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579B1 - Scaffold steel plank with luminescence - Google Patents

Scaffold steel plank with luminesc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579B1
KR102488579B1 KR1020200170014A KR20200170014A KR102488579B1 KR 102488579 B1 KR102488579 B1 KR 102488579B1 KR 1020200170014 A KR1020200170014 A KR 1020200170014A KR 20200170014 A KR20200170014 A KR 20200170014A KR 102488579 B1 KR102488579 B1 KR 10248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caffolding
unit
scaffold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0828A (en
Inventor
도준혁
Original Assignee
도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준혁 filed Critical 도준혁
Priority to KR1020200170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579B1/en
Publication of KR2022008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8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5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타공요철부(101)가 형성된 발판본체(10); 발판본체(10)의 양 단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비계의 가로바에 설치되어 발판본체(10)를 지지하는 연결고리(20);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연결고리(20)가 가로바에 설치된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센서부(30); 발판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에 따라 연결고리(20)의 설치 상태를 판독하고, 연결고리(20)가 불안정한 설치 상태일 때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모듈(4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계에 설치된 연결고리의 불안정한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발광부의 발광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연결고리의 불안정에 따른 위험성을 즉각 인지할 수 있게 되어 불안정한 안전발판의 낙하사고나, 불안정한 안전발판을 밟으면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ffolding safety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comprising: a scaffolding body 10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concavo-convex parts 10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connecting ring 20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scaffolding body 10 and installed on the crossbar of the scaffolding to support the scaffolding body 10; A sensor unit 30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ng ring 20 to detect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ing 2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and providing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A light emitting module that is installed on the scaffold body 10 and read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ink 20 according to the detected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30, and emits light when the link 20 is in an unstable installation state ( 40); inclu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stable state of the linkage installed on the scaffold is sensed, and the light emitting part emits light accordingly, so that the operator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danger due to the instability of the linkage.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 fall accident in which a worker falls while stepping on the safety footrest.

Description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Scaffold steel plank with luminescence}Scaffolding safety scaffold with light emitting part {Scaffold steel plank with luminescence}

본 발명은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계에 설치되는 연결고리의 일측에 설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하여 연결고리가 불안정하게 설치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발광부가 발광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성을 즉각 인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caffolding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installation state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linkage installed on a scaffold, and when the linkage is unstablely installed, it senses and emits light. It relates to a scaffolding safety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that enables a worker to immediately recognize danger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making the part emit light.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 시에 작업자가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외벽 작업이 필요한 곳에 위치하여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 직경의 강관으로 된 가로바와 세로바로 구성된 가설물인 비계가 설치되며, 이러한 비계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가로바 간을 연결하는 금속 판재로 된 안전발판이 설치된다.In general,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scaffolding, which is a temporary structure composed of horizontal bars and vertical bars made of steel pipes of a predetermined diameter, is installed so that workers can install formwork or perform work stably at a location where external wall work is required. Safety footrests made of metal plates that connect between the crossbars are installed so that workers can stand up and work or move.

따라서 통상의 안전발판은, 30 ~ 50cm의 폭을 가진 소정 길이의 판 형상으로 되되, 경량화, 배수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한 타공요철부가 형성되며, 네 모서리 부분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후크 형태의 연결고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연결고리를 비계의 가로바에 걸어서 설치하게 된다.Therefore, a typical safety footboard has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with a width of 30 to 50 cm, but has perforated concave and convex parts for lightening, drainage and slip prevention, and hook-shaped links protruding on both sides at the four corners. It is integrally formed and installed by hanging this link on the crossbar of the scaffolding.

그런데, 연결고리를 이용해 안전발판을 비계의 가로바에 걸어서 설치하더라도, 작업자의 이동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강풍에 의해 안전발판이 흔들리면서 연결고리가 비계의 가로바에서 이탈하는 사례가 빈번하여 안전발판이 비계에서 낙하하거나, 연결고리가 가로바에서 이탈한지 모르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발판을 밟았다가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안전발판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안전발판과 작업자가 같이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safety scaffold is installed by hanging it on the crossbar of the scaffolding using the linkage, the safety scaffold is shaken by the vibration or strong wind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worker and the linkage is frequently separated from the crossbar of the scaffolding. Safety accidents frequently occur, such as a worker stepping on the safety footrest without knowing whether the link is detached from the crossbar, and then the safety footrest leans to one side due to the worker's load, causing the safety footrest and the worker to fall together. There was a problem.

그리하여 근래에는 안전발판의 연결고리가 비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볼트 등을 이용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안전발판이 생산되기도 한다.Thus, in recent years, safety scaffolds equipped with a fixing means using a fixing bolt or the like for preventing the link of the safety scaffol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caffold are produced.

그런데 이러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연결고리를 가진 안전발판은 설치 과정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고정수단을 이용해 연결고리를 비계의 가로바에 고정해주어야 함으로써 설치 작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설치된 안전발판을 해체할 때도 고정수단을 일일이 풀어주어야 함으로써 해체 작업에도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safety scaffolds with linkages equipped with such fixing means require a worker to fix the linkages to the crossbars of the scaffold using fixing means one by one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Since the means must be released one by one, the dismantling work also takes a long time.

따라서, 설치 및 해체의 번거로움 및 시간 지연을 이유로 일부 작업자가 안전발판의 고정수단을 체결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고, 그로 인해 고정수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발판의 불안정한 설치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 사고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frequently the case that some workers do not fasten the fixing means of the safety scaffold due to the inconvenience and time delay of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It is still happening.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6890호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56890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계에 설치되는 연결고리의 일측에 설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하여 연결고리가 불안정하게 설치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발광부가 발광되게 한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dis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installation state on one side of the linkage installed on the scaffold, and when the linkage is unstablely installed,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by detecting th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scaffolding for scaffolding having a part.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발광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affolding safety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that allows a worker to selectiv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caffolding safety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타공요철부(101)가 형성된 발판본체(10);A scaffolding body 10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concavo-convex portions 101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상기 발판본체(10)의 양 단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비계의 가로바에 설치되어 발판본체(10)를 지지하는 연결고리(20);Connecting rings 20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scaffolding body 10 and installed on the cross bars of the scaffolding to support the scaffolding body 10;

상기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연결고리(20)가 가로바에 설치된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센서부(30);A sensor unit 30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ng ring 20 to detect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ing 2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and providing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상기 발판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에 따라 연결고리(20)의 설치 상태를 판독하고, 연결고리(20)가 불안정한 설치 상태일 때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모듈(40); 을 포함한다.A light emitting module that is installed on the scaffolding body 10 and read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ink 20 according to the detected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30, and emits light when the link 20 is in an unstable installation state. (40); inclu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부(30)는,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0,

상기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비계의 가로바에 가해지는 안전발판의 하중을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link 20 to detect the load of the safety scaffold applied to the crossbar of the scaffolding, and provides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부(30)는,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0,

상기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연결고리(20)의 내면과 비계의 가로바의 외주면 간 이격 거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ring 20 to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ring 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 bar of the scaffold, and to provide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to be characteriz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모듈(40)은, 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발판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발광부(401);A light emitting unit 401 having a light emitting means inside and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body 10;

상기 발광부(401)의 발광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2);a power supply unit 402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상기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에 따라 발광부(401)와 전원부(40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3);a control unit 403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and the power supply unit 402 according to the detected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30;

발광부(401)의 동작 모드를 제어부(403)에 설정하는 스위치부(4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witch unit 404 that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to the control unit 40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모듈(40)은 전원부(402)를 충전하는 태양광패널(40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olar panel 405 for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402.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모듈(40)은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조도센서(40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406 for detecting ambient illuminance and providing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ler 403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모듈(40)은 작업자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사물감지센서(40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bject detection sensor 407 for detecting a worker and providing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3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모듈(40)은 원격 제어를 위한 무선통신부(40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8 for remote control.

본 발명에 따르면, 비계에 설치된 연결고리의 불안정한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발광부의 발광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연결고리의 불안정에 따른 위험성을 즉각 인지할 수 있게 되어 불안정한 안전발판의 낙하사고나, 불안정한 안전발판을 밟으면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stable state of the linkage installed on the scaffold is sensed, and the light emitting part emits light accordingly, so that the operator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danger due to the instability of the linkage.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 fall accident in which a worker falls while stepping on the safety footrest.

또한, 연결고리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이용해 연결고리를 일일이 고정하지 않더라도 연결고리의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작업자가 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의 체결 및 해제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안전발판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link is not individually fixed using the fixing means provided in the link, the operator can easily identify the stable connection state of the link with his eyes, so the hassle of fastening and releasing the fixing means for safety is reduced. In addition to solving the problem,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safety scaffolding.

또한, 작업자에 의한 발광부의 선택적인 동작 제어를 통해 작업자가 안전발판의 상부에서 작업하는데 필요한 조도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서, 일출, 일몰 때나 구름이 많은 흐린 날 등 조도가 낮은 상황에서 작업자가 안전발판 위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에 충분한 조도 확보를 통해 보다 안전한 작업 수행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e selective operation control of the light emitting part by the operator, it i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additionally secure the illumination required to work on the upper part of the safety scaffold, so that the operator can be When working on a safety scaffold,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safer work by securing sufficient illumination for the 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scaffolding safety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safety scaffolding for scaffolding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afety scaffolding for scaffolding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of u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caffolding safety scaffolding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a scaffolding safety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safety scaffolding for scaffolding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All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different components from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도 1은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affolding safety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caffolding safety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caffolding safety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use state dia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caffolding safety scaffolding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은 비계에 설치되는 연결고리(20)의 설치 상태를 감지하고, 연결고리(20)가 불안정하게 설치되었을 때, 발광부(401)가 발광되도록 발판본체(10), 연결고리(20), 센서부(30), 발광모듈(40)을 포함한다.Scaffolding safety scaffolding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ink 20 installed on the scaffold, and when the link 20 is installed unstable, the scaffold body so that the light emitting part 401 emits light (10), a connecting ring 20, a sensor unit 30, and a light emitting module 40.

상기 발판본체(10)는 통상의 안전발판과 같이 30 ~ 50cm의 폭을 가진 소정 길이의 판재로 되며, 경량화, 배수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해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타공요철부(101)가 형성된다. The scaffold body 10 is made of a plate of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a width of 30 to 50 cm like a normal safety scaffold,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concave-convex portions 10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for light weight, drainage and slip prevention. do.

상기 연결고리(20)는 하방으로 개구된 후크 형태로 되어 일단부가 발판본체(10)에 일체로 되게 발판본체(10)의 양 단부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가로바와 세로바로 구성된 가설물인 비계의 가로바 간을 연결하게 거치식으로 설치된다. The connecting ring 20 is in the form of a hook open downward, and one end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scaffolding body 10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tegrated with the scaffolding body 10, so that the scaffold, which is a temporary structure composed of horizontal bars and vertical bars, is formed horizontally. It is installed in a suspended manner to connect between the bars.

또한 연결고리(20)의 내측에는 센서부(30)가 설치되는 설치홈(201)이 형성되며, 설치홈(201)의 일측에는 발광모듈(40)로 배선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연결부(202)가 구비된다.In addition, an installation groove 201 in which the sensor unit 30 is installed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ring 20, and on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201, a wiring connection portion 202 for connecting wires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is provided

한편, 연결고리(20)의 일측에는 연결고리(20)가 가로바에 설치된 상태에서 무단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it is revealed in advance that one side of the link 2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departure while the link 2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부(30)는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비계의 가로바에 가해지는 안전발판의 하중을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0 is installed inside the link 20 to detect the load of the safety scaffold applied to the crossbar of the scaffold, and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can provide

이때, 센서부(30)는 하중이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as the sensor unit 30,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change in load or pressure can be used, of course.

즉, 안전발판에 형성된 각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센서부(30)가 설치됨으로써 연결고리(20)를 비계의 가로바에 거치하여 설치하면 안전발판의 하중이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된 센서부(30)에 감지되며, 그 감지값이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된다.That is, since the sensor unit 30 is installed inside each link 20 formed on the safety scaffold, when the link 20 is mounted on the crossbar of the scaffold, the load of the safety scaffold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link 20. It is detected by the installed sensor unit 30, and the detected value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이때, 안전발판에는 모두 4개의 연결고리(20)가 형성되므로 안전발판의 모든 연결고리(20)가 정상적으로 가로바에 거치되었을 때, 각 센서부(30)에는 안전발판의 전체 하중의 1/4에 해당하는 하중이 감지되며, 그 감지값이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된다. At this time, since all four connecting rings 20 are formed in the safety footrest, when all the connecting rings 20 of the safety footrest are normally mounted on the crossbar, each sensor unit 30 accounts for 1/4 of the total load of the safety footrest. A corresponding load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value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

반면, 안전발판에 형성된 4개의 연결고리(20) 중 어느 하나라도 가로바에 정상적으로 거치되지 않으면, 해당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된 센서부(30)에는 안전발판의 전체 하중의 1/4보다 작은 하중이 감지되면, 그 감지값이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if any one of the four connecting rings 20 formed on the safety footrest is not normally mounted on the crossbar, the sensor unit 30 installed inside the corresponding connecting ring 20 has more than 1/4 of the total load of the safety footrest. When a small load is detected, the detected value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

한편, 상기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는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과 비교할 안전발판의 전체 하중의 1/4을 기준으로 한 소정 범위의 기준값이 사전 저장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pre-stores a reference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1/4 of the total load of the safety footrest to be compared with the detected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30 .

따라서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이,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사전 저장된 기준값에 미달하면, 연결고리(20)가 비계의 가로바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지 않은 것이므로 안전발판이 불안정한 상태인 것이다.Therefore, if the detection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30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pre-stored in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the safety scaffold is not installed because the link 20 is not stably installed on the crossbar of the scaffold. it is in an unstable state.

그리하여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의해 안전발판이 불안정한 상태로 판독되면, 제어부(403)의 제어에 의해 발광모듈(40)의 발광부(401)가 발광됨으로써 작업자는 안전발판이 불안정한 상태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안전발판의 설치 상태를 재점검함으로써 불안정한 연결고리(20)에 의한 안전발판의 낙하사고나, 불안정한 안전발판을 밟으면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us, when the safety footrest is read in an unstable state by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the light emitting unit 401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emits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3, so that the operator is not aware of the safety footrest being unstable.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status, and accordingly, by recheck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afety footrest, the fall accident of the safety footrest due to the unstable link 20 or the fall accident of the worker falling while stepping on the unstable safety footres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e able to preven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부(30)는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연결고리(20)의 내면과 비계의 가로바의 외주면 간 이격 거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0 is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ng ring 20 to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ring 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bar of the scaffold, and converts the detected value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 40)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403.

이때, 센서부(30)는 사물과의 거리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as the sensor unit 30,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change in distance to an object can be used.

즉, 안전발판에 형성된 각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센서부(30)가 설치됨으로써 연결고리(20)를 비계의 가로바에 거치하여 설치하면 안전발판의 연결고리(20)가 가로바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감지되며, 그 감지값이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된다.That is, as the sensor unit 30 is installed inside each link 20 formed on the safety scaffold, when the link 20 is mounted on the cross bar of the scaffold, the link 20 of the safety scaffold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 bar.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value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이때, 안전발판에는 모두 4개의 연결고리(20)가 형성되므로 안전발판의 모든 연결고리(20)가 정상적으로 가로바에 거치되었을 때, 각 센서부(30)에는 안전발판의 연결고리(20)가 가로바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인 이격 거리 “0”을 기준으로 한 감지값이 감지되며, 그 감지값이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된다. At this time, since all four connecting rings 20 are formed in the safety footrest, when all the connecting rings 20 of the safety footrest are normally mounted on the crossbar, each sensor unit 30 has the connecting rings 20 of the safety footrest horizontally. A sensing value based on the separation distance “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 is detected, and the sensing value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반면, 안전발판에 형성된 4개의 연결고리(20) 중 어느 하나라도 가로바에 정상적으로 거치되지 않으면, 해당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된 센서부(30)에는 “0”보다 더 큰 이격 거리가 감지되며, 그 감지값이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if any one of the four connecting rings 20 formed on the safety footrest is not normally mounted on the crossbar, the sensor unit 30 installed inside the corresponding connecting ring 20 detects a separation distance greater than “0” And the detected value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한편, 상기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는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과 비교할 이격 거리 “0”을 기준으로 한 소정 범위의 기준값이 사전 저장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a reference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distance “0” to be compared with the detected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30 is pre-stored.

따라서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이,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연결고리(20)가 비계의 가로바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지 않은 것이므로 안전발판이 불안정한 상태인 것이다.Therefore, if the detection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30 exceeds the reference value pre-stored in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the safety scaffold is not installed because the link 20 is not stably installed on the crossbar of the scaffold. it is in an unstable state.

그리하여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의해 안전발판이 불안정한 상태로 판독되면, 제어부(403)의 제어에 의해 발광모듈(40)의 발광부(401)가 발광됨으로써 작업자는 안전발판이 불안정한 상태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안전발판의 설치 상태를 재점검함으로써 불안정한 연결고리(20)에 의한 안전발판의 낙하사고나, 불안정한 안전발판을 밟으면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us, when the safety footrest is read in an unstable state by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the light emitting unit 401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emits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3, so that the operator is not aware of the safety footrest being unstable.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status, and accordingly, by recheck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afety footrest, the fall accident of the safety footrest due to the unstable link 20 or the fall accident of the worker falling while stepping on the unstable safety footres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e able to prevent

상기 발광모듈(40)은 발판본체(10)에 설치되어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에 따라 연결고리(20)의 설치 상태를 판독하고, 연결고리(20)가 불안정한 설치 상태일 때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발광부(401), 전원부(402), 제어부(403), 스위치부(404)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module 40 is installed on the scaffold body 10 to rea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ink 20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30, and when the link 20 is in an unstable installation state. A light emitting unit 401, a power supply unit 402, a control unit 403, and a switch unit 404 are included so as to emit light.

상기 발광모듈(40)은 소정 크기로 되어 발판본체(10)의 저면, 더 바람직하게는 발판본체(10)의 저면 양측 가장자리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is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edg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body 10, more preferably the low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body 10.

상기 발광부(401)는 발광모듈(40)의 내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발판본체(10)의 상면으로 발광이 이루어지게 노출됨으로써 발판본체(10)의 상부에서 발광부(401)의 발광 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The light emitting unit 401 is installed inside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has a light emitting means inside, and is exposed to emit ligh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body 10,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at the top of the scaffolding body 10 ( 401) can be easily identified.

상기 발광수단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or more LED modules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can emit light in at least one color.

상기 전원부(402)는 발광모듈(4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광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되, 통상의 건전지나 무선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The power supply unit 402 is installed inside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conventional battery or a wireless battery,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어부(403)는 발광모듈(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에 따라 발광부(401)와 전원부(402)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403 is installed inside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and the power supply unit 402 according to the detected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30 .

즉, 제어부(403)는 센서부(30)의 종류에 따른 기준값이 사전 저장됨으로써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과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발광부(401) 및 전원부(402)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발광부(401)의 점등 및 소등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the control unit 403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and the power supply unit 402 by comparing the detected value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30 with the reference value by storing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nsor unit 30 in advance. By controlling, lighting and off control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is performed.

상기 스위치부(404)는 발광모듈(4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광부(401)의 동작 모드를 제어부(403)에 설정한다. The switch unit 40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to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to the control unit 403 .

상기 동작모드는, OFF 모드, 자동 모드, 수동 모드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mode includes an OFF mode, an automatic mode, and a manual mode.

상기 OFF 모드는 센서부(30)의 감지값 제공과 관계없이 발광부(401)의 동작을 완전히 정지시킴으로써, 비계에서 안전발판을 해체한 후 장기 보관하거나, 일정 기간 발광부(401)의 동작을 완전히 정지시키고자 할 때, 설정함으로써 전원부(402)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OFF mode complete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regardless of the sensor unit 30's detection value, thereby dismantling the safety scaffold from the scaffold for long-term storage or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a complete stop is desired,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402 can be prevented by setting.

상기 자동 모드는 센서부(30)의 감지값 제공에 따라 제어부(403)에 발광부(401)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In the automatic mode, the control unit 403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according to the sensor unit 30 providing the sensed value.

상기 수동 모드는 센서부(30)의 감지값 제공과 관계없이 발광부(401)의 동작을 수동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안전발판의 상부에서 작업하는데 필요한 조도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일출, 일몰 때나 구름이 많은 흐린 날 등 조도가 낮은 상황에서 작업자가 안전발판 위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에 충분한 조도 확보를 통해 보다 안전한 작업 수행이 가능케 된다.In the manual mode,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is manually operated regardless of the sensor unit 30 providing the detected value, so that the operator can additionally secure the illumination necessary for working on the upper part of the safety scaffold at sunrise and sunset. When a worker works on a safety scaffold in low light conditions, such as on a cloudy day or cloudy day, it is possible to perform safer work by securing sufficient light for the work.

도 5는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a scaffolding safety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overlapping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omitt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모듈(40)은 전원부(402)를 충전하는 태양광패널(405)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may further include a solar panel 405 that charges the power supply unit 402 .

상기 태양광패널(405)은 발판본체(10)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태양광패널(405)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전기를 전원부(402)의 무선배터리에 저장함으로써 무선배터리의 교체 없이도 장기간 발광부(401)에 안정적인 전기 공급이 가능케 된다.The solar panel 405 is install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both edg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body 10, so that electricity is produced using the solar panel 405, and the generated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wireless battery of the power supply unit 402. By storing it in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ly electricity to the light emitting unit 401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ing the wireless batter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모듈(40)은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조도센서(406)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406 that detects ambient illuminance and provides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ler 403 .

즉, 조도센서(406)는 발판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그 조도감지값을 제어부(403)에 제공하며, 제어부(403)는 발광부(401)의 점등 및 소등 제어를 위한 조도기준값이 사전 저장된다.That is, the illuminance sensor 406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caffolding body 10, detects ambient illuminance, and provides the detected illuminance value to the control unit 403, which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401 Illuminance reference values for lighting and off control of are pre-stored.

따라서, 제어부(403)는 조도센서(406)에서 제공되는 조도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조도기준값을 비교하여 조도감지값이 조도기준값에 미달하면 발광부(401)가 점등되게 제어하고, 조도감지값이 조도기준값을 초과하면 발광부(401)가 소등되게 제어함으로써 전원부(402) 및 발광부(401)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케 된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403 compares the detected illuminance value provided by the illuminance sensor 406 with the pre-stored illuminance reference value, and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401 to turn on when the detected illuminance value is less than the illuminance reference value, and the detected illuminance value is By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401 to turn off when the illuminanc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efficient use of the power unit 402 and the light emitting unit 401 is possibl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모듈(40)은 작업자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사물감지센서(407)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may further include an object detection sensor 407 that detects a worker and provides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ler 403 .

즉, 사물감지센서(407)는 발판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발판본체(10)에 올라서면 작업자를 감지하고, 그 사물감지값을 제어부(403)에 제공한다.That is, the object detection sensor 407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body 10 to detect the worker when the worker steps on the scaffolding body 10 and provides the object detection value to the control unit 403 .

따라서, 제어부(403)는 사물감지센서(407)에 의해 사물감지값이 제어부(403)에 제공되면, 발광부(401)가 점등되게 제어하고, 사물감지센서(407)에 의해 사물감지값이 제공되지 않으면, 발광부(401)가 소등되게 제어함으로써 전원부(402) 및 발광부(401)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케 된다.Therefore, when the object detection value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403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407, the control unit 403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401 to be turned on, and the object detection value is determin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407. If not provided, efficient use of the power supply 402 and the light emitting unit 401 is possible by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401 to be turned off.

도 6은 본 발명의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a scaffolding safety scaffold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모듈(40)은 원격 제어를 위한 무선통신부(408)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8 for remote control.

상기 무선통신부(408)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8 preferably includes a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tablet.

상기 통신수단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2G, 3G, 4G, LTE, 5G 등 이동통신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means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Fi, Bluetooth, or ZigBe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us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2G, 3G, 4G, LTE, or 5G there is.

따라서 관리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도 스위치부(404)에 의한 동작모드 설정을 대신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manager can substitute the operation mode setting by the switch unit 404 even from a short distance or a long distance using a mobile device.

또한, 관리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발광모듈(40)의 동작 상태나 전원부의 상태, 즉 무선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dministrator can remotely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or the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that is, the remaining charge of the wireless battery, using a mobile device.

또한, 관리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제어부(403)에 저장된 기준값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dministrator can change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control unit 403 using a mobile device.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408)는 GPS모듈(409)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8 may further include a GPS module 409 .

따라서, 관리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도 발광모듈(40)의 동작 상태 뿐만 아니라, 해당 안전발판의 위치를 GPS를 이용해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넓은 면적의 공사 부지에 다수의 안전발판이 설치된 경우에, 안전발판의 설치가 불안정한 지점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안전 관리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다.Therefore, the manager can check not only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from a short distance or a long distance using a mobile device, but also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afety step using GPS, so that when a number of safety steps are installed in a large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tely check the point where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scaffold is unstable,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safety management.

또한, 안전발판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위치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효율적인 공정 관리 및 인력 관리가 가능케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tely check the location of workers working on the safety scaffold, thereby enabling efficient process management and manpower management.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일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device and/or operating method, but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tc. It may be implemented, an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P: 가로바 1: 안전발판
10: 발판본체 101: 타공요철부
20: 연결고리 201: 설치홈
202: 배선연결부 30: 센서부
40: 발광모듈 401: 발광부
402: 전원부 403: 제어부
404: 스위치부 405: 태양광패널
406: 조도센서 407: 사물감지센서
408: 무선통신부 409: GPS모듈
P: Crossbar 1: Safety footrest
10: scaffolding body 101: perforated concavo-convex part
20: linkage 201: installation groove
202: wiring connection part 30: sensor part
40: light emitting module 401: light emitting unit
402: power unit 403: control unit
404: switch unit 405: solar panel
406: illuminance sensor 407: object detection sensor
408: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9: GPS module

Claims (5)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타공요철부(101)가 형성된 발판본체(10);
상기 발판본체(10)의 양 단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비계의 가로바에 설치되어 발판본체(10)를 지지하는 연결고리(20);
상기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연결고리(20)가 가로바에 설치된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센서부(30);
상기 발판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에 따라 연결고리(20)의 설치 상태를 판독하고, 연결고리(20)가 불안정한 설치 상태일 때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모듈(40); 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모듈(40)은,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발판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발광부(401);
상기 발광부(401)의 발광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2);
상기 센서부(3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에 따라 발광부(401)와 전원부(40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3);
발광부(401)의 동작 모드를 제어부(403)에 설정하는 스위치부(404); 및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조도센서(406);
상기 발판본체(10) 상부의 작업자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사물감지센서(407); 를 더 구비하여 주변 조도와 작업자의 감지 여부에 따라 발광부(401)가 점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
A scaffolding body 10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concavo-convex portions 101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Connecting rings 20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scaffolding body 10 and installed on the cross bars of the scaffolding to support the scaffolding body 10;
A sensor unit 30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ng ring 20 to detect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ing 2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and providing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A light emitting module that is installed on the scaffolding body 10 and read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ink 20 according to the detected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30, and emits light when the link 20 is in an unstable installation state. (40);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A light emitting unit 401 having a light emitting means inside and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body 10;
a power supply unit 402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a control unit 403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and the power supply unit 402 according to the detected value provided by the sensor unit 30;
a switch unit 404 that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1 to the control unit 403; and
an illuminance sensor 406 that detects ambient illuminance and provides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ler 403;
an object detection sensor 407 for detecting a worker above the scaffolding body 10 and providing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3; A scaffolding safety scaffold with a light emit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part 401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ambient illumination and whether or not the operator sen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비계의 가로바에 가해지는 안전발판의 하중을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30,
Scaffolding with a light emitting part,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link 20 and detects the load of the safety scaffold applied to the crossbar of the scaffold and provides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ler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safety foot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연결고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연결고리(20)의 내면과 비계의 가로바의 외주면 간 이격 거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발광모듈(40)의 제어부(403)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30,
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ring 20 to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ring 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 bar of the scaffold, and to provide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03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Safety scaffolding for scaffolding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40)은 원격 제어를 위한 무선통신부(40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scaffold safety scaffolding with a light emit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8) for remote control.
KR1020200170014A 2020-12-08 2020-12-08 Scaffold steel plank with luminescence KR1024885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014A KR102488579B1 (en) 2020-12-08 2020-12-08 Scaffold steel plank with luminesc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014A KR102488579B1 (en) 2020-12-08 2020-12-08 Scaffold steel plank with luminesc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828A KR20220080828A (en) 2022-06-15
KR102488579B1 true KR102488579B1 (en) 2023-01-13

Family

ID=8198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014A KR102488579B1 (en) 2020-12-08 2020-12-08 Scaffold steel plank with luminesc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57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215B1 (en) * 2016-05-12 2017-09-29 최연준 Safety board for archite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890Y1 (en) 2003-07-01 2004-07-21 엠케이공업 주식회사 A safety footplate of constructing scarffold
KR101978815B1 (en) * 2017-09-14 2019-05-16 (주) 성일앤풍아산업 Footplate for alarming a danger
KR20200086897A (en) * 2019-01-10 2020-07-20 유정동 Smart safety footrest with ICT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215B1 (en) * 2016-05-12 2017-09-29 최연준 Safety board for archite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828A (en)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3982C (en) Method and device for erecting a tower for a wind energy plant
KR101498645B1 (en) Lifting apparatus combined with a pole for maintaining a streetlamp
CN201981828U (en) Lifting platform type communication tower
CN112502158A (en) Foundation pit supporting device with real-time monitoring mechanism
KR102488579B1 (en) Scaffold steel plank with luminescence
AU2005230948A1 (en) Safety measure for a pitched roof
CN202017335U (en) Hydraulic mutual-climbing type lifting scaffold
CN204850497U (en) Promote no lower hem material platform
CN202500369U (en) Antiskid device for transformer oil pool
CN217419348U (en) Pier high altitude construction anti-falling device that but lower formula automatic rising falls
CN210029828U (en) Tower machine vertical ladder pulls safe anti-falling device
CN107596584A (en) A kind of force-loose high-rise fireproof passage survival equipment with automatic early-warning function
CN107013071A (en) A kind of intelligent garage fixed anti-fall device of parking
CN203905435U (en) Multilayer lifting platform for installation of combustor
CN206642227U (en) Tool post is hung by a kind of safety belt system of assembled architecture installation
CN207863444U (en) Independent attached wall mounting column
CN220395117U (en) Building safety construction platform
CN220376306U (en) Mounting device
CN205769033U (en) A kind of vehicle roof platform and the point duty car with this vehicle roof platform
CN214658000U (en) Embedded emergency self-rescue and outdoor operation auxiliary device for building outer wall surface
KR200425096Y1 (en) Automatic safety lighting cover of stair with in emergency lamp
CN217557607U (en) All-steel attached lifting scaffold device
CN218954678U (en) High-altitude high-voltage line stroboscopic warning lamp loading and unloading all-in-one machine
CN109457932A (en) Safe and convenient lifting scaffold device
CN220317140U (en) Outdoor fire control water supply pipeline installation is with lif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