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815B1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8815B1 KR102488815B1 KR1020220137955A KR20220137955A KR102488815B1 KR 102488815 B1 KR102488815 B1 KR 102488815B1 KR 1020220137955 A KR1020220137955 A KR 1020220137955A KR 20220137955 A KR20220137955 A KR 20220137955A KR 102488815 B1 KR102488815 B1 KR 1024888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artment
- apartment house
- firefighting equipment
- sprinkler head
- image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중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상태,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작동 상태 및 피난구 유도등의 작동 상태가 주기적으로 자동 점검되는 동시에 이의 진행이 인공지능모듈의 딥 러닝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자동 수행될 수 있어, 해당 점검 과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해당 소방설비들의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필요 시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은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 공동주택 로컬점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동주택 로컬점검장치는 공동주택별 설치되는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및 공동주택 관리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중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상태,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작동 상태 및 피난구 유도등의 작동 상태가 주기적으로 자동 점검되는 동시에 이의 진행이 인공지능모듈의 딥 러닝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자동 수행될 수 있어, 해당 점검 과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해당 소방설비들의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필요 시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 설비의 종류에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화재 발생 장소에서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하기 위한 피난 설비, 대피 후 안전하게 보호받기 위한 피난 설비, 화재의 초기 진압을 위해 소화장치를 설치하는 소화 설비, 화재의 발생 사실을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내는 경보 설비, 그 외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에 따른 소화활동 설비 등이 있다.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을 예로 더 설명하면, 공동주택에는 화재 발생 시 이를 해당 공동주택 관리자나 거주자들에게 알리는 한편,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한 소방설비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방설비에는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화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통해 화재발생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장치와,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는 살수장치(스프링쿨러) 등이 포함된 화재진압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소방설비는 화재 발생 시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경보장치를 통해 공동주택 관리자나 거주자들에게 신속하게 화재 발생을 경고하는 동시에 화재진압장치를 통해 화재 발생 지점에 소방수를 살수하여 화재를 진압하며, 이를 통해 소방대원이 도착하기 전에 화재의 확산을 차단함으로써 재산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소방설비의 작동상태를 점검하여 이상 상태 내지 작동불능 여부 등을 확인하는 유지/보수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시해야만 화재 발생 시 그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면서 피해의 최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공동주택의 소방시설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점검을 위한 기술로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중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상태,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작동 상태 및 피난구 유도등의 작동 상태가 주기적으로 자동 점검되는 동시에 이의 진행이 인공지능모듈의 딥 러닝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자동 수행될 수 있어, 해당 점검 과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해당 소방설비들의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필요 시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별 서로 다른 제품의 스프링클러헤드, 발코니 창문용 발화셔터 및 피난구 유도등이 사용되는 것에 대해서 인공지능의 딥 러닝을 활용한 자동 점검의 호환적인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공동주택별 소방설비들에 대한 자동 점검 및 그를 기반으로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효율적인 동시에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은, 공동주택용으로 제조되는 스프링클러헤드 제품별 영상정보들이 공동주택의 천장에 정상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저장되는 제1 DB와, 공동주택용으로 제조되는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 제품들 각각의 정상 작동 상태에 대한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제2 DB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제1 및 제2 DB에 영상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상기 스프링클러헤드 및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제품별 비정상 설치 또는 작동 상태의 영상정보가 제3 및 제4 DB로서 저장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제1 내지 제4 DB의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 및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에 대한 현장점검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인공지능모듈이 탑재되는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와, 공동주택별 설치되며, 해당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헤드와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영상정보를 각각 사전 설정된 촬영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획득하여 상기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는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및 상기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스프링클러헤드와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공동주택 관리실 서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로컬점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DB 및 제3 DB에 저장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제품별 영상정보는 각각 해당 스프링클러헤드의 직하방에서 촬영된 영상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는, 해당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에 대한 모니터링영상을 획득하는 스프링클러헤드 영상획득부 및 해당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발코닝 창문용 방화셔터의 상기 촬영주기에 따른 작동 후 상태의 모니터링영상을 획득하는 방화셔터 영상획득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클러헤드 영상획득부는, 투명케이스, 상기 투명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촬영주기가 설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를 정기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투명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어 투명케이스를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착시트,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스프링클러헤드에 대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는 AP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방화셔터 영상획득부는, 해당 공동주택의 옥외에 설치되는 드론 격납고, 평상시에는 상기 드론 격납고에 위치하고 상기 촬영주기에 따라 해당 공동주택의 발코니 창문들과 순차적으로 마주하도록 자율비행하는 드론, 상기 드론에 설치되어 발코니 창문별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작동 후 상태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장치, 상기 카메라장치에서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중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상태,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작동 상태 및 피난구 유도등의 작동 상태가 주기적으로 자동 점검되는 동시에 이의 진행이 인공지능모듈의 딥 러닝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자동 수행될 수 있어, 해당 점검 과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해당 소방설비들의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필요 시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별 서로 다른 제품의 스프링클러헤드, 발코니 창문용 발화셔터 및 피난구 유도등이 사용되는 것에 대해서 인공지능의 딥 러닝을 활용한 자동 점검의 호환적인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공동주택별 소방설비들에 대한 자동 점검 및 그를 기반으로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효율적인 동시에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을 예시한 블룩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에서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중 스프링클러헤드 영상 획득부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중 방화셔터 영상획득부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중 유도등 역상획득부를 예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에서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중 스프링클러헤드 영상 획득부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중 방화셔터 영상획득부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중 유도등 역상획득부를 예시한 측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을 예시한 블룩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에서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중 스프링클러헤드 영상 획득부를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중 방화셔터 영상획득부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따른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중 유도등 역상획득부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은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100),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200),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 공동주택 로컬점검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100)는 공동주택용으로 제조되는 스프링클러헤드 제품별 영상정보들이 공동주택의 천장에 정상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저장되는 제1 DB(110)와, 공동주택용으로 제조되는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 제품들 각각의 정상 작동 상태에 대한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제2 DB(12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100)는 공동주택용으로 제조되는 피난구 유도등 제품들 각각에 대해 전방쪽에서 측정한 휘도값별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제5 DB(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는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의 제1 및 제2 DB(110,120)에 영상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상기 스프링클러헤드 및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제품별 비정상 설치 또는 작동 상태의 영상정보가 제3 및 제4 DB(210,220)로서 저장된다. 다시 말해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는 제3 DB(210)에 상기 스프링클러헤드의 제품별 비정상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영상정보들이 저장되고, 제4 DB(220)에 상기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제품별 비정상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영상정보들이 저장된다. 또한,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는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의 제5 DB(130)에 휘도값별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피난구 유도등 제품별 비정상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휘도값 및 그에 따른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제6 DB(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의 제1 DB(110) 및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의 제3 DB(210)에 저장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제품별 영상정보는 각각 해당 스프링클러헤드의 직하방에서 촬영된 영상정보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 DB(110) 및 제3 DB(210)의 스프링클러헤드 제품별 영상정보는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스프링클러헤드 부착 상태, 누수여부, 헤드링의 정상적인 설치 여부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스프링클러헤드의 외관상 청결 상태 및 녹이 있는지 여부 그리고 소방 보온테이프의 부착 상태 점검 등을 위한 용도이다.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는 제1 내지 제4 DB(110,120,210,220)의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 및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에 대한 현장점검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인공지능모듈(310)이 탑재된다. 또한, 인공지능모듈(310)은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의 제5 DB(130)의 영상정보 및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의 제6 DB(230)의 휘도값과 그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피난구 유도등에 대한 현장점검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공동주택 로컬점검장치(400)는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410) 및 공동주택 관리실 서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410)는 공동주택(A)별 설치되며, 이러한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410)는 해당 공동주택(A)의 스프링클러헤드와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영상정보를 각각 사전 설정된 촬영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획득하여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에 실시간 전송한다.
공동주택 관리실 서버(420)는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로부터 해당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헤드와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정보를 수신하며,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공동주택 관리실 서버(420)는 접속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해당 스프링클러헤드와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정보를 화면 표시한다.
그리고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410)는 해당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에 대한 모니터링영상을 획득하는 스프링클러헤드 영상획득부(411) 및 해당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발코닝 창문용 방화셔터의 상기 촬영주기에 따른 작동 후 상태의 모니터링영상을 획득하는 방화셔터 영상획득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410)는 해당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피난구 유도등에 대한 모니터링영상을 획득하는 유도등 영상획득부(4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헤드 영상획득부(411)는 투명케이스(411a)와, 이러한 투명케이스(411a)의 내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술한 촬영주기가 설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를 정기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모듈(411b)과, 투명케이스(411a)의 하면에 결합되어 투명케이스(411a)를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착시트(411c)와, 카메라모듈(411b)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스프링클러헤드에 대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하는 AP모듈(411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화셔터 영상획득부(412)는 해당 공동주택의 옥외에 설치되는 드론 격납고(412a)와, 평상시에는 드론 격납고(412a)에 위치하고 상기 촬영주기에 따라 해당 공동주택의 발코니 창문들과 순차적으로 마주하도록 자율비행하는 드론(412b)과, 드론(412b)에 설치되어 발코니 창문별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작동 후 상태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장치(412c)와, 카메라장치(412c)에서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412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도등 영상획득부(413)는 베이스 브래킷(413a), 작동바(413c), 구동부(413f), 모니터링장치 설치바(413g), 휘도센서(413h), 카메라유닛(413i) 및 무선통신모듈(413j)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브래킷(413a)은 피난구 유도등의 케이스(C)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면에 한 쌍의 힌지암(413b)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작동바(413c)는 베이스 브래킷(413a)의 힌지암(413b)들의 사이로 하단이 삽입된다.
구동부(413f)는 베이스 브래킷(413a)의 상면에 설치되는 정역회전모터(413d) 및 이러한 정역회전모터(413d)의 감속기(413e)를 포함하고, 감속기(413e)의 구동축이 베이스 브래킷(413a)의 힌지암(413b)들 중 한쪽의 힌지암(413b)을 관통하여 작동바(413c)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부(413f)는 상술한 촬영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작동한다.
모니터링장치 설치바(413g)는 작동바(413c)의 상단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바(413c)의 수평 위치 시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피난구 유도등과 마주한다.
휘도센서(413h)는 모니터링장치 설치바(413g)에 설치되어 피난구 유도등의 휘도를 감지한다.
카메라유닛(413i)은 모니터링장치 설치바(413g)에 설치되어 피난구 유도등을 정면에서 촬영한다.
무선통신모듈(413j)은 휘도센서에서 감지되는 휘도값 및 카메라유닛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중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상태,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작동 상태 및 피난구 유도등의 작동 상태가 주기적으로 자동 점검되는 동시에 이의 진행이 인공지능모듈의 딥 러닝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자동 수행될 수 있으므로, 해당 점검 과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해당 소방설비들의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필요 시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를 예로 부연 설명하면, 공동주택 중 고층 내지 초고층 아파트의 경우 화재 발생 시 발코니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산소와 불길이 만나면 해당 불길이 더욱 거세지게 되고, 따라서 발코니로에서 유입되는 산소의 차단을 통해 불길의 확산 속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바, 이를 위해 설치되는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세대별 설치 및 작동 상태를 정기적인 동시에 일괄적으로 점검하면서 혹시 모를 화재 발생에 보다 잘 대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동주택별 서로 다른 제품의 스프링클러헤드, 발코니 창문용 발화셔터 및 피난구 유도등이 사용되는 것에 대해서 인공지능의 딥 러닝을 활용한 자동 점검의 호환적인 적용이 가능한 것이므로, 공동주택별 소방설비들에 대한 자동 점검 및 그를 기반으로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효율적인 동시에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 110 : 제1 DB
120 : 제2 DB 130 : 제5 DB
200 :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 210 : 제3 DB
220 : 제4 DB 230 : 제6 DB
300 :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 310 : 인공지능모듈
400 : 공동주택 로컬점검장치 410 :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411 : 스프링클러헤드 영상획득부 411a : 투명케이스
411b : 카메라모듈 411c : 접착시트
411d : AP모듈 412 : 방화셔터 영상획득부
412a : 드론 격납고 412b : 드론
412c : 카메라장치 412d : 무선통신모듈
413 : 유도등 영상획득부 413a : 베이스 브래킷
413b : 힌지암 413c : 작동바
413d : 정역회전모터 413e : 감속기
413f : 구동부 413g : 모니터링장치 설치바
413h : 휘도센서 413i : 카메라유닛
413j : 무선통신모듈 420 : 공동주택 관리실 서버
A : 공동주택 C : 케이스
120 : 제2 DB 130 : 제5 DB
200 :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 210 : 제3 DB
220 : 제4 DB 230 : 제6 DB
300 :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 310 : 인공지능모듈
400 : 공동주택 로컬점검장치 410 :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
411 : 스프링클러헤드 영상획득부 411a : 투명케이스
411b : 카메라모듈 411c : 접착시트
411d : AP모듈 412 : 방화셔터 영상획득부
412a : 드론 격납고 412b : 드론
412c : 카메라장치 412d : 무선통신모듈
413 : 유도등 영상획득부 413a : 베이스 브래킷
413b : 힌지암 413c : 작동바
413d : 정역회전모터 413e : 감속기
413f : 구동부 413g : 모니터링장치 설치바
413h : 휘도센서 413i : 카메라유닛
413j : 무선통신모듈 420 : 공동주택 관리실 서버
A : 공동주택 C : 케이스
Claims (2)
- 삭제
- 공동주택용으로 제조되는 스프링클러헤드 제품별 영상정보들이 공동주택의 천장에 정상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저장되는 제1 DB(110)와, 공동주택용으로 제조되는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 제품들 각각의 정상 작동 상태에 대한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제2 DB(120)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100):
상기 제1 및 제2 DB(110,120)에 영상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상기 스프링클러헤드 및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제품별 비정상 설치 또는 작동 상태의 영상정보가 제3 및 제4 DB(210,220)로서 저장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200):
상기 제1 내지 제4 DB(110,120,210,220)의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 및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에 대한 현장점검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인공지능모듈(310)이 탑재되는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
공동주택(A)별 설치되며, 해당 공동주택(A)의 스프링클러헤드와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영상정보를 각각 사전 설정된 촬영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획득하여 상기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에 실시간 전송하는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410) 및 상기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로부터 해당 스프링클러헤드와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공동주택 관리실 서버(42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로컬점검장치(400)를 포함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DB(110) 및 제3 DB(210)에 저장되는 스프링클러헤드의 제품별 영상정보는 각각 해당 스프링클러헤드의 직하방에서 촬영된 영상정보이며,
상기 소방설비 모니터링영상 획득부(410)는, 해당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에 대한 모니터링영상을 획득하는 스프링클러헤드 영상획득부(411) 및 해당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발코닝 창문용 방화셔터의 상기 촬영주기에 따른 작동 후 상태의 모니터링영상을 획득하는 방화셔터 영상획득부(412)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클러헤드 영상획득부(411)는, 투명케이스(411a), 상기 투명케이스(411a)의 내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촬영주기가 설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를 정기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모듈(411b), 상기 투명케이스(411a)의 하면에 결합되어 투명케이스(411a)를 공동주택의 바닥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착시트(411c), 상기 카메라모듈(411b)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스프링클러헤드에 대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하는 AP모듈(411d)을 포함하고,
상기 방화셔터 영상획득부(412)는, 해당 공동주택의 옥외에 설치되는 드론 격납고(412a), 평상시에는 상기 드론 격납고(412a)에 위치하고 상기 촬영주기에 따라 해당 공동주택의 발코니 창문들과 순차적으로 마주하도록 자율비행하는 드론(412b), 상기 드론(412b)에 설치되어 발코니 창문별 발코니 창문용 방화셔터의 작동 후 상태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장치(412c), 상기 카메라장치(412c)에서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동주택 소방설비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412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7955A KR102488815B1 (ko) | 2022-10-25 | 2022-10-25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7955A KR102488815B1 (ko) | 2022-10-25 | 2022-10-25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8815B1 true KR102488815B1 (ko) | 2023-01-18 |
Family
ID=8510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7955A KR102488815B1 (ko) | 2022-10-25 | 2022-10-25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8815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228Y1 (ko) * | 2010-08-27 | 2011-04-13 | 비엠에프네트웍스 주식회사 | 도시가스 공급 시설물 감시 제어용 원격 단말기 |
KR101595871B1 (ko) * | 2015-10-16 | 2016-02-22 | 주식회사 아이티지 | 방범용 cctv 로컬용 통합 제어 감시 장치 |
KR102051863B1 (ko) * | 2019-05-16 | 2019-12-06 | 주식회사 천일이앤씨 |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소방 경보 시스템 |
KR20210049555A (ko) * | 2019-10-25 | 2021-05-0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시설의 센싱 데이터를 이미지화하여 시설의 상태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210051376A (ko) * | 2019-10-30 | 2021-05-10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
KR102342092B1 (ko) | 2021-03-19 | 2021-12-24 | (주)성지이앤씨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관리시스템 |
KR102369026B1 (ko) | 2021-07-19 | 2022-03-03 |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통합 관리 시스템 |
KR102409057B1 (ko) | 2021-11-23 | 2022-06-16 | 주식회사 이린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 시스템 |
KR102441268B1 (ko) * | 2021-08-03 | 2022-09-07 | 주식회사 한성테크 | 드론을 이용한 소방 점검 시스템 |
KR102448346B1 (ko) | 2021-09-01 | 2022-09-28 | 한일이엔지주식회사 |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 점검 시스템 |
-
2022
- 2022-10-25 KR KR1020220137955A patent/KR1024888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228Y1 (ko) * | 2010-08-27 | 2011-04-13 | 비엠에프네트웍스 주식회사 | 도시가스 공급 시설물 감시 제어용 원격 단말기 |
KR101595871B1 (ko) * | 2015-10-16 | 2016-02-22 | 주식회사 아이티지 | 방범용 cctv 로컬용 통합 제어 감시 장치 |
KR102051863B1 (ko) * | 2019-05-16 | 2019-12-06 | 주식회사 천일이앤씨 |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소방 경보 시스템 |
KR20210049555A (ko) * | 2019-10-25 | 2021-05-0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시설의 센싱 데이터를 이미지화하여 시설의 상태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210051376A (ko) * | 2019-10-30 | 2021-05-10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
KR102342092B1 (ko) | 2021-03-19 | 2021-12-24 | (주)성지이앤씨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관리시스템 |
KR102369026B1 (ko) | 2021-07-19 | 2022-03-03 |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통합 관리 시스템 |
KR102441268B1 (ko) * | 2021-08-03 | 2022-09-07 | 주식회사 한성테크 | 드론을 이용한 소방 점검 시스템 |
KR102448346B1 (ko) | 2021-09-01 | 2022-09-28 | 한일이엔지주식회사 |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 점검 시스템 |
KR102409057B1 (ko) | 2021-11-23 | 2022-06-16 | 주식회사 이린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1792B1 (ko) | 지하구 감시시스템 | |
KR101175202B1 (ko) |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 |
JP6351224B2 (ja) | 火災時現場対応支援システム | |
US11875670B2 (en) | Emergency incident detection, response, and mitigation using autonomous drones | |
US9659469B2 (en) | Explicit real-time fire disaster alarming device and method | |
US2013016981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smart building rescue | |
KR200414008Y1 (ko) |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 |
KR102164449B1 (ko) | Ai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 |
KR102361424B1 (ko) | 스프링클러 위치 조절이 가능한 건물 내 화재 감지 및 진화시스템 | |
KR102175419B1 (ko) | 와이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 |
KR20240122370A (ko) | 오동작 방지 화재감시시스템 | |
KR101341155B1 (ko) |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 |
KR102488815B1 (ko)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점검 시스템 | |
CN114618103A (zh) | 一种基于古建筑的智慧消防控制系统及方法 | |
KR102441268B1 (ko) | 드론을 이용한 소방 점검 시스템 | |
KR102531913B1 (ko) |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 | |
KR101269232B1 (ko) |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 |
CN112150757A (zh) | 一种用于消防的视频监控系统及监控方法 | |
KR20240006332A (ko) | 이동식 간이 소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 |
KR102162488B1 (ko) | 무인 화재진화 자동제어시스템 | |
KR20220037866A (ko) | 화재감시시스템 | |
CN114299684A (zh) | 保持电梯安全运行的火灾报警系统 | |
CN112019813A (zh) | 一种适用于高层火灾警情的智能疏散系统及方法 | |
JP3123378U (ja) | 防災システム | |
KR102266482B1 (ko) |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