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407B1 - Self-Controlled Cone Crusher with Cascade and Distributor - Google Patents

Self-Controlled Cone Crusher with Cascade and Distribu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407B1
KR102488407B1 KR1020220106569A KR20220106569A KR102488407B1 KR 102488407 B1 KR102488407 B1 KR 102488407B1 KR 1020220106569 A KR1020220106569 A KR 1020220106569A KR 20220106569 A KR20220106569 A KR 20220106569A KR 102488407 B1 KR102488407 B1 KR 10248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crushing space
eccentric
unit
man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기
배영재
김병걸
Original Assignee
(주)거산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산기계 filed Critical (주)거산기계
Priority to KR102022010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4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4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 B02C2/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07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ally controllable cone crusher having a cascade and a distributor installed there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iving unit in which a countershaft equipped with a pinion is rotated by a driving motor; an eccentric guide unit which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untershaft so that an eccentric rotates eccentrically around a main shaft; a mantle core which includes a lower cylinder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ccentric and mantle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moves in translation; a top cell unit provided with a concave at the bottom thereof so that a crushing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mantles; a hopper unit in which a tapered unit inclined inward extends toward the bottom of a vertical wall part exposed to the top of a housing to move input aggregate to the crushing space;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riving motor or the spacing of the crushing space depending on the amount or nature of the input aggregate.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amount or nature of the input aggregate, the spacing of the crushing space between the mantle and concave 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unit is automatically adjusted such that high-quality recycled aggregate can be produced under optimal operation conditions, and at the same time, stagnation of aggregat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Description

캐스케이드와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Self-Controlled Cone Crusher with Cascade and Distributor}Self-Controlled Cone Crusher with Cascade and Distributor}

본 발명은 캐스케이드와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재의 양이나 성상을 고려하여, 맨틀과 콘케이브 사이 파쇄 공간의 간격과, 구동부의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가동조건에서 고품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캐스케이드와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in which a cascade and a distributor are installed, and more particularly,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crushing space between the mantle and the concave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r properties of the aggregate. It is about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clave equipped with a cascade and a distributor that can produce high-quality recycled aggregate under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노후된 교량이나 도로 및 각종 건축물의 해체나 재개발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은 일반적으로 자연환경의 보호와 함께 자원의 재활용을 위해 재생골재로 재활용되고 있다.Construction was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or redeveloping old bridges, roads, and various buildings is generally recycled as recycled aggregate for the prote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recycling of resources.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는 다양한 규격의 파쇄능을 갖는 복수의 크라셔를 사용하여 재활용 용도의 골재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공정과, 파쇄공정을 거친 건설폐기물로부터 철근이나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는 분리공정 등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general, the intermediate treatment of construction waste includes a crushing process of crushing into an aggregate size for recycling using a plurality of crushers having crushing capacity of various specifications, and a separation of sorting and separating reinforcing bars or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that has undergone the crushing process. It is made up of a series of successive processes, such as processes.

이러한 기존의 파쇄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40954호 (0022. 03. 31 공개,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 1의 콘크라샤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석이 몸체(1)의 내부에 투입되도록 상기 몸체(1)의 상단에 설치된 호퍼(2)와 상기 몸체(1)의 내측에 설치된 콘케이브(3)와 상기 원석을 상기 콘케이브(3)에 마찰시켜 분쇄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의 내부에서 병진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맨틀(4)로 구성되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40954 (published on March 31, 00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has been proposed in relation to a device for performing such an existing crushing process. The concrasha of Prior Art Document 1 is As shown in FIG. 1A, the hopper 2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ody 1 so that the gemstone is put into the body 1, the concave 3 installed inside the body 1, and the gemstone It was composed of a mantle (4) installed to move in a translational manner inside the body (1) in order to grind by rubbing against the concave (3).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의 콘크라샤는 몸체(1) 내부로 공급되는 원석의 양이 적절히 제어되지 못하거나, 일시적으로 경도가 높은 원석이 투입되는 경우에는 콘케이브(3)와 맨틀(4) 사이에 과부하가 걸려 동력원이 정지하거나, 맨틀(4)이 역방향으로 회전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amount of o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 is not properly controlled, or when an ore with high hardness is temporarily introduced, the concrasher of Prior Art Document 1 uses the concave 3 and the mantle 4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ower source stopped due to overload during the interval or the mantle 4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또한, 원석의 양에 비해 원력원의 회전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콘케이브(3)와 맨틀(4)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은 경우에는 파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파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는 곧 재생골재의 품질 저하로 직결되었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wer source is too slow compared to the amount of or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concave (3) and the mantle (4) is too narrow, there is a problem that crushing is not effective or the crushing efficiency is lowered. , which was directly linke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recycled aggregate.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라셔에 공급되는 파쇄물의 양을 제어하는 파쇄공정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1401호(2014.11.07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 2에서 제안하고 있는 파쇄물 자동공급장치는 도 1b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죠크라셔(5a)(5b)를 거쳐 콘크라셔(5c)에 자동으로 공급되는 파쇄물을 일시 저장하는 서지빈(7)과, 서지빈(7)으로부터 낙하되는 파쇄물을 공급받아 콘크라셔(5c) 내부로 이송하는 제2공급 컨베이어(8)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a crushing proces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rushed material supplied to the cone crushe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61401 (registered on November 7, 20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is has been proposed The automatic shredded material supply device proposed in Prior Art Document 2 is As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1B, the surge bin 7 temporarily stores the shredded material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cone crusher 5c through a plurality of jaw crushers 5a and 5b, and from the surge bin 7 It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supply conveyor 8 for receiving the falling crushed materials and transporting them to the inside of the cone crusher 5c.

선행기술문헌 2에 의하면, 콘크라셔(5c)의 내부에 공급된 파쇄물의 양에 따라 서지빈(7) 내에 저장된 파쇄물을 투입하거나 차단하여 콘크라셔(5c)가 항상 일정한 양의 파쇄물을 수용한 상태로 파쇄공정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나, 별도의 설비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공정 효율성이 떨어지고, 경제적이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According to Prior Art Document 2, according to the amount of crushed material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crasor 5c, the crushed material stored in the surge bin 7 is input or blocked so that the concrasor 5c always receives a certain amount of crushed material. The crushing process was performed in the state, but a separate facility was additionally provided, so the process efficiency was reduced and there was an uneconomical limit.

더욱이나, 종래의 콘크라샤들은 골재로 투입되는 건설 폐기물이 다양한 성상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골재의 성상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파쇄조건으로 파쇄공정을 수행하여 콘크라샤의 과부하로 잦은 고장이 발생하였으며, 작동효율이 저하되고, 균일한 품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Moreo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construction waste input as aggregate has various properties, the conventional concrasors performed the crushing process under the same crushing conditions without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the aggregate, resulting in frequent breakdowns due to overload of the concrasers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the operating efficiency was lowered and that the recycled aggregate of uniform quality could not be produc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40954호 (2022. 03. 31.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40954 (published on March 31, 202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1401호 (2014. 11. 07.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61401 (2014. 11. 07. Regist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병진 운동하는 맨틀과 콘케이브 사이에 마련되는 파쇄 공간의 간격과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최적의 가동조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균일한 크기의 재생골재를 획득할 수 있음에 따라 재생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자원의 재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캐스케이드와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form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spacing of the crushing space provided between the mantle and the concave that move in transl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craser equipped with a cascade and a distributor capable of maximizing recycling of resources by improving the quality of recycled aggregate as it is possible to obtain recycled aggregate of a uniform size.

또한, 본 발명은 콘크라샤에 적정량의 골재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콘크라샤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파쇄 공간으로 투입되는 골재가 균일하게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파쇄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con crusher by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aggregate to the con crusher, and to improve the crushing performance by uniformly introducing the aggregate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space.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스케이드와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는, 구동모터(11)에 의하여 피니언(12)이 구비된 카운터샤프트(13)가 회전되는 구동부(10)와, 상기 카운터샤프트(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메인샤프트(21)를 중심으로 엑센트릭(22)이 편심 회전되는 편심 유도부(20)와, 상기 엑센트릭(22)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하부 실린더(3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맨틀(32)이 구비되어 병진 운동하는 맨틀코어(30)와, 상기 맨틀(32) 사이에 파쇄 공간(S)이 마련되도록 하부에 콘케이브(41)가 구비되는 탑셀부(40)와, 하우징(H)의 상부로 노출되는 수직벽부(51)의 하부로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52)가 연장 형성되어 투입된 골재를 파쇄 공간(S)으로 이동시키는 호퍼부(50); 및 투입되는 골재의 양이나 성상에 따라 구동모터(11)나 파쇄 공간(S)의 간격(g)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in which a cascade and a distributor ar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unit 10 in which a counter shaft 13 equipped with a pinion 12 is rotated by a drive motor 11, and the counter The eccentric guide part 20 in which the eccentric 22 rotates eccentrically around the main shaft 21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13, and the lower cylinder 31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ccentric 22 The top cell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cave 41 at the bottom so that a crushing space S is provided between the mantle core 30, which is provided with a mantle 32 and moves in translation, and the mantle 32 ( 40), and a hopper portion 50 in which a tapered portion 52 inclined inwardly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51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H and moves the injected aggregate to the crushing space S. ); and 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11 or the interval g of the crushing space S according to the amount or properties of the input aggregate.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전류계(71)가 측정하는 구동부(10)에 공급되는 전류값(I)을 전달받아 투입되는 골재의 양이나 성상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may receive the current value I supplied to the drive unit 10 measured by the ammeter 71 and determine the amount or properties of the aggregate to be injected.

그리고 상기 하우징(H)에는 암나사산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탑셀부(40)의 외주면에는 간격 조절을 위한 숫나사산(42)이 형성되어 높이 조절모터(43)의 구동에 의한 탑셀부(40)의 상대 회전으로 맨틀(32)과 콘케이브(41) 사이에 마련된 파쇄 공간(S)의 간격(g)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a female screw threa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housing (H), and a male screw thread 42 for adjusting the distanc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ell part 40, so that the top cell part 40 is driven by the height adjusting motor 43. The distance g of the crushing space S provided between the mantle 32 and the concave 41 can be adjusted by relative rotation.

또한, 상기 호퍼부(50)의 수직 벽부(51)에 방사상으로 골재 이동공(81)이 형성되어 정량 이상의 골재가 투입시 리턴 슈트(82)를 통하여 하우징(H)의 내측 하부로 배출되는 캐스케이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ggregate moving hole 81 is radially formed in the vertical wall portion 51 of the hopper portion 50, and the cascade discharged 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housing H through the return chute 82 when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aggregate is input. Part 80;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골재 이동공(81)의 내측에는 가림막(83)이 설치되어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가림막(83)이 개방되어 골재가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shielding film 83 is installed inside the aggregate moving hole 81, and when pressure of a certain level or more is applied, the shielding film 83 is opened and the aggregate can be discharged.

또한, 상기 리턴 슈트(82)는 골재 이동공(81)에 연결된 상부 슈트(82a)와 하우징(H)에 연결된 하부 슈트(82b)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슈트(82a)의 하단과 하부 슈트(82b)의 상단이 상호 중첩된 변위 수용부(83c)가 형성되어 파쇄 공간(S)의 간격(g)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urn chute 82 is formed of an upper chute 82a connected to the aggregate moving hole 81 and a lower chute 82b connected to the housing H, and the lower chute 82a and the lower chute ( The upper ends of 82b) are formed with mutually overlapping displacement accommodating portions 83c so that they can be stably displaced even when the spacing g of the crushing space S changes.

또한, 제어부(60)는 전류계(71)로부터 구동부(10)에 공급되는 전류값(I)을 전달받아 투입되는 골재의 양을 파악하여 높이 조절모터(43)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may receive the current value I supplied to the drive unit 10 from the ammeter 71 and determine the amount of aggregate to be injected to control the height adjustment motor 43 .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중량계(72)로부터 골재의 양을 추가적으로 전달받아 투입되는 골재의 성상을 파악하여 구동모터(11)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may additionally receive the amount of aggregate from the weighing scale 72 and control the drive motor 11 by grasping the properties of the input aggregate.

그리고, 상기 호퍼부(50)의 내측에는 투입되는 골재를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원추형의 디스트리뷰터(90)가 맨틀코어(3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And, inside the hopper part 50, a conical distributor 90 for evenly distributing the injected aggregate may be protruded from the top of the mantle core 30.

본 발명의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에 따르면, 투입되는 골재의 양이나 성상을 고려하여 파쇄 공간의 간격이나,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콘크라샤를 최적의 가동조건으로 가동함으로써 파쇄 성능을 향상시키고 가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shing performance is improved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or the spacing of the crushing space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r properties of the input aggregate to operate the con crusher under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and improve operating efficiency.

특히, 호퍼부에 적정량 이상의 골재가 투입될 경우 캐스케이드부를 이용해 골재를 배출시킴으로써 파쇄 공간 내부에 정량의 골재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콘크라샤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more than an appropriate amount of aggregate is injected into the hopper unit, by discharging the aggregate using the cascade unit, a fixed amount of aggregate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rushing space, and overload of the conclav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트리뷰터가 호퍼부를 통해 투입되는 골재가 고르게 분산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골재가 파쇄 공간 내부에서 쌓여 정체되는 것이 방지되어 파쇄 성능을 향상시키고 가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or prevents aggregates from accumulating in the crushing space by evenly distributing and supplying aggregates introduced through the hopper unit, thereby improving crushing performance and maximizing operational efficiency. there is.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콘크라샤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파쇄물 자동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스케이드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의 형상을 파쇄 공간의 변화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스케이드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의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스케이드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에 골재가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캐스케이드와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의 압유 공급라인의 연결 상태와 센서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concrasha according to Prior Art Document 1.
Figure 1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utomatic crush material supply device according to Prior Art Document 2.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hape of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in which a cascade is installed according to a change in a crush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clave with a cascad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ggregate is introduced into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craser in which a cascad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in which a distributo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ving state of a cascade in which a distributor is installed and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in which a distributo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pressure oil supply line of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clave and a location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먼저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스케이드와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2 to 5 ,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clave in which a cascade and a distributor ar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0)와, 편심 회전하는 편심 유도부(20)와, 상기 편심 유도부(20)에 연결되어 병진 운동하는 맨틀코어(30)와, 맨틀코어(30)와 이격 설치되어 사이에 파쇄공간(s)을 형성하는 탑셀부(40)와, 투입된 골재를 파쇄공간(s)으로 이동시키는 호퍼부(50) 및 파쇄 공간(S)에 투입된 골재의 양이나 성상에 따라 구동부(10)의 구동조건이나 파쇄공간(S)의 간격(g)을 제어하는 제어부(6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drive unit 10 for supplying power, an eccentric induction unit 20 that rotates eccentrically, and the eccentric induction unit 20 to move forward. The moving mantle core 30, the top cell part 40 installed apart from the mantle core 30 and forming a crushing space s therebetween, and the hopper part 50 moving the injected aggregate into the crushing space s ) and a control unit 60 that controls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drive unit 10 or the interval g of the crushing space S according to the amount or properties of the aggregate injected into the crushing space S.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는 구동모터(11)와, 상기 구동모터(11)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카운터샤프트(13)와, 상기 카운터샤프트(13)에 구비되어 구동모터(11)의 동력을 카운터샤프트(13)에 전달하는 피니언(12)으로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drive unit 10 includes a drive motor 11, a counter shaft 13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1 and rotating, It is composed of a pinion 12 provided on the counter shaft 13 and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11 to the counter shaft 13.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모터(11)의 동력은 벨트를 이용해 카운터샤프트(13)에 전달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11)의 회전력이 상기 벨트를 통해 상기 카운터샤프트(13)에 전달되며, 상기 카운터샤프트(13) 구비된 피니언(12)에도 회전력이 전달된다.Also, referring to FIG. 5 , power of the drive motor 11 may be transmitted to the counter shaft 13 using a belt. That i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11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shaft 13 through the belt, and the rotational force is also transmitted to the pinion 12 equipped with the countershaft 13.

그리고, 상기 편심 유도부(20)는 고정된 메인샤프트(21)와, 상기 카운터샤프트(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메인샤프트(21)를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는 엑센트릭(2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카운터샤프트(13)의 단부에 구비된 피니언(12)에 맞물린 엑센트릭(22)이 메인샤프트(21)를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엑센트릭(22)에는 편심 회전이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되도록 일측에 밸런스 웨이트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ccentric induction part 20 is composed of a fixed main shaft 21 and an eccentric 22 that rotates eccentrically about the main shaft 21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unter shaft 13 . That is, the centric 22 engaged with the pinion 12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untershaft 13 rotates eccentrically around the main shaft 21 . At this time, a balance weigh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ccentric 22 so that eccentric rotation is more effectively induced.

상기 맨틀코어(3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센트릭(22)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하부 실린더(3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맨틀(32)이 구비되어 병진 운동한다. 또한, 상기 탑셀부(40)는 하부에 콘케이브(41)가 구비되어 맨틀(32)과 콘케이브(41) 사이에 소정 간격(g)의 파쇄 공간(S)이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mantle core 30 has a lower cylinder 31 form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entric 22, and a mantle 3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to move in translation. In addition, the top cell part 40 is provided with a concave 41 at the bottom, and a crushing space S of a predetermined interval g is provided between the mantle 32 and the concave 41.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재를 파쇄 공간(S)을 향해 원활히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호퍼부(50)에는 하우징(H)의 상부로 수직벽부(51)가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직벽부(51)의 하부로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5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moothly move the aggregate toward the crushing space (S), the hopper part 50 is provided with a vertical wall part 51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H), A tapered portion 52 inclined inwardly may exten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51 .

한편, 본 발명의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는 골재의 양이나 성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제어부(60)가 파쇄 공간(S)에 투입된 골재의 양이나 성상에 따라 구동부(10)의 구동조건이나 파쇄공간(S)의 간격(g)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성에 기술적 차별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쇄 공정을 자동화하여 콘크라샤의 파쇄 효율이 향상되면서도 셋팅 조절이 간편하고, 균질한 입도를 지니는 우수한 품질의 재생골재를 획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0 grasps the amount or properties of the aggregate in real time, and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drive unit 10 or the crushing space according to the amount or properties of the aggregate injected into the crushing space S Technical differentiation exists in the configuration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interval (g) of (S), and the crushing efficiency of the con crusher is improved by automating the crushing process, while the setting is easy to adjust and has excellent quality with a homogeneous particle size. Recycled aggregate can be obtained.

특히, 본 발명의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는 전체적인 콘크라샤의 작동장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콘크라샤의 작동상태를 체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particular,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70 so as to monitor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the con crush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on crusher in real time.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10)의 구동모터(1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1)의 구동 상태, 회전 속도 및 부하량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 모터(11)에 인가되는 전류값(I)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전류계(71)가 연결 되어 상기 제어부(60)와 디스플레이트부(70)로 전달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driving motor 11 of the driv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70 and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the driving state, rotational speed and load amount of the driving motor 11 through the display unit 70. can be checked in real time. In particular, an ammeter 71 that measures the current value I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11 in real time may be connected to the ammeter 71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0 and the display unit 70 .

상기 구동모터(11)는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되더라도 투입되는 골재의 양이나 골재의 성상에 따라 콘케이브(41)와 맨틀(32) 사이에 마찰력이 과도하게 작용하여 부하량이 증가되는 경우에 인가되는 전류값(I)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는 전류계(71)로부터 전류값(I)을 전달받아 투입되는 골재의 양이나 성상을 추산하여 상기 구동모터(11)나 파쇄 공간(S)의 간격(g)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Even if the drive motor 11 is rotated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oncave 41 and the mantle 32 is excess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ggregate or the properties of the aggregate to be applied when the load is increased The current value (I) changes. Therefore, the control unit 60 receives the current value I from the ammeter 71, estimates the amount or properties of the aggregate to be injected, and determines the interval g of the drive motor 11 or the crushing space S in real time. can be controlled with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골재의 성상을 보다 정밀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는 파쇄 공간(S)에 투입된 골재의 중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중량계(72)가 더 구비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중량계(72)는 맨틀코어(30)가 구비되는 메인샤프트(21)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투입된 골재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 order to more precisely determine the properties of the aggregate,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further be provided with a weight scale 72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weight of the aggregate injected into the crushing space (S). The weight meter 72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shaft 21 where the mantle core 30 is provided, but may be provided at another location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injected aggregate. .

기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60)는 중량계(72)로부터 골재의 중량을 추가적으로 전달받아 상기 전류값(I)과 골재의 양 정보를 기반으로 투입되는 골재의 성상을 추가적으로 산출하여 구동모터(11)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cribed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 additionally receives the weight of the aggregate from the weighing scale 72 and additionally calculates the properties of the aggregate to be injected based on the current value I and the amount of aggregate information to drive the motor. (11) can be controlled.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골재의 성상에 따른 중량과 경도 및 전류값(I)을 사전에 DB에 정의되고, 상기 제어부(60)는 정의된 DB를 기초로 파쇄 공간(S)의 간격(g)별 유효 전류값(I)과 골재의 중량값을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골재의 성상을 역으로 산출하여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weight, hardness, and current value (I)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aggregate are defined in the DB in advance, and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e interval (g) of the crushing space (S) based on the defined DB. By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effective current value (I) for each ) and the weight value of the aggregat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e motor by calcul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gregate in reverse.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의 파쇄 공간(S)의 간격(g)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interval g of the crushing space S of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cras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는 상기 하우징(H)과 탑셀부(40)가 상호 나사 결합방식으로 상대 이동됨과 동시에, 탑셀부(40)를 상대 회전시키는 높이 조절모터(43)가 구비되어 파쇄 공간(S)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H)에는 암나사산이 상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탑셀부(40)의 외주면에는 간격 조절을 위한 숫나사산(42)이 형성되어 높이 조절모터(43)의 구동에 의해 탑셀부(40)가 상대 회전 구동되면서 파쇄 공간(S)의 간격(g)이 조절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탑셀부(40)에는 원주방향으로 기어가 구비되고, 높이 조절모터(43)의 구동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부 하우징의 암나사산을 따라 상대 회전하여 탑셀부(4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In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H and the top cell part 40 are relatively moved in a mutually screwed manner, and at the same time, the height adjusting motor 43 relatively rotates the top cell part 40. ) Is provided and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crushing space (S). That is, a female screw thread is formed extending upward from the housing H, and a male screw thread 42 for adjusting the distanc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cell part 40, so that the top cell part ( 40) may be relatively rotated and the distance g of the crushing space S may be adjusted. That is, the top cell part 40 is provided with a gea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rotates in the forward/reverse direction by driving the height control motor 43 to relatively rotate along the female screw thread of the upper housing so that the top cell part 40 moves to the upper part. Or it can be moved to the bottom.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H)은 암나사산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모터(4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진 하부 하우징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하부 하우징은 고정 구비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탑셀부(40)가 상대 회전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유사시 파쇄 공간(S)의 정체된 골재가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로 이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H) may be separated into an upper housing having an extended female screw thread and rotationally driven by the height adjustment motor 43, and a low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The housing is fixed, and the upper housing can be spaced upward so that the top cell part 40 can relatively ro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stagnant aggregate in the crushing space S can move downward in case of emergency.

나아가, 본 발명의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는 정량 이상의 골재 투입으로 인해 파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호퍼부(50)를 통해 파쇄 공간(S)에 정량 이상의 골재가 투입될 경우 정량 이상의 골재를 배출시키는 캐스케이드부(80)가 더 구비되어질 수 있다. 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the crushing efficiency from deteriorating due to the input of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aggregate,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aggregate is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space S through the hopper unit 50, more than the amount of aggregate A cascade unit 80 for discharging aggregate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캐스케이드부(80)는 상기 호퍼부(50)의 수직 벽부(51)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골재 이동공(81)과, 상기 각각의 골재 이동공(81)에 일단이 연결된 리턴슈트(8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턴슈트(82)는 타단부가 각각 하우징(H)의 내측 하부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상기 리턴 슈트(82)를 통하여 정량 이상의 골재가 하우징(H)의 내측 하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The cascade part 80 consists of the aggregate moving holes 81 radially formed in the vertical wall part 51 of the hopper part 50 and the return chute 8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each of the aggregate moving holes 81. It consists of At this time, as the other end of the return chute 82 extends toward the inner lower part of the housing H, respectively, the amount of aggregate or more can be naturally discharged 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housing H through the return chute 82. there is.

나아가, 정량 이상의 골재공급으로 인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골재 이동공(81)의 내측에는 일정 이상의 압력에만 개방되는 가림막(83)이 구비되어질 수 있다. 즉,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호퍼부(50) 내에 투입된 골재가 정량 이상일 경우 호퍼부(50) 내에 존재하는 골재로 인한 압력에 의해 상기 가림막(83)이 개방되어지면서 상기 골재 이동공(81)을 통해 골재를 배출시킬 수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overload due to the supply of more than the amount of aggregate, the inside of the aggregate moving hole 81 may be provided with a shield 83 that is opened only when pressure exceeds a certain level. That is, 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when the amount of aggregate injected into the hopper unit 50 exceeds the quantity, the cover film 83 is opened by the pressure due to the aggregate present in the hopper unit 50, and the aggregate moving hole 81 Through this, the aggregate can be discharged.

또한, 상기 리턴 슈트(82)는 파쇄 공간(S)의 간격(g)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골재 이동공(81)에 연결된 상부 슈트(82a)와, 하우징(H)에 연결된 하부 슈트(82b)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슈트(82a)의 하단과 하부 슈트(82b)의 상단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중첩되어 변위 수용부(82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쇄 공간(S)의 간격(g) 변화에도 상기 리턴슈트(82)가 상기 변위 수용부(82c)의 중첩 길이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변위 되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urn chute 82 includes an upper chute 82a connected to the aggregate moving hole 81 and a lower chute 82b connected to the housing H to correspond to the change in the distance g of the crushing space S. Consisting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chute (82a)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hute (82b) may be slidab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form a displacement accommodating portion (82c). That is, the return chute 82 can be stably displaced within the overlapping length of the displacement accommodating part 82c even when the interval g of the crushing space S changes.

한편, 상기 제어부(60)는 전류계(71)로부터 구동부(10)에 공급되는 전류값(I)을 전달받아 투입되는 골재의 양을 파악하여, 높이 조절모터(4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투입되는 골재의 양이 현재 파쇄 공간(S)의 간격(g)에서 최적의 파쇄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골재의 양보다 많거나 적을 경우, 높이 조절모터(4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파쇄 공간(S)의 간격(g)이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60 receives the current value I supplied to the drive unit 10 from the ammeter 71, determines the amount of aggregate to be injected, and controls the height adjustment motor 43. Accordingly, when the amount of aggregate to be introduced is greater than or less than the amount of aggregate that can obtain optimal crushing efficiency in the interval g of the current crushing space S, the driv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tor 43 is controlled to The interval g of the crushing space S can be flexibly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는 파쇄 공간(S)의 내부에 투입된 골재가 정체되어 작동이 정지하거나 맨틀코어(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부(50)의 내측에 원추형의 디스트리뷰터(90)가 맨틀코어(30)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투입되는 골재를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7 to 8 to prevent the aggregate injected into the crushing space (S) from stopping operation or from rotating the mantle core 30 in the reverse direction due to stagn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ical distributor 90 protrud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ntle core 30 on the inside of the hopper part 50 to evenly distribute the input aggregate.

이때, 상기 디스트리뷰터(90)는 투입되는 골재를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호퍼(50)로 투입되는 골재가 디스트리뷰터(90)에 의해 파쇄공간(S)내부에 방사상으로 균등하게 고르게 공급되어, 골재가 파쇄 공간(S) 내부 소정 위치에서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정체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체된 골재로 인한 장치의 유지 보수 작업 등의 주기를 보다 연장시킬 수 있어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distributor 90 may have a conical shape to evenly distribute the input aggregate. 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aggregate injected into the hopper 50 is radially and evenly supplied into the crushing space S by the distributor 90, and the aggregate moves downwar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crushing space S. Failure to do so and stagna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period of maintenance work of the device due to the stagnant aggregate can be further extended.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스케이드와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는 부속 간에 발생되는 마모를 줄이고 효과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윤활 오일이 주입된다. 이를 위해 콘크라샤에는 방사상으로 상기 구동부(10)에 오일을 공급하는 다수의 공급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라인에는 온도정보를 감지하는 온도계(73)와, 유량정보를 검출하는 유량계(74)가 위치별로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계(73)와 유량계(74)에서 획득되는 온도정보와 유량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0)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in which a cascade and a distributor ar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ed with lubricating oil to reduce abrasion occurring between parts and achieve effective operation. To this end, the conclav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ly lines radially supplying oil to the drive unit 10, and the supply lines include a thermometer 73 for detecting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flow meter 74 for detecting flow rate information. A plurality of may be provided for each location.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flow r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hermometer 73 and the flow meter 74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0 in real time.

이로써, 본 발명의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는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윤활 오일의 흐름상태와 온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콘크라샤의 동작 상태와 위치별 부하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Thus,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con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cognize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 crusher and the load state by position to the user by checking the flow state and temperature of the lubricating oil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unit 70. .

나아가, 상기 제어부(60)는, 온도계(73)와 유량계(74)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정보와 유량정보를 기반으로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발명의 콘크라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장치의 내구성 증대 및 가동효율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unit 60 can effectively manage the con crusher of the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supplied through the supply line in real time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flow rat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thermometer 73 and the flow meter 74.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operation efficiency of the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캐스케이드와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utomatic control type con crusher installed with the cascade and distribu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meaning of the claims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 : 파쇄 공간 H : 하우징
g : 간격 I : 전류값
10 : 구동부 11 : 구동모터
12 : 피니언 13 : 카운터샤프트
20 : 편심 유도부 21 : 메인샤프트
22 : 엑센트릭 30 : 맨틀코어
31 : 하부 실린더 32 : 맨틀
40 : 탑셀부 41 : 콘케이브
42 : 숫나사산 43 : 높이 조절모터
50 : 호퍼부 51 : 수직벽부
52 : 테이퍼부 60 : 제어부
71 : 전류계 72 : 중량계
73 : 온도계 74 : 유량계
80 : 캐스케이드부 81 : 골재 이동공
82 : 리턴 슈트 82a : 상부 슈트
82b : 하부 슈트 82c : 변위 수용부
83 : 가림막 90 : 디스트리뷰터
S: crushing space H: housing
g: interval I: current value
10: drive unit 11: drive motor
12: pinion 13: countershaft
20: eccentric induction part 21: main shaft
22: Eccentric 30: Mantle Core
31: lower cylinder 32: mantle
40: top cell part 41: concave
42: male thread 43: height adjustment motor
50: hopper part 51: vertical wall part
52: taper part 60: control part
71: ammeter 72: weight meter
73: thermometer 74: flow meter
80: cascade part 81: aggregate moving ball
82: return chute 82a: upper chute
82b: lower chute 82c: displacement accommodating part
83: shield 90: distributor

Claims (9)

삭제delete 구동모터(11)에 의하여 피니언(12)이 구비된 카운터샤프트(13)가 회전되는 구동부(10);
상기 카운터샤프트(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메인샤프트(21)를 중심으로 엑센트릭(22)이 편심 회전되는 편심 유도부(20);
상기 엑센트릭(22)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하부 실린더(3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맨틀(32)이 구비되어 병진 운동하는 맨틀코어(30);
상기 맨틀(32) 사이에 파쇄 공간(S)이 마련되도록 하부에 콘케이브(41)가 구비되는 탑셀부(40);
하우징(H)의 상부로 노출되는 수직벽부(51)의 하부로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52)가 연장 형성되어 투입된 골재를 파쇄 공간(S)으로 이동시키는 호퍼부(50); 및
전류계(71)가 측정하는 구동부(10)에 공급되는 전류값(I)을 전달받음으로써 투입되는 골재의 양이나 성상을 파악하고, 투입되는 골재의 양이나 성상에 따라 구동모터(11)를 제어하는 제어부(60);
를 포함하는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
a driving unit 10 in which a countershaft 13 equipped with a pinion 12 is rotated by a driving motor 11;
an eccentric induction unit 20 in which the eccentric 22 rotates eccentrically around the main shaft 21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unter shaft 13;
A mantle core 30 having a lower cylinder 31 form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ccentric 22 and having a mantle 32 provided thereon to move in translation;
a top cell part 40 provided with a concave 41 at the bottom so that a crushing space S is provided between the mantles 32;
A hopper portion 50 in which an inwardly inclined tapered portion 52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51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H and moves the injected aggregate into the crushing space S; and
By receiving the current value (I)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measured by the ammeter 71, the amount or properties of the aggregate to be introduced is grasped, and the drive motor 11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mount or characteristics of the aggregate to be injected. a control unit 60;
Automatically controlled concrasha comprising a.
삭제delete 구동모터(11)에 의하여 피니언(12)이 구비된 카운터샤프트(13)가 회전되는 구동부(10);
상기 카운터샤프트(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메인샤프트(21)를 중심으로 엑센트릭(22)이 편심 회전되는 편심 유도부(20);
상기 엑센트릭(22)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하부 실린더(3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맨틀(32)이 구비되어 병진 운동하는 맨틀코어(30);
상기 맨틀(32) 사이에 파쇄 공간(S)이 마련되도록 하부에 콘케이브(41)가 구비되는 탑셀부(40);
하우징(H)의 상부로 노출되는 수직벽부(51)의 하부로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52)가 연장 형성되어 투입된 골재를 파쇄 공간(S)으로 이동시키는 호퍼부(50);
투입되는 골재의 양이나 성상에 따라 구동모터(11)나 파쇄 공간(S)의 간격(g)을 제어하는 제어부(60); 및
상기 호퍼부(50)의 수직 벽부(51)에 방사상으로 골재 이동공(81)이 형성되어 정량 이상의 골재가 투입시 리턴 슈트(82)를 통하여 하우징(H)의 내측 하부로 배출되는 캐스케이드부(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
a driving unit 10 in which a countershaft 13 equipped with a pinion 12 is rotated by a driving motor 11;
an eccentric induction unit 20 in which the eccentric 22 rotates eccentrically around the main shaft 21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unter shaft 13;
A mantle core 30 having a lower cylinder 31 form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ccentric 22 and having a mantle 32 provided thereon to move in translation;
a top cell part 40 provided with a concave 41 at the bottom so that a crushing space S is provided between the mantles 32;
A hopper portion 50 in which an inwardly inclined tapered portion 52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51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H and moves the injected aggregate into the crushing space S;
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interval g of the driving motor 11 or the crushing space S according to the amount or properties of the aggregate to be injected; and
Aggregate moving holes 81 are radially formed in the vertical wall part 51 of the hopper part 50, and the cascade part ( 80);
Automatically controlled concra sh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이동공(81)의 내측에는 가림막(83)이 설치되어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가림막(83)이 개방되어 골재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
According to claim 4,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oncraser, characterized in that a shielding film 83 is installed inside the aggregate moving hole 81, and when a certain pressure or more is applied, the shielding film 83 is opened and the aggregate is discharg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슈트(82)는 골재 이동공(81)에 연결된 상부 슈트(82a)와 하우징(H)에 연결된 하부 슈트(82b)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슈트(82a)의 하단과 하부 슈트(82b)의 상단이 상호 중첩된 변위 수용부(82c)가 형성되어 파쇄 공간(S)의 간격(g)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
According to claim 4,
The return chute 82 is formed of an upper chute 82a connected to the aggregate moving hole 81 and a lower chute 82b connected to the housing H, the lower end of the upper chute 82a and the lower chute 82b The top of the mutually overlapping displacement accommodating portion (82c) is formed so that it is stably displaced even when the spacing (g) of the crushing space (S) is changed.
구동모터(11)에 의하여 피니언(12)이 구비된 카운터샤프트(13)가 회전되는 구동부(10);
상기 카운터샤프트(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메인샤프트(21)를 중심으로 엑센트릭(22)이 편심 회전되는 편심 유도부(20);
상기 엑센트릭(22)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하부 실린더(3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맨틀(32)이 구비되어 병진 운동하는 맨틀코어(30);
상기 맨틀(32) 사이에 파쇄 공간(S)이 마련되도록 하부에 콘케이브(41)가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간격 조절을 위한 숫나사산(42)이 형성되어 높이 조절모터(43)의 구동에 의한 상대 회전으로 하우징(H)에 연장 형성된 암나사산에 의하여 맨틀(32)과 콘케이브(41) 사이에 마련된 파쇄 공간(S)의 간격(g)이 조절되는 탑셀부(40);
하우징(H)의 상부로 노출되는 수직벽부(51)의 하부로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52)가 연장 형성되어 투입된 골재를 파쇄 공간(S)으로 이동시키는 호퍼부(50); 및
전류계(71)로부터 구동부(10)에 공급되는 전류값(I)을 전달받아 투입되는 골재의 양을 파악하여 높이 조절모터(43)를 제어함으로써 투입되는 골재의 양에 따라 파쇄 공간(S)의 간격(g)을 제어하는 제어부(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
a driving unit 10 in which a countershaft 13 equipped with a pinion 12 is rotated by a driving motor 11;
an eccentric induction unit 20 in which the eccentric 22 rotates eccentrically around the main shaft 21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unter shaft 13;
A mantle core 30 having a lower cylinder 31 form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ccentric 22 and having a mantle 32 provided thereon to move in translation;
A concave 41 is provided at the bottom so that a crushing space S is provided between the mantles 32, and a male screw thread 42 for adjusting the distanc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driving the height adjustment motor 43. a top cell part 40 in which a distance g of the crushing space S provided between the mantle 32 and the concave 41 is adjusted by a female thread extending from the housing H through relative rotation;
A hopper portion 50 in which an inwardly inclined tapered portion 52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51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H and moves the injected aggregate into the crushing space S; and
By receiving the current value (I) supplied to the drive unit 10 from the ammeter 71 and grasping the amount of aggregate to be injected and controlling the height adjustment motor 43, the size of the crushing space (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ggregate to be injected. 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interval g;
Automatically controlled concra sh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7항에 있어서,
제어부(60)는,
중량계(72)로부터 골재의 양을 추가적으로 전달받아 투입되는 골재의 성상을 파악하여 구동모터(11)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
According to claim 7,
The control unit 60,
Automatic control type con cru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motor 11 is controlled by receiving the amount of aggregate additionally received from the weight scale 72 and identifying the properties of the input aggregate.
제2항, 제4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50)의 내측에는 투입되는 골재를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원추형의 디스트리뷰터(90)가 맨틀코어(3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어형 콘크라샤.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 4 and 7,
Inside the hopper part (50), a conical distributor (90) for evenly distributing the injected aggregate is protruded from the top of the mantle core (30).
KR1020220106569A 2022-08-25 2022-08-25 Self-Controlled Cone Crusher with Cascade and Distributor KR1024884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569A KR102488407B1 (en) 2022-08-25 2022-08-25 Self-Controlled Cone Crusher with Cascade and Distribu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569A KR102488407B1 (en) 2022-08-25 2022-08-25 Self-Controlled Cone Crusher with Cascade and Distribu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407B1 true KR102488407B1 (en) 2023-01-18

Family

ID=8510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569A KR102488407B1 (en) 2022-08-25 2022-08-25 Self-Controlled Cone Crusher with Cascade and Distribu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40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595B1 (en) * 2013-11-14 2014-06-03 정태현 Cone crusher for sand production
KR101461401B1 (en) 2014-04-17 2014-11-14 주식회사 서원건설산업 Apparatus for crushed auto supply of speed cone-crusher for the Production of cyclic Aggregate of waste concrete
WO2020122299A1 (en) * 2018-12-10 2020-06-18 삼영플랜트주식회사 Intelligent cone crusher capable of adjusting gap during operation and gap adjusting method
KR20220040954A (en) 2020-09-24 2022-03-31 유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one Crus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595B1 (en) * 2013-11-14 2014-06-03 정태현 Cone crusher for sand production
KR101461401B1 (en) 2014-04-17 2014-11-14 주식회사 서원건설산업 Apparatus for crushed auto supply of speed cone-crusher for the Production of cyclic Aggregate of waste concrete
WO2020122299A1 (en) * 2018-12-10 2020-06-18 삼영플랜트주식회사 Intelligent cone crusher capable of adjusting gap during operation and gap adjusting method
KR20220040954A (en) 2020-09-24 2022-03-31 유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one Cru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1129B1 (en) Apparatus for reclamation of molding sand
US7850103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restricting spinning in a gyratory crusher
EP2596868A1 (e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one crusher
AU7745298A (en) Cone crusher with wear indicator
KR101504567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recycled aggregate by use of cone crusher equipped with uniform quantity supply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42102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ably supplying material to a rod mill in accordance with power consumption of the rod mill motor
KR102488407B1 (en) Self-Controlled Cone Crusher with Cascade and Distributor
NO861970L (en) PROCEDURE AND DEVICE FOR CONTROL OF THE OPERATION OF A STEIN CRUSHER AND A STEIN FEED SUPPLYING STONE TO THE STEIN CRUSHER.
CN212263429U (en) Sand making machine with abrasion monitoring function and sensor thereof
CN111701667B (en) Sand making machine with abrasion monitoring function and sensor thereof
KR101283335B1 (en) Cocoa husk automatic crushing and measure supply device
CN108452875B (en) A kind of high accuracy circular conic crusher
CN110575898A (en) Sample preparation crusher capable of automatically feeding
CN213762267U (en) Crusher material control system
CN87107400A (en) Automatic ball supplying device of ball mill
JP7327129B2 (en) Vertical grinder
CN107716085A (en) Vertical shaft type impact crusher upper feeding mouth Automatic adjustment method
CN219702091U (en) Jiao Tanhuan hammer crusher
US4238076A (en) Apparatus for building up and repairing the refractory lining of industrial furnaces and hot-running vessels
KR20070119181A (en) Waste concrete recycling facility
Svensson et al. New comminution applications using hydrocone crushers with setting regulation in real time
US1038794A (en) Crushing-machine.
CN208695157U (en) Sealed ball mill
US2869707A (en) Means for conveying crushed material from a gyratory crusher
SU844041A1 (en) Method of charging cone eccentric 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