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328B1 -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 Google Patents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328B1
KR102492328B1 KR1020220116217A KR20220116217A KR102492328B1 KR 102492328 B1 KR102492328 B1 KR 102492328B1 KR 1020220116217 A KR1020220116217 A KR 1020220116217A KR 20220116217 A KR20220116217 A KR 20220116217A KR 102492328 B1 KR102492328 B1 KR 10249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holder
distribution board
optical distribution
p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오
김평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샤펜프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샤펜프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샤펜프렛
Priority to KR102022011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328B1/ko
Priority to PCT/KR2023/010007 priority patent/WO2024058389A1/ko
Priority to EP23191090.2A priority patent/EP4339673A1/en
Priority to US18/460,426 priority patent/US2024009449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02B6/44524Distribution frames with frame parts or auxiliary devices mounted on the frame and collectively not covering a whole width of the frame or rac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3Casset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3Cassettes
    • G02B6/4455Cassette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extraction or insertion of the cassette in the distribution frame, e.g. pivoting, sliding, rotating or gli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카세트가 적층 설치된 구조에서 원하는 카세트의 인출이 용이한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은 전면이 개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복수개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는 홀더; 상기 간격에 의해 조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향해 인출입단이 위치하는 복수의 슬롯;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며 상기 인출입단을 향해 탄성복원되는 팝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Fiber Distribution Frame for Multi-cassette}
본 발명은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세트의 교체작업 및 분해조립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된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발달이 점점 가속화됨에 따라 고도화된 정보통신 서비스가 더욱 다양 해지고 있는 추세인데, 이에 따라 전화국을 비롯하여 FTTH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통신실에는 다수의 광케이블이 설치된 상태에서 광케이블의 관리 및 제공이 이루어지는 광분배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광분배 장치는 랙캐비닛에 복수의 광분배반을 적층 형태로 설치하고, 하나의 광분배반에는 복수의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카세트가 복수개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랙캐비닛은 그 크기가 국제규격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정해진 크기의 랙캐비닛에 가능한 한 많은 수의 광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광분배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광분배반에 가능한 한 많은 수의 카세트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들을 반영하기 위해 복수의 카세트가 설치되는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에는 카세트들이 간격을 거의 가지지 않고 조밀하게 설치되는 환경이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간격이 없이 조밀하게 설치된 카세트들은 교체작업이나 분해조립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손이 카세트를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카세트의 교체작업 및 분해조립 작업이 편리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히, 적층 설치된 복수의 카세트들 중에서 중간 층의 카세트를 인출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운 작업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복수의 카세트가 적층 설치된 구조에서 원하는 카세트의 인출이 용이한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은 전면이 개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복수개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는 홀더; 상기 간격에 의해 조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향해 인출입단이 위치하는 복수의 슬롯;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며 상기 인출입단을 향해 탄성복원되는 팝업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팝업부는 상기 홀더의 후단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푸쉬샤프트와, 상기 홀더에 구비되며 상기 푸쉬샤프트를 상기 인출입단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은 전면에 복수의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카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팝업부는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기 카세트에 상기 인출입단을 향해 탄성가압력을 가하며, 상기 카세트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상기 팝업부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기 카세트의 이동을 억제하는 억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억제부는 상기 홀더의 전면에 형성된 볼트홀 및 카세트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볼트홀에 볼트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억제부는 상기 홀더에 형성된 걸림홈 및 상기 카세트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카세트의 전면에서 연장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는 상기 카세트에 탈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에서 카세트의 교체작업 및 분해조립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에 포함되는 프레임 및 홀더가 조립된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에 포함되는 홀더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홀더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투영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홀더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홀더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에 포함되는 카세트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에 포함되는 카세트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멀티 카세트 광분배함에 포함되는 카세트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100)의 사시도 및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프레임(110) 및 홀더(120)가 조립된 조립체의 평면도 및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내지 도 8에는 홀더(120)의 사시도, 투영사시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2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100)은 프레임(110), 홀더(120), 슬롯(130), 팝업부(140), 카세트(150) 및 억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복수개의 카세트(150)가 마운팅되는 구조물로서, 광분배반이 설치되는 캐비닛에 체결되어 복수개의 카세트(150)를 캐비닛 내부에 배치시키는 선반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10)은 전면이 개방되고 바닥을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2)와, 베이스플레이트(112)의 양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측벽(114)과, 베이스플레이트(112)의 후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후방커버(116)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커버(116)에는 복수개의 카세트(150)에 연결되는 다중 광케이블 푸시온(MPO) 커넥터가 인입되는 커넥터홀(118)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홀(118)은 복수의 카세트(150)의 수평방향 배열에 대해서는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으로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카세트(150)의 수직방향 적층 배열에 대해서는 하나의 커넥터홀(118)이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으로는 1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홀(118)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10)의 측벽(114) 및 후방커버(116)는 하나의 강판을 판금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벽(114) 및 후방커버(116)가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더(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베이스플레이트(112)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어, 카세트(15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홀더(120)는 프레임(110)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구성되고,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른 홀더(120)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며 프레임(110)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2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122)은 카세트(150)의 저면을 지지하여 가이드레일(122)의 위치가 카세트(150)의 설치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122)은 홀더(120)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홀더(120)와 홀더(120) 사이에 조성되는 후술할 슬롯(130)에 삽입되는 복수의 카세트(150)는 각각이 가이드레일(122)에 개별적으로 지지되어 독립적으로 슬롯(130)에 인출입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측벽(114)에 접하는 양단의 홀더(120)에는 한쪽면에만 가이드레일(122)이 구비되고, 프레임(110)의 중간 영여역에 구비되는 홀더(120)에는 양면에 모두 가이드레일(122)이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22)은 홀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카세트(150)를 지지하는 기능 외에도 판상의 홀더(12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여 홀더(120)의 휨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의 상단에는 가이드레일(12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단리브(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단리브(124)는 최상단 슬롯(130)에 삽입된 카세트(1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슬롯(130)은 카세트(15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서, 홀더(120)와 홀더(120) 사이의 간격에 의해 조성되고 프레임(110)의 전면을 향해 인출입단(132)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슬롯(130)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홀더(120)와 이들에 형성된 서로 동일한 높이에 있는 가이드레일(122) 또는 상단리브(12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가이드레일(122)과 가이드레일(122) 사이에 슬롯(130) 1개소가 조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7개의 홀더(120)와, 7개의 홀더(120)에 구비된 2개 층의 가이드레일(122)과 하나의 상단리브(124)가 조합되어 총 18개소의 슬롯(130)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팝업부(140)는 홀더(120)에 구비되며, 인출입단(132)을 향해 탄성복원되는 장치로서, 슬롯(130)에 삽입된 카세트(150)에 슬롯(130)의 인출입단(132)을 향해 탄성가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팝업부(140)는 홀더(120)의 후단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푸쉬샤프트(147)와, 홀더(120)에 구비되머 푸쉬샤프트(147)를 인출입단(132)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149)와, 푸쉬샤프트(147) 및 탄성부재(149)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42)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프레임(110)의 후방커버(116)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팝업부(140)는 슬롯(130)에 적어도 일대일로 대응하여 구비되는 바람직하므로 슬롯(130)과의 정렬이 용이하도록 홀더(120)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설계 용이성 측면에서 더 유리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42)에는 내부에 푸쉬샤프트(147)와 탄성부재(149)가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며, 전면에 푸쉬샤프트(147)의 일부가 돌출되는 개구(14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43)를 통해 푸쉬샤프트(147)는 하우징(142)의 전면에서 일부가 돌출되어 카세트(150)에 대해 미는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49)는 일단이 하우징(142)에 지지되고 타단이 푸쉬샤프트(147)의 후단에 지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푸쉬샤프트(147)에 전방을 탄성가압력을 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팝업부(140)는 슬롯(130)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팝업부(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홀더(120)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칭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1개소의 슬롯(130)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2개의 팝업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롯(130) 1개소의 양측에 2개의 팝업부(14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슬롯(130)에 삽입된 카세트(150)의 후단 양측에 팝업부(140)가 동시에 유사한 크기의 미는힘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카세트(150)가 슬롯(130)에서 인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중된 힘을 받지 않게 되므로 카세트(150)가 일측으로 편향되어 슬롯(130)에 끼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팝업부(140)는 후술할 억제부(160)에 의한 카세트(150)의 이동 억제가 해제되는 경우에 카세트(150)를 슬롯(130)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밀어서 해당 카세트(150)가 독립적으로 돌출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자가 원하는 카세트(150)를 쉽게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조밀하게 적층 배치된 카세트(150)들 중에서 중간 층의 카세트(150)를 추출하는 작업을 매우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100)은 팝업부(140)에 의해 카세트(150)를 추출하기 쉽게 다른 카세트(150)들에 대해 돌출시킬 수 있으므로, 카세트(150)와 카세트(150) 사이의 간격을 매우 좁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광분배반의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동일한 크기의 광분배반에 더 많은 수의 카세트(15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에는 팝업부(140)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팝업부(140)는 푸쉬샤프트(147)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푸쉬샤프트(147)의 외측 둘레를 따라 실링부재(148)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142)의 내부에는 푸쉬샤프트(147)가 수용되고 실링부재(148)와 기밀하게 접촉하는 실린더(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팝업부(140)는 하우징(142)에 실링부재(148)와 개구(143) 사이에 실린더(144) 내부와 하우징(142)의 외부를 유체 연통시키는 오리피스(14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오리피스(145)는 직경이 작은 공기구멍으로서 상기 실링부재(148)와 개구(143) 사이의 실린더(144) 내부에 있는 공기가 하우징(142)의 외부로 유출되는 유량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일 실시형태의 팝업부(140)는 탄성부재(149)에 의해 푸쉬샤프트(147)에 미는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실린더(144) 내부에 있는 공기의 압력이 탄성부재(149)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되, 오리피스(145)를 통해 적은 양의 공기가 벤트되면서 푸쉬샤프트(147)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기 된다.
따라서, 다른 일 실시형태의 팝업부(140)는 카세트(150)가 탄성부재(149)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받는 충격이 저감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강한 탄성가압력에 의해 카세트(150)가 슬롯(13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문제도 예방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카세트(150)는 전면에 복수의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슬롯(130)에 삽입되는 모듈이다.
상기 억제부(160)는 카세트(150) 및 홀더(120)에 구비되어 팝업부(14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슬롯(130)에 삽입된 카세트(150)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억제부(160)는 슬롯(130)에 삽입된 카세트(150)가 슬롯(13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카세트(1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억제부(160)는 카세트(150)의 이동을 억제하는 동작이 작업자에 의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0 내지 도 13에는 억제부(160)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가 도시된 카세트(15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 및 도 12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가 도시된 카세트(150)의 사시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가 도시된 카세트(15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는 홀더(120)의 전면에 형성된 볼트홀(163) 및 카세트(150)의 전단에 구비되머 홀더(120)에 형성된 볼트홀(163)에 볼트결합되는 스크류(16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홀더(120)의 전면에 형성된 볼트홀(163)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는 카세트(150)의 전단에 구비된 스크류(162)를 홀더(120)의 전면에 형성된 볼트홀(163)에 볼트결합시킴으로써 팝업부(140)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카세트(150)가 슬롯(13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100)의 사시도에서 좌측 3개의 열에 마운팅된 9개의 카세트(150)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가 적용된 예이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는 카세트(150)를 마운팅하거나 추출하는 작업에서 볼트결합을 해제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통해 외부 환경 요소 또는 작업자의 실수 등의 외력에 의해 카세트(150)가 슬롯(130)에서 잘못 탈거되는 문제가 적다는 이점을 가진다.
<제2 실시예>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는 홀더(120)에 형성된 걸림홈(166) 및 카세트(150)에 구비된 돌기(167)가 형성된 레버(16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홀더(120)에 형성된 걸림홈(166)은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165)에 형성된 돌기(167)는 걸림홈(166)에 래칫(ratchet) 형태로 걸려서 팝업부(140)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카세트(15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레버(165)는 카세트(150)의 전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카세트(150)가 슬롯(130)에 삽입된 경우에도 레버(165)의 전단이 카세트(150)의 전면에서 돌출된 형태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레버(165)는 후단이 카세트(150)의 몸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어 돌기(167)가 걸림홈(166)에서 탈거되는 길이만큼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는 상기 레버(165)가 카세트(150)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레버(165)에는 카세트(150)를 인출하기 위해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레버(165)를 파지하는 경우에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요철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100)의 사시도에서 좌측부터 4번째 열에 마운팅된 3개의 카세트(150)가 제2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가 적용된 예이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는 카세트(150)를 슬롯(130)에 삽입하는 경우에 레버(165)의 탄성복원에 의해 돌기(167)가 걸림홈(166)에 자동으로 걸리므로 카세트(150)를 미는 동작 만으로 억제부(160)의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고, 카세트(150)를 슬롯(130)에서 인출하는 경우에는 레버(165)를 측방으로 휘는 동작만으로 억제부(160)의 동작을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편리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을 가진다.
<제3 실시예>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와 마찬가지로 레버(165)와 돌기(167) 그리고 홀더(120)의 걸림홈(166)을 구비하나, 레버(165)가 카세트(150)에 조립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는 카세트(150)에 레버(165)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위를 가지며, 카세트(150)의 결합부위에 레버(165)가 볼트를 통해 결합되거나 쐐기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는 반복적인 변형 하중을 받는 레버(165)를 카세트(150)와 다르게 하중에 견디는 내구성이 더 우수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며, 카세트(150)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 또는 다양한 형태의 레버(165)로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레버(165) 대신에 제1 실시예의 억제부(160) 구성을 구현하기 위해 스크류(162)가 구비된 브라켓(미도시)으로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100)의 사시도에서 우측 2개의 열에 마운팅된 6개의 카세트(150)가 제3 실시예에 따른 억제부(160)가 적용된 예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110: 프레임 112: 베이스플레이트
114: 측벽 116: 후방커버
118: 커넥터홀 120: 홀더
122: 가이드레일 124: 상단리브
130: 슬롯 132: 인출입단
140: 팝업부 142: 하우징
143: 개구 144: 실린더
145: 오리피스 147: 푸쉬샤프트
148: 실링부재 149: 탄성부재
150: 카세트 160: 억제부
162: 스크류 163: 볼트홀
165: 레버 166: 걸림홈
167: 돌기

Claims (11)

  1. 전면이 개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복수개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는 홀더;
    상기 간격에 의해 조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향해 인출입단이 위치하는 복수의 슬롯;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며 상기 인출입단을 향해 탄성복원되는 팝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구성되고,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른 상기 홀더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 사이에 상기 슬롯 1개소가 조성되고,
    상기 팝업부는 상기 홀더의 후단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푸쉬샤프트와, 상기 홀더에 구비되며 상기 푸쉬샤프트를 상기 인출입단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팝업부는 상기 푸쉬샤프트 및 상기 탄성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푸쉬샤프트의 일부가 돌출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상기 슬롯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상기 홀더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칭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샤프트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실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푸쉬샤프트가 수용되고 상기 실링부재와 기밀하게 접촉하는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개구 사이에 상기 실린더 내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유체 연통시키는 오리피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8. 제1항에 있어서,
    전면에 복수의 광케이블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카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팝업부는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기 카세트에 상기 인출입단을 향해 탄성가압력을 가하며,
    상기 카세트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상기 팝업부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기 카세트의 이동을 억제하는 억제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부는 상기 홀더의 전면에 형성된 볼트홀 및 카세트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볼트홀에 볼트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부는 상기 홀더에 형성된 걸림홈 및 상기 카세트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카세트의 전면에서 연장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카세트에 탈착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KR1020220116217A 2022-09-15 2022-09-15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KR10249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17A KR102492328B1 (ko) 2022-09-15 2022-09-15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PCT/KR2023/010007 WO2024058389A1 (ko) 2022-09-15 2023-07-13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EP23191090.2A EP4339673A1 (en) 2022-09-15 2023-08-11 Multi-cassette fiber distribution frame
US18/460,426 US20240094495A1 (en) 2022-09-15 2023-09-01 Multi-cassette fiber distribution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17A KR102492328B1 (ko) 2022-09-15 2022-09-15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328B1 true KR102492328B1 (ko) 2023-01-30

Family

ID=8510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217A KR102492328B1 (ko) 2022-09-15 2022-09-15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94495A1 (ko)
EP (1) EP4339673A1 (ko)
KR (1) KR102492328B1 (ko)
WO (1) WO20240583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89A1 (ko) * 2022-09-15 2024-03-21 주식회사 에스모듈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4030A (ja) * 1999-11-26 2001-06-08 Fujikura Ltd 光配線ユニット
KR20030066080A (ko) * 2002-02-04 2003-08-09 우리로광통신주식회사 광분배모듈함
KR20150114990A (ko) * 2013-02-05 2015-10-13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케이블 처짐을 관리하는 슬라이딩가능한 텔레커뮤니케이션 트레이
KR20160123772A (ko) * 2015-04-17 2016-10-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모듈 및 하이브리드 광접속 시스템
US9723756B1 (en) * 2014-04-29 2017-08-01 Amazon Technologies, Inc. Rack mounting portion assembly
KR20190021243A (ko) * 2016-06-30 2019-03-05 팬듀트 코포레이션 모듈식 광섬유 트레이
US20200081214A1 (en) * 2018-09-06 2020-03-12 Belden Canada Inc. Patch panel system with tiltable tray and multiposition lock and releas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5501A1 (en) * 2009-05-21 2010-11-25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equipment guides and rails configured with stopping position(s), and related equipment and methods
TWM545913U (zh) * 2017-03-07 2017-07-2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纖卡匣抽換裝置
US11369034B2 (en) * 2019-09-18 2022-06-21 Ortronics, Inc. Ejectable cassette, guide column, and ejectable cassette system
KR102492328B1 (ko) * 2022-09-15 2023-01-30 주식회사 샤펜프렛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4030A (ja) * 1999-11-26 2001-06-08 Fujikura Ltd 光配線ユニット
KR20030066080A (ko) * 2002-02-04 2003-08-09 우리로광통신주식회사 광분배모듈함
KR20150114990A (ko) * 2013-02-05 2015-10-13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케이블 처짐을 관리하는 슬라이딩가능한 텔레커뮤니케이션 트레이
US9723756B1 (en) * 2014-04-29 2017-08-01 Amazon Technologies, Inc. Rack mounting portion assembly
KR20160123772A (ko) * 2015-04-17 2016-10-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모듈 및 하이브리드 광접속 시스템
KR20190021243A (ko) * 2016-06-30 2019-03-05 팬듀트 코포레이션 모듈식 광섬유 트레이
US20200081214A1 (en) * 2018-09-06 2020-03-12 Belden Canada Inc. Patch panel system with tiltable tray and multiposition lock and release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89A1 (ko) * 2022-09-15 2024-03-21 주식회사 에스모듈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9673A1 (en) 2024-03-20
US20240094495A1 (en) 2024-03-21
WO2024058389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4833B1 (en) Release latch for pre-terminated cassette
KR102492328B1 (ko) 멀티 카세트 광분배반
JP7353987B2 (ja) モジュール式カセットを有する高密度パッチパネル
US5381315A (en) Shelf assembly in electronic switching system
CN107831575B (zh) 分层式抽拉结构及高密度光纤配线箱
WO2013179197A1 (en) Adapter assembly and connector assembly
JP2017204318A (ja) 2ラックユニットシャーシ及び工具不要な薄型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キャリア装置
KR880000368B1 (ko) 통신장치 설치를 위한 래크구조
JPWO2004052066A1 (ja) 電子装置に搭載されるユニット及び当該電子装置の伝送線路の接続機構
US11627682B2 (en) Rack-mounte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608258B2 (en) Cabinet rack and rack mount holder
EP3796061B1 (en) Ejectable cassette and guide column
US11340666B2 (en) Data storage device fixing structure and cabinet
CN211786276U (zh) 一种光纤模块盒
JP6100679B2 (ja) 光配線盤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通信装置
US11234341B2 (en) Server rack and dummy chassis thereof
CN111413773A (zh) 一种光纤模块盒
CN219085376U (zh) 一种移动复合机器人用多通道硬盘检测、储存、调取装置
CN215895053U (zh) 光纤盒及光纤配线装置
EP3809174A1 (en) Welding retainer and welding plate
US8777650B1 (en) Quick-detachable modular jack and face panel mounting structure
US10820443B2 (en) Tray unit
US20230305254A1 (en) Reconfigurable modular fiber optic cassette
JP4929322B2 (ja) プリント配線板の保持モジュール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の固定方法、装置
JP4260069B2 (ja) 光接続箱の引き出しト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