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601B1 -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 - Google Patents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601B1
KR102489601B1 KR1020220134652A KR20220134652A KR102489601B1 KR 102489601 B1 KR102489601 B1 KR 102489601B1 KR 1020220134652 A KR1020220134652 A KR 1020220134652A KR 20220134652 A KR20220134652 A KR 20220134652A KR 102489601 B1 KR102489601 B1 KR 102489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bed body
head
negative pressur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601B9 (ko
Inventor
변성관
Original Assignee
(주)우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우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13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601B1/ko
Publication of KR10248960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60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호흡기 감염성 질환자를 격리시켜 이송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 구성되되, 베드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침상이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NEGATIVE PRESSURE CARRIER HAVING BED ANGLE CONTROL STRUCTURE}
본 발명은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흡기 감염성 질환자를 격리시켜 이송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 구성되되, 베드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침상이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로 인한 호흡기 감염성 질환은 감염율이 높은 질병으로, 호흡기 질환에는 많은 종류의 바이러스가 관여되어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 등이 대표적 병원체이며, 최근 유행하고 있는 COVID-19도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이다.
호흡기 감염성 질환은 접촉 및 비말을 통해 감염될 수 있으므로 호흡기 질환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고 같은 공간에 함께 체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호흡기 감염성 질환을 검사하거나 진료해야 하는 경우에는, 검사자(의료진)가 고글이나 방호복을 이용하여 감염경로를 차단한 상태로 호흡기 감염성 질환 의심환자나 호흡기 감염성 질환자를 검사 및 진료하는 방안이 있다.
또는, 호흡기 감염성 질환 의심환자나 호흡기 감염성 질환자를 음압병실에 수용하여 외부 및 일반 환자들과 격리한 상태로 검사 및 진료하는 방안이 있다. 음압병실은 병실 내부의 공기압을 낮춰 공기가 항상 병실 안쪽으로만 흐르도록 설계하여 바이러스나 병균으로 오염된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마련된 특수 격리 병실이다.
그런데, 호흡기 감염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집중하더라도 호흡기 감염성 질환에 감염된 환자의 적절한 격리 및 이동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으면, 호흡기 감염성 질환자로부터의 2차 감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흡기 감염성 질환자를 이송(搬送)하는 동안 구급대원이나 주변의 의료진이 호흡기 감염성 질환 환자에 의하여 호흡기 감염성 질환에 감염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기 위해 이송용 들것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송용 들것은 휴대가 간편하고 가벼워 환자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환자를 격리하기 위한 구조물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환자의 이송과정 동안 호흡기 감염성 질환자로부터 발생하는 감염경로를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환자를 이송하기 위한 들것에, 비닐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막을 씌우는 장치를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20034에는 환자 이송용 음압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환자 이송용 음압백은 직사각 틀체 형상을 갖는 바닥형상 유지용 프레임과; 반원판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형상 유지용 프레임의 전,후방 상면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전,후면 판재와; 상기 바닥형상 유지용 프레임과 전,후면 판재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 상태를 갖고 사용시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터널 형상의 내부 영역이 구비되되, 전,후단과 일측면에는 오염물질에 노출된 환자를 신속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 밀폐용 지퍼가 설치되고, 후면 후방부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필터를 구비한 외부공기 흡입구가 설치된 형태를 갖는 가요성 보호덮개와; 상기 바닥형상 유지용 프레임의 상면 일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가 터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보호덮개 지지대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손잡이부재와; 상기 후면 판재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형태에서 환자가 수용되는 가요성 보호덮개 내 공기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게 만들어 주기 위해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며, 내부는 음압상태가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 및 세균의 외부 유출은 방지 및 제거하는 음압기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의 전방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형태에서, 의료진이 외부에서 고무장갑에 두손을 끼고 내부에 있는 환자를 손으로 만지면서 각종 상태를 검사 및 진찰하거나 각종 약재를 주사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글로브 포트와; 상기 가요성 보호덮개 중 환자의 심장이 위치되는 전방 상부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이송중인 환자가 심폐 정지시 음압백 내의 음압 상태는 유지시키면서 외부에서 음압백 내 환자의 심장위치 상부로 두손을 밀어 넣고 심폐 소생술(CPR)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부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외부 충격에 약해서 음압 환경이 쉽게 깨질 수 있기 때문에, 호흡기 감염성 질환자의 이송 시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경우에 따라서 음압백 내에서 특수한 의학적인 처치나 치료 및 편안한 자세로 이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환자 체위 변경이 불가하여 환자 상태가 악화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호흡기 감염성 질환자를 격리시켜 이송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 구성되되, 베드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침상이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음압 캐리어에 있어서, 환자를 수용하는 베드본체; 상기 베드본체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베드본체 전면 및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음압 또는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음양압 유닛; 상기 베드본체 상에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다리받침판이 놓여지게 설치되고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다리받침판의 위에는 매트가 놓여지며,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다리받침판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매트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침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드본체 및 커버는 하드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베드본체의 상단에는 라인을 따라 결합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에는 라인을 따라 내측에 상기 결합림부에 안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림부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결합림부에 안착 결합된 결합턱의 외면에 체결되어 베트본체에 커버를 밀폐 고정시키는 잠금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베드본체 저면에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패스닝부재를 통해 패스닝 프로파일이 결합되고, 상기 패스닝부재에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댐핑부재가 배열 설되며, 상기 패스닝 프로파일의 양단부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베드본체 전면 양측에는 각종 라인을 음압 캐리어 내로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는 다수의 인렛포트가 형성된 메디칼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커버의 외부에서 상기 내부공간 내의 환자를 검사 및 관찰하거나 기관내 삽관, CPR 및 각종 약재를 주사할 수 있게 하는 글로브가 결합되는 다수의 글로브 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머리허리받침판 및 엉덩이받침판의 사이에는 상기 베드본체의 바닥면에 회동지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머리허리받침판은 후단이 상기 회동지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베드본체의 바닥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머리허리받침용실린더의 로드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로드가 신장되면 지지브라켓을 상측으로 밀게 되고 머리허리받침판이 회동지지브라켓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엉덩이받침판은 전단이 상기 회동지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엉덩이받침판의 후단 및 상기 다리받침판의 전단은 경첩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베드본체의 후단부 상면에 가로방향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세로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다수개 마련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경첩을 기준으로 엉덩이받침판과 다리받침판을 상측으로 절곡 회동시키고 상기 다리받침판의 후단을 상기 안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지지시키면, 엉덩이받침판과 다리받침판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지지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드본체의 바닥면 양측에는 지지블럭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및 다리받침판이 베드본체 내에서 펼쳐졌을 때,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및 다리받침판의 저면이 안착되어 지지되게 구성되고, 상기 회동지지브라켓은 베드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되 상면 전단부 및 후단부에 머리허리받침판의 후단 및 엉덩이받침판의 전단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회동홈이 형성된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상부에 결합되되 저면에 머리허리받침판의 후단 및 엉덩이받침판의 전단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회동홈이 형성된 고정블럭으로 구성되며, 상기 머리허리받침판의 지지브라켓에는 지지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각도 조절된 머리허리받침판을 베드본체의 바닥면에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및 다리받침판의 표면에는 다수의 끼움공이 결합되고, 상기 매트는 EVA 재질로 마련되되, 그 저면에는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매트가 상기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및 다리받침판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는 호흡기 감염성 질환자를 격리시켜 이송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베드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침상이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환자를 누운 자세 또는 앉은 자세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자세를 설정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는 호흡기 감염성 질환자를 격리시켜 이송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게 구성되되, 베드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침상이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베드본체(100), 커버(200), 음양압 유닛(300) 및 침상(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드본체(100)는 음압 캐리어의 하부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커버(200)는 음압 캐리어의 상부구조를 구성하며, 베드본체(100)에 제공하는 공간에 환자가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200)는 상기 베드본체(100)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베드본체(100)와 커버(200) 사이에 밀폐된 내부공간(S)을 형성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드본체(100) 및 커버(200)는 천이나 비닐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고 하드타입으로 형성되어, 충격이나 유동에도 안정적으로 내부공간(S)이 밀폐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타입으로 이루어지는 베드본체(100) 및 커버(200)는 유연한 재질보다 청소가 용이하며, 전염성이 강한 환자가 수용되는 내부공간(S)을 세척하거나 소독하는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베드본체(100)의 상부에 커버(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내부공간(S)이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서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베드본체(100)의 상단에는 라인을 따라 결합림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00)의 하단에는 라인을 따라 내측에 상기 결합림부(110)에 안착되는 결합홈부(211)가 형성되는 결합턱(21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림부(110)의 하측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결합림부(110)에 안착 결합된 결합턱(210)의 외면에 체결되어 베트본체(100)에 커버(200)를 밀폐 고정시키는 잠금수단(120)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수단(120)은 공지된 다양한 수단이 채용 가능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와 같은 결합부재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120)는 베드본체(100)와 커버(200)가 접촉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베드본체(100) 저면에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패스닝부재(131)를 통해 패스닝 프로파일(130)이 결합되고, 상기 패스닝부재(131)에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댐핑부재(140)가 배열 설치되며, 상기 패스닝 프로파일(130)의 양단부에는 손잡이(15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베드본체(100) 저면에 결합되는 패스닝 프로파일(130)은 베드본체(100) 저면을 지지하여 베드본체(100)에 환자를 수용하여 이송할 때 베드본체(100)가 꺼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지지하며, 상기 손잡이(150)는 베드본체(100)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상기 댐핑부재(140)는 베드본체(100)를 지면에 내려 놓을 때 충격을 흡수하여 베드본체(100) 내에 환자에게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댐핑부재(140)는 바람직하게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elastic material),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반-연질 또는 합성 재료 또는 그밖에 유사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더블어, 상기 베드본체(100) 전면 양측에는 각종 라인을 음압 캐리어 내로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는 다수의 인렛포트가 형성된 메디칼 포트(160)가 형성된다.
이에 더해, 상기 커버(200)에는 커버(200)의 외부에서 상기 내부공간(S) 내의 환자를 검사 및 관찰하거나 기관내 삽관, CPR 및 각종 약재를 주사할 수 있게 하는 글로브가 결합되는 다수의 글로브 포트(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글로브 포트(220)는 네오디움 자석을 통해 분리 및 결합되는 개폐판을 통해 개방 및 밀폐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음양압 유닛(300)은 상기 베드본체(100) 전면 및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공간(S)이 외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음압 또는 양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음양압 유닛(300)은 상기 베드본체(100)의 후단에 구비되고 공기 흡입로와 공기 배출로가 형성되는 컨트롤 챔버(310)와, 상기 공기 흡입로와 공기 배출로 각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 부재(320)와, 상기 공기 흡입로에 구비되어 외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흡기팬(330)과, 상기 공기 배출로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의 공기(내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송풍팬(340)과 상기 흡기팬(330)과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흡기관(350)과, 상기 송풍팬(340)과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배기관(360)과, 상기 베드본체(100)의 전단에 구비되는 아울렛필터(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 부재(320) 및 아울렛필터(370)는 교체하거나 내부 구성요소들을 유지 보수할 수 있게 구성되고, 세균 및 바이러스를 필터링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양압 유닛(300)은 외부와의 격리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음압 모드와 양압 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 외부의 바이러스나 유해균으로부터 환자를 외부와 격리하거나, 바이러스나 유해균에 감염된 환자를 외부와 확실하게 격리할 수 있으며, 양압 모드와 음압 모드의 선택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침상(400)은 베드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환자가 편안하게 누울 수 있게 구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베드본체 상에 머리허리받침판(410), 엉덩이받침판(420), 다리받침판(430)이 놓여지게 설치되고 머리허리받침판(410), 엉덩이받침판(420), 다리받침판(430)의 위에는 매트(M)가 놓여지며, 머리허리받침판(410), 엉덩이받침판(420), 다리받침판(430)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매트(M)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베드본체(100) 내에 설치되는 침상(400)이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환자를 누운 자세 또는 앉은 자세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자세를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머리허리받침판(410) 및 엉덩이받침판(420)의 사이에는 상기 베드본체(100)의 바닥면에 회동지지브라켓(4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허리받침판(410)은 후단이 상기 회동지지브라켓(4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브라켓(411)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브라켓(411)에는 베드본체(100)의 바닥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머리허리받침용실린더(430)의 로드(431)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431)가 신장되면 지지브라켓(411)을 상측으로 밀게 되고 머리허리받침판(410)이 회동지지브라켓(440)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받침판(420)은 전단이 상기 회동지지브라켓(4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엉덩이받침판(420)의 후단 및 상기 다리받침판(430)의 전단은 경첩(H)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베드본체(100)의 후단부 상면에 가로방향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세로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다수개 마련되는 안착홈(17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첩(H)을 기준으로 엉덩이받침판(420)과 다리받침판(430)을 상측으로 절곡 회동시키고 상기 다리받침판(430)의 후단을 상기 안착홈(170)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지지시키면, 엉덩이받침판(420)과 다리받침판(430)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지지되게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베드본체(100)의 바닥면 양측에는 지지블럭(19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머리허리받침판(410), 엉덩이받침판(420) 및 다리받침판(430)이 베드본체(100) 내에서 펼쳐졌을 때, 머리허리받침판(410), 엉덩이받침판(420) 및 다리받침판(430)의 저면이 안착되어 지지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지지브라켓(430)은 베드본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되 상면 전단부 및 후단부에 머리허리받침판(410)의 후단 및 엉덩이받침판(420)의 전단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회동홈(431a)이 형성된 지지블럭(431)과, 상기 지지블럭(431)의 상부에 결합되되 저면에 머리허리받침판(410)의 후단 및 엉덩이받침판(420)의 전단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회동홈(432a)이 형성된 고정블럭(431)으로 구성된다.
이에 더해, 상기 머리허리받침판(410)의 지지브라켓(411)에는 지지대(4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각도 조절된 머리허리받침판(410)을 베드본체(100)의 바닥면에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침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본체(100) 내에서 머리허리받침판(410), 엉덩이받침판(420) 및 다리받침판(430)을 펼쳐지도록 수평 상태로 침상을 배치하면 환자가 누운 자세로 베드본체(10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상(400)은 머리허리받침용실린더(430)의 로드(431)를 신장시켜 지지브라켓(411)을 상측으로 밀면 머리허리받침판(410)이 회동지지브라켓(440)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들어 세워지게 하여 상반신만 세워지도록 자세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H)을 기준으로 엉덩이받침판(420)과 다리받침판(430)을 상측으로 절곡 회동시키고 다리받침판(430)의 후단을 안착홈(170)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여 지지시키면, 엉덩이받침판(420)과 다리받침판(430)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환자를 앉은 자세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도 환자를 누운 자세 또는 앉은 자세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자세를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머리허리받침판(410), 엉덩이받침판(420) 및 다리받침판(430)에 매트(M)를 조립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리허리받침판(410), 엉덩이받침판(420) 및 다리받침판(430)의 표면에는 다수의 끼움공(O)이 결합되고, 상기 매트(M)는 EVA 재질로 마련되되, 그 저면에는 상기 끼움공(O)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B)가 형성되어, 매트(M)가 상기 머리허리받침판(410), 엉덩이받침판(420) 및 다리받침판(430)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베드본체 200: 커버
300: 음양압 유닛 400: 침상

Claims (6)

  1.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음압 캐리어에 있어서,
    환자를 수용하는 베드본체;
    상기 베드본체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베드본체 전면 및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음압 또는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음양압 유닛;
    상기 베드본체 상에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다리받침판이 놓여지게 설치되고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다리받침판의 위에는 매트가 놓여지며,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다리받침판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매트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침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머리허리받침판 및 엉덩이받침판의 사이에는 상기 베드본체의 바닥면에 회동지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머리허리받침판은 후단이 상기 회동지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베드본체의 바닥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머리허리받침용실린더의 로드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로드가 신장되면 지지브라켓을 상측으로 밀게 되고 머리허리받침판이 회동지지브라켓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엉덩이받침판은 전단이 상기 회동지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엉덩이받침판의 후단 및 상기 다리받침판의 전단은 경첩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베드본체의 후단부 상면에 가로방향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세로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다수개 마련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경첩을 기준으로 엉덩이받침판과 다리받침판을 상측으로 절곡 회동시키고 상기 다리받침판의 후단을 상기 안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지지시키면, 엉덩이받침판과 다리받침판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지지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본체 및 커버는 하드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베드본체의 상단에는 라인을 따라 결합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단에는 라인을 따라 내측에 상기 결합림부에 안착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림부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결합림부에 안착 결합된 결합턱의 외면에 체결되어 베트본체에 커버를 밀폐 고정시키는 잠금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베드본체 저면에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패스닝부재를 통해 패스닝 프로파일이 결합되고, 상기 패스닝부재에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댐핑부재가 배열 설되며, 상기 패스닝 프로파일의 양단부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베드본체 전면 양측에는 각종 라인을 음압 캐리어 내로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는 다수의 인렛포트가 형성된 메디칼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커버의 외부에서 상기 내부공간 내의 환자를 검사 및 관찰하거나 기관내 삽관, CPR 및 각종 약재를 주사할 수 있게 하는 글로브가 결합되는 다수의 글로브 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본체의 바닥면 양측에는 지지블럭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및 다리받침판이 베드본체 내에서 펼쳐졌을 때,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및 다리받침판의 저면이 안착되어 지지되게 구성되고,
    상기 회동지지브라켓은 베드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되 상면 전단부 및 후단부에 머리허리받침판의 후단 및 엉덩이받침판의 전단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회동홈이 형성된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상부에 결합되되 저면에 머리허리받침판의 후단 및 엉덩이받침판의 전단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회동홈이 형성된 고정블럭으로 구성되며,
    상기 머리허리받침판의 지지브라켓에는 지지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각도 조절된 머리허리받침판을 베드본체의 바닥면에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및 다리받침판의 표면에는 다수의 끼움공이 결합되고,
    상기 매트는 EVA 재질로 마련되되, 그 저면에는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매트가 상기 머리허리받침판, 엉덩이받침판 및 다리받침판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
  6. 삭제
KR1020220134652A 2022-10-19 2022-10-19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 KR102489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52A KR102489601B1 (ko) 2022-10-19 2022-10-19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52A KR102489601B1 (ko) 2022-10-19 2022-10-19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601B1 true KR102489601B1 (ko) 2023-01-18
KR102489601B9 KR102489601B9 (ko) 2023-10-19

Family

ID=8510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652A KR102489601B1 (ko) 2022-10-19 2022-10-19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6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632U (ja) * 1993-02-24 1994-09-13 オージー技研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担架
JP2003310393A (ja) * 2002-04-22 2003-11-05 Paramount Bed Co Ltd オーバーレイ・マットレス
JP2005028058A (ja) * 2003-07-05 2005-02-03 Crestem Inc クリーン隔離搬送カプセル
KR20220076768A (ko) * 2020-12-01 2022-06-08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간이 음압텐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632U (ja) * 1993-02-24 1994-09-13 オージー技研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担架
JP2003310393A (ja) * 2002-04-22 2003-11-05 Paramount Bed Co Ltd オーバーレイ・マットレス
JP2005028058A (ja) * 2003-07-05 2005-02-03 Crestem Inc クリーン隔離搬送カプセル
KR20220076768A (ko) * 2020-12-01 2022-06-08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간이 음압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601B9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69044A1 (en) Patient isolator
EP3215098B1 (en) Device for containing deadly germs of a patient during treatment
US201003053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inuous access to an isolation space while maintaining isolation
CN109171076B (zh) 一种手术衣
JP2023519679A (ja) 負圧エアロゾル化緩和装置及び方法
CN208808894U (zh) 一种传染病隔离病床
US201901837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aining deadly germs of a patient during treatment
US20210307987A1 (en) Negative Pressure Isolation Pods
CN208626364U (zh) 临床内科用呼吸消毒器
US20050085686A1 (en) Protective means and apparatus
KR102489601B1 (ko) 침상 조절 구조를 갖는 음압 캐리어
KR102489602B1 (ko) 메디칼 포트 및 글로브 포트를 갖는 음압 캐리어
JP2767743B2 (ja) 前傾可動型アクセスウオール付無菌室
US20230149120A1 (en) Negative Pressure Respiratory Treatment Hood System
CN100486554C (zh) 风帘隔离病床
CN205885695U (zh) 改良型的传染病患者隔离床
CN107468447A (zh) 一种消化内科用多功能移动病床
CN214791692U (zh) 分体式医用空气消毒系统
KR102450947B1 (ko) 음압 및 방호겸용 방호복의 구조.
KR20220120755A (ko) 이동형 음압 챔버
CN214231805U (zh) 一种隔离护理病床
CN211776344U (zh) 一种隔离治疗帐篷
CN213963973U (zh) 一种便携式可折叠担架隔离仓
CN214049495U (zh) 一种重症医学用防感染隔离器
US20220074224A1 (en) Protective Canopy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