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401B1 -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401B1
KR102491401B1 KR1020207036070A KR20207036070A KR102491401B1 KR 102491401 B1 KR102491401 B1 KR 102491401B1 KR 1020207036070 A KR1020207036070 A KR 1020207036070A KR 20207036070 A KR20207036070 A KR 20207036070A KR 102491401 B1 KR102491401 B1 KR 10249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fail
cell
resource
recovery reques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533A (ko
Inventor
유 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에서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였고, 통실 기술 분야에 관련된다. 해당 방법은 UE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 및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5월 16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No.201810470331.X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인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beam failure recovery)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 주파수 대역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의 파장이 비교적 짧기에, 신호가 차단되고,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UE)가 이동되는 등 원인으로 통신 중단을 쉽게 조성하며, 통신 중단이 발생시 시스템은 빔 페일 회복(beam failure recovery)을 통하여 통신을 회복해야 한다.
관련 기술중의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의 일반적인 과정은: UE가 물리층을 통하여 다운 링크 빔에서의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eam failure detection reference signal)를 모니터링하여, 가정(hypothetical)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블록 에러 레이트(BLER)를 획득하고, 획득한 hypothetical PDCCH BLER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를 초과하였다면, 해당 다운 링크 빔 페일을 판단하고, UE에서 전부의 hypothetical PDCCH 빔이 전부 페일되였음을 검측하였다면, 빔 페일 사건(beam failure event)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며; UE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함을 확정하였을 때, UE는 무경쟁의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을 기반으로 네트워크측 기기에 빔 페일 회복 요청(beam failure recovery request,BFRQ)을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UE가 송신한 BFRQ를 수신한 후, UE에 응답 시그널링을 송신하며; UE가 기지국에서 송신한 응답 명령을 수신한 후, 기지국에서 송신한 응답 명령에 따라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한다. 그러나,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빔 페일이 나타났을 때, 관련 기술중의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을 통하여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한다면,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서 송신한 BFRQ를 수신한 후 빔 페일이 발생한 셀(Cell)이 대응하는 캐리어를 확정할 수 없고, 또한 UE에 응답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없으며, 따라서 관련 기술중의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은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 적용되지 않으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제1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에 적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에 사용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임 -;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확정하고, 또한 상기 제1 셀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그 후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고,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을 지시할 수 있는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였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 포함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을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에 적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셀과 유일하게 대응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셀과 유일하게 대응하며, 상기 제1 셀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임 -; 및
상기 제1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확정하고, 또한 상기 제1 셀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며, 그 중, 제1 자원은 상기 제1 셀과 유일하게 대응하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제1 자원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을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UE에 적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함 -; 및
상기 제1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BWP를 확정하고, 또한 상기 제1 BWP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며, 그 중,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하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제1 자원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제1 BWP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를 제공하며, 상기 UE는: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에 사용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을 포함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임 -;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확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 및
상기 제1 셀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를 제공하며, 상기 UE는: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셀과 유일하게 대응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을 포함한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셀과 유일하게 대응하며, 상기 제1 셀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임 -; 및
상기 제1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확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 및
상기 제1 셀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한다.
제1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를 제공하며, 상기 UE는: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을 포함한다.
제1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함 -;
상기 제1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BWP를 확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 및
상기 제1 BWP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한다.
제1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를 제공하며, 상기 UE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예컨대 제1 측면 또는 제3 측면 또는 제5 측면에 따른 상술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예컨대 제2 측면 또는 제4 측면 또는 제6 측면에 따른 상술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예컨대 제1 측면 내지 제6 측면의 임의의 어느 한 측면에 따른 상술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그 후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고,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을 지시할 수 있는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였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 포함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을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며, 그 중,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하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제1 자원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제1 BWP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통신 시스템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의 인터렉션 1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의 인터렉션 2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의 인터렉션 3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의 인터렉션 4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의 인터렉션 5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의 인터렉션 6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UE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기예에서 제공하는 UE의 하드웨어 구조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기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및/또는" 은 연결 대상을 설명하는 하나의 연결 관계이고, 세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으며, 예컨대 "A 및/또는 B"는 개별 A, 개별 B , 및 A와 B가 공존하는 세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이외, 본 명세서에서 "/"은 일반적으로 전후 연결 대상은 하나의 "또는"의 관계이고; 공식에서 "/"은 전후 연결 대상은 하나의 "나누기"의 관계임을 표시한다. 추가 설명이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복수 개"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기술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제2"등은 기능 또는 작용이 기본적으로 동일한 동일 대상 또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기술 분야의 인원들은 "제1", "제2"등은 숫자 및 실행 순서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 등 단어는 예, 예시적인 방법 또는 설명을 표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은 기타 실시예 또는 실시 방안보다 더욱 바람직하거나 또는 우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 등 단어를 사용한 목적은 구체적인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달리 설명하지 않는한, "복수 개"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을 의미한다.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빔 페일이 나타났을 때, 관련 기술중의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을 통하여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한다면,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서 송신한 BFRQ를 수신한 후 빔 페일이 발생한 셀(Cell)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확정할 수 없고, 또한 UE에 응답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없으며, 따라서 관련 기술중의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은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 적용되지 않으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없다.
상술한 문제를 기반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하기 해결 방안을 제공하였다:
방안 1: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그 후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고,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을 지시할 수 있는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였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 포함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을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방안 2: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며, 그 중, 제1 자원은 상기 제1 셀과 유일하게 대응하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제1 자원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을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방안 3: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며, 그 중,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하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제1 자원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제1 BWP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공한 기술 방안은 각종 멀티 캐리어 시스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예컨대,5G 시스템, 미래 진화 시스템 또는 각종 통신 융합 시스템 등등에 적용될 수 있다. 여러가지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머신 대 머신(Machine to Machine,M2M), D2M, 매크로 마이크로 통신, 강화형 이동 인터넷(enhance Mobile Broadband,eMBB), 초고 신뢰성 및 초저 지연 통신(ultra 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uRLLC) 및 매시우 사물 인터넷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mMTC) 등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UE와 UE사이의 통신,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와 네트워크측 기기 사이의 통신,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와 UE사이의 통신 등 시나리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5G 통신 시스템중의 네트워크측 기기와 UE사이의 통신, 또는 UE와 UE사이의 통신,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와 네트워크측 기기 사이의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관련된 통신 시스템의 가능한 구조 예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측 기기(11, 도 1중 네트워크측 기기를 기지국으로 예시함), 적어도 하나의 UE(12, 도 1중 두개의 UE로 도시됨)를 포함한다. 그 중, UE(12)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RAN)와 네트워크측 기기(11)를 경과할 수 있고, 네트워크측 기기(11)는 복수 개의 캐리어를 생성하며, 각각의 캐리어는 각각 하나의 셀에 대응한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네트워크측 기기(11)는 기지국, 코어망 기기, 송수신 노드(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TRP), 릴레이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일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측 기기(12) 및/또는 제2 네트워크측 기기(13)는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SM) 또는 코드 분할 멀티플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 네트워크중의 기지국 송수신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BTS)일 수 있고, 또는 광대역 코드 분할 멀티플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reless,WCDMA) 중의 NB(NodeB) 일 수 도 있으며, 또는 LTE중의 eNB 또는 eNodeB(evolutional NodeB)일 수 있다. 네트워크측 기기(11)는 또한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CRAN)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제어기일 수 도 있다. 네트워크측 기기(11)는 또한 5G 통신 시스템중의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미래 진화 네트워크중의 네트워크측 기기일 수 있다.
UE(12)는 무선 UE일 수 잇고, 해당 무선 UE는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기타 트래픽 데이터 연통성을 제공하는 기기,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핸드 헬드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하는 기타 처리 기기, 차량 탑재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중의 UE 또는 미래 진화의 PLMN 네트워크중의 UE등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 UE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어망를 경유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UE는 이동 단말일 수 있고, 예컨대 모바일 전화(또는“셀룰러”전화) 및 이동 단말을 구비한 컴퓨터 등일 수 있으며, 예컨대, 편이식, 포켓식, 캐리용, 컴퓨터 내장 또는 차량 탑재용 이동 단말일 수 있고, 이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및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PCS)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스(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등 기기를 교환할 수 있고, 무선 단말은 이동 기기, UE 단말, 액세스 단말, 무선 통신 기기, 단말 유닛, 단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Mobile Station), 이동대(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원격국,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사용자 대리(User Agent),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도 1은 단말이 핸드폰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실시예 1: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을 제공하고,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며, 상기 방법은:
S201: UE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다.
대응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서는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다.
그 중,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인, 상기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는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하나의 캐리어이다.
구체적으로, UE는 물리층에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의 빔 페일 회복 참조 신호(beam failure detection reference signal, BFD RS)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할 수 있고, 모 하나의 캐리어 전부의 서빙 빔(serving beam)의 BFD RS의 참조 신호의 수신 파워(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RSRP), 블록 에러 레이트(Block Error Ratio,BLER),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RSRQ) 및 수신 신호 강도 지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RSSI)중의 한 항 또는 복수 항이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검측해낸다면, 해당 캐리어에 일 회의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한다.
진일보하여,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은 구체적으로: UE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한 후, UE의 물리층에서 매체 액체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MAC)층에 일 회의 빔 페일 인스턴스(beam failure instance)를 리포팅하고, MAC층에서 카운터(counter)를 사용하여 물리층에서 리포팅한 지시에 대하여 카운팅을 진행하며, 카운터의 카운팅 횟수가 기설정 최대 횟수에 도달하였을 때, UE를 트리거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셀의 인덱스 정보이다.
예컨대: 셀 그룹(cell group)중에는 8개 셀이 있고, 그 중 1개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PCell)이며, 기타 7개 셀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SCell)이고, SCell의 인덱스는 1~7이다. PCell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UE는 제1 자원을 통하여 BFRQ를 리포팅하고, 또한 BFRQ는 PCell의 인덱스(index)정보를 캐리하거나, 또는 BFRQ중 캐리한 인덱스 정보를 생략하고, 또한 PCell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묵인하며; 모 SCell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엿을 때, UE는 제1 자원을 통하여 BFRQ를 리포팅하고, 또한 BFRQ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SCell의 인덱스(index)정보를 캐리하거나, 또는 BFRQ중 캐리한 인덱스 정보를 생략하고, 또한 BFRQ를 송신한 제1 자원이 소속한 SCell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묵인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 셀이 제1 셀이 소속한 셀 그룹중의 PCell일 때, BFRQ를 송신한 제1 자원이 제1 셀중의 업링크 자원이고, 제1 셀이 제1 셀이 소속한 셀 그룹중의 SCell일 때, 제1 셀 중에 BFRQ를 송신할 수 있는 업링크 자원을 배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제1 셀중에 BFRQ를 송신할 수 있는 업링크 자원을 배치하였을 때, 제1 셀중 배치한 BFRQ를 송신하는 업링크 자원을 상술한 제1 자원으로 하고, 또한 상기 BFRQ를 송신하며; 제1 셀중에 BFRQ를 송신할 수 있는 업링크 자원을 배치하지 않았을 때, 제1 셀이 소속한 셀 그룹중 PCell중의 업링크 자원을 상술한 제1 자원으로 하고, 또한 제1 셀이 소속한 셀 그룹중 PCell중의 업링크 자원을 통하여 상기 BFRQ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 자원은 제1 셀이 소속한 셀 그룹중 PCell중의 업링크 자원일 수 있다. 즉, 제1 셀이 제1 셀이 소속한 셀 그룹중 PCell이든 또는 SCell이든, 전부 제1 셀이 소속한 셀 그룹중 PCell중의 업링크 자원을 통하여 상기 BFRQ를 송신한다.
S202: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확정한다.
즉, 네트워크측 기기는 BFRQ중에 캐리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이 어느 셀인지 확인할 수 있다.
S203: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제1 셀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한다.
대응하게, 상기 UE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할 때 사용하는 다운 링크 자원을 한정하지 않고,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중의 다운 링크 자원을 통하여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고, 또는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 이외의 기타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중의 다운 링크 자원을 통하여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고,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상기 UE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예시적으로, 제1 셀이 셀 그룹중의 Pcell일 때, 네트워크측 기기는 제1 셀중의 다운 링크 자원에서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고, 제1 셀이 셀 그룹중의 Scell일 때, 제1 셀중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다운 링크 자원을 배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셀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다운 링크 자원을 배치하였을 때, 네트워크측 기기는 제1 셀중의 다운 링크 자원에서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고; 제1 셀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다운 링크 자원을 배치하지 않았을 때, 네트워크측 기기는 제1 셀이 소속한 셀 그룹중의 Pcell의 다운 링크 자원에서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의 다운 링크 자원를 송신한다.
예시적으로, 제1 셀이 소속한 셀 그룹중의 Pcell의 다운 링크 자원에서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의 다운 링크 자원를 송신한다.
이외,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한 것에 대응하는 셀이 최근 일 회에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BFRQ중에서 지시한 셀로 묵인할 수 있으며; 또는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한 것에 대응하는 셀이 바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할 셀인 것으로 묵인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에도 제1 지시 정보가 캐리되어 있어, UE가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에 대응되는 셀을 확정하도록 한다.
진일보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중에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C-RNTI)를 캐리하는 것 이외, 또한 새로운 후보 빔으로 핸드 오버, 빔 검색을 재가동하는 등 지시중의 한 항 또는 복수 항을 캐리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에 사용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그 후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고,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을 지시할 수 있는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였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 포함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을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술한 실시예중의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셀중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BWP)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대응하게,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셀중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셀중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한다.
즉, UE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캐리하여, 네트워크측 기기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중에 구체적으로 어느 BWP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정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셀중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의 인덱스 정보이다.
예컨대: 셀 그룹(cell group)중에는 8개 셀이 있고, 그 중 1개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PCell)이며, 기타 7개 셀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SCell)이고, SCell의 인덱스는 1~7이며, 또한 각각의 셀에는 4개의 BWP를 포함하고, 각각의 셀의 BWP의 인덱스는 1~4이다. 인덱스가 3인 Scell의 인덱스가 2인 BWP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할 때, UE가 리포팅한 BFRQ가 캐리한 제1 지시 정보는 3일 수 있고, BFRQ가 캐리한 제2 지시 정보는 2일 수 있다.
진일보, 하기 상술한 실시예중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할 때 사용한 제1 자원에 대하여 설명한다.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할 때 사용한 제1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UE에 배치한 것일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자원은 제1 셀 그룹중 적어도 하나의 셀중의 업 링크 자원이고, 상기 제1 셀 그룹은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의 복수 개 캐리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 셀로 형성한 셀 그룹이다.
예컨대: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의 복수 개 캐리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 셀로 형성한 셀 그룹중에는 8개 셀이 있고, 그 중 1개 셀은 PCell이며, 기타 7개 셀은 SCell이며, 이에 따라 제1 업 링크 자원을 하나의 셀중에 배치할 수 있고, 예컨대: 제1 자원을 Pcell중에 배치하거나, 또는 제1 자원을 Scell중에 배치하며; 또는 제1 업 링크 자원을 2~7개 셀중에 배치할 수 도 있고, 예컨대: 제1 자원을 Pcell 및 그중의 3개 Scell중에 배치하며; 또는 제1 업 링크 자원을 전부 셀중에 배치하는 것이며, 즉 제1 자원을 Pcell 및 7개 Scell중에 배치하는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자원은 배치한 셀중의 BWP중의 적어도 하나중의 업 링크 자원이고, 상기 배치한 셀은 제1 셀 그룹중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PUCCH) 자원 및/또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자원을 배치한 셀이며, 상기 제1 셀 그룹은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의 멀티 캐리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 셀로 형성한 셀 그룹이다.
즉, 제1 자원은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의 전부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중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 자원 및/또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자원을 배치한 셀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 BWP에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의 복수 개 캐리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 셀로 형성한 셀 그룹중에는 8개 셀이 있고, 그 중 하나는 Pcell이고, 그외의 7개는 Scell이며, Scell의 인덱스는 1~7이고, 또한 Pcell은 PUCCH 자원 및 PRACH 자원을 배치하였으며, 인덱스가 1,2인 Scell에는 PUCCH 자원을 배치하였고, 인덱스가 5,7인 Scell에는 PRACH 자원을 배치하였다면, 제1 자원을 Pcell, 인덱스가 1,2,5,7인 Scell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BWP중에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각각의 셀의 각각의 BWP에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제1 자원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이로써 자원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측 기기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 정보를 정확히 획득하여, 따라서,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있다.
진일보 하여,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1 자원중에 지시 정보를 베어링한 시그널링 도메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중에 오직 제1 지시 정보를 캐리하였을 때,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자원중에는 오직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서 송신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때, 네트워크측 기기는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한 셀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묵인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중에 오직 제1 지시 정보를 캐리하였을 때,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2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3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자원이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2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였을 때, 네트워크측 기기는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이 베어링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하나의 셀을 확정하고, 또한 제2 시그널링 도메인이 베어링한 제3 지시 정보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여, 따라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2 시그널링 도메인중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 도메인은 미리 남겨놓은 시그널링 도메인이다.
즉,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또는 제2 시그널링 도메인은 제1 자원중에서 새로 추가한 시그널링 도메인이다.
이외,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또는 제2 시그널링 도메인이 미리 남겨놓은 시그널링 도메인일 때, 미리 남겨놓은 시그널링 도메인이 베어링한 지시 정보는 독립적으로 코딩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기타 정보와 제1 자원에서 멀티플렉싱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기타 시그널링 도메인이 베어링한 정보와 연합 코딩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할 수 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2 시그널링 도메인중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 도메인은 스케쥴링 요청(Scheduling Request,SR)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또는 제2 시그널링 도메인중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 도메인은 제1 자원에서 기존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SR을 베어링한 시그널링 도메인일 수 있다. 이외, 빔 페일 사건의 지시 및 관련 기술중의 스케쥴링 요청의 지시에 대하여 지원하기 위하여, SR을 베어링한 시그널링 도메인의 길이는 변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고, 또는 빔 페일 사건의 지시 및 스케쥴링 요청의 지시에 대하여 지원하기 위하여, SR을 베어링한 시그널링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장할 수 도 있다.
제3 측면에 있어서,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중에 오직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를 캐리하였을 때,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3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자원중에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서 송신한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한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때, 네트워크측 기기는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한 셀중의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한 BWP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묵인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중에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가 캐리되었을 때,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 제2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3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자원이 제1 시그널링 도메인, 제2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3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였을 때, 네트워크측 기기는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이 베어링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하나의 셀을 확정하고, 제2 시그널링 도메인이 베어링한 제3 지시 정보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며, 및 제3 시그널링 도메인이 베어링한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하나의 BWP를 확정하고, 따라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중의 BWP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 시그널링 도메인, 제2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3시그널링 도메인중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 도메인은 미리 남겨놓은 시그널링 도메인이다.
즉,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 제2 시그널링 도메인 및/또는 제3 시그널링 도메인은 제1 자원중에서 새로 추가한 시그널링 도메인이다.
이외, 제1 자원에서 새로 추가한 시그널링 도메인은 독립적으로 코딩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기타 정보와 제1 자원에서 멀티플렉싱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기타 시그널링 도메인이 베어링한 정보와 연합 코딩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할 수 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 제2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3 시그널링 도메인중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 도메인은 또한 SR을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시그널링 도메인, 제2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3 시그널링 도메인중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 도메인은 제1 자원에서 기존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SR을 베어링한 시그널링 도메인일 수 있다. 이외, 빔 페일 사건의 지시 및 관련 기술중의 스케쥴링 요청의 지시에 대하여 지원하기 위하여, SR을 베어링한 시그널링 도메인의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고, 또는 빔 페일 사건의 지시 및 스케쥴링 요청의 지시에 대하여 지원하기 위하여, SR을 베어링한 시그널링 도메인의 비트 길이를 확장할 수 도 있다.
진일보 선택 가능하게,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S201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S301, S302을 더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S301: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UE에 송신한 배치 정보이다.
대응하게, UE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배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 중,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에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이다.
S302: UE가 상기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의 BFD RS에 대하여 검측을 진행한다.
즉,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 배치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의 배치 정보중에는 BFD RS를 송신한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가 포함되고, 이는 상기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의 BFD RS에 대하여 검측을 진행하는데 편리하다.
실시예 2: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고, 상기 방법은 S401, S402, S403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S401: UE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다.
대응하게,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다.
그 중, 상기 제1 자원과 상기 제1 셀은 유일하게 대응한다.
예시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가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자원을 배치할 때,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자원과 셀의 대응 관계를 배치한다.
S402: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제1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확정한다.
S403: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제1 셀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며, 그 중, 제1 자원은 상기 제1 셀과 유일하게 대응하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제1 자원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을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S401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S501, S502을 더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S501: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UE에 송신한 배치 정보이다.
대응하여, UE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배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 중,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에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이다.
S502: UE가 상기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의 BFD RS에 대하여 검측을 진행한다.
즉,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 배치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배치 정보중에는 BFD RS를 송신하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가 포함되고, 이는 상기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의 BFD RS에 대하여 검측을 진행하는데 편리하다.
실시예 3: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S601, S602, S603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S601: UE가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다.
대응하게,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다.
그 중, 상기 제1 자원과 상기 제1 BWP는 유일하게 대응한다.
예시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가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자원을 배치할 때,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자원과 각 셀중의 각각의 BWP의 대응 관계를 배치한다.
S602: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제1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BWP를 확정한다.
S603: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제1 BWP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임의의 BWP가 소속한 셀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 배치한 것이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 후, 우선 제1 자원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할 수 있고, 다음 UE에 송신한 배치 정보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가 소속한 셀을 확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 및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가 소속한 셀을 확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며, 그 중,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하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제1 자원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제1 BWP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진일보 선택 가능하게,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S601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S701, S702을 더 포함하며:
S701: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UE에 송신한 배치 정보이다.
대응하여, UE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배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 중,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에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이다.
S702: UE가 상기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의 BFD RS에 대하여 검측을 진행한다.
즉,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 배치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의 배치 정보중에는 BFD RS를 송신한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가 포함되고, 이는 상기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의 BFD RS에 대하여 검측을 진행하는데 편리하다.
실시예 4: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에 적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빔 페일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BWP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빔 페일 회복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BWP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BWP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임 -; 및
상기 제1 지시 성보에 따라 상기 제1 BWP를 확정하고, 또한 상기 제1 BWP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확정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며,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것을 지시할 수 있는 BWP를 포함하기에, 이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 포함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할 수 있고, 따라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이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중의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셀중에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를 제공하며, 도 8을 참조하면, 해당 UE는: 송신 유닛(81) 및 수신 유닛(82)를 포함한다.
송신 유닛(81)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빔 페일 청구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수신 유닛(82)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셋지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셀중에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셀의 인덱스 정보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셀중에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의 인덱스 정보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자원은 제1 셀 그룹중의 적어도 하나의 셀중의 업 링크 자원이고, 상기 제1 셀 그룹은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의 복수 개 캐리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셀로 형성한 셀 그룹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자원은 배치한 셀중의 BWP중의 적어도 하나중의 업 링크 자원이고, 상기 배치한 셀은 제1 셀 그룹중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PUCCH) 자원 및/또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자원을 배치한 셀이며, 상기 제1 셀 그룹은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의 멀티 캐리어가 대응하는 복수 개 셀로 형성한 셀 그룹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2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3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3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 제2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3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 시그널링 도메인, 제2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3시그널링 도메인중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 도메인은 미리 남겨놓은 시그널링 도메인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 제2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3 시그널링 도메인중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 도메인은 스케쥴링 요청(SR)을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UE는: 검측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배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각각의 캐리어에서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이고;
상기 검측 유닛은, 상기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각각의 캐리어의 BFD RS에 대하여 검측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UE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중의 도 2의 UE에서 지시한 각각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UE는,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그 후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고,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중에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을 지시할 수 있는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였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중 포함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을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를 제공하며, 도 8을 참조하면, 해당 UE는: 송신 유닛(81) 및 수신 유닛(82)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81)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셀과 유일하게 대응하며;
수신 유닛(82)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UE는: 검측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배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각각의 캐리어에서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이고;
상기 검측 유닛은, 상기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각각의 캐리어의 BFD RS에 대하여 검측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UE는,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며, 그 중, 제1 자원은 상기 제1 셀과 유일하게 대응하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제1 자원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을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셀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를 제공하며, 도 8을 참조하면, 해당 UE는: 송신 유닛(81) 및 수신 유닛(82)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81)은,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하며;
수신 유닛(82)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UE는: 검측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배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각각의 캐리어에서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이고;
상기 검측 유닛은, 상기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각각의 캐리어의 BFD RS에 대하여 검측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UE는,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며, 그 중,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하기에,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한 제1 자원에 따라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제1 BWP에 따라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은, 관련 기술에서 빔 페일 회복 메커니즘이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캐리어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빔 페일 회복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UE의 하드웨어 구조 예시도이고, 해당 UE(1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유닛(103), 입력 유닛(104), 센서(105), 표시 유닛(106), 사용자 입력 유닛(107), 인터페이스 유닛(108), 메모리(109), 프로세서(110), 및 전원(1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9에 나타내는 UE 구조는 UE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UE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는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제1 자원은 상기 제1 셀과 유일하게 대응한다.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제1 BWP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 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무선 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1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또한, UE(1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1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041) 및 마이크(1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10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0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1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UE(100)는,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1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1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UE(10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1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UE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1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1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106)은 표시 패널(1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1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UE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및 기타 입력 기기(1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1071) 상 또는 터치 패널(1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110)로 보내고, 프로세서(1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1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101)은 기타 입력 기기(1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1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1071)은 표시 패널(10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071)은 터치 패널(10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1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1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10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9에서 터치 패널(1071)과 표시 패널(10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UE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1071)과 표시 패널(1061)을 집적하여 UE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외부 장치가 UE(1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UE(10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UE(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작업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캐리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UE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UE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10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10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UE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UE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작업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UE(100)는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11)(예컨대,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1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UE(100)는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실시예 6: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는: 수신 유닛(21), 처리 유닛(22) 및 송신 유닛(23)을 포함한다.
그 중, 수신 유닛(21)은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셀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이고;
처리 유닛(22)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송신 유닛(23)은 상기 제1 셀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는: 상기 제1 셀중에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22)은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셀중에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유닛(23)은 상기 제1 셀중에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UE에 배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에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는: 수신 유닛(21), 처리 유닛(22) 및 송신 유닛(23)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21)은 사용자 기기(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셀과 유일하게 대응하며, 상기 제1 셀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이고;
처리 유닛(22)은 상기 제1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송신 유닛(23)은 상기 제1 셀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유닛(23)은, 상기 UE에 배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에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는: 수신 유닛(21), 처리 유닛(22) 및 송신 유닛(23)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21)은 사용자 기기(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자원은 상기 제1 BWP와 유일하게 대응하며;
처리 유닛(22)은 상기 제1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BWP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송신 유닛(23)은 상기 제1 BWP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유닛(23)은, 상기 UE에 배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에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도 11을 참조하면,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는: 프로세서(121), 메모리(122), 메모리(122)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121)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21)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에서 도시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중 네트워크측 기기가 실행하는 단계를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실시예 7: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에서 도시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 은,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방식의 설명으로부터,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에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의 방식을 결합으로 실현가능한 것은 명확히 이해되어야 하며, 하드웨어를 통하여서도 실현 가능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욱 양호한 실시 방식임은 자명한 것이다 .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복수개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단말( 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더러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였지만, 본 개시에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방식은 오직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특정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또는 교체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31)

  1. 사용자 기기(UE)에 적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상기 UE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상기 UE에서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UE는 상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에 캐리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에 대응되는 셀을 확정하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배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에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임 -; 및
    상기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의 BFD RS에 대하여 검측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페일 회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셀의 인덱스 정보인 빔 페일 회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은 제1 셀 그룹중 적어도 하나의 셀중의 업 링크 자원이고, 상기 제1 셀 그룹은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의 복수 개 캐리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 셀로 형성한 셀 그룹인 빔 페일 회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2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시그널링 도메인은 제3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빔 페일 회복 방법.
  5.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빔 페일 회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셀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임 -;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확정하고, 또한 상기 제1 셀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UE는 상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에 캐리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에 대응되는 셀을 확정하며,
    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UE에 배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에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페일 회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셀중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대역폭 부분(BWP)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셀중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셀중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빔 페일 회복 방법.
  7. 사용자 기기(UE)에 있어서,
    제1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확정하였고 또한 빔 페일 회복 요청을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자원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기기에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상기 제1 셀에 사용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상기 UE에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상기 UE에서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UE는 상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에 캐리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에 대응되는 셀을 확정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진일보 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배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에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이며;
    상기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의 BFD RS에 대하여 검측을 진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UE).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셀의 인덱스 정보인 UE.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은 제1 셀 그룹중 적어도 하나의 셀중의 업 링크 자원이며, 상기 제1 셀 그룹은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의 복수 개의 캐리어에 대응하는 복수 개 셀로 형성한 셀 그룹인 UE.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자원은: 제1 시그널링 도메인 및 제2 시그널링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 도메인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시그널링 도메인은 제3지시 정보를 베어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UE.
  11.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UE)에서 제1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은: 제1 셀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은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캐리어에 대응하는 셀임 -;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확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 및
    상기 제1 셀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UE는 상기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에 캐리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에 대응되는 셀을 확정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UE에 배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배치 정보는 제2 자원이 위치한 셀 정보 및/또는 BWP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한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 각각의 캐리어에 빔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측하기 위한 빔 페일 검측 참조 신호(BFD RS)의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페일 회복 요청 메세지는: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셀중에서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대역폭 부분(BWP)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셀중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셀중 빔 페일 사건이 발생한 BWP에 따라 상기 UE에 빔 페일 회복 요청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207036070A 2018-05-16 2019-05-08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 및 장치 KR102491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70331.X 2018-05-16
CN201810470331.XA CN110505692B (zh) 2018-05-16 2018-05-16 一种多载波系统中的波束失败恢复方法及装置
PCT/CN2019/085985 WO2019218910A1 (zh) 2018-05-16 2019-05-08 多载波系统中的波束失败恢复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533A KR20210008533A (ko) 2021-01-22
KR102491401B1 true KR102491401B1 (ko) 2023-01-20

Family

ID=6853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070A KR102491401B1 (ko) 2018-05-16 2019-05-08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02737B2 (ko)
EP (1) EP3817430A4 (ko)
JP (1) JP7171763B2 (ko)
KR (1) KR102491401B1 (ko)
CN (1) CN110505692B (ko)
WO (1) WO2019218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4174B2 (ja) * 2018-08-09 2023-05-30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US11343735B2 (en) * 2018-09-25 2022-05-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configuration for secondary cells
US11363516B2 (en) * 2019-03-27 2022-06-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CN113259973B (zh) * 2020-02-07 2022-11-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失败恢复方法、终端及网络设备
EP4280656A1 (en) * 2021-01-18 2023-11-22 JRD Communication (Shenzhen) Ltd Beam recovery method for multi-trp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5119225A (zh) * 2021-03-22 2022-09-27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3624A1 (en) 2016-11-04 2018-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beam failu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0991A1 (en) * 2009-09-29 2011-04-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link failure during handover in td-scdma systems
CN102036284B (zh) * 2009-09-30 2013-08-28 华为技术有限公司 载波聚合场景下无线链路失败的处理方法和装置
WO2016127403A1 (en) * 2015-02-13 2016-08-18 Mediatek Singapore Pte. Ltd. Handling of intermittent disconnection in a millimeter wave (mmw) system
TWI665923B (zh) * 2016-07-01 2019-07-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用於無線通訊系統中當服務波束為無效時管理通訊的方法和設備
US10154514B2 (en) * 2016-10-18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for directional beam access
US11438897B2 (en) * 2017-08-04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equipment (UE) for beam management framework for carrier aggregation
CN107612602B (zh) * 2017-08-28 2020-04-21 清华大学 毫米波通信系统的波束恢复方法及装置
CN111247149A (zh) 2017-09-15 2020-06-05 威斯康星州医药大学股份有限公司 肾脏靶向的环氧二十碳三烯酸(eet)类似物
WO2019119399A1 (en) 2017-12-22 2019-06-27 Zte Corporation Methods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carrying out beam failure recovery
WO2019131985A1 (ja) * 2017-12-28 2019-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US11032760B2 (en) * 2018-03-02 2021-06-0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SCell selec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3624A1 (en) 2016-11-04 2018-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beam failure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4211*
3GPP R1-1805795*
3GPP R2-1805957*
3GPP R4-180479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05692B (zh) 2022-02-22
US20210067231A1 (en) 2021-03-04
US11502737B2 (en) 2022-11-15
CN110505692A (zh) 2019-11-26
JP7171763B2 (ja) 2022-11-15
WO2019218910A1 (zh) 2019-11-21
EP3817430A1 (en) 2021-05-05
KR20210008533A (ko) 2021-01-22
JP2021524196A (ja) 2021-09-09
EP3817430A4 (en)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1401B1 (ko) 멀티 캐리어 시스템중의 빔 페일 회복 방법 및 장치
KR102496160B1 (ko) 빔 실패 복구 요청 전송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CN113115324B (zh) 一种波束失败恢复请求发送、接收方法、装置及系统
US20210368403A1 (en)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US20210092655A1 (en) Cell Management Method, Trigger Condition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Side Device
KR20200135829A (ko) 채널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US1147766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and user equipment
KR102613334B1 (ko) 정보 지시 방법, 정보 획득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CN109862622B (zh) 上报能力信息的方法、设备及系统
EP3876583B1 (e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KR102554898B1 (ko) 측정 지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1088874A1 (zh) 信息传输方法及设备
US20230354065A1 (en) Cell Management Method, Trigger Condition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Side Device
WO2021109954A1 (zh) 波束失败恢复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JP2022520449A (ja) 情報処理方法、機器及びシステム
CN111263412A (zh) 一种信息传输方法、设备及系统
JP2021525033A (ja) 情報対話方法及び端末
CN112788674B (zh) 切换方法、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20220028009A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사용자 기기
KR20220043176A (ko) 경로 변경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