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949B1 - 준설토 처리기 - Google Patents

준설토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949B1
KR102491949B1 KR1020220081276A KR20220081276A KR102491949B1 KR 102491949 B1 KR102491949 B1 KR 102491949B1 KR 1020220081276 A KR1020220081276 A KR 1020220081276A KR 20220081276 A KR20220081276 A KR 20220081276A KR 102491949 B1 KR102491949 B1 KR 10249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crew
discharge
washing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호 filed Critical 최정호
Priority to KR1020220081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2Spiral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6Drum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hydraulic classifiers, e.g. of launder, tank, spiral or helical chute concentrato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5Cleaning with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준설토를 세척, 탈수시키는 준설토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준설토 처리가 가능한 준설토 처리기는 준설토를 준설차로 반입하는 반입부; 반입저장호퍼; 세척수공급장치; 조대협잡물제거기;와
상기 조대협잡물제거기의 모래와 분리세척수는 여과수조를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 상기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에서 유출되는 모래와 분리세척수가 유입되는 혼합탱크(분리), 혼합탱크(침전);
상기 혼합탱크(분리)의 토출파이프로부터 유입되는 모래의 함수율을 낮추는 침사탈수기;
상기 침사탈수기에 3차 모래세척수를 상기 혼합탱크(분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
상기 침사탈수기로부터 토출되는 모래를 저장호퍼(모래)로 이송시키는 로타리컨베이어;
상기 조대협잡물제거기 배출구의 자갈 및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
상기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에서 배출된 자갈 및 협잡물을 저장호퍼(자갈 및 협잡물)로 이송시키는 스킵호이스트;
상기 처리수압송탱크; 배수펌프; 통합제어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준설토를 세척, 탈수하여 악취발생, 부패의 원인이 되는 유기협잡물이 제거되며 준설토의 수분함량이 대폭 감소되어 준설토로 인한 악취발생 내지는 오염수 배출등의 환경오염 문제를 크게 줄일수 있다.
특히 처리된 모래 및 자갈을 재활용 할수 있는 이익이 있고, 하수처리장의 협잡물 및 침사처리에도 용도를 확장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각종 안전장치 및 부가장치를 겸비함으로써 작동안정성 및 효율성이 향상된 준설토 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준설토 처리기{DREDGED SOIL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하수 준설토와, 하수처리장의 처리과정 중 생성되는 협잡물 및 침사를 처리하는 준설토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로에 퇴적된 하수 준설토는 준설차를 이용하여 준설하였고, 이 하수 준설토는 매립지에 매립되거나, 야적장에 야적되어 자연건조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그에 따라 악취발생, 토양오염등을 유발하여 환경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옴에 따라 매립지 일정성상 반입을 규제하게 되었다.
따라서, 하수 준설토와 하수 처리장의 협잡물 및 침사는 유기협잡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악취가 발생하고 각종 병원균의 서식지가 되어 보건 환경을 저해하고 있으며, 또한 오염수가 지하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킴으로써 2차 환경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준설토 처리기 관련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1943483호(2019.01.23.등록) 「준설토 처리장치」, 등록특허 제10-2111034호 (2020.05.08. 등록) 「준설토 처리 장치」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준설토를 세척, 탈수하여 악취발생, 부패의 원인이 되는 유기협잡물이 제거되며 준설토의 수분함량이 대폭 감소되어 준설토로 인한 악취발생 내지는 오염수 배출등의 환경오염 문제를 크게 줄일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처리된 모래 및 자갈을 재활용 할수 있는 이익이 있고, 하수처리장의 협잡물 및 침사처리에도 용도를 확장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각종 안전장치 및 부가장치를 겸비함으로써 작동안정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고,
마모 및 부식에 강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준설토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준설토 처리기는,
반입부와, 반입저장호퍼와, 세척수공급장치와, 조대협잡물제거기와, 분리/침전용 혼합탱크와, 침사탈수기와, 자갈 및 협잡물 배출용/모래배출용/모래리턴용 이송스크류와, 로타리컨베이어와, 스킵호이스트와, 처리수압송탱크와, 배수펌프와, 그리고 통합제어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준설토를 세척, 탈수하여 악취발생, 부패의 원인이 되는 유기협잡물이 제거되며 준설토의 수분함량이 대폭 감소되어 준설토로 인한 악취발생 내지는 오염수 배출등의 환경오염 문제를 크게 줄일수 있다.
또한, 처리된 모래 및 자갈을 재활용 할수 있는 이익이 있고, 하수처리장의 협잡물 및 침사처리에도 용도를 확장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각종 안전장치 및 부가장치를 겸비함으로써 작동안정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고, 마모 및 부식에 강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준설토 처리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기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반입부 단면도.
도 3 및 4는 반입부 덤핑완화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반입저장호퍼 안정, 균등화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조대협잡물제거기의 단면도.
도 7 내지 9는 도 1의 혼합탱크(분리), 혼합탱크(침전) 내부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및 단면도, 평면도.
도 10은 도 1의 침사탈수기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상부베어링유닛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하부베어링유닛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 및 14는 도12의 하부디플렉터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5는 도 10의 침사탈수기의 비상이송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 및 17은 도 15의 연통커버 및 차단배플의 기능을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도 10의 스크레퍼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도 10의 침사분산판 및 누수실링장치 장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도 1의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1은 도 20의 보강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2는 도 20의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도 20의 지지베어링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도 1의 로타리컨베이어를 나타낸 구성도.
도 25는 도 24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
도 26은 도 24의 유입엘보를 나타낸 평면도.
도 27은 도 24의 곡선관을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A-A선 단면도.
도 29는 도 24의 A-A선 단면도.
도 30은 도 24의 모래이송말단장치를 확대해서 나타낸 구성도.
도 31은 도 30의 평면도.
도 32는 도 1의 스킵호이스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3은 도 32의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4 및 35는 도 32의 스프링완화장치(버켓 부착용), 스프링완화장치(가이드레일 부착용)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6은 도 32의 가이드로라를 나타낸 구성도.
도 37은 도 32의 처짐방지로라를 나타낸 구성도.
도 38 및 39는 도 1의 처리수압송탱크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0은 하수처리장 협잡물처리를 나타낸 구성도.
도 41 및 42는 하수처리장 침사처리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준설토 처리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기는 도 1내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설토(2)를 준설차(1)로 반입하는 반입부(100); 반입저장호퍼(200); 세척수공급장치(10); 조대협잡물제거기(300);와
상기 조대협잡물제거기(300)의 모래(3)와 분리세척수(24)는 여과수조(320)를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602); 상기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602)에서 유출되는 모래(3)와 분리세척수(24)가 유입되는 혼합탱크(분리)(401), 혼합탱크(침전)(402);
상기 혼합탱크(분리)(401)의 토출파이프(420a)로부터 유입되는 모래(3)의 함수율을 낮추는 침사탈수기(500);
상기 침사탈수기(500)에 3차 모래세척수(27)를 상기 혼합탱크(분리)(401)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603);
상기 침사탈수기(500)로부터 토출되는 모래(3)를 저장호퍼(모래)(5)로 이송시키는 로타리컨베이어(700);
상기 조대협잡물제거기(300) 배출구(330)의 자갈 및 협잡물(4)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601);
상기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601)에서 배출된 자갈 및 협잡물(4)을 저장호퍼(자갈 및 협잡물)(6)로 이송시키는 스킵호이스트(800);
상기 처리수압송탱크(900); 배수펌프(960); 통합제어반(10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반입부(100)는 도 1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1)에 의해 지지되어 준설토(2)의 비산을 방지하는 ‘ㄱ’자 형태의 차단벽(110)과, 낙하하는 준설토(2)를 이송하는 경사진 하부슈트(120)와,
상기 차단벽(110)의 측면에 배치되어 준설토(2)를 세척시키는 반입세척수(21)와,
상기 낙하하는 준설토(2)는 준설차(1)의 덤핑시 공압실린더(133)의 상,하동작을 시켜 완화시키는 덤핑완화장치(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벽(110)은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11)에 의해 지지되어 반입부(100) 주변에 수직으로 설치됨으로써 준설차(1)가 내부의 준설토(2)를 반출시 덤핑을 하는데 그에 따르는 반입부(100) 주변에서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슈트(120)는 준설차(1)에서 반출된 준설토(2)를 반입세척수(21)에 의해 하부슈트(120) 경사진면으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덤핑완화장치(130)는 다수의 사각홀(131)이 있는 상기 덤핑완화장치판(132)과 공압실린더(133)로 이루어진다.
덤핑완화장치(130)는 준설차(1) 덤핑시 순간적으로 유출속도가 빨라짐으로 유출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133)로 덤핑완화장치판(132)을 하강시킨후 준설차(1) 덤핑을 완료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133)로 덤핑완화장치판(132)를 상승시켜 투입구(134)가 열리게 되어 준설토(2)를 투입할수 있게 된다.
상기 반입저장호퍼(200)는 도 1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입부(100) 하부에 배치되어 낙하하는 준설토(2)를 이송시키는 스크류이송장치(210)와,
상기 스크류이송장치(210) 사이에 구비되어 낙하하는 준설토(2)로부터 스크류이송장치(210)를 보호하는 보호대(220)와,
상기 낙하된 준설토(2)는 안정, 균등세척수(22)를 경사판(230)에 고압살수 분사시켜 준설토(2)를 안정화, 균등화되어 스크류이송장치(210)로 이송시키는 안정, 균등화장치(240)와 스크류이송장치(210)의 말단부에는 점검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이송장치(210)는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반입부(100) 하부에 배치되어 낙하하는 준설토(2)를 조대협잡물제거기(300)까지 이송시킨다.
상기 보호대(220)는 스크류이송장치(210)에 근접되도록 스크류이송장치(210) 사이에 구비되어 반입부(100)에서 낙하하는 준설토(2)가 직접 스크류이송장치(210)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하여 스크류이송장치(210)를 보호한다. 특히, 돌맹이와 같이 큰 협잡물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준다.
상기 안정, 균등화장치(24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정, 균등세척수(22)를 경사판(230)쪽으로 고압살수 분사시켜서 준설토(2)를 안정화, 균등화 되어 악취제거 및 후처리 공정에 안정성 효율을 향상 시킨다.
상기 점검구(250)는 운전중 준설토(2) 이송을 수시로 확인할수 있다.
상기 세척수공급장치(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수저장탱크(13), 세척수펌프(15), 유입전동밸브(12), 유출전동밸브(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세척수공급장치(10)는 유입전동밸브(12) 및 유출전동밸브(16)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된다.
세척수공급장치(10)는 준설토 처리 과정에 필요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반입세척수(21), 안정, 균등세척수(22), 분리세척수(24), 여과망 제거수(23), 1차 모래세척수(25), 2차 모래세척수(26), 3차 모래세척수(27), 청소수(28)를 공급한다. 세척수펌프(15), 유입전동밸브(12), 유출전동밸브(16)는 세척수저장탱크(13) 내부의 레벨스위치1(14)와 연동 운전하게 된다.
전체적인 세척수를 공급하는데 있어서는 하수처리장(20)의 재이용수(11)를 사용할 수도 있고,상수도(미도시)가 직접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조대협잡물제거기(300)는 도 1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입저장호퍼(200)의 스크류이송장치(210)를 통해 준설토(2)가 유입되는 유입구(310)와, 유입된 준설토(2) 중 모래(3)와 분리세척수(24)는 여과수조(320)를 통해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602)로 유출되며 상등수배플(321)과 상등수관(322)이 구비되는 여과수조(320)와,
상기 유입된 준설토(2)중 자갈 및 협잡물(4)이 배출되는 배출구(330)를 갖는 케이스(340)와
상기 유입구(310)와 연통되고 회전하는 원통형 여과망(350)과,
상기 유입구(310) 단부에 구비되어 준설토(2)가
상기 여과망(350) 내부에 골고루 퍼져 낙하되도록 하는 부채꼴형상의 유입분산대(360)와,
상기 여과망(350) 외주에 구비되어 여과망(350)으로 제거수를 분사하는 여과망 제거수(23)와,
상기 여과망(350)의 외면을 브러싱하여 여과망(350) 구멍을 막는 찌꺼기를 제거하는 제거브러쉬(351)와, 모래(3)와 분리세척수(24)는 간극을 통해 흘러나가 여과망(350) 하부의 여과수조(320)를 통하여 흘러가고 남은 자갈 및 협잡물(4)은 여과망(350) 내부에 걸려 여과망(350) 내측 하단부에서 서로 뭉쳐지면서 여과망(350)내 측면에 부착되어있는 나선형스크류(370)의 유도에 의해 유입구(310) 반대편으로 밀려감과 동시에 탈수되어 여과망(350) 끝단인 배출구(330)쪽으로 빠져나가는 나선형스크류(370)와,여과망(350) 내부에서 고압살수 분사시켜 모래(3), 자갈 및 협잡물(4)을 분리시키는 분리세척수(24)와, 여과망(350) 외부에서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로라(380)와 여과망(350)과 연결되어 회전작동하는 구동모터(3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340)는 반입저장호퍼(200)의 스크류이송장치(210)를 통해 이송되는 준설토(2)가 유입되는 유입구(310)와, 유입된 준설토(2) 중 안정화, 균등화된 준설토(2)가 모래(3)와 분리세척수(24)는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602), 혼합탱크(분리)(401)로 유출되는 여과수조(320)와, 유입된 준설토(2) 중 자갈 및 협잡물(4)이 배출되는 배출구(330)를 갖는다.
상기 여과망(350)은 유입구(310)와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340)에 내장되어 구동모터(390)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 형상으로, 내부에 구비된 나선형스크류(370)를 통해 준설토(2)중 자갈 및 협잡물(4)을 배출구(330)를 통해 배출시킨다.
상기 여과망(350)은 슬로트형 타공망으로 입도가 균일하고 효율성 높은 모래(3)만 분리된다.
상기 유입분산대(360)는 여과망(350) 내부의 유입구(310) 단부에 구비되어 부채꼴 형상을 하여, 유입되는 준설토(2)가 여과망(350) 내부에 골고루 퍼져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여과 효율을 높이고 준설토(2)처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여과망(350)으로의 준설토(2)의 낙하충격을 완화시켜 준다.
상기 여과망 제거수(23)는 여과망(350) 외부에 구비되어 여과망(350)으로 제거수를 분사함으로써, 여과망(350)의 구멍들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조대협잡물제거기(300)에서 모래(3)와 분리세척수(24)는 여과수조(320)를 통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거브러쉬(351) 역시 여과망(350) 외부에 구비되어 여과망(350) 외면을 브러싱함으로써, 여과망 (350)구멍을 막는 찌꺼기 등을 제거하여 여과 효율을 높인다.
상기 여과수조(320)는 상등수배플(321)과 상등수관(322)이 구비되어 분리세척수(24)는 상등수배플(321)에서 모래(3)를 제외하고 상등수만 분리시키며 상등수관(322)으로 통해 오버플로우 하게되어 혼합탱크(침전)(402)를 통해 처리수압송탱크(900)로 이송된다.
도1, 도5, 도6을 참조하여 준설토(2)가 안정화, 균등화되는 처리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준설차(1)를 이용해 준설토(2)를 반입부(100)에 반입을 하면 반입세척수(21)를 준설토(2)에 고압살수 분사하여 준설토(2)를 반입저장호퍼(200)로 낙하시킨다.
낙하된 준설토(2)는 보호대(220)를 통해 스크류이송장치(210)를 따라 조대협잡물제거기(300)로 이송하게 돤다. 이때 안정, 균등세척수(22)는 반입저장호퍼(200)의 경사판(230)쪽으로 고압살수 분사시켜 준설토(2)를 안정화, 균등화가 되게된다.
준설토(2)가 조대협잡물제거기(300)에 유입되기 시작하면 구동모터(390)가 작동하여 여과망(350)을 회전시키고 분리세척수(24), 여과망 제거수(23)와 제거브러쉬(351)가 가동된다. 그리하여 자갈 및 협잡물(4)은 여과망(350) 내부의 나선형스크류(370)에 의해 밀려가 배출구(330)로 제거되고, 자갈 및 협잡물(4)이 제거된 모래(3)와 분리세척수(24)는 여과수조(320)에 모아져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602)를 통해 혼합탱크(분리)(401)로 유입된다. 제거된 자갈 및 협잡물(4)은 분리세척수(24)에 의해 유기물이 제거되고 완전 세척, 탈수된 형상으로 배출된다.
상기 혼합탱크(분리)(401), 혼합탱크(침전)(402)는 도1 및 도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이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이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바닥면에 교체가능한 소정두께의 보강판(410)이 덧대어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602)에서 유출되는 모래(3)와 분리세척수(24)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탱크(분리)(401), 혼합탱크(침전)(402)와,
상기 혼합탱크(분리)(401), 혼합탱크(침전)(402)에 연결되는 토출파이프(420a, 420b)와,
상기 혼합탱크(분리)(401), 혼합탱크(침전)(402) 바닥면에 근접배치되고, 상단이 토출파이프(420a, 420b)를 관통하여 구동모터(430a, 430b)와 연결되어 회전작동함으로써 혼합탱크(분리)(401), 혼합탱크(침전)(402) 내로 유입된 모래(3)와 분리세척수(24)는 토출파이프(420a, 420b)를 관통하여 이송하는 메인스크류컨베이어(440a, 440b)와,
상기 메인스크류컨베이어(440a, 440b)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베어링유닛(450)과,
상기 혼합탱크(분리)(401), 혼합탱크(침전)(402)내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461)과,
상기 에어노즐(461)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어(462)로 이루어짐으로써 모래(3)의 악취를 제거하고 부패를 방지하는 에어세척(460)과,
상기 혼합탱크(분리)(401), 혼합탱크(침전)(402)로 유입되는 모래(3)에 대해 물을 분사하는 혼합수노즐(25a, 25b)을 포함하고 모래(3)의 유입시 수분함량을 높여 모래(3)의 유동이 용이 하도록 하는 1차 모래세척수(25)와,
상기 토출파이프(420a, 420b)의 토출측 선단에서 메인스크류컨베이어(440a, 440b)로 세척수를 강하게 분사하는 세척수노즐(26a, 26b)을 포함하고, 모래(3)에 함유된 유기협잡물을 세척제거하는 2차 모래세척수(26)와,
상기 혼합탱크(분리)(401)의 분리세척수(24)는 레벨관(470)을 통하여 혼합탱크(침전)(402)로 유입되어 분리세척수(24)의 잔여 모래(3)를 침전시켜 최종처리수(30)를 처리수압송탱크(900)로 이송하고 잔여 모래(3)를 혼합탱크(침전)(402) 메인스크류컨베이어(440b), 토출슈트(480b)로 이송 및 혼합탱크(분리)(401) 토출파이프(420a), 토출구(480a)로 이송시켜 동시에 처리하는 분리세척수 침전장치(4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탱크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바닥면에 보강판(410)이 덧대어진 보강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보강판(410)은 혼합탱크의 저면과 형합되는 굴곡 패널형태로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단순 안착된다.
상기 메인스크류컨베이어(440a, 440b)는, 상단이 구동모터(430a, 430b)와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베어링유닛(450)에 의해 지지되어진다.
상기 에어세척(460)의 에어노즐(461)은 혼합탱크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며(도8참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분사구가 저면에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462)와 연결되어 있고 에어노즐(461)로부터 모래(3)에 대해 고압의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모래(3)내의 악취유발성 유기물이 증발되고, 에어압력에 의해 모래(3)가 고르게 분산되어 메인스크류컨베이어(440a, 440b)에 의한 이송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세척(460)의 형태는 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노즐(461)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상기 1차 모래세척수(25)는 혼합수노즐(25a, 25b)에서 물을 분사하여 모래(3)의 유입시 수분함량을 높여 모래(3)의 유동을 용이하게된다.
상기 2차 모래세척수(26)는 토출파이프(420a, 420b)의 토출측 선단에서 메인스크류컨베이어(440a, 440b)로 세척수를 강하게 분사하는 세척수노즐(26a, 26b)을 포함하고, 모래(3)에 함유된 유기협잡물을 세척제거되고 부패가 적극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도 7은 혼합탱크(분리)(401)의 구성도이나 혼합탱크(침전)(402)도 도 7과 같이 전체적인 구성과 구조가 공통적으로 적용됨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혼합탱크에서 분리세척수(24)의 흐름공정(도 9 참조)을 간략히 설명하면,
조대협잡물제거기(300)의 여과수조(320)에 유출된 모래(3)와 분리세척수(24)는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602)를 통해 혼합탱크(분리)(401)로 유입되어 모래(3)는 에어세척(460)후 토출파이프(420a)로 통해 침사탈수기(500)로 이송 되어지고 분리세척수(24)는 레벨관(470)을 통해 교차관(471)을 거쳐 혼합탱크(침전)(402)로 이송되어져 잔여 모래(3)를 침전시커 침전 효율을 극대화 시킨다.
조대협잡물제거기(300) 여과수조(320)의 상등수관(322)을 거친 상등수 및 1차, 2차, 3차 모래세척수(25)(26)(27)도 교차관(471)을 통하여 혼합탱크(침전)(402)에서 침전시켜 미세한 물질도 제거를 하게된다. 혼합탱크(침전)(402)의 최종처리수(30)는 교차관(471)으로 통하여 처리수압송탱크(900)로 이송되어져 처리수압송탱크(900) 내부의 압송펌프(940)에서 하수처리장(20)으로 압송되어 최종처리수(30)는 하수처리장(20)과 연계 처리하게 된다.
상기 침사탈수기(500)는 도 1 및 도10 내지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파이프(420a)로부터 유입되는 모래(3)의 함수율을 낮추는 것으로,
일측에 토출파이프(420a)의 토출구(480a)와 연결되는 호퍼부(511)가 형성되는 유입드럼(512)과,
상기 유입드럼(512)과 평행하게 연접되며, 유입드럼(512)과의 사이에 연통간극(513)을 갖는 구조로써, 일측에 토출포트(521)가 구비된 토출드럼(514)과,
상기 유입드럼(512)의 하단에 구비된 점검관(516)과,
상기 유입드럼(512) 내에 장착되어 호퍼부(511)를 통해 유입되는 모래(3)를 하향이송하는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와,
상기 토출드럼(514) 내에 장착되어 연통간극(513)을 통해 유입드럼(512)으로부터 토출드럼(514)으로 유입된 모래(3)를 토출포트(521) 측으로 상향이송하는 상향스크류컨베이어(520)와,
상기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작동을 위한 구동모터(522)와
상기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회전축(518)(519) 상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베어링유닛(530)과,
상기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회전축(518)(519)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하부베어링유닛(540)과,
상기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회전축(518)(519)에 부착되며 상부베어링유닛(530)의 하방에 배치되어 모래(3)가 상부베어링유닛(530)측으로 밀려드는 것을 방지하는 원반형의 상부디플렉터(531)와,
상기 하부베어링유닛(540)으로의 모래(3) 유입을 방지하는 하부디플렉터(550)와,
상기 유입드럼(512)에서 모래(3)의 하향이송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모래(3)를 상기 토출드럼(514) 상부로 직접이송할 수 있는 비상이송수단(570)과,
상향 이송돤 모래(3)가 상기 토출포트(521) 측으로 걸림 배출되도록 상기 토출포트(521) 상단에 판상으로 고정설치되는 스크레퍼(523)와,
상기 양 드럼(512)(514)의 하단에 각각 관통 고정되고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회전축(518)(519)을 지지하는 패킹(561)이 내삽된 패킹박스(562)와,
상기 패킹(561)과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회전축(518)(519)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562a)이 다수 개 내삽된 슬리브(562b)와,
상기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회전축(518)(519)에 끼움 장착되는 원반형태로서, 상기 패킹박스(562)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본체부(563a)와 상기 본체부(563a)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킹박스(562)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설치되는 블레이드(563b)로 이루어져 회전함으로써 가라앉은 모래(3)를 분산시키는 침사분산판(563)과,
상기 블레이드(563b)의 내주면과 패킹박스(562)의 외주면 사이에는 디유부시(564)가 내삽되며, 상기 블레이드(563b)의 하단부와 양 드럼(512)(514)의 바닥면 사이에는 엠씨나일론(565)이 내삽되며, 상기 침사분산판(563) 내부에 다수의 이빨(563c)과 상기 패킹박스(562)의 상부에 다수의 이빨홈(566)으로 결합되어지는 누수실링장치(560)와,
상기 침사탈수기(500)로 유입된 모래(3)를 측면 세척하는 것으로써,
상기 유출전동밸브(16)와 상기 유입드럼(512)의 측면 중간부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측면세척관(524)과,
상기 측면세척관(524)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로 세척수를 공급 제어하는 측면세척수밸브(525)와, 모래(3)에 함유된 유기협잡물을 세척제거하는 3차 모래세척수(27)와,
상기 유입드럼(512) 호퍼부(511)에 구비된 퇴수관(515)과,
상기 유출전동밸브(16)와 연통되어 상기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회전축(518)(519) 하단에 청소수(28)를 공급 제어하고, 공급된 상기 청소수(28)가 상기 침사탈수기(500)의 저면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청소수배출관(571)을 포함하는 청소수밸브유닛(570)과, 상기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에 유입된 모래(3)를 교반세척하는 스크류교반세척부(5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드럼(512)의 하단에 구비된 점검관(516)은 유지관리 점검구이다.
상기 침사탈수기(500)의 상부베어링유닛(53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22), 구동기어(532)와 종동기어(533)으로 연결되고 상기 유입드럼(512) 상단에 부착되는 베어링하우징(534)과 상기 베어링하우징(534)에 의해 지지되어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회전축(518)에 장착됨으로써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작동시 축방향으로 위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는 트러스트베어링(535)과, 역시 상기 베어링하우징(534)에 의해 지지되어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회전축(518)에 장착되는 레이디얼 베어링(5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베어링유닛(54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드럼(512)의 하단에 부착되는 베어링하우징(541)과, 상기 베어링하우징(541)에 의해 지지되어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회전축(518)에 장착되는 레이디얼베어링(542)과 상기 베어링하우징(541)에 결합되어 레이디얼베어링(542)의 상면을 덮는 상부커버(543)와, 상기 베어링하우징(541)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회전축(518)에 부착된 테이퍼롤러베어링(544)과, 상기 베어링하우징(541)과 결합되어 테이퍼롤러베어링(544)을 감싸는 하부커버(545)와, 상기 상부커버(543)에 의해 회전축(518)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오일실(546)과, 상기 상부커버(543)와 베어링하우징(541) 사이 및 하부커버(545)와 베어링하우징(541)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개의 패킹링(5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디플렉터(550)는, 상기 하부베어링유닛(540)의 상방에서 회전축(518)을 감싸는 소정폭의 고무패킹(551)과, 상기 고무패킹(551)을 조이도록 회전축(518)을 감싸는 홀을 형성하고 서로 조합되어 원반형태가 되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소정 길이 만큼 아래로 내려오는 스커트부(552)가 형성된 한 쌍의 홀더(553)(도 12 내지 도14 참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518) 하단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디플렉터(550)를 사이에 두고 그 아래위에 근접배치 되는 한 쌍의 고무재질 침사방지막(554)(554‘)이 구비된다.
상기 비상이송수단(570)은 도 15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드럼(512)(514) 상단의 동일높이에서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는 연통홀(570a)(570b)과, 상기 양 드럼(512)(514)을 연결하여 연통홀(570a)(570b)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연통로를 형성하며 상면에 삽탈슬롯이 형성된 연통커버(571)와, 상기 연통커버(571)의 상면에 형성돤 삽탈슬롯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삽탈되어 선택적으로 연통홀간을 연통 차단시키는 차단배플(57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레퍼(523)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드럼(514) 내부의 상향 이송돤 모래(3)가 상기 토출포트(521)측인 화살표 방향으로 걸림 배출되도록 상기 토출포트(521) 상단에 판 상으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스크레퍼(523)의 형상은 판 상에 한정되지 않고 모래(3)가 상기 토출포트(521) 측인 화살표 방향으로 걸림 배출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 누수실링장치(56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 드럼(512)(514)의 하단에 각각 관통 고정되고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회전축(518)(519)을 지지하는 패킹(561)이 내삽된 패킹박스(562)와,
상기 패킹(561)과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회전축(518)(519)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562a)이 다수 개 내삽된 슬리브(562b)와,
상기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회전축(518)(519)에 끼움 장착되는 원반형태로서, 상기 패킹박스(562)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본체부(563a)와 상기 본체부(563a)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킹박스(562)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설치되는 블레이드(563b)로 이루어져 회전함으로써 가라앉은 모래(3)를 분산시키는 침사분산판(563)과,
상기 블레이드(563b)의 내주면과 패킹박스(562)의 외주면 사이에는 디유부시(564)가 내삽되며, 상기 블레이드(563b)의 하단부와 양 드럼(512)(514)의 바닥면 사이에는 엠씨나일론(565)이 내삽되며, 상기 침사분산판(563) 내부에 다수의 이빨(563c)과 상기 패킹박스(562)의 상부에 다수의 이빨홈(566)으로 결합되어진다. 다수의 이빨(563c)과 다수의 이빨홈(566)으로 누수방지를 극대화 시킬수 있다.
상기 침사탈수기(500)로 유입된 모래(3)를 측면 세척하는 것으로써,
상기 유출전동밸브(16)와 상기 유입드럼(512)의 측면 중간부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측면세척관(524)과,
상기 측면세척관(524)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로 세척수를 공급 제어하는 측면세척수밸브(525)와, 모래(3)에 함유된 유기협잡물을 세척제거하는 3차 모래세척수(27)와, 상기 유입드럼(512) 호퍼부(511)에 구비된 퇴수관(515)은 3차 모래세척수(27)로 모래(3) 세척후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603)를 통해 3차 모래세척수(27)와 미세한 물질들은 혼합탱크(분리)(401)로 이송되어진다.
상기 유출전동밸브(16)와 연통되어 상기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의 회전축(518)(519) 하단에 청소수(28)를 공급 제어하고, 공급된 상기 청소수(28)가 상기 침사탈수기(500)의 저면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청소수배출관(571)을 포함하는 청소수밸브유닛(570)과, 상기 청소수배출관(571)은 도 1의 배수피트부(961)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스크류교반세척부(580)는 상기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에 유입된 모래(3)를 3차 모래세척수(27)와 모래(3)를 교반을 시켜 모래(3)의 세척효율을 극대화 시키게 된다. 교반 날개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 상,하부베어링유닛(530)(540) 및 상,하부디플렉터(531)(550) 그리고 누수실링장치(560)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상에는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각 요소는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에 공통적으로 적용됨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침사탈수기(500)의 유입드럼(512)과 토출드럼(514)은 2연으로 구성하여 도시하였지만 1연, 3연, 4연으로 구성하여 실시변경 할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동모터(522)의 부하를 고려하여 상향스크류컨베이어(520)의 스크류날은 상단부 방향으로 피치 수치를 점차적으로 감소시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601),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602),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603)는 도 1 및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대협잡물제거기(300)의 배출구(330) 측면에 배치되어 유출되는 자갈 및 협잡물(4)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601),
상기 조대협잡물제거기(300)의 여과수조(320) 하부에 배치되어 유출되는 모래(3)와 분리세척수(24)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602),
상기 침사탈수기(500)의 3차 모래세척수(27) 측면에 배치되어 유출되는 3차 모래세척수(27)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603),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601),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602),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603)의 스크류이송장치(610)는 내부 바닥면에 교체가능한 소정두께의 보강판(611)이 덧대어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분리가능한 플랜지식 체결방법의 구조로 구동축(621)의 플랜지는 외부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위해 이중실링방식(622) 구동모터(623)의 구동장치(620)와, 선단에 나사고정식으로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스크류의 지지축(631) 하단을 받치는 외부커버(632)와, 외부커버(632) 안쪽에서 상기 지지축(631)의 하단 외주면에 부착되어 스크류의 측방향하중을 지지하는 오일레스베어링(633)과, 지지축(631)의 선단과 외부커버(632)의 선단사이에 개재되어 스크류의 길이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볼(634)과, 지지축(631)은 마모에 의한 교체를 위하여 오링(635)이 장착된 슬리브(636)와, 지지축(631)의 사이에는 마찰방지를 위하여 엠씨나이론(637)이 장착되는 구조인 지지베어링유닛(6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판(611)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바닥면에 교체가능한 소정두께의 보강판(611)이 덧대어진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저면과 굴곡 패널형태로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단순 안착된다.
상기 구동장치(62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가능한 플랜지식 체결방법의 구조로 구동축(621)의 플랜지는 외부의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위해 이중실링방식(622) 구동모터(623)로 이루어지는데 이중실링방식(622)에서 구동모터(623)로 외부 이물질등의 침투를 막아주어 구동모터(623)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지지베어링유닛(630)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나사고정식으로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스크류의 지지축(631) 하단을 받치는 외부커버(632)와, 외부커버(632) 안쪽에서 상기 지지축(631)의 하단 외주면에 부착되어 스크류의 측방향하중을 지지하는 오일레스베어링(633)과, 지지축(631)의 선단과 외부커버(632)의 선단사이에 개재되어 스크류의 길이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볼(634)과, 지지축(631)은 마모에 의한 교체를 위하여 오링(635)이 장착된 슬리브(636)와, 지지축(631)의 사이에는 마찰방지를 위하여 엠씨나이론(637)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외부 이물질 등의 침투로부터 지지축(631)을 마모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교체가능한 슬리브(636)가 장착된다. 나사고정식으로 분리가능한 외부커버(632)는 지지베어링유닛(630) 각 요소들의 유지보수를 쉽게 행할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베어링유닛(630)은 혼합탱크(분리)(401), 혼합탱크(침전)(402)의 지지베어링유닛(450)과는 구조가 동일하다.
상기 로타리컨베이어(700)는 도 1 및 도24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사탈수기(500)로부터 토출된 모래(3)를 저장호퍼(모래)(5)로 이송하도록 내부가 내마모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침사탈수기(500)로부터 토출되는 모래(3)가 유입되는 유입포트(711)와,
상기 유입포트(711)로부터 유입된 모래(3)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깔대기 형상으로 설치되고 내주면 일측에 초경판1(712)이 부착된 내부콘(713)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본체(714)와 상기 본체(714)의 상측에 볼팅되고 상기 유입포트(711)와 연통되는 뚜껑(715)을 포함하는 에어챔버(710)와,
상기 본체(714)의 내주면과 내부콘(713)의 외주면 사이에 충진되는 무수축시멘트(716)와,
상기 뚜껑(715)과 유입포트(71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714) 내부로 유입되는 모래(3)를 개폐하는 로타리엑츄에이터(717)와,
상기 에어챔버(710)의 아래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콘(713)의 하단과 연통되는 토출포트(718)와,
상기 토출포트(718)로부터 저장호퍼(모래)(5)로 이어지고, 스테인레스 재질의 다수개 직선관(721)과, 상기 각 직선관(721) 사이를 연결하는 특수주물재질의 곡선관(722)으로 구성되어 모래(3)와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심한 곡선관(722)의 내마모성이 높아지고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곡선관(722)은 이송되는 모래(3)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단면 두께가 작은 부분의 단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직선관(721)은 상기 곡선관(722)으로부터 유입되는 모래(3)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외주면에 보강판(723)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모래이송배관(720)과,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730)와,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740)와,
상기 공기압축기(730)의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챔버(710) 및 토출포트(718) 내부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제공하고 로타리엑츄에이터(717)를 동작시키는 모래에어세트(750)의 제1에어배관(760) 및 제2에어배관(761)과,
상기 제1에어배관(760)과 연통하고 상기 뚜껑(715)의 일측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본체(714) 내부의 초경판1(712) 측으로 압축공기를 유도하는 특수주물재질의 유입엘보(719)와,
상기 내부콘(71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초경판1(712)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714) 외주면 상에 감싸듯이 설치되는 보강링(770)과,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모래이송배관(720)과 측면 연통되며 상측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781)가 설치되는 원통형의 배출챔버(782)와, 상기 배출챔버(782)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어 상기 모래이송배관(720)을 통해 유입되는 모래(3)로부터 내구성을 갖도록 구비되는 초경판2(783)와, 상기 배출챔버(782)의 하측 개방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며 상측은 폭 방향으로 밴딩(784)처리되고 상기 밴딩(784)은 볼팅(785) 처리되어 낙하되는 모래(3)로 인한 소음 및 모래(3)의 비산을 방지하는 우레탄롤링판(786)을 포함하는 모래이송말단장치(78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에어챔버(710)에는 상기 본체(714)의 내주면과 내부콘(713)의 외주면 사이에 무수축시멘트(716)가 충진되어 상기 내부콘(713)을 보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모래이송배관(720)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다수개의 직선관(721)과, 상기 각 직선관(721) 사이를 연결하는 특수주물재질의 곡선관(722)으로 구성되어 모래(3)와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심한 곡선관(722)(도 27 참조)의 내마모성이 높아지고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곡선관(722)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모래(3)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단면 두께(L)가 작은 부분의 단면 두께(L‘)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직선관(721)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선관(722)으로부터 유입되는 모래(3)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외주면에 보강판(723)이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압축기(730)의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챔버(710) 및 토출포트(718) 내부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제공하고 로타리엑츄에이터(717)를 동작시키는 모래에어세트(750)의 제1에어배관((760) 및 제2에어배관(761)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공기압축기(730)의 압축공기는 덤핑에어세트(751) 및 제3에어배관(762)은 연통하고 상기 반입부 (100) 덤핑완화장치(130)의 공압실린더(133) 유로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엘보(719) 및 곡선관(722)의 특수주물재질로는 망간(Mn) 강, 망간(Mn)-크롬(Cr) 강, 크롬(Cr) 강, 단조강등이 있으며, 현장 여건에 따라 이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수주물재질 또한 이와 같다.
상기 모래이송말단장치(780)는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모래이송배관(720)의 직선관(721)과 측면 연통되며 상측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781)가 설치되는 원통형의 배출챔버(782)와, 상기 배출챔버(782)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어 상기 모래이송배관(720)의 직선관(721)을 통해 유입되는 모래(3)로부터 내구성을 갖도록 구비되는 초경판2(783)와, 상기 배출챔버(782)의 하측 개방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며 상측은 폭방향으로 밴딩(784)처리되고 상기 밴딩(784)은 볼팅(785) 처리되어 낙하되는 모래(3)로 인한 소음 및 모래(3)의 비산을 방지하는 우레탄롤링판(786)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우레탄롤링판(786)은 모래(3)의 낙하로 부터 내구성을 갖도록 되게 된다.
상기 스킵호이스트(800)는 도 1 및 도32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601)에서 배출된 자갈 및 협잡물(4)을 저장호퍼(자갈 및 협잡물)(6)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601)와 연결되는 버켓(810)과 버켓암(811)은 가이드레일(812)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로울러(813)에 부착되고 와이어로프(815)에 의하여 드럼샤프트(821)위의 로프드럼(822)과,
상기 가이드레일(812)의 상면에 버켓(810)을 보호하는 커버(816)와,
상기 버켓(810) 하단에 과하중과 충격에 견딜수 있도록 우레탄완충기(817)와,
상기 로프드럼(822)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826)의 구동장치(820)와,
상기 구동장치(820)의 드럼샤프트(821) 양단을 지지하는 스킵지지베어링유닛(827)과,
상기 구동장치(820)의 상,하 운전시키는 리미트스위치(823)와,
통합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프드럼(822)의 더블그루브드(824)와,
상기 와이어로프(815) 이탈방지를 위한 클램프(825)와,
상기 버켓(810)은 상승하여 하강할 때 버켓암(811)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버켓(810)을 보호하는 스프링완화장치(버켓 부착용)(830)와,
상기 버켓(810)이 하강하여 가이드레일(812)의 하단에 도달시 버켓암(811)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와이어로프(815)를 보호하는 스프링완화장치(가이드레일 부착용)(831)와,
상기 가이드레일(812) 후면에 잔여물질이 낙하되어 버켓(810) 내부로 유도하는 후면커버(840)와,
상기 와이어로프(815)의 로프드럼시브(850)와,
상기 와이어로프(815)의 버켓암시브(851)와,
상기 버켓(810) 하강시 와이어로프(815)의 안내 및 버켓암(811) 충격을 완화 시키기 위하여 양단에 우레탄 코팅된 가이드로라(860)와,
상기 버켓(810)이 가이드레일(812)의 하단에 도달시 와이어로프(815)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로라(870)를 포함하는
스킵통합안전장치(8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켓(810)과 버켓암(811)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810)과 버켓암(811)은 일체형으로 버켓암(811)은 버켓(810)의 힌지부(818)에서 회전가능하며 버켓암(811) 상부에는 버켓암시브(851)가 장착되고 버켓암시브(851)에는 와이어로프(815)가 고정되며 로울러(813)도 버켓(810)과 일체형으로 가이드레일(812)을 따라 로프드럼(822)의 구동장치(820)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커버(816)와 우레탄완충기(817)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16)는 가이드레일(812)의 상면에 조립되어 버켓(810)의 상,하 이동시 보호를 하게되며 우레탄완충기(817)는 버켓(810)이 하강시 버켓(810)의 과하중으로 부터 충격을 견딜수있게 바닥에 견고히 설치하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820)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드럼(822)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826), 드럼샤프트(821) 양단을 지지하는 스킵지지베어링유닛(827), 상,하 운전시키는 리미트스위치(823)로 버켓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로프드럼(822)의 더블그루브드(824)와 클램프(825)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그루브드(824)는 로프드럼(822)의 장기간 운전에서 발생하는 파손등으로 내구연한을 대폭 향상시키게 된다. 클램프(825)는 와이어로프(815) 이탈방지를 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완화장치(버켓 부착용)(830)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완화장치(버켓 부착용)(830)는 버켓(810)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며 버켓(810)이 하강시 버켓암(811)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버켓(810)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완화장치(가이드레일 부착용)(831)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완화장치(가이드레일 부착용)(831)는 가이드레일(812)에 부착되며 버켓(810)이 하강하여 가이드레일(812)의 하단에 도달시 버켓암(811)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와이어로프(815)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후면커버(840)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840)는 가이드레일(812) 후면에 부착되어 가이드레일(812) 후면에 잔여물질이 낙하되어 버켓(810) 내부로 유도를 하여 외부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로프드럼시브(850), 버켓암시브(851)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드럼시브(850)는 구동장치(820)의 상부에 장착되어 버켓(810)의 상승, 하강에 따르는 로프드럼(822)의 더블그루브드(824)에서 와이어로프(815)의 좌,우 이동의 도르래 역할을 하게되며 버켓암시브(851)는 버켓암(811)에 장착되어 버켓암(811)의 작동에 따른 와이어로프(815)의 도르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로라(860)는 도 32 및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로라(860)는 가이드레일(812) 상단에 부착되어(도 32참조) 버켓(810) 하강시 와이어로프(815) 안내 및 버켓암(811) 충격을 완화 시키기 위하여 양단에 우레탄코팅(861)으로 되며 양 끝단에는 지지베어링1(862)이 장착 된다(도 36참조).
상기 처짐방지로라(870)는 도 32에 및 도 37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짐방지로라(870)는 가이드레일(812) 중간에 부착되어(도 32참조) 버켓(810)이 가이드레일(812)의 하단에 도달시 와이어로프(815) 처짐을 방지하게 되며 양 끝단에는 지지베어링2(871)가 장착 된다(도 37참조).
상기 스킵통합안전장치(801)는 도 32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안전을 유지하는 것으로 로프드럼(822)의 더블그루브드(824), 클램프(825), 스프링완화장치(버켓 부착용)(830), 스프링완화장치(가이드레일 부착용)(831), 후면커버(840), 로프드럼시브(850), 버켓암시브(851), 가이드로라(860), 처짐방지로라(870)로 결합된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처리수압송탱크(900)는 도 1, 도 38,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탱크(침전)(402)의 최종처리수(30)를 압송시키는 것으로써 본체(910) 하부는 중앙으로 유도시키는 4면의 경사판(920)과, 본체(910)를 비울수 있는 드레인(930)과, 최종처리수(30)를 압송시키는 압송펌프(9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판(920)은 도 38,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물질들을 중앙으로 유도시켜 압송펌프(940)의 효율을 높이며 드레인(930)은 유지관리시 본체(910)를 비울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스위치2(950)는 수위를 감지하여 압송펌프(940) 연동 운전을 하게 된다.
상기 배수펌프(9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31) 및 피트부(32)에서 발생된 바닥청소수를 배수피트부(961)로 모이게 되면 바닥청소수를 상기 반입저장호퍼(200)로 압송시키는 배수펌프(960)로 이루어진다.
상부(31)에서 발생된 바닥청소수도 배관으로 당연시 배수피트부(961)로 모이게 된다.(미도시)
상기 바닥청소수라 함은 인력으로 바닥을 청소할 때 발생되는 이물질등으로 반입저장호퍼(200)로 압송시켜 이물질들을 처리 하게 된다.
상기 통합제어반(10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기기에 전기동력선 및 계장선을 공급하여 각기기의 자동, 수동 운전을 시키게 된다.(미도시)
하수처리장(20)의 협잡물(7) 및 침사(9)처리에도 용도를 확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면, 상기 하수처리장(20)의 협잡물(7) 및 침사(9)처리는 도 40내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처리장(20)의 협잡물(7) 및 침사(9)는 하수처리장(20)의 유입부(21)에서 발생되며 하수관로에 화장실등에서 발생하는 분뇨의 직투입으로
상기 협잡물(7) 및 침사(9)는 분뇨가 다량 함유되어 악취발생이 심각하여 매립, 소각등의 처리에서 애로사항이 많아 상기 협잡물(7) 및 침사(9)처리 과정에서 세척으로 악취제거, 탈수로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애로사항을 해결하게 된다.
상기 협잡물(7)처리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과 도 40의 공통적인 공정의 설명은 도 1에서 설명하였고 다른점만 설명을 한다.
하수처리장(20)의 협잡물(7)은 모래(3)도 다량 함유되어 있고 자갈성분은 거의 발생하지 않아 협잡물(7) 및 모래(3)처리가 주 공정이 된다.
협잡물차(1a)가 덤핑되어 투입되면 조대협잡물제거기(300)의 배출구(330)에서 세척된 세척협잡물(7a)이 이송스크류(협잡물 배출용)(604)로 이송되어 이송스크류(협잡물 탈수용)(605)에서 탈수되고 이송스크류(협잡물 이송용)(606) 및 로타리컨베이어(701)로 이송되어 저장호퍼(협잡물)(8)에 저장하게 된다.
이송스크류(협잡물 배출용)(604), 이송스크류(협잡물 이송용)(606)은 도 1의 이송스크류와 구조가 동일하며 이송스크류(협잡물 탈수용)(605)의 구조는 스크류프레스형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협잡물차(1a)라 함은 하수처리장(20)의 유입부(21)에서 수거된 협잡물(7)을 운반하는 차량을 말한다.
상기 침사(9)처리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사(9)는 거의 모래(3)성분으로 모래(3)를 세척, 탈수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 유입부(21)에서 발생된 침사(9)가 상면이 개방된 혼합탱크(분리)(401)로 투입되어 저장하게 되면 침사탈수기(500), 로타리컨베이어(700)에서 처리되어 모래(3)는 저장호퍼(모래)(5)로 저장하게 되며 1차, 2차, 3차 모래세척수(25,26,27)와 청소수(28)는 청소수배출관(571)을 거쳐 합류되어 하수처리장(20)의 유입부(21)로 이송되어 연계처리 하게 된다. 상기 세척수공급장치(10)는 불필요하며 유출전동밸브(16)만 연동 운전하게 된다.
모든 구조는 도 1과 동일하며, 도 42는 침사탈수기(500)에서 직접 저장호퍼(모래)(5)로 저장하는 방법도 택할수 있으며 저장호퍼(모래)(5)의 위치는 현장여건에 따라 사용할수 있다. 상기 3차 모래세척수(27)는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603)를 사용하여 침사탈수기(500)에서 혼합탱크(분리)(401)로 이송시켜 구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침사(9)처리에서는 혼합탱크(분리)(401)만 구성되나 침사(9)의 유입 성상에 따라 혼합탱크(분리)(401), 혼합탱크(침전)(402)를 동시에 구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처리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준설토(2)가 반입부(100), 반입저장호퍼(200), 세척수공급장치(10), 조대협잡물제거기(300), 혼합탱크(분리, 침전)(401, 402),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 모래배출용, 모래리턴용)(601, 602, 603), 처리수압송탱크(900), 배수펌프(960), 통합제어반(1000)의 처리과정은 전술하였기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모래(3)의 함수율을 낮추는 침사탈수기(500)와, 침사탈수기(500)로부터 토출된 모래(3)를 저장호퍼(모래)(5)로 이송하는 로타리컨베이어(700)와,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601)에서 배출된 자갈 및 협잡물(4)을 저장호퍼(자갈 및 협잡물)(6)로 이송시키는 스킵호이스트(800)의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조대협잡물제거기(300)에서 모래(3)는 여과수조(320)하부의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602)로 이송되어 혼합탱크(분리, 침전)(401, 402)과정을 거쳐 토출파이프(420a)로 이송되어지고 침사탈수기(500)에서 유입된 모래(3)의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 유입된 모래(3)의 함수율을 낮추게 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 스크류컨베이어(517)(520)는 각 회전축(518)(519) 상단에 각각 구비된 종동기어(533)가, 구동모터(522)에 연결된 구동기어(532)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토출파이프(420a)의 토출구(480a)로부터 유입된 모래(3)는 유입드럼(512)의 호퍼부(511)로 유입되어,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작동에 의해 아래로 이송되는데, 호퍼부(511) 및 유입드럼(512)의 하단에서는 모래(3)에 함유된 수분이 퇴수관(515)에서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603)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모래(3)의 수분함량을 줄이게된다.
계속해서, 유입드럼(512)의 하단으로 이송된 모래(3)는 유입드럼(512)과 토출드럼(514)에 형성된 연통간극(513)을 통해 토출드럼(514) 측으로 이송되며, 토출드럼(514)으로 유입된 모래(3)는 상향스크류컨베이어(520)에 의해 토출드럼(514)의 상부로 이송되어 토출포트(521)를 통해 로타리컨베이어(700) 측으로 토출된다.
이러한 침사탈수기(500)의 작동에 있어서, 상부베어링유닛(530)에 의하면, 트러스트베어링(535)이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회전축(518)에 수직상방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적절히 지지력을 발휘함으로써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회전작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며, 특히 모래(3)의 하향 이송에 따른 상대적인 반발력이 상향으로 발생하는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부베어링유닛(530)의 하방에 배치된 상부디플렉터(531)에 의해 모래(3)가 상부베어링유닛(530)에 근접하도록 올라오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하부베어링유닛(540)은 상부커버(543)에 의해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회전축(518)에 오일실(546)이 밀착되고 상부커버(543)와 베어링하우징(541) 사이 및 하부커버(545)와 베어링하우징(541) 사이에 다수개의 패킹링(547)이 개재된 이른바 이중밀봉구조의 특성상, 모래(3)가 각 커버(543)(545)와 베어링하우징(541) 사이 간극을 통하여 레이디얼베어링(542) 내지는 테이퍼롤러베어링(544) 내로 침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 작동안정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더불어, 하부베어링유닛(540)의 상방에 배치된 하부디플렉터(550)에 의하면 홀더(553)가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회전축(518)의 외면을 고무패킹(551)을 통해 긴밀하게 감싸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디플렉터(550)의 상하방에도 각각 모래(3)의 침투를 막기 위한 침사방지막(554)(554’)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모래(3)의 침투가 보다 적극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홀더(553)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쉽게 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무패킹(551)의 마모시 그 교체가 용이하다.
한편, 유입드럼(512)의 하부로 이송된 모래(3)는 수분이 많이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하단에서 모래(3)가 토출드럼(514) 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적층될 우려가 있는바, 침사분산판(563)에 의하면 모래(3)의 응고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즉, 하향스크류컨베이어(517)의 회전축(518)과 함께 상기 침사분산판(563)이 회전하면서, 본체부(563a)의 하면에 형성된 블레이드(563b)가 유입드럼(512)의 바닥에 깔린 모래(3)를 쓸어서 외주방향으로 분산시키게 됨으로써 모래(3)가 적층되지 않고 토출드럼(514)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침사분산판(563)은 내부에 다수의 이빨(563c)과 패킹박스(562) 상부에 다수의 이빨홈(566)으로 결함되어진 누수실링장치(560)에 의해 내측으로 모래(3)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양 드럼(512)(514) 및 패킹박스(562)와의 마찰계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밀봉성 및 내마모성이 증대하게 된다.
또한, 스크레퍼(523)에 의해 토출드럼(514) 내부의 상향 이송된 모래(3)가 상기 토출포트(521) 측으로 걸림 배출됨으로써 모래(3)의 원활한 토출을 유도할 수 있다.
만일, 유입드럼(512)으로 유입된 모래(3)가 토출드럼(514)으로 이송되지 않고 오버플로우될 우려가 있는 경우, 상기 비상이송수단(570)에 의해 이러한 현상이 방지되는데, 비상이송수단(57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본적으로 연통커버(571)는 그 중간에 삽입장착된 차단배플(572)로 인해 내부공간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되며, 유입드럼(512)에 모래(3)가 계속 적층되어 수위가 급격히 높아지면 작업자가 양 드럼(512)(514) 사이의 연통커버(571)에 삽입장착된 차단배플(572)을 연통커버(571)로부터 꺼내게 되면, 양 드럼(512)(514) 사이의 연통홀(570a)(570b)을 연결하는 연통커버(571)의 내부공간이 개방됨으로써 유입드럼(512)내의 모래(3)가 유입드럼(512)의 하단까지 내려가지 않고 곧바로 연통커버(571) 내부공간을 통해 토출드럼(514)으로 이송됨으로써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침사탈수기(500)에서 토출된 모래(3)는 로타리컨베이어(700)의 에어챔버(710)로 유입된 다음, 에어챔버(710) 및 토출포트(718)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모래이송배관(720) 및 모래이송말단장치(780)를 통해 저장호퍼(모래)(5)로 이송시켜 처리를 하게 된다.
또한, 에어챔버(710) 내부에는 내부콘(713)의 내부면에 초경판1(712)이 장착되고 내부콘(713)과 본체(714) 사이에 무수축시멘트(716)가 충진되어 모래(3)로 인한 내마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모래이송배관(720)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직선관(721)과, 각 직선관(721)을 서로 연결하는 곡선관(722)으로 이루어지는데, 모래(3)와의 마찰로 인한 마모가 비교적 작은 직선관(721)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것으로 사용되는 반면, 마찰이 심한 곡선관(722)은 내마모성이 뛰어난 특수주물재질의 것으로 사용됨으로써 모래이송배관(72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곡선관(722)의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또한 용이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곡선관(722)은 이송되는 모래(3)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단면 두께(L)가 작은 부분의 단면 두께(L‘)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내마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직선관(721)은 상기 곡선관(722)으로부터 유입되는 모래(3)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외주면에 보강판(723)이 장착되어 이 역시 모래(3)의 마찰로 인한 내마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압축기(730)의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챔버(710) 및 토출포트(718) 내부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제공하고 로타리엑츄에이터(717)를 동작시키는 모래에어세트(750)의 제1에어배관(760) 및 제2에어배관(761)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공기압축기(730)의 압축공기는 덤핑에어세트(751) 및 제3에어배관(762)은 연통하고 상기 반입부 (100) 덤핑완화장치(130)의 공압실린더(133) 유로도 제공함으로써 공기압축기(730)의 압축공기 공급 및 제어가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모래이송배관(720)을 통해 이송된 모래(3)는 모래이송말단장치(780)를 통해 최종적으로 저장호퍼(모래)(5) 측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모래이송말단장치(780)는 배출챔버(782) 내주면 상에 부착된 초경판2(783)는 모래(3)와의 내마모성을 증대시키고 우레탄롤링판(786)은 마찰력을 저감하는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져 직선관(721)을 통한 모래(3)의 유입압력을 흡수 및 감소시킴으로써 최종 모래(3)의 배출압력이 최소화되는바, 낙하 배출되는 모래(3)로 인한 소음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끝으로, 조대협잡물제거기(300)의 배출구(330)에서 유출되는 자갈 및 협잡물(4)은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601)로 이송되어 스킵호이스트(800)에서 저장호퍼(자갈 및 협잡물)(6)로 이송시켜 처리를 하게 된다.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601)가 버켓(810)에 일정량 채우게 되면 버켓(810)이 상승하게 되고 하강이 완료 될 때까지는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601)는 정지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러한 운전은 구동장치(820)의 리미트스위치(823)에서 제어시키게 된다.
상기 버켓(810)과 버켓암(811)은 일체형으로 버켓암(811)은 버켓(810)의 힌지부(818)에서 회전가능하며 버켓암(811) 상부에는 버켓암시브(851)가 장착되고 버켓암시브(851)에는 와이어로프(815)가 고정되며 로울러(813)도 버켓(810)과 일체형으로 가이드레일(812)을 따라 로프드럼(822)의 구동장치(820)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탈하지 않고 고정위치에서 운전을 하게 된다.
상기 커버(816)는 가이드레일(812)의 상면에 조립되어 버켓(810)의 상,하 이동시 보호를 하게되며 우레탄완충기(817)는 버켓(810)이 하강시 버켓(810)의 과하중으로 부터 충격을 견딜수있게 바닥에 견고히 설치함으로써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더블그루브드(824)는 로프드럼(822)의 장기간 운전에서 발생하는 파손등으로 내구연한을 대폭 향상시키게 됨으로써 내구성을 최대화 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완화장치(버켓부착용)(830)는 버켓(810)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며 버켓(810)이 하강시 버켓암(811)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버켓(810)을 보호하게 되고
상기 스프링완화장치(가이드레일 부착용)(831)에서 가이드레일(812)에 부착되며 버켓(810)이 하강하여 가이드레일(812)의 하단에 도달시 버켓암(811)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와이어로프(815)를 보호하게 됨으로써 보호성을 유지 하게 된다.
상기 로프드럼시브(850), 버켓암시브(851)에서 로프드럼시브(850)는 구동장치(820)의 상부에 장착되어 버켓(810)의 상승, 하강에 따르는 로프드럼(822)의 더블그루브드(824)에서 와이어로프(815)의 좌,우 이동의 도르래 역할을 하게되며 버켓암시브(851)는 버켓암(811)에 장착되어 버켓암(811)의 작동에 따른 와이어로프(815)의 도르래 역할을 함으로써 와이어로프(815)의 원활한 운전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스킵통합안전장치(801)는 통합안전을 유지하는 것으로 로프드럼(822)의 더블그루브드(824), 클램프(825), 스프링완화장치(버켓 부착용)(830), 스프링완화장치(가이드레일 부착용)(831), 후면커버(840), 로프드럼시브(850), 버켓암시브(851), 가이드로라(860), 처짐방지로라(870)로 결합됨으로써 스킵호이스트(800)는 통합적으로 안전성을 두어 스킵호이스트(800) 전체적인 운전이 안정적으로 유지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세척수공급장치
100: 반입부 200: 반입저장호퍼
300: 조대협잡물제거기
401: 혼합탱크(분리) 402: 혼합탱크(침전)
500: 침사탈수기
601: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
602: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
603: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
700: 로타리컨베이어 800: 스킵호이스트
900: 처리수압송탱크 960: 배수펌프
1000: 통합제어반

Claims (1)

  1.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준설토의 비산을 방지하는 ‘ㄱ’자 형태의 차단벽과, 낙하하는 준설토를 이송하는 경사진 하부슈트와,
    상기 차단벽의 측면에 배치되어 준설토를 세척시키는 반입세척수와,
    상기 낙하하는 준설토는 준설차의 덤핑시 공압실린더의 상,하동작을 시켜 완화시키는 덤핑완화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입부;
    상기 반입부 하부에 배치되어 낙하하는 준설토를 이송시키는 스크류이송장치와,
    상기 스크류이송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낙하하는 준설토로부터 스크류이송장치를 보호하는 보호대와,
    상기 낙하된 준설토는 안정, 균등세척수를 경사판에 고압살수 분사시켜 준설토를 안정화, 균등화되어 스크류이송장치로 이송시키는 안정, 균등화장치와 스크류이송장치의 말단부에는 점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입저장호퍼;
    준설토 처리 과정에 필요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세척수저장탱크, 세척수펌프, 유입전동밸브, 유출전동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척수공급장치;
    상기 반입저장호퍼의 스크류이송장치를 통해 준설토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준설토 중 모래와 분리세척수는 여과수조를 통해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로 유출되며 상등수배플과 상등수관이 구비되는 여과수조와,
    상기 유입된 준설토중 자갈 및 협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회전하는 원통형 여과망과,
    상기 유입구 단부에 구비되어 준설토가 상기 여과망 내부에 골고루 퍼져 낙하되도록 하는 부채꼴형상의 유입분산대와,
    상기 여과망 외주에 구비되어 여과망으로 제거수를 분사하는 여과망 제거수와,
    상기 여과망의 외면을 브러싱하여 여과망 구멍을 막는 찌꺼기를 제거하는 제거브러쉬와, 모래와 분리세척수는 간극을 통해 흘러나가 여과망 하부의 여과수조를 통하여 흘러가고 남은 자갈 및 협잡물은 여과망 내부에 걸려 여과망 내측 하단부에서 서로 뭉쳐지면서 여과망내 측면에 부착되어있는 나선형스크류의 유도에 의해 유입구 반대편으로 밀려감과 동시에 탈수되어 여과망 끝단인 배출구쪽으로 빠져나가는 나선형스크류와,여과망 내부에서 고압살수 분사시켜 모래, 자갈 및 협잡물을 분리시키는 분리세척수와, 여과망 외부에서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로라와 여과망과 연결되어 회전작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대협잡물제거기;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이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이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바닥면에 교체가능한 소정두께의 보강판이 덧대어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에서 유출되는 모래와 분리세척수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탱크(분리), 혼합탱크(침전)와,
    상기 혼합탱크(분리), 혼합탱크(침전)에 연결되는 토출파이프와,
    상기 혼합탱크(분리), 혼합탱크(침전) 바닥면에 근접배치되고, 상단이 토출파이프를 관통하여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작동함으로써 혼합탱크(분리), 혼합탱크(침전) 내로 유입된 모래와 분리세척수는 토출파이프를 관통하여 이송하는 메인스크류컨베이어와,
    상기 메인스크류컨베이어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베어링유닛과,
    상기 혼합탱크(분리), 혼합탱크(침전)내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에어노즐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블로어로 이루어짐으로써 모래의 악취를 제거하고, 부패를 방지하는 에어세척과,
    상기 혼합탱크(분리), 혼합탱크(침전)로 유입되는 모래에 대해 물을 분사하는 혼합수노즐을 포함하고 모래의 유입시 수분함량을 높여 모래의 유동이 용이 하도록 하는 1차 모래세척수와,
    상기 토출파이프의 토출측 선단에서 메인스크류컨베이어로 세척수를 강하게 분사하는 세척수노즐을 포함하고, 모래에 함유된 유기협잡물을 세척제거하는 2차 모래세척수와,
    상기 혼합탱크(분리)의 분리세척수는 레벨관을 통하여 혼합탱크(침전)로 유입되어 분리세척수의 잔여 모래를 침전시켜 최종처리수를 처리수압송탱크로 이송하고 잔여 모래를 혼합탱크(침전) 메인스크류컨베이어, 토출슈트로 이송 및 혼합탱크(분리) 토출파이프, 토출구로 이송시켜 동시에 처리하는 분리세척수 침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혼합탱크(분리), 혼합탱크(침전);
    상기 토출파이프로부터 유입되는 모래의 함수율을 낮추는 침사탈수기로서,
    일측에 토출파이프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호퍼부가 형성되는 유입드럼과,
    상기 유입드럼과 평행하게 연접되며, 유입드럼과의 사이에 연통간극을 갖는 구조로써, 일측에 토출포트가 구비된 토출드럼과,
    상기 유입드럼의 하단에 구비된 점검관과,
    상기 유입드럼 내에 장착되어 호퍼부를 통해 유입되는 모래를 하향이송하는 하향스크류컨베이어와,
    상기 토출드럼 내에 장착되어 연통간극을 통해 유입드럼으로부터 토출드럼으로 유입된 모래를 토출포트 측으로 상향이송하는 상향스크류컨베이어와,
    상기 하향 및 상향 스크류컨베이어의 작동을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하향 및 상향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축 상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부베어링유닛과,
    상기 하향 및 상향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축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하부베어링유닛과,
    상기 하향 및 상향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축에 부착되며 상부베어링유닛의 하방에 배치되어 모래가 상부베어링유닛측으로 밀려드는 것을 방지하는 원반형의 상부디플렉터와,
    상기 하부베어링유닛으로의 모래 유입을 방지하는 하부디플렉터와,
    상기 유입드럼에서 모래의 하향이송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모래를 상기 토출드럼 상부로 직접이송할 수 있는 비상이송수단과,
    상향 이송돤 모래가 상기 토출포트 측으로 걸림 배출되도록 상기 토출포트 상단에 판상으로 고정설치되는 스크레퍼와,
    상기 양 드럼의 하단에 각각 관통 고정되고 하향 및 상향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패킹이 내삽된 패킹박스와,
    상기 패킹과 하향 및 상향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축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이 다수 개 내삽된 슬리브와,
    상기 하향 및 상향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축에 끼움 장착되는 원반형태로서, 상기 패킹박스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킹박스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설치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져 회전함으로써 가라앉은 모래를 분산시키는 침사분산판과,
    상기 블레이드의 내주면과 패킹박스의 외주면 사이에는 디유부시가 내삽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와 양 드럼의 바닥면 사이에는 엠씨나일론이 내삽되며, 상기 침사분산판 내부에 다수의 이빨과 상기 패킹박스의 상부에 다수의 이빨홈으로 결합되어지는 누수실링장치와,
    상기 침사탈수기로 유입된 모래를 측면 세척하는 것으로써,
    상기 유출전동밸브와 상기 유입드럼의 측면 중간부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측면세척관과,
    상기 측면세척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향스크류컨베이어로 세척수를 공급 제어하는 측면세척수밸브와, 모래에 함유된 유기협잡물을 세척제거하는 3차 모래세척수와,
    상기 유입드럼 호퍼부에 구비된 퇴수관과,
    상기 유출전동밸브와 연통되어 상기 하향 및 상향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축 하단에 청소수를 공급 제어하고, 공급된 상기 청소수가 상기 침사탈수기의 저면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청소수배출관을 포함하는 청소수밸브유닛과, 상기 하향스크류컨베이어에 유입된 모래를 교반세척하는 스크류교반세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사탈수기;
    상기 조대협잡물제거기의 배출구 측면에 배치되어 유출되는 자갈 및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
    상기 조대협잡물제거기의 여과수조 하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모래와 분리세척수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
    상기 침사탈수기의 3차 모래세척수 측면에 배치되어 유출되는 3차 모래세척수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의 스크류이송장치는 내부 바닥면에 교체가능한 소정두께의 보강판이 덧대어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분리가능한 플랜지식 체결방법의 구조로 구동축의 플랜지는 외부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위해 이중실링방식 구동모터의 구동장치와, 선단에 나사고정식으로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스크류의 지지축 하단을 받치는 외부커버와, 외부커버 안쪽에서 상기 지지축의 하단 외주면에 부착되어 스크류의 측방향하중을 지지하는 오일레스베어링과, 지지축의 선단과 외부커버의 선단사이에 개재되어 스크류의 길이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볼과, 지지축은 마모에 의한 교체를 위하여 오링이 장착된 슬리브와, 지지축의 사이에는 마찰방지를 위하여 엠씨나이론이 장착되는 구조인 지지베어링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 이송스크류(모래배출용), 이송스크류(모래리턴용);
    상기 침사탈수기로부터 토출된 모래를 저장호퍼(모래)로 이송하도록 내부가 내마모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침사탈수기로부터 토출되는 모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된 모래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깔대기 형상으로 설치되고 내주면 일측에 초경판1이 부착된 내부콘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볼팅되고 상기 유입포트와 연통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에어챔버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내부콘의 외주면 사이에 충진되는 무수축시멘트와,
    상기 뚜껑과 유입포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모래를 개폐하는 로타리엑츄에이터와,
    상기 에어챔버의 아래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콘의 하단과 연통되는 토출포트와,
    상기 토출포트로부터 저장호퍼(모래)로 이어지고, 스테인레스 재질의 다수개 직선관과, 상기 각 직선관 사이를 연결하는 특수주물재질의 곡선관으로 구성되어 모래와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심한 곡선관의 내마모성이 높아지고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곡선관은 이송되는 모래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단면 두께가 작은 부분의 단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직선관은 상기 곡선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모래의 토출압력이 큰 부분의 외주면에 보강판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모래이송배관과,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와,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와,
    상기 공기압축기의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챔버 및 토출포트 내부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제공하고 로타리엑츄에이터를 동작시키는 모래에어세트의 제1에어배관 및 제2에어배관과,
    상기 제1에어배관과 연통하고 상기 뚜껑의 일측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초경판1 측으로 압축공기를 유도하는 특수주물재질의 유입엘보와,
    상기 내부콘을 사이에 두고 상기 초경판1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 외주면 상에 감싸듯이 설치되는 보강링과,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모래이송배관과 측면 연통되며 상측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가 설치되는 원통형의 배출챔버와, 상기 배출챔버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어 상기 모래이송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모래로부터 내구성을 갖도록 구비되는 초경판2와, 상기 배출챔버의 하측 개방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며 상측은 폭 방향으로 밴딩처리되고 상기 밴딩은 볼팅 처리되어 낙하되는 모래로 인한 소음 및 모래의 비산을 방지하는 우레탄롤링판을 포함하는 모래이송말단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타리컨베이어;
    상기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에서 배출된 자갈 및 협잡물을 저장호퍼(자갈 및 협잡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자갈 및 협잡물배출용)와 연결되는 버켓과 버켓암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로울러에 부착되고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드럼샤프트위의 로프드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버켓을 보호하는 커버와,
    상기 버켓 하단에 과하중과 충격에 견딜수 있도록 우레탄완충기와,
    상기 로프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의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드럼샤프트 양단을 지지하는 스킵지지베어링유닛과,
    상기 구동장치의 상,하 운전시키는 리미트스위치와,
    통합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프드럼의 더블그루브드와, 상기 와이어로프 이탈방지를 위한 클램프와, 상기 버켓은 상승하여 하강할 때 버켓암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버켓을 보호하는 스프링완화장치(버켓 부착용)와, 상기 버켓이 하강하여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도달시 버켓암의 충격력을 완화시켜 와이어로프를 보호하는 스프링완화장치(가이드레일 부착용)와, 상기 가이드레일 후면에 잔여물질이 낙하되어 버켓 내부로 유도하는 후면커버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로프드럼시브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버켓암시브와, 상기 버켓 하강시 와이어로프의 안내 및 버켓암 충격을 완화 시키기 위하여 양단에 우레탄 코팅된 가이드로라와, 상기 버켓이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도달시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로라를 포함하는 스킵통합안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킵호이스트;
    상기 혼합탱크(침전)의 최종처리수를 압송시키는 것으로써 본체 하부는 중앙으로 유도시키는 4면의 경사판과, 본체를 비울수 있는 드레인과, 최종처리수를 압송시키는 압송펌프를 포함하는 처리수압송탱크;
    상부 및 피트부에서 발생된 바닥청소수를 배수피트부로 모이게 되면 바닥청소수를 상기 반입저장호퍼로 압송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각 기기에 전기동력선 및 계장선을 공급하여 각기기의 자동, 수동 운전을 시키는 통합제어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준설토 처리기.
KR1020220081276A 2022-07-01 2022-07-01 준설토 처리기 KR10249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276A KR102491949B1 (ko) 2022-07-01 2022-07-01 준설토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276A KR102491949B1 (ko) 2022-07-01 2022-07-01 준설토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949B1 true KR102491949B1 (ko) 2023-01-26

Family

ID=8511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276A KR102491949B1 (ko) 2022-07-01 2022-07-01 준설토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9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58B1 (ko) * 2009-01-22 2009-04-09 최정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20130090851A (ko) * 2013-05-10 2013-08-14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침사물 감량화 방법 및 침사물 감량화 처리 시스템
JP2014171447A (ja) * 2013-03-11 2014-09-22 Chusei Koka Doko Jigyo Kyodo Kumiai 浚渫土を利用して藻礁を構築するための処理工法
KR101943483B1 (ko) * 2018-09-13 2019-01-29 (주)이에스텍 준설토 처리장치
JP2020089824A (ja) * 2018-12-04 2020-06-11 大豊建設株式会社 浚渫土の処理方法及び浚渫土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58B1 (ko) * 2009-01-22 2009-04-09 최정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JP2014171447A (ja) * 2013-03-11 2014-09-22 Chusei Koka Doko Jigyo Kyodo Kumiai 浚渫土を利用して藻礁を構築するための処理工法
KR20130090851A (ko) * 2013-05-10 2013-08-14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침사물 감량화 방법 및 침사물 감량화 처리 시스템
KR101943483B1 (ko) * 2018-09-13 2019-01-29 (주)이에스텍 준설토 처리장치
JP2020089824A (ja) * 2018-12-04 2020-06-11 大豊建設株式会社 浚渫土の処理方法及び浚渫土処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258B1 (ko)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US77753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materials
US7074339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a liquid
JP2007098313A (ja) 廃プラスチックシート破砕片用洗浄装置
US7073433B2 (en) Auger dewatering system
US6572763B2 (en) Wastewater screening, washing and dewatering system
EP0325324A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eclaiming gravel, soil particles and wood pieces from a mixture of the same
KR100801964B1 (ko)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CN108862917A (zh) 一种环保生活污水发电装置
GB2438076A (en) Rotary screen drum
KR102491949B1 (ko) 준설토 처리기
US20080028952A1 (en) Compactor construction
KR101804978B1 (ko) 협잡물이 포함된 침사물을 처리하기 위한 일체형 침사물 분리방법 및 일체형 침사물 분리장치
GB2448399A (en) Apparatus for removing inorganic components from sewage in a sewer
AU2018280016B2 (en) Slurry handling apparatus
JP4141229B2 (ja)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KR100664404B1 (ko)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JP4502531B2 (ja) 沈砂及びし渣の処理装置
KR200383114Y1 (ko)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JP4570401B2 (ja) 沈砂池における揚砂洗浄搬送システム
KR100778254B1 (ko)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101490083B1 (ko) 침사물에 포함된 모래 및 협잡물의 분리 배출 시스템
SE504046C2 (sv) Avvattningsanordning
JP3780560B2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形連続式アンローダのブームコンベヤの洗浄方法
KR101062134B1 (ko) 침사 인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