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042B1 - 푸시풀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푸시풀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042B1
KR102490042B1 KR1020200172074A KR20200172074A KR102490042B1 KR 102490042 B1 KR102490042 B1 KR 102490042B1 KR 1020200172074 A KR1020200172074 A KR 1020200172074A KR 20200172074 A KR20200172074 A KR 20200172074A KR 102490042 B1 KR102490042 B1 KR 10249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receptacle
hole
locking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303A (ko
Inventor
이상로
김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to KR102020017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0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푸시풀 리셉터클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하우징과 내부로 플러그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공과 상기 중공 내로 유입된 플러그의 커버 및 하우징에 결합되어 플러그의 탈착을 조절하는 락킹 볼과 하우징 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락킹 볼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되, 유입되는 플러그의 하우징 방향으로 상기 락킹 볼의 일 면적이 드러나도록 하는 관통공 및 유입되는 플러그의 커버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과 일면적이 겹치도록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푸시풀 리셉터클{Push-Pull Receptacle}
본 발명은 볼 타입의 푸시풀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기·전자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커넥터(Connector)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전자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그 사용빈도가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장치와 장치를 접속시키는 전기 커넥터는 플러그와 리셉터클(Receptacle)을 구비하며, 각 장치에 각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실장하고, 양자를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장치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러한 커넥터 중 간단한 구성으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볼타입 푸시-풀(Push-Pull) 타입 커넥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리셉터클 내 볼이 플러그를 고정하며, 플러그 사용자가 플러그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착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리한 용법과 간단한 구조로 인해 볼타입 푸시-풀 타입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플러그가 리셉터클 내부로 유입되며, 볼이 플러그 내 구성과 결합하며 플러그를 리셉터클 내에서 고정시킨다. 이때, 볼이 플러그와 접촉하며 플러그로부터 외력을 받더라도 리셉터클로부터 이탈하지 않아야 하므로, 종래의 리셉터클은 볼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볼의 형태와 대응되는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볼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리셉터클 내 고정되어야 하는 동시에 볼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되어야 하여, 제조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해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구성을 이용하여 리셉터클 내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볼의 움직임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하는 푸시풀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하우징과 내부로 플러그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공과 상기 중공 내로 유입된 플러그의 커버 및 하우징에 결합되어 플러그의 탈착을 조절하는 락킹 볼과 하우징 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락킹 볼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되, 유입되는 플러그의 하우징 방향으로 상기 락킹 볼의 일 면적이 드러나도록 하는 관통공 및 유입되는 플러그의 커버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과 일면적이 겹치도록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이탈 방지부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이탈 방지부는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이탈 방지부는 일 부분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구성을 이용하여 리셉터클 내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볼의 움직임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4는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내로 플러그가 유입되었을 경우에 리셉터클 내 락킹 볼과 관통공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리셉터클(110) 및 플러그(12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10)은 리셉터클(110)을 구비하는 장치(미도시)와 플러그(120)를 연결하며, 연결된 플러그(120)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리셉터클(110)은 하우징 내 볼을 포함하여 볼을 플러그(120)의 골(Furrow)에 장착하며, 삽입된 플러그(120)를 고정시킨다. 리셉터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플러그(120)는 리셉터클(110)로 삽입되며, 리셉터클(110)을 구비하는 장치와 연결되어 해당 장치와 전기 신호 또는 광 신호 등을 송수신한다. 플러그(120)는 내부에 케이블을 포함하여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며, 케이블을 외력이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 케이블이나 기타 구성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 및 플러그(120)의 착탈을 위해 작용하는 외력을 받아 제공하는 구성 등을 플러그(120)의 외부에 포함한다.
플러그(120)는 푸시-풀(Push-Pull) 커넥터로서,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받아 리셉터클(110)로 삽입되거나, 리셉터클(110)로부터 분리된다. 플러그(120)의 구조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110)은 하우징(210), 락킹 볼(220), 이탈 방지부(230) 및 단자부(24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리셉터클(110) 내 각 구성이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10)은 플러그(120)가 유입되는 최선단에 중공(中空, 213)을 포함하여, 플러그(120)가 중공(213) 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10)은 관통홀(216)을 포함한다. 관통홀(216)은 락킹 볼(220)이 배치되어 이탈하지 않으면서, 경우에 따라 일 면적이 관통홀(216)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다. 관통홀(216)은 하우징(210)의 내부(중공 방향) 및 외부(중공의 반대 방향)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관통홀(216)의 각 끝단의 면적(직경)은 락킹 볼(220)의 직경보다 작아 별도의 외력없이는 락킹 볼(220)이 관통홀(216)을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관통홀(216) 내 배치된 락킹 볼(220)은 평시에는 내부 또는 외부의 방향으로 일정 면적 드러난 채로 있으며, 중공(213) 내로 플러그(120)가 유입될 경우, 락킹 볼(220)은 플러그(120)의 일면과 접촉하며 일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210) 내 관통홀(216)은 락킹 볼(220)이 배치될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락킹 볼(220)이 배치되는 경우, 플러그(120)의 고정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통홀(216)은 기 설정된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 내 관통홀(216)은 하우징(210)의 연직상방(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된다. 관통홀(216)이 기울어져 형성된 구조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210)은 이탈 방지부(230)가 배치될 홈(219)을 포함한다. 홈(219)은 하우징의 외부에서 관통홀(216)과 일정 면적 겹치도록 형성된다. 이에, 홈(219)에 이탈 방지부(230)가 배치되는 경우, 하우징의 외부 방향으로 이탈 방지부(230)와 관통홀(216) 내 락킹 볼(220)이 일정면적만큼 접촉할 수 있다. 홈(219)은 양자(220, 230)의 접촉을 유도함으로써 락킹 볼(220)의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락킹 볼(220)은 관통홀(216) 내 배치되며, 플러그(120)의 골(도 4를 참조하여 후술)에 배치되어 플러그(120)를 고정한다. 락킹 볼(220)은 전술한 대로, 관통홀(216) 내에 일정 면적이 외부로 드러난 채 위치하게 되며, 플러그(120)와의 접촉으로 일정 방향으로 힘을 받을 경우, 해당 방향으로 더 많은 면적이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주로, 락킹 볼(220)은 플러그(120) 내 골이 외치한 부위로 힘을 받아 상대적으로 많은 면적이 드러나며, 골에 배치됨으로써 플러그(120)를 고정시킨다.
이탈 방지부(230)는 홈(219)에 배치되어, 락킹 볼(220)의 하우징 외부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탈 방지부(230)의 자세한 구조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부의 사시도이다.
이탈 방지부(2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현되며, 개방된 부분(610)을 갖는다. 이에, 하우징(210) 내 홈(219)에 배치됨에 있어, 개방된 부분(610)을 기준으로 하우징(210)의 직경만큼 벌어지며 홈(219)에 배치될 수 있다. 개방된 부분(610)의 길이는 관통홀(216)이 배치된 간격보다 좁은 길이를 갖는다. 이에, 이탈 방지부(230)는 홈(219)에 배치될 수 있으면서도, 모든 관통홀(216) 내 락킹 볼(2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230)는 개방된 부분(610)을 포함하는 'C'형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방된 부분(610)을 포함하며 탄성을 갖는 소재이면 어떠한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자부(240)는 중공(213) 내에 돌출되어, 중공(213) 내로 유입되는 플러그(120) 내 소켓(도 4를 참조하여 후술)과 결합된다. 리셉터클(110) 내 단자부(240)와 플러그(120) 내 소켓이 결합되며, 리셉터클(110)을 구비하는 장치와 플러그가 광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4는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20)는 커버(310), 하우징(320) 및 소켓(330)을 포함한다.
커버(310)는 플러그(120)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외력을 받아 후방으로 이동하며 플러그(120)를 이동시킨다.
커버(310)는 플러그(120)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특히, 하우징(320)의 외부에 배치된다. 다만, 커버(310)가 하우징(320)과 일정한 거리(410)만큼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플러그(120)가 리셉터클(110) 내 중공(213)으로 삽입될 때 리셉터클(110)의 하우징(210)이 커버(310)와 하우징(320)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310)는 플러그(120)의 최외곽에 배치됨으로써, 특히, 옥외에 플러그(120)가 리셉터클(110)로 연결되는 경우, 플러그 내부 구성이 외부 환경(눈 또는 비 등)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310)는 (광 커넥터 사용자 등으로부터) 외력을 받아 이동한다. 커버(310)는 전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받아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주로, 후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받아 후방으로 이동한다. 외력에 의해 커버(31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후방으로 외력을 전달함으로써 플러그(12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전달한다. 락킹 볼(220)이 골(325)을 벗어날 정도의 외력이 커버(310)로 작용하는 경우, 플러그(120)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하우징(320)은 골(325)을 포함하여, 내부로 유입된 리셉터클을 고정시킨다. 하우징(320)은 최선단으로부터 리셉터클(110)이 유입되는 방향(+x축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골(325)을 포함한다. 커버(310)와 하우징(320)간 간격(410) 사이로 리셉터클의 하우징(210)이 유입되며, 하우징(210)과 함께 락킹 볼(220)이 해당 간격(410) 사이로 유입된다. 리셉터클(110)이 유입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진입을 하면, 락킹 볼(220)의 돌출된 부분이 골(325)에 안착된다. 이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플러그(120)의 커버(310)로 가해지지 않는 한, 플러그(120)는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내로 플러그가 유입되었을 경우에 리셉터클 내 락킹 볼과 관통공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플러그(120)가 리셉터클(110)로 유입된다. 리셉터클(110) 내 락킹 볼(220)은 커버(310)와 하우징(320) 사이의 간격(410)을 따라 (수동적으로) 진행하게 되며, 하우징(320) 내 골(325)까지 진행하게 된다. 이탈 방지부(230)의 존재에 의해, 관통홀(216) 내의 락킹 볼(220)은 주로 하부(유입된 플러그의 하우징 방향, -y축 방향)로 일정 면적 돌출된 상태로 존재한다. 하우징(320) 내 골(325)이 락킹 볼(220)의 위치까지 진입하게 되면, 락킹 볼(220)은 골(325)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최대의 면적으로 돌출되며, 플러그(120)를 리셉터클(110) 내에서 고정시킨다.
이때, 전술한 대로, 관통홀(216)은 하우징(210)의 연직상방(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 +y축 방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θ)만큼 기울어져 형성된다. 홈(219)은 하우징(210)의 외부에서 관통홀(216)과 일정 면적 겹치도록 형성되는데, 관통홀(216)이 일정 각도 기울어지지 않은 채 형성된다면, 홈(219)에 배치되는 이탈 방지부(230)는 연직상방(+y축 방향)으로 하우징(210)을 기준으로 하우징(210)보다 돌출되게 된다. 락킹 볼(220)이 골(325)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탈 방지부(230)가 연직상방으로 돌출된다면, 락킹 볼(220)이 골(325)로부터 벗어나는데 있어 상당한 힘을 요하게 되며, 이탈 방지부(230)와 락킹 볼(220)에 상당한 마찰이 가해지며 양 구성(220, 230)의 내구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를 유발한다. 또한, 이탈 방지부(220)가 연직상방으로 돌출되며 커버(310)와 접촉을 하게 된다면, 양 구성(220, 230) 뿐만 아니라 커버(310)의 내구성까지 현저히 떨어뜨리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216)은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된다. 관통홀(216)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락킹 볼(220)이 골(325)에 배치된 상태에서 락킹 볼(220)과 이탈 방지부(230)가 일정 면적 겹치더라도 연직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관통홀(216)이 지나치게 많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 락킹 볼(220)이 연직 상방으로 이동하는데 있어 상당히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관통홀(216)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락킹 볼(220)은 하우징(320)으로부터 힘을 연직 상방으로 받는 것이 아니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진 채로 받는다. 하우징(320)에 의해 락킹 볼(220)로 가해지는 힘을 Fa, 락킹 볼(220)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가해지는 힘을 Fv라 하면, 양자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133996119-pat00001
이를 참조하면, 동일한 힘(Fa)이 락킹 볼(220)로 가해지는 상황에서, 각도가 커지면 커질수록 Fv는 작아지게 된다. 즉, 동일한 거리만큼 락킹 볼(220)을 연직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데 있어, 각도가 커지면 커질수록 더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된다.
전술한 점을 참조할 때, 관통홀(216)은 일정 각도만큼은 기울어져야 하나, 지나치게 많이 기울어져서도 안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각도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관통홀(216)은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음으로서, 플러그(120)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이탈 방지부(220)가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넥터
110: 리셉터클
120: 플러그
210: 하우징
213: 중공
216: 관통공
219: 홈
220: 락킹 볼
230: 이탈 방지부
240: 단자부
310: 커버
320: 하우징
325: 골
330: 소켓

Claims (4)

  1. 하우징;
    내부로 플러그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공;
    상기 중공 내로 유입된 플러그의 커버 및 하우징에 결합되어 플러그의 탈착을 조절하는 복수의 락킹 볼;
    기 설정된 간격마다 하우징 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락킹 볼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되, 유입되는 플러그의 하우징 방향으로 상기 락킹 볼의 일 면적이 드러나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공;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관통공과 일 면적이 겹치도록 형성되는 홈;
    상기 홈에 배치되어 상기 락킹 볼의 하우징 외부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며, 일 부분이 개방된 형상을 갖되 개방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관통공이 배치된 간격보다 좁은 길이를 갖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하우징의 연직상방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4. 삭제
KR1020200172074A 2020-12-10 2020-12-10 푸시풀 리셉터클 KR10249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74A KR102490042B1 (ko) 2020-12-10 2020-12-10 푸시풀 리셉터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74A KR102490042B1 (ko) 2020-12-10 2020-12-10 푸시풀 리셉터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303A KR20220082303A (ko) 2022-06-17
KR102490042B1 true KR102490042B1 (ko) 2023-01-18

Family

ID=8226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074A KR102490042B1 (ko) 2020-12-10 2020-12-10 푸시풀 리셉터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0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9834A (zh) * 2017-06-23 2019-01-0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插座连接器及其滚珠锁紧结构
KR102170318B1 (ko) 2019-04-22 2020-10-26 이상로 파워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978U (ko) * 2009-11-12 2011-05-18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퀵 커플러
KR101831706B1 (ko) * 2015-12-09 2018-02-23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안전 커플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9834A (zh) * 2017-06-23 2019-01-0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插座连接器及其滚珠锁紧结构
KR102170318B1 (ko) 2019-04-22 2020-10-26 이상로 파워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303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6305B2 (en) Fiber optic transceiver module release mechanism
CN102782545B (zh) 用于电子装置的光纤接口装置
US20120156938A1 (en) Plug connector with improved circuit card to lower cross-talking therein
US7435145B2 (en)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components
KR101488600B1 (ko) 통신모듈
US8932084B2 (en) Connector system
US9261653B2 (en) Fiber optic plug assembly and optical connector system
US20160126660A1 (en) Retention features for cable assembly of a pluggable connector
KR101235936B1 (ko) 동축 커넥터
US20080032526A1 (en) Connector easily adapted to miniaturization
KR20020061122A (ko) 차동 및 단종단 전송장치용 고속, 고밀도 인터커넥트 시스템
KR20050111677A (ko)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의 체결 장치
US9831584B2 (en) Plug-in connector
US9287660B2 (en) Pluggable connector having a coupling mechanism
US9239436B2 (en) Fiber optic plug having an articulated force structure to inhibit angular ferrule biasing during insertion into an optical receptacle,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KR102170318B1 (ko) 파워 커넥터
KR102588118B1 (ko) 스프링 장착 전기 커넥터
US20150024619A1 (en) Device for contacting a circuit board
US20190109414A1 (en) Connector system
KR102490042B1 (ko) 푸시풀 리셉터클
KR20080091582A (ko)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
US7040912B2 (en) Mechanical lock type connecter
US1041142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220133292A (ko) 접촉 조립체의 탄성 암을 스터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KR102104176B1 (ko) 다방향 광섬유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