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378B1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378B1
KR102489378B1 KR1020170176882A KR20170176882A KR102489378B1 KR 102489378 B1 KR102489378 B1 KR 102489378B1 KR 1020170176882 A KR1020170176882 A KR 1020170176882A KR 20170176882 A KR20170176882 A KR 20170176882A KR 102489378 B1 KR102489378 B1 KR 102489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ven
oven rack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360A (ko
Inventor
류지원
이제원
강완구
김영미
박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378B1/ko
Priority to PCT/KR2018/016149 priority patent/WO2019124944A1/ko
Priority to US15/733,304 priority patent/US11346561B2/en
Publication of KR2019007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2Co-operating with a door, e.g. operated by the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84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leaf or similar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Abstract

도어가 개방될 때 오븐 랙이 조리실 내부로부터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가지며, 오븐 랙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일이 조리실 및 오븐 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븐을 제공한다. 오븐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복수개의 선반이 지지되는 오븐 랙 및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오븐 랙과 연결되어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오븐 랙과 분리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븐{OVEN}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오븐 랙이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갖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오븐은 조리물을 밀폐,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고, 가스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오븐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 내부에는 조리하기 위한 음식물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이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개의 선반은 오븐 랙에 의해 지지된다.
사용자는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 등을 꺼내기 위해 도어를 개방한 후, 고온을 유지하고 있는 조리실 내부로 손을 넣어 선반 위에 올려져 있는 음식물 등을 꺼내야 하기 때문에, 고온에 노출되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도어가 개방될 때 오븐 랙이 조리실 내부로부터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갖는 오븐을 제공한다.
또한, 오븐 랙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일이 조리실 및 오븐 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복수개의 선반이 지지되는 오븐 랙 및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오븐 랙과 연결되어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오븐 랙과 분리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도어 배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양 측에 마련되는 상기 오븐 랙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연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연결돌기를 향하는 일 측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오븐 랙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슬롯과, 상기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개구부로 인입된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 하여 상기 오븐 랙이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1가이드 슬롯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개구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1가이드 슬롯을 연결하여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 슬롯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인입부와, 상기 제2가이드 슬롯과 상기 개구부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개구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돌기가 위치되는 제1가이드 벽과,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오븐 랙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벽과,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개구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인입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인입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인입부로 인입되면 상기 인입부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오븐 랙의 하부에는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레일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조리실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조리실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보스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실은 상기 복수개의 보스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븐 랙은 상기 오븐 랙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레일과, 상기 조리실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레일을 포함하는 레일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레일에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인출된 상기 오븐 랙을 추가적으로 인출시키는 인출보조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출보조장치는 상기 제2레일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며 걸림돌기를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걸림돌기를 가이드 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걸림홈과, 상기 도어가 닫히면 탄성력을 축적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오븐 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1레일에 마련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하는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오븐 랙이 인출되면, 상기 트리거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걸림 해제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연결된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트리거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트리거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레일에 의해 상기 오븐 랙이 추가적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복수개의 선반이 지지되는 오븐 랙, 상기 오븐 랙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레일과, 상기 조리실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오븐 랙과 연결되어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레일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인출된 상기 오븐 랙을 추가적으로 인출시키는 인출보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오븐 랙은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와,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슬롯과, 상기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오븐 랙이 상기 조리실에서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오븐 랙과 상기 가이드부재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복수개의 선반이 지지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연결돌기를 갖는 오븐 랙 및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 및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와 분리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온의 열기에 적게 노출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오븐 랙이 조리실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오븐 랙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본체로부터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도어와, 복수개의 선반이 지지된 오븐 랙과, 레일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 랙이 레일에 결합되고, 레일이 조리실 내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될 때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가이드 되어 오븐 랙이 조리실로부터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오븐 랙의 일부가 조리실로부터 인출되고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오븐 랙이 조리실로부터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닫힐 때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의 개폐부재에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가이드부재와 연결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닫힐 때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의 인입부로 인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닫힐 때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의 인입부로 인입된 후 개폐부재가 인입부를 폐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개폐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가이드부재 및 연결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에 인출보조장치가 마련된 오븐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보조장치가 마련된 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될 때 인출보조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될 때 오븐 랙이 조리실로부터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되어 인출보조장치의 트리거가 걸림돌기에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보조장치의 트리거에 의해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걸림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걸림 해제되어 스테이터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보조장치에 의해 오븐 랙이 추가적으로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할 내용에서 표현되는 전면 및 전방은 오븐의 본체를 기준으로 도어가 마련된 방향을 지칭하고, 후면 및 후방은 오븐의 본체를 기준으로 도어가 마련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지칭하도록 한다.
또한, 상부는 오븐의 본체를 기준으로 상부 방향을 지칭하고, 하부는 오븐의 본체를 기준으로 하부 방향을 지칭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20)과,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되어 조리실(20)를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과,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 패널(12)과,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13)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14) 및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 패널(16)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11)의 전면 상부에는 하기할 전장실(6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장실 커버(17)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전장실 커버(17)에는 오븐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8) 및 오븐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9)가 마련될 수 있다.
후면패널(14)에는 하기할 전장실(60)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통공(15)이 마련될 수 있으며, 통공(15)을 통해 전장실(60)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60) 내부를 유동하며 전장품을 냉각시킬 수 있다.
조리실(20)은 본체(10) 내부에 박스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조리물의 출납을 위해 전면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20) 내부에는 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복수개의 선반(21)이 지지되는 오븐 랙(40)이 마련될 수 있다.
오븐 랙(40)은 레일(5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오븐 랙(40) 및 레일(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하도록 한다.
조리실(20)에는 조리물을 가열시키는 히터(22)가 마련되며, 히터(22)는 전기 저항체를 포함하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히터(22)는 전기 히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 히터일 수도 있다.
따라서, 오븐은 전기 오븐 및 가스 오븐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20)의 후방에는 조리실(20)의 공기를 순환시켜 조리물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는 순환 팬(24)과, 순환 팬(24)을 구동시키는 순환 모터(23)가 마련될 수 있다.
순환 팬(24)의 전면에는 순환 팬(24)을 커버하는 팬 커버(25)가 마련될 수 있으며, 팬 커버(25)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팬 커버 통공(26)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되며, 도어(30)는 도어 힌지(31)에 의해 본체(10)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30)의 전면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어(30)가 조리실(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핸들(33)이 마련될 수 있다.
오븐에는 각종 부속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품을 수용하는 전장실(60)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60)은 조리실(20)의 상부에 마련되며, 전장실(60)과 조리실(20) 사이에는 조리실(20)의 열기가 전장실(6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전장실(60)과 조리실(20)을 단열하는 단열재(61)가 마련될 수 있다.
단열재(61)는 전장실(60)과 조리실(20) 사이 뿐 아니라, 조리실(20)의 열기가 오븐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조리실(20) 외측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60) 내부는 각종 전장품의 열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오븐에는 전장실(60) 주위에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전장실(60)을 냉각시키는 냉각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오븐의 냉각 구조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 유닛(62)과, 냉각팬 유닛(62)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오븐의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냉각 유로(63)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븐 외부의 공기는 후면패널(14)에 형성된 통공(15)을 통해 전장실(60)로 흡입되고, 전장실(60)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60) 내부를 유동하며 전장품을 냉각시킨 후에 냉각 유로(63)를 따라 토출구(64)를 통해 오븐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조리실(20)의 일부 공기는 배기 유로(65)를 통해 냉각 유로(63)측으로 흡입되어 오븐의 전면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유로(63)에서 토출구(64)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배기 유로(65)로 유입시키는 바이패스 홀(66)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이패스 홀(66)은 개폐 장치(67)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 장치(67)에 의한 바이패스 홀(66)의 개폐에 따라 냉각 유로(63)에서 토출구(64)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배기 유로(65)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이 조절되기 때문에, 조리실(20)에서 배기 유로(65)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본체로부터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도어와, 복수개의 선반이 지지된 오븐 랙과, 레일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 랙이 레일에 결합되고, 레일이 조리실 내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은 조리실(20)의 내부에 마련되며, 복수개의 선반이 지지되는 오븐 랙(40)과, 오븐 랙(4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레일(50)과, 도어(30)의 배면에 결합되며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오븐 랙(40)과 연결되어 오븐 랙(4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븐 랙(40)은 조리실(20) 내부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며, 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복수개의 선반(21)이 지지될 수 있다.
오븐 랙(40)은 전방 측에 마련되어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가이드부재(70)와 연결되는 연결돌기(41)와, 레일(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43)와, 조리실(20) 내부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는 오븐 랙(40)의 후방을 연결하는 연결봉(4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돌기(41)는 오븐 랙(40)의 전방 측에 마련되며, 도어(30)의 배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70)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돌기(41)는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가이드부재(70)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오븐 랙(40)은 도어의 개폐에 따라 가이드부재(70)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하도록 한다.
결합부(43)는 오븐 랙(40)의 하부에 복수개로 마련되며, 하기할 레일(50)의 결합후크(5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봉(45)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조리실(20) 내부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는 오븐 랙(40)의 후방을 연결하며, 오븐 랙(4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뒤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레일(50)은 조리실(20)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오븐 랙(4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레일(50)은 오븐 랙(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레일(51)과, 조리실(20) 내부에 결합되며 제1레일(5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레일(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레일(51)은 오븐 랙(40)의 하부에 마련된 복수개의 결합부(4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후크(52)와, 제1레일(5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프레임(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레일(51)은 제2레일(5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제1레일(51)에 결합된 오븐 랙(4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2레일(54)은 조리실(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보스(55)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보스(5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홀(27)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레일(54)은 조리실(20)의 내부에 고정되며, 제1레일(5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오븐 랙(40)이 레일(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레일(50)이 조리실(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오븐 랙(40) 또는 레일(50) 또는 조리실(20) 내부의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7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도어(30) 배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오븐 랙(4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70)는 도어 힌지(31)와 인접한 위치의 도어(30) 배면에 결합되며, 오븐 랙(40)의 연결돌기(41)를 향하는 일 측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될 때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가이드 되어 오븐 랙이 조리실로부터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오븐 랙의 일부가 조리실로부터 인출되고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오븐 랙이 조리실로부터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닫힐 때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의 개폐부재에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가이드부재와 연결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닫힐 때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의 인입부로 인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닫힐 때 오븐 랙의 연결돌기가 가이드부재의 인입부로 인입된 후 개폐부재가 인입부를 폐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개폐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70)는 연결돌기(41)가 가이드부재(7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71)와, 개구부(71)로 인입된 연결돌기(41)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슬롯(72)과, 가이드 슬롯(72)을 형성하는 가이드 벽(73)을 포함할 수 있다.
오븐의 도어(3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연결돌기(41)는 가이드부재(70)와 연결되어 있고, 도어(30)가 완전히 개방되면 개구부(71)를 통해 가이드부재(70) 내부에서 인출되어 가이드부재(70)와 분리될 수 있다.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닫히게 되면, 연결돌기(41)는 개구부(71)를 통해 가이드부재(70) 내부로 인입되어 가이드부재(7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72)은 개구부(71)로 인입된 연결돌기(41)를 가이드 하여 오븐 랙(40)이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 슬롯(72a)과, 제1가이드 슬롯(72a)과 연결되며 연결돌기(41)가 개구부(71)로 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슬롯(72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벽(73)은 도어(3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연결돌기(41)가 고정되는 제1가이드 벽(73a)과, 도어(30)가 개방될 때 오븐 랙(40)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1가이드 슬롯(72a)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돌기(41)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벽(73b)과, 도어(30)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연결돌기(41)가 개구부(71)로 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3가이드 벽(7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벽(73a)과 제2가이드 벽(73b) 사이에 제1가이드 슬롯(72a)이 형성되고, 제2가이드 벽(73b)과 제3가이드 벽(73c) 사이에 제2가이드 슬롯(72b)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70)는 개구부(71)와 제1가이드 슬롯(72a)을 연결하여 연결돌기(41)가 개구부(71)를 통해 제1가이드 슬롯(72a)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인입부(74)와, 제2가이드 슬롯(72b)과 개구부(71)를 연결하여 연결돌기(41)가 개구부(71)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74)는 개폐부재(76)에 의해 개폐되며, 개폐부재(76)는 인입부(74)를 개방하여 연결돌기(41)가 인입부(74)로 인입되면, 연결돌기(41)가 인입부(74)를 통해서는 인출될 수 없도록 인입부(74)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입부(74)로 인입된 연결돌기(41)는 인입부(74)를 통해서는 인출될 수 없고, 인출부(75)를 통해서만 인출될 수 있다.
인입부(74)를 개폐하는 개폐부재(76)는 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재(76)는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76)는 탄성을 갖는 토션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재(76)는 토션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인입부(74)로 인입된 연결돌기(41)가 인입부(74)를 통해서는 인출될 수 없고, 인출부(75)를 통해서만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개폐부재(76)는 상기와 같이 인입부(74)로 인입된 연결돌기(41)가 인입부(74)를 통해서는 인출될 수 없고, 인출부(75)를 통해서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링크, 캠, 래치 구조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오븐 랙(4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오븐 랙(40)의 연결돌기(41)는 가이드부재(7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돌기(41)는 가이드부재(70)의 제1가이드 벽(73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일정부분 개방되면, 연결돌기(41)는 제2가이드 벽(73b)에 접촉될 수 있다.
연결돌기(41)가 제2가이드 벽(73b)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어(30)가 더 개방되면, 연결돌기(41)는 제1가이드 슬롯(72a)을 통해 제2가이드 벽(73b)을 따라 가이드 되어 이동할 수 있다.
연결돌기(41)가 제1가이드 슬롯(72a)을 통해 제2가이드 벽(73b)을 따라 가이드 되면, 오븐 랙(40)은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조리실(20)로부터 일부가 인출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완전히 개방되면, 오븐 랙(40)은 연결돌기(41)가 제2가이드 벽(73b)을 따라 가이드 된 만큼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전면의 일부가 조리실(2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어(30)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복수개의 선반(21)이 지지된 오븐 랙(40)의 일부가 조리실(20)로부터 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온에 노출된 조리실(20) 내부로 손을 집어넣지 않고 조리실(20) 외부에서 선반(21)을 빼내어 선반(21)에 올려놓은 음식물 등을 꺼낼 수 있다.
이때, 연결돌기(41)는 제2가이드 슬롯(72b)을 통해 제3가이드 벽(73c)을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다.
제3가이드 벽(73c)을 따라 가이드 된 연결돌기(41)는 인출부(75)와 개구부(71)를 통해 가이드부재(70) 외부로 인출되어 가이드부재(70)와 분리될 수 있다.
즉, 연결돌기(41)가 가이드부재(70)와 분리되어 오븐 랙(40)은 가이드부재(70)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70)는 도어(30)의 회전 운동을 통해 오븐 랙(40)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되도록 하여 도어(30)가 개방될 때 오븐 랙(40)이 자동으로 조리실(20)로부터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30)를 일정부분 닫게 되면, 연결돌기(41)는 가이드부재(70)의 개구부(71)를 통해 가이드부재(70) 내부로 인입되어 개폐부재(76)와 접촉할 수 있다.
연결돌기(41)가 개폐부재(76)와 접촉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를 더 닫게 되면, 개폐부재(76)가 연결돌기(41)에 의해 인입부(74)를 개방할 수 있다.
인입부(74)가 개방되면, 연결돌기(41)는 인입부(74)를 통해 제1가이드 슬롯(72a)으로 인입될 수 있다.
연결돌기(41)가 인입부(74)로 인입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돌기(41)는 제1가이드 벽(73a)에 접촉되면서 고정되고, 도어(30)와 함께 회전되는 가이드부재(70)에 의해 오븐 랙(40)은 후방으로 이동되어 조리실(2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도어(3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 랙(40)은 조리실(2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를 닫는 동작을 통해 오븐 랙(40)이 조리실(20) 내부로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오븐 랙(40)이 가이드부재(70)와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오븐 랙(40)을 조리실(20) 내부로 밀어 넣어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가 개방될 때 오븐 랙(40)은 항상 자동으로 인출되지만,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수동으로 오븐 랙(40)을 조리실(20) 내부로 밀어 넣은 후에 도어(30)를 닫을 수도 있고, 도어(30)를 닫는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오븐 랙(40)이 조리실(20) 내부로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가이드부재 및 연결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80)는 도어(30)의 배면 하부 중앙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80)가 도어(30) 배면 하부의 중앙 부분에 마련되는 경우에 오븐 랙(40)에는 가이드부재(8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연결돌기(42)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80) 및 연결돌기(42)의 위치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가이드부재(70) 및 연결돌기(41)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에 인출보조장치가 마련된 오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보조장치가 마련된 레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될 때 인출보조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될 때 오븐 랙이 조리실로부터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되어 인출보조장치의 트리거가 걸림돌기에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보조장치의 트리거에 의해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걸림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걸림 해제되어 스테이터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보조장치에 의해 오븐 랙이 추가적으로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은 도어(30)가 개방될 때 가이드부재(70)에 의해 조리실(20) 외부로 인출된 오븐 랙(40)을 추가로 인출시키는 인출보조장치(90)를 포함하며, 인출보조장치(90)는 레일(50)에 마련될 수 있다.
인출보조장치(90)는 조리실(20) 내부에 고정되는 제2레일(54)에 마련되는 케이스(91)와, 케이스(91)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며 걸림돌기(93)를 갖는 스테이터(94)와, 걸림돌기(93)를 가이드 하는 안내레일(95)과, 안내레일(95)의 후방에 마련되어 걸림돌기(93)가 걸림되는 걸림홈(96)과, 케이스(91) 내부에 마련되어 오븐 랙(4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97)과, 제1레일(51)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93)가 걸림홈(96)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하는 트리거(9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91)는 조리실(20) 내부에 고정되는 제2레일(54)에 결합되며,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터(94)는 케이스(91) 내부에 마련되며, 스테이터(94)의 상부에 마련되는 걸림돌기(93)가 안내레일(95)을 따라 직선 운동하기 때문에, 스테이터(94)는 케이스(91) 내부에서 직선 운동될 수 있다.
걸림돌기(93)는 도어(30)가 닫혀 있을 때 걸림홈(96)에 걸림되어 스테이터(94)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안내레일(95)은 케이스(91)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걸림돌기(93)가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걸림홈(96)은 안내레일(95)의 후방에 마련되며, 도어(30)가 닫혀 있을 때 걸림돌기(9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스프링(97)은 케이스(91) 내부에 마련되며, 일측은 스테이터(94)에 고정되고, 타측은 케이스(91) 내부에서 스테이터(94)와 반대쪽에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부(92)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97)은 도어(30)가 닫혀 있을 때, 즉, 오븐 랙(40)이 조리실(20) 내부에 위치할 때는 인장되어 있어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스프링(97)이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트리거(99)에 의해 걸림돌기(93)가 걸림홈(96)에서 걸림 해제되면, 축적된 탄성력을 스테이터(94)로 전달하여 스테이터(94)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스테이터(94)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스프링(97)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오븐 랙(40)에 전달하여 오븐 랙(40)이 추가적으로 조리실(20)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하도록 한다.
트리거(99)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레일(51)의 보강 프레임(53)에 결합될 수 있고, 보강 프레임(53)은 트리거(99)가 결합되는 트리거 결합부(53a)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99)는 제1레일(51)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93)가 걸림홈(96)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개방될 때 인출보조장치(90)의 트리거(99)는 걸림돌기(93)와 이격될 수 있다.
도어(30)가 개방되기 시작할 때는 오븐 랙(40)이 조리실(20)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오븐 랙(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레일(51)은 조리실(20)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레일(51)이 조리실(20)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1레일(51)에 결합된 트리거(99)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걸림돌기(93)와 이격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개방되면, 가이드부재(70)에 의해 오븐 랙(40)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리실(2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오븐 랙(40)이 조리실(20)로부터 인출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99)는 제1레일(51)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어 트리거(99)가 걸림돌기(93)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91) 내부의 스프링(97)은 스테이터(94)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인장된 상태로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트리거(99)가 걸림돌기(93)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어(30)가 완전히 개방되면, 트리거(99)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96)으로부터 걸림돌기(93)를 걸림 해제시킬 수 있다.
걸림돌기(93)가 걸림홀(96)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97)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93)는 안내레일(95)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걸림돌기(93)가 마련된 스테이터(94)도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스테이터(94)가 이동될 때, 걸림돌기(93)와 접촉되어 있는 트리거(99)도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트리거(99)가 결합된 제1레일(51)도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1레일(51)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의 개방에 의해 조리실(20)로부터 일부가 인출된 오븐 랙(40)은 추가적으로 인출되어 오븐 랙(40)이 조리실(20)로부터 인출되는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오븐 랙(40)의 인출거리가 증가하게 되면, 사용자는 조리실(20) 외부에서 보다 편리하게 오븐 랙(40)에 지지되어 있는 선반(21)을 빼내어 선반(21)에 올려놓은 음식물 등을 꺼낼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오븐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전면 패널
12 : 상면 패널 13 : 측면 패널
14 : 후면 패널 15 : 통공
16 : 하면 패널 17 : 전장실 커버
18 : 디스플레이 19 : 조작부
20 : 조리실 21 : 선반
22 : 히터 23 : 순환 모터
24 : 순환 팬 25 : 팬 커버
26 : 팬 커버 통공 27 : 결합홈
30 : 도어 31 : 도어 힌지
33 : 도어 핸들
40 : 오븐 랙 41, 42 : 연결돌기
43 : 결합부 45 : 연결봉
50 : 레일 51 : 제1레일
52 : 결합후크 53 : 보강 프레임
53a : 트리거 결합부 54 : 제2레일
55 : 보스
60 : 전장실 61 : 단열재
62 : 냉각팬 유닛 63 : 냉각 유로
64 : 토출구 65 : 배기 유로
66 : 바이패스 홀 67 : 개폐 장치
70, 80 : 가이드부재 71 : 개구부
72 : 가이드 슬롯 72a : 제1가이드 슬롯
72b : 제2가이드 슬롯 73 : 가이드 벽
73a : 제1가이드 벽 73b : 제2가이드 벽
73c : 제3가이드 벽 74 : 인입부
75 : 인출부 76 : 개폐부재
90 : 인출보조장치 91 : 케이스
92 : 스프링 고정부 93 : 걸림돌기
94 : 스테이터 95 : 안내레일
96 : 걸림홈 97 : 스프링
99 : 트리거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복수개의 선반이 지지되는 오븐 랙; 및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오븐 랙과 연결되어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오븐 랙과 분리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븐 랙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오븐 랙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
    상기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벽;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개구부로 인입된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 하여 상기 오븐 랙이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1가이드 슬롯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개구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도어 배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양 측에 마련되는 상기 오븐 랙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연결되도록 한 쌍의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오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연결돌기를 향하는 일 측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오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1가이드 슬롯을 연결하여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 슬롯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인입부와, 상기 제2가이드 슬롯과 상기 개구부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개구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오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돌기가 위치되는 제1가이드 벽과,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오븐 랙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벽과,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개구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 벽을 포함하는 오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인입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부재로 마련되는 오븐.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인입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인입부로 인입되면 상기 인입부를 폐쇄하는 오븐.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 랙의 하부에는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레일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조리실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븐.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조리실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보스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실은 상기 복수개의 보스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오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 랙은 상기 오븐 랙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레일과, 상기 조리실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레일을 포함하는 레일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레일에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인출된 상기 오븐 랙을 추가적으로 인출시키는 인출보조장치가 마련되는 오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보조장치는 상기 제2레일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며 걸림돌기를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걸림돌기를 가이드 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걸림홈과, 상기 도어가 닫히면 탄성력을 축적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오븐 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1레일에 마련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오븐.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오븐 랙이 인출되면, 상기 트리거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걸림 해제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연결된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트리거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트리거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레일에 의해 상기 오븐 랙이 추가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오븐.
  16.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복수개의 선반이 지지되는 오븐 랙;
    상기 오븐 랙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레일과, 상기 조리실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오븐 랙과 연결되어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레일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인출된 상기 오븐 랙을 추가적으로 인출시키는 인출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븐 랙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
    상기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벽;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개구부로 인입된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하여 상기 오븐 랙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하는 제1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1가이드 슬롯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개구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오븐.
  17. 삭제
  18. 삭제
  19.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복수개의 선반이 지지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연결돌기를 갖는 오븐 랙; 및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 및
    상기 오븐 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개구부로 인입된 상기 연결돌기를 가이드 하여 상기 오븐 랙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하는 제1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1가이드 슬롯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개구부로 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오븐.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와 분리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결되는 오븐.
KR1020170176882A 2017-12-21 2017-12-21 오븐 KR102489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882A KR102489378B1 (ko) 2017-12-21 2017-12-21 오븐
PCT/KR2018/016149 WO2019124944A1 (ko) 2017-12-21 2018-12-18 오븐
US15/733,304 US11346561B2 (en) 2017-12-21 2018-12-18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882A KR102489378B1 (ko) 2017-12-21 2017-12-21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360A KR20190075360A (ko) 2019-07-01
KR102489378B1 true KR102489378B1 (ko) 2023-01-18

Family

ID=6699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882A KR102489378B1 (ko) 2017-12-21 2017-12-21 오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6561B2 (ko)
KR (1) KR102489378B1 (ko)
WO (1) WO2019124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5824S1 (en) * 2019-06-25 2022-03-15 Lg Electronics Inc. Oven range
IT201900002526U1 (it) * 2019-07-24 2021-01-24 Faringosi Hinges Srl Cerniera motorizzata
CN112938377B (zh) * 2021-04-02 2023-08-08 陕西正申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高处送料装置
CN113323526B (zh) * 2021-07-14 2023-08-11 江苏玖星精密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启闭功能的烤箱上翻门铰链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873A (ja) * 2005-01-26 2006-08-10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
KR100818910B1 (ko) * 2007-06-07 2008-04-04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출입장치
KR101055737B1 (ko) * 2008-10-01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1854A (en) * 1928-08-21 1932-03-29 Lindemann A J & Hoverson Co Broiler
US1970343A (en) * 1930-06-26 1934-08-14 Detroit Vapor Stove Company Broiler construction
US1960365A (en) * 1932-11-01 1934-05-29 Jesse W Barker Broiler oven
US2049237A (en) * 1934-02-07 1936-07-28 Wertzheiser Joseph Shelf operating device
US2095811A (en) * 1934-03-30 1937-10-12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088719A (en) * 1936-01-21 1937-08-03 Standard Electric Stove Compan Broiler drawer
US2132737A (en) * 1937-04-07 1938-10-11 Estate Stove Co Stove
US2296950A (en) * 1941-06-09 1942-09-29 George C Roedl Oven cabinet, shelf, and door
US2649085A (en) * 1950-04-06 1953-08-18 Hardwick Stove Company Inc Broiler door and rack
KR100273875B1 (ko) * 1997-12-29 2000-12-15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자동 오븐랙 구조
JPH11287458A (ja) 1999-03-02 1999-10-19 Sanyo Electric Co Ltd オ―ブント―スタ
US20050205081A1 (en) * 2004-03-18 2005-09-22 American Permanent Ware Corporation Drawer for a heated food cabinet
US20140035452A1 (en) * 2013-08-12 2014-02-06 Terrence Nickels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rawing out a rack in domestic applian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873A (ja) * 2005-01-26 2006-08-10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
KR100818910B1 (ko) * 2007-06-07 2008-04-04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출입장치
KR101055737B1 (ko) * 2008-10-01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86414A1 (en) 2020-12-10
KR20190075360A (ko) 2019-07-01
US11346561B2 (en) 2022-05-31
WO2019124944A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378B1 (ko) 오븐
CN106662336B (zh) 烤箱
KR101291273B1 (ko) 조리기기
US10364991B2 (en) Oven
EP3309463A1 (en) Oven
JP2002235924A (ja) トースターを具備した電子レンジ
KR20170101466A (ko) 오븐
KR20190024476A (ko) 오븐
JP3863527B2 (ja) トースタ付電子レンジ
KR200229346Y1 (ko) 토스터 겸용 전자레인지
KR102521505B1 (ko) 오븐
KR20100095307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CA2440510C (en) Microwave oven with bread toaster
KR100447209B1 (ko) 토스터 겸용 전자 레인지
KR100717436B1 (ko) 전기 오븐 도어의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JP4312175B2 (ja) 加熱調理器
JP5854886B2 (ja) 加熱調理器
EP1517630B1 (en) Tray assembly for microwave oven incorporating toaster
KR100727158B1 (ko) 전기 오븐의 도어 구조
JP2013142497A (ja) 加熱調理器
JP5052646B2 (ja) 電気調理器
KR100652589B1 (ko) 전기 오븐의 열공급장치
KR20090099946A (ko) 조리기기
KR20130017204A (ko) 전자레인지
JP2016180575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