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145B1 -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145B1
KR102492145B1 KR1020197000032A KR20197000032A KR102492145B1 KR 102492145 B1 KR102492145 B1 KR 102492145B1 KR 1020197000032 A KR1020197000032 A KR 1020197000032A KR 20197000032 A KR20197000032 A KR 20197000032A KR 102492145 B1 KR102492145 B1 KR 10249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specific information
control channel
specif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895A (ko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5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1Arrangements for Wireless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8Tim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a scrambling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에 대응되는 빔 특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빔 중의 제1 빔의 제1 빔 특정 정보는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게 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각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빔 특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에 따르면, 각 빔 내의 단말 기기에 대해 네트워크 기기는 빔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자신이 위치한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사물인터넷의 커버리지 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복(Repetition) 발사와 전력 증폭(Power boosting) 등의 기술을 채택하였었지만, 역할을 발휘할 수 있는 장면은 한정되어 있다. 제5 세대 이동 통신 기술(5G)이 고려한 사물인터넷 배치 시나리오의 요구 범위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5G 주파수 스펙트럼은 더 높고, 신호 손실도 더 크다. 따라서, 5G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개선 가능한 기술로서 빔 형성 액세스(Beamformed Access) 기술을 채택할 수 있다.
4G 시스템에서도 빔 형성(Beamforming) 기술을 채택하지만, 단지 사용자 특정(UE-specific)의 데이터 채널의 전송에만 사용될 뿐, 동기화,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 등에 대해서는 모두 셀 내 브로드캐스트(Cell-specific) 채널과 신호를 채택하는 바, 빔 형성(Beamforming) 모드 송신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의 셀 내에서 복수의 빔 또는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통해 공통 채널 및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의 에너지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형성 이득을 얻고, 또한 커버리지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빔 형성(Beamforming) 기술은 5G 공통 채널의 설계를 위한 매력적인 새로운 기술로 되고 있다. 그러나 빔 형성 액세스(Beamformed Access) 기술을 사용하여 셀 내에서 어떻게 셀의 시스템 정보를 공통 채널 및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할지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이다.
본 발명은 시스템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오버 헤드를 줄이며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고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에 대응되는 빔 특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빔 중의 제1 빔의 제1 빔 특정 정보는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게 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해당되는 상기 빔 특정 정보를 상기 각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또한 각 빔 내의 단말 기기에 대해 빔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자신이 위치한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빔이 서로 다른 구성을 채택하도록 지원하며, 빔 전송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제1 양태와 결합하여 제1 양태의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 제1 동기화 신호와 셀의 프레임 클럭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는 시간 영역 오프셋을 직접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는 또한 시간 영역 오프셋을 간접적으로 지시할 수 있는 바, 즉 상기 빔의 번호 또는 상기 빔을 통해 송신하는 동기화 신호가 위치하는 시간 영역 위치의 번호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지시함으로써, 상기 빔의 번호 또는 동기화 신호가 위치하는 시간 영역 위치의 번호와 시간 영역 오프셋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시간 영역 오프셋을 확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빔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를 채택하여 동기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각 빔 특정 정보에 포함된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빔을 통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를 확정하고, 또한, 상기 셀의 프레임 클럭을 확정할 수 있게 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상기의 실현 형태와 결합한 제1 양태의 다른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대역폭 폭 지시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및 상기 총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네트워크 기기의 셀 내에는 복수의 빔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 빔의 대역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빔 내의 기기의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빔을 통해 신호를 송신할 시 점용된 총 대역폭을 설정하고, 빔 특정 정보 중의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사용하여 상기 빔의 총 대역폭 및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하나의 빔이 일부 대역폭을 점용하여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과 같은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빔이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리소스 전송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을 점용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빔 사이의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의 간섭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상기의 실현 형태와 결합한 제1 양태의 다른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서로 다른 빔의 통신 범위 내의 단말 기기의 수량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필요한 제어 채널 용량도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빔의 빔 특정 정보 중의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사용하여 상기 빔을 통해 송신되는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지시함으로써, 상기 빔이 단말 기기의 수량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의 용량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제어 채널의 오버 헤드를 절약하고 주파수 스펙트럼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상기의 실현 형태와 결합한 제1 양태의 다른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은 상기 제1 빔의 공통 정보를 반송(carry)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UE 특정 검색 공간은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 중의 각 단말 기기 특정 정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한다.
따라서, 각 빔에 대해 각각 검색 공간을 분할하고, 서로 다른 빔에 의해 커버리지된 서로 다른 단말 기기에 대해 검색 공간을 분할함으로써, 검색 공간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단말의 블라인드 검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상기의 실현 형태와 결합한 제1 양태의 다른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 중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에 대해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를 할당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 중의 제1 단말 기기는 제1 UE 특정 코드에 대응됨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제1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각 빔 내에서 단말 기기에 대해 각각 UE 특정 코드를 할당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빔 사이에서 UE 특정 코드를 중복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코드의 양을 대폭 축소하고 코드 리소스를 절약하며, 스크램블링 코드의 길이도 감소시킬 수 있어, 스크램블링 및 디스크램블링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상기의 실현 형태와 결합한 제1 양태의 다른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와 크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일정한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를 확정하고, 또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UE 특정 검색 공간의 총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일정한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설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 및 상기 제1 UE 특정 코드를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와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제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빔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복수의 빔 중의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빔 특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함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각 빔 내의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빔 특정 정보에 부가된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빔이 서로 다른 구성을 채택하도록 지원하여, 빔 전송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며 리소스의 낭비를 피한다.
제2 양태와 결합하여 제2 양태의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와 셀의 프레임 클럭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상기의 실현 형태와 결합한 제2 양태의 다른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의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및 상기 총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상기의 실현 형태와 결합한 제2 양태의 다른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상기의 실현 형태와 결합한 제2 양태의 다른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공통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UE 특정 검색 공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특정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상기의 실현 형태와 결합한 제2 양태의 다른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는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를 구비하고, 제1 단말 기기는 제1 UE 특정 코드에 대응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제1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상기의 실현 형태와 결합한 제2 양태의 다른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와 크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실현 형태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실현 형태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실현 형태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실현 형태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는 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가 실행될 때, 상기 실행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실현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단말 기기를 제공하는 바, 상기 단말 기기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가 실행될 때, 상기 실행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실현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실현 형태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의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실현 형태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시스템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오버 헤드를 줄이며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고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해야 할 첨부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이하 설명 중 첨부 도면이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임은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창조성 노동을 하지 않고 이러한 첨부 도면에 따라 다른 첨부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장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동기화 신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대역폭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빔 제어 채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에 할당 UE 특정 코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빔 제어 채널의 검색 공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설명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지 전부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 중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 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예를 들면 글로벌 이동 통신(GSM: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장기적 진화형(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등 현재의 통신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향후의 5G 시스템 등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 기지, 원격 기지, 원격 단말, 이동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설비,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설정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처리(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장치, 계산 장치 또는 무선 변조 복조기에 연결되는 서로 다른 장치 자동차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향후 5G 네트워크에서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형 PLMN 네트워크 에서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GSM 시스템 또는 CDMA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일 수도 있고,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B: NodeB)일 수도 있고, LTE 시스템 중의 진화형 기지국(eNB: Evolutional Node 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 중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다. 혹은 상기 노드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자동차 설비, 웨어러블 장치 및 향후의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미래 진화형 PLMN 네트워크 중의 노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장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임의의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의 임의의 하나의 셀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셀 내에는 K개의 단말 기기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K개의 단말 기기는 각 단말 1~ 단말 K이며, K는 양의 정수이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N개의 빔을 통해 상기 동일한 셀 내의 K개의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빔은 각각 빔 1 ~ 빔 N이고 N은 양의 정수이다. 또 서로 다른 빔에 의해 커버리지된 단말 기기는 서로 다른 바, 예를 들면, 빔 1은 단말 1과 단말 2를 커버리지하고, 빔 2는 단말 3을 커버리지하고, 빔 3은 단말 4 ~ 단말 6을 커버리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K개의 단말 기기는 상기 빔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바, 예를 들면, 단말 1과 단말 2가 빔 1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면, 단말 1과 단말 2는 빔 1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N개의 빔은 하나 또는 복수의 빔이 존재할 수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빔의 통신 범위 내에는 단말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100)을 나타낸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100)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예를 들면 도 1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100)는 S110 및 S120을 포함한다.
S110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에 대응되는 빔 특정 정보를 생성하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빔 중의 제1 빔의 제1 빔 특정 정보는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빔 커버리지 범위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S120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각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빔 특정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에 대해 각 빔의 빔 특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기기는 임의의 하나의 빔인 제1 빔에 대해 상기 제1 빔의 제1 빔 특정 정보를 생성하며, 여기에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기기는 도 1중의 빔 3에 대해 상기 빔의 빔 특정 정보를 생성하며, 여기서 상기 빔 특정 정보는 상기 빔 3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해당되는 상기 빔 특정 정보를 상기 각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를 제1 빔을 통해 상기 제1 빔 내의 단말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 중의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위치한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또한 각 빔 내의 단말 기기에 대해 빔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자신이 위치한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서로 다른 빔에 대해 생성한 빔 특정 정보는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네트워크 기기가 생성한 임의의 빔인 제1 빔의 제1 빔 특정 정보를 예로 들어,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 중에 서로 다른 필드를 포함시켜 다양한 서로 다른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경우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옵션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와 상기 셀의 프레임 클럭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전통적인 4G 시스템에서는 프레임에서의 동기화 신호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는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모드와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 모드에서는 서로 다르지만, 동일한 모드에서는 동기화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단말 기기는 블라인드 검출을 실행하여 동기화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에 기반하여 프레임 클럭을 직접 추산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기기가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경우, 서로 다른 빔을 통해 시간 영역에서의 서로 다른 위치로 동기화 신호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서로 다른 빔을 통해 송신된 상기 동기화 신호는 상기 셀의 프레임 클럭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오프셋 수량을 가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통적인 블라인드 검출 방식을 통해 클럭 동기화를 실현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N개의 빔 중의 제1 빔에 대해,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 중의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통해,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와 상기 셀의 프레임 클럭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지시함으로써,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빔 특정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빔 특정 정보 중의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와 상기 셀의 프레임 클럭과 시간 영역 오프셋을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을 예로 들면, N개의 빔은 서로 다른 시간 영역 위치에 기반하여 동기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빔 1을 통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 1은 시간 영역 위치 1에 위치하고, 빔 2을 통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 2는 시간 영역 위치 2에 위치하며, 빔 N을 통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 N은 시간 영역 위치 N에 위치한다.
그러면, 임의의 빔인 제1 빔의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에 기반하여, 셀의 프레임 클럭에 대한,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빔 2의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빔 특정 정보를 수신한, 상기 빔 2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단말 기기는,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에 기반하여, 셀의 프레임 클럭에 대한, 상기 빔 2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 2의 시간 영역 위치 2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T 2 로 확정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서로 다른 빔은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지 않아도 되지만, 모두 각 빔 자신의 빔 특정 정보 중의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사용하여, 셀의 프레임 클럭에 대한, 상기 빔을 통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지시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는 시간 영역 오프셋을 직접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빔 2의 빔 특정 정보에 포함된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는, 시간 영역 오프셋이 T 2 임을 지시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는 또한 시간 영역 오프셋을 간접적으로 지시할 수 있는 바, 즉 상기 빔의 번호 또는 상기 빔을 통해 송신하는 동기화 신호가 위치하는 시간 영역 위치의 번호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지시함으로써, 상기 빔의 번호 또는 동기화 신호가 위치하는 시간 영역 위치의 번호와 시간 영역 오프셋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시간 영역 오프셋을 확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K개의 시간 영역 위치가 제공되어, N개의 빔을 통해 동기화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또한 n(n = 1,...,N) 번째 빔이 k(k = 1,...,K) 번째 시간 영역 위치를 사용하여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빔을 통해 송신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중에 k의 값 또는 n의 값을 부가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k의값 또는 n의 값에 기반하여 n, k 및 시간 영역 오프셋 사이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n번째 빔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빔 2의 빔 특정 정보에 포함된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가 지시하는 상기 빔의 일련 번호가 2 인 경우, 단말 기기는 빔의 일련 번호와 시간-주파수 시간 영역 오프셋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빔 2에 대응되는 시간 영역 오프셋을 T 2 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빔 2의 빔 특정 정보에 포함된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가 상기 빔을 통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 위치가 시간 영역 위치 2인 것을 지시하면, 단말 기기는 상기 시간 영역 위치, 빔의 일련 번호 및 시간-주파수 시간 영역 오프셋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시간 영역 위치 2에서 빔 2의 동기화 신호가 수신되고, 또한 상기 동기화 신호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T 2 로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는 각 빔 특정 정보에 포함된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통해, 상기 빔을 통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를 확정하고, 또한 상기 셀의 프레임 클럭을 확정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및 상기 총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전통적인 시스템에서는, 셀 전체의 시스템 대역폭이 브로드캐스트 채널로만 브로드캐스트되고, 또한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가 유일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셀 검색 과정을 통해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직접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의 수가 다를 수 있고, 이러한 단말 기기에 의해 점용되는 대역폭도 다르게 설정되므로, 각 빔은 자신의 빔 특정 정보 중의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사용하여, 상기 빔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및 상기 총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지시하며, 이에 대해, 상기 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는 상기 빔 특정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빔 특수 정보 중의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빔에 의해 송신된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및 상기 총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및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셀의 시스템 대역폭이 W일 경우, 빔 1 및 빔 2의 예를 들면, 빔 1의 빔 특정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는 상기 빔 1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W1 및 상기 총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f1을 지시하며, 예를 들면, 상기 총 대역폭이 데이터 채널 및/또는 제어 채널에 의해 점용된 대역폭과 동일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 및/또는 제어 채널에 의해 점용된 대역폭은 W1이며, 상기 데이터 채널 및/또는 제어 채널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은 f1이다. 마찬가지로, 빔 2의 빔 특정 정보도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는 상기 빔 2 전송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W2 및 상기 총 대역폭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f2을 지시하며, 예를 들면, 상기 총 대역폭이 데이터 채널 및/또는 제어 채널에 의해 점용된 대역폭과 동일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 및/또는 제어 채널에 의해 점용된 대역폭은 W2이며, 상기 데이터 채널 및/또는 제어 채널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은 f2이다.
상기 셀은 복수의 빔을 포함하고, 각 빔의 대역폭은 주파수 영역 위치에서 겹치질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빔 내의 기기의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빔을 통해 신호를 송신할 시 점용된 총 대역폭을 설정하고, 빔 특정 정보 중의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사용하여 상기 빔의 총 대역폭 및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하나의 빔이 일부 대역폭을 점용하여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과 같은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빔이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리소스 전송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을 점용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빔 사이의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의 간섭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옵션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점용된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전통적인 4G 시스템에서는, 상기 셀의 제어 채널에 의해 점용된 심볼의 수가 브로드캐스트되고, 그 주파수 영역은 셀의 대역폭과 동일하다. 예를 들면, 물리 제어 포맷 지시 채널(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을 통해, 상기 셀의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점용된 심볼 수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심볼의 수는 1, 2 또는 3일 수 있지만, 전체 셀은 하나의 PDCCH 만 구비하고, 또한 통일된 크기를 갖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다른 빔의 통신 범위 내의 단말 기기의 수량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필요한 제어 채널 용량도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중의 N개의 빔은 각 빔의 통신 범위 내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기기의 서로 다른 수량에 따라, 각 빔의 제어 채널을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는 상기 빔 특정 정보 중의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점용된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빔의 제어 채널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은 시간 영역의 크기 및/또는 주파수의 영역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서로 다른 빔에 포함된 제어 채널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에 대하여, 상기 빔의 빔 특정 정보에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지시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어 채널을 고정된 시작 위치로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제어 채널을 프레임의 시작 위치를 설정하면,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제어 채널을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빔의 빔 특정 정보 중의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사용하여, 상기 빔을 통해 송신되는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지시함으로써, 상기 빔이 단말 기기의 수량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의 용량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제어 채널의 오버 헤드를 절약하고 주파수 스펙트럼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옵션으로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각 빔 내의 단말 기기에 대해 UE 특정 코드를 할당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빔 내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의 UE 특정 코드는 서로 다르지만, 서로 다른 빔 내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는 동일한 UE 특정 코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전통적인 4G 시스템은, 셀 내의 단말 기기에 대해 UE 특정 코드를 통일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셀 내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는 PDCCH를 수신하기 위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와 같은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를 구비하며, 이렇게 하여, 어느 한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상기 단말의 C-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을 수행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C-RNTI을 사용하여 PDCCH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실행하여 필요한 제어 시그널링을 얻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복수의 빔의 Beamformed Access 시스템에서, 여전히 셀 특정 C-RNTI를 사용하여 단말 기기에 대해 코딩하면, 대량의 C-RNTI가 필요하지만, 단말 기기는 하나의 빔만을 통해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따라서, 각 빔 내에서 단말 기기에 대해 각각 UE 특정 코드를 할당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빔 사이에서 C-RNTI와 같은 UE 특정 코드를 중복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C- RNTI의 수를 대폭 축소시키고 코드 리소스를 절약하며 스크램블링 코드의 길이도 감소시켜, 스크램블링 및 디스크램블링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N개의 빔을 통해 K개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임의의 빔인 제1 빔은 제1빔 내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에 대해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를 할당할 수 있는 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빔 1 내의 단말 1 및 단말 2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인 ID1 및 ID2를 할당하고, 빔 2 내의 단말 2에 대해 UE 특정 코드 인 ID1을 할당하며, 빔 3 내의 단말 4, 단말 5 및 단말 6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인 ID1, ID2 및 ID3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빔 1 및 빔 2와 같은 서로 다른 빔 내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인 단말 1과 단말 3은 동일한 UE 특정 코드인 ID1을 구비할 수 있다. 각 단말 기기에 할당된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 채널 중의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스크램블링을 수행함으로써, 각 단말 기기가 상기 빔을 통해 송신된 제어 채널을 수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의 UE 특정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빔의 제어 채널 중의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도록 한다.
임의의 빔인 제1 빔의 제1 제어 채널은,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통 검색 공간은 상기 제1 빔의 공통 정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은 모두 상기 영역을 검색하여 공통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또한, UE 특정 검색 공간은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각 단말 기기의 특정 정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며, 각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 자체에 속하는 검색 영역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특정 정보를 취득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통적인 4G 시스템에서, 하나의 셀의 PDCCH도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한다. 하나의 단말 기기는 공통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 외에, 상기 단말 기기에 할당된 UE 특정 검색 공간도 모니터링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복수의 빔의 Beamformed access 시스템에서는, 제어 채널의 검색 공간을 셀에 대해서만 통일적으로 구획하지 않아도 된다. 각 빔에 대해 각각 검색 공간을 구획하고, 또한 서로 다른 빔에 의해 커버리지된 서로 다른 단말 기기에 대해 검색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검색 공간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단말의 블라인드 검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N개의 빔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빔 1의 제어 채널은 공통 검색 공간 및 단말 1과 단말 2의 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하며, 여기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해서, 빔 1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1과 단말 2는 공통 코드를 통해 공통 검색 공간의 공통 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UE 특정 검색 공간은 단말 1의 검색 공간과 단말 2의 검색 공간을 포함하며, 단말 1은 UE 특정 코드 ID1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의 특정 검색 공간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 1의 특정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단말 2는 UE 특정 코드 ID2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의 특정 검색 공간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 2의 특정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전통적인 4G 시스템의 하나의 셀의 PDCCH에서 단말 기기에 대해 분할하는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는 셀에 의해 이 단말에 할당된 C-RNTI 및 PDCCH에 포함된 제어 채널 요소(CCE: Control Channel Element)의 수량에 기반하여 확정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다른 빔의 제어 채널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임의의 빔인 제1 빔의 제1 제어 채널에 대해,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 및 임의의 단말 기기인 제1 단말 기기의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를 확정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 및 공통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제어 채널에서의 공통 검색 공간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제어 채널 요소(CCE: Control Channel Element)의 크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단말 기기에 할당된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UE 특정 검색 공간의 크기 및 위치를 확정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옵션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CCE와 유사하게, 동일한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설정하여, UE 특정 코드 및 제어 채널의 크기에 따라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고, UE 특정 검색 공간의 크기도 확정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설정하지 않고, UE 특정 코드 및 제어 채널의 크기에 따라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 및 크기를 확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또한 각 빔 내의 단말 기기에 대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빔 특정 정보에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자신이 위치한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기술에서의 빔이 통일적인 셀 특정 정보밖에 송신할 수 없는 상황을 피하여, 서로 다른 빔을 통해 서로 다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네트워크 기기 측의 각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이하는 단말 기기 측의 각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200)을 나타낸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200)은,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며, 예를 들면, 도 1에서 K개의 단말 기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법(200)은 S210 및 S220을 포함한다.
S210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빔 특정 정보를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복수의 빔 중의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빔 특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다.
S220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각 빔 내의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빔 특정 정보에 부가된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빔이 서로 다른 구성을 채택하도록 지원하여, 빔 전송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며 리소스의 낭비를 피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와 셀의 프레임 클럭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및 상기 총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셀 중심 주파수 포인트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공통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UE 특정 검색 공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특정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는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1 UE 특정 코드에 대응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제1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와 크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 측 각도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상호 작용 및 관련 특성이나 기능 등은, 단말 기기 측의 각도에서의 설명에 대응되므로 간소화를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각 빔 내의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빔 특정 정보에 부가된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기술에서의 빔이 통일적인 셀 특정 정보밖에 송신할 수 없는 상황을 피하여, 서로 다른 빔을 통해 서로 다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시스템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는 실시 전후 순서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과정의 실시 순서는 그 기능과 자신의 기본 논리에 의해 확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시 과정을 한정하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즉 이하의 각 기기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상기의 방법의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고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300)를 나타낸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는, 생성 유닛(310) 및 송신 유닛(320)을 포함한다.
생성 유닛(310)은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에 대응되는 빔 특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빔 중의 제1 빔의 제1 빔 특정 정보는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유닛(320)은 상기 각 빔을 통해 해당되는 상기 빔 특정 정보를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또한 각 빔 내의 단말 기기에 대해 빔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자신이 위치한 빔의 시스템 정보 취득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빔이 서로 다른 구성을 채택하도록 지원하며, 빔 전송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와 셀의 프레임 클럭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및 상기 총 대역폭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은 상기 제1 빔의 공통 정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UE 특정 검색 공간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 중의 각 단말 기기의 특정 정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 중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에 대해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를 할당하기 위한 처리 유닛(330)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 중의 제1 단말 기기는 제1 UE 특정 코드에 대응되며, 상기 처리 유닛(330)은, 또한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제1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스크램블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처리 유닛(33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와 크기를 확정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100)의 실행 주체에 대응되며, 네트워크 기기(300)의 각 모듈의 상기 또는 서로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 내지 도 7의 각 방법의 상기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간소화를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또한 각 빔 내의 단말 기기에 대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빔 특정 정보에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자신이 위치한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기술에서의 빔이 통일적인 셀 특정 정보밖에 송신할 수 없는 상황을 피하여, 서로 다른 빔을 통해 서로 다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400)는, 수신 유닛(410) 및 확정 유닛(420)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410)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빔 특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복수의 빔 중의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빔 특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말 기기 기기는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다.
확정 유닛(420)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에 따르면, 수신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빔 특정 정보에 부가된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빔이 서로 다른 구성을 채택하도록 지원하며, 빔 전송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며 리소스의 낭비를 피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와 셀의 프레임 클럭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및 상기 총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공통 정보 확정하고, 상기 UE 특정 검색 공간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특정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는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UE 특정 코드에 대응되며, 상기 확정 유닛(4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제1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확정 유닛(4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와 크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 200의 실행 주체에 대응되며, 단말 기기(400)의 각 모듈의 상기 또는 서로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8 각 방법의 상기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간소화를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빔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빔 특정 정보에 부가된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위치하고 있는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기술에서 빔이 통일된 셀 특정 정보밖에 송신할 수 없는 상황을 피하여, 서로 다른 빔을 통해 서로 다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500)를 나타낸 예시적인 블록도이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500)는 프로세서(510)와 트랜시버(52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510)와 트랜시버(520)는 서로 연결되며, 옵션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500)는 메모리(530)를 더 포함하고, 메모리(530)는 프로세서(510)에 연결되고, 또한 옵션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500)는 버스 시스템(5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510), 메모리(530) 및 트랜시버(520)는, 버스 시스템(54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530)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메모리(53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트랜시버(520)가 정보 또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프로세서(510)는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에 대응되는 빔 특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빔 중의 제1 빔의 제1 빔 특정 정보는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랜시버(520)는, 상기 각 빔을 통해 해당되는 상기 빔 특정 정보를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송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또한 각 빔 내의 단말 기기에 대해 빔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자신이 위치한 빔의 시스템 정보 취득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빔이 서로 다른 구성을 채택하도록 지원하며, 빔 전송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와 셀의 프레임 클럭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및 상기 총 대역폭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은 상기 제1 빔의 공통 정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UE 특정 검색 공간은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 중의 각 단말 기기의 특정 정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 중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에 대해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 중의 제1 단말 기기는 제1 UE 특정 코드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제1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스크램블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의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와 크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300)에 대응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100)의 실행 주체에 대응될 수도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기기(500)의 각 모듈의 상기 또는 서로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 내지 도 7의 각 방법의 상기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간소화를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또한 각 빔 내의 단말 기기에 대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빔 특정 정보에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자신이 위치한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기술에서의 빔이 통일적인 셀 특정 정보밖에 송신할 수 없는 상황을 피하여, 서로 다른 빔을 통해 서로 다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600)를 나타낸 예시적인 블록도이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600)는, 프로세서(610)와 트랜시버(62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610)와 트랜시버(620)는 서로 연결되며, 옵션으로서 상기 단말 기기(600)는 메모리(630)를 더 포함하고,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10)에 연결되며, 또한 옵션으로서, 상기 단말 기기(600)는 버스 시스템(6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610), 메모리(630) 및 트랜시버(620)는 버스 시스템(64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630) 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메모리(63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트랜시버(620)가 정보 또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트랜시버(620)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빔 특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복수의 빔 중의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빔 특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말 기기 기기는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다.
상기 프로세서(610) 는,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에 따르면, 수신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빔 특정 정보에 부가된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빔이 서로 다른 구성을 채택하도록 지원하고, 빔 전송의 유연성을 높이며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고 리소스의 낭비를 피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와 셀의 프레임 클럭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폭 및 상기 총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공통 정보를 확정하고, 또한 상기 UE 특정 검색 공간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특정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는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제1 UE 특정 코드에 대응되며,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제1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 및 크기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400)에 대응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200)의 실행 주체에 대응될 수도 있으며, 또한 단말 기기(600)의 각 모듈의 상기 또는 서로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8의 각 방법의 상기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간소화를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빔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다운링크 신호를 복수의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복수의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빔 특정 정보에 부가된 상기 빔의 구성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위치하고 있는 빔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기술에서 빔이 통일된 셀 특정 정보밖에 송신할 수 없는 상황을 피하여, 서로 다른 빔을 통해 서로 다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으며,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다. 실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전용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을 결합한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완성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 완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 레지스터 등과 같은 본 분야에서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여,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비 휘발성 저장 장치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저장 장치 및 비 휘발성 저장 장치의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저장 장치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M: Programmable ROM), 삭제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Erasable PROM), 전기적 소거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저장 장치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제한적 아니라,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RAM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Static 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Dynamic RAM), 동기화 동적 임의 접근 메모리(SDRAM: Synchronous DRAM), 더블 데이터 속도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DRSDRAM: Double Data Rate SDRAM), 강화 형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SDRAM: Enhanced SDRAM), 동기식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LDRAM: Synchlink DRAM),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R RAM: Direct Rambus RAM)일 수 있다. 주의할 점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및 어떠한 기타 적절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취지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용어인 “및/또는”은, 단순한 관련 대상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는 것인 바, 세 가지 관계가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A 만 존재하는 경우, A와 B 양자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및 B만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인 "/"는, 대체로 전후 관련 대상 사이의 “또는”이라는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결부하여 설명된 각 실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로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수행할 것인지는 기술적 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의거한다. 당업자는 서로 다른 방법을 각 특정된 응용에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리와 간결을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하면 되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논리 기능적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되거나 다른 한 시스템에 집적되거나 일부 특징이 간략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나타내거나 토론한 상호 간의 커플링, 직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되거나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시,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방안은 기본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공헌을 이바지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방안의 부분에 대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 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여러 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켓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과 교체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과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의 범위를 보호범위의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28)

  1.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에 대응되는 빔 특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빔 중의 제1 빔의 제1 빔 특정 정보는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게 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각 빔을 통해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빔 특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와 셀의 프레임 클럭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및 상기 총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송신되는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공통 검색 공간과 사용자 장비(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은 상기 제1 빔의 공통 정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UE 특정 검색 공간은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 중의 각 단말 기기의 특정 정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빔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단말 기기가 제1 빔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복수의 빔 중의 제1 빔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빔 중의 각 빔은 동일한 셀 내의 단말 기기에 대응하는 빔 특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함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간 영역 오프셋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제1 동기화 신호와 셀의 프레임 클럭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점용된 총 대역폭 및 상기 총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셀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오프셋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공통 검색 공간과 사용자 장비(UE) 특정 검색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공통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UE 특정 검색 공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특정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서로 다른 단말 기기는 서로 다른 UE 특정 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1 UE 특정 코드에 대응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제1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크기와 상기 제1 UE 특정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제어 채널 중의 UE 특정 검색 공간의 위치 및 크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는 제어 채널 시간-주파수 영역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의 시스템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빔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빔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의 크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5.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97000032A 2016-07-01 2016-07-01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KR102492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88127 WO2018000421A1 (zh) 2016-07-01 2016-07-01 传输信号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895A KR20190025895A (ko) 2019-03-12
KR102492145B1 true KR102492145B1 (ko) 2023-01-25

Family

ID=6078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032A KR102492145B1 (ko) 2016-07-01 2016-07-01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4) US10651921B2 (ko)
EP (1) EP3461023B1 (ko)
JP (1) JP6953457B2 (ko)
KR (1) KR102492145B1 (ko)
CN (2) CN111901025B (ko)
AU (1) AU2016413003B2 (ko)
BR (1) BR112018077453B1 (ko)
CA (1) CA3029535C (ko)
MX (1) MX2019000085A (ko)
RU (1) RU2708385C1 (ko)
SG (1) SG11201811700XA (ko)
TW (1) TWI731112B (ko)
WO (1) WO2018000421A1 (ko)
ZA (1) ZA2019001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804B1 (ko) * 2018-03-07 2023-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9182141A1 (ja) * 2018-03-23 2019-09-26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基地局による送信方法
WO2020081404A1 (en) * 2018-10-15 2020-04-23 Blue Danube Systems, Inc. Enhancing throughput using agile beam switching and user scheduling in cellular systems
CN111132349B (zh) * 2019-12-31 2023-04-18 中国移动通信集团江苏有限公司 频谱带宽调整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WO2021248150A1 (en) * 2020-06-03 2021-12-09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of elements in a network
CN113973373A (zh) * 2020-07-24 2022-0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信息指示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7607A1 (en) 2012-12-26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WO2015080646A1 (en) *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therein, for sending and detecting, respectively,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US20150327191A1 (en) 2014-05-10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20160087707A1 (en) 2014-09-24 2016-03-24 Mediatek Inc. Synchronization in a Beamform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7786B (en) 1996-09-25 2001-05-30 Motorola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a deamformed control channel and method of system control
EP1841092B1 (en) 2006-03-28 2012-01-25 Sony Deutschland Gmbh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1026412B (zh) * 2007-03-13 2010-05-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高速下行分组接入的hs-scch信道编码装置
CN101296410B (zh) * 2007-04-29 2011-02-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专用载波配置方法与装置及多媒体广播组播业务传输方法
UA99736C2 (ru) 2007-08-15 2012-09-25 Кве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диаграммы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CN101790240B (zh) * 2009-01-24 2015-04-15 华为技术有限公司 Ack/nack信道资源分配及确认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CN101990162B (zh) * 2009-08-06 2013-07-3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Mcch变更通知的传输方法和设备
NZ597953A (en) * 2009-10-09 2014-06-27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s and devices for uplink diversity transmission
US8873531B2 (en) * 2010-05-03 2014-10-28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indicating station-specific informat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CN101877906B (zh) * 2010-05-19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发射功率的配置方法和装置
CN102083226A (zh) 2010-06-08 2011-06-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物理资源块资源信息指示及确定方法、设备
CN101867953B (zh) 2010-06-13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场景下下行控制信息的检测方法和用户设备
US8891677B2 (en) 2010-11-09 2014-11-18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Power scaling for retransmissions in uplink MIMO hybrid ARQ
US8923197B2 (en) * 2011-06-01 201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transmit and receive synchronization signal and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94977B2 (en) * 2011-11-11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s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CN103139844B (zh) 2011-11-22 2016-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的解析方法及终端
CN103200684B (zh) * 2012-01-09 2016-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信道传输、接收方法及基站、用户设备
CN103220796B (zh) * 2012-01-21 2016-09-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下行数据传输方法及其设备
KR102171128B1 (ko) * 2012-12-21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이용한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5034503A1 (en) * 2013-09-05 2015-03-12 Intel Corporation Adaptive sectorization of a spational region for parallel multi-user transmissions
KR102057313B1 (ko) 2013-09-13 2020-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빔형성 방법 및 장치
WO2015085466A1 (zh) * 2013-12-09 2015-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及基站
CN104734760A (zh) *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下行波束索引处理的方法、装置和系统
CN104734758A (zh) *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同步波束成形信号的发送、接收方法、基站和终端
CN104184561B (zh) 2014-01-13 2019-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预编码导频处理方法、装置、基站及终端
CN105376859B (zh) * 2014-08-14 2019-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装置
KR102300532B1 (ko) * 2014-09-05 2021-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63547B1 (ko) * 2014-11-26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6127403A1 (en) * 2015-02-13 2016-08-18 Mediatek Singapore Pte. Ltd. Handling of intermittent disconnection in a millimeter wave (mmw) system
CN107888311B (zh) * 2016-09-30 2019-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处理方法、装置和设备
CN109150424B (zh) * 2017-06-15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参考信号、消息的传输方法、传输资源确定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7607A1 (en) 2012-12-26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WO2015080646A1 (en) * 2013-11-27 2015-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therein, for sending and detecting, respectively,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US20150327191A1 (en) 2014-05-10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20160087707A1 (en) 2014-09-24 2016-03-24 Mediatek Inc. Synchronization in a Beamforming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399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71165B2 (en) 2023-06-06
CN109417413A (zh) 2019-03-01
WO2018000421A1 (zh) 2018-01-04
RU2708385C1 (ru) 2019-12-06
US20200244339A1 (en) 2020-07-30
CA3029535A1 (en) 2018-01-04
EP3461023A4 (en) 2019-05-15
US10797779B2 (en) 2020-10-06
AU2016413003A1 (en) 2019-01-24
SG11201811700XA (en) 2019-01-30
BR112018077453B1 (pt) 2024-01-02
CN111901025B (zh) 2022-08-12
US20210242927A1 (en) 2021-08-05
US11005558B2 (en) 2021-05-11
CN111901025A (zh) 2020-11-06
ZA201900123B (en) 2019-09-25
CN109417413B (zh) 2020-09-15
AU2016413003B2 (en) 2021-08-26
US20200403685A1 (en) 2020-12-24
TWI731112B (zh) 2021-06-21
US20190312629A1 (en) 2019-10-10
EP3461023B1 (en) 2023-10-18
TW201803306A (zh) 2018-01-16
JP2019523588A (ja) 2019-08-22
EP3461023A1 (en) 2019-03-27
KR20190025895A (ko) 2019-03-12
BR112018077453A2 (pt) 2019-04-02
CA3029535C (en) 2023-03-07
MX2019000085A (es) 2019-05-02
US10651921B2 (en) 2020-05-12
JP6953457B2 (ja)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145B1 (ko)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US1154030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145744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CN107347005B (zh) 配置探测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US1095220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09327884B (zh) 通信方法、网络设备和中继设备
JP6995888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装置
JP7102421B2 (ja) 情報受信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7186217B2 (ja) 無線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端末デバイス
JP7074143B2 (ja) 方法およびユーザ機器
CN111954294B (zh) 通信方法、接入网设备和终端
JP6992169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装置
JP7186218B2 (ja) 無線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端末装置
KR20200079297A (ko) 리소스 구성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N115334684A (zh) 用于随机接入的方法、设备、存储介质和计算机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