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387B1 -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 - Google Patents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387B1
KR102490387B1 KR1020180145547A KR20180145547A KR102490387B1 KR 102490387 B1 KR102490387 B1 KR 102490387B1 KR 1020180145547 A KR1020180145547 A KR 1020180145547A KR 20180145547 A KR20180145547 A KR 20180145547A KR 102490387 B1 KR102490387 B1 KR 10249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rubber composition
formula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060A (ko
Inventor
박현웅
김동희
강석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4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3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높은 배합 가공성을 가지면서 배합물성이 우수한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Rubber composition and rubber molded articles produc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높은 배합 가공성을 가지면서 배합물성이 우수한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의 저연비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서, 타이어 형성용 고무 조성물 내 실리카 또는 카본블랙 등의 무기 충진제를 사용하여 타이어의 발열성을 낮추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고무 조성물 내 상기 무기 충진제의 분산이 용이하지 않아 오히려 내마모성, 내크랙성 또는 가공성 등을 비롯한 고무 조성물의 물성이 전체적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무 조성물 내 실리카 또는 카본블랙 등의 무기 충진제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유기 리튬을 이용한 음이온 중합으로 얻어지는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중합활성 부위를 무기 충진제와 상호작용 가능한 관능기로 변성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중합활성 말단을 주석계 화합물로 변성하거나, 아미노기를 도입하는 방법 또는 알콕시실란 유도체로 변성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으로 변성된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이용하여 고무 조성물의 제조 시, 저발열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내마모성, 가공성 등의 고무 조성물에 대한 물성 개선 효과는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고무 조성물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가공조제를 투입하거나 배합시간을 늘리는 방안이 연구된 바 있으나, 효과가 미미할 뿐 아니라 추가의 비용이 발생하거나 설비 구축 필요성에 의하여 경제성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JP 2018-12810 A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높은 배합 가공성을 가지면서 배합물성이 우수한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됨으로써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면서 인장특성, 점탄성 특성과 같은 배합물성이 우수한 고무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성제 유래 작용기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단위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100 중량부; 충진제 1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 아연화 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8.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00℃에서 측정된 무니점도가 20 내지 55이고, 60℃ tan δ 값이 0.17 이하인 것인 상기의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충진제와 함께 스테아르산을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8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의 특정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중합체와 충진제 간의 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은 인장특성 및 점탄성 특성과 같은 배합물성이 우수하면서도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 측정방법은 별도로 정의하지 않는 한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용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치환”은 작용기, 원자단 또는 화합물의 수소가 특정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용기, 원자단 또는 화합물의 수소가 특정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작용기, 원자단 또는 화합물 내에 존재하는 수소의 개수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치환기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치환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치환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치환기로 치환된 3가 탄화수소기"는 N원자를 포함하는 고리 내의 결합(2가) 및 상기 정의된 치환기와의 결합(1가)으로부터 총 3가로 치환된 탄화수소기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치환된 3가 탄화수소기는, 상기 정의된 치환기의 탄소수를 제외하고, N원자와 함께 고리를 이루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또는 1 내지 5인 3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단일결합"은 별도의 원자 또는 분자단을 포함하지 않는, 단일 공유 결합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는 비치환된 1가 실릴기와 상기 알킬기로 치환된 2가 내지 4가 실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알킬기(alkyl group)”는 1가의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등의 선형 알킬기 및 이소프로필(isopropyl), 세크부틸(sec-butyl), 터셔리 부틸(tert-butyl) 및 네오펜틸(neo-pentyl) 등의 분지형 알킬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2-메틸-1,3-펜타디엔, 3-메틸-1,3-펜타디엔, 4-메틸-1,3-펜타디엔 및 2,4-헥사디엔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배합성"은 여러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에서 성분들 간의 배합(섞임)의 용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배합성은 고무 조성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 예컨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와 충진제 간의 배합 용이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배합 가공성"은 여러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가공 용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무 조성물에서 있어서 배합 가공성은 고무 조성물의 가공 용이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측정방법]
본 발명에서 "무니점도(mooney viscosity, MV)"는 중합체 또는 고무 성형품의 가공성을 판단하는 일 척도로서 무니점도가 적정선으로 낮으면 흐름성이 좋아 가공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단위는 MU(Mooney Unit)으로 표시되고 100℃에서 ML(1+4) 값을 구한 것이며, 여기에서 M은 Mooney, L은 플레이트 크기, 1은 preheating 시간인 1분을, 4는 rotor 작동 후 4분 후의 값을 읽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니점도는 MV2000E(Monsanto社)를 이용하여 100℃에서 Rotor Speed 2±0.02 rpm, Large Rotor로, 중합체 또는 고무 성형품을 실온(23±5℃)에서 30분 이상 방치한 후 27±3 g을 채취하여 다이 캐비티 내부에 채워놓고 플래던(platen)을 작동시켜 토크를 인가하면서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분자량 분포(MWD, Mw/Mn)"는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의 정도를나타내는 것으로,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Mw) 대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로부터 계산한 것이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은 중합체를 40℃ 조건 하에서 테트라히드로퓨란(THF)에 30분간 녹인 후 겔 투과 크로마토 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때, 칼럼은 폴리머 라보레토리즈(Polymer Laboratories 사)의 상품명 PLgel Olexis 칼럼 두 자루와 PLgel mixed-C 칼럼 한 자루를 조합 사용하였고, 새로 교체한 칼럼은 모두 혼합상(mixed bed) 타입의 칼럼을 사용하였으며,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표준 물질(GPC Standard material)로서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60℃ tan δ"는 독일 Gabo사 DMTS 500N을 사용하여 주파수 10㎐, Prestrain 3%, Dynamic Strain 3%에서 60℃에서의 점탄성 계수(Tan δ)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은 높은 가공성을 가지면서 배합물성이 우수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무 조성물은 변성제 유래 작용기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단위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100 중량부; 충진제 1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 아연화 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8.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충진제와 함께 스테아르산을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8.0 내지 12.0 중량부의 특정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중합체와 충진제의 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배합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의 인장강도 및 점탄성 특성이 우수하면서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화 지방산 에스테르인 스테아르산은 극성부분(카르복실산기)과 비극성부분(탄화수소 사슬)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내에서 마이셀(micelle) 구조를 형성하며, 이에 상기 고무 조성물을 가공할 시 슬립성(slip)을 나타냄으로써 배합 가공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테아르산은 탄소수가 18로 짧은 사슬을 가지고 있어 12.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으로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상기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높은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내어 점탄성 특성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분자량 분포가 2.0 내지 3.5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3.5, 2.5 내지 3.2 또는 2.6 내지 3.0일 수 있으며,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상기의 분자량 분포를 가짐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의 인장특성 및 점탄성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분자량 분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량평균 분자량(Mw) 대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로부터 계산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수평균 분자량(Mn)은 n개의 중합체 분자의 분자량을 측정하고 이들 분자량의 총합을 구하여 n으로 나누어 계산한 개별 중합체 분자량의 공통 평균(common average)이며,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Mw)은 고분자 조성물의 분자량 분포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상기한 분자량 분포 조건을 충족하는 동시에, 중량평균 분자량(Mw)이 3 X 105 내지 1.5 X 106 g/mol일 수 있고, 수평균 분자량(Mn)이 1.0 X 105 내지 5.0 X 105 g/mol일 수 있으며,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상기의 중량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을 가짐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의 배합 가공성이 우수하여 작업성 개선으로 인해 혼반죽이 용이할 수 있고, 이에 상기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의 인장특성 및 내마모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과 점탄성 특성의 밸런스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100℃에서 측정된 무니점도가 20 내지 60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의 배합 가공성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니점도는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법(FT-IR)으로 측정한 공액디엔부의 시스-1,4 결합 함량이 95%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7%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이에, 고무 조성물에 적용시 고무 조성물의 내마모성, 내균열성 및 내오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법으로 측정한 공액디엔부의 비닐 함량이 5%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3%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는 1% 이하일 수 있다. 중합체내 비닐 함량이 5%를 초과할 경우,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의 내마모성, 내균열성, 내오존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법(FT-IR)에 의한 중합체 내 시스-1,4 결합 함량 및 비닐 함량은, 동일 셀의 이황화탄소를 블랭크로 하여 5 mg/mL의 농도로 조제한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이황화탄소 용액의 FT-IR 투과율 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측정 스펙트럼의 1130 cm-1부근의 최대 피크값(a, 베이스라인), 트랜스-1,4 결합을 나타내는 967 cm-1 부근의 최소 피크값(b), 비닐결합을 나타내는 911 cm-1 부근의 최소 피크값(c), 그리고 시스-1,4 결합을 나타내는 736 cm-1 부근의 최소 피크값(d)을 이용하여 각각의 함량을 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변성제 유래 작용기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성제 유래 작용기는 변성제로부터 기인하여 중합체 사슬에 결합되어 중합체의 성질에 변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변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변성제 유래 작용기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16774616-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및 -R6COOR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3가 탄화수소기;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단, R1 내지 R3이 모두 동시에 3가 탄화수소기; 또는 2가 탄화수소기는 아닐 수 있으며, R4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기일 수 있고, R5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할로겐; 시아노기; 또는 -COR8일 수 있으며, R6은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기일 수 있고, R7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일 수 있으며, R8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2 내지 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0의 헤테로아민기 및 탄소수 3 내지 10의 디실릴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성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자체일 수 있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함께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변성시킬 수 있는 다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성제는 분자 내에 충진제와 친화력을 높일 수 있는 작용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변성제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충진제와의 배합성이 우수할 수 있고, 상기 변성제 유래 작용기에 의하여 고무 조성물 내 충진제끼리의 응집을 방지할 수 있어 충진제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고무 조성물의 배합 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R6COOR7로 치환된 3가 탄화수소기;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단, R1 내지 R3이 모두 동시에 3가 탄화수소기; 또는 2가 탄화수소기는 아닐 수 있으며, R4는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일 수 있고, R5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로 치환된 실릴기; 할로겐; 시아노기; 또는 -COR8일 수 있으며, R6은 단일 결합일 수 있고, R7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일 수 있으며, R8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2 내지 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0의 헤테로아민기 및 탄소수 3 내지 10의 디실릴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8116774616-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및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3가 탄화수소기;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R2는 -R6COOR7로 치환된 3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으며, R4 및 R6은 단일 결합일 수 있고, R7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일 수 있으며, R9 내지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R2는 -R6COOR7로 치환된 3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으며, R4 및 R6은 단일 결합일 수 있고, R7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일 수 있으며, R9 내지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2-1]
Figure 112018116774616-pat00003
[화학식 2-2]
Figure 112018116774616-pat00004
[화학식 2-3]
Figure 112018116774616-pat00005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네오디뮴 촉매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네오디뮴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즉 촉매로부터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를 포함하는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1,3-부타디엔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네오디뮴 촉매화 부타디엔계 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과 같은 부타디엔 단독 중합체일 수 있고, 또는 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와 같은 부타디엔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1,3-부타디엔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80 내지 100 중량%, 및 선택적으로 1,3-부타디엔과 공중합 가능한 그 외의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20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중합체 내 1,4-시스 결합 함량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상기 1,3-부타디엔 단량체로는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또는 2-에틸-1,3-부타디엔 등의 1,3-부타디엔 또는 그 유도체를 들 수 있고, 상기 1,3-부타디엔과 공중합 가능한 그 외의 공액디엔계 단량체로는 2-메틸-1,3-펜타디엔, 1,3-펜타디엔, 3-메틸-1,3-펜타디엔, 4-메틸-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또는 2,4-헥사디엔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란,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말단의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분자쇄 말단의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 주쇄 중의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 또는 측쇄 중의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일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음이온 중합 또는 배위 음이온 중합에 의해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를 얻는 경우 상기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는 말단의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일 수 있다.
상기 네오디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16774616-pat00006
상기 화학식 3에서, Ra 내지 Rc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이고, 단, Ra 내지 Rc가 모두 동시에 수소는 아니다.
또 다른 예로, 올리고머화에 대한 우려 없이 중합 용매에 대한 우수한 용해도, 촉매 활성종으로의 전환율 및 이에 따른 촉매 활성 개선 효과의 우수함을 고려할 때, 상기 네오디뮴 화합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a이 탄소수 4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Rb 및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기이되, 단 Rb 및 Rc이 동시에 수소가 아닌 네오디뮴 화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Ra는 탄소수 6 내지 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Rb 및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Rb 및 Rc는 동시에 수소가 아닐 수 있고, 그 구체적인 예로는 Nd(2,2-디에틸 데카노에이트)3, Nd(2,2-디프로필 데카노에이트)3, Nd(2,2-디부틸 데카노에이트)3, Nd(2,2-디헥실 데카노에이트)3, Nd(2,2-디옥틸 데카노에이트)3, Nd(2-에틸-2-프로필 데카노에이트)3, Nd(2-에틸-2-부틸 데카노에이트)3, Nd(2-에틸-2-헥실 데카노에이트)3, Nd(2-프로필-2-부틸 데카노에이트)3, Nd(2-프로필-2-헥실 데카노에이트)3, Nd(2-프로필-2-이소프로필 데카노에이트)3, Nd(2-부틸-2-헥실 데카노에이트)3, Nd(2-헥실-2-옥틸 데카노에이트)3, Nd(2-t-부틸 데카노에이트)3, Nd(2,2-디에틸 옥타노에이트)3, Nd(2,2-디프로필 옥타노에이트)3, Nd(2,2-디부틸 옥타노에이트)3, Nd(2,2-디헥실 옥타노에이트)3, Nd(2-에틸-2-프로필 옥타노에이트)3, Nd(2-에틸-2-헥실 옥타노에이트)3, Nd(2,2-디에틸 노나노에이트)3, Nd(2,2-디프로필 노나노에이트)3, Nd(2,2-디부틸 노나노에이트)3, Nd(2,2-디헥실 노나노에이트)3, Nd(2-에틸-2-프로필 노나노에이트)3 및 Nd(2-에틸-2-헥실 노나노에이트)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상기 네오디뮴 화합물은 Nd(2,2-디에틸 데카노에이트)3, Nd(2,2-디프로필 데카노에이트)3, Nd(2,2-디부틸 데카노에이트)3, Nd(2,2-디헥실 데카노에이트)3, 및 Nd(2,2-디옥틸 데카노에이트)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Ra는 탄소수 6 내지 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Rb 및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디뮴 화합물은 α 위치에 탄소수 2 이상의 다양한 길이의 알킬기를 치환기로 포함하는 카르복실레이트 리간드를 포함함으로써, 네오디뮴 중심 금속 주위에 입체적인 변화를 유도하여 화합물 간의 엉김 현상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올리고머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네오디뮴 화합물은 중합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고, 촉매 활성종으로의 전환에 어려움이 있는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네오디뮴 비율이 감소되어 촉매 활성종으로의 전환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네오디뮴 화합물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600 내지 2000 g/mol일 수 있다. 상기한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질 때 보다 안정적으로 우수한 촉매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오디뮴 화합물의 용해도는 일례로 상온(25℃)에서 비극성 용매 6 g 당 약 4 g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네오디뮴 화합물의 용해도는 탁한 현상 없이 맑게 용해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높은 용해도를 나타냄으로써 우수한 촉매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네오디뮴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을 이용하여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중합반응시켜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를 갖는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변성제와 반응시키는 변성반응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와 변성제를 반응시키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리빙성(living property) 또는 슈도 리빙성(pseudo living property)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러한 리빙성을 갖는 중합체의 중합 반응으로는 배위 음이온 중합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네오디뮴 화합물은 일례로 중합에 사용되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100 g당 0.1 내지 0.5 mmol,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0.2 mmol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촉매 활성이 높고, 적정 촉매 농도를 가져, 별도의 탈회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네오디뮴 화합물은 일례로 루이스 염기와의 반응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반응물은 루이스 염기에 의해, 네오디뮴 화합물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키고, 장기간 안정한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루이스 염기는 일례로 네오디뮴 원소 1 몰 당 30 몰 이하, 또는 1 내지 10 몰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루이스 염기는 일례로 아세틸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피리딘, N,N-디메틸포름아미드, 티오펜, 디페닐에테르, 트리에틸아민, 유기인 화합물 또는 1가 또는 2가의 알코올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 조성물은 네오디뮴 화합물 외에 알킬화제, 할로겐화물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촉매 조성물은 탄화수소 용매 중에 네오디뮴 화합물, 알킬화제, 할로겐 화합물, 그리고 선택적으로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순차로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화수소 용매는 상기한 촉매 조성물의 구성 성분들과 반응성이 없는 비극성 용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화수소 용매는 펜탄, 헥산, 이소펜탄, 헵탄, 옥탄, 이소옥탄 등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등과 같은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또는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탄화수소 용매는 헥산 등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일 수 있다.
또한, 본 중합 반응에 사용되는 공액디엔계 단량체의 일부를 상기 촉매 조성물과 예비혼합(premix)하여 예비중합(preforming) 촉매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하는 함으로써 촉매 활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제조된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예비중합(preforming)"이란, 촉매 조성물, 즉 촉매 시스템에서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DIBAH) 등을 포함하는 경우, 이와 함께 다양한 촉매 활성종의 생성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부타디엔 등의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소량 첨가하게 되며, 부타디엔 첨가와 함께 촉매 시스템 내에서 전(pre) 중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비혼합(premix)"이란 촉매 시스템에서 중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각 화합물들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상기 촉매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상기 중합 반응에 사용되는 공액디엔계 단량체의 총 사용량 범위 내에서 일부의 양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킬화제는 일례로 히드로카르빌기를 다른 금속으로 전달할 수 있는 유기 금속 화합물로서 조촉매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유기 알루미늄, 유기 마그네슘 화합물, 또는 유기 리튬 화합물 등과 같이 비극성 용매에 가용성이며, 금속-탄소 결합을 함유하는 유기 금속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은 일례로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n-프로필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필알루미늄, 트리-n-부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t-부틸알루미늄, 트리펜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트리시클로헥실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등의 알킬알루미늄; 디에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디-n-프로필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디이소프로필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디-n-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DIBAH), 디-n-옥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디페닐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디-p-톨릴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디벤질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페닐에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페닐-n-프로필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페닐이소프로필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페닐-n-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페닐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페닐-n-옥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p-톨릴에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p-톨릴-n-프로필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p-톨릴이소프로필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p-톨릴-n-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p-톨릴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p-톨릴-n-옥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벤질에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벤질-n-프로필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벤질이소프로필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벤질-n-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벤질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또는 벤질-n-옥틸알루미늄 수소 등의 디히드로카르빌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및 에틸알루미늄 디하이드라이드, n-프로필알루미늄 디하이드라이드, 이소프로필알루미늄 디하이드라이드, n-부틸알루미늄 디하이드라이드, 이소부틸알루미늄 디하이드라이드, 또는 n-옥틸알루미늄 디하이드라이드 등과 같은 히드로카르빌알루미늄 디하이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마그네슘 화합물은 일례로 디에틸마그네슘, 디-n-프로필마그네슘, 디이소프로필마그네슘, 디부틸마그네슘, 디헥실마그네슘, 디페닐마그네슘 또는 디벤질마그네슘과 같은 알킬마그네슘 화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유리 리튬 화합물은 일례로 n-부틸리튬 등과 같은 알킬리튬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화제는 알루미녹산일 수 있으며, 상기 알루미녹산은 트리히드로카르빌 알루미늄계 화합물에 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루미녹산은 하기 화학식 4a의 직쇄 알루미녹산 또는 화학식 4b의 환형 알루미녹산일 수 있다.
[화학식 4a]
Figure 112018116774616-pat00007
[화학식 4b]
Figure 112018116774616-pat00008
상기 화학식 4a 및 4b에서, R은 탄소 원자를 통해 알루미늄 원자에 결합하는 1가의 유기기로서, 하이드로카르빌기일 수 일 수 있으며, x 및 y는 서로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00, 더 구체적으로는 2 내지 50의 정수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알루미녹산은 메틸알루미녹산(MAO), 변성 메틸알루미녹산(MMAO), 에틸알루미녹산, n-프로필알루미녹산, 이소프로필알루미녹산, 부틸알루미녹산, 이소부틸알루미녹산, n-펜틸알루미녹산, 네오펜틸알루미녹산, n-헥실알루미녹산, n-옥틸알루미녹산, 2-에틸헥실알루미녹산, 사이클로헥실알루미녹산, 1-메틸사이클로펜틸알루미녹산, 페닐알루미녹산 또는 2,6-디메틸페닐 알루미녹산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성 메틸알루미녹산은 메틸알루미녹산의 메틸기를 수식기(R),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2 내지 20의 탄화수소기로 치환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18116774616-pat00009
상기 화학식 5에서, R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m 및 n은 서로 독립적으로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에서, Me는 메틸기(methyl group)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5에서 상기 R은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기, 알릴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키닐기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기, 이소부틸기, 헥실기 또는 옥틸기 등과 같은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소부틸기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변성 메틸알루미녹산은 메틸알루미녹산의 메틸기의 약 50 몰% 내지 90 몰%를 상기한 탄화수소기로 치환한 것일 수 있다. 변성 메틸알루미녹산 내 치환된 탄화수소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때, 알킬화를 촉진시켜 촉매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변성 메틸알루미녹산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과 트리메틸알루미늄 이외의 알킬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알루미늄은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또는 트리옥틸알루미늄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킬화제는 일례로 상기한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유기 마그네슘 화합물, 유기 리튬 화합물 및 알루미녹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중합 반응 시 분자량 조절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DIBAH)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알킬화제는 네오디뮴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1 내지 100 몰, 또는 3 내지 20 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로겐화물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할로겐 단체(單體), 할로겐간 화합물(interhalogen compound), 할로겐화수소, 유기 할라이드, 비금속 할라이드, 금속 할라이드 또는 유기금속 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촉매 활성 향상 및 이에 따른 반응성 개선 효과의 우수함을 고려할 때 상기 할로겐화물로는 유기 할라이드, 금속 할라이드 및 유기금속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 단체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로겐간 화합물로는 요오드 모노클로라이드, 요오드 모노브로마이드, 요오드 트리클로라이드, 요오드 펜타플루오라이드, 요오드 모노플루오라이드 또는 요오드 트리플루오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로겐화수소로는 불화수소,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또는 요오드화수소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할라이드로는 t-부틸 클로라이드(t-BuCl), t-부틸 브로마이드, 알릴 클로라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벤질 클로라이드, 벤질 브로마이드, 클로로-디-페닐메탄, 브로모-디-페닐메탄, 트리페닐메틸 클로라이드, 트리페닐메틸 브로마이드, 벤질리덴 클로라이드, 벤질리덴 브로마이드, 메틸트리클로로실란, 페닐트리클로로실란,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디페닐디클로로실란, 트리메틸클로로실란(TMSCl), 벤조일 클로라이드, 벤조일 브로마이드, 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프로피오닐 브로마이드,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메틸 브로모포르메이트, 요오도메탄, 디요오도메탄, 트리요오도메탄 ('요오도포름'으로도 불리움), 테트라요오도메탄, 1-요오도프로판, 2-요오도프로판, 1,3-디요오도프로판, t-부틸 요오다이드, 2,2-디메틸-1-요오도프로판 ('네오펜틸 요오다이드'로도 불리움), 알릴 요오다이드, 요오도벤젠, 벤질 요오다이드, 디페닐메틸 요오다이드, 트리페닐메틸 요오다이드, 벤질리덴 요오다이드 ('벤잘 요오다이드'로도 불리움), 트리메틸실릴 요오다이드, 트리에틸실릴 요오다이드, 트리페닐실릴 요오다이드, 디메틸디요오도실란, 디에틸디요오도실란, 디페닐디요오도실란, 메틸트리요오도실란, 에틸트리요오도실란, 페닐트리요오도실란, 벤조일 요오다이드, 프로피오닐 요오다이드 또는 메틸 요오도포르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금속 할라이드로는 삼염화인, 삼브롬화인, 오염화인, 옥시염화인, 옥시브롬화인, 삼불화붕소, 삼염화붕소, 삼브롬화붕소, 사불화규소, 사염화규소(SiCl4), 사브롬화규소, 삼염화비소, 삼브롬화비소, 사염화셀레늄, 사브롬화셀레늄, 사염화텔루르, 사브롬화텔루르, 사요오드화규소, 삼요오드화비소, 사요오드화텔루르, 삼요오드화붕소, 삼요오드화인, 옥시요오드화인 또는 사요오드화셀레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할라이드로는 사염화주석, 사브롬화주석, 삼염화알루미늄, 삼브롬화알루미늄, 삼염화안티몬, 오염화안티몬, 삼브롬화안티몬, 삼불화알루미늄, 삼염화갈륨, 삼브롬화갈륨, 삼불화갈륨, 삼염화인듐, 삼브롬화인듐, 삼불화인듐, 사염화티타늄, 사브롬화티타늄, 이염화아연, 이브롬화아연, 이불화아연, 삼요오드화알루미늄, 삼요오드화갈륨, 삼요오드화인듐, 사요오드화티타늄, 이요오드화아연, 사요오드화게르마늄, 사요오드화주석, 이요오드화주석, 삼요오드화안티몬 또는 이요오드화마그네슘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금속 할라이드로는 디메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디메틸알루미늄 브로마이드, 디에틸알루미늄 브로마이드, 디메틸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 메틸알루미늄 디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 디클로라이드, 메틸알루미늄 디브로마이드, 에틸알루미늄 디브로마이드, 메틸알루미늄 디플루오라이드, 에틸알루미늄 디플루오라이드, 메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EASC), 이소부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 메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에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에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n-부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n-부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페닐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 벤질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트리메틸주석 클로라이드, 트리메틸주석 브로마이드, 트리에틸주석 클로라이드, 트리에틸주석 브로마이드, 디-t-부틸주석 디클로라이드, 디-t-부틸주석 디브로마이드, 디-n-부틸주석 디클로라이드, 디-n-부틸주석 디브로마이드, 트리-n-부틸주석 클로라이드, 트리-n-부틸주석 브로마이드, 메틸마그네슘 요오다이드, 디메틸알루미늄 요오다이드, 디에틸알루미늄 요오다이드, 디-n-부틸알루미늄 요오다이드, 디이소부틸알루미늄 요오다이드, 디-n-옥틸알루미늄 요오다이드, 메틸알루미늄 디요오다이드, 에틸알루미늄 디요오다이드, n-부틸알루미늄 디요오다이드, 이소부틸알루미늄 디요오다이드, 메틸알루미늄 세스퀴요오다이드, 에틸알루미늄 세스퀴요오다이드, 이소부틸알루미늄 세스퀴요오다이드, 에틸마그네슘 요오다이드, n-부틸마그네슘 요오다이드, 이소부틸마그네슘 요오다이드, 페닐마그네슘 요오다이드, 벤질마그네슘 요오다이드, 트리메틸주석 요오다이드, 트리에틸주석 요오다이드, 트리-n-부틸주석 요오다이드, 디-n-부틸주석 디요오다이드 또는 디-t-부틸주석 디요오다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매 조성물은, 상기 할로겐화물 대신에 또는 상기 할로겐화물과 함께, 비배위성 음이온 함유 화합물 또는 비배위 음이온 전구체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배위성 음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에 있어서, 비배위성 음이온은 입체 장애로 인해 촉매계의 활성 중심과 배위결합을 형성하지 않는, 입체적으로 부피가 큰 음이온으로서, 테트라아릴보레이트 음이온 또는 불화 테트라아릴보레이트 음이온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배위성 음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상기한 비배위성 음이온과 함께 트리아릴 카르보늄 양이온과 같은 카르보늄 양이온; N,N-디알킬 아닐리늄 양이온 등과 같은 암모늄 양이온, 또는 포스포늄 양이온 등의 상대 양이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배위성 음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트리페닐 카르보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 페닐) 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 페닐) 보레이트, 트리페닐 카르보늄 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보레이트, 또는 N,N-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보레이트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배위성 음이온 전구체로서는, 반응 조건하에서 비배위성 음이온이 형성 가능한 화합물로서, 트리아릴 붕소 화합물(BE3, 이때 E는 펜타플루오로페닐기 또는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기 등과 같은 강한 전자흡인성의 아릴기임)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촉매 조성물을 이용한 공액디엔계 단량체의 중합 반응은, 라디칼 중합에 의해 실시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벌크 중합, 용액 중합, 현탁 중합 또는 유화 중합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 용액 중합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중합 반응은 회분식 및 연속식 중 어느 방법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를 위한 중합 반응은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상기 촉매 조성물에 대해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투입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 용매는 촉매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탄화수소 용매의 양에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탄화수소 용매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 용매의 사용 시 단량체의 농도는 3 내지 80 중량%, 또는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 반응 이후, 또는 중에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중합반응을 완료시키기 위한 반응정지제; 또는 2,6-디-t-부틸파라크레졸 등과 같은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더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상 용액 중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첨가제, 구체적으로는 킬레이트제, 분산제, pH 조절제, 탈산소제 또는 산소포착제(oxygen scavenger)와 같은 첨가제가 선택적으로 더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합 반응은 상기 촉매 조성물 및 중합체를 실활시키지 않기 위해, 일례로 중합 반응계 내에 산소, 물, 탄산가스 등의 실활 작용이 있는 화합물의 혼입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합 반응의 결과로서, 상기 네오디뮴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로부터 활성화된 유기 금속 부위를 포함하는 활성 중합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1,3-부타디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네오디뮴 촉매화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생성되고, 상기 제조된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슈도 리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성반응은 용액 반응 또는 고상 반응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용액 반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변성 반응은 배치(batch)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다단 연속식 반응기나 인라인 믹서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변성 반응은 통상 중합반응과 동일한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2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중합체의 점도가 상승하지 않고, 중합체의 활성화된 말단이 실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변성 반응의 종료 후, 2,6-디-t-부틸-p-크레졸(BHT)의 이소프로판올 용액 등을 중합 반응계에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후 수증기의 공급을 통해 용제의 분압을 낮추는 스팀 스트립핑 등의 탈용매 처리나 진공 건조 처리를 거쳐서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변성 반응의 결과로 수득되는 반응생성물 중에는 상기한 변성 공액디엔 중합체와 함께, 변성되지 않은, 활성 중합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상기 고무 조성물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의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충진제는 실리카 및 카본블랙 중에서 선택된 1 이상, 즉 실리카, 카본블랙 또는 이들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질소 흡착 비표면적(N2SA, JIS K 6217-2:2001에 준거해서 측정함)이 20 ㎡/g 내지 250 ㎡/g인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카본블랙은 디부틸프탈레이트 흡유량(DBP)이 80 cc/100g 내지 200 cc/100g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의 질소흡착 비표면적이 250 m2/g을 초과하면 고무 조성물의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 m2/g 미만이면 카본블랙에 의한 보강 성능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블랙의 DBP 흡유량이 200 cc/100g을 초과하면 고무 조성물의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80 cc/100g 미만이면 카본블랙에 의한 보강 성능이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습식 실리카(함수규산), 건식 실리카(무수규산),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리카는 파괴 특성의 개량 효과 및 웨트 그립성(wet grip)의 양립 효과가 가장 현저한 습식 실리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는 질소흡착 비표면적(nitrogen surface area per gram, N2SA)이 120 ㎡/g 내지 180 ㎡/g이고, CTAB(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흡착 비표면적이 100 ㎡/g 내지 200 ㎡/g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의 질소흡착 비표면적이 120 ㎡/g 미만이면 실리카에 의한 보강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80 ㎡/g을 초과하면 고무 조성물의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의 CTAB 흡착 비표면적이 100 ㎡/g 미만이면 충진제인 실리카에 의한 보강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0 ㎡/g을 초과하면 고무 조성물의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충진제로서 실리카가 사용될 경우 보강성 및 저발열성 개선을 위해 실란 커플링제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는 구체적으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트리술피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디술피드, 비스(2-트리에톡시실릴에틸)테트라술피드, 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비스(2-트리메톡시실릴에틸)테트라술피드,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머캅토에틸트리메톡시실란, 2-머캅토에틸트리에톡시실란,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2-트리에톡시실릴에틸-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벤조티아졸릴테트라술피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벤졸릴테트라술피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모노술피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모노술피드, 비스(3-디에톡시메틸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3-머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디메톡시메틸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또는 디메톡시메틸실릴프로필벤조티아졸릴테트라술피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성 개선 효과를 고려할 때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폴리술피드 또는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벤조티아질테트라술피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상기 고무 조성물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아연화(ZnO, zinc white) 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연화제는 스테아르산과 함께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어 활성화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범위로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고무 조성물의 가공 시 가교반응을 더욱 활성화시켜 배합 가공성 및 배합물성을 더욱 개선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고무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무 성분은 고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90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9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무 성분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일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고무 성분은 시스-1,4-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천연고무(NR); 상기 일반적인 천연고무를 변성 또는 정제한, 에폭시화 천연고무(ENR), 탈단백 천연고무(DPNR), 수소화 천연고무 등의 변성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R), 폴리부타디엔(BR), 폴리이소프렌(IR), 부틸고무(IIR),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코-이소프렌, 네오프렌, 폴리(에틸렌-코-프로필렌), 폴리(스티렌-코-부타디엔), 폴리(스티렌-코-이소프렌), 폴리(스티렌-코-이소프렌-코-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코-부타디엔), 폴리(에틸렌-코-프로필렌-코-디엔), 폴리설파이드 고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등과 같은 합성고무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외에, 통상 고무 공업계에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 조성물은 가황제, 가황 촉진제, 공정유 및 노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무 조성물이 가황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고무 조성물은 황 가교성일 수 있고, 상기 가황제는 구체적으로 황분말일 수 있으며,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될 때, 가황 고무 조성물의 필요한 탄성률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저연비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황 촉진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는 M(2-머캅토벤조티아졸), DM(디벤조티아질디술피드), CZ(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질술펜아미드) 등의 티아졸계 화합물, 혹은 DPG(디페닐구아니딘) 등의 구아니딘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황촉진제는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유는 고무 조성물내 연화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파라핀계, 나프텐계, 또는 방향족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장 강도 및 내마모성을 고려할 때 방향족계 공정유가, 히스테리시스 손실 및 저온 특성을 고려할 때 나프텐계 또는 파라핀계 공정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정유는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으로 포함될 때, 가황 고무의 인장 강도, 저발열성(저연비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화방지제로는 구체적으로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6-에톡시-2,2,4-트리메틸-1,2-디히드로퀴놀린, 또는 디페닐아민과 아세톤의 고온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노화방지제는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6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상기 배합 처방에 의해 밴버리 믹서, 롤, 인터널 믹서 등의 혼련기를 사용하여 혼련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으며, 또 성형 가공 후 가황 공정에 의해 저발열성이며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무 조성물이 수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무 조성물은 타이어 트레드, 언더 트레드, 사이드 월, 카카스 코팅 고무, 벨트 코팅 고무, 비드 필러, 췌이퍼, 또는 비드 코팅 고무 등의 타이어의 각 부재나, 방진고무, 벨트 컨베이어, 호스 등의 각종 공업용 고무 제품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배합 가공성이 우수한 상기의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됨으로써 가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인장특성 및 점탄성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 성형품은 100℃에서 측정된 무니점도가 20 내지 55이고, 60℃ tan δ 값이 0.16 내지 0.2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성형품은 타이어 또는 타이어 트레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완전히 건조시킨 반응기에 진공과 질소를 교대로 가한 뒤, 진공상태의 반응기에 1,3-부타디엔/헥산 혼합 용액 4.7 kg을 투입하고, 촉매 조성물을 첨가한 후, 70℃에서 30분 간 중합반응을 실시하여 말단에 활성화된 알루미늄 부위를 포함하는 부타디엔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촉매 조성물은 질소 조건 하에서 헥산 용매 중에, 네오디뮴 베르사테이트(NdV)을 첨가하고,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DIBAH) 및 염화디에틸알루미늄(DEAC)을 순차 투입한 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었다(NdV:DIBAH:DEAC=1:9:2 몰비). 중합 반응이 완료된 후,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변성제가 포함된 헥산 용액을 상기 촉매 조성물로부터 활성화된 알루미늄 부위를 포함하는 부타디엔 중합용액에 첨가한 후, 중합 조건과 같은 온도 조건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변성제:Nd=1:1 당량). 이 후, 중합 정지제가 포함된 헥산 용액을 투입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산화 방지제가 포함된 헥산 용액을 투입하여 변성 부타디엔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2-2]
Figure 112018116774616-pat00010
제조예 2
제조예 1에 있어서, 변성제로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변성제 대신에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변성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변성 부타디엔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2-1]
Figure 112018116774616-pat00011
실험예 1
상기 제조예 1 및 제조예 2에서 제조된 각 변성 부타디엔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 수평균 분자량, 분자량분포 및 무니점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중량평균 분자량(Mw), 수평균 분자량(Mn), 및 분자량 분포(MWD)
각 중합체를 40℃ 조건 하에서 테트라히드로퓨란(THF)에 30분간 녹인 후 겔 투과 크로마토 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적재하여 흘려주었다. 이때, 칼럼은 폴리머 라보레토리즈사(Polymer Laboratories)의 상품명 PLgel Olexis 칼럼 두 자루와 PLgel mixed-C 칼럼 한 자루를 조합 사용하였다. 또 새로 교체한 칼럼은 모두 혼합상(mixed bed) 타입의 칼럼을 사용하였으며,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표준 물질(GPC Standard material)로서 폴리스티렌(Polystyrene)을 사용하였다.
2) 무니점도 (MV, ML1+4, @100℃) (MU)
각 중합체에 대해 Monsanto사 MV2000E로 Large Rotor를 사용하여 100℃에서 Rotor Speed 2±0.02 rpm의 조건에서 무니점도(ML1+4, @100℃)(MU)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시료는 실온(23±3℃)에서 30분 이상 방치한 후 27±3g을 채취하여 다이 캐비티 내부에 채워 놓고 플래턴(Platen)을 작동시켜 토크를 인가하면서 무니점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GPC 결과 Mn(x105 g/mol) 2.49 2.64
Mw(x105 g/mol) 6.94 7.88
MWD(Mw/Mn) 2.78 2.99
무니점도 47 52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변성 부타디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카본블랙 70 중량부, 산화아연(ZnO) 3 중량부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 8 중량부를 배합하여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스테아르산을 12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합하여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변성 부타디엔 중합체 대신에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변성 부타디엔 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합하여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스테아르산을 2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합하여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스테아르산을 4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합하여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스테아르산을 6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오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합하여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스테아르산을 14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오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합하여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변성 부타디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카본블랙 70 중량부, 산화아연(ZnO) 3 중량부, 스테아르산(stearic acid) 2 중량부 및 가공조제(Struktol® EF 44) 2 중량부를 배합하여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5에 있어서, 가공조제로 Struktol® EF 44 대신에 Struktol® 60 NS 10 중량부를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5와 동일하게 배합하여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5에 있어서, 가공조제로 Struktol® EF 44 대신에 Struktol® WB 222 2 중량부를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5와 동일하게 배합하여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무 시편을 제조한 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가공성, 인장강도, 300% 모듈러스, 그리고 점탄성 특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고무 조성물에 황 1.5 중량부, 가황 촉진제(TBBS) 0.9 중량부를 첨가하고 ASTM D3189에 따라 1.6 L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로 혼합한 후, 50℃의 롤을 이용하여 시트 형태의 가황 배합물을 얻었다. 얻은 가황 배합물을 160℃에서 12분 동안 가류하여 고무시편을 제조하였다.
1)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kg·f/cm2) 및 300% 모듈러스(300% modulus, kg·f/cm2)
상기 각 고무 조성물을 150℃에서 t90분 가류 후 ASTM D412에 준하여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인장강도 및 300% 신장시의 모듈러스(M-300%)를 측정하였다.
2) 점탄성 특성(Tanδ @ 60℃)
각 고무 시편에 대한 저연비 특성에 가장 중요한 Tan δ 물성은 독일 Gabo사 DMTS 500N을 사용하여 주파수 10㎐, Prestrain 3%, Dynamic Strain 3%에서 60℃에서의 점탄성 계수(Tan δ)를 측정하였다. 이때, 60℃에서의 Tanδ 값이 낮을수록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적고, 회전저항성 특성이 우수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즉 연비성이 우수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3) 가공성
가공성은 상기 가황배합물을 이용하여 무니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의 무니점도가 낮을수록 가공성이 우수함을 나타내는 것이고 결과적으로 고무 조성물의 배합 가공성이 우수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무니점도(ML1+4, @100℃)(MU)는 상기 제조된 각 가황 배합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onsanto사 MV2000E로 Large Rotor를 사용하여 100℃에서 Rotor Speed 2±0.02 rpm의 조건에서 무니점도(MV)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시료는 실온(23±3℃)에서 30분 이상 방치한 후 27±3g을 채취하여 다이 캐비티 내부에 채워 놓고 플래턴(Platen)을 작동시켜 토크를 인가하면서 무니점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7
인장특성
(Index)
M-300% 119
(103)
121
(104)
118
(102)
116
(100)
115
(101)
115
(99)
110
(90)
115
(99)
116
(100)
108
(93)
인장강도 264
(103)
265
(104)
270
(105)
256
(100)
260
(102)
255
(100)
243
(95)
238
(93)
230
(90)
243
(95)
점탄성 특성
(Index)
Tan δat 60℃ 0.167
(105)
0.164
(107)
0.166
(105)
0.175
(100)
0.169
(104)
0.173
(101)
0.206
(85)
0.173
(101)
0.194
(90)
0.172
(102)
가공성
(Index)
무니점도 51
(127)
47
(138)
52
(125)
65
(100)
60
(108)
59
(110)
46
(140)
62
(105)
52
(125)
62
(105)
여기에서, 인장특성의 Index 값은 비교예 1의 값을 100으로 하여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계산하였고, 잠탄성 특성 및 가공성의 Index 값은 비교예 1의 값을 100으로 하여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계산하였다.
[수학식 1]
Index=(측정값/기준값)×100
[수학식 2]
Index=(기준값/측정값)×100
상기 표 2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예 1 내지 7 대비 우수한 인장특성 및 점탄성 특성을 나타내면서 가공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스테아르산을 2 중량부로 포함하는 통상적인 고무 조성물에 해당하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인장특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점탄성 특성이 크게 상승하였으며, 가공성 특성에 있어서는 25~38% 수준으로 현저하게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스테아르산을 6 중량부 및 14 중량부로 포함하는 비교예 3 및 4의 경우에 있어서, 비교예 3은 실시예 1 내지 3 대비 인장특성 및 점탄성 특성에서 감소된 효과를 나타내면서 현저하게 감소된 가공성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4는 가공성 특성은 실시예 2와 동등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인장특성 및 점탄성 특성이 크게 감소되었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아르산은 8 내지 12 중량부의 특정함량으로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의 경우 중합체와 충진제의 배합성이 향상되어 배합 가공성이 개선되고, 이에 고무 성형품의 인장강도 및 점탄성 특성이 우수하면서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으나, 상기 특정함량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배합성 향상이 미미하여 충분한 효과가 발현되지 못하거나, 과량으로 인해 오히려 고무 조성물의 안정성이 무너질 수 있고 이에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높은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내어 점탄성 특성이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아울러, 비교예 6은 가공조제를 총 12 중량부로 포함하였으나 동등량의 가공조제를 사용한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인장강도, 점탄성 특성 및 가공성이 크게 낮았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에 있어서 스테아르산에 다른 가공조제를 혼합사용 하는 것 보다 스테아르산과의 배합성이 우수한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0)

  1. 변성제 유래 작용기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단위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100 중량부;
    충진제 1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
    아연화 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8.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분자량 분포가 2.0 내지 3.5인 것인 고무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100℃에서 측정된 무니점도가 20 내지 60인 것인 고무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고무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116774616-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및 -R6COOR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3가 탄화수소기;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이고,
    단, R1 내지 R3이 모두 동시에 3가 탄화수소기; 또는 2가 탄화수소기는 아니며,
    R4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기이고,
    R5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할로겐; 시아노기; 또는 -COR8이며,
    R6은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렌기이고,
    R7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이며,
    R8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2 내지 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0의 헤테로아민기 및 탄소수 3 내지 10의 디실릴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성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고무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8116774616-pat00013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및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3가 탄화수소기;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이고,
    R2는 -R6COOR7로 치환된 3가 탄화수소기이며,
    R4 및 R6은 단일 결합이고,
    R7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이며,
    R9 내지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고무 조성물:
    [화학식 2-1]
    Figure 112018116774616-pat00014

    [화학식 2-2]
    Figure 112018116774616-pat00015

    [화학식 2-3]
    Figure 112018116774616-pat00016
    .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네오디뮴 촉매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인 것인 고무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네오디뮴 촉매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네오디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고무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22093756019-pat00017

    상기 화학식 3에서,
    Ra 내지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이고,
    단, Ra 내지 Rc가 모두 동시에 수소는 아니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실리카 및 카본블랙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인 것인 고무 조성물.
  10. 100℃에서 측정된 무니점도가 20 내지 55이고,
    60℃ tan δ 값이 0.16 내지 0.20인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
KR1020180145547A 2018-11-22 2018-11-22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 KR10249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547A KR102490387B1 (ko) 2018-11-22 2018-11-22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547A KR102490387B1 (ko) 2018-11-22 2018-11-22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060A KR20200060060A (ko) 2020-05-29
KR102490387B1 true KR102490387B1 (ko) 2023-01-19

Family

ID=7091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547A KR102490387B1 (ko) 2018-11-22 2018-11-22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3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596B1 (ko) * 2016-07-04 2019-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JP6953688B2 (ja) 2016-07-22 2021-10-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060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756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122470B1 (ko) 변성제 및 이로부터 유래된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109837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5653B1 (ko)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3081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0985B1 (ko) 변성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0391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0387B1 (ko)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
KR102281111B1 (ko)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123079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23455A (ko)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20200072979A (ko)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509140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384834B1 (ko) 촉매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555990B1 (ko)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
KR102595111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653221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8725B1 (ko)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666895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30019722A (ko) 테트라설파이드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상기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20200086532A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20210036082A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20210033933A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10051967A (ko) 신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상기 화합물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20013066A (ko) 변성 올리고머, 이의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