여 출동 지시를 빠르게 진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질문의 구성 중에 수보요원이 놓치는 중요한 질문이 있다면 이를 다음 질문으로 추천하여 환자 중증도 분류 과정에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수보 요원이 수보 기록지에 수동으로 입력 하던 업무를 코드화된 대답과 질문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입력되게 함으로서 신고자의 전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보 과정 음성정보 코드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코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 획득부(110), 데이터 변환부(130), 제어부(15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110)는 수보 요원과 신고자 간의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통화 장치로부터 음성 통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통화 장치는 전화 단말이나 또는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컴퓨터 장치일 수도 있다. 데이터 획득부(110)는 통화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데이터 변환부(130)는 데이터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변환부(130)는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to-Text) 기능, 발화자 인식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발화자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발화자를 수보 요원과 신고자 중에서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데이터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예컨대 수보 요원이 질문하고, 그에 따라 신고자가 대답하는 경우 텍스트 데이터를 수보 요원 질문 구간과 신고자 대답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발화자에 의해 연속된 질문이나 대답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텍스트 데이터 내용을 기초로 질문이나 대답에 해당하는 구간을 나눌 수 있는 경우, 2개 이상의 구간으로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기계 학습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텍스트 데이터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는 알고리즘을 사전에 기계 학습을 통해 준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텍스트 데이터 구간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텍스트 데이터 구간별로 분류 코드를 부여하는 것도 사전에 기계 학습된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70)는 음성 통화 데이터, 음성 통화 데이터를 변환한 복수의 텍스트 데이터, 복수의 텍스트 데이터 구간에 대해서 분류 코드가 부여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보 과정 음성정보 코드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119 수보 과정에서 신고를 받는 수보 요원과 신고자의 대화는 크게 수보 요원의 질문/지시와 신고자의 반응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보 요원의 질문/지시는 도입부의 공통 사항 이후 구급 범주 33종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대화 양상으로 진행된다.
구급 범주 33종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대화 양상으로 진행되는 수보 과정 음성 데이터를 도 2에 예시한 것과 같은 분류 체계를 통해 코드화할 수 있다.
그리고 수보 과정에서 획득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코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코드는 10자리 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보 요원의 질문/지시와 신고자의 반응을 체계적으로 코드화 하기 위해서 Entry(도입부) Dispatcher(수보요원) Response(신고자의 반응)으로 나누어 각각 E, D, R로 시작하는 10자리 코드로 분류할 수 있다.
수보 요원의 질문/지시 코드나 신고자의 반응 코드는 10자리로 구성될 수 있다.
㉠에 해당하는 첫 번째 코드 자리에는 발화자를 구분하는 코드값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에 해당하는 첫 번째 코드 자리에는 발화자가 수보 요원임을 나타내는 'D'를 배치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발화자가 신고자인 경우 ㉠에 해당하는 첫 번째 코드 자리에는 신고자임을 나타내는 'R'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에 해당하는 첫 번째 코드 자리에 수보 과정의 도입부임을 나타내는 'E'를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입부를 구분하지 않고 ㉠에 해당하는 첫 번째 코드 자리에 'D'나 'R'을 배치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 해당하는 두 번째 및 세 번째 코드 자리에는 수보 요원의 질문/지시 내용을 분류해놓은 대분류 코드나 신고자의 반응을 분류해놓은 대분류 코드에 해당하는 코드값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에 해당하는 두 번째 및 세 번째 코드 자리에는 2자리 숫자로 코드값 '03'이 배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수보 요원의 질문/지시 내용을 분류해놓은 대분류 코드(1)와 신고자의 반응을 분류해놓은 대분류 코드(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에서 대분류 코드(1)는 11~42에 수보 프로토콜(표 1 참조)의 기타 상황을 제외한 32개 프로토콜을 순서대로 배치해놓은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다른 범주의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겹치는 질문들을 00~01 사이 대분류 코드로 배치하고, 이외 기타 등장 가능한 질문/대답을 50~99에 배치하였다. 비슷한 방식으로 대분류 코드(2)는 11~41에 수보 프로토콜의 기타 상황, 환자상태 파악 불가능을 제외한 32개 프로토콜을 순서대로 배치해놓은 예를 나타낸 것이다.
질 환 손 상
분류번호 / 구급유형 분류번호 / 구급유형
MS-01. 기도 이물 MS-10. 오심/구토 MA-19. 감전/낙뢰
MS-02. 뇌졸중 의증 MS-11. 비외상성 요통 MA-20. 교통 사고
MS-03. 두통 MS-12. 의식장애/실신 MA-21. 눈 손상/눈 질환
MS-04. 발열 MS-13. 임신/분만/낙태 MA-22. 두부/신경학적 손상
MS-05. 발작/경련 MS-14. 정신/행동장애/자살 MA-23. 동물 교상
MS-06. 복통 MS-15. 호흡곤란 MA-24. 익수
MS-07. 비외상성 출혈 MS-16. 환경(고체온/저체온) MA-25.일산화탄소.흡입중독/HAZMAT
MS-08. 심정지/호흡정지 MS-17. 흉통 MA-26. 자상/관통상/총상
MS-09. 알러지 MS-18. 기타 비특이적 증상 MA-27. 중독
기 타 MA-28. 추락/낙상
분류번호 / 구급유형 MA-29. 출혈/열상
ME-32. 환자상태 파악 불가능 MA-30. 폭행/성폭행
ME-33. 기타 상황 MA-31. 화상
㉢에 해당하는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코드 자리에는 동일한 대분류 코드에 속하는 질문/지시 내용을 보다 세분화해놓은 소분류 코드에 해당하는 2자리 숫자로 '01'이 배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각 대분류 코드에 대해서 소분류 코드를 나누는 기준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에 해당하는 여섯 번째 코드 자리에는 신고자에게 간접적으로 물어보는 경우(C)와 환자가 신고자로 직접 질문하는 경우(P)로 구분할 수 있는 알파벳 코드값을 배치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P'를 배치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해당 질문이나 지시가 환자인 신고자에게 직접 이루어진 것을 여섯 번째 코드 자리의 코드값을 보고 알 수 있다. 물론 신고자 반응의 경우는 신고자가 간접적으로 답변하는 경우(C)와 환자가 직접적으로 답변하는 경우(P)로 구분할 수 있다.
㉤에 해당하는 일곱 번째 및 여덟 번째 코드 자리에는 동일한 대분류 코드 및 소분류 코드에 해당하는 질문/지시 내용에 대한 세부 질문/지시별 번호로 그 중에서 '01'이 배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내용의 질문이나 지시라 하더라도 수보 요원마다 질문이나 지시의 표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세부 질문/지시별 번호를 분류 코드에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신고자 반응의 경우 세부 대답별 번호에 해당하는 코드값이 ㉤에 해당하는 일곱 번째 및 여덟 번째 코드 자리에 부여될 수 있다.
㉥에 해당하는 아홉 번째 및 열번 째 코드 자리는 응급 코드값이 배치될 수 있다. 응급 코드값은 중증질환/특별구급대 관련 코드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119 구급대원 출동시에 모든 구급 출동건에 대하여 구급활동일지를 작성하도록 되어 있고, 심정지환자의 경우 심정지환자 세부상황표, 중증외상 환자의 경우 중증외상 세부상황표, 심뇌혈관 질환 환자의 경우 심뇌혈관 세부상황표를 작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심정지, 중증외상, 심뇌혈관 질환의 경우 중증도가 높고 빠른 출동 및 처치가 요구되는 중요 질환으로 이와 연관된 질문/지시/반응을 따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
2019년 119구급대원 응급처치 범위 확대로 7개 사항의 처치 범위를 추가하였으며 확대되는 응급처치 사항은 급성심근경색과 같은 심장질환 의심환자에 대한 12유도 심전도의 측정, 응급분만 시 탯줄 결찰 및 절단, 중증외상환자에 진통제 투여, 아나필락시스(중증 알레르기 반응) 환자에 약물(강심제) 투여, 심정지 환자 심폐소생술 시 약물(강심제) 투여 등 5개 항목과 산소포화도·호기말 이산화탄소 측정, 간이측정기를 이용한 혈당 측정 2개 항목을 포함하는 총 7개 항목이다.
따라서 특별구급대 출동 대상 중증응급질환과 연관된 질문/지시와 반응을 코드화하기 위해 아래 표 2와 같은 방식으로 중증응급질환에 질환 코드값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질환 코드값을 6자리 이진수로 표현하되, 6자리 중 한 자리만 1이 되는 이진수들로만 질환 코드값을 부여할 수 있다. 만약 중증응급질환이 N개이면, N 자리 중 한자리만 1이 되는 이진수들로만 질환 코드값을 부여할 수 있다.
심정지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중증외상 아나필락시스 응급분만
질환 코드값 01 02 04 08 16 32
이진수 표현 000001 000010 000100 001000 010000 100000
그리고 응급 코드값은 해당 환자와 연관된 중증응급질환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중증응급질환에 대응하는 복수의 질환 코드값을 합산하여 응급 코드값을 구할 수 있다. 예컨대 응급 코드값이 21(=01+04+16)이라면 이진수로 010101이고, 심정지 및 심혈관 관련 질환과 연관되어 있고 아나필락시스와 연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설명한 방식 외에도 응급 코드값에 의해 중증응급질환으로 분류된 질환이 조합된 경우를 구분할 수 있도록 질환 코드값이 정해지면 된다.
표 3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분류 코드가 부여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코드 요약 내용
E 01 01 D 01 00 신고 내용 개방형 질문 119입니다.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E 10 00 D 00 00 환자 발생 위치 파악 환자가 발생한 위치가 어디입니까?
E 10 00 D 01 00 환자 발생 위치 파악 본인의 위치가 어디입니까?
E 40 00 D 01 00 주증상 확인 무엇을 가장 불편해하시나요?
D 00 01 C 00 31 의식 상태 확인 환자의 의식이 또렷합니까?
D 00 01 C 01 31 의식 상태 확인 환자분이 말을 할 수 있으신가요?
D 00 01 C 02 31 의식 상태 확인 환자분이 눈을 뜨고 계신가요?
D 00 01 C 03 31 의식 상태 확인 환자분 어깨를 두드려 보세요. 반응이 있으신가요?
D 02 01 P 01 00 수상 여부 확인 다쳤습니까?
D 02 01 C 01 00 수상 여부 확인 [환자]가 다쳤습니까?
D 02 02 P 01 00 수상 양상 확인 어떻게 다쳤습니까?
D 02 02 C 01 00 수상 양상 확인 [환자]가 어떻게 다쳤습니까?
D 12 01 P 01 20 두통 여부 확인 머리가 아프지는 않으신가요?
D 12 01 P 02 00 두통 여부 확인 심한 두통이 있습니까?
D 12 01 C 01 20 두통 여부 확인 [환자]가 두통은 없나요?
R 02 01 P 01 20 신고자가 불편한 신체부위를 대답함 머리
R 02 02 P 01 00 신고자가 불편한 신체부위를 대답함
R 12 12 P 01 20 뇌졸중, 일과성 허혈성 발작 마비가 온 것 같아요
R 12 12 P 02 20 뇌졸중, 일과성 허혈성 발작 말이 어눌해요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데이터 획득부(110)는 수보 요원과 신고자 간의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통화 장치로부터 음성 통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410). 단계(S410)는 수보 요원과 신고자 간의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130)는 데이터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420). 단계(S420)에서 데이터 변환부(130)는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to-Text) 기능을 통해 음성 통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텍스트로 변환하고, 발화자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의 발화자를 수보 요원과 신고자 중에서 구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데이터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S430). 예컨대 수보 요원의 질문이나 지시 또는 신고자의 반응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 단위인 문장 단위로 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50)는 기계 학습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텍스트 데이터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는 알고리즘을 사전에 기계 학습을 통해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복수의 텍스트 데이터 구간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S440). 단계(S440)에 역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전에 기계 학습된 코드 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50)는 음성 통화 데이터를 변환한 텍스트 데이터 구간별로 분류 코드가 부여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수보 요원에게 질문 또는 지시를 추천할 수도 있다(S450). 수보 요원이 수보 과정에서 놓치는 중요한 질문이나 지시가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이를 다음 질문이나 지시로 추천하여 수보 과정이 보다 적절하게 이루어지게 도울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부(170)는 수보 과정에서 수집되거나 생성되는 음성 통화 데이터, 음성 통화 데이터를 변환한 복수의 텍스트 데이터, 복수의 텍스트 데이터 구간에 대해서 분류 코드가 부여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S460).
단계(S410) 내지 단계(S460)는 수보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데이터 획득부
130: 데이터 변환부
150: 제어부
170: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데이터 획득부가 수보 요원과 신고자 간의 음성 통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데이터 변환부가 상기 획득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구간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복수의 구간에 대해서 분류 코드가 부여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 코드는 응급 코드값을 포함하며, 상기 분류 코드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구간에 복수의 중증응급질환이 관련된 경우, 상기 관련된 복수의 중증응급질환에 대응하는 복수의 질환 코드값을 합산한 값으로 상기 응급 코드값이 구해지고, 상기 응급 코드값에 의해 상기 중증응급질환으로 분류된 질환이 조합된 경우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질환 코드값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복수의 중증응급질환은 N 개이고,
    상기 복수의 질환 코드값은 N 자리 중 한자리만 1이 되는 이진수로서, 상기 복수의 중증응급질환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분류 코드가 부여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수보 요원이 수보 과정에서 놓치는 질문이나 지시를 다음 질문이나 지시로 추천하는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서,
    상기 분류 코드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구간의 발화자가 수보 요원과 신고자로 구분하기 위한 코드값;
    상기 텍스트 데이터 구간의 질문 내용, 지시 내용 또는 반응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대분류 코드값과 소분류 코드값;
    상기 텍스트 데이터 구간이 환자에게 직접 질문하거나 환자가 직접 대답하는 것인지 또는 신고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묻거나 대답하는 것인지 구분하기 위한 코드값; 및
    상기 대분류 코드값과 소분류 코드값이 동일한 질문 내용, 지시 내용 또는 반응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코드값;
    을 더 포함하는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방법.
  5. 삭제
  6. 컴퓨터에 제1항 또는 제4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수보 요원과 신고자 간의 음성 통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된 음성 통화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복수의 구간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 코드를 부여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구간에 대해서 분류 코드가 부여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 코드는 응급 코드값을 포함하며, 상기 분류 코드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구간에 복수의 중증응급질환이 관련된 경우, 상기 관련된 복수의 중증응급질환에 대응하는 복수의 질환 코드값을 합산한 값으로 상기 응급 코드값이 구해지고, 상기 응급 코드값에 의해 상기 중증응급질환으로 분류된 질환이 조합된 경우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질환 코드값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복수의 중증응급질환은 N 개이고,
    상기 복수의 질환 코드값은 N 자리 중 한자리만 1이 되는 이진수로서, 상기 복수의 중증응급질환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분류 코드가 부여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수보 요원이 수보 과정에서 놓치는 질문이나 지시를 다음 질문이나 지시로 추천하는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 7 항에서,
    상기 분류 코드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구간의 발화자가 수보 요원과 신고자로 구분하기 위한 코드값;
    상기 텍스트 데이터 구간의 질문 내용, 지시 내용 또는 반응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대분류 코드값과 소분류 코드값;
    상기 텍스트 데이터 구간이 환자에게 직접 질문하거나 환자가 직접 대답하는 것인지 또는 신고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묻거나 대답하는 것인지 구분하기 위한 코드값; 및
    상기 대분류 코드값과 소분류 코드값이 동일한 질문 내용, 지시 내용 또는 반응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코드값;
    을 더 포함하는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11. 삭제
KR1020200133443A 2020-10-15 2020-10-15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93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443A KR102493478B1 (ko) 2020-10-15 2020-10-15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443A KR102493478B1 (ko) 2020-10-15 2020-10-15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830A KR20220049830A (ko) 2022-04-22
KR102493478B1 true KR102493478B1 (ko) 2023-01-27

Family

ID=8145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443A KR102493478B1 (ko) 2020-10-15 2020-10-15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4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314B1 (ko) 2003-10-09 2006-03-16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진료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65331B1 (ko) * 2013-12-27 2015-11-03 성승주 패턴을 이용한 의료정보 분석시스템 및 방법
KR101868404B1 (ko) * 2016-06-14 2018-07-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어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응급상황관제 시스템 및 관제방법
KR20190138112A (ko) * 2018-06-04 2019-12-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인식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응급환자 자동 분류 방법
KR102111775B1 (ko) * 2018-06-25 2020-05-15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830A (ko)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6581B2 (en) Computer-assisted patient navigation and information systems and methods
US5857966A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unconscious or fainting protocol of an emergency medical dispatch system
US6076065A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pregnancy condition protocol of an emergency medical dispatch system
USRE43548E1 (en) Computerized medical diagnostic and treatment advice system
US5724968A (en) Computerized medical diagnostic system including meta function
US10354051B2 (en) Computer assisted patient navigation and information systems and methods
US6004266A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heart problem protocol of an emergency medical dispatch system
CN110024038A (zh) 与用户和装置进行合成交互的系统和方法
CN106462667A (zh) 具有预测性紧急调度风险评估的个人紧急响应系统
AU2021200910A1 (en) Pandemic protocol for emergency dispatch
Dami et al. Why bystanders decline telephone cardiac resuscitation advice
US7664657B1 (en) Healthcare communications and documentation system
JP6869726B2 (ja) 救急情報システム、および救急情報管理方法
CN106021939A (zh) 移动监护初诊系统
KR102479692B1 (ko)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인공지능 응급의료 의사결정 및 응급환자 이송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493478B1 (ko) 수보 과정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Neely et al. T HE S TRENGTH OF S PECIFIC EMS D ISPATCHER Q UESTIONS FOR I DENTIFYING P ATIENTS WITH I MPORTANT C LINICAL F IELD F INDINGS
CN115346690B (zh) 引导接线员对求助者进行问话的系统
CN110974260A (zh) 基于脑电特征的案例推理抑郁症识别系统
Holzman Speech-audio interface for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in field environments
CN110782957B (zh) 一种重症医学科的质量控制系统
JP2020144676A (ja) 情報連携システム、情報連携サーバー、音声入出力装置、情報連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rause et al. Telephonic description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by laypersons calling the dispatch centre of a private emergency medical service in South Africa
CN111128355B (zh) 一种目标事件评估方法及装置
RU2732704C1 (ru) Медицин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оперативной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пациенту, находящемуся вне зоны медицинской орган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