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273B1 -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273B1
KR102492273B1 KR1020210189320A KR20210189320A KR102492273B1 KR 102492273 B1 KR102492273 B1 KR 102492273B1 KR 1020210189320 A KR1020210189320 A KR 1020210189320A KR 20210189320 A KR20210189320 A KR 20210189320A KR 102492273 B1 KR102492273 B1 KR 102492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terminal
connectio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성
윤찬락
이용하
김문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너스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너스,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너스
Priority to KR102021018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전류 차단, 누설전류 감지 및 차단, 충전 상황에 따른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 기능을 구비하여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는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의 플러그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삽입구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케이블의 플러그 단자가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의 전선이 접속되는 접속터미널과, 상기 접속단자와 접속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하는 접속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에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 상기 접속단자와 전속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가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OUTLE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전류 차단, 누설전류 감지 및 차단, 충전 상황에 따른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 기능을 구비하여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를 기존의 자동차와 같이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가 아닌 전기에너지로부터 얻는 자동차로,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매우 적고, 기존의 자동차에 비해 저렴한 유지비와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에 따른 환경 문제의 개선 등 많은 장점이 있다.
최근 들어, 전기 모터 기술 및 배터리 기술 등 각종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전기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 자동차에 대한 연구 및 보급이 활성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은 전기 자동차 충전소에 마련된 충전기를 활용하거나, 건물의 주차장 등에 구비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10-1948774 "전기 자동차 충전용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 방법", 공개특허 10-2021-0081497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그 충전장치의 플러그 및 콘센트" 등이 개시되었다.
전기자동차는 고가의 제품으로서 충전 중 과전류와 같은 이상 전원의 공급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손상, 콘센트의 과열에 의한 전기화재, 누설전류에 의한 전력손실 등을 예방할 필요가 크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는 이러한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있으며, 콘센트가 아닌 별도의 충전장치에 이러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콘센트에 과전류 차단, 누설전류의 감지 및 차단, 상황에 따른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전기자동차의 이상 전원으로부터 보호하고, 콘센트에 전기화재로부터 보호하고, 누설전류에 의한 전력손실을 차단하는 등으로 전기사고를 예방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콘센트 바디에 더미박스를 결합시키거나 분리하여 주차장 등의 구조물에 매립형이나 노출형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는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의 플러그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삽입구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케이블의 플러그 단자가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의 전선이 접속되는 접속터미널과, 상기 접속단자와 접속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하는 접속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에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 상기 접속단자와 전속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가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의 후방에는 상기 접속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수용구가 돌출되어 구비되어서, 상기 수용구가 구조물의 매립홈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용구를 덮으면서 상기 바디의 후방에 결합되는 더미박스를 더 포함하여서, 구조물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는 전기자동차에 과전류와 같은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전기자동차의 손상을 예방하고, 스파크 발생이나 전기화재 등으로부터 콘센트를 보호하고, 누설전류에 의한 전력손실을 예방하고, 주차장 등의 구조물에 매립형이나 노출형으로 모두 설치 가능한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의 사시도.
도 2 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접속어셈블리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 는 방수패드와 지지캡과 접속터미널을 요부로 하는 도면.
도 5 는 접속단자와 보강링을 요부로 하는 도면.
도 6 은 플러그의 삽입여부에 따른 가동핀과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7 은 콘센트가 매입형과 노출형으로 구조물에 설치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바디(10), 더미박스(20), 접속어셈블리(30)로 대별될 수 있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10)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전방을 덮는 커버(16)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16)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케이블(40)에 구비되는 플러그의 몸체(41)가 삽입되는 삽입구(16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에는 상기 삽입구(161)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어셈블리(30)가 수용되는 수용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16)에는 상기 삽입구(161)를 개폐하는 개폐캡(17)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서, 미사용 중에 삽입구(161)를 막아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한다.
상기 커버(16)에는 충전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18)과, LED(12)의 빛이 투과되는 투과홀(163)이 형성된다. 상기 LED(12)는 3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1)에 장착되고, 충전상태를 색상과 점멸 여부를 알려준다.
상기 더미박스는 상기 바디(10)의 후방에 결합된다.
상기 바디(10)에서 상기 본체(11)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패킹(13)이 구비되어서, 상기 더미박스(20)와의 결합틈새를 밀폐하고, 구조물(1)이 매립형으로 설치시 구조물(1)에 밀착되어서 구조물(1)과의 틈새를 밀폐한다.
도7을 참조하면, [A]처럼 구조물(1)에 매입홈(2)이 형성되어 있고, 매입홈(2)에 전원케이블(50)이 배선되어 이는 경우에는 상기 더미박스(20)를 제거하고, 콘센트를 매립형으로 구조물(1)에 설치하고, [B]처럼 구조물에 매입홈(2)이 없는 경우에는 전원케이블(50)이 상기 더미박스(20)를 관통하여 상기 접속어셈블리(30)에 접속시킨 후에 상기 더미박스(20)와 상기 바디(10)를 결합시키고, 상기 더미박스(20)를 구조물(1)에 노출형으로 설치한다.
상기 더미박스(2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구조물(1)에 밀착되어서 틈새를 밀폐시키는 패킹(23)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어셈블리(30)는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충전케이블(40)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전원이 전기자동차에 인가되어 충전되도록 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어셈블리(30)는 제어보드(310), 접속단자(321), 접지단자(331), 접속터미널(325), 접지터미널(336), 안내판(340), 안전개폐구(350), 방수패드(360), 지지캡(370) 가이드패널(381, 3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보드(3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접속단자(321)가 장착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접속터미널(325)에 장착되어서, 상기 접속터미널(325)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케이블(50)의 전원을 상기 접속단자(321)를 충전케이블(40)로 공급하여 전기자동차가 충전되도록 하고, 이때 충전이 안정적으로 행해지도록 한다.
상기 제어보드(310)에는 상기 접속터미널(325)을 통해 상기 전원케이블(50)에서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각종 전자소자가 실장된다.
상기 제어보드(310)에는 전원케이블(50)에서 입력되는 상용전원에 과전류가 포함된 경우 이를 차단하는 퓨즈(311), 누설전류의 발생을 감지하는 영상변류기(312), 충전케이블(40)의 플러그가 접속 또는 분리된 경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누설전류가 발생한 경우 등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321)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릴레이(313), 충전케이블(40) 플러그의 접속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314) 등의 전자소자가 실장된다.
상기 접속단자(321)는 상기 제어보드(31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서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상기 접속단자(321)는 내경이 가변될 수 있고, 탄성력으로 상기 플러그 단자에 접촉되도록, 반원모양으로 라운드지며 마주보는 한 쌍의 접속편(3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자(321)에 플러그의 단자가 반복적으로 삽입 및 분리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접속편(322)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변형이 발생되어, 플러그 단자와 접속단자(321)의 접속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접속편(322) 외주연에는 보강링(323)이 삽입되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편(322)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즉, 플러그 단자가 상기 한 쌍의 접속편(322) 내부로 삽입되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편(322)이 외측으로 벌어지더라도 플러그 단자가 분리되면 상기 한 쌍의 접속편(322)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보강링(323)이 상기 한 쌍의 접속편(322)을 내측으로 밀어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 단자가 상기 한 쌍의 접속편(322) 사이로 삽입되어서 접속편(322)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에 따라 보강링(323)의 내경이 확장되도록 상기 보강링(323)에는 개방부(324)가 형성된다.
성기 접지단자(331)는 상기 제어보드(310)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케이블(40) 플러그의 몸체(41)에 구비되는 접지플레이트에 접촉되어 접지시킨다.
상기 접속터미널(325)은 상기 제어보드(310)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전원케이블(50)이 결합되어서 사용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접속터미널(325)은 사각통(326)과,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통 내에서 전후진 가능한 조임구(327)과, 일단이 상기 사각통(326) 내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릴레이((313)에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조임구(327)를 전후진시켜서 상기 사각통(326)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임구(327)와 연결구(328) 사이에 개재된 전원케이블(50)의 전선(51)을 상기 연결구(328) 가압밀착시키는 조임볼트(3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터미널(325) 하부에는 방수패드(360)가 구비되어서, 전원케이블(50)을 타고 물이 접속어셈블리(30)로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방수패드(360)는 베이스(361)와, 상기 베이스(361)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케이블(50)의 전선(51)이 관통되는 관통부(363)와, 상기 관통부(363)의 후방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전원케이블(50)의 피복이 밀착되는 밀착돌기(3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패드(360)는 상기 전원케이블(50)의 전선(51) 및 피복에 밀착되도록 연질의 고무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방수패드(360)의 관통부(363)는 일정 두께를 갖는 평면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전원케이블(50)의 전선(51)이 뚫고 지나가면서 밀착될 수 있고, 평면구조에 절개홈을 만들어서 전선(51)이 절개홈으로 삽입되어서 밀착될 수 있고, 평면구조에 전선(51)의 직경 보다 작은 관통홀이 형성되어서 전선(51)이 관통홀로 삽입되어서 밀착될 수 있다.
연질의 상기 방수패드(360)는 지지캡(370)에 지지되어서 형상이 유지되면서 전원케이블(50)의 전선(51) 및 피복에 밀착된다.
상기 지지캡(370)은 상기 방수패드(360)의 베이스(361)에 면접촉되고, 상기 밀착돌기(365)가 관통하는 관통공(371)이 형성되어서, 베이스(361)의 변형을 예방한다.
상기 접지터미널(336)은 상기 제어보드(310)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접지단자(3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접지시킨다.
상기 안내판(340)은 상기 접속단자(321)의 상부에 배치되고,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하는 안내홀(341)이 형성되어서, 플러그의 단자가 접속단자(321)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안전개폐구(350)는 중앙부가 상기 안내판(34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안내판(340)에 형성된 두 안내홀(341)을 개폐한다. 상기 안전개폐구(350)의 양단부에는 삽입되는 플러그의 단자에 밀리는 경사면(351)이 형성된다.
상기 안전개폐구(350)는 스프링으로 탄지되어서, 평상시에는 양단부가 상기 안내판(340)의 안내홀(341)을 폐쇄하고, 플러그의 두 단자가 전진되어 양단부의 경사면(351)을 동시에 밀면 회전하여 안내홀(341)을 개방하여 플러그 단자의 삽입을 허용한다. 젓가락 등이 삽입되어 두 경사면(351) 중 한 경사면만을 밀면 상기 안전개폐구(350)는 회전하지 않아 안내홀(341)의 폐쇄 상태가 유지되어서 젓가락 등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상기 안내판(340)에는 가동핀(390)이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동핀(390)의 하단은 상기 안내판(340)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보드(310)에 실장된 리미트스위치(314)의 접점(315) 위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핀(390)의 상단은 상기 안내판(340) 위에 배치된다.
상기 플러그의 몸체(41)가 상기 바디(10)의 삽입구(161)에 삽입되면, 상기 안내판(340) 위에 배치된 상기 가동핀(390)의 상부를 눌러 가동핀(390)을 하강시키고, 하강되는 가동핀(390)의 하단은 상기 리미트스위치(314)의 접점(315)을 눌러 리미트스위치(314)를 작동시킨다.
보통은 플러그의 단자가 접속단자(321)에 접촉되면 즉시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한다. 그런데 플러그 단자와 접속단자(321) 간의 접촉 초기는 요동에 의해 이들의 접촉과 비접촉이 반복되거나 접촉이 약해지는 전기적 불안정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가동핀(390)과 리미트스위치(314)를 구비하여서, 플러그 단자가 접속단자(321)에 접촉되는 초기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플러그 몸체가 삽입구(161)에 충분히 삽입되어서 플러그 단자가 접속단자(321)에 안정적으로 접촉된 이후에 가동핀(390)이 리미트스위치(314)의 접점(315)을 눌러 리미트스위치(314)를 작동시키고, 리미트스위치(314)가 작동되면 릴레이(313)가 작동하여 접속터미널(325)과 접속단자(32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서, 전원케이블(50)의 전원이 비로서 접속터미널(325)과 접속단자(321) 거쳐서 충전케이블(4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 단자와 접속단자(321) 간의 접촉 초기의 전기적 불안정을 해소시킨다.
상기 가이드패널(381, 386)은 상기 제어보드(3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가이드패널(381)과 하부가이드패널(386)로 구성되고, 상부가이드패널(381)과 하부가이드패널(386)은 상기 접속단자(321), 접지단자(331), 접속터미널(325), 접지터미널(336), 안내판(340), 방수패드(360) 등이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디 11 : 본체
16 : 커버 17 : 개폐캡
20 : 더미박스 23 : 패킹
30 : 접속어셈블리 310 : 제어보드
311 : 퓨즈 312 : 영상변류기
313 : 릴레이 314 : 리미트스위치
321 : 접속단자 323 : 보강링
325 : 접속터미널 331 : 접지단자
336 : 접지터미널
340 : 안내판 350 : 안전개폐구
360 : 방수패드 361 : 베이스
363 : 관통부 365 : 밀착돌기
370 : 지지캡
381 : 상부가이드패널 386 : 하부가이드패널
390 : 가동핀
40 : 충전케이블 50 : 전원케이블

Claims (3)

  1.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의 플러그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삽입구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케이블의 플러그 단자가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의 전선이 접속되는 접속터미널과, 상기 접속단자와 접속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하는 접속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에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 상기 접속단자와 전속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를 작동시키는 리미트스위치가 실장되고,
    하단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접점 위에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 몸체에 눌리는 가동핀이 상기 바디의 삽입구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서, 상기 플러그 몸체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플러그 단자가 상기 접속단자에 안정적으로 접촉된 이후에 상기 리미트스위치 및 릴레이가 작동하여 상기 접속터미널과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내경이 가변될 수 있고, 탄성력으로 상기 플러그 단자에 접촉되도록, 반원모양으로 라운드지며 마주보는 한 쌍의 접속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접속편의 외주연에는 보강링이 삽입되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가 상기 한 쌍의 접속편 내부로 삽입되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편이 외측으로 벌어지더라도 플러그 단자가 분리되면 상기 한 쌍의 접속편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링에는 상기 접속편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에 따라 내경이 확장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후방에는 상기 접속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수용구가 돌출되어 구비되어서, 상기 수용구가 구조물의 매립홈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를 덮으면서 상기 바디의 후방에 결합되는 더미박스를 더 포함하여서, 구조물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KR1020210189320A 2021-12-28 2021-12-28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KR102492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320A KR102492273B1 (ko) 2021-12-28 2021-12-28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320A KR102492273B1 (ko) 2021-12-28 2021-12-28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273B1 true KR102492273B1 (ko) 2023-01-27

Family

ID=8510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320A KR102492273B1 (ko) 2021-12-28 2021-12-28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2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4134U (ko) * 1995-12-30 1997-07-26 자동차의 컨솔박스 구조
KR20180088045A (ko) * 2017-01-26 2018-08-03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KR20200019922A (ko) * 2020-02-11 2020-02-2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완속충전 케이블 연결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KR20210147128A (ko) * 2020-05-27 2021-12-07 영화테크(주) 전기차용 실내 교류전원 아웃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4134U (ko) * 1995-12-30 1997-07-26 자동차의 컨솔박스 구조
KR20180088045A (ko) * 2017-01-26 2018-08-03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KR20200019922A (ko) * 2020-02-11 2020-02-2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완속충전 케이블 연결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KR20210147128A (ko) * 2020-05-27 2021-12-07 영화테크(주) 전기차용 실내 교류전원 아웃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3277B2 (en) Squib connector assembly with CPA
KR101910462B1 (ko) 고 전류 어플리케이션용 안전 시스템
US8827729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EP251731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4770644A (en) Disconnectable multipole connector, especially for use of transmission of electricity between motor vehicles and trailers
CA2150522C (en) Universal battery cable assembly
JPH09147734A (ja) ヒューズボックス
EP0418790A1 (en) Perfect coupling confirming mechanism for an electric connector
CN103069529A (zh) 用于将电池连接至电动或混合动力车辆的装置及包括所述连接装置的电池外壳
CA2714540A1 (en) Safety electrical receptacle
KR102492273B1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KR102573362B1 (ko) 접속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KR102573363B1 (ko) 방수성이 강화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KR20230057029A (ko) 플러그 접속 초기의 불안정성을 해소한 전기자동차 충전용 콘센트
CN203707482U (zh) 一种单芯连接器
CN212626368U (zh) 一种电连接安全防护装置
WO2019143450A2 (en) Battery booster cable system
GB2315373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NO983246L (no) Kabelst°psel med jordingskontakt
KR20180130557A (ko) 고전압 커넥터 및 고전압 연결 형성 방법
CN106384914A (zh) 断电解锁装置
CN106797094B (zh) 插拔连接器
CN211295484U (zh) 塑胶信号连接器
US20020079993A1 (en) Automatic anti-arcing safety plug receptacle for grounded electrical appliances and utilization equipment
CN218602865U (zh) 车用插座、供电系统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