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652B1 - 커버 겸용 칫솔꽂이 - Google Patents

커버 겸용 칫솔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652B1
KR102490652B1 KR1020210040128A KR20210040128A KR102490652B1 KR 102490652 B1 KR102490652 B1 KR 102490652B1 KR 1020210040128 A KR1020210040128 A KR 1020210040128A KR 20210040128 A KR20210040128 A KR 20210040128A KR 102490652 B1 KR102490652 B1 KR 102490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cover
hollow
toothbrush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4889A (ko
Inventor
조성주
손지원
김민정
김지윤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0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6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겸용 칫솔꽂이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방으로 돌출 연장되고, 중공이 형성되어 중공을 통하여 칫솔 헤드가 삽입되는 연장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중공이 형성된 종방향에 위치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칫솔이 상기 몸체부 상방으로 관통되도록 하는 상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 연장부 및 상측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칫솔의 삽입 정도에 따라 칫솔꽂이와 칫솔커버를 자유자재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필요한 상황에 맞게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고, 별도로 칫솔커버나 칫솔꽂이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하나로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기구로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버 겸용 칫솔꽂이{Toothbrush holder that can be used as a cover}
본 발명은 커버 겸용 칫솔꽂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의 삽입 정도에 따라 칫솔커버 또는 칫솔꽂이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한 커버 겸용 칫솔꽂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칫솔을 원형 통에 세워두거나, 케이스에 넣어 수납하였는데, 보통 한 용기 내에 여러 개의 칫솔을 한꺼번에 보관하므로 위생적으로 문제가 있고, 밀폐형 케이스에 수납하는 경우는, 좁은 공간에 여러 개의 칫솔을 수납함으로 인해 미생물의 번식을 초래하고, 개방형 케이스에 수납하는 경우는 칫솔이 먼지, 이물질 등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생물의 번식 및 위생상의 개선을 위하여 칫솔 보관 케이스에 자외성 살균기를 달아 칫솔을 살균하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제조비, 설치비 등의 비용이 과도하게 높아지고, 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 시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근래에는 벽면에 부착되는 칫솔걸이구가 사용되는데, 이것은 다수 개의 칫솔 수납 공간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수납 공간에 인접한 칫솔들이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수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측면 또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태의 칫솔걸이구는 먼지 및 이물질에 항상 노출된 불리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칫솔헤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부에 전면 커버가 힌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칫솔 걸이구는 칫솔을 거치시킬 때 다른 한 손으로 커버를 다시 들어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평상시 집안에서는 상술한 걸이 방식으로 인한 사용 불편함 및 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거치가 가능한 칫솔꽂이 형태에 칫솔을 꽂아서 보관하도록 하고, 여행이나 이동 시에는 칫솔 헤드를 외부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칫솔커버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칫솔 삽입 정도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변형 가능한 커버 겸용 칫솔꽂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76391호(2000년12월26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칫솔의 삽입 정도에 따라 평상시 칫솔꽂이 형태로 사용하고, 여행 등 이동시에는 칫솔커버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커버 겸용 칫솔꽂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겸용 칫솔꽂이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방으로 돌출 연장되고, 중공이 형성되어 중공을 통하여 칫솔 헤드가 삽입되는 연장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중공이 형성된 종방향에 위치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칫솔이 상기 몸체부 상방으로 관통되도록 하는 상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 연장부 및 상측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 및 중공은 복수의 일자형 구멍이 한 점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중공을 통하여 삽입된 칫솔이 상기 지지부의 상방으로 이동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말려 올라가고, 칫솔이 상기 지지부의 하방으로 이동시 지지부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겸용 칫솔꽂이는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는 칫솔의 삽입 정도에 따라 칫솔꽂이와 칫솔커버로 변형이 가능하며, 칫솔꽂이 형태일 때 원뿔대 또는 각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는 천연고무,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폼, 폴리우레탄폼, 실리콘,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는 칫솔의 삽입 정도에 따라 칫솔꽂이와 칫솔커버를 자유자재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필요한 상황에 맞게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고, 별도로 칫솔커버나 칫솔꽂이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하나로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기구로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 겸용 칫솔꽂이는 칫솔을 사용시에는 몸체부 내측에 위치한 칫솔 헤드 부분을 하방으로 더 잡아당겨 탈거시킴으로써, 탈거된 칫솔로 손쉽게 양치질을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 겸용 칫솔꽂이는 칫솔꽂이로 사용시 칫솔이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칫솔 바디가 몸체부 내측으로 말려들어 간 연장부 중공에 삽입된 채로 거치가 이루어져, 칫솔꽂이 상태에서 칫솔이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겸용 칫솔꽂이의 칫솔커버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겸용 칫솔꽂이의 칫솔꽂이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의 칫솔꽂이 형태일 때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겸용 칫솔꽂이의 칫솔커버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겸용 칫솔꽂이의 칫솔꽂이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100)는 몸체부(50)와, 상기 몸체부(50)의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부(30)와, 상기 지지부(30)의 하방으로 돌출 연장되고, 중공(41)이 형성되어 중공(41)을 통하여 칫솔(1)이 삽입되는 연장부(40)와, 상기 몸체부(50)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중공(41)을 통하여 삽입되는 칫솔(1)이 상기 몸체부(50) 상방으로 관통되도록 내측에 관통공(10)이 형성되는 상측부(2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50), 지지부(30), 연장부(40) 및 상측부(20)는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 겸용 칫솔꽂이(100)는 상기 중공(41)으로 삽입되는 칫솔(1)의 삽입 정도에 따라 칫솔꽂이(100)와 칫솔커버(100)로 변형이 가능하며, 칫솔꽂이(100) 형태일 때는 대략 정면에서 원뿔대 또는 각뿔대 형상을 이루고, 칫솔커버(100) 형태일 때 대략 원뿔대 또는 각뿔대의 아랫 부분이 하부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칫솔커버(100) 형태일 때를 도시하고 있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부(50)의 상부에는 상측부(20)가 마련되고, 몸체부(50)의 하부에는 지지부(30)가 마련되며, 이 지지부(30)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40)가 마련된다.
또한 상측부(20)의 중앙에는 칫솔(1)이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0)이 형성된다.
관통공(10)은 지지부(30)에 형성된 중공(41)에 의해 지지부(30) 하부에서 상방으로 칫솔(1) 삽입시 칫솔(1) 헤드가 상측부(20)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관통공(10)은 노출된 칫솔(1) 헤드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일자형 구멍이 한 점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일 예로 X자, V자, 별 모양(*) 또는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 겸용 칫솔꽂이(100)는 전체가 탄성을 가진 탄성체 혹은 적어도 중공(41) 및 관통공(10)을 포함한 지지부(30), 연장부(40) 및 상측부(20)가 탄성체로 이루어져, 칫솔(1)의 삽입 및 탈거가 용이하도록 하며, 탄성체의 예로는 천연고무,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폼, 폴리우레탄폼, 실리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겸용 칫솔꽂이(100)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칫솔(1)이 관통공(10)으로 삽입시 신장력에 의해 칫솔(1)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칫솔(1)이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칫솔(1) 바디 부분을 잡아주어 고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100)는 여행 등으로 인한 이동시 상술한 바와 같은 칫솔커버(100) 형태로 사용하여 휴대가 가능하고, 칫솔(1) 헤드의 오염 또는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칫솔꽂이(100)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100)는 지지부(30) 하부에 돌출되는 연장부(40)가 형성되고 연장부(40)의 중심에 관통공(10)과 유사한 형태로 중공(41)이 형성됨에 따라 하방에서 상방으로 칫솔(1) 헤드 부분을 중공(41)에 삽입하여 칫솔(1) 헤드 부분이 몸체부(50) 내측에 위치하는 칫솔커버(100)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집에서 거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방으로 더 밀어 올려 관통공(10)을 통해 관통되어 칫솔(1) 헤드가 상측부(20) 상부로 나오게 되면, 칫솔(1) 바디의 하단부가 연장부(40)의 중공(41)에 고정된 채로 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연장부(40)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공(41)을 통하여 삽입된 칫솔(1)이 상기 지지부(30)의 상방으로 이동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50) 내측으로 말려 올라가고, 칫솔(1)이 상기 지지부(30)의 하방으로 이동시 지지부(30)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연장부(40)는 칫솔커버(100)로 사용시 삽입된 칫솔(1) 바디가 칫솔꽂이(100)로 사용하기 위해 상방으로 향할 때에는 지지부(30) 하부로 돌출되어 있던 상태의 연장부(40)가 칫솔(1) 바디를 고정(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1) 바디의 이동 방향(상방향)을 따라 지지부(30)의 안쪽 즉, 몸체부(50) 내측으로 말려들어 가게 된다. 또한 칫솔(1) 바디의 하단부는 말려들어 간 연장부(40)의 중공(41)에 삽입된 채로 거치가 이루어져, 칫솔꽂이(100)로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칫솔꽂이(100)로 사용하다가 다시 칫솔커버(100)로 사용시에는 몸체부(50)의 상방에 위치하는 칫솔(1) 헤드가 다시 몸체부(5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끌어내리게 되면 칫솔(1) 헤드가 몸체부(50) 내측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다시 칫솔커버(100)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누구나 쉽게 휴대시에는 거치된 칫솔(1)을 칫솔커버(100)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나아가 칫솔(1)을 사용시에는 몸체부(50) 내측에 위치한 칫솔(1) 헤드 부분을 하방으로 더 잡아당겨 탈거시킴으로써,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단순히 칫솔(1)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탈거 및 삽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고, 칫솔커버(100)나 칫솔꽂이(100)를 각각 구비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구성만으로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100)가 칫솔꽂이(100) 형태로 사용시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칫솔꽂이(100)로 사용시 칫솔(1) 헤드의 무게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부(30)는 상측부(20)보다 반경이 넓은 형태를 이루는 원뿔대 또는 각뿔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연장부(40)가 몸체부(5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몸체부(50)의 하면을 형성하지 않고, 몸체부(50)의 하부에서 모서리(둘레)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연장부(40)에 형성된 중공(41)은 상측부(20)의 관통공(10)보다 구멍을 작게 형성시켜 칫솔커버(100)로 사용시 칫솔 헤드 부분이 중공(41)을 통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커버 겸용 칫솔꽂이(100)는 칫솔(1)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평균적인 칫솔(1) 길이에 맞도록 대략 높이가 35 mm, 상측부(20) 직경이 25 mm, 지지부(30) 직경이 20 mm 정도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1 ; 칫솔
10 ; 관통공
20 ; 상측부
30 ; 지지부
40 ; 연장부
41 ; 중공
50 ; 몸체부
100 ; 커버 겸용 칫솔꽂이(칫솔커버 또는 칫솔꽂이)

Claims (5)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방으로 돌출 연장되고, 중공이 형성되어 중공을 통하여 칫솔 헤드가 삽입되는 연장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중공이 형성된 종방향에 위치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칫솔이 상기 몸체부 상방으로 관통되도록 하는 상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중공은 상측부의 관통공 보다 구멍을 작게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부, 연장부 및 상측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겸용 칫솔꽂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및 중공은
    복수의 일자형 구멍이 한 점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겸용 칫솔꽂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중공을 통하여 삽입된 칫솔이 상기 지지부의 상방으로 이동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 내측으로 말려 올라가고, 칫솔이 상기 지지부의 하방으로 이동시 지지부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겸용 칫솔꽂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겸용 칫솔꽂이는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는 칫솔의 삽입 정도에 따라 칫솔꽂이와 칫솔커버로 변형이 가능하며,
    칫솔꽂이 형태일 때 원뿔대 또는 각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겸용 칫솔꽂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천연고무,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폼, 폴리우레탄폼, 실리콘,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겸용 칫솔꽂이.
KR1020210040128A 2021-03-29 2021-03-29 커버 겸용 칫솔꽂이 KR102490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128A KR102490652B1 (ko) 2021-03-29 2021-03-29 커버 겸용 칫솔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128A KR102490652B1 (ko) 2021-03-29 2021-03-29 커버 겸용 칫솔꽂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889A KR20220134889A (ko) 2022-10-06
KR102490652B1 true KR102490652B1 (ko) 2023-01-19

Family

ID=8359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128A KR102490652B1 (ko) 2021-03-29 2021-03-29 커버 겸용 칫솔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6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45B1 (ko) * 2017-09-04 2018-08-06 조용준 유아용 스트로우 음료용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391A (ko) 1999-09-17 2000-12-26 투마 윌리엄 칫솔 지지구
KR20200001697U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한성엘엠티 칫솔꽂이가 설치된 욕실선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45B1 (ko) * 2017-09-04 2018-08-06 조용준 유아용 스트로우 음료용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889A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29753A (ru) Зубная щетк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US6360884B1 (en) Toothbrush storage container
CN109195483B (zh) 瓶刷
US1975691A (en) Toothbrush and tumbler holder
CN104138191A (zh) 刷支撑装置和盖
US20160249733A1 (en) Bottle brush
US6669031B1 (en) Plug-in elastic holder
US20060186068A1 (en) Bulbous pin implement holder and tip protector for various sized implements
KR102490652B1 (ko) 커버 겸용 칫솔꽂이
US20060207043A1 (en) Tooth brush
KR200497000Y1 (ko) 자석식 칫솔 거치대
KR102078102B1 (ko) 컵 결합용 칫솔 거치대
KR200401763Y1 (ko) 휴대용 칫솔
KR200479831Y1 (ko) 칫솔
US901589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drinking glasses
KR200414452Y1 (ko) 양치도구 보관함
KR200465756Y1 (ko) 생활용품 보관통
US11161683B2 (en) Sanitation system
KR102106832B1 (ko) 수세미 거치대
US2626199A (en) Toothbrush holder
KR200164026Y1 (ko) 걸이홈이구비된칫솔
US1375865A (en) Toothbrush-receptacle and holder
CN109982606A (zh) 牙刷
KR200231342Y1 (ko) 포스트를 가진 막대형 물품 꽂이 통
JP2023109283A (ja) 歯ブラシ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