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559B1 - 자동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559B1
KR102490559B1 KR1020150095771A KR20150095771A KR102490559B1 KR 102490559 B1 KR102490559 B1 KR 102490559B1 KR 1020150095771 A KR1020150095771 A KR 1020150095771A KR 20150095771 A KR20150095771 A KR 20150095771A KR 102490559 B1 KR102490559 B1 KR 10249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ight
water level
unit
measur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576A (ko
Inventor
강이임
이창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559B1/ko
Priority to US15/742,776 priority patent/US10858235B2/en
Priority to PCT/KR2016/007300 priority patent/WO2017007229A1/ko
Publication of KR2017000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3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automatic flui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자동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갖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취수구; 상기 취수구에 인접하여 각각 배치되는 용기 높이 측정부 및 수위 측정부; 및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용기의 높이와 상기 수위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위를 비교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용기의 상단 양끝단을 센싱하는 복수의 제1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센서에서 센싱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용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물공급장치{Automatic Water Dispenser}
실시예는 자동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높이를 감지하여 용기의 높이에 맞게 기설정된 액체의 수위만큼 용기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자동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화된 음용수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 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에서 정수기의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자연수(이하, 정수되기 전 상태의 물을 '원수'라 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러 개의 필터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음용수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추출버튼만 누르면 자동으로 정량의 물을 출수하는 자동추출기능을 가진 정수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자동추출기능은 단순히 시간에 따른 출수량을 이용하여 정량의 정수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공급된 정량의 물이 담기기에 제공된 용기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동일한 양의 정수를 공급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물이 넘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액체가 공급되는 수취구에 인접하게 용기의 높이와 용기 안에 담기는 액체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한 자동 물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는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갖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취수구; 상기 취수구에 인접하여 각각 배치되는 용기 높이 측정부 및 수위 측정부; 및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용기의 높이와 상기 수위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위를 비교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용기의 상단 양끝단을 센싱하는 복수의 제1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센서에서 센싱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용기의 높이를 측정하는 자동 물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위 측정부는 상기 용기의 수위를 센싱하는 제2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센서 또는 상기 제2 광센서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센서로부터 상기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은 5°내지 7°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 실시예는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갖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취수구; 상기 용기 안착부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되는 용기 높이 측정부; 상기 취수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수위 측정부; 및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용기의 높이와 상기 수위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위를 비교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용기의 상단 일단 또는 상기 용기의 하단 일단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자동 물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와 상기 수위 측정부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취수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측정부; 및 상기 용기 안착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부가 배치된 지점의 수직방향으로의 연장선과 상기 제2 측정부가 배치된 지점의 수직방향으로의 연장선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와 상기 수위 측정부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 측정부로부터 상기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은 5°내지 7°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3 실시예는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갖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취수구; 상기 용기 안착부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되는 용기 높이 측정부; 상기 취수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수위 측정부; 및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용기의 높이와 상기 수위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위를 비교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측면에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대응되어 배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자동 물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기 측면 중 하나인 제1 측면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며 상기 측면 중 다른 하나인 제2 측면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기 측면 중 또 다른 하나인 제3 측면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4 실시예는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갖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취수구; 상기 취수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의 높이나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부; 및 상기 높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용기의 높이와 수위를 비교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측정부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 측정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을 조절하는 출사각 조절부를 포함하는 자동 물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높이 측정부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사각의 크기가 5°내지 7°일 때,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액체 공급을 위해 스위치를 누르는 등의 수동 조작을 할 필요없이 용기 내에 일정 높이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의 수위 측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를 용기 높이 측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의 용기 높이 측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의 용기 높이 측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의 높이 측정부에 포함되는 출사각 조절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출사각 조절부에 의해 각각 다른 출사각으로 출사되는 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의 수위 측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를 용기 높이 측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100A)는 용기 안착부(120), 취수구(140), 용기 높이 측정부(160), 수위 측정부(18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용기 안착부(120)는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취수구(140)는 용기 안착부(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용기 안착부(120)에 안착되는 용기(105)에 액체를 공급해 줄 수 있다.
또한, 취수구(140)에 인접하여 용기 높이 측정부(160)와 수위 측정부(18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용기 높이 측정부(160)는 용기 안착부(120)에 용기(105)가 안착되는 것을 감지함과 동시에 용기의 상단 양끝단(105a, 105b)을 센싱하는 복수의 제1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센서에서 센싱된 결과에 응답하여 용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수위 측정부(180)는 용기의 수위를 센싱하는 제2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센서 또는 제2 광센서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oF(Time of Flight) 센서는 빛을 출사하여 그 빛이 반사되어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센서로 용기 높이 측정부(160)는 크기가 다른 용기의 상단 양끝단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광센서에서 출사되는 광 ①, ②, ③의 출사각이 각각 다른 복수의 제1 광센서가 취수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광센서는 용기에 담긴 액체의 수위를 측정하는데, 제2 광센서로부터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은 5°내지 7°일 수 있다. 빛을 출사하여 그 빛이 반사되어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기 때문에 제2 광센서로부터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이 5°내지 7°보다 크게 되면 수위를 측정하는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광센서로부터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의 크기는 용기가 놓이는 용기 안착부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기 안착부의 높이가 높을 때보다 용기 안착부의 높이가 낮을 때 광의 출사각의 크기가 더 클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용기 높이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용기의 높이(h1)와 수위 측정부(180)에서 측정된 수위(h2)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용기에 액체가 공급되는 동안 수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의 용기 높이 측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100B)는 용기 안착부(120), 취수구(미도시), 용기 높이 측정부(160), 수위 측정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용기 안착부(120)는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취수구(미도시)는 용기 안착부(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용기 안착부(120)에 안착되는 용기(105)에 액체를 공급해 줄 수 있다.
수위 측정부는 취수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도 3a 내지 도 3c에는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
용기 높이 측정부(160)와 수위 측정부(180)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위 측정부로부터 용기에 담긴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은 5°내지 7°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의 용기 높이 측정부(160) 및 수위 측정부(180)와 중복되는 용기 높이 측정부(160)와 수위 측정부(18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의 용기 높이 측정부는 용기 안착부의 바닥면에 용기가 수평으로 놓여졌을 때 용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의 용기 높이 측정부(160)는 용기의 위치에 따라 용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용기(105)를 용기 안착부(120) 내부 공간에 비스듬하게 투입시켰을 때, 용기의 상단 끝을 감지하여 용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 높이 측정부(160)는 용기 안착부(120)의 적어도 하나의 면(121a, 121b)에 배치될 수 있는데, 용기 높이 측정부(160)는 용기 안착부의 상면(121a)에 배치될 수 있고, 용기 안착부의 상면에 배치된 취수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높이 측정부(160)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하면(121b)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높이 측정부(160)는 용기 안착부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측정부(160a)와 제2 측정부(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정부(160a)는 용기 안착부의 상면(121a)에 배치되고, 제2 측정부(160b)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하면(121b)에 배치될 수 있는데, 제1 측정부(160a)가 배치된 지점의 수직방향으로의 연장선과 제2 측정부(160b)가 배치된 지점의 수직방향으로의 연장선이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제1 측정부(160a)와 제2 측정부(160b)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측정부(160a)는 용기 안착부의 상면(121a)에 배치되고, 제2 측정부(160b)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하면(121b)에 배치되어 용기의 상단 일단과 용기의 하단 일단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용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용기 높이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용기의 높이와 수위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위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용기에 액체가 공급되는 동안 수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의 용기 높이 측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100C)는 용기 안착부(120), 취수구(미도시), 용기 높이 측정부(160c, 160d, 160e, 160f), 수위 측정부(18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용기 안착부(120)는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취수구(미도시)는 용기 안착부(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용기 안착부(120)에 안착되는 용기(105)에 액체를 공급해 줄 수 있다.
또한, 용기 높이 측정부(160)와 수위 측정부(180)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위 측정부로부터 용기에 담긴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은 5°내지 7°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의 용기 높이 측정부(160) 및 수위 측정부(180)와 중복되는 용기 높이 측정부(160)와 수위 측정부(18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용기 높이 측정부(160)은 용기 안착부(120)의 적어도 하나의 면(122a, 122b, 122c)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위 측정부(180)은 취수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높이 측정부(160)는 용기 안착부(120)의 측면에 용기(105)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발광부(160c)와, 발광부(160c)와 대응되어 배치되는 수광부(160d)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60c)는 용기 안착부(120)의 상기 측면(122a, 122b, 122c) 중 하나인 제1 측면(122a)에 나란히 배치되고, 수광부(160d)는 상기 제1 측면(122a)과 마주보며 상기 측면 중 다른 하나인 제2 측면(122b)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는 복수 개의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수광부에 빛을 출사하는데,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한꺼번에 빛을 출사하거나 순차적으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안착부(120)에 용기(105)가 투입되면 용기(105)로 인해 투과되지 못하는 높이만큼 용기의 높이(h1)가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160e)는 용기 안착부(120)의 상기 측면 중 또 다른 하나인 제3 측면(122c)에 나란히 배치되고, 수광부(160f)는 발광부(160e)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용기 안착부에 용기가 투입되면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에서 출사되는 빛이 용기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수광부(160f)로 수광됨으로써 용기의 높이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60c)가 제1 측면(122a)에 나란히 배치되고, 수광부(160d)는 제2 측면(122b)에 나란히 배치됨과 동시에 제3 측면(122c)에 발광부(160e)와 수광부(160f)가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용기 높이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용기의 높이(h1)와 수위 측정부(180)에서 측정된 수위(h2)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용기에 액체가 공급되는 동안 수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의 높이 측정부에 포함되는 출사각 조절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출사각 조절부에 의해 각각 다른 출사각으로 출사되는 빛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공급장치는 자동 물공급장치는 용기 안착부, 취수구, 높이 측정부, 제어부를 포함한다.
용기 안착부는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취수구는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용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용기에 액체를 공급해 줄 수 있다.
또한, 높이 측정부(170)는 취수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용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용기의 높이나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고, 높이 측정부(170)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용기의 높이와 수위를 하나의 센서로 인해 측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제4 실시예에서의 높이 측정부(170)는 복수의 렌즈(170a, 170b)를 포함하여 높이 측정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을 조절하는 출사각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출사각 조절부는 두 개의 렌즈(170a, 170b)를 포함하여 두 개의 렌즈 사이의 거리(d)를 조절하여 높이 측정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초점을 이동시킴으로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용기의 높이를 측정할 때에는 출사각의 크기를 용기의 상단 양끝을 측정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 용기의 높이를 측정한 후에는 제어부에 의해 출사각을 좁혀 용기에 담긴 액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출사각의 크기가 5°내지 7°일 때,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높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용기의 높이와 수위를 비교하여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은 용기 높이 측정부나 높이 측정부로부터 용기의 높이가 측정되면, 측정된 용기의 높이보다 낮은 수위로 용기에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용기의 높이와 수위의 비율을 기설정해 준다. 그리고, 기설정된 수위만큼 액체가 용기에 담겼는지 수위 측정부나 높이 측정부로 측정함으로써 물공급을 위한 스위치나 레버를 작동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용기의 재질이나 형상과 상관없이 용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액체 공급을 위해 스위치를 누르는 등의 수동 조작을 할 필요없이 용기 내에 일정 높이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액체를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가 물공급장치에 설치되지 않아도 되므로 물공급장치의 디자인이 보다 심플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A, 100B, 100C : 자동 물공급장치
105 : 용기
115 : 액체
120 : 용기 안착부
140 : 취수구
160 : 용기 높이 측정부
170 : 높이 측정부
180 : 수위 측정부

Claims (17)

  1.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갖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취수구;
    상기 취수구에 인접하여 각각 배치되는 용기 높이 측정부 및 수위 측정부; 및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용기의 높이와 상기 수위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위를 비교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용기의 상단 양끝단을 센싱하는 복수의 제1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센서에서 센싱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용기의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수위 측정부는 상기 용기의 수위를 센싱하는 제2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안착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2 광센서로부터 상기 용기 내의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측정하며,
    상기 제2 광센서로부터 상기 용기 내의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의 크기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높이가 낮을수록 더 큰 값이 되도록 조절되는 자동 물공급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센서 또는 상기 제2 광센서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 물공급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센서로부터 상기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은 5°내지 7°인 자동 물공급장치.
  5.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갖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취수구;
    상기 용기 안착부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되는 용기 높이 측정부;
    상기 취수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수위 측정부; 및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용기의 높이와 상기 수위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위를 비교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용기의 상단 일단 또는 상기 용기의 하단 일단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상기 수위측정부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수위측정부로부터 상기 용기 내의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측정하며,
    상기 제2 광센서로부터 상기 용기 내의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의 크기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높이가 낮을수록 더 큰 값이 되도록 조절되는 자동 물공급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와 상기 수위 측정부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 물공급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취수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자동 물공급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자동 물공급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측정부; 및
    상기 용기 안착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부가 배치된 지점의 수직방향으로의 연장선과 상기 제2 측정부가 배치된 지점의 수직방향으로의 연장선은 서로 이격된 자동 물공급장치.
  10. 삭제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측정부로부터 상기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은 5°내지 7°인 자동 물공급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용기가 놓이도록 개방된 일측을 갖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는 취수구;
    상기 취수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의 높이나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부; 및
    상기 높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용기의 높이와 수위를 비교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측정부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 측정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을 조절하는 출사각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사각 조절부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높이에 따라 상기 높이 측정부로부터 상기 용기 내의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제2 광센서로부터 상기 용기 내의 액체로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의 크기는 상기 용기 안착부의 높이가 낮을수록 더 큰 값이 되도록 조절되는 자동 물공급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측정부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 물공급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각의 크기가 5°내지 7°일 때, 상기 용기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자동 물공급장치.
KR1020150095771A 2015-07-06 2015-07-06 자동 물공급장치 KR102490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771A KR102490559B1 (ko) 2015-07-06 2015-07-06 자동 물공급장치
US15/742,776 US10858235B2 (en) 2015-07-06 2016-07-06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PCT/KR2016/007300 WO2017007229A1 (ko) 2015-07-06 2016-07-06 자동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771A KR102490559B1 (ko) 2015-07-06 2015-07-06 자동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576A KR20170005576A (ko) 2017-01-16
KR102490559B1 true KR102490559B1 (ko) 2023-01-19

Family

ID=5799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771A KR102490559B1 (ko) 2015-07-06 2015-07-06 자동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767B1 (ko) * 2018-03-14 2020-06-01 주식회사 에이유이 컵 수위 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3479A1 (en) * 2012-10-15 2014-04-17 Tai P. Luc Dispensing Systems with Improved Sensing Capabilities
US20140319168A1 (en) * 2007-04-27 2014-10-30 Whirlpool Corporation Hands free, controlled autofill for a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570A (ko) * 2011-04-01 2012-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입체영상표시장치의 캘리브레이션방법
KR101947996B1 (ko) * 2012-03-07 2019-02-14 코웨이 주식회사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KR20150073603A (ko) * 2013-12-23 2015-07-0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19168A1 (en) * 2007-04-27 2014-10-30 Whirlpool Corporation Hands free, controlled autofill for a dispenser
US20140103479A1 (en) * 2012-10-15 2014-04-17 Tai P. Luc Dispensing Systems with Improved Sensing Capabil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576A (ko)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8157B2 (en) Infrared sensor
US10829362B2 (en) Foam and liquid fill level detection system
US20120097567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naging Liquid Volume in a Container
US9957147B2 (en) Automatic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extraction
RU2011112772A (ru) Прерывание оценки измерительных величин в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водоумягчительной установке при наличии заданных рабочих ситуаций
US20160245688A1 (en) Illumination sensor for distinguishing between different contributions to a sensed light level
AU200531600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illing of a cup in a drinks vending machine such as a coffee machine
KR101441240B1 (ko)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
KR100808138B1 (ko) 물넘침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JP2010244565A (ja) 液位制御システム
KR102490559B1 (ko) 자동 물공급장치
US20130067657A1 (en) Automatic faucet
CN211324418U (zh) 液体饮用机全自动注液系统和液体饮用机
KR101947996B1 (ko)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WO2019113669A1 (pt) Sistema e método para enchimento autônomo de recipientes
TW200643372A (en) Displacement sensor including automatic setting device for measurement area
KR20120060772A (ko) 얼음저장고
US20220297997A1 (en) Water cooler pan of bottle filler fountain
CN109259600A (zh) 一种具有注水防溢出功能的饮水机
KR20120110737A (ko) 얼음 검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KR102046479B1 (ko) 용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948002B1 (ko)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
CN208351341U (zh) 一种非接触液位感应控制装置
KR101977481B1 (ko) 자동 판매 장치
KR101522893B1 (ko) 자동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