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701B1 -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701B1
KR102488701B1 KR1020220121724A KR20220121724A KR102488701B1 KR 102488701 B1 KR102488701 B1 KR 102488701B1 KR 1020220121724 A KR1020220121724 A KR 1020220121724A KR 20220121724 A KR20220121724 A KR 20220121724A KR 102488701 B1 KR102488701 B1 KR 10248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unit
interlocking
gui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정대용
최호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현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121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는, 침전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주행 가이드부와, 주행 가이드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주행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는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와,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근접 또는 바닥에서 이격되는 스크래퍼부와, 스크래퍼부에 링크 연결되도록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크래퍼부를 회전시켜 스크래퍼부가 침전조의 바닥에 근접 또는 바닥에서 이격시켜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와 스크래퍼부를 함께 이동시키는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와, 케이블 또는 체인을 통해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에 연결되도록 침전조에 구비되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를 이동시켜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를 구동하는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수 또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수처리설비에서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인 스컴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Sludge accumulating device}
본 발명은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또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수처리설비에서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인 스컴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정수장 및 하수, 폐수 처리장의 침전조나 응집조는 응집제를 사용하여 탁질을 플럭으로 만들어 강제로 침전시키거나 자연적으로 침전시키고, 처리수를 월류시켜 후속 설비로 이송하는 설비로 수질 정화과정 중 가장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침전조나 응집조는 물의 유속이 매우 느려 물이 흘러가는 과정에서 물속에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함유물질과 이물질 등이 바닥에 슬러지 형태로 가라앉게 된다. 그리고 침전조나 응집조의 슬러지는 장시간 방치를 하게 되면 수중의 바닥면에서 쌓인 상태에서 고형화되고, 수질을 악화시키는 오염원이 되므로, 지속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수처리장에는 주기적으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된다. 통상의 슬러지 수집기는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에 마련되는 침전지의 바닥면으로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여 제거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지의 형태와 구동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장방형 침전지에는 주로 플레이트식 또는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되며, 원형 침전지에는 주로 중심 구동형과 주변 구동형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장방형 침전지에서 사용되는 무한궤도형 슬러지 수집기는 금속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된 방부 목재 플라이트로 바닥의 슬러지를 호퍼 쪽으로 이송하고, 귀환 시 상등수의 부유물을 부유물 수집기측으로 이송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술러지 수집기는,
투입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7030호(공개일:2009.11.12)에는 "슬러지/스컴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10-0029936호(공개일:2010.03.18)에는 "스컴 제거가 우수한 장방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하수 또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수처리설비에서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인 스컴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며, 슬러지와 스컴을 처리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스크래퍼부와 스컴 제거부의 저항을 최소할 수 있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는, 침전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주행 가이드부와, 상기 주행 가이드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행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는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와,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근접 또는 바닥에서 이격되는 스크래퍼부와,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스크래퍼부가 침전조의 바닥에 근접 또는 바닥에서 이격된 후,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스크래퍼부를 연동시키는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와, 케이블 또는 체인을 통해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침전조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를 구동하는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는, 상기 침전조에 발생하는 스컴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래퍼부와 연동하여 승강하는 스컴 유도판을 구비하는 스컴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는, 주행 롤러부를 통해 상기 주행 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크래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대차와, 상기 주행대차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는, 상기 연동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주행대차에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주행대차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행대차는, 상기 주행 가이드부에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연동 가이드부에 의해 이격된 상기 주행 가이드부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래퍼부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주행대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와 힌지 연결되는 축고정 링크가 결합되는 슬러지 수집판과, 상기 슬러지 수집판에 결합되어 상기 주행대차의 전방을 커버하는 대차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는, 상기 연동 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연동 활차부와, 복수의 상기 연동 활차부가 결합되며, 양단부에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체인이 결합되는 체인 고정대와, 상기 체인 고정대에 결합되어 상기 주행 가이드부에 지지되며, 상기 체인 고정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보조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는, 상기 연동 활차부와 상기 스크래퍼부가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컴 제거부는,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에 기립하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스컴 유도판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승강 지지대와, 상단부가 상기 스컴 유도판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승강 연동링크를 통해 상기 스크래퍼부에 링크 연결되며, 상기 스크래퍼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판승강 지지대에서 승강하는 판승강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판승강 지지대는, 상단부에 상기 스컴 유도판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가이드 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컴 유도판은, 상기 판가이드 봉부재가 삽입되는 봉삽입 지지블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하수 또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수처리설비에서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인 스컴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에 의하면, 슬러지를 슬러지 수집부에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판과 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 유도판을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에 의하면, 슬러지와 스컴을 처리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스크래퍼부를 침전조의 바닥과 이격시킴과 동시에 스컴 제거부의 스컴 유도판이 슬러지 수집판과 연동하여 수면과 이격되므로, 슬러지 수집판과 스컴 유도판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하면서 복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컴 제거부와 스크래퍼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퍼부와 스컴 제거부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의 슬러지 수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의 복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컴 제거부와 스크래퍼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퍼부와 스컴 제거부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의 슬러지 수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의 복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100)는, 크게 주행 가이드부(110)와,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120)와, 스크래퍼부(130)와,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와,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150)와, 스컴 제거부(160)를 포함하며, 하수 및 오폐수 처리설비 중 침전조(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침전조(10)의 일측에는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부(11)가 구비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는 스크래퍼부(130)의 이동을 통해 침전조(10)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 수집부(11)로 수집함과 동시에 스컴 제거부(160)의 이동을 통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인 스컴을 함께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침전조(10)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에 슬러지 수집부(11)가 함몰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주행 가이드부(110)는, 침전조(10)의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120)가 롤러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주행 가이드부(110)는,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 레일부(111)가 각각 형성된다.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120)는, 주행 가이드부(1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주행 가이드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스크래퍼부(130)를 함께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120)는, 주행 레일부(111)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주행대차(121)와, 주행 가이드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주행대차(121)에 결합되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 가이드부(123)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120)는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150)에 의해 이동하는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가 연동 가이드부(123)를 통해 이동하면서 스크래퍼부(130)를 회전시킨 후, 주행대차(121) 또는 연동 가이드부(123)에 지지됨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주행대차(121)는, 주행 가이드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어 연동 가이드부(123)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스크래퍼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주행대차(121)는 상단부에 스크래퍼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125)와, 본체(125)의 이동을 위한 주행 롤러부(127)를 구비한다.
본체(125)의 상단에는 스크래퍼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회전 지지블록(125a)이 결합된다. 판회전 지지블록(125a)은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25)는 주행 롤러부(127)에 의해 주행 레일부(111)를 따라 안정되게 이송된다.
주행 롤러부(127)는 주행 레일부(111)의 상면에 안착되는 메인 롤러부(128)와, 본체(125)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주행 레일부(111)의 측면에 접촉되는 유동방지 롤러(129)를 구비한다. 이때, 유동방지 롤러(129)는 본체(125)에 고정되고, 메인 롤러부(128)는 본체(125) 또는 연동 가이드부(123)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메인 롤러부(128)는 롤러(128a)의 회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롤러 케이스(128b)를 구비한다. 롤러 케이스(128b)는 주행 레일부(111)에 쌓이는 슬러지에 의해 메인 롤러부(128)의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주행 레일부(111)에 쌓이는 슬러지를 제거한다.
이를 위하여 롤러 케이스(128b)에는 주행 레일부(111)의 상면에 접촉되는 합성수지 레일 스크래퍼(128c)가 구비된다. 합성수지 레일 스크래퍼(128c)는 볼트와 너트를 통해 롤러 케이스(128b)에 고정되어 롤러(128a)가 주행하는 주행 레일부(111)의 슬러지를 외측으로 제거한다.
연동 가이드부(123)는 양단부가 이격된 주행대차(121)의 본체(125)에 각각 접합되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연동 가이드부(123)는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퍼부(130)는 주행대차(121)의 판회전 지지블록(12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에 의해 주행대차(121)에서 회전되어 침전조(10)의 바닥에 접촉 또는 이격된다.
예를 들어 스크래퍼부(130)는 슬러지를 제거할 때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에 의해 주행대차(121)에서 회전되어 침전조(10)의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주행대차(121)와 함께 이동하고, 슬러지를 수집한 후 원위치로 복원될 때에는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에 의해 주행대차(121)에서 회전되어 침전조(10)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주행대차(121)와 함께 복귀한다.
이러한 스크래퍼부(130)는 회전축(131a)을 통해 판회전 지지블록(12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러지 수집판(131)과, 주행대차(121)의 전방을 커버하는 대차 커버부(133)를 포함한다. 이때, 침전조(10)와 접촉되는 슬러지 수집판(131)의 테두리부에는 고무판이 결합된다.
슬러지 수집판(131)은 회전축(131a)에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와 힌지 연결되는 축고정 링크(131b)가 접합되어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슬러지 수집판(131)은 본체(125)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회전축(131a)에 판회전 지지블록(125a)이 먼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대차 커버부(133)는 슬러지 수집판(131)에 결합되어 주행대차(121)의 전방을 커버하여 주행대차(121)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슬러지가 주행 롤러부(127)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스크래퍼부(130)는 축고정 링크(131b)를 통해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에 링크 연결되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가 연동 가이드부(123)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회전하고,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가 주행대차(121)에 지지되면, 그 연동 회전이 정지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는 연동 가이드부(123)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양 끝단에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150)의 체인(101)이 결합된다. 이러한,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는 슬러지를 수집할 때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150)의 작동에 따라 주행대차(121)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슬러지 수집판(131)을 하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가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120)에 접촉됨에 따라 슬러지 수집판(131)이 대략 수직으로 침전조(10)의 바닥에 접촉되면서 주행대차(121)를 함께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슬러지 수집이 완료된 스크래퍼부(130)를 복귀시킬 때에는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150)가 반대로 작동하면서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를 연동 가이드부(123)에서 반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에 링크 연결된 슬러지 수집판(131)이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침전조(10)의 바닥에서 이격되고, 스크래퍼부(130)와 주행대차(121)가 함께 이동하면서 최초 위치로 복원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는 연동 가이드부(123)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연동 활차부(141)와, 각각의 연동 활차부(141)가 결합되도록 연동 가이드부(123)의 하측에 위치되는 체인 고정대(143)와, 체인 고정대(143)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롤러부(145)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는 주행대차(121)와 가장 근접되는 연동 활차부(141)에 축고정 링크(131b)와 링크 연결되는 연결링크(147)가 링크 연결되어 슬러지 수집판(131)을 연동시키게 된다.
연동 활차부(141)는 연동 가이드부(123)에 안착되는 유자형 롤러를 구비하고, 유자형 롤러가 결합되는 롤러 브래킷이 체인 고정대(143)에 접합된다.
체인 고정대(143)는 용접 등의 접합방식으로 롤러 브래킷과 결합되며, 양 끝단에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150)가 각각 연결되어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150)의 작동을 통해 연동 가이드부(123)에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때, 체인 고정대(143)는 보조 롤러부(145)를 통해 주행 레일부(111)에 안정되게 접촉 지지된다. 여기서 보조 롤러부(145)는 연동 활차부(14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보조 롤러부(145)는 롤러가 주행 레일부(111)의 상면에 접촉하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체인 고정대(143)의 안정적인 작동을 유도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150)은 체인(101)을 통해 체인 고정대(143)에 연결되도록 침전조(10)에 구비되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140)를 이동시켜 주행대차(121)와 스크래퍼부(130)를 함께 왕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150)는, 침전조(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체인(10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 풀리부재(151)와, 슬러지 수집부(11)측에 구비되어 체인(10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 풀리부재(153)와, 침전조(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체인(101)을 이동시키는 체인이송 권취부재(155)를 구비한다. 이때, 체인 고정대(143)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는 체인(101)은 체인이송 권취부재(155)를 경유하도록 하나로 이루어져 체인이송 권취부재(155)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면, 체인 고정대(143)를 이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스컴 제거부(160)는, 슬러지 수집판(131)의 스컴연동 링크(131c)에 힌지 연결되도록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120)에 고정되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120)와 함께 이동하면서 침전조(10)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인 스컴을 제거한다.
이를 위하여 스컴 제거부(160)는 연동 가이드부(123)에 기립하도록 결합되며, 상단부가 수면의 위로 노출되는 판승강 지지대(161)와, 판승강 지지대(161)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컴 유도판(163)과, 슬러지 수집판(131)의 회전축(131a)에 링크 연결되고 상단이 스컴 유도판(163)에 결합되는 판승강 로드부재(165)를 포함한다.
판승강 지지대(161)는 하단부가 연동 가이드부(123)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스컴 유도판(163)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가이드 봉부재(167)를 구비한다. 이때 판가이드 봉부재(167)는 판승강 지지대(161)의 양 측면에 각각 접합된다.
스컴 유도판(163)은, 판승강 로드부재(165)와 연결되도록 판승강 지지대(16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러지 수집판(131)의 회전을 통해 상하로 승강 연동하는 판승강 로드부재(165)에 의해 판가이드 봉부재(167)에서 승강된다. 이러한 스컴 유도판(163)은 판가이드 봉부재(167)가 관통하는 봉삽입 지지블록(163a)이 일면에 구비되어 봉삽입 지지블록(163a)을 통해 판가이드 봉부재(167)를 따라 원활하게 승강하게 된다. 이때,
판승강 로드부재(165)는 상단부가 지지브래킷을 통해 스컴 유도판(163)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승강 연동링크(165a)를 통해 슬러지 수집판(131)의 스컴연동 링크(131c)에 링크 연결된다. 이러한 판승강 로드부재(165)는 슬러지를 수집할 때 슬러지 수집판(131)이 침전조(10)의 바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하강하여 스컴 유도판(163)을 침전조(10)의 수면에 접촉시키고, 슬러지 수집판(131)이 침전조(10)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회전함에 따라 상승하여 스컴 유도판(163)을 침전조(10)의 수면에서 이격시킨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스컴 제거부(160)는, 침전조(10)의 스컴을 제거한 후, 원위치로 이동될 때 스컴 유도판(163)이 침전조(10)의 수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스크래퍼부(130)와 함께 이동되므로,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복원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는, 슬러지를 슬러지 수집부(11)로 수집하기 위하여 체인이송 권취부재(155)가 작동하여 제2가이드 풀리부재(153)를 경유하여 체인 고정대(143)의 일측에 연결된 체인(101)을 권취하면서 제1가이드 풀리부재(151)를 경유하여 체인 고정대(143)의 타측에 연결되는 체인(101)을 풀어주게 된다.
그러면 체인 고정대(143)가 연동 가이드부(123)를 따라 슬러지 수집판(131)측으로 이동하면서 슬러지 수집판(131)을 하측으로 회전시켜 침전조(10)의 바닥에 접촉시키면, 슬러지 수집판(131)의 회전함에 따라 판승강 로드부재(165)가 하강하면서 스컴 유도판(163)이 하강하여 하단부가 침전조(10)의 수면에 일부 잠기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인 고정대(143)를 계속 이동시키면 주행대차(121)에 지지되면서 주행대차(121)가 주행 레일부(111)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크래퍼부(130) 및 스컴 제거부(160)가 함께 이동되면서 침전조(10) 바닥의 슬러지와 수면의 스컴을 동시에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슬러지의 수집이 완료되면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150)를 반대로 작동하여 체인 고정대(143)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체인 고정대(143)가 슬러지 수집판(131)에서 멀어지면서 슬러지 수집판(131)을 상측으로 회전시키고, 슬러지 수집판(131)의 회전에 따라 판승강 로드부재(165)가 연동하여 상승하면서 스컴 유도판(163)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슬러지 수집판(131)이 상측으로 더 회전되지 않으면 체인 고정대(143)가 슬러지 수집판(131)에 지지되면서 주행대차(121), 스크래퍼부(130) 및 스컴 제거부(160)가 함께 원위치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는 침전조(10)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인 스컴을 슬러지 수집판(131)과 스컴 유도판(163)을 이용하여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는, 슬러지를 슬러지 수집부(11)에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판(131)과 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 유도판(163)을 체인 고정대(143) 하나만의 이동을 이용하여 동시에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는, 슬러지와 스컴을 처리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슬러지 수집판(131)를 침전조(10)의 바닥과 이격시킴과 동시에 스컴 유도판(163)을 상승시켜 수면과 이격시킨 상태에서 그 이동을 진행하게 되므로, 슬러지 수집판(131)과 스컴 유도판(163)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하면서 복원할 수 있어 소비전력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10 : 침전조 11 : 슬러지 수집부
101 : 체인 110 : 주행 가이드부
111 : 주행 레일부 120 :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
121 : 주행대차 123 : 연동 가이드부
125 : 본체 125a : 판회전 지지블록
127 : 주행 롤러부 128 : 메인 롤러부
128a : 롤러 128b : 롤러 케이스
128c : 합성수지 레일 스크래퍼 129 : 유동방지 롤러
130 : 스크래퍼부 131 : 슬러지 수집판
131a : 회전축 131b : 축고정 링크
133 : 대차 커버부 140 :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
141 : 연동 활차부 143 : 체인 고정대
145 : 보조 롤러부 147 : 연결링크
150 :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 151 : 제1가이드 풀리부재
153 : 제2가이드 풀리부재 155 : 체인이송 권취부재
160 : 스컴 제거부 161 : 판승강 지지대
163 : 스컴 유도판 163a : 봉삽입 지지블록
165 : 판승강 로드부재 165a : 승강 연동링크
167 : 판가이드 봉부재

Claims (8)

  1. 침전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주행 가이드부; 상기 주행 가이드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행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는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근접 또는 바닥에서 이격되는 스크래퍼부; 상기 스크래퍼부에 링크 연결되도록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스크래퍼부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래퍼부가 침전조의 바닥에 근접 또는 바닥에서 이격시켜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와 상기 스크래퍼부를 함께 이동시키는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 및 케이블 또는 체인을 통해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침전조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를 구동하는 스크래퍼 주행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는, 주행 롤러부를 통해 상기 주행 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크래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대차; 및 상기 주행대차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는, 상기 연동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주행대차에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주행대차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는, 상기 연동 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연동 활차부; 복수의 상기 연동 활차부가 결합되며, 양단부에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체인이 결합되는 체인 고정대; 및 상기 체인 고정대에 결합되어 상기 주행 가이드부에 지지되며, 상기 체인 고정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보조 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 활차부가 상기 스크래퍼부에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에 발생하는 스컴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래퍼부와 연동하여 승강하는 스컴 유도판을 구비하는 스컴 제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는, 상기 주행 가이드부에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연동 가이드부에 의해 이격된 상기 주행 가이드부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부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주행대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 상기 스크래퍼 회전 연동부와 힌지 연결되는 축고정 링크가 결합되는 슬러지 수집판; 및
    상기 슬러지 수집판에 결합되어 상기 주행대차의 전방을 커버하는 대차 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 제거부는, 상기 스크래퍼 이동 주행부에 기립하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스컴 유도판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승강 지지대; 및
    상단부가 상기 스컴 유도판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승강 연동링크를 통해 상기 스크래퍼부에 링크 연결되며, 상기 스크래퍼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판승강 지지대에서 승강하는 판승강 로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승강 지지대는, 상단부에 상기 스컴 유도판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가이드 봉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컴 유도판은, 상기 판가이드 봉부재가 삽입되는 봉삽입 지지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KR1020220121724A 2022-09-26 2022-09-26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KR102488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724A KR102488701B1 (ko) 2022-09-26 2022-09-26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724A KR102488701B1 (ko) 2022-09-26 2022-09-26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701B1 true KR102488701B1 (ko) 2023-01-18

Family

ID=8510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724A KR102488701B1 (ko) 2022-09-26 2022-09-26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7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12Y1 (ko) * 2006-01-12 2006-04-04 주식회사유신이엔티 슬러지 차단블레이드가 장착된 고효율 슬러지 수집장치
KR100808469B1 (ko) * 2007-05-30 2008-03-03 수엔비텍 주식회사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KR100894174B1 (ko) * 2007-11-19 2009-04-22 동양수기산업(주) 오니 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12Y1 (ko) * 2006-01-12 2006-04-04 주식회사유신이엔티 슬러지 차단블레이드가 장착된 고효율 슬러지 수집장치
KR100808469B1 (ko) * 2007-05-30 2008-03-03 수엔비텍 주식회사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KR100894174B1 (ko) * 2007-11-19 2009-04-22 동양수기산업(주) 오니 수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023B1 (ko) 스컴 제거장치
KR102151503B1 (ko)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US4978447A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a water treatment tank
KR102488701B1 (ko)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장치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1199266B1 (ko) 수처리장치
CA2155811C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floating sludge in dissolved air floatation basins at water purification and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0623221B1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CN111807569B (zh) 一种废水处理过程中前氧化及混凝沉淀装置
KR101170509B1 (ko) 슬러지 수집기
KR100646158B1 (ko) 펌프장 협잡물 처리장치
JP3909539B2 (ja) 汚泥掻寄機
JP3490177B2 (ja) 沈殿池
KR100311912B1 (ko) 침전조의 체인구동식 슬러지제거장치
KR200359282Y1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KR100837293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0910480B1 (ko) 부상 슬러지 제거장치
CN212982572U (zh) 一种新型恒水位滗水器
KR102631424B1 (ko) 침사 인양기의 슬러지 탈수 및 배출장치
KR200201940Y1 (ko) 오니 제거기
CN214763926U (zh) 一种混凝土生产废水回收利用系统
KR200289105Y1 (ko) 정수장과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및 스컴제거장치
CN220283646U (zh) 一种清污机安装结构
CN217961417U (zh) 一种适用于沉淀池的浮渣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