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002B1 -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002B1
KR101948002B1 KR1020140166752A KR20140166752A KR101948002B1 KR 101948002 B1 KR101948002 B1 KR 101948002B1 KR 1020140166752 A KR1020140166752 A KR 1020140166752A KR 20140166752 A KR20140166752 A KR 20140166752A KR 101948002 B1 KR101948002 B1 KR 101948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tank body
tank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519A (ko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19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170327B/zh
Priority to US15/300,593 priority patent/US10152066B2/en
Priority to PCT/KR2015/002585 priority patent/WO2015156512A1/ko
Publication of KR2015011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G01F23/24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thermal devices
    • G01F23/24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thermal devices for discrete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G01F23/24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thermal devices
    • G01F23/24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thermal devices for discrete levels
    • G01F23/248Constructional details; Mounting of pro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24With control of flow by a condition or characteristic of a 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06Electrical characteristic sen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입수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며 배출구로 물이 배출되는 탱크본체; 및 상기 탱크본체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본체로부터의 물의 배출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탱크본체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LL WATER LEVEL OF THE SAME}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배출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는 물저장탱크와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저장탱크에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며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물저장탱크는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필터 등에 의해서 여과되는 등 수처리된 물이 물저장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물저장탱크는 소정의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에 이르지 않으면 물저장탱크에 물이 유입되어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정수필터 등에 의해서 수처리된 물이 물저장탱크에 저장되는 경우에 물의 사용량이 많지 않는다면, 즉 물저장탱크로부터 물이 배출량이 많지 않는다면, 물이 물저장탱크에 장시간 체류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정수필터 등에 의해서 수처리된 물이라 할지라도 세균이 증식될 수 있다. 즉,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세균이 증식된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미생물학적인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세균이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물저장탱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의 배출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물저장탱크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에 물이 장시간 체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저장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입수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며 배출구로 물이 배출되는 탱크본체; 및 상기 탱크본체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본체로부터의 물의 배출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탱크본체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탱크본체에는 복수개의 수위센서가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탱크본체로부터의 물의 배출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수위센서 중 하나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의 저감정도로 상기 탱크본체로부터의 물의 배출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수위센서로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의 저감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탱크본체로부터의 물의 배출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에는 복수개의 수위센서가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수위센서 중 하나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만수위 조정방법은 탱크본체에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된 복수개의 수위센서 중 하나의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수위를 만수위로 선택하는 만수위 선택단계; 및 사용자의 선택이나,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소정 시간 동안의 탱크본체의 누적 물배출량 또는 복수개의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소정 시간 동안의 탱크본체의 수위 변동에 따라 탱크본체의 만수위를 조정하는 만수위 조정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만수위 선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초기 설정에 의해서 만수위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수위 조정단계에서는 각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탱크본체의 수위 중 유량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탱크본체의 누적 물배출량에 대응하는 수위를 만수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수위 조정단계는 복수개의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탱크본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 수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탱크본체의 수위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변동된 탱크본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변동측정단계; 수위변동측정단계에서 측정된 탱크본체의 수위 변동을 토대로 탱크본체의 만수위 조정여부를 결정하는 만수위 조정결정단계; 및 만수위 조정결정단계에서의 결정에 따라 탱크본체의 만수위를 유지하거나 조정하는 만수위 유지조정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변동측정단계에서는 탱크본체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수위 조정결정단계에서는 수위변동측정단계에서 측정된 탱크본체의 수위 변동 정도와, 각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탱크본체의 수위에 대응하는 수위 변동 정도를 비교하여 탱크본체의 만수위 조정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의 배출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물저장탱크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에 물이 장시간 체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물저장탱크 내에서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만수위 조정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물저장탱크의 일실시예
이하, 도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탱크본체(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탱크본체(200)에는 입수구(210)와 배출구(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입수구(210)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탱크본체(200)에 저장되고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은 배출구(220)로 배출될수 있다.
입수구(210)는 입수관(TI)에 의해서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또한, 입수관(TI)에는 입수밸브(VI)가 구비된다. 따라서, 입수밸브(VI)가 개방되면, 물공급원의 물이 입수구(210)를 통해 탱크본체(20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배출구(220)는 배출관(TO)에 연결된다. 그리고, 배출관(TO)에는 배출밸브(VO)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서, 배출밸브(VO)가 개방되면,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은 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탱크본체(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탱크본체(200)의 개방된 상부는 덮개부재(2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탱크본체(2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이 유입되어 저장된 후 배출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300)는 전술한 입수밸브(VI)와 배출밸브(VO)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입수밸브(VI)와 배출밸브(VO)를 개폐하여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00)는 배출밸브(VO)를 개방하여 탱크본체(2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소정의 요구되는 수위, 즉 만수위가 되지 않으면, 입수밸브(VI)를 개방하여 탱크본체(20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로부터의 물의 배출정도에 따라 탱크본체(200)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저장탱크(100)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물저장탱크(100)에 물이 장시간 체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물저장탱크(100)에 저장된 물에 세균이 증식하지 않기 때문에 물저장탱크(100)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탱크본체(200)에는 복수개의 수위센서(S1,S2,S3,S4,S5)가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5개의 수위센서(S1,S2,S3,S4,S5)가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되었다. 그러나, 탱크본체(200)에 구비되는 수위센서(S1,S2,S3,S4,S5)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제어부(300)에서는 탱크본체(200)로부터의 물의 배출정도에 따라 복수개의 수위센서(S1,S2,S3,S4,S5) 중 하나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한다.
예컨대, 물의 배출정도가 지극히 많을 때에는 복수개의 수위센서(S1,S2,S3,S4,S5) 중 탱크본체(200)에 제일 높게 위치한 제1 수위센서(S1)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1 수위센서(S1)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한다.
그리고, 물의 배출정도가 지극히 적을 때에는 복수개의 수위센서(S1,S2,S3,S4,S5) 중 제일 낮게 위치한 제5 수위센서(S5)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한다. 이에 의해서,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5 수위센서(S5)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한다.
이외에, 제어부(300)는 물의 배출정도에 따라 제2 수위센서(S2) 내지 제4 수위센서(S4)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하여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의 저감정도로 탱크본체(200)로부터의 물의 배출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300)는 복수개의 수위센서(S1,S2,S3,S4,S5)로 탱크본체(200)의 수위의 저감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단위 시간에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1 수위센서(S1)에서 제5 수위센서(S5)로 낮아진 경우에, 제어부(300)는 물의 배출정도가 지극히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수위센서(S1)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1 수위센서(S1)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한다.
또한, 소정의 단위 시간에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1 수위센서(S1)에서 제2 수위센서(S2)로나, 제2 수위센서(S2)에서 제3 수위센서(S3)로 또는, 제3 수위센서(S3)에서 제4 수위센서(S4)로나, 제4 수위센서(S4)에서 제5 수위센서(S5)로 낮아진 경우에, 제어부(300)는 물의 배출정도가 비교적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4 수위센서(S4)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4 수위센서(S4)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한다.
그리고, 소정의 단위 시간에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1 수위센서(S1)에서 제3 수위센서(S3)로나, 제2 수위센서(S2)에서 제4 수위센서(S4)로 또는, 제3 수위센서(S3)에서 제5 수위센서(S5)로 낮아진 경우에, 제어부(300)는 물의 배출정도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3 수위센서(S3)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3 수위센서(S3)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한다.
이외에, 소정의 단위 시간에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1 수위센서(S1)에서 제4 수위센서(S3)로나, 제2 수위센서(S2)에서 제5 수위센서(S5)로 낮아진 경우에, 제어부(300)는 물의 배출정도가 비교적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수위센서(S2)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2 수위센서(S2)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한다.
물저장탱크의 다른 실시예
이하, 도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물저장탱크(100)와 유량센서(310)로 탱크본체(200)로부터의 물의 배출정도를 측정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제어부(300)는 유량센서(310)를 포함한다. 유량센서(3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TO)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유량센서(310)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탱크본체(200)로부터의 물의 배출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
또한, 유량센서(310)의 구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어부(300)에서는 유량센서(310)에 의해서 탱크본체(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유량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소정의 단위 시간에 유량센서(310)에 의해서 측정된 탱크본체(200)로부터 배출된 물의 누적 배출량이 지극히 많으면, 제1 수위센서(S1)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단위 시간에 측정된 물의 누적 배출량이 지극히 적으면, 제5 수위센서(S5)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외에 소정의 단위 시간에 측정된 물의 누적 배출량이 비교적 많거나 비교적 적으면, 제2 수위센서(S2)나 제4 수위센서(S4)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단위 시간에 측정된 물의 누적 배출량이 적당하면, 제3 수위센서(S3)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만수위 센서로 이용된 수위센서(S1,S2,S3,S4,S5)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탱크본체(200)의 유출입을 조정한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단위 시간에 측정된 물의 누적 배출량이 비교적 많아서 제2 수위센서(S2)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하는 경우에,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2 수위센서(S2)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한다.
물저장탱크의 또 다른 실시예
이하, 도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물저장탱크(100)와 제어부(300)가 입력부(32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제어부(300)는 입력부(320)를 포함한다. 입력부(320)를 통해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320)는 다이얼이나 복수개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입력부(3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고 가능하다.
입력부(320)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의 물 사용량에 알맞은 물저장탱크(100)의 만수위의 높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수위센서(S1,S2,S3,S4,S5)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320)에는 "매우 많음", "비교적 많음", "적당함", "비교적 적음", 및 "매우 적음"의 5가지 단계의 물 사용량이 구분되어 있고, 사용자가 "매우 많음"을 선택하면 제어부(300)는 제1 수위센서(S1)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하며, "비교적 많음"을 선택하면 제2 수위센서(S2)를, "적당함"을 선택하면 제3 수위센서(S3)를, "비교적 적음"을 선택하면 제4 수위센서(S4)를, "매우 적음"을 선택하면 제5 수위센서(S5)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만수위 센서로 선택된 수위센서(S1,S2,S3,S4,S5)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탱크본체(200)의 유출입을 조정한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적당함"을 선택하여 제3 수위센서(S3)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하는 경우에,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3 수위센서(S3)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한다.
물저장탱크의 만수위 조정방법
이하, 도4 내지 도9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만수위 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만수위 조정방법은 만수위 선택단계(S100)와, 만수위 조정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수위 선택단계(S100)에서는 물저장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된 복수개의 수위센서(S1,S2,S3,S4,S5) 중 하나의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수위를 탱크본체(200)의 만수위로 선택할 수 있다.
만수위 선택단계(S100)에서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초기 설정에 의해서 만수위가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입력부(320)를 통해 탱크본체(200)에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된 복수개의 수위센서(S1,S2,S3,S4,S5) 중 하나의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수위를 만수위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어느 한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수위가 만수위로 선택되면,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설정에 의해서 탱크본체(200)에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된 복수개의 수위센서(S1,S2,S3,S4,S5) 중 하나의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수위가 만수위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기 설정에 의해서 어느 한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수위가 만수위로 선택되면, 제어부(300)는 초기설정에 의해서 선택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32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초기 설정에 의해서 제1 수위센서(S1)가 감지하는 수위가 만수위로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제1 수위센서(S1)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는 제1 수위센서(S1)가 감지하는 수위까지 항상 물이 채워질 수 있다.
만수위 조정단계(S200)에서는 전술한 만수위 선택단계(S100)에서 선택된 탱크본체(200)의 만수위를 조정할 수 있다.
만수위 조정단계(S200)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탱크본체(200)의 만수위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20)를 통해, 만수위 선택단계(S100)에서 만수위로 선택된 수위와 다른 수위로 만수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만수위 선택단계(S100)에서 만수위로 선택된 수위와 다른 수위로 만수위가 조정되면,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만수위로 선택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만수위 선택단계(S100)에서 제1 수위센서(S1)가 감지하는 수위가 만수위로 선택된 것을, 사용자는 입력부(320)를 통해 제3 수위센서(S3)가 감지하는 수위를 만수위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제3 수위센서(S3)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하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는 제3 수위센서(S3)가 감지하는 수위까지 항상 물이 채워질 수 있다.
한편, 만수위 조정단계(S200)에서는 유량센서(310)를 이용하여 측정된 소정 시간 동안의 탱크본체(200)의 누적 물배출량에 따라 만수위를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유량센서(310)를 이용하여 측정된 소정 시간 동안의 탱크본체(200)의 누적 물배출량이, 만수위 선택단계(S100)에서 만수위로 선택된 수위에 대응하지 않으면, 대응하는 수위로 만수위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탱크본체(200)의 누적 물배출량이 만수위 선택단계(S100)에서 선택된 제1 수위센서(S1)가 감지하는 수위에 대응하지 않고 제3 수위센서(S3)가 감지하는 수위에 대응한다면, 제어부(300)는 제3 수위센서(S3)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는 제3 수위센서(S3)가 감지하는 수위까지 항상 물이 채워질 수 있다.
다른 한편, 만수위 조정단계(S200)는 복수개의 수위센서(S1,S2,S3,S4,S5)를 이용하여 측정된 소정 시간 동안의 탱크본체(200)의 수위 변동에 따라 탱크본체(200)의 만수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수위 조정단계(S200)는 수위측정단계(S210), 수위변동측정단계(S220), 만수위 조정결정단계(S230) 및, 만수위 유지조정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측정단계(S210)에서는 복수개의 수위센서(S1,S2,S3,S4,S5)를 이용하여 탱크본체(200)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위센서(S2)가 감지하는 수위이면 제2 수위센서(S2)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수위변동측정단계(S220)에서는 수위측정단계(S210)에서 측정된 탱크본체(200)의 수위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변동된 탱크본체(200)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의 사용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2 수위센서(S2)가 감지하는 수위에서 제4 수위센서(S4)가 감지하는 수위로 내려가면, 제4 수위센서(S4)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2 수위센서(S2)에서 제4 수위센서(S4)로 변동되었음을 저장한다.
이러한 수위변동측정단계(S220)에서는 탱크본체(200)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위변동측정단계(S220)에서는 물의 사용에 따른 탱크본체(200)의 수위 변동, 즉 탱크본체(200)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것만에 의한 수위 변동(200)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300)는 입수관(TI)에 구비된 입수밸브(VI)를 닫을 수 있다.
만수위 조정결정단계(S230)에서는 수위변동측정단계(S220)에서 측정된 탱크본체(200)의 수위 변동을 토대로 탱크본체(200)의 만수위 조정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만수위 조정결정단계(S230)에서는 수위변동측정단계(S220)에서 측정된 탱크본체(200)의 수위 변동 정도와, 각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탱크본체(200)의 수위에 대응하는 수위 변동 정도를 비교하여 탱크본체(200)의 만수위 조정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변동측정단계(S220)에서 탱크본체(200)의 수위가 제2 수위센서(S2)에서 제4 수위센서(S4)로 변동된 것으로 측정되고, 이러한 수위 변동 정도는 제1 수위센서(S1)가 감지하는 수위에 대응되지 않고 제3 수위센서(S3)가 감지하는 수위에 대응하는 수위 변동 정도라면, 제어부(300)는 만수위를 조정해야한다고 결정한다.
만수위 유지조정단계(S240)에서는 만수위 조정결정단계(S230)에서의 결정에 따라 탱크본체(200)의 만수위를 유지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만수위 조정결정단계(S230)에서 제어부(300)가 만수위를 유지해야한다고 결정하면, 만수위 유지조정단계(S240)에서 제어부(300)는 만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00)는 만수위를 센서로 이용하는 수위센서를 바뀌지 않는다.
또한, 만수위 조정결정단계(S230)에서 제어부(300)가 만수위를 조정해야한다고 결정하면, 만수위 유지조정단계(S240)에서 제어부(300)는 만수위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만수위 조정결정단계(S230)에서 만수위를 조정해야한다고 결정하면, 제어부(300)는 제3 수위센서(S3)를 만수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100)의 탱크본체(200)에는 제3 수위센서(S3)가 감지하는 수위까지 항상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을 사용하면, 물의 배출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물저장탱크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으며, 물저장탱크에 물이 장시간 체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물저장탱크 내에서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저장탱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저장탱크 200 : 탱크본체
210 : 입수구 220 : 배출구
230 : 덮개 300 : 제어부
310 : 유량센서 320 : 입력부
TI : 입수관 TO : 배출관
VI : 입수밸브 VO : 배출밸브
S1, S2, S3, S4, S5 : 수위센서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탱크본체에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된 복수개의 수위센서 중 하나의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수위를 만수위로 선택하는 만수위 선택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탱크본체의 만수위를 조정하는 만수위 조정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만수위 조정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 상기 수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변동된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변동측정단계, 상기 수위변동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 변동을 토대로 상기 탱크본체의 만수위 조정여부를 결정하는 만수위 조정결정단계 및, 상기 만수위 조정결정단계에서의 결정에 따라 상기 탱크본체의 만수위를 유지하거나 조정하는 만수위 유지조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만수위 조정결정단계에서는 상기 수위변동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 변동 정도와, 상기 각 수위센서가 감지하는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에 대응하는 수위 변동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만수위 조정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만수위 유지조정단계에서는, 상기 만수위 조정결정단계에서 만수위를 조정해야 한다고 결정하면, 복수개의 수위센서 중 상기 수위변동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 변동에 대응하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만수위 센서로 바꾸는 물저장탱크의 만수위 조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만수위 선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초기 설정에 의해서 만수위가 선택되는 물저장탱크의 만수위 조정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변동측정단계에서는 상기 탱크본체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만수위 조정방법.
  12. 삭제
KR1020140166752A 2014-04-11 2014-11-26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 KR10194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19056.4A CN106170327B (zh) 2014-04-11 2015-03-17 储水储箱以及用于控制其满水位的方法
US15/300,593 US10152066B2 (en) 2014-04-11 2015-03-17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ll water level thereof
PCT/KR2015/002585 WO2015156512A1 (ko) 2014-04-11 2015-03-17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3780 2014-04-11
KR1020140043780 2014-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19A KR20150118519A (ko) 2015-10-22
KR101948002B1 true KR101948002B1 (ko) 2019-02-15

Family

ID=5442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752A KR101948002B1 (ko) 2014-04-11 2014-11-26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52066B2 (ko)
KR (1) KR101948002B1 (ko)
CN (1) CN1061703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8114A (zh) * 2019-08-28 2020-02-21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水位可调式水箱以及该水箱的水位调节方法
CN112833991B (zh) * 2019-11-25 2023-02-24 西安定华电子股份有限公司 液位测量装置和液位测量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3298A (ja) * 2010-02-15 2011-08-25 Kazuo Suzuki 給水ポンプ制御装置および給水ポンプ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6563A (en) * 1940-06-13 1941-06-24 Universal Oil Prod Co Liquid level indication and control
US4521312A (en) * 1982-05-03 1985-06-04 Anderson Edward M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mixture of three liquids
US5705747A (en) * 1995-01-13 1998-01-06 Henry Filters, Inc. Methods and system for scaleable liquid display and control
US5671603A (en) * 1995-12-08 1997-09-30 The Perkin-Elmer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level of cryogenic liquid
US6026837A (en) * 1997-05-14 2000-02-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Automated chemical drain system
KR19990012482A (ko) 1997-07-29 1999-02-25 배순훈 만수위설정에 의한 정수기의 수위제어방법
KR100204291B1 (ko) 1997-07-29 1999-06-15 전주범 정수기의 정수동작 제어방법
US5932022A (en) 1998-04-21 1999-08-03 Harris Corporation SC-2 based pre-thermal treatment wafer cleaning process
US6837263B2 (en) * 2000-10-20 2005-01-04 Distaview Corporation Liquid level control system
GB2388946B (en) * 2000-11-29 2004-05-12 Clark Reliance Corp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cross checking faulty sensors in liquid level indicators and controllers
US6688329B2 (en) * 2001-07-06 2004-02-10 C. Cowles & Company Water feeder controller for boiler
KR100500476B1 (ko) 2002-09-19 2005-07-14 아쿠아골드 주식회사 정수량제어방식의 정수기
CN2616577Y (zh) * 2003-03-05 2004-05-19 李庆范 家用节能供水器
EP1636129B1 (en) * 2003-03-31 2017-08-09 Saudi Arabian Oil Company Measurement of molten sulfur level in receptacles
CN1595322A (zh) * 2004-07-16 2005-03-16 攀枝花新钢钒股份有限公司热轧板厂 水箱水位控制方法
WO2006019273A1 (en) * 2004-08-18 2006-02-23 Doo Doo Energy Technology Co., Ltd. A bathtub remote control system
US7477950B2 (en) * 2004-09-28 2009-01-13 Dymo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network of water appliances
US6988406B1 (en) * 2004-10-25 2006-01-24 Robert Mack System and method of liquid level detection
KR100666557B1 (ko) 2005-05-16 2007-01-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JP4692341B2 (ja) * 2006-03-14 2011-06-0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保護膜除去装置、薬液の回収方法及び記憶媒体
CN2903757Y (zh) * 2006-04-18 2007-05-23 潘戈 一种分户储水的楼宇中央热水装置
KR100794125B1 (ko) * 2006-07-27 2008-01-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접촉식 수위 제어 장치
US9066496B2 (en) * 2006-10-24 2015-06-30 Ron Hymes Automatic smart watering apparatus
CN102084190B (zh) * 2009-04-21 2014-04-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储热式热水供给装置、热水供给供暖装置、运转控制装置及运转控制方法
KR101069126B1 (ko) * 2010-09-09 2011-09-30 양재구 레벨트랜스미터와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배관 시스템의 압력탱크 수위 제어 방법
KR101849078B1 (ko) 2011-06-30 2018-04-16 코웨이 주식회사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
US9772210B1 (en) * 2012-06-11 2017-09-26 Brian L. Houghton Storage tank level detection method and system
US9097388B2 (en) * 2012-07-13 2015-08-04 Intermolecular, Inc. Effluent management, waste dilution, effluent pre-dilution, acid waste handling
CN104703467B (zh) * 2012-10-17 2017-05-31 利拉伐控股有限公司 动物供水装置和控制动物供水装置的方法
WO2015094327A1 (en) * 2013-12-20 2015-06-2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Tank fluid level management
US20150323938A1 (en) * 2014-05-09 2015-11-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emperature-based level detection an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8892263B1 (en) * 2014-05-19 2014-11-18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resolving sump pump failures
CN204098146U (zh) * 2014-07-31 2015-01-14 苏州工业园区清源华衍水务有限公司 一种二次供水生活水箱
CN105091973A (zh) * 2015-08-26 2015-1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水箱水位检测装置和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3298A (ja) * 2010-02-15 2011-08-25 Kazuo Suzuki 給水ポンプ制御装置および給水ポンプ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19A (ko) 2015-10-22
US20170177010A1 (en) 2017-06-22
CN106170327B (zh) 2019-05-10
CN106170327A (zh) 2016-11-30
US10152066B2 (en)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101220A4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oil quality
KR101948002B1 (ko) 물저장탱크 및 이의 만수위 조정방법
CA2475198C (en) Method of determination of the conditions of exhaustion of a filtering cartridge for filtering carafes with replaceable cartridge and carafe operating in compliance with such method
US20180024574A1 (en) Water heat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A2995505C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oil quality
CN208026357U (zh) 水箱组件和电器设备
CN106539488B (zh) 烹饪器具
EP1484097A1 (en) Method of determination of the conditions of exhaustion of a filtering cartridge for filtering carafes with replaceable cartridge and carafe operating in compliance with such method
TW200746242A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2900636Y (zh) 利用水压自动调节自来水出水量的装置
CN104905672B (zh) 全自动集成化食材加热装置
CN103919498A (zh) 可根据体重自动放水的智能浴缸
KR20110097342A (ko) 배수지의 지능화 운전 시스템 및 방법
CN106124368B (zh) 一种污染指数测试装置
US6673240B2 (en) Feed control system for liquid clarification tanks
CN109288382A (zh) 投米、加水装置及其控制方法、煮饭装置及其控制方法
CN211553646U (zh) 一种沥青混合料离析程度检测装置
KR102548534B1 (ko) 수전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수전
KR100895339B1 (ko) 건축물 옥상 화단 자동 물공급장치
CN107966999B (zh) 烹饪器具、流速控制方法和流速控制装置
CN109667980A (zh) 一种带流量调节的水龙头
JP6191682B2 (ja) 洗米装置
CN211024346U (zh) 一种术后引流装置
KR101644923B1 (ko) 정수기
CN209597454U (zh) 一种淋浴花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